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436B1 -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436B1
KR102213436B1 KR1020190025920A KR20190025920A KR102213436B1 KR 102213436 B1 KR102213436 B1 KR 102213436B1 KR 1020190025920 A KR1020190025920 A KR 1020190025920A KR 20190025920 A KR20190025920 A KR 20190025920A KR 102213436 B1 KR102213436 B1 KR 10221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bladder
urine
tim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436B9 (ko
KR20200108158A (ko
Inventor
김정회
김승태
허문창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주)엠큐브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7071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1343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큐브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엠큐브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9002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4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436B1/ko
Publication of KR10221343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43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8/5223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for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환자의 배뇨시에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함과 동시에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에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고,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의 시간 추이에 따른 방광의 용적 변화, 요속 및 배뇨량을 측정하고,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을 측정하고,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요속 및 배뇨량은 상기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Uroflowmetry by using ultrasound}
본 발명은 요속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배뇨에 의해 시간 추이에 따라 변화되는 방광의 단면적들 또는 체적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방광의 단면적들을 이용하여 요속 및 요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초음파를 이용한 요속 측정 장치 및 요속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속 측정 장치(Uroflowmetry)는 배뇨와 관련된 상태, 예컨대 1회 배뇨량, 배뇨시 요속, 1회 배뇨 시간, 배뇨시 최대 요속, 배뇨 지연 시간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요속 측정 장치는 환자에 대한 배뇨와 관련된 장애들을 검사하고 진단하기 위하여 반드시 사용되는 장비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요속 측정 장치는 환자가 배뇨시 단위 시간별 배뇨량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배뇨 상태를 측정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뇨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요속 측정 장치는 변기와 유사한 형태의 의자와 의자의 하부에 놓인 배뇨량 측정을 위한 소변 수집기 및 저울을 구비한다. 상기 요속 측정 장치는, 소변 수집기에 수집된 소변이 상기 저울을 통해 측정되고, 측정된 배뇨량 정보가 실시간으로 컴퓨터로 전송되고, 전송된 시간대별 배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배뇨 상태를 검사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요속 측정 장치는 환자가 배뇨함에 따라 하부의 소변 수집기에 수집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집 과정에서 소변이 장치 밖으로 튀어나가게 되어 유실되거나 소변 수집기에 제대로 수집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정확한 배뇨량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소변이 소변 수집기 밖으로 튀어나가는 경우에는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요속 측정 장치는 배뇨 측정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배뇨 수집기와 결합된 장치로서, 환자가 일반적인 변기가 아닌 배뇨 수집기에 배뇨하여야 하므로, 환자가 평소와 같이 편안하게 배뇨할 수 없게 되어, 환자의 배뇨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게 되는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방광 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9730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2-0074589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뇨시의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배뇨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뇨시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배뇨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뇨시의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 및 배뇨 시작/종료 시점의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배뇨 상태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에 대한 단면적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단면적들의 변화 상태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배뇨 상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총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으로 방광을 포함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순차적으로 획득된 상기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을 검출하고,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을 측정하는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을 계산하는 방광 용적 측정 모듈;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하는 요속 측정 모듈; 및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측정하는 배뇨량 측정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 내 잔뇨량들을 순차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복수 개의 방광 내 잔뇨량들의 변화 상태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배뇨 상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총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을 포함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순차적으로 획득된 상기 복수 개의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들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광들로부터 방광 내 잔뇨량들을 순차적으로 측정하는 잔뇨량 측정 모듈;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방광 내 잔뇨량 정보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하는 요속 측정 모듈; 및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계산하는 배뇨량 측정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 및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 및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마다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에 대한 단면적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단면적들의 변화 상태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배뇨 상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작/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방광 내 잔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뇨 상태 정보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3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3 특징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으로 방광을 포함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을 측정하는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에 방광을 