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672B1 - 공예용 채색 장치 - Google Patents

공예용 채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672B1
KR102213672B1 KR1020200125432A KR20200125432A KR102213672B1 KR 102213672 B1 KR102213672 B1 KR 102213672B1 KR 1020200125432 A KR1020200125432 A KR 1020200125432A KR 20200125432 A KR20200125432 A KR 20200125432A KR 102213672 B1 KR102213672 B1 KR 10221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pigment
body assembly
oily soli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만
Original Assignee
김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만 filed Critical 김두만
Priority to KR1020200125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공예용 채색 장치(10)가 제공된다. 상기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유성고체안료(1)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어셈블리(100);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유성고체안료(1)를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압어셈블리(300); 및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30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유성고체안료(1)가 인출되는 안료인출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예용 채색 장치{CRAFT COLORING DEVICE}
본 발명은 공예용 채색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라핀, 왁스 등을 정해진 배합 기준에 따라 배합한 유성고체안료를 열 온도조절이 가능한 히팅부를 통해 액체상태로 배출시켜 초벌 도자기 표면에 스며들게 하는 방식으로 그림을 그려 화분, 장식용 인형 등의 소품에 채색할 수 있는 공예용 채색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점토를 이용해 성형 과정을 거친 후, 700~800도로 초벌을 한다. 그리고 초벌이 된 도자기에 유약을 통해 색을 입히거나 그림을 그린 후 1300도 내외로 재벌 소성한다. 이는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발라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소지와 일체 시키는 과정으로 도자기의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불투과성을 유지하고, 아울러 발색 원리에 따라 다양한 유약을 사용하여 미적 효과를 표현하기도 한다. 다만, 이는 고온의 재벌 과정이 필요하고 유약에 따른 발색 원리를 이해해야 하므로 직관적인 도자기 채색 방법으로는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다른 도자기 채색 방법으로는, 실용도예토라는 특수한 점성이 강한 흙을 이용해 도자기를 제작하고 일반 물감을 바름으로써 아이들의 공예용 도자기 제작 학습용으로 활용된다. 이는 고온의 가마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아이들의 체험학습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고온의 가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도자기 채색 방법보다 간편하나, 실용도예토의 약한 강도로 인하여 손상되기 쉽고 상품성 있는 공예품은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도자기 채색 과정을 해결하기 위해 유약을 통한 피막 형성 작업을 대체할 수 있도록, 파라핀, 왁스 등을 정해진 배합 기준에 따라 배합한 유성고체안료를 가열, 융해시켜 배출하고 초벌이 된 도자기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피막시킴으로써 소지와 일체 시키게 하여 유약을 바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공예용 채색 장치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도자기에 채색 시 1300도 내외의 고온의 재벌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간단하게 도자기에 유약을 바른 효과를 낼 수 있는 공예용 채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펜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펜으로 그림을 그리듯이 손으로 본 발명을 잡아 도자기에 보다 직관적이고 세밀하게 채색할 수 있는 공예용 채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2개 이상의 상이한 온도로 유성고체안료를 가열, 융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융해된 안료가 인출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자신에게 편리한 속도로 채색을 할 수 있는 공예용 채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가압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유성고체안료를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유성고체안료가 모두 배출되어 소진된 뒤에도 간단하게 분해하고 새로운 유성고체안료를 삽입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공예용 채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는 유성고체안료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어셈블리;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유성고체안료를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압어셈블리; 및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에 의해 가압된 상기 유성고체안료가 인출되는 안료인출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몸체어셈블리와 회전가압어셈블리 사이에 구비되어 융해된 안료가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차단고정부를 포함하는 연결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어셈블리는, 상기 유성고체안료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어셈블리는, 상기 가열모듈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력공급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유성고체안료를 2개 이상의 상이한 온도로 가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성고체안료가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모듈은,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되어 전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주전도판; 상기 주전도판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스위치전도판 및 상기 제1스위치전도판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스위치전도판을 포함하는 스위치;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상기 주전도판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주전도판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부전도판; 및 상기 복수의 부전도판 중 적어도 일부와 