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851B1 -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851B1
KR102100851B1 KR1020180088720A KR20180088720A KR102100851B1 KR 102100851 B1 KR102100851 B1 KR 102100851B1 KR 1020180088720 A KR1020180088720 A KR 1020180088720A KR 20180088720 A KR20180088720 A KR 20180088720A KR 102100851 B1 KR102100851 B1 KR 10210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mming
signal
radar
electromagnetic wave
jamm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3479A (ko
Inventor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8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8Jamming means, e.g. producing false echo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21Auxiliary means for detecting or identifying radar signals or the like, e.g. radar jamm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자전에서 수신되는 다양한 위협신호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재밍기법을 사용하여 전자공격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재밍기법을 유형화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임의의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기록된 전자피가 신호와 비교하여 레이다를 식별하는 레이다 식별부, 식별된 레이다에서 송신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대해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식별된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재밍신호 생성부 및 식별된 레이다로 생성된 재밍신호를 방사하는 재밍신호 방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JAMMING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전(electronic warfare, EW)은 상대방의 전자기 스펙트럼 또는 지향성 에너지 무기를 제어하여 공격하거나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전자전의 목적은 상대의 장점은 무력화하고 자신은 방해받지 않으면서 전자기 스펙트럼을 보장하는 것이다.
전자전은 하늘, 바다, 육지, 우주에서도 적용되며 레이다나 통신 또는 다른 체제가 목표가 될 수 있다. 전자전은 전자공격(EA), 전자보호(EP), 전자지원(ES) 3가지로 세분화할 수 있다.
전자공격(Electronic Attack; EA)은 레이다, 적외선 센서 가릴 것 없이 적의 센서를 교란시키는 모든 수단을 나타내는 전자방해책(Electronic Counter Measure, ECM)의 사용과 관련하여 전자기 에너지에 직접 영향을 미칠 의도로 인력, 시설, 또는 장비를 공격하여 전자기 방사 무기를 무력화하여 전투 능력을 파괴하는 것을 말한다. 전자공격의 예로써 통신방해, 레이다 교란, 지향성에너지 무기/레이저 공격, 소모성 유인체(플래어 및 채프) 및 무선·원격조종 급조폭발물(RCIED)등이 있다.
전자보호(Electronic Protection; EP)는 상대의 전자 공격(EA) 활동에서 자기편의 부대, 장비, 작전 목적을 보호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전자보호는 자기편의 전자공격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전자지원(Electronic Support; ES)은 자신의 전자기 스펙트럼 차단하고 상대의 전자기 스펙트럼 에너지를 수집, 도청, 분석하여 위협을 인식하고 전자전 활동(위협회피, 추적 등)을 지원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종래에는 위협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수신신호를 라이브러리 테이블과 비교하고, 위협신호로 식별하는 경우 위협신호를 방사하는 지점으로 전자공격을 실시하는데, 이때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지정된 재밍기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지정된 재밍기법을 사용하여 전자공격을 하는 경우 적절한 재밍기법을 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변수 또한 많이 존재하므로 전자공격을 시도하여도 효과가 없거나 효과가 미비하여 여전히 상대 적군 측에서 위협신호를 계속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위협신호를 방사하는 상대 레이다가 위치하는 지점으로 전자공격을 실시하여도 상대 레이다에 대한 전자공격의 효과 여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754708호 (공고)
본 발명은 전자전에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다양한 위협신호들에 따른 적절한 재밍기법을 사용하여 전자공격을 실시할 수 있도록 수신된 신호가 위협신호인지 식별하고, 식별된 위협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를 향해 전자공격을 실시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재밍결과에 따라 재밍신호를 변경하여, 변경된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는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재밍기법을 유형화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는 저장부;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레이다를 식별하는 레이다 식별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재밍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하는 재밍신호 방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분석하여 재밍기법 및 상기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를 유형화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제2 레이다에서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다는 상기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제2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 형태가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제2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간격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제2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폭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레이다일 수 있다.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제2 레이다에서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에 대한 재밍기법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에 대한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에 사용하였던 제1 재밍기법에 따른 제1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면서 나타난 재밍결과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재밍기법은 상기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가 허위 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에서의 허위 표적간 간격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이고, 상기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포착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면서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훅 펄스 개수가 일치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일 수 있다.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재밍신호 방사부가 상기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여도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밍신호가 허위 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는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허위 표적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및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잡음 대역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변경한 재밍신호이고, 상기 재밍신호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는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포착 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설정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서 송신되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신호의 펄스로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미리 설정된 끌림 속도 만큼 시간차이를 두면서 생성되는 펄스인 끌림 펄스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끌림속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축소하는 조건 및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변경한 재밍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방법은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재밍기법을 유형화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과 상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레이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분석하여 재밍기법 및 상기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를 유형화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여도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상황에서도 선택적으로 재밍기법을 사용하여 전자공격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효과가 미비할 경우 자동적으로 재밍기법에 설정된 재밍신호의 기법변수를 조절하여 재밍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공격 훈련 결과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추후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전에서 재밍신호 생성장치를 이용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가 전자기파를 전송할 때의 신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가 전자기파를 전송할 때의 신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 및 재밍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구조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전에서 재밍신호 생성장치를 이용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전자전이 발생하는 지역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재밍신호 생성장치 (100)는 컴퓨팅 연산 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컴퓨팅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와, 메모리, 스토리지 등의 저장매체를 구비하며, 입출력을 위한 I/O 장치, 화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다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와 네트워크 통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 및 전자전 상황에서 무작위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재밍신호 생성장치 (100) 중 일부는 서버로 동작하고, 나머지는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재밍신호 생성장치 (100)는 상호 간의 연결을 통해 서로 라이브러리를 포함한 다양한 전시상황에서 재밍신호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재밍신호 생성은 재밍신호 생성장치(100)가 스탠드 얼론(stand-alone) 기기이고, 하나의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클라이언트/서버 방식 혹은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위협신호 식별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며,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컴퓨팅 연산은 서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신호수신은 