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0623A -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623A
KR20130130623A KR1020130021268A KR20130021268A KR20130130623A KR 20130130623 A KR20130130623 A KR 20130130623A KR 1020130021268 A KR1020130021268 A KR 1020130021268A KR 20130021268 A KR20130021268 A KR 20130021268A KR 20130130623 A KR20130130623 A KR 2013013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jamming
terminal
standard information
det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020B1 (ko
Inventor
장진각
조희래
황인호
김종규
김춘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896,467 priority Critical patent/US9264174B2/en
Publication of KR2013013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20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 H04K3/22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 H04K3/224Countermeasures against jamming including jamming detection and monitoring with countermeasures at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the jammed signal, e.g. stopping operation of transmitter or receiver, nulling or enhancing transmitted power in direction of or at frequency of jam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 H04K3/82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a surveillance, interception or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분석하여 인가되지 않은 위협신호로 판단되면,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재밍 단말에 전송하는 신호 탐지 단말; 및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재밍 신호를 생성 및 방사하는 것을 제어하는 재밍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탐지 단말과 상기 재밍 단말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네트워크 상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비인가 위협신호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Wide-band Intelligent Jamming}
본 발명은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대역 신호 검출 및 분석을 하는 신호 탐지 단말을 이용하여, 현재 방사되고 있는 신호들을 실시간 탐지하고, 사용이 허가된 인가 통신 신호와 출처가 불분명한 비인가 통신 신호를 구분하며, 비인가 신호 중 차단이 필요한 위협 통신 신호를 분석하고, 사전 정의 된 정책에 따라 재밍 단말에 재밍 명령을 전달하여 재밍 단말이 최적화된 재밍 신호를 만드는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고도화는 원하지 않는 통신을 통한 정보 누설의 폐혜를야기할 수 있다. 즉,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불법 도청장치를 몰래 사용하거나, 비공개 회의에서 휴대 전화기를 통해 회의 내용을 누설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정보가 누설되기도 한다. 특히,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주파수 대역의 비인가 신호를 사용하는 불법 도청 장치는 정보 보호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가 사용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휴대 전화기와 같은 통신장치가 사용하는 허가된 주파수 대역에 근접하는 경우 정밀한 신호의 탐지 및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비인가 위협 신호의 존재 여부를 알아내기 힘들다. 정보를 누설하는 방식이 기술적으로 점점 고도화되어 가며, 이와 같이 정교해진 도구를 활용한 정보 누설은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회사 혹은 국가의 주요 기밀의 누출, 경우에 따라서는 중요 비밀 회의의 대화 내역누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피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출처가 불분명한 주파수 대역의 비인가 신호는 잠재적으로 정보를 누설할 가능성이 있는 위협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 비인가 위협 신호에 대한 재밍을 수행하는 장치는 정보 누출의 폐해를 예방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재밍기술 자체는 통신망 보호와 상충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국가별로 허용여부가 다른 매우 민감한 기술이다. 즉, 특정 국가에서는 합법적인 범위의 신호 전력이 다른 국가에서는 불법적인 신호 생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한적으로 재밍 신호가 허용된 국가가 있기도 하지만, 원천적으로 금지된 국가도 있다. 이는 자국의 통신망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일 뿐만 아니라, 국가의 통신망에 대한 통제권과 관련된 매우 민감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재밍 기술은 군사적, 보안적 목적으로 다양한 방식의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대부분의 기술은 신호 수신단말이 측정한 통신신호 혹은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어 있는 통신신호에 대해 동일한 주파수의 백색 가우시안 잡음(White Gaussian Noise) 신호 또는 지속파 등을 만들어 송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재밍이 필요한 위협 신호의 출현 유무를 확인하는지 여부, 출현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송출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지 여부 등의 다양한 변종 기술들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재밍 장치들은 군용 목적으로 개발되어진 것들이 많으며, 상용으로 개발된 장치들은 국가의 엄격한 규제에 따라 판매 여부가 결정이 되는 상황이다. 특히, 군용 목적의 재밍 장치들은 고출력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환경에서 사용시 매우 폭넓은 신호 불통 지역의 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줄 수 있다. 기존 재밍 장치들은 신호 분석기능이 없이 특정 대상 주파수를 맞추어 지속적으로 재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개발되어 왔다. 군용 재밍 장치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이 방식은 고출력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장비들이 대부분으로 지나치게 크고 무거운 장치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상용 휴대 전화망을 대상으로 해당 신호대역에 대해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장비도 있다. 이 방식의 재밍장치들은 작고 가볍지만 범용성이 떨어지는 용도의 한계를 가진 장치 형태로 개발되어왔다.