전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유성고체안료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치전도판과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부전도판의 개수에 따라 상기 히팅부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료인출어셈블리는,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쉬 덮개; 및 상기 브러쉬 덮개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내측에서 융해된 안료를 흡수하여 상기 융해된 안료를 도포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는, 융해된 안료가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 내부 및 상기 몸체어셈블리의 일측 내부에 흐르지 않도록 하는 고무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는,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안료인출어셈블리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성고체안료를 가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도자기에 채색 시 1300도 내외의 고온의 재벌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간단하게 도자기에 유약을 바른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펜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펜으로 그림을 그리듯이 손으로 본 발명을 잡아 도자기에 보다 직관적이고 세밀하게 채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스위치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2개 이상의 상이한 온도로 유성고체안료를 가열, 융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융해된 안료가 인출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자신에게 편리한 속도로 채색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회전가압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유성고체안료를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유성고체안료가 모두 배출되어 소진된 뒤에도 간단하게 분해하고 새로운 유성고체안료를 삽입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고체안료(1)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고체안료(1)가 가압된 상태의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꺼진 상태의. 가열모듈(1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의 (c), (d),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16)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히팅부(111)의 온도가 조절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개별적인 구성 및 조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조립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펜(pen) 형상을 갖는 장치로서, 몸체어셈블리(100), 연결어셈블리(200), 회전가압어셈블리(300), 안료인출어셈블리(4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어셈블리(100)는 유성고체안료(1, 도 2 참조)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모듈(110) 및 가열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력공급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유성고체안료(1)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은 연결어셈블리(200) 또는 회전가압어셈블리(300)와 연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은 유성고체안료(1)가 인출되는 안료인출어셈블리(400)와 연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어셈블리(100)는 유성고체안료(1)가 삽입되는 원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어셈블리(100)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몸체어셈블리(100)가 펜과 같은 원기둥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공예용 채색 장치(10)를 사용할 때,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도자기에 채색할 수 있다. 참고로, 몸체어셈블리(100)의 두께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도자기 등의 공예품에 채색을 할 때에 자신이 파지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공예용 채색 장치(1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몸체어셈블리(100)에 삽입되는 유성고체안료(1)는 파라핀, 왁스 등을 정해진 배합 기준에 따라 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성고체안료(1)가 히팅부(111, 도 2 참조)에 의해 융해된 안료(2, 도 2 참조)가 되어 초벌 도자기 등에 피막되면 양초 등이 녹으면서 느껴지는 윤기가 나타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일반 물감으로 그린 것과는 다르게 도자기 표면 등에 유약을 발라 채색, 제작한 것과 같은 피막의 반짝임이 나타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으로 기술하는 도자기뿐만 아니라, 스케치북, 3d 프린터 제작물, 플라스틱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로 도자기 표면에 융해된 안료(2)를 피막시키고 픽사티브(fixative)로 정착, 마감시켜 채색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픽사티브는 송진 등을 알코올로 녹인 액체로서 먼지 등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어셈블리(100)는 사각기둥, 육각기둥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몸체어셈블리(1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원기둥 형태의 몸체어셈블리(100)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어셈블리(100)는, 타측에 안료인출어셈블리(400)와 조립 연결되기 위해, 안료인출어셈블리(400)가 구비되는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즉, 안료인출어셈블리(400)의 내경이 몸체어셈블리(100)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자연스러운 조립 연결을 위해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의 끝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어셈블리(100)는 일측에 가열모듈(110)이 구비될 수 있고, 타측에는 전력공급모듈(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가열모듈(110)과 전력공급모듈(120)이 몸체어셈블리(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반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가열모듈(110)과 전력공급모듈(120)이 인접 배치되거나 또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가열모듈(110)이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시켜 융해된 안료(2)를 생성하는 방식, 및 전력공급모듈(120)이 가열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 