클라이언트에서 이루어지고, 재밍신호 생성을 위한 컴퓨팅 연산은 서버에서 이루어지며, 재밍신호 생성결과 및 생성된 재밍신호에 따른 재밍효과는 클라이언트들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면,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재밍신호는 적 레이더 또는 무기체계의 사용을 거부하기 위해 방사하는 10cm~100cm 파장을 가지는 극초단파인 마이크로파 정도의 모든 전자기파 신호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신호 수신부(110), 레이다 식별부(120), 재밍신호 생성부(130), 재밍신호 방사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비행체, 미사일 및 선박 등에 탑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재밍신호는 10cm~100cm 파장을 가지는 극초단파인 마이크로파 정도의 전자기파 신호일 수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제1 레이다(200)가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전자전 상황에서 무작위로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레이다 식별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10)는 레이다의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파는 기본적으로 변화하는 전계와 자계의 파동으로, 신호 수신부(110)에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신호 수신부(110)가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 수신부(110)를 포함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로부터 유기 기전력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이다는 10cm~100cm 파장을 가지는 극초단파인 마이크로파 정도의 전자기파를 대상물을 향해서 발사하여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인 에코(echo)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물까지의 거리나 형상을 측정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레이다(200)는 관제센터, 비행체 및 선박 등에 탑재된 레이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레이다(200)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고, 송신된 전자기파 신호가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에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대상물의 거리나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로부터 반사된 에코 신호를 제1 레이다(200)가 수신하는 경우 제1 레이다(200)와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로부터 반사된 에코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레이다(200)는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의 형상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에 포함된 신호 수신부(110)는 제1 레이다(200)가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에 따른 적합한 재밍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재밍신호를 제1 레이다(200)를 향해 방사함으로써 제1 레이다(200)가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의 형상 및 위치를 측정할 수 없게 방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수신부(110)는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의 분석을 정확히 하기 위해 신호 수신부(110)는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100a)를 펄스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변환된 펄스 신호의 주파수 형태, 최대 주파수, 최소 주파수, 최소 펄스 간격, 최대 펄스 간격, 펄스 간격 형태, 펄스 형태 하한, 펄스 상태 상한, 최소 펄스폭, 최대 펄스폭, 펄스 형태, 펄스 형태에 따른 지터 범위 또는 스태거 단수, 스캔 형태 및 스캔 주기 등과 같은 항목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재밍기법을 유형화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50)는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아군이 전자전에서 특정 위협신호들을 수신한 경험이 없더라도 아군이 전자전에서 수신할 가능성이 있는 위협신호를 미리 예측하고, 예측되는 위협신호의 각 항목별로 위협신호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치에 해당하는 변수들, 예측되는 위협신호에 대응하기 위한 재밍기법 및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법변수를 설정하여 구성된 테이블을 나타낸다.
레이다 식별부(120)는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100a)를 비교하여 제1 레이다(200)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 식별부(120)는 신호 수신부(110)가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분석하여 추출한 모든 항목의 분석 값과 상술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대응하는 항목에 대해 미리 저장된 특정치인 변수 값들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레이다 식별부(120)는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는 위협신호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1 레이다(200)를 위협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로 식별할 수 있다.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 항목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펄스 신호의 주파수 형태, 최대 주파수, 최소 주파수, 최소 펄스 간격, 최대 펄스 간격, 펄스 간격 형태, 펄스 형태 하한, 펄스 상태 상한, 최소 펄스폭, 최대 펄스폭, 펄스 형태, 펄스 형태에 따른 지터 범위 또는 스태거 단수, 스캔 형태 및 스캔 주기 등과 같은 항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측되는 위협신호에 대응하기 위한 재밍기법 및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법변수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레이다 식별부(120)에서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선택적으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분석하여 재밍기법 및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를 유형화한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50)는 미리 설정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날짜에 해당하는 시간,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면서 레이다에서 나타난 재밍효과 및 사용된 레이다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변수 값들이 저장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미리 설정된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각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신호를 특정하는 특정치인 변수들, 예측한 전자기파 신호에 대응하기 위한 재밍기법 및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법변수가 저장되어 있다.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100a)와 동일한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이 저장된 경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로부터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100a)와 동일한 전자기파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을 분석하여, 분석된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100a)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이 저장되지 않는 경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각 항목별로 예측되는 위협신호를 특정하기 위한 변수들과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분석하여 추출한 각 항목에 대한 분석 값을 비교하여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 각 항목별로 동일한 값을 가지는 전자기파 신호를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서 추출하여, 추출된 신호에 대해 저장된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이 저장된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사용하면서 발생된 재밍기법 평가 결과에 따라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과거에 아군 훈련 중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100a)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신호를 사용하면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는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저장되고, 재밍기법 평가 결과는 식별된 제1 레이다(200)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서 대상물을 향해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여도 대상물을 식별할 수 없었던 기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7 보다 작은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는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100a)와 주파수 형태가 일치하는 조건,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신호(100a)와의 펄스간격 간 오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 및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신호(100a)와의 펄스폭 간 오차가 미리 설정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레이다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a 및 도 8b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제2 레이다에서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제2 레이다에 송신하면서 제2 레이다에서 발생된 재밍기법 평가 결과에 따라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레이다에서 발생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7보다 작은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각 항목별로 미리 설정된 전자기파 신호를 특정하는 변수에 해당하는 값과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신호를 분석한 분석 값을 비교하여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서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신호(100a)와 동일한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송신할 제1 재밍신호가 설정된 제1 재밍기법이 과거에 사용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출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방사할 제1 재밍신호가 설정된 제1 재밍기법이 과거에 사용되지 않은 재밍기법에 해당하면,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재밍기법이 과거에 사용된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추출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한 레이다에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를 방사함에 따라 발생된 재밍결과 여부에 따라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결과가 발생한 경우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반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결과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가 허위 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에 해당하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은 제1 재밍신호와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제2 재밍신호에서의 허위 표적 간 간격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을 나타낸다.
