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962B1 -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 Google Patents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962B1
KR102212962B1 KR1020200094779A KR20200094779A KR102212962B1 KR 102212962 B1 KR102212962 B1 KR 102212962B1 KR 1020200094779 A KR1020200094779 A KR 1020200094779A KR 20200094779 A KR20200094779 A KR 20200094779A KR 102212962 B1 KR102212962 B1 KR 102212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lower frame
curved
field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채호
조원준
Original Assignee
(주)쎄일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쎄일윈 filed Critical (주)쎄일윈
Priority to KR102020009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2Inclined platforms for practising drives from sl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크린 골프 연습장 등 실내에서도 실제 골프장의 필드에서와 같은 굴곡을 제공하여 트러블 샷을 연습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필드에서 미스샷을 줄이고, 스윙 연습시 미스샷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가로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사이드 받침프레임(103)이 구비된 사이드 하부 프레임과(102)과; 다수의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중앙 받침프레임(105)이 구비된 중앙 하부 프레임(104)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에 내측에 설치되고 필드 지형과 유사한 형태의 굴곡을 구현하기 위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트굴곡수단(300)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과 중앙 하부 프레임(104)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필드 지형과 유사한 굴곡을 갖도록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적층됨과 동시에 하나의 판상형으로 길게 형성된 일체형 굴곡지반매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굴곡수단(300)은,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304)와;
상기 구동모터(304)와 연결되어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308)와; 상기 구동풀리(308)와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동풀리(316)와; 상기 수동풀리(316)와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굴곡지반매트(200)를 밀어올리면서 굴곡지반과 유사한 파형의 굴곡부를 4단계로 형성하는 캠(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는,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도 길게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굴곡지반매트를 이용하여 필드와 같은 굴곡된 지반을 제공하여 현실감 있게 연습할 수 있으므로 트러블 샷과 미스샷을 줄이고, 스윙 연습시 미스샷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연습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골프 스윙시 발생하는 디봇으로 인한 충격을 줄여서 관절손상이나 인대결절 등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드연습용 굴곡매트{MAT FOR GOLF TRAINING}
본 발명은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크린 골프 연습장 등 실내에서도 실제 골프장의 필드에서와 같은 굴곡을 제공하여 트러블 샷을 연습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필드에서 미스샷을 줄이고, 스윙 연습시 미스샷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캠을 이용하여 매트를 굴곡시킬 수 있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홀컵이 형성된 일정한 코스에서 골프공을 타격하여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경기로 넓은 지역이 필요한 경기이다. 이때 필요한 지역은 필드라고 하며, 대부분 굴곡이 있는 지반에 골프장을 만들고 있다.
실제 필드에서는 티샷 이외에는 바닥이 굴곡진 부분에 골프공이 놓이게 되고, 아이언이나 우드 또는 하이브리드 클럽을 사용하여 스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자연스럽게 골프공 앞땅을 치면서 디봇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초보 골퍼인 경우에는 오르막 경사나 내리막 경사 등에서 각종 트러블 샷이나 토핑, 뒤땅 디봇 등과 같은 미스샷이 나오게 되며, 특히 스윙시에 골프공의 뒷땅을 치면서 디봇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손목, 팔, 어깨, 흉부 등 인체에 충격을 주게 되어 부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필드에 나가기 전에 스크린 골프 및 실내 연습장 등 실내에서는 사용자가 필드에서와 같이 동일한 느낌을 갖고 연습할 수 있도록 천연잔디 대신에 바닥에 매트를 깔고 그 위에 골프공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스윙 혹은 퍼팅 등과 같이 실전에서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골프연습용 매트를 간략히 설명하면, 바닥재인 고무판의 상면에 인조잔디를 접착하고 고무판의 하면에 얇은 우레탄 폼을 부착하여 스윙시 골프티나 인조잔디 위에 올려져 있는 골프공을 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인조잔디가 부착된 고무판 하면의 우레탄 폼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 다른 것으로는 바닥재인 우레탄 폼의 상면에 인조잔디를 직접 부착하여 골프공을 칠 때 충격을 직접 흡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고무판 또는 우레탄 폼 등을 인조잔디에 접착하여 성형되는 골프매트는 골프 연습자가 스윙하면서 골프공을 정확히 타격하지 못하고 매트를 칠 경우, 골프 연습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고무판은 탄성도와 경도가 매우 높아서 골프채와의 임팩트시 쿠션을 가지고 함몰되나 그 반발력 또한 매우 강하기 때문에 스윙 연습시에 매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매트에 흡수되지 못하고 연습자의 팔 또는 손목, 어깨, 흉부 등으로 다시 전달되어 부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우레탄 소재의 바닥판은 고무 소재에 비해서는 경도는 낮으나 이 역시 탄력성이 높아서 팔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팔과 손목, 어깨와 흉부 등에 부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골프 연습자들을 위하여 굴곡진 지반을 만들기 위해 바닥의 높이를 조절하여 바닥면을 경사지게 하는 등의 기술이 실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그린에서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퍼팅매트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경사를 