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090B1 -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090B1
KR101682090B1 KR1020160010855A KR20160010855A KR101682090B1 KR 101682090 B1 KR101682090 B1 KR 101682090B1 KR 1020160010855 A KR1020160010855 A KR 1020160010855A KR 20160010855 A KR20160010855 A KR 20160010855A KR 101682090 B1 KR101682090 B1 KR 10168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mming
signal
determined
technique
outpu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용
이성의
김동문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60Jamming involving speci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식별되지 않은 미상 신호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식별 판단부;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결정하는 재밍 기법 결정부; 결정된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신호 생성부; 및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jamming signal using unknown signal}
본 발명은 재밍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상 신호(Unknown signal)가 입력되면 이 미상 신호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협 신호에 대하여 신호 분석을 통해 위협을 식별하지 않으면 그 위협에 의해 전장에 투입되는 시스템의 생존율이 저하될 수가 있다.
종래의 재밍 시스템은 저장된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위협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미식별된 위협에 대해서는 재밍 신호 송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64512호는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주파수 도약 통신 신호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식별되지 않은 미상 신호(Unknown signal)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식별 판단부; 상기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결정하는 재밍 기법 결정부; 결정된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기법 결정부는 상기 펄스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신호의 주파수 특성,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폭 및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식별 판단부는 상기 재밍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면 이후 수신되는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을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재밍 기법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기법 처리부는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면 이후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적용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기법 결정부는 상기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을 순차적으로 결정하며, 상기 재밍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이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재밍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재밍 기법의 개수를 결정하는 재밍 기법 개수 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밍 기법 결정부는 상기 재밍 기법의 개수를 기초로 재밍 기법들을 순차적으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는 비행체에 탑재되며, 상기 재밍 기법 결정부는 상기 재밍 기법을 결정할 때에 상기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더욱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펄스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신호의 주파수 특성,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폭 및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재밍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면 이후 수신되는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을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면 이후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재밍 기법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기법의 개수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을 순차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이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재밍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은 비행체에 탑재된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기법을 결정할 때에 상기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더욱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구성들을 통하여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미식별 위협에 대하여 최적화된 재밍 기법을 찾아 재밍 송신을 통해 전장에 투입되는 시스템의 생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새로운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더라도 생존성 향상을 통해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재밍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위협 신호에 대하여 분석을 통해 위협을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에 대하여 재밍을 송신하는 기존의 시스템은 미식별 위협(ex. 정의되지 않은 신규 위협,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지 않은 위협 등)에 대해서는 재밍을 할 수 없다.
기존의 재밍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재밍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은 위협 신호가 수신되면(S105)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이 위협 신호를 분석한다(S110).
이후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은 위협 신호가 식별되면(S115) 재밍 기법을 적용하여(S120) 재밍 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S125).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은 식별된 위협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전장에 투입되는 시스템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S130).
반면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은 위협 신호가 식별되지 않으면(S135) 적절한 재밍 기법을 찾지 못해 재밍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S140).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은 미식별된 위협에 대하여 재밍 송신이 불가능함으로써 전장에 투입되는 시스템의 생존율이 저하될 수가 있다(S14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이 가진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미식별 위협이 수신되면 다양한 재밍 신호를 송신하여 브레이크 로크(Break-lock) 확인을 통해 최적화된 재밍 기법을 찾아 자동으로 라이브러리에 저장하여 이후 수신되는 미식별 신호에 대하여 최적화 재밍을 송신하여 생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제안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미상 신호(Unknown signal)에 대한 최적화된 재밍 라이브러리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재밍 신호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방법을 구현하는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의 각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것을 참조한다.
신호 수신부(341)로 미상 신호가 수신되면(S205), 신호 분석부(342)가 이 미상 신호를 분석한다(S210). 이때 신호 분석부(342)는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미상 신호를 분석한다.
이후 신호 분석부(342)는 미상 신호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미상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5).
미상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가 라이브러리(343)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미상 신호에 대하여 최적화된 재밍 기법을 검출한다(S220).
이후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검출된 최적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하며, 신호 송신부(345)는 이 재밍 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S225).
