KR102214671B1 -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671B1
KR102214671B1 KR1020190158625A KR20190158625A KR102214671B1 KR 102214671 B1 KR102214671 B1 KR 102214671B1 KR 1020190158625 A KR1020190158625 A KR 1020190158625A KR 20190158625 A KR20190158625 A KR 20190158625A KR 102214671 B1 KR102214671 B1 KR 10221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and
underwater
underwater weapon
weapon
sou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이규
송선호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7/00Mine-sweep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G7/02Mine-sweeping means, Means for destroying m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22/00Marine mines, e.g. launched by surface vessels or submarines
    • F42B22/04Influenced mines, e.g. by magnetic or acoustic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수중 무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무기 제어 방법은,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운용함용 장치에 의해,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UNDERWATER WEAPON}
본 발명은 수중 무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뢰는 적의 함선 또는 잠수함을 파괴하고 적항을 봉쇄하거나 아항을 방어하기 위해, 수중에 설치되는 폭탄이다. 이러한 기뢰는 부설함에 의한 수동 방식 또는 자항 방식으로 특정 위치에 부설된 후, 목표로 하는 적함에서 발생하는 음향이나 자기 신호에 의해 기폭을 수행한다.
한편, 봉쇄했던 적항을 아함이 침입하거나 방어된 아항에서 아함이 외부로 나가는 경우, 부설된 기뢰를 제거하기 위해 기뢰를 부설한 위치에 소해함을 운영하여 기뢰를 탐사하고 탐사된 기뢰를 제거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설되어 활성화된 기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소해함을 운용하여 기뢰의 소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뢰는 적함과 아함을 능동적으로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설된 기뢰에 의해 아함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부설된 기뢰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신속하게 작전을 수립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부설된 기뢰의 소해 작업 시 위험이 동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뢰 등과 같은 수중 무기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수중 무기를 활성화시키거나, 무력화시키거나, 기폭시키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중 무기에 장착되는 수중 무기용 장치 및 운용함에 장착되는 운용함용 장치를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에서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운용함용 장치에 의해,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면 타이머를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시켜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사전 설정된 제1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중 무기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는 제1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수중 무기에 설치된 덮개를 개방하여 제1 송수신부를 전개시키는 단계; 및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CW(continuous wave)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CW 파형을 사전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은, 수중 무기를 일반 감응 무기로 운용시키기 위한 제1 제어 명령,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수중 무기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제2 제어 명령, 또는 수중 무기를 기폭시키기 위한 제3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함용 장치는 제2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프리 펄스를 기준으로 주파수 및 시간 조절이 가능한 메인 펄스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2 송수신부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은 수중 무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명령에 포락선 검출을 수행하여 메인 펄스의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제어 명령에 주파수 검출을 수행하여 메인 펄스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시간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명령이 제1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가 일반 감응 무기로 전환되도록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명령이 제2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가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무력화되도록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명령이 제3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가 기폭되도록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제어 명령에 따른 수중 무기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음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펄스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음향 정보를 복수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이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은, 수중 무기에 장착되고,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수중 무기용 장치; 및 운용함에 장착되고, 제1 음향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운용함용 장치를 포함하고, 수중 무기용 장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는,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면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되어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하는 음향 정보 생성부;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고,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1 송수신부; 및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사전 설정된 제1 시간과 비교하여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중 무기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키고,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향 정보 생성부 및 제1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제1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는 수중 무기에 설치된 덮개를 개방하여 제1 송수신부를 전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CW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는 제1 송수신부를 통해 CW 파형을 사전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출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함용 장치는,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명령 생성부; 제1 음향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송수신부; 및 제어 명령 생성부 및 제2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2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은 수중 무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 생성부는, 프리 펄스를 기준으로 주파수 및 시간 조절이 가능한 메인 펄스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송수신부는 D급 PWM(pulse width modulation) 앰프를 갖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은, 수중 무기를 일반 감응 무기로 운용시키기 위한 제1 제어 명령,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수중 무기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제2 제어 명령, 또는 수중 무기를 기폭시키기 위한 제3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는, 제어 명령에 