조절하는 구성이었으며 퍼팅 또는 그린 바닥면 전체가 소정의 높이로 기울어지면서 경사를 갖는 등의 구성으로 설치되어서 필드에서의 굴곡진 지반위에서 발생하는 디봇에 대비하여 연습 효과를 얻거나 부상을 방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이유로 골프 스윙 연습시에 디봇으로 인한 손목과 팔, 흉부 및 어깨등을 손상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고 필드에서와 같이 굴곡이 이루어진 곳에서 연습이 가능하도록 굴곡매트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489961호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312860호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04870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골프장의 굴곡지반과 동일한 형태의 굴곡을 골프 스윙 연습용 바닥매트에 형성하여 트러블 샷과 미스샷을 줄이고, 스윙 연습시 미스샷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사각형상의 긴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매트를 이용하여 여러 각도의 경사를 만들어서 골프장의 실제 지형에 근접한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습용 매트의 표면을 필드와 유사한 굴곡을 형성하기 위한 굴곡수단을 제공하고, 굴곡수단은 캠을 이용하여 높낮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굴곡지반을 형성하기 위한 굴곡지반매트에 슬라이딩 또는 탄력적으로 돌아오도록 매트복귀수단을 설치하여 굴곡지반매트를 복귀시킬 수 있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드와 유사한 굴곡지반을 형성하기 위한 굴곡지반매트부를 골프공 또는 티샷의 위치 전부 및 후부에 완만한 언덕 형상으로 만들어서 스윙시 디봇을 방지하도록 연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프의 스윙시 디봇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발생하는 손목과 팔, 흉부 및 어깨 등을 손상하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필드에서와 같이 굴곡이 이루어진 지반을 구현하여 디봇에 대비한 연습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가로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사이드 받침프레임(103)이 구비된 사이드 하부 프레임과(102)과; 다수의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중앙 받침프레임(105)이 구비된 중앙 하부 프레임(104)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에 내측에 설치되고 필드 지형과 유사한 형태의 굴곡을 구현하기 위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트굴곡수단(300)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과 중앙 하부 프레임(104)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필드 지형과 유사한 굴곡을 갖도록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적층됨과 동시에 하나의 판상형으로 길게 형성된 일체형 굴곡지반매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굴곡수단(300)은,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304)와;
상기 구동모터(304)와 연결되어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308)와; 상기 구동풀리(308)와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동풀리(316)와; 상기 수동풀리(316)와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굴곡지반매트(200)를 밀어올리면서 굴곡지반과 유사한 파형의 굴곡부를 4단계로 형성하는 캠(3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곡지반매트(200)는,
중앙부에 승강홀(506)이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캠(318)에 의해 굴곡부(A)가 형성된 굴곡지반매트(2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매트복귀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복귀수단(400)은, 굴곡지반매트(20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리니어 가이드(404)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404)의 하부면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매트 사이드 받침 프레임(103)에 고정 설치되어 굴곡지반매트(200)와 고정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404)를 레일을 타고 미끄럼 이동되도록 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니어 레일(40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는, 실내 골프 연습장에서도 길게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진 굴곡지반매트를 이용하여 필드와 같은 굴곡된 지반을 제공하여 현실감 있게 연습할 수 있으므로 트러블 샷과 미스샷을 줄이고, 스윙 연습시 미스샷에 대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연습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골프 스윙시 발생하는 디봇으로 인한 충격을 줄여서 관절손상이나 인대결절 등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골프클럽과 굴곡매트 및 구동수단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클럽 및 장치의 내구성과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시예로서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가로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사이드 받침프레임(103)이 구비된 사이드 하부 프레임과(102)과; 다수의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중앙 받침프레임(105)이 구비된 중앙 하부 프레임(104)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에 내측에 설치되고 필드 지형과 유사한 형태의 굴곡을 구현하기 위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트굴곡수단(300)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과 중앙 하부 프레임(104)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필드 지형과 유사한 굴곡을 갖도록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적층됨과 동시에 하나의 판상형으로 길게 형성된 일체형 굴곡지반매트(2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드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필드연습용 굴곡매트를 설명하여 보면, 먼저, 필드 연습용 굴곡매트(100)는 골프장의 필드에서와 같이 굴곡이 있는 동일한 지반을 형성하여 골프 스윙을 연습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 양측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가운데에 설치되는 중앙 하부 프레임(104)과, 굴곡지반매트부(200)와, 매트굴곡수단(300)과, 매트복귀수단(400)과 티업수단(500)을 포함한다.