이후 브레이크 로크 확인부(미도시)는 재밍 신호를 송출한 이후 신호 수신부(341)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브레이크 로크(Break-lock)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230). 브레이크 로크 확인부는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신 신호의 분석을 통해 로크온(Lock-on)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브레이크 로크(Break-lock)는 레이더를 이용하여 타겟을 검출 및 추적하려는 시스템이 타겟의 행방을 잃어버리고 더이상 타겟을 추적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위협 신호(ex. 적군의 레이더 신호)가 수신되면 이 위협 신호를 분석하여 위협 신호에 대한 최적화 재밍 신호를 레이더로 송출한다. 이후 위협 신호를 송출한 시스템(ex. 적군의 레이더)으로부터 더이상 위협 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가 더이상 노출되지 않을 것이므로,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송출된 재밍 신호에 의해 재밍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이 재밍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시점을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한 시점으로 판단한다.
S230 단계에서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재밍 기법들 중에서 이전에 재밍 신호 생성에 이용되는 재밍 기법을 제외한 나머지 기법들을 대상으로 하여 S220 단계와 S225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기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230 단계에서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이전과 동일한 재밍 기법을 이용하여 S220 단계와 S225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S230 단계에서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전장에 투입된 시스템의 생존율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하고 도 2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및 출력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S215 단계에서 미상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순서를 적용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최우선 순위의 재밍 기법을 선택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한다(S235).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미상 신호에 대한 최적화 재밍 라이브러리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에 필요한 요소로 미상 신호 분석 후 분석된 신호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 순서를 적용하여 재밍을 시작한다. 즉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미상 신호 분석을 통해 해당 집군(ex. RF 대역별, PRI/PW 별 등)에 해당하는 기 식별된 라이브러리를 바탕으로 비슷한 집군에 해당할 경우 가장 비슷한 재밍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재밍을 시작한다. 이때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에 의해 송신되는 재밍 신호는 최적화 재밍 신호는 아니지만 특성이 비슷한 집군에 해당하기 때문에 좀더 빠른 시일 내에 최적화 재밍 기법을 찾는 데에 유익하다.
정해진 순서로 재밍을 발생하는 기법은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기법으로서,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나 PW(Pulse Width), PRI(Pulse Repeat Interval) 등을 변수로 사용하여 가장 확률이 높은 라이브러리를 적용하여 가장 최적화된 기법을 선별하여 순서를 적용하는 시나리오를 여러 개 만들어 장입을 하고 미상 위협 신호에 따라 다르게 적용한다.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은 식별된 위협에 대해서만 재밍 기법 발생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식별되지 않은 신호에 대해서도 재밍을 위한 알고리즘으로 순차 재밍 기법을 적용한다.
S235 단계에서 재밍 신호가 생성되면, 신호 송신부(345)는 이 재밍 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S240).
이후 브레이크 로크 확인부는 재밍 신호를 송출한 이후 신호 수신부(341)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브레이크 로크(Break-lock)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245, S250).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로크 확인부는 수신 신호의 분석을 통해 로크온(Lock-on)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저장부(미도시)는 재밍 신호 생성에 이용된 재밍 기법을 미상 신호의 패턴에 대한 정보와 함께 라이브러리에 저장한다(S255). 그러면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이후 동일한 패턴을 가진 미상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한 재밍 기법을 검출하여 재밍 신호의 생성에 활용할 수 있다. 재밍 기법 저장부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브레이크 로크 확인부와 더불어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에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재밍 시스템(100)에서는 정해진 재밍만 송신하고 성공 및 실패 여부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한가지 재밍만 송신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순차 재밍 기법을 통해 재밍을 송신하고 송신 이후 재밍 성공 여부를 판단하여 재밍 성공된 최적화 알고리즘을 라이브러리에 저장한다.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의 이러한 절차는 재밍 성공 및 실패 여부를 판단하며, 이후 같은 신호에 위협이 발생되는 경우 종래의 시스템은 피격되는 데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생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후 같은 지역으로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라 순차 재밍 기법이 반영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함으로써 미상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재밍을 성공할 수 있다.
자동으로 최적화 재밍을 판단하여 라이브러리를 등록하는 알고리즘은 기존 어떠한 시스템도 적용하지 않았으며, 해당 알고리즘은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S250 단계에서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는 순서를 적용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다음 순위의 재밍 기법을 선택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한다(S260, S235, S240). 재밍 기법 적용/발생부(344)의 이러한 동작은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이상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재밍 신호 생성 방법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미상 신호에 대한 최적화 재밍 라이브러리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은 수신된 위협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효과적인 재밍 기법을 찾아 재밍 송신을 통해 시스템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이다.