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2,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성고체안료(1)를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압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회전함으로써 유성고체안료(1)가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융해된 안료(2)가 안료인출어셈블리(400)의 개구를 통해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압어셈블리(300)는 사용자의 파지 및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장방형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장방형의 홈이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외주면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과 마찰력이 증대되어 사용자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압어셈블리(300)는 중앙이 볼록한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또한, 사용자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과 연결되어 회전가압어셈블리(300)에 의해 가압된 유성고체안료(1)가 인출되는 안료인출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료인출어셈블리(400)는 펜촉과 같이 융해된 안료(2)가 인출되는 부분이므로 융해된 안료(2)가 인출되는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몸체어셈블리(1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 사이에 구비되어 융해된 안료(2)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차단고정부(210, 도 2 참조)를 포함하는 연결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어셈블리(200)는 타측이 몸체어셈블리(100)와 조립 연결되고 일측이 회전가압어셈블리(300)와 조립 연결될 수 있다. 몸체어셈블리(100)에 삽입되는 유성고체안료(1) 및 융해된 안료(2)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공간적으로 분리시키면서도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유성고체안료(1)를 원활하게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고체안료(1)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성고체안료(1)가 가압된 상태의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여기서 유성고체안료(1) 가압에 따른 상하이동유닛(320)의 위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몸체어셈블리(100), 연결어셈블리(200), 회전조절유닛(310), 안료인출어셈블리(400)만을 단면도로 표현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단면도로 표현하지 않았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압어셈블리(300)를 회전함으로써 유성고체안료(1)는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압어셈블리(300)는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안료인출어셈블리(4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유성고체안료(1)를 가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유닛(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압어셈블리(300)는 직접 회전함으로써 내부의 상하이동유닛(320)을 이동시키는 회전조절유닛(310) 및 회전하는 회전조절유닛(310)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하이동유닛(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유닛(310)은 내부에 상하이동유닛(320) 및 나선프레임(330)이 수용될 수 있는 원통형의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회전조절유닛(310)은 내주면에 나선프레임(330)이 고정 장착될 수 있는 나선홈(311, 도 4 참조)이 구비될 수 있고 나선프레임(330)은 나선형의 형태를 가져 나선프레임(330)은 나선홈(311)에 체결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유닛(320)은 나선프레임(330) 내측에 내삽되어 나선프레임(330)의 회전 운동을 상하이동유닛(32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상하이동유닛(320)의 일단에 구비되는 승강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321)는 나선프레임(330)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간격만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승강부(321)가 나선프레임(330)의 내측에 내삽되고 이로 인해, 나선프레임(330)이 정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나선프레임(330) 내측에 내삽된 승강부(321)는 나선프레임(330)의 양 끝단 간격 사이에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가 회전조절유닛(310)을 정방향/역방향(또는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조절유닛(310) 내주면의 나선홈(311)에 고정 장착된 나선프레임(330)도 함께 정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와 동시에 나선프레임(330) 내측에 내삽된 승강부(321)는 나선프레임(330)의 정방향/역방향 회전에 따라 나선프레임(330) 내측면을 타고 나선프레임(330) 양 끝단 간격 사이에서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가압어셈블리(300)는 융해된 안료(2)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 내부 및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 내부에 흐르지 않도록 하는 고무패킹(32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하이동유닛(320)은 융해된 안료(2)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 내부 및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 내부에 흐르지 않도록 타단에 구비되는 고무패킹(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패킹(325)은 몸체어셈블리(100) 내부에 삽입되는 유성고체안료(1) 또는 융해된 안료(2)가 고무패킹(325) 후면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무패킹(325)은 가장자리 부분이 몸체어셈블리(100) 내주면에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어셈블리(100)의 내경보다 원형의 고무패킹(325)의 둘레가 크게 구성되어 고무패킹(325)의 유성고체안료(1)와 접촉되는 면적 외에 나머지 면적부분은 몸체어셈블리(100)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무패킹(325)이 유성고체안료(1)를 가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하이동유닛(320)은 타단에 고무패킹스프링(323)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스프링삽입부(3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고무패킹(325)과 결합되되 고무패킹스프링(323)의 탄성력을 고무패킹(325)에 전달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스프링삽입부(322)에 삽입될 수 있는 고무패킹지지대(324)가 구비될 수 있다.