골프장의 필드에서는 굴곡된 지반에 숏티를 꽃거나 볼을 놓고 스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대부분의 골퍼들은 지면을 치면서 디봇을 만들게 된다.
디봇은 볼의 앞부분을 자연스럽게 치며 지나가는 정상적인 스윙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초보인 경우에는 볼의 뒷 땅을 치게되며 팔, 손목, 어깨, 흉부 등에 큰 충격이 전달되는 디봇이 발생한다.
이러한 디봇으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해서는 굴곡지반매트부(200)가 필요하다.
상기 필드연습용 굴곡매트(100)는 일체형으로 길게 이루어진 굴곡지반매트부(200)를 굴곡진 지형과 유사하게 굴곡을 줄 수 있도록 설치된 매트굴곡수단(300)을 포함한다.
굴곡지반매트부(200)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판상형 매트를 이용하여 필드의 굴곡 지반과 같은 굴곡을 만들어 낸다.
매트굴곡수단(300)은 굴곡지반매트부(200)를 파형으로 굴곡지게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서 골프 볼(502)의 전부 및 후부에 굴곡진 지형과 유사한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굴곡지반매트부(200)를 파형으로 굴곡지게 형성한 후 스윙하기에 적합하게 굴곡진 부분-하부면, 상부면, 굴곡 뒷면부, 굴곡 앞면부, 굴곡 상부면 등 다양한 위치에 골프볼을 놓고 스윙 연습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로 프레임(10) 및 세로 프레임(12)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이 좌측부 및 우측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가운데 부분에는 중앙 하부 프레임(1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상면부에는 매트 사이드 받침 프레임(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 하부 프레임(104)의 상면부에는 매트 중앙 받침 프레임(10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 하부 프레임(104)은 다수의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들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굴곡지반매트부(200)는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 매트 사이드 받침 프레임(103) 및 중앙 하부 프레임(104), 매트 중앙 받침 프레임(105)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내측부에는 굴곡지반매트부(200)를 파형으로 굴곡시킬 수 있는 매트굴곡수단(300)이 설치된다.
상기 굴곡지반매트부(200)는 3개의 레이어층으로 이루어지고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상면에는 인조잔디를 형성할 수 있다.
굴곡지반매트부(200)는 디봇을 방지하고 완화하기 위한 층으로서 제1 완화층(202), 손목, 팔, 흉부 등에 전달되는 인체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층으로서 제2 충격 방지층(204) 및 상기 매트굴곡수단(300)을 보호하기 위한 제3 보호층(20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완화층(202)은 연질의 실리콘 층으로 이루어지고 제2 충격방지층(204)은 연질의 이브이에이(EVA)층으로 이루어지며 제3 보호층(206)은 연질의 고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브이에이(EVA)층은 이브이에이(EVA) 85~88% 중량부, 충진제로서 경탄(CaCo4) 5-10% 중량부 및 원료분산제 및 발포제 2-10% 중량부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된 원료를 압연기에 넣고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한 후, 180℃에서 약10-25분 가열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굴곡지반매트부(200)의 각각의 층들은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 접착하여 형성한다.
매트굴곡수단(300)은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있는바, 캠(318)을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캠(318)의 편심을 이용하여 굴곡지반매트부(200)를 밀어올리면서 굴곡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캠(318)은 편심을 이용하되 위상차가 4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회전시키면서 굴곡지반매트부(200)를 캠(318)으로 밀어올려서 높이를 조절하면서 파형의 굴곡을 4단계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중앙부에는 승강홀(50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홀(506)을 통과하여 티업수단(500)이 올라오도록 승강 설치된다.