포함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방광의 용적을 측정하여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들을 측정하는 잔뇨량 측정 모듈;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을 측정하는 방광 용적 측정 모듈;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하는 요속 측정 모듈;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계산하는 배뇨량 측정 모듈; 및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와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종래의 소변 수집기 등의 장비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청결하면서도 정확하게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을 순차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신속하게 배뇨 상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배뇨 시간별 방광 내 잔뇨량들을 순차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함으로써, 매우 정확하게 배뇨 상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을 순차적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들을 측정하고,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들을 이용하여 상기 배뇨 상태 정보들을 보정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측정 오차를 줄여 정확하게 배뇨 상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뇨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 동안 단위 시간 간격 마다 획득된 방광의 단면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단면적 필터링 모듈에 의해 필터링된 방광의 단면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된 방광의 용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동안 순차적으로 측정된 요속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배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동안 순차적으로 측정된 배뇨량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2D 단면적으로부터 획득한 방광의 용적들과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전후의 잔뇨량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용적 보정 모듈에 의해 보정된 배뇨 시간대별 방광의 용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제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1)는 환자의 배뇨시에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의 시간 추이에 따른 방광의 용적 변화를 측정하고, 이러한 방광의 용적 변화를 통해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초음파 프로브(10), 제어부(12), 디스플레이부(14) 및 시작/종료 버튼(16)을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10)는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12)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트랜스듀서 모듈 및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을 구동하는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랜스듀서 모듈은 단일의 트랜스듀서로 구성되거나 복수 개의 트랜스듀서가 어레이(array) 형태로 나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 모듈이 단일의 트랜스듀서로 구성된 경우 모터가 트랜스듀서를 사전 설정된 각도 범위를 회동시키면서 1차원 초음파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게 되고, 이렇게 획득된 복수개의 1차원 초음파 데이터들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여 2차원 초음파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한편, 트랜스듀서 모듈이 어레이 형태로 나열된 복수개의 트랜스듀서들로 구성된 경우, 한번에 모든 트랜스듀서들이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여 복수 개의 1차원 초음파 데이터들을 획득하게 되고, 이렇게 각 트랜스듀서들로부터 수신된 1차원 초음파 데이터들을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여 2차원 초음파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초음파 프로브에 대한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본 명세서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4)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배뇨 상태 정보들을 화면에 출력시키게 된다.
상기 시작/종료 버튼(16)은 환자 또는 의료진에 의해 배뇨의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에 각각 눌려지게 되고, 이러한 버튼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배뇨 상태 측정을 시작하거나 해당 측정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시작/종료 버튼은 단일의 버튼 또는 스위치로 구성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에 대한 단면적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단면적들의 변화 상태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총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제어부는,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100),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110), 방광 용적 측정 모듈(120), 요속 측정 모듈(130) 및 배뇨량 측정 모듈(140)을 구비한다.
상기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100)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을 포함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한다. 상기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은 상기 시작/종료 버튼의 입력에 따라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110)은, 상기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에 의해 순차적으로 획득된 상기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광들로부터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S(t1), S(t2), S(t3), … , S(tn))을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 동안 단위 시간 간격 마다 획득된 방광의 단면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뇨 시간의 추이에 따른 방광 단면적의 변화를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방광 단면적 필터링 모듈(115)를 더 구비하여,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단면적들을 필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제로 방광의 단면적 및 용적은 감소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초음파 영상의 획득 위치의 미세한 변화 또는 측정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도 3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방광의 단면적이 일시적으로 증가되는 구간들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방광 단면적 필터링 모듈을 통해, 배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광의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하기 위하여 방광의 단면적이 일시적으로 증가되는 구간들을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단면적 필터링 모듈에 의해 필터링된 방광의 단면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뇨 시간의 추이에 따른 방광 단면적들이 지속적으로 감소되도록 필터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120)은,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S(t1), S(t2), S(t3), … , S(tn))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V(t1), V(t2), V(t3), … , V(tn))을 계산한다. 방광은 구(求)라고 가정하고, 방광의 단면적들(S(t1), S(t2), S(t3), … , S(tn))로부터 반지름들((R(t1), R(t2), R(t3), … , R(tn)))을 구하고, 상기 반지름들(R(t1), R(t2), R(t3), … , R(tn))을 이용하여 구(求)의 용적들(V(t1), V(t2), V(t3), … , V(tn))을 수학적으로 계산함으로써, 방광의 단면적들로부터 방광의 용적들을 추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동안 순차적으로 획득된 방광의 용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뇨 시간의 추이에 따른 방광의 용적들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배뇨 시간의 추이에 따른 방광의 용적들의 감소량은 배뇨 시간의 추이에 따른 배뇨량과 정비례하게 된다.