수신 신호와 재밍 신호의 전력비를 맞추는 적응형 재밍장치도 개발되었다. 적응형 재밍장치를 적용한 특허 제 0214818호의 경우, 수신 신호와 재밍 신호의 전력비를 재밍신호 발생과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이 방식은 재밍신호에 의한 신호분석부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거나, 신호 감쇄 등의 추가적인 안전성 보장 기술이 필요하며, 같은 수신 대역 신호에 대해 상황과 시점에 따라 재밍 여부를 결정하는 지능형 도구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재밍 제어방법을 정의한 특허 제 0061434호의 경우 재밍 기법 수행시간을 짧게 하면서 빠른 응답속도를 얻기 위한 재밍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사전에 재밍 기법을 정의하고 해당 기법의 라이브러리를 만들어 둔 후, 재밍 기법을 적용하는 시간을 인터럽트 혹은 내부 시스템 시간에 따라 설정하여 재밍 시간인 경우에만 미리 정의한 재밍 기법 및 라이브러리를 통해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과정에 관한 것으로, 재밍 기법 적용을 위한 변수가 바뀌지 않을 때는 적용 시간에만 즉시 해당 기법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이 가능하나, 변수가 바뀔 때는 매번 해당 기법의 라이브러리를 재작성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허가 제안하는 빠른 응답 속도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고도화되는 도청장치와 같은 통신장치가 사용하는 인가 주파수 대역에 근접한 위협 신호 대해 재밍신호를 방사하는 경우, 인가된 주파수 채널의 신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에 대한 고려가 없다. 또한 회의시간과 같은 특정 시점에만 발생하는 불법 신호에 대한 실시간 탐지 후 재밍과 같은 제어방식은 제안된 바 없다.
본 발명은 광대역 신호에 대한 지능형 재밍 제어를 통하여 비인가 위협신호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탐지된 이상 신호에 대한 맞춤형 제어를 통하여, 재밍 신호 주변의 통신 신호에 대한 간섭을 제거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호 탐지 단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상에 재밍 단말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내 어디에서나 제어가 가능한 재밍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탐지 신호 재밍 여부의 제어가 자유롭고, 필요 및 용도에 따라 지능적으로 재밍 신호를 제어하는 재밍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는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분석하여 인가되지 않은 위협신호로 판단되면,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 탐지 단말; 및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재밍 신호를 생성 및 방사하는 것을 제어하는 재밍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탐지 단말과 상기 재밍 단말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네트워크 상에서 제어된다.
