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862B1 -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862B1
KR102213862B1 KR1020190023908A KR20190023908A KR102213862B1 KR 102213862 B1 KR102213862 B1 KR 102213862B1 KR 1020190023908 A KR1020190023908 A KR 1020190023908A KR 20190023908 A KR20190023908 A KR 20190023908A KR 102213862 B1 KR102213862 B1 KR 102213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low
metal
stent
reinforc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154A (ko
Inventor
최익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86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78Operations on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02/065Y-shaped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61F2002/077Stent-grafts having means to fill the space between stent-graft and aneurysm wall, e.g. a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은, 복부 대동맥류와 같은 혈관 시술시 사용되는 것으로, 혈액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서 그 혈액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원활한 혈류 형성을 위해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혈류 형성부; 상기 혈류 형성부를 대동맥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혈류 형성부의 양단에 각각, 그 혈류 형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금속 스텐트부들; 및 일측은 상기 금속 스텐트부들 중 원위부측 금속 스텐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근위부측 금속 스텐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금속 소재의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Hybrid stent uni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텐트의 금속 부분의 변형이나 크랙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 복부 대동맥류의 고식적인 수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패브릭 소재의 그라프트(A)의 양단부를 각각 복부 대동맥 양쪽 절개부위에 실로 꿰메어 연결하는 방식으로 수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술 방법은 복부 대동맥을 정상 상태의 혈관과 유사한 형태로 복원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수술 범위가 매우 커서 의사에게 수술의 부담감이 크고 수술 후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근자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금속 스텐트를 이용한 수술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 스텐트를 이용한 수술 방법은 패브릭 소재의 혈류 형성용 바디(101)에 내구성 향상을 위한 금속 소재의 스텐트(102)가 결합된 스텐트 유닛을 이용하여, 혈관 절개와 같은 수술 없이도 대동맥류를 개선하는 장점이 있으나, 금속이 지나치게 많아 변형이나 크랙 또는 깨짐이 발생하여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하면, 금속 스텐트가 혈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기 때문에, 혈류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타입에 비해 응력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됨에 따라, 잦은 손상이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242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32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침습에 의해 혈관을 절개하는 것과 같은 큰 수술 없이도 복부 대동맥류 개선을 가능하게 하고, 금속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은, 복부 대동맥류와 같은 혈관 시술시 사용되는 것으로, 혈액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서 그 혈액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원활한 혈류 형성을 위해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혈류 형성부; 상기 혈류 형성부를 대동맥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혈류 형성부의 양단에 각각, 그 혈류 형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금속 스텐트부들; 및 상기 혈류 형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금속 스텐트부들 중 원위부측 금속 스텐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근위부측 금속 스텐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금속 소재의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 소재의 보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혈류 형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보강부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와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은,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혈류 형성부에 의해 문제가 되는 대동맥류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금속 소재의 스텐트부들을 혈류 형성부의 양단부에만 형성되게 하여 최소한의 금속을 활용하여 강성 보완은 물론, 대동맥에 대한 고정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금속 소재의 보강부에 의해 혈류 형성부의 유연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최소침습에 의해 혈관을 절개하는 것과 같은 큰 수술 없이도 복부 대동맥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보강부가 대략 혈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됨에 따라 혈류에 의해 보강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최소화됨으로써, 금속의 변형이나 파손에 의해 초래되는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 및 도 2는 기존 복부 대동맥류의 수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도 3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의 정면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은, 복부 대동맥류 시술시 사용되는 것으로, 혈류 형성부(1)와 금속 스텐트부(2)들과 보강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혈류 형성부(1)는, 인체의 혈관 특성을 고려하여 유연성이 있는 재질인 섬유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혈액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서 그 혈액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금속 스텐트부(2)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혈류 형성부(1)의 유연성에 강성을 더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금속 스텐트부(2)는, 상기 혈류 형성부(1)와 함께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발휘하여 본 실시예의 강성을 보완해 줌은 물론 상기 혈류 형성부(1)를 대동맥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금속 스텐트부(2)들은, 상기 혈류 형성부(1)의 양단에 각각 그 혈류 형성부(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복부 대동맥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보강부(3)는, 상기 금속 스텐트부(2)들 사이에 금속이 없는 것에 의해 초래할 수 있는 강성 저하를 억제시킴으로써, 적은 금속에 의해서도 원활한 혈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혈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으로써 혈류에 의한 응력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강부(3)는, 일측은 상기 금속 스텐트부(2)들 중 원위부측 금속 스텐트부(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근위부측 금속 스텐트부(2)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3)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금속 스텐트부(2)들에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부(3)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마주하는 금속 스텐트부(2)에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은, 섬유 소재로 이루어지는 혈류 형성부(1)에 의해 문제가 되는 대동맥류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금속 소재의 스텐트부(2)들을 혈류 형성부(1)의 양단부에만 형성되게 하여 최소한의 금속을 활용하여 강성 보완은 물론, 대동맥에 대한 고정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금속 소재의 보강부(3)에 의해 혈류 형성부(1)의 유연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최소침습에 의해 혈관을 절개하는 것과 같은 큰 수술 없이도 복부 대동맥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와, 보강부(3)가 대략 혈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됨에 따라 혈류에 의해 보강부(3)에 가해지는 응력이 최소화됨으로써, 금속의 변형이나 파손에 의해 초래되는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3)는 상기 혈류 형성부(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후술할 도 6과 같이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강부(3)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강성 보완을 위해 상기 혈류 형성부(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보강부(3)들은 각각 상호 연결부(4) 없이 독립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 효율 및 강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각 보강부(3)들을 연결시켜 주기 연결부(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보강부(3)와 연결부(4)는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보강부(30)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코일 형태로 혈류 형성부(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보강부(30)에 의해 혈류 형성부(1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그 혈류 형성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한 신축성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혈류 형성부 2:금속 스텐트부
3:보강부 4:연결부