또한,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가 레이다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은 제1 재밍신호와 제2 재밍신호의 포착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제1 재밍신호와 제2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제1 재밍신호와 제2 재밍신호의 훅 펄스 개수가 일치하는 조건 및 제1 재밍신호와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전시에 전자공격 시, 재밍결과가 가장 높은 기법을 추출할 수 있으며, 반대로 효과가 미비한 재밍기법을 선택 시, 재밍결과가 높은 재밍기법으로 자동 전환하여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재밍신호 방사부(140)는 재밍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재밍신호(100b)를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신호 방사부(140)가 재밍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재밍신호(100b)를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하여도 신호 수신부(110)가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계속적으로 전자기파 신호(100a)를 수신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생성된 재밍신호(100b)의 기법변수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된 기법변수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재밍신호 방사부(140)는 기법변수가 조절된 재밍신호를 다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가 허위 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된 재밍신호의 경우, 기법변수를 조절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재밍신호(100b)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재밍신호(100b)의 허위 표적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및 재밍신호(100b)의 잡음 대역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조건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가 레이다에서 송신되는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의 경우, 기법변수를 조절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하는 전자기파 신호(100a)를 포착하는 시간인 포착 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설정하는 조건,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하는 전자기파 신호(100a)를 지연시키는 최대 지연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재밍신호(100b)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재밍신호(100b)의 끌림 펄스 개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및 재밍신호(100b)의 끌림속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축소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낸다.
상술한 기법변수를 조절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에 포함된 저장부(150)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한 재밍신호(100b) 및 재밍신호(100b)에 따른 재밍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운용자가 전자공격을 실시하면 상대 레이다에서 발생된 재밍결과를 저장하여 향후에 동일 혹은 유사 레이다의 전자공격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아군이 전자전에서 특정 위협신호들을 수신한 경험이 없더라도 아군이 전자전에서 수신할 가능성이 있는 위협신호를 예측하여 구성된 테이블로, 각각의 위협신호에 관하여 레이다를 식별하였으며, 식별된 레이다에 따른 재밍기법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의의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를 식별하고, 식별된 레이다에 방사하기 위한 재밍신호가 설정된 재밍기법을 사용하기 위하여,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의 각 항목들은 펄스 신호의 주파수 형태, 최대 주파수, 최소 주파수, 최소 펄스 간격, 최대 펄스 간격, 펄스 간격 형태, 펄스 형태 하한, 펄스 상태 상한, 최소 펄스폭, 최대 펄스폭, 펄스 형태, 펄스 형태에 따른 지터 범위 또는 스태거 단수, 스캔 형태 및 스캔 주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항목이 더 추가될 수 있고, 또한 신호 식별이 가능하면 항목이 더 삭제될 수도 있다.
상술한 각 항목들에 대하여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단위 시간 동안 진동을 한 횟수를 나타내며, 주파수 형태는 (a) 주파수가 일정한 형태의 고정형, (b) 펄스 내에서 주파수 형태가 반복되는 시간이 짧아지면서 주파수가 증가하는 형태의 chirp up형, (c) 펄스 내에서 주파수 형태가 반복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주파수가 감소하는 형태의 chirp down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주파수 패턴 타입은 주파수 신호의 파형을 사인형, 포지티브 톱니형 및 네거티브 톱니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파수 스위칭 레벨이란 다중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변조방법인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에 설정된 일정한 스위칭 레벨을 나타낸다. 레벨의 개수는 시스템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핑 레벨이 3이면 1단은 60MHz, 2단은 80 MHz, 3단은 90 MHz와 같이 설정될 수 있는데, 레이다는 전자기파를 전송할 때 이와 같이 설정된 3단을 정해진 방식으로 변경하면서 전자기파를 전송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가 전자기파를 전송할 때의 신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이다가 전자기파를 전송할 때 신호의 형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레이다는 전자기파를 통상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일련의 파동을 나타내는 형태인 펄스 형태로 전송한다.