상기 매트굴곡수단(300)은 매트 사이드 프레임(102)의 내측부에 고정 설치되고 굴곡지반매트부(102)의 하부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서 캠(318)의 회전에 따라 여러단계의 높이를 갖도록 굴곡시킨다.
매트굴곡수단(300)은 우선,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과, 그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에는 사각 판넬로 이루어지고 엘(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터 브라켓(30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 브라켓(302)에는 구동모터(30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304)에는 구동축(30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306)에는 구동풀리(30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풀리(308)에는 구동벨트(31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걸려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벨트(310)의 타단부에는 수동풀리(316)가 연결 설치되어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동풀리(316)는 캠축(316)에 결합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캠축(316)은 캠(318)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318)은 캠브라켓(312)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캠브라켓(312)은 전술된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에 고정 설치된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드 연습용 굴곡매트(100)는 바닥과 접하는 아래 부분에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과 중앙 하부 프레임(10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 및 중앙 하부 프레임(104)의 상부에는 각각 매트 사이드 받침 프레임(103)과 매트 중앙 받침 프레임(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매트 사이드 프레임(103)의 상부에는 매트복귀수단(40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매트복귀수단(400)의 상면부에는 굴곡지반매트부(200)가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즉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일측단 하면부와 매트복귀수단(400)의 상부면이 서로 접하도록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일단이 상기 매트복귀수단(40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매트굴곡수단(300)의 편심된 캠(318) 동작에 의해 올라가면서 굴곡이 형성됨에 따라서 매트의 중앙단은 언덕형태와 같이 굴곡진 둔덕이 생기면서 위로 올라가고 이에 따라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일끝단부가 화살표 방향 같이 좌우로 슬라이딩 되면서 당겨졌다가 굴곡지반매트의 자중에 의해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복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굴곡지반매트는 원할하고 부드러운 미끄럼 복귀를 위하여 말단부 또는 중단부에 어느 정도의 하중이 후방으로 가해지도록 무게추(도면부호 도시안함)를 설치하여 캠의 4단계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굴곡매트는 캠(318)의 편심을 이용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고 적어도 4단계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캠(318)의 편심의 거리에 따라 4단계의 높이를 갖는 굴곡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굴곡의 반경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캠(318)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원통형 캠을 사용하지만 어떤 형태라도 가능하고 소정의 거리로 이격하여 각각 2개 이상의 캠을 설치함으로써 캠의 위상차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어서,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에는 매트굴곡수단(300)이 설치되는바, 상기 매트굴곡수단(300)은, 굴곡지반매트부(200)를 위로 밀어 올릴 수 있게 접촉되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좀 더 부언 설명하면 먼저, 매트 사이드 받침 프레임(103) 일측면에 모터 브라켓(302)의 상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 브라켓(302)에는 구동축(306)을 구비한 구동모터(304)가 고정 설치된다.
구동축(306)에는 구동풀리(308)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구동풀리(308)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수동풀리(312) 및 캠(318)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318)은 원통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동풀리(316)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편심된 축을 가지고 회전한다.
이와 같이 편심된 캠(318)의 외주면은 상기 전술된 굴곡지반매트부(200)의 하면을 밀어 올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캠(318)이 회전함에 따라 굴곡지반매트부(200)가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이다. 이때, 굴곡지반매트부(200)가 밀어올려지는 높이는 상기 캠(318)의 편심거리에 대응하여 상승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캠(318)에 의해 상방향으로 밀어올려지면서 파형의 굴곡 또는 작은 언덕과 같은 형태의 굴곡부가 형성된다.
스윙 연습시에는 굴곡부(A)의 상면에 볼을 놓고 스윙을 해도 되고, 굴곡부(A)의 전후부 어느 위치에 놓고 연습해도 무방하다.
하나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판상의 굴곡지반매트부(200)로 이루어진 굴곡부(A)를 이용하여 디봇을 방지하기 위한 스윙 연습을 한다.
스윙 연습시 클럽으로 뒷땅을 치는 디봇을 방지하여 최적의 연습효과를 발휘하게 되고, 클럽의 충격시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트굴곡수단(300)은 상기 굴곡지반매트부(200)의 하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서 캠(318)으로 밀어 올리면서 굴곡을 만들게 된다.
