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582B1 -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582B1
KR102212582B1 KR1020200145862A KR20200145862A KR102212582B1 KR 102212582 B1 KR102212582 B1 KR 102212582B1 KR 1020200145862 A KR1020200145862 A KR 1020200145862A KR 20200145862 A KR20200145862 A KR 20200145862A KR 102212582 B1 KR102212582 B1 KR 102212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exterior material
phenolic resin
eco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균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Priority to KR102020014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582B1/ko
Priority to US18/035,422 priority patent/US20230405985A1/en
Priority to PCT/KR2021/009198 priority patent/WO20220978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1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1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 C08J5/24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using inorganic fibres using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4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 C08J5/249Impregnating materials with prepolymers which can be polymerised in situ, e.g. manufacture of prepreg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re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L61/14Modified phenol-aldehyde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9D1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9D161/14Modified phenol-aldehyde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7Parts immersed or impregnated in a matrix
    • B32B2305/076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18Fabrics,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32B2315/085Glass fiber cloth or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5Paper, e.g. cardboard impregnated with thermosetting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J23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J2361/0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with monohydric phenols
    • C08J2361/10Phenol-formaldehyde condens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61/00 - C08J2377/00
    • C08J23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로 종이 또는 직물 기재를 함침하여 형성되는 심재부(10); 종이 기재를 멜라민수지로 함침하여 형성되고, 상기 심재부의 적어도 일 면에 접합되는 외피부(20); 상기 외피부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이 형성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ECO-FRIENDLY SEMI-NON-COMBUSTIBLE EXTERIOR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연성, 난연성 및 황변방지 성능이 우수한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장재는 이미지 제고를 위한 장식성이 중요하지만 이에 더하여 내구성, 내화성, 친환경성, 경제성, 시공성 등의 기능성이 요구된다. 특히, 건물 외관은 외부의 온도 변화에도 건물 내부의 온도를 다소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단열재를 시공해야 한다. 전통적인 단열 공법은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를 끼우는 방식이지만, 이 방식은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여 시공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건축비 상승 요인이 되며 공사기간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라이비트 공법이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었고, 상기 드라이비트 공법은 건물의 벽 외부에 직접 접착제를 바르고 단열재를 접착한 후 그 위에 마감재를 도포하여 보호막을 형성하는 개념으로 기존의 단열 시공에 비해 건축비가 현저하게 절감되고, 시공 및 외벽의 리모델링이 용이하다. 다만, 상기 드라이비트 공법으로 형성된 외벽은 화재에 매우 취약하며, 사용되는 단열재를 불연재로 사용하면 해결되는 문제점이나, 현실적으로 값비싼 불연재를 사용할 경우 드라이비트 공법의 가장 큰 장점인 시공비 절감이 희석되므로 일반적으로 스티로폼 같은 저렴한 단열재를 사용해왔다.
특히, 국내의 경우 도시형 생활주택인 중소형 오피스텔 및 원룸 건물이 도심지에 빽빽하게 건설되어 있는데, 이들의 시공 시 건축주의 입장에서 최대한 빠르고 저렴하게 건물을 지어 수익성을 창출해야 하므로 드라이비트 공법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지어진 건물들은 화재 발생 시 값싼 단열재가 불쏘시개 역할을 하여 급격하게 불이 번지고,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대형 화재로 이어지고, 이에 따른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되었다. 그 예로, 2015년에 발생한 의정부 아파트 화재사고와 2017년에 발생한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사고를 들 수 있고, 모두 건물 외벽을 타고 빠르게 불이 번지면서 대형 화재사고가 되었다.
이와 같은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2019년 11월 7일부터 건축물 화재안전기준을 강화한 “건축법 시행령” 개정안이 본격 시행되었다. 개정안에 따르면 어린이집, 학교, 병원에는 층고나 높이와 상관없이 스티로폼처럼 불이 잘 붙는 가연성 외장재 사용이 전면금지되고, 근린생활시설 등을 포함한 모든 건축물은 3층 이상 또는 9m 이상은 가연성 외장재 사용이 금지되었고, 외벽을 구성하는 모든 재료를 대상으로 지정되었다.