포락선 검출을 수행하여 메인 펄스의 시간을 추출하고, 제어 명령에 주파수 검출을 수행하여 메인 펄스의 주파수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간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식별하며,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는, 제어 명령이 제1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가 일반 감응 무기로 전환되도록 수중 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는, 제어 명령이 제2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가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무력화되도록 수중 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는, 제어 명령이 제3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가 기폭되도록 수중 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향 정보 생성부는, 제어 명령에 따른 수중 무기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음향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고, 제1 송수신부는, 제2 음향 정보를 더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펄스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는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제2 음향 정보를 복수회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설된 수중 무기(예를 들어, 기뢰, 무인 잠수정 등)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수중 무기의 활성화, 무력화, 기폭 등의 작동을 수행시킬 수 있어, 다양한 작전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수중 무기의 제거 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수중 무기의 제거에 따른 번거로운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중 무기의 제거에 따른 신속한 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사전에 부설된 수중 무기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기 전까지 대기 모드 상태로 동작하며, 제어 명령을 수신한 후에 작동 모드 상태, 예를 들어 활성화 모드 상태, 무력화 모드 상태 또는 기폭 모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어, 아함의 작전에 따라 대기 모드 상태 또는 작동 모드 상태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신속한 작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원격으로 수중 무기가 기폭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수중 무기 본연의 기폭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긴급하게 수중 무기를 기폭시켜 다양한 작전을 구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을 수중 무기 및 운용함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송수신부를 전개시킨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명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부"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 함수, 속성, 프로시저, 서브루틴,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 드라이버,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 테이블, 어레이 및 변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와 "부"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 및 "부"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부"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 기초하여"라는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기술되는,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인자를 기술하는데 사용되며, 이 표현은 결정, 판단의 행위 또는 동작에 영향을 주는 추가적인 인자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중 무기"는 수중에 부설되어 진동이나 수압, 또는 자기장이나 음향 등에 의해 폭발하며, 수상함 또는 잠수함을 격침시키는데 주로 사용되는 무기로서, 기뢰, 어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을 수중 무기 및 운용함에 적용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100)은 수중 무기용 장치(110) 및 운용함용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수중 무기(200)에 장착되고, 수중 무기(200)가 수중에 부설되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음향 정보(이하, "제1 음향 정보"라 함)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따른 수중 무기(200)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음향 정보(이하, "제2 음향 정보"라 함)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타이머(111), 음향 정보 생성부(112), 제1 송수신부(113), 제1 처리부(114) 및 제1 저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11)는 수중 무기(200)가 수중에 부설되면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타이머(111)는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되면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음향 정보 생성부(112)는 타이머(111)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CW(continuous wave)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정보 생성부(112)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른 수중 무기(200)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펄스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부(113)는 음향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부(113)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부(113)는 음향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음향 정보는 제1 송수신부(113)를 통해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음향 정보는 제1 송수신부(113)를 통해 복수회 출력될 수 있다.
제1 처리부(114)는 타이머(111), 음향 정보 생성부(112) 및 제1 송수신부(1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처리부(114)는 타이머(111)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사전 설정된 시간(이하, "제1 시간"이라 함)과 비교하여 타이머(111)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14)는 타이머(111)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중 무기(200)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키고,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향 정보 생성부(112) 및 제1 송수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14)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14)는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향 정보 생성부(112) 및 제1 송수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114)는 수중 무기(200)가 수중에 부설되면 제1 송수신부(113)를 전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처리부(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무기(200)에 설치된 덮개(210)가 개방되고, 제1 송수신부(113)가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114)는 전개된 제1 송수신부(113)를 통해 제1 음향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처리부(114)는 제1 음향 정보가 사전 설정된 시간(이하, "제2 시간"이라 함) 동안 제1 송수신부(113)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은 수중 무기(200)를 일반 감응 무기로 운용시키기 위한 제1 제어 명령, 사전 설정된 시간(이하, "제3 시간"이라 함) 또는 영구적으로 수중 무기(200)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제2 제어 명령, 또는 긴급시 수중 무기(200)를 기폭시키기 위한 제3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에 포락선 검출을 수행하여 펄스의 시간을 추출하고, 제어 명령에 주파수 검출을 수행하여 펄스의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14)는 추출된 시간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이 제1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200)가 일반 감응 무기로 전환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이 