펄스 반복 구간(Pulse Repetition Interval, PRI)는 펄스의 반복 주기인 펄스와 펄스 사이의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PRI는 주파수 영역에서 초당 송신하는 펄스의 수를 나타내는 펄스 반복 주파수(Pulse Repetition Frequency, PRF)의 역수로써 시간 영역에서 펄스 반복 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즉, PRI는 펄스를 반복적으로 보낼 때의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펄스폭(τe)는 PRI 주기 시간 중에서 출력 신호가 송신되는 시간 구간이며, 나머지 시간은 수신 신호를 받는 시간 구간에 해당한다. 펄스폭이 넓은 경우 송신 에너지를 많이 보낼 수 있지만 레이다 거리 해상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근거리 거리 탐지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펄스폭이 좁은 경우 레이다 거리 해상도가 높아지지만 송신 에너지를 많이 보낼 수 없으므로 원거리 탐지에는 적합하지 않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가 전자기파를 전송할 때의 신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레이다가 전자기파를 전송할 때 신호 형태를 주파수 영역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PRF가 일정한 형태의 신호를 나타낸 것이고, (b)는 PRF가 일정하지 않으며, (a)를 기준으로 좌, 우로 정해진 허용치 내에서 움직이는데, 이것을 지터라 하고 허용된 범위를 지터 범위라고 한다. 예를 들면, 신호의 PRF 타입은 지터이며, 범위는 20%라고 분석될 수 있다. 또한, PRF 스태거(stagger)는 다양한 펄스 간격들이 규칙적인 패턴을 따르면서, 펄스 대 펄스를 기초하여 PRF를 다른 값으로 바꾸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펄스간 간격은 다르지만 규칙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c)는 연속적인 정현파 신호를 펄스파로 100% 변조시킨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 식별부(120)는 신호 수신부(110)가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추출한 모든 항목의 분석 값과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대응되는 상술한 항목들에 대해 미리 저장된 변수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한 전자기파 신호는 위협신호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레이다 식별부(120)는 제1 레이다(200)를 위협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레이다(200)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가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나타난 NO.1에 해당하는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레이다 식별부(120)는 제1 레이다(200)를 레이다 A로 식별할 수 있고,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레이다 식별부(120)에서 식별된 레이다 A에 대하여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설정된 재밍기법에 해당하는 변수명이 301인 재밍기법을 적용하여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재밍기법에 관하여는 도 8a 및 도 8b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분석하여 재밍기법 및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를 유형화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과거 훈련에서 운용자가 훈련에 사용된 레이다에 전자공격인 재밍신호를 방사하면서 발생된 재밍기법 평가 결과, 사용된 레이다에 해당하는 정보 및 훈련하였던 시간을 저장한 테이블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도 3에서 전술한 라이브러리 테이블과 다르게 위협신호를 예측한 것이 아닌 훈련으로 레이다에 실제로 재밍기법을 사용한 이력을 저장한 테이블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과 다르게 레이다에 실제로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시간이 저장되어 있으며, 또한 레이다를 나타내는 수신 방위 및 레이다 모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술한 정보가 저장된 레이다에 실제로 재밍기법을 사용하면서 발생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기록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다 모드는 탐색 모드, 추적 모드 및 발사 모드 등 다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레이다에 실제로 재밍기법을 사용한 경우에만 사용이력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이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는 재밍신호 생성장치와 레이다와의 거리와 같이 레이다의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정보 또한 저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협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실제로 재밍기법을 사용한 적이 없다면 상술한 위협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를 나타내는 수신 방위 및 레이다 모드에 대한 정보, 레이다에 실제로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시간 및 실제로 사용한 재밍기법에 따라 나타난 재밍결과를 평가한 재밍기법 평가 결과에 관해서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재밍기법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8a 및 8b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식별된 제1 레이다(200)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방사하면서 발생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식별된 제1 레이다(200)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다면,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효과는 최소 7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는 i)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 주파수 형태가 일치하는 조건, ii)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의 펄스간격 간 오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 및 iii)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의 펄스폭 간 오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레이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의 펄스간격 간 오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은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의 펄스간격 간 오차가 0.2us 이내인 조건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1 레이다(200) 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와의 펄스폭 간 오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은 펄스폭 간 오차가 0.2us 이내인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가 NO.3에 해당하는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하여 제1 레이다(200)가 레이다 C로 식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레이다 C에 대한 재밍기법의 변수명은 901이고, 901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효과가 4인 경우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이 최소 7이상인 경우에는 상술한 조건이 만족하지 않다. 단, 상술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하려는 재밍신호를 재밍기법 901에서 설정된 재밍신호 대신에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를 판단하여, 제2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를 판단하기 위해, i) 레이다 C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 형태인 사인형과 동일한 주파수 형태를 가지는 레이다를 판단한다. ii) 레이다 C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최소 펄스간격은 0.01us이고, 최대 펄스간격이 0.05us이므로, 레이다 C에서 송신하는 신호와의 최소 펄스간격 및 최대 펄스간격 간 오차가 바람직하게 0.2us이내에 해당하는 신호를 가지는 레이다를 판단한다. iii) 레이다 C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최소 펄스폭은 0.5us이고, 최대 펄스폭은 0.6us이므로, 레이다 C에서 송신하는 신호와의 최소 펄스폭 및 최대 펄스폭 간 오차가 0.2us 이내에 해당하는 신호를 가지는 레이다를 판단한다. 따라서,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상술한 i), ii) 및 iii)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레이다를 제2 레이다로 판단하여, 제2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i), ii) 및 iii) 조건 모두를 만족하는 레이다를 제2 레이다를 판단하여, 제2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가 존재하여도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에서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제2 레이다에 방사하면서 제2 레이다에서 발생된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효과는 최소 7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 및 재밍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재밍기법에 설정된 재밍신호를 허위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 또는 레이다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밍기법은 노이즈 재밍기법은 적 레이다와 같은 주파수로 노이즈, 즉 잡음을 잔뜩 내보내는 노이즈 재밍기법, 적 레이다가 표적의 각도를 잘못 파악하게 하는 각도 기만 재밍기법, 속도를 잘못 파악하게 하는 속도 기만 재밍기법 등 다양한 재밍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기법에 설정된 재밍신호가 허위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를 나타낸다.