이 때,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은,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탐지 신호 저장부; 사용이 허가된 인가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와 상기 인가 신호를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비인가 신호의 재밍 수행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정책 편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는 지역에 따라 구분된 신호 주파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는,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 중 상기 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여, 재밍 여부의 결정 대상인 비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책 편집기는, 상기 비인가 신호 중 위협 신호로 판단되는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협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재밍 신호의 최소 방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재밍 여부와 관련된 정책을 저장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책 편집기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특정 송신 채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수신 채널에 대한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반대로 수신 채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송신 채널에 대한 재밍 신호를 방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협 신호의 규격 정보는 실시간으로 탐지된 위협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전력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서, 위협 신호의 제원을 규정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는 상기 재밍 단말이 생성해야 하는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상대 전력 세기, 재밍 시간 정보, 재밍 지속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서, 재밍 신호의 제원을 규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 중 상대 전력 세기는 JSR(Jammer to Signal Ratio) 신호 이득을 반영한 상대 전력 세기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시간 정보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신호 검출 주기에 대응하여, 재밍 단말이 방사하는 재밍 신호가 신호 탐지 단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재밍 신호 방사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단말은, 재밍 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는 상기 신호 탐지단말로부터 수신한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로부터 수신한 재밍 명령에 대응하여 재밍 신호의 규격을 추가하고, 재밍 시간이 초과된 재밍 신호의 규격은 제거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재밍 신호의 현황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단말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신호 검출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전에 강제적으로 재밍 방사를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재밍 종료 설정이 지원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단말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신호 검출과 무관하게 작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검출하지 않은 신호 대역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방사를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단말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구성하는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제밍 명령을 네트워크 상에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상기 재밍 단말 없이 독립적으로 신호 검출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재밍 명령을 사전에 전달받은 상기 재밍 단말이 상기 신호 탐지 단말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독립적으로 동작을 수행 하고 있는 상기 재밍 단말이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구현한 네트워크에 접근하면 해당 네트워크에 가입 후 상기 신호 탐지 단말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은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를 탐지 신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신호의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책 편집기를 기반으로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의 재밍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재밍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 받은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재밍 신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재밍 신호의 생성 및 방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재밍 신호의 생성 및 방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의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하는 단계가 진행되기 전에 재밍 방사를 멈출 수 있는 재밍 종료 설정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신호의 생성 및 방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의 신호 검출과 무관하게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하지 않은 신호 대역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방사를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대역 신호에 대한 지능형 재밍 제어를 통하여 비인가 위협신호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탐지된 이상 신호에 대한 맞춤형 제어가 가능하여, 재밍 신호 주변의 통신 신호에 대한 간섭을 제거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신호 탐지 단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상에 재밍 단말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내 어디에서나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탐지 신호 재밍 여부의 제어가 자유롭고, 필요 및 용도에 따라 지능적으로 재밍 신호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에서 신호 탐지 단말과 재밍 단말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100)는 신호 탐지 단말(110)과 재밍 단말(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과 상기 재밍 단말(120)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은 네트워크(130)를 구성하여 상기 재밍 단말(120)을 관리한다. 