건축자재의 난연성능은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으로 나뉘며, 3층 이상 건축물, 어린이와 노인 등이 이용하는 건축물의 경우 10분 이상 불에 타지 않는 준불연 이상의 외장재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건축법에 따른 난연성능을 만족하면서도 내후성 및 심미성이 우수한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마감용 자재로서 난연성 및 불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내후성이 향상되어 외장재의 황변성능이 우수하고, 심미성이 및 장식성이 제고된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로 종이 또는 직물 기재를 함침하여 형성되는 심재부(10); 종이 기재를 멜라민수지로 함침하여 형성되고, 상기 심재부의 적어도 일 면에 접합되는 외피부(20); 상기 외피부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이 형성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심재부의 기재는 무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화이바글라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난연제는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페놀수지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 트라이아진 변성 페놀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수지는 UV 흡수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의 기재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염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옥사닐라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의 두께는 8~10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a) 무기 난연제가 충진된 페놀수지 및 멜라민수지를 각각의 함침조에 투입하여 페놀수지 함침액 및 멜라민수지 함침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페놀수지 함침액에 화이바글라스 기재를 함침하여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하여 모양지 함침지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하나 이상의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조합하여 심재부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하나 이상의 모양지 함침지로 조합하여 외피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기 심재부의 적어도 일 면 상에 접합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외피부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페놀수지는, (ⅰ) 산 촉매 하에서 페놀수지 합성 단계; (ⅱ) 상기 (ⅰ)에서 합성된 페놀수지에 프로파르길 할라이드를 반응시켜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ⅱ)에서 수득된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에 벤질 아자이드를 반응시켜 트라이아졸을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ⅱ)는 DMF 용매 하에서 정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도록 염기를 첨가하고, 상기 (ⅲ)는 클릭 화학 반응에 의해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의 알카인과 벤질 아자이드의 아지드가 반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페놀수지 함침액은 100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 트라이아진 변성 페놀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10~15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멜라민수지 함침액은 UV 흡수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모양지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염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옥사닐라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의 RC(Resin Content)량은 90~95중량%이고, VC(Volatile Content)량은 2~3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모양지 함침지의 RC(Resin Content)량은 55~65중량%이고, VC(Volatile Content)량은 5~6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은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로 종이 또는 직물 기재를 함침하여 형성되는 심재부, 종이 기재를 멜라민수지로 함침하여 형성되는 외피부를 포함함으로써 난연성 및 불연성이 향상되어 화재 시 대형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UV 필름에 의해 자외선 차단효과를 부여하여 변색방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것으로 UV 필름의 자외선 차단 메커니즘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로 기재를 함침하여 형성되는 심재부(10); 종이와 직물을 적층시킨 기재를 멜라민수지로 함침하여 형성되고, 상기 심재부(10)의 적어도 일 면에 접합되는 외피부(20); 상기 외피부(20, 20')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이 형성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는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로 기재를 함침하여 형성되는 심재부(10)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심재부(10)의 기재는 무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화이바글라스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난연제는 상기 화이바글라스에 포함되어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무기 난연제는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난연제의 평균 입경이 5~300㎛일 수 있다. 상기 입경은 입도분석기(Particle Size Analysis)에서 누적 50%에 해당하는 메디안 지름(median size)이다. 