도 8a에 대해 도 3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NO.1에 해당하는 식별된 레이다 A에 재밍기법의 변수명이 301에 설정된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허위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의 기법변수로는 허위표적의 수, 허위표적 간 간격, 재밍신호의 펄스폭 및 잡음 대역폭이 있으며, 상술한 기법 변수에 따라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다양한 재밍신호를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NO.1에 해당하는 식별된 레이다 A에 재밍기법의 변수명이 301에 설정된 재밍신호인 허위표적 수가 3개, 허위표적 간 간격이 5.2us이고, 재밍 펄스폭이 5us이며, 잡음 대역폭이 7Mhz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기법에 설정된 재밍신호가 식별된 레이다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술한 재밍기법은 거리기만 기법(RGPO, Range Gate Pull Off)일 수 있으며, 거리기만 기법은 레이다로 하여금 목표물의 거리 정보를 정확하게 얻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주기 위해 적 레이다의 전파신호를 똑같이 흉내 내서 다른 타이밍에 전파를 보내는 기법으로, 재밍신호를 방사하는 재머에 수신된 레이다 신호펄스를 지연시키는 기법을 나타낸다. 재머에서 수신된 신호펄스에 따라 타이밍을 맞춰서 지연 시간을 조금씩 증가시키는 경우 레이다는 재밍 신호를 추적하게 되고, 아군의 위치에서 점점 다른 위치로 표적이 이동한 것처럼 착하게 된다. 따라서, 거리기만 기법은 실제 목표물의 거리보다 먼 곳에 있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드는 기법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7에는 도 8b에 나타난 재밍기법의 변수명(예를 들어, 재밍기법의 변수명이 101 내지 104)이 나타나 있지 않지만, 도 3 및 도 7에 나타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포함된 다른 식별된 레이다에서는 상술한 재밍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b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식별된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의 기법변수로는 포착시간, 최대 지연시간, 끌림 속도, 끌림 펄스 개수, 끌림 펄스 간격, 훅 펄스 개수 및 재밍 펄스폭이 있다. 단, 상술한 예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법변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포착시간, 최대 지연시간, 끌림 속도, 끌림 펄스 개수, 끌림 펄스 간격, 훅 펄스 개수 및 재밍 펄스폭에 따라 다양한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기가 일정한 레이더 신호(200a)의 좌측에 생성된 재밍신호에 해당하는 끌림 펄스(131a)가 나타나 있으며, 시간(t)이 지날수록 끌림 펄스(131a)는 레이더 신호(200a)와 점점 더 시간차이를 두면서 생성된다. 상술한 레이더 신호(200a)의 좌측에 생성된 끌림 펄스(131a) 및 끌림 펄스(131a)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이더 신호(200a)의 우측에도 끌림 펄스(131a)가 생성될 수 있으며, 끌림 펄스(131a)의 개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도 8d를 함께 참조하면, 도 8d는 도 8c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기가 일정한 레이더 신호(200a)의 우측에 2개의 끌림 펄스(131a)가 생성된 것을 나타내며, 시간(t)이 지날수록 레이더 신호(200a)의 우측에 생성되는 2개의 끌림 펄스(131a)는 레이더 신호(200a)와 점점 더 시간차이를 두면서 생성되지만, 2개의 끌림 펄스(131a)의 끌림 펄스 간격(131b)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끌림 펄스 간격(131b)은 끌림 펄스(131a)가 2개 이상일 때, 각 끌림 펄스의 시간차이를 나타낸다.