이 때,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과 상기 재밍 단말(120)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네트워크(130) 상에서 연계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독립적인 동작과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은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분석하여 인가되지 않은 위협 신호로 판단되면,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재밍 단말(120)에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은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탐지 신호 저장부(111), 사용이 허가된 인가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와 상기 인가 신호를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인가 주파수 데이터 베이스(112), 및 상기 비인가 신호의 재밍 수행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정책 편집기(1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111)는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란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탐지된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전력 세기 등 신호의 제원을 규정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이 때,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111)는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의 규격 정보 중 상기 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여, 재밍 여부의 결정 대상인 비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만을 저장한다. 즉, 검출된 모든 신호의 규격 정보는 탐지 신호 저장부(111)에 일괄적으로 저장되지만, 재밍 여부를 결정하는 대상이 되는 신호는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이기 때문에 하기 설명할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12)를 참조하여 비인가 신호와 인가 신호를 구별 하여야 하며, 이 때, 탐지 신호 저장부(111)에 저장된 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는 삭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12)는 사용이 허가된 인가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와 상기 인가 신호를 구별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어 재밍 실행 결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비인가 신호 중에 위협 신호로 판단되는 신호가 재밍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즉, 인가 신호와 비인가 신호를 먼저 구별하고, 하기 설명할 정책 편집기(113)의 정책을 통하여, 비인가 신호 중에 위협 신호를 정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인가 신호와 비인가 신호는 지역에 따라 허용여부가 다르므로 특정 지역에서의 인가 신호가 다른 지역에서의 비인가 신호가 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12)는 지역에 따라 구분된 신호 주파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정책 편집기(113)는 비인가 신호의 재밍 수행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의 구성이다. 상기 정책 편집기(113)는 상기 비인가 신호 중 위협 신호로 판단되는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협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재밍 신호의 최소 방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재밍 여부와 관련된 정책을 저장하거나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위협 신호란 비인가 신호 중 사용자가 정의한 정책 등을 기반으로 하여 재밍이 필요한 신호를 의미한다. 상기 위협 신호의 규격 정보는 실시간으로 탐지된 상기 위협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전력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위협 신호의 제원을 규정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는 상기 재밍 단말이 생성해야 하는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상대 전력 세기, 재밍 시간 정보, 재밍 지속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서, 재밍 신호의 제원을 규정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 중 상대 전력 세기는, JSR(Jammer to Signal Ratio) 신호 이득을 반영한 상대 전력세기 이다. 즉,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130)에 저장된 신호의 종류 및 세기 정보에 따라 정책 편집기(110)에 사전 정의된 이득차 정보만큼 증폭된 크기로 조절되며, 사전 정의된 이득차 정보는 JSR에 따른 이득차만큼 원 신호에서 증폭시키는 재밍 방사 전력 세기로 정의하거나, 사용자가 정책적으로 정의하는 정보이다. 상기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 중 재밍 시간 정보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100)의 탐지 결과, 해당 위협 신호의 재밍을 위해 필요로 하는 최소 시간으로 정의되며, 사용자의 정책에 따라 수정될 수도 있다. 이 수행 시간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의 신호 검출 주기에 대응하여, 재밍 단말(120)이 방사하는 재밍 신호가 신호 탐지 단말(11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재밍 신호 방사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재밍 단말(120)이 방사하는 고출력 재밍 신호가 신호 분석 단말(110)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신호 탐지 단말(110)이 재밍 명령을 보낸 시점부터 신호 탐지 단말(110)이 해당 재밍 대역의 신호 분석 동작을 수행하기 바로 직전까지 재밍 신호 방사를 수행하도록 시간 설정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위협 신호의 변화 감지가 가능하여, 재밍 신호의 재방사 여부의 설정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재밍 여부에 대한 명령은 재밍 수행 시간의 제어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 시점부터 재밍을 시작 혹은 종료시킬 수 있다. 이는 매우 빠른 신호 탐색 및 분석이 수행되어 시간에 따른 재밍 수행 설정이 비효율적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회의 시간과 같이 정해진 장시간의 재밍 신호 방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호 탐지 단말(110)의 신호 분석 결과와 관계없이 정책 편집기(113)의 정책 설정만으로 특정 대역의 재밍 신호를 생성 및 방사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 기능을 통해 재밍 단말(120)의 재밍 신호 방사 동작을 사용자가 임의로 멈추게 하는 설정 역시 가능하다.