한편, 굴곡지반매트부(200)의 하면부에 연결 고정되는 매트복귀수단(400)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리니어 레일(402)과, 상기 리니어 레일(402)의 상부에 결합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리니어 가이드(40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복귀수단(400)이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일단에 고정되어 굴곡지반매트부(200)를 미끄럼 이동시키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시키면서 복귀시킨다.
상기 매트복귀수단(400)은 본 발명에서는 리니어 레일과 리니어 가이드를 사용하였으나 더 나아가서는 일단의 끝 부분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늘어났다가 탄력적으로 복귀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매트복귀수단(400)은 본 발명에서는 리니어 레일과 스프링을 이용하였으나 더욱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중앙 하부 프레임(104)에는 티업수단(500)이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티업수단(500)은 골프볼(502)과, 상기 골프볼(502)이 놓여지는 골프티(504)와, 상기 골프티(504)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하 승강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조절부(508)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조절부(508)는 상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골프티(504)의 하단에 결합되는 승강구(512)와, 상기 승강구(512)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시키는 서보모터(510)를 포함한다.
상기 서보모터(512)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서보모터(512)에 의해 상기 승강구(512)가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승강구(512)에 설치된 골프티(504)가 승강홀(506)을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굴곡지반매트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실시도로써, 매트굴곡수단(300,301)이 동작하기 전의 상태에서 4단계로 동작하면서 완만한 굴곡을 형성하는 매트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굴곡매트수단에는 압축스프링을 사용한 경우, 그 실시예의 동작으로 우측단부를 고정한 후, 동작을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인장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인장 스프링의 특성상 좌측단부를 고정하고 탄력적으로 복귀하는 동작은 후술되는 압축 스프링과 반대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의 권리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매트복쉬수단의 동작을 설명하여 보면, 첫째 단계로 매트굴곡수단(300,301)의 캠(318)이 회전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둘째 단계로 매트굴곡수단(300,301)의 캠(318)이 90도 회전하여 굴곡지반매트부(200)를 밀어 올리면서 낮은 형태의 굴곡을 형성한다. 이때,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양단 끝에 설치된 매트복귀수단(400)은 1차적으로 서서히 중앙을 향해서 압축되고 굴곡지반매트부(200)의 끝단부는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중앙부를 향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 단계로 매트굴곡수단(300,301)의 캠(318)이 180도 회전하면 굴곡지반매트브(200)가 상기 캠(318)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서 중간 높이의 굴곡 형태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이때,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양단 끝에 설치된 매트복귀수단(400)은 2차적으로 더욱 압축되고 굴곡지반매트부(200)의 끝단부가 중앙부를 향하여 끌려가면서 솟아 오른다.
넷째 단계로 매트굴곡수단(300,301)의 캠(318)이 270도 회전하면 굴곡지반매트부(200)가 최고점에 위치하게 되면서 굴곡지반매트(200)가 최고 높이의 굴곡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굴곡지반매트부(200)의 양단 끝에 설치된 매트복귀수단(400)도 최대 상태로 압축되어지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자 하는 탄성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매트굴곡수단(300,301)의 캠(318)이 다시 회전하여 첫째단계와 같이 회전하면 매트복귀수단(400) 역시 탄력적으로 굴곡지반매트(200)를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설명은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매트복귀수단(400)을 탄력적으로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였을 경우 설명한 것으로 예를들어 인장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탄력성을 이용하지만 상호작용은 반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가로 프레임 12 : 세로 프레임
100 :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102 : 사이드 하부 프레임
104 : 중앙 하부 프레임 200 : 굴곡지반매트부
202 : 제1 완화층 204 : 제2 충격방지층
206 : 제3 보호층
300,301 : 매트굴곡수단 302 : 모터 브라켓
304 : 구동모터 306 : 구동축
308 : 구동풀리 310 : 구동벨트
312 : 캠 브라켓 314 : 캠축
316 : 수동풀리 318 : 캠
400 : 매트복귀수단 402 : 리니어 레일
404 : 리니어 가이드
500 : 티업수단 502 : 볼
504 : 골프티 506 : 승강홀
508 : 승강 조절부 510 : 서보모터
512 : 승강구

Claims (3)

  1. 다수의 가로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사이드 받침프레임(103)이 구비된 사이드 하부 프레임과(102)과;
    다수의 가로 프레임(10)과 세로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박스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에는 매트 중앙 받침프레임(105)이 구비된 중앙 하부 프레임(104)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에 내측에 설치되고 필드 지형과 유사한 형태의 굴곡을 구현하기 위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트굴곡수단(300)과;