Claims (5)

  1. 복부 대동맥류와 같은 혈관 시술시 사용되는 것으로,
    혈액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서 그 혈액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원활한 혈류 형성을 위해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혈류 형성부;
    상기 혈류 형성부를 대동맥에 견고히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혈류 형성부의 양단에 각각, 그 혈류 형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금속 스텐트부들; 및
    일측은 상기 금속 스텐트부들 중 원위부측 금속 스텐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타측은 근위부측 금속 스텐트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금속 소재의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소재의 보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되, 상기 혈류 형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보강부는, 혈류에 의해 보강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금속 스텐트부들과 연결되지 않고 혈류의 흐름 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보강부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와 연결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5. 삭제
KR1020190023908A 2019-02-28 2019-02-28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KR102213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08A KR102213862B1 (ko) 2019-02-28 2019-02-28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08A KR102213862B1 (ko) 2019-02-28 2019-02-28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54A KR20200105154A (ko) 2020-09-07
KR102213862B1 true KR102213862B1 (ko) 2021-02-05

Family

ID=7247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08A KR102213862B1 (ko) 2019-02-28 2019-02-28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8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057A (ja) * 2003-12-01 2005-06-23 Cordis Corp Z型のひだを持つプロテーゼ移植片
US20100100168A1 (en) 2006-03-29 2010-04-22 Chuter Timothy A M Iliac leg extension stent graf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60901B2 (en) 1998-12-31 2003-05-22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tent grafts with bioactive coatings
KR20100117982A (ko) * 2009-04-27 2010-11-04 조은 혈관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혈관용 스텐트
KR101116052B1 (ko) * 2010-02-03 2012-02-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벤딩되는 원통형 인조혈관 스텐트
KR101424201B1 (ko) 2012-08-14 2014-08-13 이종훈 스텐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혈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057A (ja) * 2003-12-01 2005-06-23 Cordis Corp Z型のひだを持つプロテーゼ移植片
US20100100168A1 (en) 2006-03-29 2010-04-22 Chuter Timothy A M Iliac leg extension stent g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54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9981B2 (en) Prosthetic heart valve and transcatheter delivered endoprosthesis comprising a prosthetic heart valve and a stent
RU2727458C1 (ru) Протез сердечного клапана, прикрепляемый к межжелудочковой перегородке, а также способ его доставки и отсоединения
RU2723333C2 (ru) Атриовентрикулярный клапанный стент с механизмом захвата и удерживания створки нативного клапана
CN101686859B (zh) 内向弓形弯曲的三尖瓣瓣膜成形术环
EP3435919B1 (en) A prosthetic device for mitral valve repair
JP5373883B2 (ja) 弁輪形成用リング
US8932344B2 (en) Aortic conduit configured with terminal ends having neosinuses of valsalva
US20120053676A1 (en) Implantable Prosthetic Vascular Valves
JP7001587B2 (ja) 非対称な僧帽弁形成バンド
US200501926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rticulation of a catheter
MXPA04008439A (es) Reductor de flujo intravascular.
SK126197A3 (en) Stent with variable features to optimize support and method of making such stent
US20120029266A1 (en) Anisotropic reinforcement and related method thereof
KR102213862B1 (ko) 하이브리드 스텐트 유닛
US10864071B2 (en) Stent graft
US20220175523A1 (en) Stent device for a prosthetic heart valve
US20130102835A1 (en) Anisotropic reinforcement and related method thereof
CN110464522B (zh) 术中支架
WO2016145391A1 (en) Expansible cardiovascular graft system
JP5907536B2 (ja) 人工血管
CN118076771A (zh) 整体编织歧管及其形成方法
JP2023553624A (ja) 心臓弁ステント及びそれで構成される人工心臓弁構造
WO2008012839A1 (en) Kit for performing subcommissuroplasty during aortic valve re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