제원을 모르는 레이더 신호를 수신하면 분석을 하여도 식별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해당 신호의 분석을 통해 수색 레이더(Search radar) 여부 또는 로크온 레이더(Lock-on radar) 여부는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PA(Pulse Amplitude) 특성을 분석하여 그 패턴에 따라 수색 레이더에 의한 신호인지 아니면 로크온 레이더에 의한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알고리즘은 로크온(Lock-on)된 미상 신호에 대해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재밍 기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한다.
순차적 재밍 송신 이후 수신되는 미상 신호에 대하여 로크온(Lock-on)이 해제되어 브레이크 로크(Break-lock)가 발생하는 시점에 재밍 성공으로 판단하고 적용한 재밍 기법을 최적화된 기법으로 라이브러리에 저장한다.
이후 미상 신호의 분석 결과 같은 패턴의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라이브러리에 따라 최적화 재밍 기법을 적용하여 송신하며, 다른 패턴의 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재밍 기법을 다시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라이브러리를 저장하면 해당 지역의 미상 신호에 대해서도 재밍을 성공할 수 있다. 해당 알고리즘은 전장에 투입되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며 새로운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더라도 생존성 향상을 통해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 시스템의 미식별 신호에 대한 재밍이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여 전장에 투입되는 시스템의 생존율을 높이고 작전 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레이더 #1(Radar #1; 310)에서 신호를 발생하면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신호를 수신/분석을 통해 해당 신호가 라이브러리에 없는 것을 확인하고 미상 신호로 판단한다. 이후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미상 신호가 로크온(Lock-on)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미상 신호임을 판단한 후 미리 정의된 재밍 기법(n개)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하고 로크온(Lock-on) 여부를 판단하여 브레이크 로크(Break-lock) 발생을 확인한다.
첫번째 재밍 기법에 대해 브레이크 로크(Break-lock)가 발생하지 않으면 두번째 재밍 기법을 적용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한다. 같은 방법으로 브레이크 로크(Break-lock) 발생을 판단하고 발생 여부에 따라 n번째 재밍 기법을 적용하여 재밍 신호를 송신한다.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수신 신호 분석을 통해 로크온(Lock-on)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브레이크 로크(Break-lock)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발생한 재밍 기법에 대해 라이브러리에 신호 패턴과 기법을 저장한다. 이후 레이더 #1(310)의 신호는 더이상 미상 신호가 아닌 식별되는 신호로 판단되어 최적의 재밍 기법을 적용하여 재밍을 송신하면 시스템은 생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위와 같이 n개의 레이더에 대해 n번의 재밍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기법을 라이브러리에 저장하고 더이상 미상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지역의 모든 미상 신호를 라이브러리에 저장됨을 알 수 있다.
이후 라이브러리는 해당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최적화 알고리즘은 새로운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적용하여 운용이 가능하다.
한편 레이더 #1(310)의 미상 신호 #1(Unknown signal #1)에 대하여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재밍 신호 #3(Jamming signal #3, 3번째 발생한 재밍 신호를 의미함)에 브레이크 로크(Break-lock)가 발생하면 이 재밍 신호 #3을 최적화 재밍 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재밍 신호 생성 시스템(340)은 레이더 #2(320)의 미상 신호 #2에 대하여 재밍 신호 #1(Jamming signal #1, 1번째 발생한 재밍 신호를 의미함)에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하면 이 재밍 신호 #1을 최적화 재밍 신호로 결정할 수 있으며, 레이더 #3(330)의 미상 신호 #3dp 대하여 재밍 신호 #2(Jamming signal #2, 2번째 발생한 재밍 신호를 의미함)에 브레이크 로크가 발생하면 이 재밍 신호 #2를 최적화 재밍 신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더에 따라 생성되는 재밍 신호의 개수는 수신 신호의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한 순서 적용 시나리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한 순서 적용 시나리오는 저장된 재밍 신호를 순서대로 발생시키고 브레이크 로크를 이용하여 최적 재밍 신호를 찾아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미식별 위협에 대하여 최적화된 재밍 기법을 찾고 재밍 송신을 통해 전장에 투입되는 시스템의 생존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생존성 향상을 위한 전장 시스템(또는 전자전 시스템), 신규 작전 지역에서 수행하는 전장 시스템(또는 전자전 시스템), 신호 수집/분석 및 재밍 기법 개발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EA(Electronic Warfare)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으며, 기 확보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지역에서 능동적으로 라이브러리를 생성하여 생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일실시 형태로부터 추론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에 추가될 수 있는 내부 구성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는 신호 식별 판단부(410), 재밍 기법 결정부(420), 재밍 신호 생성부(430), 재밍 신호 출력부(440), 전원부(450) 및 주제어부(460)를 포함한다.