상기 요속 측정 모듈(130)은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한다. 상기 배뇨 시간별 요속은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에 대하여 미분하여 기울기값을 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동안 순차적으로 측정된 요속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뇨 시간의 추이에 따른 요속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상기 요속 측정 모듈은 상기 측정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통해 최대 요속(Maximum Flow Rate), 최대 요속 도달 시간(Time to Maximum Flow Rate), 평균 요속(Average Flow Rate)등의 배뇨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뇨량 측정 모듈(140)은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계산한다. 상기 배뇨 시간별 배뇨량은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적분하여 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배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배뇨 기간동안 순차적으로 측정된 배뇨량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배뇨 시간의 추이에 따른 배뇨량의 증가 변화를 알 수 있다. 상기 배뇨량 측정 모듈은 상기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배뇨량들을 이용하여, 총 배뇨량(Voided Volume), 총 배뇨시간(Voiding Time), 배뇨 시간(Flow Time), 배뇨 지연 시간(Delay Time) 등의 배뇨 상태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배뇨 시간별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방광의 용적을 추정하여 요속 및 배뇨량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요속 및 배뇨량을 측정하게 되므로, 후술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비하여 복잡한 계산량이 감소되어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으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보다 정확성은 감소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배뇨 시간별로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 개의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배뇨 시간별 방광 내 잔뇨량들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요속 및 배뇨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초음파 프로브(20), 제어부(22), 디스플레이부(24) 및 시작/종료 버튼(26)을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20)는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22)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초음파 프로브와 유사하나,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 모듈을 전체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에 대한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본 명세서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 및 상기 시작/종료 버튼(16)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22)는,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200), 잔뇨량 측정 모듈(220), 요속 측정 모듈(230) 및 배뇨량 측정 모듈(240)을 구비한다.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200)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을 포함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한다.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은 상기 시작/종료 버튼의 입력에 따라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220)은, 상기 배뇨 시간별 방광들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들을 검출하고, 상기 방광들의 용적들(V(t1), V(t2), V(t3), … , V(tn))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방광들의 용적은 실제로 방광내 잔뇨량을 나타내므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의 측정을 통해 배뇨 시간별 방광내 잔뇨량들(Q(t1), Q(t2), Q(t3), … , Q(tn))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요속 측정 모듈(230)은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방광 내 잔뇨량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한다. 배뇨 시간별 방광내 잔뇨량을 실제로 배뇨 시간별 배뇨량과 반비례 관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뇨 시간별 요속은 배뇨 시간별 방광 내 잔뇨량들에 대하여 미분하여 기울기값을 구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뇨량 측정 모듈(240)은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계산한다.
한편, 상기 요속 측정 모듈 및 배뇨량 측정 모듈이 측정하는 배뇨 상태 정보는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여야 되므로, 초음파 프로브의 성능이 우수하여야 되며 제어부도 많은 계산량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CPU 등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 내 잔뇨량들을 직접 측정하게 되므로,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의 용적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들에 비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기 위하여 정해진 시간내에 많은 복잡한 계산들을 실행하여야 하므로, 초음파 프로브의 성능이 우수하여야 되며 제어부도 많은 계산량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CPU 등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그 결과 제작 비용이 증가된다.