도 8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기가 일정한 레이더 신호(200a)의 우측에는 재밍신호에 해당하는 끌림 펄스(131a) 2개와 훅 펄스(131c)에 해당하는 1개의 펄스가 생성될 수 있다. 레이더 신호(200a)와 훅 펄스(131c)는 일정한 주기를 유지하는 반면 끌림 펄스(131a) 2개는 시간이 지날수록 레이더 신호(200a)와 점점 더 시간차이를 두면서 생성된다. 상술한 레이더 신호(200a)의 우측에 생성된 끌림 펄스(131a), 훅 펄스(131c), 끌림 펄스(131a)의 개수 및 훅 펄스(131c)의 개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이더 신호(200a)의 좌측에도 끌림 펄스(131a) 및 훅 펄스(131c)가 생성될 수 있으며, 끌림 펄스(131a) 및 훅 펄스(131c)의 개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NO.1에 해당하는 식별된 레이다에 재밍기법의 변수명이 101에 설정된 재밍신호인 포착시간이 1us, 최대 지연시간이 5.2us, 끌림 속도가 50ms, 끌림 펄스 개수가 1개, 끌림 펄스 간격이 0us, 훅 펄스 개수가 1개 및 재밍 펄스폭이 2us인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재밍신호(100b)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로부터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제1 재밍기법이 과거에 사용된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1 재밍신호를 방사함에 따라 발생된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결과는 상술한 제1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방사하여 신호 수신부(110)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며,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재밍결과는 상술한 제1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방사하여도 신호 수신부(110)가 계속적으로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제1 재밍신호를 방사함에 따라 발생된 재밍효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기법이 설정된 재밍신호가 허위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인 경우,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은 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및 i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허위표적 간 간격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은 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및 i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허위표적 간 간격이 일치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재밍기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기법에 설정된 재밍신호가 식별된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를 나타내는 경우,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은 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포착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i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ii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훅 펄스 개수가 일치하는 조건 및 iv)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은 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포착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i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iii)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훅 펄스 개수가 일치하는 조건 및 iv) 제2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2 재밍신호와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재밍기법을 나타낸다.
또한,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신호 방사부(140)가 재밍신호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재밍신호(100b)를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하여도 신호 수신부(100)가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전자기파 신호(100a)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130)는 생성된 재밍신호(100b)의 기법변수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기법이 설정된 재밍신호가 허위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인 경우, 상술한 기법변수를 조절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재밍신호(100b)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재밍신호(100b)의 허위 표적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및 재밍신호(100b)의 잡음 대역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i) 재밍신호(100b)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한 재밍신호를 생성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하고, 생성된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220)에 방사하여도 계속적으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전자기파 신호(100a)를 수신하는 경우, ii) i) 조건에서 생성된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고, 허위 표적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한 재밍신호를 생성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하고, 생성된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220)에 방사하여도 계속적으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ii) ii) 조건에서 생성된 재밍신호의 잡은대역 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고, ii) 조건에서 생성된 재밍신호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증폭시킨 재밍신호를 생성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상술한 i) 단계에서 재밍 펄스폭을 5us 확장하여 2초간 재밍하는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ii) 단계에서 재밍 펄스폭을 3us 확장하여 1초간 재밍하는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이고, 허위표적수가 5개 이상일 경우 3개로 조정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iii) 단계에서는 잡음대역 폭을 5Mhz 확장하고, 기존 출력에서 +1dBm만큼 증폭시켜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신호가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의 경우, 기법변수를 조절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건은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포착하는 시간인 포착 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설정하는 조건,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지연시키는 최대 지연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재밍신호(100b)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재밍신호(100b)의 끌림 펄스 개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및 재밍신호(100b)의 끌림속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축소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i) 식별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100a)를 포착하는 시간인 포착 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설정하고, 재밍신호(100b)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한 재밍신호를 생성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하고, 생성된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220)에 방사하여도 계속적으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전자기파 신호(100a)를 수신하는 경우, ii) i) 조건에서 생성된 재밍신호의 끌림속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축소하고, 최대 지연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한 재밍신호를 생성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하고, 생성된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220)에 방사하여도 계속적으로 제1 레이다(200)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iii) ii) 조건에서 생성된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한 범위로 확장하고, ii) 조건에서 생성된 재밍신호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증폭시킨 재밍신호를 생성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밍신호 생성장치(100)는 상술한 i) 단계에서 포착 시간을 2us로 설정하고, 재밍 펄스폭을 5us 확장하여 3초간 재밍하며, 끌림 펄스 개수가 2개 이상일 경우 1개로 조정하여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ii) 단계에서 끌림속도를 5ms 축소하고, 최대 지연시간을 10us 확장하여 2초간 재밍하는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iii) 단계에서는 재밍 펄스폭을 3us 확장하고, 기존 출력에서 +1dBm 만큼 증폭하여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레이다(200)에 방사한 재밍신호의 사용 여부 및 제1 레이다(200)에 재밍신호를 방사함으로써 나타나는 재밍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저장부가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재밍기법을 유형화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한다(S9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아군이 전자전에서 특정 위협신호들을 수신한 경험이 없더라도 아군이 전자전에서 수신할 가능성이 있는 위협신호를 미리 예측하고, 예측되는 위협신호의 각 항목별로 위협신호를 특정하기 위한 특정치에 해당하는 변수들, 예측되는 위협신호에 대응하기 위한 재밍기법 및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법변수를 설정하여 구성된 테이블을 나타낸다.
신호 수신부가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한다(S92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수신부는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펄스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펄스 신호의 주파수 형태, 최대 주파수, 최소 주파수, 최소 펄스 간격, 최대 펄스 간격, 펄스 간격 형태, 펄스 형태 하한, 펄스 상태 상한, 최소 펄스폭, 최대 펄스폭, 펄스 형태, 펄스 형태에 따른 지터 범위 또는 스태거 단수, 스캔 형태 및 스캔 주기 등과 같은 항목을 분석할 수 있다.