전원부(450)는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제어부(460)는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가 통상의 재밍 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음을 참작할 때 전원부(450)와 주제어부(460)는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신호 식별 판단부(410)는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기법 결정부(420)는 신호 식별 판단부(410)에 의해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기법 결정부(420)는 펄스에 대한 정보로 제1 신호의 주파수 특성, 제1 신호의 펄스 폭(PW; Pulse Width) 및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PRI; Pulse Repeat Interva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재밍 신호 생성부(430)는 재밍 기법 결정부(420)에 의해 결정된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신호 출력부(440)는 재밍 신호 생성부(430)에 의해 생성된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기법 결정부(420)는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을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재밍 신호 출력부(440)는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이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재밍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재밍 기법 결정부(420)는 제2 신호도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신호 이후에 수신되는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계속적으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는 재밍 기법 개수 결정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밍 기법 개수 결정부(480)는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재밍 기법의 개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르면 재밍 기법 결정부(420)는 재밍 기법 개수 결정부(480)에 의해 결정된 재밍 기법의 개수를 기초로 재밍 기법들을 순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식별 판단부(410)는 재밍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면 이후 수신되는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는 재밍 기법 처리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밍 기법 처리부(470)는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결정부(420)에 의해 결정된 재밍 기법을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밍 기법 처리부(470)는 재밍 기법이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면 이후 제1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상기한 재밍 기법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식별 판단부(410)는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미상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신호가 수색 레이더(Search radar) 또는 로크온 레이더(Lock-on radar)에 의해 출력된 레이더 신호로 추정한다. 상기에서 수색 레이더는 특정 지역(ex. 공항, 항만, 적군 시설이 있는 지역 등)에 위치하는 레이더가 타겟(ex. 항공기, 함선, 아군이 탑승한 비행체나 육상 운동체 등)을 감시하거나 충돌 방지를 위해 이용되는 레이더를 의미한다. 로크온 레이더는 자동 추적 기능(Sight and track)이 있는 레이더를 의미한다.
신호 식별 판단부(410)는 제1 신호가 로크온(Lock-on)된 미상 신호로 판단된 경우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 뒤 이후 수신되는 제2 신호의 식별 여부를 판단한다. 신호 식별 판단부(410)는 판단 결과 제2 신호에 대해 로크온(Lock-on)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브레이크 로크(Break-lock; 추적 중지)가 발생하는 시점에 재밍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면 재밍 기법 처리부(470)가 재밍 신호 생성에 적용된 재밍 기법을 제1 신호에 최적화된 기법으로 라이브러리에 저장한다.
이상 설명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는 비행체에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밍 기법 결정부(420)는 재밍 기법을 결정할 때에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더욱 이용할 수 있다. 이는 고정되어 있는 수색 레이더 또는 로크온 레이더가 그 위치에서 오랜 기간동안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를 계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는 비행체에 탑재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는 육상 운동체(ex. 차량)나 해상 운동체(ex. 함선)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4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신호 식별 판단부(410)가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510).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결정부(420)가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결정한다(S520).
이후 재밍 신호 생성부(430)가 재밍 기법 결정부(420)에 의해 결정된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한다(S530).
이후 재밍 신호 출력부(440)가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S540).
한편 S540 단계 이후, 신호 식별 판단부(410)가 이후 수신되는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재밍 기법 처리부(470)가 재밍 기법 결정부(420)에 의해 결정된 재밍 기법을 라이브러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재밍 기법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이후, 재밍 기법 처리부(470)는 제1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상기한 재밍 기법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510 단계와 S520 단계 사이에, 재밍 기법 개수 결정부(480)가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재밍 기법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재밍 기법 결정부(420)가 재밍 기법의 개수를 기초로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을 순차적으로 결정하며, 이후 재밍 신호 출력부(440)가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이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재밍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신호 식별 판단부;
    상기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의 개수를 결정하는 재밍 기법 개수 결정부;
    상기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결정하되, 상기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신호의 주파수 특성,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폭 및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를 이용하며, 상기 재밍 기법의 개수가 적어도 두 개이면 상기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재밍 기법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재밍 기법 결정부;
    결정된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재밍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재밍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식별 판단부는 상기 재밍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면 이후 수신되는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을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재밍 기법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기법 처리부는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면 이후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이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재밍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는 비행체에 탑재되며,
    상기 재밍 기법 결정부는 상기 재밍 기법을 결정할 때에 상기 비행체의 위치 정보를 더욱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8.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신호가 식별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재밍 기법을 결정하되, 상기 제1 신호의 펄스에 대한 정보로 상기 제1 신호의 주파수 특성,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폭 및 상기 제1 신호의 펄스 반복 주기를 이용하며, 상기 재밍 기법의 개수가 적어도 두 개이면 상기 제1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로 재밍 기법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결정된 재밍 기법을 기초로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상기 재밍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상기 재밍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면 이후 수신되는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상기 제2 신호가 식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을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가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상기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면 이후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상기 결정된 재밍 기법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재밍 기법들이 결정된 순서에 따라 재밍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방법.