조립 순서를 정리하면, 상하이동유닛(320) 타단에 구비되는 스프링삽입부(322)에 고무패킹스프링(323)이 삽입되고 이후 고무패킹(325)과 결합된 고무패킹지지대(324)가 고무패킹스프링(323)을 압축하면서 스프링삽입부(322)에 다시 삽입되는 순서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조절유닛(310)이 회전하여 승강부(321)가 몸체어셈블리(100) 쪽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상하이동유닛(320) 전체가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하이동유닛(320) 타단에 구비된 고무패킹(325)이 유성고체안료(1)를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고무패킹스프링(323)이 구비됨으로 인해, 융해되어 크기가 줄어든 유성고체안료(1)가 상하이동유닛(320)의 상하 이동이 없이도 고무패킹스프링(323)의 탄성만큼 자동으로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조절유닛(310)의 잦은 회전이 없이도 유성고체안료(1)는 고무패킹스프링(323)의 탄성만큼 고무패킹(325)에 의해 가압되고 히팅부(111)에 의해 융해되어 안료인출어셈블리(400)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유닛(310)은 타측에 연결어셈블리(200)와 조립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착연결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어셈블리(200) 일측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회전조절유닛(310)에 구비되는 결착연결부(312)가 연결어셈블리(200)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연결어셈블리(2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몸체어셈블리(1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 사이에 구비되어 융해된 안료(2)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차단고정부(210)를 포함하는 연결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어셈블리(200)는 몸체어셈블리(1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를 조립 연결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고무패킹(325) 및 고무패킹지지대(324)를 포함한 상하이동유닛(3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유성고체안료(1)를 가압함과 동시에 몸체어셈블리(10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일부의 유성고체안료(1) 및 융해된 안료(2)가 회전가압어셈블리(300) 내부로 역류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연결어셈블리(200)는 내부에 회전가압어셈블리(300) 쪽으로 역류하는 융해된 안료(2)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고정부(210)가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역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고정부(210)는 상하이동유닛(320)이 통과할 수 있는 연결홈(22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홈(220)은 차단고정부(210)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홈(220)이 차단고정부(210) 중앙에 구비됨으로써, 연결어셈블리(200)는 회전가압어셈블리(300)쪽으로 역류하는 융해된 안료(2)를 차단하면서도 스프링삽입부(322)를 포함한 상하이동유닛(320)의 일부 영역이 몸체어셈블리(100) 내부로 삽입되어 유성고체안료(1)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연결어셈블리(200)의 연결홈(220)은 일부 영역이 몸체어셈블리(100) 내부로 삽입되는 상하이동유닛(320)을 공예용 채색 장치(10) 내부 공간의 중앙에 상하이동유닛(320)이 안정적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회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유성고체안료(1)를 가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어셈블리(200)는 몸체어셈블리(1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를 조립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외에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어셈블리(200)는 고무탄성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어셈블리(2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결착연결부(312)가 결합됨에 있어서 약간의 틈이 확보될 수 있다. 연결어셈블리(200)가 고무탄성제로 구성되고 결합에 약간의 틈이 확보됨에 따라, 연결어셈블리(2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에 응력을 가해 두 어셈블리(200, 300)를 조립 연결할 수 있고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연결어셈블리(200)와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어셈블리(100)는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은 몸체어셈블리(100) 내부에 구비되어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여 융해시킬 수 있는 히팅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유성고체안료(1)를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히팅부(111)가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 및 융해시켜 안료인출어셈블리(400)를 통해 융해된 안료(2)가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초벌 도자기 표면에 융해된 안료(2)를 피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모듈(110)은 유성고체안료(1)를 2개 이상의 상이한 온도로 가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가열모듈(110)이 2개 이상의 상이한 온도로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는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작동 방식은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어셈블리(100)는 가열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력공급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모듈(120)은 제1배터리연결부(121), 제2배터리연결부(122), 배터리(12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배터리연결부(121)는 배터리(123)의 제1 전극, 예를 들어 (+)전극과 연결될 수 있고, 제2배터리연결부(122)는 배터리(123)의 제2 전극, 예를 들어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3)는 AA형, AAA형, 단추형 건전지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다만, 일반적인 건전지보다는 장시간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고용량 배터리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전력공급모듈(120)은 USB 포트 등을 통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을 통해 충전된 전력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공예용 