제2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200)가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무력화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이 제3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200)가 기폭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부(114)는 전개된 제1 송수신부(113)를 통해 제2 음향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처리부(114)는 제2 음향 정보가 제1 송수신부(113)를 통해 복수회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15)는 제1 처리부(1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15)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15)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획득되거나, 처리되거나,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15)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1 저장부(115)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저장부(115)는 제1 처리부(114)에 의한 실행 시 제1 처리부(114)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15)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운용함용 장치(120)는 운용함(300)에 장착되고,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 제1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운용함용 장치(120)는 수신된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용함용 장치(120)는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함용 장치(120)는 제어 명령 생성부(121), 제2 송수신부(122), 제2 처리부(123) 및 제2 저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용함용 장치(120)는 사용자 입력부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은 제1 제어 명령, 제2 제어 명령 또는 제3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음향 정보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중 무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음향 정보는 별도의 서버(도시하지 않음)로 전송되고, 별도의 서버로부터 수중 무기(200)의 제어에 해당하는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주파수 및 시간 조절이 가능한 펄스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송수신부(113)와 운용함용 장치(120)의 제2 송수신부(122) 간의 사전 협의된 통신 규약에 따라 특정 주파수, 길이, 펄스 간격(pulse interval) 등의 정보를 갖는 음향 신호 처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펄스(pre-pulse)와 주파수(f1 내지 fn)의 메인 펄스(main pulse)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프리 펄스를 기준으로 주파수 및 시간 조절이 가능한 메인 펄스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펄스는 길이(T1 내지 Tn)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프리 펄스와 메인 펄스의 시간 차이를 검증한 후 제어 명령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수중 무기(200)가 1개인 경우, 주파수(f1 내지 fn)는 동일하며 길이(T1 내지 Tn)도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수중 무기(200)가 복수개(예를 들어, n개)인 경우, 주파수(f1 내지 fn)는 상이하며, 길이(T1 내지 Tn)도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수중 무기(200)가 복수개(예를 들어, n개)인 경우, 주파수(f1 내지 fn)는 복수의 수중 무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제1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주파수 및 시간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일반 감응 무기로 운용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제2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주파수 및 시간에 기초하여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수중 무기(200)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제3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주파수 및 시간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기폭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송수신부(122)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 제1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부(122)는 제어 명령 생성부(121)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부(122)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 제2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송수신부(122)를 통해 수신된 제2 음향 정보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2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의 제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송수신부(122)는 복수의 주파수를 사용하기 위해 D급 PWM(pulse width modulation) 앰프를 갖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처리부(123)는 제어 명령 생성부(121) 및 제2 송수신부(122)에 연결되어, 제어 명령 생성부(121) 및 제2 송수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처리부(123)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의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이 생성되도록 제어 명령 생성부(12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처리부(123)는 제어 명령 생성부(121)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이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 전송되도록 제2 송수신부(122)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저장부(124)는 제2 처리부(1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장부(124)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저장부(124)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운용함용 장치(12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획득되거나, 처리되거나,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부(124)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제2 저장부(124)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운용함용 장치(120)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운용함용 장치(120)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저장부(124)는 제2 처리부(123)에 의한 실행 시 제2 처리부(123)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부(123)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2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수중 무기(200)가 수중에 부설되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음향 정보 생성부(112)는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하고,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송수신부(113)는 음향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된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운용함용 장치(120)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의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용함용 장치(120)의 제어 명령 생성부(121)는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운용함용 장치(120)의 제2 송수신부(122)는 제어 명령 생성부(121)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을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2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수중 무기(200)에 설치된 덮개(2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수중 무기(200)가 수중에 부설되면, 수중 무기(200)에 설치된 덮개(2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단계 S604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제1 송수신부(113)를 전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무기(200)의 덮개(210)가 개방되면 제1 송수신부(114)를 전개시킬 수 있다.