  12. 삭제
KR1020160010855A 2016-01-28 2016-01-28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8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55A KR101682090B1 (ko) 2016-01-28 2016-01-28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855A KR101682090B1 (ko) 2016-01-28 2016-01-28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090B1 true KR101682090B1 (ko) 2016-12-02

Family

ID=5757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855A KR101682090B1 (ko) 2016-01-28 2016-01-28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032A (ko) * 2018-11-19 2020-05-27 국방과학연구소 통신 및 교란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20226239A1 (ko) * 2018-08-21 2020-11-12 윤성욱 저고도 무인항공기 감시 시스템
KR20200130072A (ko) * 2019-05-10 2020-11-18 다인시스템(주) 멀티 패턴 안티 드론 재밍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7971A1 (ko) * 2019-05-10 2021-06-17 다인시스템(주) 안티 드론 재밍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67B1 (ko) * 2010-10-15 2011-06-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자파 교란 시스템에서 신호 탐색 장치
KR20130130623A (ko) * 2012-05-22 2013-1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67B1 (ko) * 2010-10-15 2011-06-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전자파 교란 시스템에서 신호 탐색 장치
KR20130130623A (ko) * 2012-05-22 2013-1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6239A1 (ko) * 2018-08-21 2020-11-12 윤성욱 저고도 무인항공기 감시 시스템
KR20200058032A (ko) * 2018-11-19 2020-05-27 국방과학연구소 통신 및 교란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47396B1 (ko) * 2018-11-19 2020-08-24 국방과학연구소 통신 및 교란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0072A (ko) * 2019-05-10 2020-11-18 다인시스템(주) 멀티 패턴 안티 드론 재밍 시스템 및 방법
KR102243150B1 (ko) * 2019-05-10 2021-04-27 다인시스템(주) 멀티 패턴 안티 드론 재밍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7971A1 (ko) * 2019-05-10 2021-06-17 다인시스템(주) 안티 드론 재밍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090B1 (ko)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675793B (zh) 激光有源干扰的对抗方法
US9244459B2 (en) Reflexive response system for popup threat survival
KR102100851B1 (ko)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083660B1 (ko) 가변 파형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표적을 탐지하기 위한 fmcw 레이더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258696B1 (ko) 위성 항법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12386B1 (ko) 펄스 압축 신호에 대한 기만 신호 생성 장치 및 기만 신호 생성 방법
US71488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ownship threats
US9213099B1 (en) Sonar-based underwater target detection system
EP1684089B1 (en) Optimized utilization of electronic counter measures
CN109164420A (zh) 一种相控阵雷达搜索加跟踪工作模式的实现方法
RU2501038C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KR101553877B1 (ko) 부엽 레벨을 억제할 수 있는 송신 스위칭 레이더 시스템
KR102264073B1 (ko) 편대 비행체 추적방법 및 장치
US89637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use of booster rockets by ballistic missiles
KR101509121B1 (ko) 레이더 시스템의 부엽제거 및 적응 빔형성을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43283B1 (ko) 위협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827910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receiver
KR102035150B1 (ko) 전자전에서 위협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82697B1 (ko) 레이더 펄스의 송신 타이밍 동기화를 이용한 간섭 억제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상기 장치를 이용한 차량 레이더 시스템
KR102197086B1 (ko) 대공 표적 추적을 위한 표적 정밀 추적 장치 및 방법
RU2694366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реднамеренных активных сигналоподобных имитационных помех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м средствам
JP2008202965A (ja) パッシブ測角装置およびパッシブ測角方法
RU2649675C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орпедой
KR20190120589A (ko) 재밍 감지 회피를 위한 재밍 공격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