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426B1 -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426B1
KR102213426B1 KR1020180153078A KR20180153078A KR102213426B1 KR 102213426 B1 KR102213426 B1 KR 102213426B1 KR 1020180153078 A KR1020180153078 A KR 1020180153078A KR 20180153078 A KR20180153078 A KR 20180153078A KR 102213426 B1 KR102213426 B1 KR 102213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ine
ceramics
glaze
fresh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037A (ko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김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구 filed Critical 김상구
Priority to KR102018015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4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C03C1/002Use of waste materials, e.g.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청수포도나무재를 수비(水飛) 처리하고, 상기 수비 처리된 청수포도나무재를 건조하여 물과 혼합·교반하여 재유약을 형성하며, 초벌 도자기에 상기 재유약을 시유하고, 상기 시유한 도자기를 기결정된 온도로 재벌하는,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CERAMICS FABRICATING METHOD USING GLAZE COMPOSITION INCLUDING CHEONGSU GRAPE TREE ASH}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과 관련된다.
도자기는 일반적으로 도자기용 소지로 빚은 기물에 유약을 시유한 후 소성한 제품을 말하며, 이러한 도자기는 그릇, 장식품, 세면기, 변기 타일 등 다양하게 이용된다. 도자기로 만든 상품에서 디자인은 제품구매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도자기 디자인에서 색채 및 질감은 미감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다양한 색체의 도자기가 상품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청수포도는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품종으로써 종래에는 재배가 활발하지 않았으나 여러 활용방안이 개발되면서 점점 재배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포도 품종의 이용방안으로서 청수포도나무의 재를 이용한 유약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74842호 (2006. 04. 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청수포도나무재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질감과 색체를 갖는 도자기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청수포도나무재를 수비(水飛) 처리하고, 상기 수비 처리된 청수포도나무재를 건조하여 물과 혼합·교반하여 재유약을 형성하며, 초벌 도자기에 상기 재유약을 시유하고, 상기 시유한 도자기를 기결정된 온도로 재벌하는,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수비 처리의 이전에 상기 청수포도나무재를 침전시켜서 상기 침전된 청수포도나무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비 처리는, 상기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00목의 채로 수비 처리하는 1단계; 상기 1단계를 거친 상기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30목의 채로 수비 처리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거친 상기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50목의 채로 수비 처리하는 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유약은 비중계 30~40%에서 시유될 수 있다.
상기 재유약은 비중계 35%에서 시유될 수 있다.
상기 기결정된 온도는 1220~1240℃일 수 있다.
상기 기결정된 온도는 12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품종인 청수포도나무재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질감 및 색채를 가지는 도자기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수비 처리의 구체적인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청수포도나무재를 물에 교반하여 대략 1일 간 침전하여 아래에 가라 앉은 재를 획득할 수 있다(S100). 1일 간 침전하고 10회 이상 물은 제거하고 아래에 가라 앉은 재를 획득함으로써 유약 조성물을 제조함에 적합한 청수포도나무재를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청수포도나무재에 대해서 수비(水飛) 처리를 행할 수 있다(S200). 여기서 수비 처리란 재를 물에 풀은 이후 무겁고 큰 입자는 가라 앉히고 가볍고 미세한 입자를 위로 뜨게 하여 미세한 입자들의 앙금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수비 처리는 여러 단계를 거쳐서 유약에 적합한 입자만을 취할 수 있다. 도 2는 수비 처리의 구체적인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00목(目)의 채를 이용하여 수비 처리하는 1단계(S210), 1단계를 거친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30목의 채를 이용하여 수비 처리하는 2단계(S220), 및 2단계를 거친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50목의 채를 이용하여 수비처리하는 3단계(S230)의 여러 단계를 통해 보다 미세한 입자의 청수포도나무재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비 처리된 청수포도나무재는 건조되고, 건조된 청수포도나무재 약 10kg과 물 10L를 혼합하고 이를 교반하여 재유약을 형성할 수 있다(S300).
이렇게 형성된 재유약은 초벌된 도자기에 시유(施釉)될 수 있다(S400). 여기서 시유란 초벌된 도자기에 재벌되기 전에 유약을 발라서 원하는 효과를 내는 것을 말한다. 청수포도나무재를 이용한 유약에 의한 효과를 위하여 초벌된 도자기는 백자일 수 있다. 시유되는 재유약은 비중계로 30~40%의 상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의 상태일 수 있다.
시유된 도자기는 1220~1240℃의 온도의 전기가마에서 재벌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0℃의 온도에서 재벌될 수 있다. 재벌을 통해 도자기가 산화소성되어 자연적인 질감과 원하는 발색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