단계 S606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수중 무기(200)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수중 무기(200)가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608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수중 무기(200)가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음향 정보가 생성되도록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음향 정보 생성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음향 정보 생성부(112)는 제1 처리부(114)의 제어에 따라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제1 음향 정보가 출력되도록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송수신부(1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처리부(114)는 제1 음향 정보가 사전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부(113)는 제1 처리부(114)의 제어에 따라 제1 음향 정보를 사전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2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송수신부(113)는 운용함용 장치(120)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해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수신된 제어 명령의 프리 펄스와 메인 펄스의 시간 차이를 검증하여 제어 명령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수신된 제어 명령이 유효한 제어 명령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명령에 포락선 검출을 수행하여 메인 펄스의 시간을 추출하고, 제어 명령에 주파수 검출을 수행하여 메인 펄스의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처리부(114)는 추출된 시간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처리부(114)는 추출된 시간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이 제1 제어 명령, 제2 제어 명령 또는 제3 제어 명령 중 어떤 제어 명령인지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식별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처리부(114)는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수중 무기(200)를 대기 모드 상태에서 작동 모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이 제1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200)가 일반 감응 무기로 전환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처리부(114)는 수중 무기(200)가 대기 모드 상태에서 활성화 모드(즉, 일반 감응 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이 제2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200)가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무력화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처리부(114)는 수중 무기(200)가 대기 모드 상태에서 무력화 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처리부(114)는 제어 명령이 제3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수중 무기(200)가 기폭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처리부(114)는 수중 무기(200)가 대기 모드 상태에서 기폭 모드 상태로 전환되도록 수중 무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제어 명령에 따른 수중 무기(200)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제2 음향 정보가 생성되도록 음향 정보 생성부(112)를 제어하고, 음향 정보 생성부(112)는 제1 처리부(114)의 제어에 따라 제2 음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펄스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12에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는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중 무기용 장치(110)의 제1 처리부(114)는 제2 음향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1 송수신부(113)를 제어하고, 제1 송수신부(113)는 제1 처리부(114)의 제어에 따라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음향 정보는 제1 송수신부(114)를 통해 복수회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운용함용 장치(120)는 수중 무기용 장치(110)로부터 제2 음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음향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위 방법은 특정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위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위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110: 수중 무기용 장치
111: 타이머 112: 음향 정보 생성부
113: 제1 송수신부 114: 제1 처리부
115: 제1 저장부 120: 운용함용 장치
121: 제어 명령 생성부 122: 제2 송수신부
123: 제2 처리부 124: 제2 저장부
200: 수중 무기 210: 덮개
300: 운용함

Claims (32)

  1. 수중 무기에 장착되는 수중 무기용 장치 및 운용함에 장착되는 운용함용 장치를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상기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운용함용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면 상기 타이머를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시켜 상기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사전 설정된 제1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중 무기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는 제1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수중 무기에 설치된 덮개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송수신부를 전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CW(continuous wave) 파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CW 파형을 사전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수중 무기를 일반 감응 무기로 운용시키기 위한 제1 제어 명령,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상기 수중 무기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제2 제어 명령, 또는 상기 수중 무기를 기폭시키기 위한 제3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함용 장치는 제2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프리 펄스를 기준으로 주파수 및 시간 조절이 가능한 메인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수중 무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에 포락선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메인 펄스의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펄스의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시간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1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수중 무기가 일반 감응 무기로 전환되도록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2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수중 무기가 상기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무력화되도록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3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수중 무기가 기폭되도록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수중 무기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음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펄스 파형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음향 정보를 복수회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수중 무기에 장착되고, 상기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어 대기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수중 무기용 장치; 및
    운용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로 전송하는 운용함용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는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고,
    상기 수중 무기용 장치는
    상기 수중 무기가 수중에 부설되면 인에이블 상태로 전환되어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생성하는 음향 정보 생성부;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을 사전 설정된 제1 시간과 비교하여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되는 시간이 상기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중 무기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제1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제1 처리부