또한, 송신 채널과 수신 채널이 독립적으로 구성된 비인가 통신 신호 방식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하여, 상기 정책 편집기(113)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특정 송신 채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수신 채널에 대한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반대로 수신 채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있어서 송신 채널에 대한 재밍 신호를 방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불필요한 주파수 영역까지 재밍 신호의 영향을 받지 않게 제어 할 수 있으며, 통신 채널을 열기 위한 동작만 재밍 신호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재밍이 필요한 신호가 인가된 통신 주파수와 근접한 경우, 즉 인가된 통신 주파수와 매우 근접하거나 조금 낮거나 높은 영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인가된 통신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처럼 왜곡하는 신호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도 가능한데 이는, 재밍이 필요한 신호와 인가된 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신호 탐지 단말(110)의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112)를 통해 구분한 후 인가된 주파수 영역을 제외한 신호 영역에 대한 재밍 신호 규격을 재밍 단말(120)에 전달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 후 방사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처럼, 신호 탐지 단말(110)의 구성인 정책 편집기(113)을 통해, 신호 탐지 단말(110)의 탐지 신호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 시점에 재밍 신호를 생성하여 대응할 수 있고, 해당 정책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정책의 재밍 신호 생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신호 탐지 단말(110)에서 확인한 비인가 위협 신호에 대한 실시간 재밍신호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탐지 신호 재밍 여부의 제어가 자유롭고, 필요 및 용도에 따라 지능적으로 재밍 신호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재밍 단말(120)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이 구성하는 네트워크에참여하여,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이 전송한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수신한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재밍 신호 저장부(121)로 관리하며,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121)의 신호 제원에 맞춰 재밍 신호를 만들어 낸 후,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121)의 재밍 시간 정보에 맞춰 방사 시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121)의 재밍 수행 가부 정보에 맞춰 재밍 방사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재밍 단말(120)에서 생성된 재밍 신호의 특징은 신호 탐지 단말(110)의 정밀한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확인된 재밍이 필요한 비인가 위협 신호의 신호 규격에 대응하는 중심주파수, 대역폭, 주파수 분해도, JSR에 따른 신호이득이 반영된 재밍 전력 세기를 가진다. 상기 재밍 단말(120)은 재밍 신호 저장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121)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121)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재밍 명령에 대응하여 재밍 신호의 규격을 추가하고, 재밍 시간이 초과된 재밍 신호의 규격은 제거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재밍 신호의 현황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재밍 단말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의 신호 검출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이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전에 강제적으로 재밍 방사를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재밍 종료 설정이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밍 단말(120)에 의해 방사되는 재밍 신호의 재밍 방사 제어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의 신호 분석 주기에 맞춰 상기 위협 신호 제원에 대한 신호 분석 동작 직전에 강제적으로 재밍 방사를 멈출 수 있는 재밍 종료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재밍 단말(120)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의 신호 검출과 무관하게 작동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호 탐지 단말(110)이 검출하지 않은 신호 대역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재밍 신호의 방사를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에서 신호 탐지 단말과 재밍 단말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에서 신호 탐지 단말과 재밍 단말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100)에서 신호 탐지 단말(110)이 구현하는 네트워크(130)에 재밍 단말(120)이 연계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은 상기 재밍 단말(120) 없이 독립적으로 신호 검출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밍 단말 역시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과 네트워크 상에서 분리되어도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신호 탐지 단말(110)의 정책 편집기(113)을 통하여 독립 동작 시 발생시키는 재밍 신호를 사전에 재밍 단말(120)에 저장 시켜 둔 경우에 해당한다.
이 때, 독립적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기 재밍 단말(120)이 상기 신호 탐지 단말(110)이 구현하는 네트워크에 다시 접근하게 되면 해당 네트워크에 가입하고, 상기 신호 탐지 단말과(110) 연계되어 동작을 수행한다.
위와 같이 서로 기능이 분리된 네트워크 장치로 구성된 신호 탐지 단말(110) 및 재밍 단말(120)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른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며, 장치 추가 및 기능 확장 등의 제어가 네트워크 상에서 쉽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은,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S110)에서, 실시간으로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검출한다. 이후, 검출된 모든 신호의 규격 정보를 탐지 신호 저장부에 저장한다(S120). 그 후, 인가 주파수 데이터 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저장된 신호의 허가 여부를 판단하여, 허가된 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는 삭제한다(S130). 그리고,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 중에서 정책 편집기의 정책을 기반으로 하여 위협 신호 여부를 판단하여 재밍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S140). 상기 S140 단계에서 재밍 수행 여부를 결정이 되면, 재밍 명령과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재밍 단말에 전송한다(S150). 상기 재밍 명령과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전송 받은 재밍 단말은 상기 재밍 명령과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재밍 신호 저장부에 저장하고(S160),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하고 방사한다(S170).