    상기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과 중앙 하부 프레임(104)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필드 지형과 유사한 굴곡을 갖도록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적층됨과 동시에 하나의 판상형으로 길게 형성된 일체형 굴곡지반매트(200)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굴곡수단(300)은,
    사이드 하부 프레임(102)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304)와;
    상기 구동모터(304)와 연결되어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308)와;
    상기 구동풀리(308)와 구동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는 수동풀리(316)와;
    상기 수동풀리(316)와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굴곡지반매트(200)를 밀어올리면서 굴곡지반과 유사한 파형의 굴곡부를 4단계로 형성하는 캠(318)을 포함하되,
    상기 굴곡지반매트(200)는,
    중앙부에 승강홀(506)이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캠(318)에 의해 굴곡부(A)가 형성된 굴곡지반매트(20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매트복귀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복귀수단(400)은,
    굴곡지반매트(200)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리니어 가이드(404)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404)의 하부면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타측부는 매트 사이드 받침 프레임(103)에 고정 설치되어 굴곡지반매트(200)와 고정 설치된 리니어 가이드(404)를 레일을 타고 미끄럼 이동되도록 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니어 레일(4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KR1020200094779A 2020-07-29 2020-07-29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KR102212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79A KR102212962B1 (ko) 2020-07-29 2020-07-29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779A KR102212962B1 (ko) 2020-07-29 2020-07-29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962B1 true KR102212962B1 (ko) 2021-02-05

Family

ID=7455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779A KR102212962B1 (ko) 2020-07-29 2020-07-29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9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795B1 (ko) * 1996-06-04 1999-06-15 원대희 골프 퍼팅연습기
KR200312860Y1 (ko) 2003-02-25 2003-05-16 김재건 골프연습용 매트
KR100487058B1 (ko) 2002-02-23 2005-05-03 학교법인 호서학원 3차원 골프퍼팅연습장치
KR100489961B1 (ko) 2003-04-01 2005-05-17 (주) 골프존 경사가 조절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용 발판
KR101386785B1 (ko) * 2013-12-18 2014-04-21 윤지욱 실내골프연습장용 바닥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795B1 (ko) * 1996-06-04 1999-06-15 원대희 골프 퍼팅연습기
KR100487058B1 (ko) 2002-02-23 2005-05-03 학교법인 호서학원 3차원 골프퍼팅연습장치
KR200312860Y1 (ko) 2003-02-25 2003-05-16 김재건 골프연습용 매트
KR100489961B1 (ko) 2003-04-01 2005-05-17 (주) 골프존 경사가 조절되는 골프 스윙 연습 장치용 발판
KR101386785B1 (ko) * 2013-12-18 2014-04-21 윤지욱 실내골프연습장용 바닥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478A (en) Powered tiltable platform
US4311312A (en) Elastic cord suspended golf practice pad
US4387896A (en) Slidable golf practice device
US5135228A (en) Practice attachment for golf clubs
CN101155619B (zh) 便携式高尔夫球训练装置
US8216091B2 (en) Sliding impulse device
KR102213001B1 (ko)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US5803826A (en) User-friendly golf swing practice mat
KR102212962B1 (ko)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KR102212916B1 (ko) 필드연습용 굴곡매트
KR100912010B1 (ko) 다이나믹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100912011B1 (ko) 다이나믹 회전식 골프 그린 구현 장치
KR100694182B1 (ko) 골프연습용 매트
US5564706A (en) Practice putting green
US7727088B2 (en) Sliding impulse device
US20110183772A1 (en) Golf Training Device
KR102289227B1 (ko) 골프연습을 위한 경사지 매트
KR20220000789A (ko) 리얼라이 구현 플레이트
KR20010025627A (ko) 골프연습기
KR10094601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101059376B1 (ko) 다양한 잔디선택이 가능한 골프연습장치
KR101960358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KR102451942B1 (ko) 러프 매트
CN216629553U (zh) 户外景观智能腹部训练器
US11389708B2 (en) Swing training assembly for swing sports including golf, baseball, tennis or hoc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