    를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수중 무기에 설치된 덮개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송수신부를 전개시키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CW 파형을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CW 파형을 사전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출력시키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함용 장치는
    상기 제1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명령 생성부;
    상기 제1 음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출력하는 제2 송수신부; 및
    상기 제어 명령 생성부 및 상기 제2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2 처리부
    를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수중 무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생성부는, 프리 펄스를 기준으로 주파수 및 시간 조절이 가능한 메인 펄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수신부는 D급 PWM(pulse width modulation) 앰프를 갖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수중 무기를 일반 감응 무기로 운용시키기 위한 제1 제어 명령,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상기 수중 무기를 무력화시키기 위한 제2 제어 명령, 또는 상기 수중 무기를 기폭시키기 위한 제3 제어 명령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어 명령에 포락선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메인 펄스의 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메인 펄스의 주파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시간 및 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1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수중 무기가 일반 감응 무기로 전환되도록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2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수중 무기가 상기 사전 설정된 제3 시간 또는 영구적으로 무력화되도록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제3 제어 명령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수중 무기가 기폭되도록 상기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30. 제16항, 제18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상기 수중 무기의 제어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음향 정보를 더 생성하고,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상기 제2 음향 정보를 더 출력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향 정보는 수 KHz 내지 수백 KHz의 펄스 파형을 포함하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부는 상기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음향 정보를 복수회 출력시키는,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KR1020190158625A 2019-12-02 2019-12-02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214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25A KR102214671B1 (ko) 2019-12-02 2019-12-02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25A KR102214671B1 (ko) 2019-12-02 2019-12-02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671B1 true KR102214671B1 (ko) 2021-02-10

Family

ID=7456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625A KR102214671B1 (ko) 2019-12-02 2019-12-02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245B1 (ko) 2021-07-21 2022-12-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사용이 가능한 수중운동체 및 이의 운용 시스템
KR20230119376A (ko) 2022-02-07 2023-08-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복수의 음향센서를 이용한 수중 무기 및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7760A (ja) * 2010-12-14 2012-07-05 Nec Corp 水中航走体誘導システム、個別航走体水中走行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6520810A (ja) * 2013-03-15 2016-07-14 ハダ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律型無人潜水機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104363A (ja) * 2017-12-12 2019-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機雷処理用水中船、及びこれを備える機雷処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7760A (ja) * 2010-12-14 2012-07-05 Nec Corp 水中航走体誘導システム、個別航走体水中走行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6520810A (ja) * 2013-03-15 2016-07-14 ハダ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律型無人潜水機をナビゲー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104363A (ja) * 2017-12-12 2019-06-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機雷処理用水中船、及びこれを備える機雷処理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245B1 (ko) 2021-07-21 2022-12-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재사용이 가능한 수중운동체 및 이의 운용 시스템
KR20230119376A (ko) 2022-02-07 2023-08-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복수의 음향센서를 이용한 수중 무기 및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KR102666121B1 (ko) * 2022-02-07 2024-05-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복수의 음향센서를 이용한 수중 무기 및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671B1 (ko) 수중 무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4712479A (en) Mine with alarm and triggering sensors
EP3657208A1 (en) Underwater acoustic deception system and underwater acoustic deception method
IL205700A (en)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detection and tracking of consecutive position angles
KR101682090B1 (ko)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85666B1 (ko) 어뢰음향대응체계 기만기 발사대의 사고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035150B1 (ko) 전자전에서 위협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181347B2 (en) Underwater object destruction system and underwater object destruction method
George et al. Towed acoustic countermeasures for defending acoustic homing torpedoes
US6707760B1 (en) Projectile sonar
US5229541A (en) Torpedo safety system
RU2649675C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орпедой
US20040228213A1 (en) Countermeasure threat emulator and method
Howard Fixed sonar systems: the history and future of the underwater silent sentinel
US3021807A (en) Homing system for torpedo
US3555498A (en) Sonar processor and display circuits
KR20230127559A (ko) 자기장 신호 기반의 수중 운동체 기만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255323B1 (ko) 어뢰 음향 기만기와 어뢰 음향 기만기를 이용한 어뢰 공격 방어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6215732B1 (en) Expendable device for measurement of sound velocity profile
US6112668A (en) Magneto-inductively controlled limpet
KR102481792B1 (ko) 수중 설치 구조물 은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65058B1 (ko) 다수개의 유도탄을 내장한 기만체를 이용하는 함정 공격 장치 및 그 방법
KR102666121B1 (ko) 복수의 음향센서를 이용한 수중 무기 및 수중 무기 제어 시스템
US5301166A (en) Remote control command system
KR20150009081A (ko) 적함의 추진기 봉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