이 때,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하고 방사하는 단계(S170)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S110)의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하는 단계(S110)가 진행되기 전에 재밍 방사를 멈출 수 있는 재밍 종료 설정이 가능하며, 상기 검출하는 단계(S110)에서 검출하지 않은 신호 대역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방사를 종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10; 신호 탐지 단말
111; 탐지 신호 저장부
112; 인가 주파수 데이터 베이스
113; 정책 편집기
120; 재밍 단말
121; 재밍 신호 저장부
130; Network Connection

Claims (20)

  1.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분석하여 인가되지 않은 위협신호로 판단되면,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 탐지 단말; 및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재밍 신호를 생성 및 방사하는 것을 제어하는 재밍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탐지 단말과 상기 재밍 단말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며,네트워크 상에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은,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탐지 신호 저장부;
    사용이 허가된 인가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와 상기 인가 신호를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비인가 신호의 재밍 수행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정책 편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는 지역에 따라 구분된 신호 주파수 정보가 저장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는,
    상기 탐지 신호 저장부에 저장된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 중 상기 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를 자동으로 삭제하여, 재밍 여부의 결정 대상인 비인가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책 편집기는,
    상기 비인가 신호 중 위협 신호로 판단되는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협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재밍 신호의 최소 방사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재밍 여부와 관련된 정책을 저장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책 편집기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특정 송신 채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수신 채널에 대한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반대로 수신 채널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송신 채널에 대한 재밍 신호를 방사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협 신호의 규격 정보는 실시간으로 탐지된 위협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전력 세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서, 위협 신호의 제원을 규정할 수 있는 정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는 상기 재밍 단말이 생성해야 하는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 대역폭, 상대 전력 세기, 재밍 시간 정보, 재밍 지속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것으로서, 재밍 신호의 제원을 규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 중 상대 전력 세기는,
    JSR(Jammer to Signal Ratio) 신호 이득을 반영한 상대 전력 세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시간 정보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신호 검출 주기에 대응하여, 재밍 단말이 방사하는 재밍 신호가 신호 탐지 단말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재밍 신호 방사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밍 단말은,
    재밍 신호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는 상기 신호 탐지단말로부터 수신한 재밍 신호의 규격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 저장부는,
    상기 신호 탐지 단말로부터 수신한 재밍 명령에 대응하여 재밍 신호의 규격을 추가하고, 재밍 시간이 초과된 재밍 신호의 규격은 제거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재밍 신호의 현황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밍 단말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신호 검출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신호 검출을 수행하기 전에 강제적으로 재밍 방사를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재밍 종료 설정이 지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밍 단말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신호 검출과 무관하게 작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검출하지 않은 신호 대역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방사를 종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밍 단말은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구성하는 네트워크에 참여하여,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제밍 명령을 네트워크 상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상기 재밍 단말 없이 독립적으로 신호 검출 및 분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의 재밍 명령을 사전에 전달받은 상기 재밍 단말이 상기 신호 탐지 단말 없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기 재밍 단말이 상기 신호 탐지 단말이 구현한 네트워크에 접근하면 해당 네트워크에 가입 후 상기 신호 탐지 단말과 연계되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18. 광대역 주파수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신호의 규격 정보를 탐지 신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인가 주파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신호의 허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정책 편집기를 기반으로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비인가 신호의 재밍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재밍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전송 받은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재밍 신호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밍 명령 및 재밍 신호 규격 정보를 기반으로 재밍 신호의 생성 및 방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의 생성 및 방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의 주기에 대응하여, 상기 검출하는 단계가 진행되기 전에 재밍 방사를 멈출 수 있는 재밍 종료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의 생성 및 방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의 신호 검출과 무관하게 진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하지 않은 신호 대역에 대하여 재밍 신호를 방사하거나 방사를 종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방법.