< 제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3)는 환자의 배뇨시에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함과 동시에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에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고,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의 시간 추이에 따른 방광의 용적 변화, 요속 및 배뇨량을 측정하고,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을 측정하고,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요속 및 배뇨량은 상기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료량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하여, 보다 정확한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3)는 초음파 프로브(30), 제어부(32), 디스플레이부(34) 및 시작/종료 버튼(36)을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30)는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 및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32)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초음파 프로브들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대한 기술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본 명세서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4) 및 상기 시작/종료 버튼(36)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함과 동시에,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배뇨 시간별 방광에 대한 단면적들을 측정하고, 상기 단면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에 대한 용적들, 요속들 및 배뇨량을 측정하며, 상기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들을 측정하며, 상기 배뇨 시간별 방광에 대한 요속들 및 배뇨량들을 상기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들을 이용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총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기 제어부(32)는,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300),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305),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310), 방광 용적 측정 모듈(320), 잔뇨량 측정 모듈(325), 방광 용적 보정 모듈(327), 요속 측정 모듈(330) 및 배뇨량 측정 모듈(340)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방광 단면적 필터링 모듈(31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300),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310), 상기 방광 단면적 필터링 모듈(315), 방광 용적 측정 모듈(320), 요속 측정 모듈(330), 배뇨량 측정 모듈(340)은 제1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게 동작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310)은, 상기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에 의해 순차적으로 획득된 상기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광들로부터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S(t1), S(t2), S(t3), … , S(tn))을 측정한다. 상기 방광 단면적 필터링 모듈(315)은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단면적들을 필터링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2D 단면적으로부터 획득한 방광의 용적들과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전후의 잔뇨량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320)은,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S(t1), S(t2), S(t3), … , S(tn))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V(t1), V(t2), V(t3), … , V(tn))을 계산한다. 방광은 구(求)라고 가정하고, 방광의 단면적들(S(t1), S(t2), S(t3), … , S(tn))로부터 반지름들((R(t1), R(t2), R(t3), … , R(tn)))을 구하고, 상기 반지름들(R(t1), R(t2), R(t3), … , R(tn))을 이용하여 구(求)의 용적들(V(t1), V(t2), V(t3), … , V(tn))을 수학적으로 계산함으로써, 방광의 단면적들로부터 방광의 용적들을 추정하게 된다.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325)은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광들의 용적을 계산하여 방광내 잔뇨량들(Q1, Q2)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방광 용적 보정 모듈(327)은 상기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방광내 잔뇨량 정보들(Q1, Q2)을 이용하여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320)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V(t1), V(t2), V(t3), … , V(tn))을 보정한다. 보정 메커니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실제 배뇨량은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Q1)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Q2)의 차이값(Qdiff = Q1 - Q2 )에 해당한다. 따라서, 배뇨 시간별 획득된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측정된 총 배뇨량(F(tn))은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의 용적(V(t1))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의 용적(V(t2))의 차이값으로서 V(t1)-V(t2) 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뇨 시간별 획득된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측정된 총 배뇨량(F(tn))은 실제로는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Q1)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Q2)의 차이(Qdiff = Q1 - Q2 )와 동일하여야 한다.
하지만,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측정된 총 배뇨량(F(tn) = V(t1)-V(t2) )과 상기 방광 내 잔뇨량(Q2)의 차이값(Qdiff = Q1 - Q2 )이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측정된 방광의 용적들은 보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방광 용적들에 대한 보정 계수(k)는 수학식 1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
Qdiff = k× { V(t1)-V(t2)}
k = Qdiff / { V(t1)-V(t2)}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모든 방광의 용적들(V(t1), V(t2), V(t3), … , V(tn))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출된 보정 계수(k)를 곱하여 보정함으로써 매우 정확한 배뇨량 정보들(V'(t1), V'(t2), V'(t3), … , V'(tn))))을 획득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방광 용적 보정 모듈에 의해 보정된 배뇨 시간대별 방광의 용적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광 내 잔뇨량 정보들을 이용하여 계산된 보정 계수 k를 이용하여 보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 용적들(V'(t1), V'(t2), V'(t3), … , V'(tn))을 볼 수 있다.