채색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전력공급모듈(120)은 유선으로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공예용 채색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예용 채색 장치(10)는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과 연결되어 회전가압어셈블리(300)에 의해 가압된 유성고체안료(1)가 인출되는 안료인출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료인출어셈블리(400)는 브러쉬(410) 및 브러쉬 덮개(42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덮개(420)는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브러쉬 덮개(420)가 몸체어셈블리(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브러쉬(410) 교체 및 내부의 청소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410)는 브러쉬 덮개(420)에 결합되어, 몸체어셈블리(100)의 내측에서 융해된 안료(2)를 흡수하여 상기 융해된 안료(2)를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브러쉬(410)는 폼브러쉬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채색 시에 자국이 남지 않아 깔끔하게 채색할 수 있고 또한, 붓을 사용할 때와 같이 털빠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다만, 브러쉬(410)는 소모품으로서 다양한 재질, 크기,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브러쉬(41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꺼진 상태의 가열모듈(11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3의 (c), (d),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16)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히팅부(111)의 온도가 조절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몸체어셈블리(100)는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모듈(110) 및 가열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력공급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고, 가열모듈(110)은 유성고체안료(1)를 2개 이상의 상이한 온도로 가열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모듈(110)은 몸체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되어 전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주전도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도판(112)은 전력공급모듈(120) 즉, 제1배터리연결부(121)로부터 전류를 받아 스위치(116)에 구비되는 제1스위치전도판(116-a)으로 전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은 주전도판(112)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스위치전도판(116-a) 및 제1스위치전도판(116-a)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2스위치전도판(116-b)을 포함하는 스위치(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전도판(116-a)은 스위치(116)의 밑면의 일단에 구비되고 주전도판(112)으로부터 전류를 받아 스위치(116)의 밑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2스위치전도판(116-b)으로 전도할 수 있다. 또한, 제2스위치전도판(116-b)은 스위치(116)의 밑면의 타단에 구비되고 제1스위치전도판(116-a)으로부터 전류를 받아 몸체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에 전도할 수 있다.
추가로, 제1스위치전도판(116-a)과 제2스위치전도판(116-b)은 주전도판(112)으로부터의 전류를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으로 전도하는 역할로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16) 내부에 제1스위치전도판(116-a)과 제2스위치전도판(116-b)이 구비되고 이러한 복수의 스위치전도판(116-a, 116-b) 사이에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을 위한 전선이나 전도판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116)에 복수의 스위치전도판(116-a, 116-b)이 구비되는 것 대신에 단일의 긴 스위치전도판이 구비되어 주전도판(112)으로부터의 전류를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으로 전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116)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조작된 상태의 스위치(116)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는 조절스프링(117)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16)를 통해 주전도판(112)과 복수의 부전도판(113,114,115)이 전도될 수 있도록 스위치(116)가 하측으로 슬라이딩되고 이후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사용이 끝난 뒤 가열모듈(110)의 전원을 끄기 위해서 스위치(116)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조작해야 한다.
이 경우, 조절스프링(117)으로 인해 보다 적은 힘으로 스위치(116)를 상측으로 슬라이딩 조작할 수 있고 또한, 스위치(116)를 하측으로 슬라이딩 조작 시 보다 부드러운 조작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은 몸체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어, 스위치(116)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주전도판(112)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되지 않거나(즉,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지 않을 때에)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주전도판(112)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즉,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할 때에)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 각각은 전류가 히팅부(111)로 전도될 수 있도록 각각 히팅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116)가 하측으로 슬라이딩 조작되어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과 주전도판(112)이 전도되면 전력공급모듈(120)로부터의 전류가 히팅부(111)로 흐르게 되어 히팅부(111)가 발열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은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 중 적어도 일부와 전도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는 히팅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부(111)는 열선 코일로 구성되어 전류가 흐르는 경우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팅부(111)는 유성고체안료(1)를 그 주변에서 감싸도록 구비되며 전류가 흐름으로써 히팅부(111)가 발열하여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 융해시킬 수 있다.