KR1020130021268A 2012-05-22 2013-02-27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3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96,467 US9264174B2 (en) 2012-05-22 2013-05-17 Wideband intelligent jamm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91 2012-05-22
KR20120053991 2012-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623A true KR20130130623A (ko) 2013-12-02
KR101403020B1 KR101403020B1 (ko) 2014-06-03

Family

ID=4998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268A KR101403020B1 (ko) 2012-05-22 2013-02-27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2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283B1 (ko) * 2016-01-28 2016-07-2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위협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50879B1 (ko) * 2015-08-28 2016-08-24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전자전 장비의 수신 장치 점검 시스템
KR101682090B1 (ko) * 2016-01-28 2016-12-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137905A (ko) * 2019-05-29 2020-12-09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2195235B1 (ko) * 2019-06-17 2020-12-24 주식회사 아이솔루션 스마트 잼머
KR102339826B1 (ko) * 2021-08-26 2021-12-16 한화시스템(주) 폐쇄망 환경에서의 무선통신을 통한 사이버 공격 탐지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688B1 (ko) 2018-11-02 2020-08-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협력 재밍과 스푸핑을 이용한 무선 통신 채널 감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818Y1 (ko) 1998-12-31 2001-03-02 서평원 적응형 광대역과 부분대역 재밍 신호 발생기
KR101076034B1 (ko) * 2009-10-16 2011-10-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밍을 이용하여 통신 영역을 제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106102B1 (ko) * 2010-03-22 2012-01-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망을 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3935B1 (ko) * 2011-07-19 2012-08-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신호 재밍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879B1 (ko) * 2015-08-28 2016-08-24 한화탈레스 주식회사 전자전 장비의 수신 장치 점검 시스템
KR101643283B1 (ko) * 2016-01-28 2016-07-2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위협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2090B1 (ko) * 2016-01-28 2016-12-0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137905A (ko) * 2019-05-29 2020-12-09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2195235B1 (ko) * 2019-06-17 2020-12-24 주식회사 아이솔루션 스마트 잼머
KR102339826B1 (ko) * 2021-08-26 2021-12-16 한화시스템(주) 폐쇄망 환경에서의 무선통신을 통한 사이버 공격 탐지 및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020B1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020B1 (ko) 광대역 지능형 재밍 제어 장치 및 방법
US9264174B2 (en) Wideband intelligent jamm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11805378B2 (en) Privacy device for smart speakers
WO2017106862A1 (en) Enpoint security appliance/sensor platform
CN105024998A (zh) 无线设备监测系统和监测设备以及关联的方法
Chen et al. Interference modeling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with power or contention control
Holcomb et al. Recent security issues on cognitive radio networks: A survey
US83858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EMI susceptibility testing
Ranjeeth et al. Performance of fading channels on energy detection based spectrum sensing
Newman et al. Case study: Security analysis of a dynamic spectrum access radio system
US20170244511A1 (en) Blocking jamming signals intended to disrupt communications
CN113613962B (zh) 一种保护车辆电子控制系统免受黑客攻击的系统和方法
Hangargi Denial of Service Attacks in Wireless Networks
KR102217757B1 (ko) 재밍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WO2018205060A1 (zh) 一种伪基站判断方法和系统
Anthi et al. Investigating Radio Frequency Vulnerabilities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RU2283540C2 (ru) Способ радиоэлектронного подавления сигналов радиолиний управления минно-взрыв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Mamayunusov VULNERABILITY ANALYSIS OF THE UAVS DURING GPS SPOOFING
van de Beek Vulnerability analysis of the wireless infrastructure to intentional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Joseph et al. Smart Closed-Loop Jamming System
Li et al. Privacy Threats of Acoustic Covert Communication among Smart Mobile Devices
RU23131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компьютера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внедрения программных модулей и съема информации, передаваемой по радиоинтерфейсам и другим радиочастотным каналам
KR20090059882A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간섭영향 평가 장치
JP2020007774A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車両側装置、携帯側装置、車両用認証方法、及び車両用認証プログラム
Čapkun Physical Layer & Telecommunications Security Knowledge Area 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