레이다 식별부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제1 레이다를 식별한다(S930). 제1 레이다를 식별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레이다 식별부에서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한다(S94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부는 식별된 제1 레이다에서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결정하고, 결정된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는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분석하여 재밍기법 및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를 유형화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은 미리 설정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날짜에 해당하는 시간,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면서 레이다에서 나타난 재밍기법 평가 결과 및 사용된 레이다의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변수들이 저장되어 있다.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도 1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재밍신호 방사부가 재밍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다(S9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재밍신호 방사부가 재밍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여도 신호 수신부가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계속적으로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생성된 재밍신호의 기법변수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여 재밍신호를 변경할 수 있고, 재밍신호 방사부는 변경된 재밍신호를 다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수 있다. 상술한 기법변수를 조절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8a 및 도 8b에서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한 재밍신호 및 재밍신호에 따른 재밍결과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재밍신호 생성장치에 포함된 신호 수신부가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한다(S1010). 다음으로, 재밍신호 생성장치에 포함된 레이다 식별부가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과 비교하여 제1 레이다를 식별한다(S1020).
재밍신호 생성장치에 포함된 재밍신호 생성부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로드한다(S1030).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및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관하여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대해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로드하고,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대한 제1 재밍기법이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서 제1 재밍기법을 사용한 기록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제1 재밍기법 사용여부를 결정한다(S1040).
로드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서 제1 재밍기법을 사용한 기록이 없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1 재밍기법에 따른 제1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재밍신호 방사부는 생성된 제1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다(S1041).
로드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서 제1 재밍기법을 사용한 기록이 있는 경우, 제1 재밍기법에 설정된 제1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를 향해 방사하였을 때의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1042). 상술한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1 재밍기법에 따른 제1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재밍신호 방사부는 생성된 제1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다(S1041).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제2 재밍기법을 사용할지 판단한다(S1043).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이 존재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가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재밍신호 방사부는 생성된 제2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다(S1044).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재밍기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2 재밍기겁에 따른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대신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로드한다(S1050).
또한, S1030단계로 돌아가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로드한다(S1050).
재밍신호 생성부는 로드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대한 제3 재밍기법에 따른 제3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하였을 때 나타난 제3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60).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 평가 결과는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3 재밍기법에 따른 제3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재밍신호 방사부는 생성된 제3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다(S1061).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의 존재를 판단한다(S1062).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는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로드하고, 로드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서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대한 제1 재밍기법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S1040).
반면에,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제2 레이다가 존재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2 레이다에 대한 제4 재밍기법에 따른 제4 재밍신호를 제2 레이다로 방사하였을 때 나타난 제4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63). 상술한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 평가 결과는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4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4 재밍기법에 따른 제4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재밍신호 방사부는 생성된 제4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다(S1064).
제4 재밍기법 평가 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로드하고, 로드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서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대한 제1 재밍기법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S1040).
재밍신호 생성부는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 재밍신호에 따른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신호 수신부로 수신되는 전자기파 신호로 판단하고(S1070), 판단 결과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장치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한 재밍신호 및 재밍신호에 따른 재밍결과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1080).
판단 결과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재밍신호 생성부는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한 재밍신호가 설정된 재밍기법의 기법변수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여 재밍신호를 변경하고(S1090), 변경된 재밍신호를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한다(S1091). 재밍신호 생성장치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한 재밍신호 및 재밍신호에 따른 재밍결과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1080).
상술한 재밍결과가 미리 설정된 조건 및 재밍기법의 기법변수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하는 방법은 전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는 다양한 상황에서도 선택적으로 재밍기법을 생성하여, 전자공격을 실시할 수 있으며, 재밍효과가 미비할 경우 자동적으로 재밍기법에 설정된 재밍신호의 기법변수를 조절하여 재밍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장치는 전자 공격 훈련 결과를 데이터로 저장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추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재밍신호 생성장치
200: 제1 레이다

Claims (13)

  1.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재밍기법을 유형화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는 저장부;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레이다를 식별하는 레이다 식별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재밍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하는 재밍신호 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에 사용하였던 제1 재밍기법에 따른 제1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면서 나타난 재밍결과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재밍기법은,
    상기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가 허위 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에서의 허위 표적간 간격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이고,
    상기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포착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면서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훅 펄스 개수가 일치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분석하여 재밍기법 및 상기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를 유형화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제2 레이다에서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이다는,
    상기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제2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주파수 형태가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제2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간격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제2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폭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레이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제2 레이다에서 사용하였던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에 대한 재밍기법의 사용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에 대한 재밍기법에 따른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신호 생성부는,
    상기 재밍신호 방사부가 상기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여도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상기 신호 수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신호가 허위 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는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허위 표적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및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잡음 대역폭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변경한 재밍신호이고,
    상기 재밍신호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는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포착 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설정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을 미리 설정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서 송신되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신호의 펄스로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미리 설정된 끌림 속도 만큼 시간차이를 두면서 생성되는 펄스인 끌림 펄스의 개수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조정하는 조건,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끌림 속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로 축소하는 조건 및 상기 방사된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을 미리 설정된 범위로 확장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변경한 재밍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장치.