히팅부(111)는 니크롬선(Nichrome wire) 또는 칸탈선(Kanthal wir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칸탈은 전열선 재료로 사용되며 철-크롬-알루미늄-코발트 합금으로 철이 주성분이며 크롬 20%, 알루미늄 5%, 코발트 2%를 함유한다. 니크롬선은 1,000℃ 정도까지 발열 가능하고 칸탈선은 내산화성이 뛰어나 1,250℃ 정도까지 발열 가능하다. 히팅부(111)는 니크롬선, 칸탈선 외에도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열할 수 있는 열선으로 사용되는 다른 재료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발열 방식으로는 저항 가열(resistance heating) 방식 중 간접 저항 가열 방식으로서 피가열물에 접근해서 금속저항선 또는 탄화규소와 같은 비금속 발열체에 전류를 흘릴 때 생기는 열을 방사·전도 등에 의해 피가열물에 전해서 가열하는 방식이다. 다만, 간접 저항 가열 방식 외에 다른 방식으로 유성고체안료(1)를 융해시키는 방식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은 스위치(116)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제2스위치전도판(116-b)과 연결되는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의 개수에 따라 히팅부(111)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16)가 상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는 주전도판(112)과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 간에 전도가 가능하도록 연결되지 않으므로 히팅부(111)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가열모듈(110)은 전원이 꺼진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16)가 하측으로 약간 슬라이딩 조작되어 스위치(116)의 제2스위치전도판(116-b)이 제3부전도판(115)과만 전도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면, 제3부전도판(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팅부(111)만이 전도되어 발열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16)가 도 3의 (c)의 스위치(116)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슬라이딩 조작되어 제2스위치전도판(116-b)이 제2부전도판(114) 및 제3부전도판(115)과 전도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면, 제2부전도판(114) 및 제3부전도판(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팅부(111)가 전도되어 발열되므로, 도 3의 (c)에서 도시되는 제3부전도판(115)의 전도에 의한 발열보다 더 높은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16)가 보다 더 하측으로 슬라이딩 조작되어 제2스위치전도판(116-b)이 제1부전도판(113), 제2부전도판(114) 및 제3부전도판(115) 모두와 전도가 가능하도록 연결되면, 제1 부전도판(113), 제2부전도판(114) 및 제3부전도판(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히팅부(111)가 전도되어 발열되므로, 도 3의 (d)에서 도시되는 제2 부전도판(114) 및 제3부전도판(115)의 전도에 의한 발열보다 더 높은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제1부전도판(113), 제2부전도판(114) 및 제3부전도판(115)의 전도 제어를 통해 3단계로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가열모듈(11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가열모듈(110)은 2단계 또는 4단계 등 다양한 단계로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개별적인 구성 및 조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의 조립을 위해, 먼저 몸체어셈블리(100)와 안료인출어셈블리(400)를 조립하고, 유성고체안료(1)를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연결어셈블리(200)를 몸체어셈블리(100)와 조립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유닛(320)의 스프링삽입부(322)에 고무패킹스프링(323), 고무패킹지지대(324)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고무패킹지지대(324)와 고무패킹(325)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므로 고무패킹지지대(324)를 스프링삽입부(322)에 삽입하면 고무패킹(325)도 상하이동유닛(320)에 조립될 수 있다.
이후, 조립된 상하이동유닛(320)의 승강부(321)를 나선프레임(330) 내부에 내삽되도록 나선프레임(330)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살시예에 따른 회전조절유닛(310)은 세로 방향으로 2개의 유닛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이동유닛(320)이 내부에 포함된 나선프레임(330)을 회전조절유닛(310)의 나선홈(311)에 고정 장착되도록 체결하면서 반으로 분리된 회전조절유닛(310)을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회전조절유닛(310), 상하이동유닛(320), 나선프레임(330)이 모두 포함된 회전가압어셈블리(300)를 연결어셈블리(200) 일측에 응력으로 삽입하여 조립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과정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10)를 조립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조립 과정에 따라 조립되는 것이 아니고 구체적인 조립을 위한 구성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상이한 경우 다른 방식과 순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조립 방식을 기술하면, 안료인출어셈블리(400) 일측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구비되고, 몸체어셈블리(100) 타측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안료인출어셈블리(400)와 몸체어셈블리(1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어셈블리(100) 일측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구비되고, 연결어셈블리(200) 타측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구비되어 몸체어셈블리(100)와 연결어셈블리(2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회전조절유닛(310)은 세로 방향으로 2개의 유닛으로 분리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조절유닛(310)의 2개의 유닛의 단면부에는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턱이 약간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2개의 유닛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호 걸림턱이 걸리도록 휘어지는 변형이 일어나고 체결이 완료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2개의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추가로, 회전조절유닛(310)의 2개의 유닛을 분해하기 위한 응력을 가하면, 회전조절유닛(310)의 걸림턱이 약간의 탄성을 가지므로 훼손되지 않고 2개의 유닛이 분리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조절유닛(310)은 타측에 연결어셈블리(200)와 조립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착연결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어셈블리(200) 일단에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진 걸림턱이 구비되어 회전조절유닛(310)에 구비되는 결착연결부(312)가 연결어셈블리(200)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연결어셈블리(200)와 회전가압어셈블리(300)가 상호 조립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기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조립을 