  1. 청수포도나무재를 물에 교반하여 1일 간 침전하고 물은 제거하고 아래에 가라 앉은 재를 획득하는 것을 10회 이상 수행하여 침전된 청수포도나무재를 얻고,
    청수포도나무재를 수비(水飛) 처리하고,
    상기 수비 처리된 청수포도나무재를 건조하여 건조된 청수포도나무재 10kg과 물 10L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재유약을 형성하며,
    초벌 도자기에 상기 재유약을 비중계로 30~40%의 상태에서 시유하고,
    상기 시유한 도자기를 1220~1240℃의 온도로 재벌하고,
    상기 수비 처리는,
    상기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00목의 채로 수비 처리하는 1단계;
    상기 1단계를 거친 상기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30목의 채로 수비 처리하는 2단계; 및
    상기 2단계를 거친 상기 청수포도나무재를 입도 150목의 채로 수비 처리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유약은 비중계 35%에서 시유되는,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153078A 2018-11-30 2018-11-30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102213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78A KR102213426B1 (ko) 2018-11-30 2018-11-30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078A KR102213426B1 (ko) 2018-11-30 2018-11-30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37A KR20200066037A (ko) 2020-06-09
KR102213426B1 true KR102213426B1 (ko) 2021-02-08

Family

ID=7108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078A KR102213426B1 (ko) 2018-11-30 2018-11-30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4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556B1 (ko) * 2015-08-07 2016-01-27 양웅모 황금 재 유약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842B1 (ko) 2004-08-05 2006-04-27 김선식 도자기 진사유약 조성물
KR100923752B1 (ko) * 2007-10-05 2009-10-27 천경희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KR101285122B1 (ko) * 2011-12-30 2013-07-19 이동희 대나무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556B1 (ko) * 2015-08-07 2016-01-27 양웅모 황금 재 유약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VOL.41, NO.2, PP. 158~164,20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037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556B1 (ko) 황금 재 유약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2213426B1 (ko) 청수포도나무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101639272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RU2017102239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ошка бурых макроводорослей путем перемешиван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вердых объектов из указанного порошка
KR100884087B1 (ko) 천연토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3430B1 (ko) 마늘재를 포함하는 유약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 방법
KR100978047B1 (ko) 황토 및 기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건축 내외장재에 옻칠을 도포하는 방법
KR101497835B1 (ko) 논흙을 이용한 도자기 유약과 이를 이용한 도자기 유약의 발색 방법
CN106550762A (zh) 一种荔波唇柱苣苔扦插繁殖方法
KR101945870B1 (ko) 식물체 접붙이기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KR101634383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CN104193304A (zh) 一种环保纸陶瓷及其制备方法
Silva et al. Lime-based restoration paints: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formulations using a native species from the Amazon flora and PVA-based glue as additives
Nishanthi PlAster and colour technology of ancient sri lAnKAn MurAls
Olstad et al. 17th and 18th century distemper decorative paint in wooden churches in Norway painting technique, materials and alteration
KR101556003B1 (ko) 약토를 이용한 석간주 대체용 유약 및 그 제조방법
KR100756118B1 (ko) 황토 미장방법
CN105255285B (zh) 陶瓷石英漆及其制备工艺
KR101639274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KR20160129426A (ko) 회령 유약 및 이를 이용한 회유백자의 제조방법
KR102645183B1 (ko) 갱조개를 이용한 입체 미술품 및 그 제작방법
Tsuneki Pottery and other objects from Tappeh Sang-e Chakhmaq
KR101939274B1 (ko) 침수성 화분의 제조 방법
CN111718123B (zh) 一种汝窑月白釉及其制作方法
KR101017161B1 (ko) 황토를 이용한 인공 어초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