상기 요속 측정 모듈(330)은 상기 방광 용적 보정 모듈에 의해 보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을 미분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한다.
상기 배뇨량 측정 모듈(340)은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뇨 상태 측정 장치는 배뇨 시간별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방광의 용적을 추정하여 요속 및 배뇨량을 측정하게 되는데,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획득된 방광의 단면적으로부터 측정된 요속 및 배뇨량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배뇨 시작 및 종료 시점의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통해 측정된 방광 내 잔뇨량 정보들을 이용하여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획득된 방광의 용적들을 보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들을 측정하되 방광 내 잔뇨량 정보들을 이용하여 방광의 용적들을 보정하는 보정 과정을 더 구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배뇨 상태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3 : 배뇨 상태 측정 장치
10, 20 , 30 : 초음파 프로브
12, 22, 32 : 제어부
14, 24, 34 : 디스플레이부
16, 26, 36 : 시작/종료 버튼
100, 300 :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200, 305 :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110, 310 :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
120, 320 : 방광 용적 측정 모듈
220, 325 : 잔뇨량 측정 모듈
130, 230, 330 : 요속 측정 모듈
140, 240, 340 : 배뇨량 측정 모듈
327 : 방광 용적 보정 모듈

Claims (10)

  1.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에 대한 단면적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단면적들의 변화 상태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배뇨 상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으로 방광을 포함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순차적으로 획득된 상기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을 검출하고,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을 측정하는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을 계산하는 방광 용적 측정 모듈;
    상기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하는 요속 측정 모듈; 및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계산하는 배뇨량 측정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총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3. 삭제
  4.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 내 잔뇨량들을 순차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복수 개의 방광 내 잔뇨량들의 변화 상태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배뇨 상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을 포함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순차적으로 획득된 상기 복수 개의 3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방광에 대하여 방광 내 잔뇨량들을 순차적으로 측정하는 잔뇨량 측정 모듈;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 내 잔뇨량 정보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을 계산하는 요속 측정 모듈; 및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을 계산하는 배뇨량 측정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총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6. 삭제
  7.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고,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마다 방광에 대한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로부터 방광에 대한 단면적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단면적들의 변화 상태들을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상기 배뇨 상태 정보를 보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된 배뇨 상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광에 대한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들을 측정하고,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측정된 방광 내 잔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측정된 배뇨 상태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상태 정보는,
    배뇨시 시간대별 요속, 배뇨시 시간대별 배뇨량, 배뇨시 전체 배뇨량, 배뇨시 지연 시간, 배뇨시 소요 시간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부터 배뇨 종료 시점까지 사전 설정된 단위 시간 간격으로 방광을 포함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는 2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 개의 2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을 측정하는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시켜,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에 방광을 포함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획득하는 3차원 초음파 영상 획득 모듈;
    상기 3차원 초음파 영상들을 이용하여 방광의 용적을 측정하여 배뇨 시작 시점과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들을 측정하는 잔뇨량 측정 모듈;
    상기 방광 단면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단면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을 측정하는 방광 용적 측정 모듈;
    상기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계산하는 요속 측정 모듈;
    상기 요속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배뇨량들을 계산하는 배뇨량 측정 모듈; 및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계산된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와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배뇨 상태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보정 모듈은,