위한 구성 및 조립 방식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다른 구성 및 조립 방식으로도 공예용 채색 장치(10)가 조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도자기에 채색 시 1300도 내외의 고온의 재벌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간단하게 도자기에 유약을 바른 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의 펜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펜으로 그림을 그리듯이 손으로 본 발명을 잡아 도자기에 보다 직관적이고 세밀하게 채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스위치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2개 이상의 상이한 온도로 유성고체안료를 가열, 융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융해된 안료가 인출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자신에게 편리한 속도로 채색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예용 채색 장치에 의하면, 회전가압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유성고체안료를 가압하여 배출시킬 수 있고 유성고체안료가 모두 배출되어 소진된 뒤에도 간단하게 분해하고 새로운 유성고체안료를 삽입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유성고체안료
2: 융해된 안료
10: 공예용 채색 장치
100: 몸체어셈블리
110: 가열모듈
111: 히팅부
112: 주전도판
113: 제1부전도판
114: 제2부전도판
115: 제3부전도판
116: 스위치
116-a: 제1스위치전도판
116-b: 제2스위치전도판
117: 조절스프링
120: 전력공급모듈
121: 제1배터리연결부
122: 제2배터리연결부
123: 배터리
200: 연결어셈블리
210: 차단고정부
220: 연결홈
300: 회전가압어셈블리
310: 회전조절유닛
311: 나선홈
312: 결착연결부
320: 상하이동유닛
321: 승강부
322: 스프링삽입부
323: 고무패킹스프링
324: 고무패킹지지대
325: 고무패킹
330: 나선프레임
400: 안료인출어셈블리
410: 브러쉬
420: 브러쉬 덮개

Claims (10)

  1. 공예용 채색 장치(10)로서,
    유성고체안료(1)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체어셈블리(100);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유성고체안료(1)를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회전가압어셈블리(300); 및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300)에 의해 가압된 상기 유성고체안료(1)가 인출되는 안료인출어셈블리(40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어셈블리(100)는, 상기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가열모듈(110)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모듈(110)은, 스위치(116)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제2스위치전도판(116-b)과 연결되는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의 개수에 따라 히팅부(111)의 온도가 조절되고,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300)는,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안료인출어셈블리(400)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유성고체안료(1)를 가압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유닛(320); 및 직접 회전함으로써 내부의 상기 상하이동유닛(320)을 이동시키는 회전조절유닛(31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절유닛(310)은,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유닛(320) 및 나선프레임(330)이 수용되는 원통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고, 내주면에 상기 나선프레임(330)이 고정 장착되는 나선홈(311)이 구비되고,
    상기 나선프레임(330)은, 나선형의 형태를 가져 상기 나선홈(311)에 체결되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상하이동유닛(320)은, 상기 나선프레임(330)의 내측에 내삽되어 상기 나선프레임(330)의 회전 운동을 상기 상하이동유닛(320)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상하이동유닛(320)의 일단에 구비되는 승강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321)는 상기 나선프레임(330)이 회전함에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외주면에 적어도 일부 영역이 소정의 간격만큼 나선형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상하이동유닛(320)은, 타단에 고무패킹스프링(323)이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스프링삽입부(322); 및 고무패킹(325)과 결합되되 상기 고무패킹스프링(323)의 탄성력을 상기 고무패킹(325)에 전달하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스프링삽입부(322)에 삽입되는 고무패킹지지대(324)가 구비되고,
    상기 안료인출어셈블리(400)는, 교체 가능하고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내측에서 융해된 안료(2)를 흡수하여 상기 융해된 안료(2)를 도포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쉬(410); 및 상기 브러쉬(410)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쉬 덮개(420)를 포함하는,
    공예용 채색 장치(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와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300) 사이에 구비되어 융해된 안료(2)가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300)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차단고정부(210)를 포함하는 연결어셈블리(200)를 더 포함하는,
    공예용 채색 장치(10).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어셈블리(100)는, 상기 가열모듈(11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력공급모듈(120)을 더 포함하는,
    공예용 채색 장치(10).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모듈(110)은,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되어 전도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주전도판(112)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116)는, 상기 주전도판(112)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1스위치전도판(116-a)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위치전도판(116-b)은, 상기 제1스위치전도판(116-a)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은,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116)의 상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상기 주전도판(112)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주전도판(112)과 전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히팅부(111)는, 상기 복수의 부전도판(113, 114, 115) 중 적어도 일부와 전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유성고체안료(1)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공예용 채색 장치(10).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325)은,
    상기 융해된 안료(2)가 상기 회전가압어셈블리(300) 내부 및 상기 몸체어셈블리(100)의 일측 내부에 흐르지 않도록 구성되는,
    공예용 채색 장치(10).