  10.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예측하여 재밍기법을 유형화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과 상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레이다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에 사용하였던 제1 재밍기법에 따른 제1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면서 나타난 재밍결과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재밍기법은,
    상기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가 허위 표적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에서의 허위 표적간 간격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이고,
    상기 제2 재밍기법에 따른 제2 재밍신호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의 펄스를 지연시키도록 생성되는 재밍신호이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포착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최대 지연시간이 일치하는 조건,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 신호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면서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훅 펄스 개수가 일치하는 조건 및 상기 제1 재밍신호와 상기 제2 재밍신호의 재밍 펄스폭이 일치하는 조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밍기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레이다가 송신하는 전자기파 신호를 분석하여 재밍기법 및 상기 재밍기법을 평가한 결과를 유형화한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와 동일한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는 레이다에 재밍기법을 사용하였던 이력의 저장 여부에 따라 상기 미리 저장된 제1 라이브러리 테이블 또는 상기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또는 제2 라이브러리 테이블에 저장된 전자기파 신호와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할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에 방사하여도 상기 식별된 제1 레이다로부터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성된 재밍신호를 미리 설정된 조건으로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재밍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밍신호 생성방법.
  13. 컴퓨터에서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재밍신호 생성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88720A 2018-07-30 2018-07-30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210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20A KR102100851B1 (ko) 2018-07-30 2018-07-30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20A KR102100851B1 (ko) 2018-07-30 2018-07-30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79A KR20200013479A (ko) 2020-02-07
KR102100851B1 true KR102100851B1 (ko) 2020-04-14

Family

ID=6957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20A KR102100851B1 (ko) 2018-07-30 2018-07-30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8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2749B1 (ko) 2020-07-30 2021-12-23 국방과학연구소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29112A (ko) 2020-09-01 2022-03-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ar 재밍 시스템의 배치 방법
KR20220029111A (ko) 2020-09-01 2022-03-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ar 재밍 시스템의 허위 표적 생성 방법
KR20220029110A (ko) 2020-09-01 2022-03-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디지털 n 채널 fir 필터를 이용한 sar 재밍 시스템
US11329753B2 (en) * 2018-12-28 2022-05-10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Electronic warfare system device with non-real-time threat signal analysis and electronic attack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128B1 (ko) * 2020-06-10 2022-05-09 국방과학연구소 모델기반 비통신 전자전 체계 설계 분석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499402B1 (ko) * 2021-04-01 2023-02-10 국방과학연구소 압축펄스신호에 대응한 첩잡음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230120765A (ko) 2022-02-10 2023-08-17 국방과학연구소 수동형 레이더 재밍을 위한 재밍 대상 송신원 선정 장치 및 방법
CN114485291A (zh) * 2022-02-15 2022-05-13 中国人民解放军北部战区总医院 单兵配备电子信号干扰着色粘滞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8033A (ja) * 1997-03-26 199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波妨害装置
KR20010061434A (ko) * 1999-12-28 2001-07-07 송재인 재밍제어방법
KR20020089734A (ko) * 2001-05-24 2002-1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재밍의 제어장치와 재밍 제어방법
KR101754708B1 (ko) 2015-09-25 2017-07-06 국방과학연구소 전자전 지원 수신기의 pdw를 이용한 스펙트럼 전시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9753B2 (en) * 2018-12-28 2022-05-10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Electronic warfare system device with non-real-time threat signal analysis and electronic attack function
KR102342749B1 (ko) 2020-07-30 2021-12-23 국방과학연구소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US11650287B2 (en) 2020-07-30 2023-05-16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Jamming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20029112A (ko) 2020-09-01 2022-03-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ar 재밍 시스템의 배치 방법
KR20220029111A (ko) 2020-09-01 2022-03-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ar 재밍 시스템의 허위 표적 생성 방법
KR20220029110A (ko) 2020-09-01 2022-03-0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디지털 n 채널 fir 필터를 이용한 sar 재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79A (ko)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851B1 (ko)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그 방법
CA2255890C (en) Virtual noise radar waveform for reduced radar detectability
US10355807B2 (en) Jamming device and jamming method
KR102084210B1 (ko) 전자교란을 위한 동기식 부엽 재밍 방법
US5061930A (en) Multi-mode missile seeker system
Stove et al. Low probability of intercept radar strategies
US7212148B1 (en) Apparatus for jamming infrared attack unit using a modulated radio frequency carrier
US71488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ownship threats
KR102012386B1 (ko) 펄스 압축 신호에 대한 기만 신호 생성 장치 및 기만 신호 생성 방법
Matuszewski The analysis of modern radar signals parameters in electronic intelligence system
Paine et al.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FM-based PCL radar in the presence of jamming
US10520587B2 (en) Method for optimising the detection of marine targets and radar implementing such a method
SE541952C2 (en) Radar apparatus and method with interference detection
CN115480222A (zh) 一种基于频控阵干扰机的雷达干扰技术方法
KR101682090B1 (ko) 미상 신호를 이용한 재밍 신호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35150B1 (ko) 전자전에서 위협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646847C2 (ru) Способ обзора пространства радиолокационными станциями с фазированными антенными решетками
RU2694366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реднамеренных активных сигналоподобных имитационных помех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м средствам
RU2327189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редметов, например оружия
US11733349B2 (en) Realtime electronic countermeasure optimization
RU2240576C2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воздушных объектов
JP6608127B2 (ja) 干渉抑圧支援装置
US20220163626A1 (en) Realtime selection of electronic countermeasures against unknown, ambiguous or unresponsive radar threats
US20220163628A1 (en) Realtime electronic countermeasure assessment
Labbé Cognitive Radars (CRs) Could Improve Target Engagement Success 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