    상기 잔뇨량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작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와 배뇨 종료 시점의 방광 내 잔뇨량 정보를 이용하여, 방광 용적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요속 측정 모듈은 상기 보정 모듈에 의해 보정된 배뇨 시간별 방광의 용적들을 이용하여 배뇨 시간별 요속들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KR1020190025920A 2019-03-06 2019-03-06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KR10221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20A KR102213436B1 (ko) 2019-03-06 2019-03-06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20A KR102213436B1 (ko) 2019-03-06 2019-03-06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158A KR20200108158A (ko) 2020-09-17
KR102213436B1 true KR102213436B1 (ko) 2021-02-09
KR102213436B9 KR102213436B9 (ko) 2022-12-09

Family

ID=72707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20A KR102213436B1 (ko) 2019-03-06 2019-03-06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4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532A (ja) 2006-04-25 2009-03-26 エムキューブ テクノロジー シーオー エルティディ 膀胱診断用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方法
JP2011183142A (ja) * 2010-02-09 2011-09-22 Nagasaki Univ 非侵襲尿量推定センサユニット、非侵襲尿量推定装置及び排尿管理システム
JP2013183950A (ja) 2012-03-08 2013-09-19 Toto Ltd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16127971A (ja) 2014-08-26 2016-07-14 大塚メディカルデバイス株式会社 超音波尿量測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589A (ko) 2001-03-20 2002-10-04 남 국 김 무게 측정방식에 의한 디지털 요속측정 프로그램
KR20030097305A (ko) 2002-06-20 2003-12-31 남 국 김 배뇨측정시스템
KR101564027B1 (ko) * 2013-08-21 2015-10-29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방광 진단용 초음파 장치
KR101874613B1 (ko) * 2016-07-07 2018-07-04 (주)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내 요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354674B1 (ko) * 2019-01-29 2022-01-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요속과 잔뇨를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배뇨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532A (ja) 2006-04-25 2009-03-26 エムキューブ テクノロジー シーオー エルティディ 膀胱診断用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方法
JP2011183142A (ja) * 2010-02-09 2011-09-22 Nagasaki Univ 非侵襲尿量推定センサユニット、非侵襲尿量推定装置及び排尿管理システム
JP2013183950A (ja) 2012-03-08 2013-09-19 Toto Ltd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16127971A (ja) 2014-08-26 2016-07-14 大塚メディカルデバイス株式会社 超音波尿量測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436B9 (ko) 2022-12-09
KR20200108158A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0034B2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US20090030326A1 (en) Urinary bladder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EP1977694A1 (en) Ultrasound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n ultrasound image
EP3493745B1 (en) Ultrasound blood-flow monitoring
CN101569544B (zh) 足底软组织检测系统
KR20200093589A (ko) 정맥이나 기관의 압력 및/또는 탄성을 측정하고 초음파측정부와 결합되는 압력측정기, 압력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4574635A (en) Monitoring of frequency shift of ultrasound pulses in tissue
EP0870467B1 (en) Ultrasonic diagnosis apparatus
KR100763453B1 (ko) 방광 진단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CN101301212B (zh) 实时估计多普勒参数的方法及装置
KR101117916B1 (ko) 새지털 뷰를 검출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JP2008304281A (ja) 超音波流量測定方法、超音波流量計、及び超音波流量測定プログラム
KR10221343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배뇨 상태 측정 장치
CN102178509B (zh) 软组织肿瘤/结节无创检测系统
CN110650687B (zh) 尿液浑浊度监测
KR100861992B1 (ko) 도플러 초음파 진단용 초음파 탐촉자 시스템
JP4147583B2 (ja) 気泡検出装置
JP5531307B2 (ja) 踵骨音速測定装置
JP4350994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S6287139A (ja) 肥満度測定装置
JP5433713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Rollema Ultrasonic volumetry, a new principle for uroflowmetry; comparison with the DISA mictiometer
JP5354599B2 (ja) 組織硬度評価装置
CN114631789A (zh) 一种无创的动脉弹性检测方法及装置
JPS62255825A (ja) デジタル尿流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11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713

Effective date: 202202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2264;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226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315

Effective date: 20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