  10. 삭제
KR1020200125432A 2020-09-28 2020-09-28 공예용 채색 장치 KR102213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32A KR102213672B1 (ko) 2020-09-28 2020-09-28 공예용 채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32A KR102213672B1 (ko) 2020-09-28 2020-09-28 공예용 채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672B1 true KR102213672B1 (ko) 2021-02-05

Family

ID=74558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32A KR102213672B1 (ko) 2020-09-28 2020-09-28 공예용 채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6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652A (ja) * 2008-03-07 2009-10-15 Okutani:Kk 粘性体収容器
KR20150003106U (ko) * 2012-12-05 2015-08-17 와블웍스, 인크. 휴대용 3차원 드로잉 장치
KR20160040515A (ko) * 2013-08-06 2016-04-14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액체 도포구
KR101749597B1 (ko) * 2016-01-29 2017-06-22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후방 장착형 3d 프린팅 잉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펜
KR20170139952A (ko) * 2016-06-10 2017-12-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프린터 헤드, 3차원 프린터 및 3차원 프린팅 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3652A (ja) * 2008-03-07 2009-10-15 Okutani:Kk 粘性体収容器
KR20150003106U (ko) * 2012-12-05 2015-08-17 와블웍스, 인크. 휴대용 3차원 드로잉 장치
KR20160040515A (ko) * 2013-08-06 2016-04-14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액체 도포구
KR101749597B1 (ko) * 2016-01-29 2017-06-22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후방 장착형 3d 프린팅 잉크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펜
KR20170139952A (ko) * 2016-06-10 2017-12-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프린터 헤드, 3차원 프린터 및 3차원 프린팅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54489A1 (ja) 美容器具
RU2428905C2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нанесения косметики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5598548B (zh) 一种自动加锡电烙铁
KR102213672B1 (ko) 공예용 채색 장치
US20180272379A1 (en) Solid marking material melting applicator wand
CN102273801A (zh) 旋转式化妆品涂抹器
CN106238256B (zh) 用于3d打印模型后处理的自动喷墨上色系统及上色方法
KR20160005454A (ko) 전사지 제조방법
KR102146720B1 (ko) 화장품을 포장하고 도포하기 위한 도포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이것을 사용하는 방법
US20150313343A1 (en) Multicolor eyeliner, lipliner, balpoint pen
WO2015190845A1 (ko) 속눈썹 성형 기능을 갖는 마스카라
KR20120116381A (ko) 세라믹히터 삽입형 방열플레이트 제조방법
CN206197322U (zh) 一种滑推式多功能造型梳
CN209972045U (zh) 一种艺术绘画初学者用带有模拟调色功能的画板
CN206651506U (zh) 一种电动旋转化妆装置
CN208841845U (zh) 3d热熔打印笔
JP6300438B2 (ja) 美容器具
US4218152A (en) Electric resist wax pen
US3702917A (en) Tool for forming and shaping wax-like substances
GB2566928A (en) Battery operated heated wax melt device and method for mascara
CN106102510A (zh) 配备有加热元件的睫毛膏装置及其控制方法
CN220675372U (zh) 一种旋钮式温控直发器
CN214055737U (zh) 一种陶瓷加工用绘画装置
CN218418784U (zh) 一种可自动卷发的卷发棒
CN212754661U (zh) 一种睫毛卷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