상기 난연 무기제의 입경이 하한치에 미달하면 점도가 증가되어 함침 공정 등의 성형성이 저하되고, 상한치를 초과하면 후속되는 적층ㆍ접합 공정에서 접합력 약화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페놀수지는 페놀, 크레졸 등의 페놀 수지류에 알데히드류를 혼합하고 염기 또는 산 촉매 하에서 반응하여 생성된 것에 프로파르길 치환 후 벤질 아자이드 반응에 의해 트라이아졸을 도입한 페놀수지일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형성된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는 일반적인 페놀수지에 비해 난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브롬 또는 염소를 포함하지 않아 연소과정에서 유해성 화학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성 및 안정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난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페놀수지 함침액에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 트라이아진 변성 페놀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는 종이 기재를 멜라민수지로 함침하여 형성되고, 상기 심재부(10)의 적어도 일 면에 접합되는 외피부(20, 20')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피부(20, 20')의 기재는 모양지일 수 있고, 상기 모양지층에 멜라민수지가 함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양지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고온에서 변형이 없는 종류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종이가 모양지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모양지에 멜라민수지를 함침할 때, 멜라민수지의 함침액에 멜라민 고형분에 콜로이달 실리카 또는 유리질화 프릿츠, 난연제 등을 첨가하여 조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외피부(20, 20')는 상기 심재부(10)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심재부(10)의 일 면에 하나의 외피부(2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심재부(10)의 양 면에 2개의 외피부(20, 20')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멜라민수지는 자외선 흡수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외장재에 조사된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것으로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모양지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안정제는 수지 상에 자외선이 흡수됨으로써 생성되는 폴리머 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옥사닐라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는 상기 외피부(20)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멜라민수지,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등의 일반적인 수지들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상기 자외선을 흡수하여 폴리머 라디칼이 형성되고, 상기 라디칼은 광 산화, 증식 등의 과정을 거쳐 자유라디칼의 재결합에 의한 연쇄결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지의 광택 손실, 크랙, 황변, 부풀어오름, 탈색 등의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는 페놀수지를 포함하는 심재부(10) 및 멜라민수지를 포함하는 외피부(20, 2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외장재가 외부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시 자외선에 따른 황변 및 변색될 수 있어, 내후성, 내구성 및 심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는 PMMA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을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후성, 안정성 및 변색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UV 필름의 자외선 차단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최외각에 형성된 UV 필름(3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상기 UV 필름(30)에서 대부분의 자외선이 차단될 수 있고, 상기 잔량의 자외선 만이 상기 외피부(20, 20')에 흡수되어, 자외선 흡수량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외장재의 변색을 지연시켜 변색 방지 성능 및 내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외피부(20, 20')가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염료로 형성된 모양지, UV 흡수제를 더 포함하는 멜라민수지 또는 이를 동시에 포함하는 외피부(20, 20')일 경우 흡수되는 잔량의 자외선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변색방지 성능 및 내후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외장재의 두께는 8~10T일 수 있고, 예를 들어, 8T, 8.5T, 9T, 9.5T 또는 10T일 수 있다. 상기 외장재 두께가 8T 미만이면 내후성 및 변색방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10T 초과이면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져 내구성 및 심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a) 무기 난연제가 충진된 페놀수지 및 멜라민수지를 각각의 함침조에 투입하여 페놀수지 함침액 및 멜라민수지 함침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페놀수지 함침액에 화이바글라스 기재를 함침하여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하여 모양지 함침지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하나 이상의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조합하여 심재부(10)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하나 이상의 모양지 함침지로 조합하여 외피부(20, 20')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20, 20')는 상기 심재부(10)의 적어도 일 면 상에 접합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외피부(20, 20')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a) 단계에서 무기 난연제가 충진된 페놀수지 및 멜라민수지를 각각의 함침조에 투입하여 페놀수지 함침액 및 멜라민수지 함침액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페놀수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염기 또는 산 촉매 하에서 반응될 수 있으나, 산 촉매가 더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a) 단계의 페놀수지는, (ⅰ) 산 촉매 하에서 페놀수지 합성 단계; (ⅱ) 상기 (ⅰ)에서 합성된 페놀수지에 프로파르길 할라이드를 반응시켜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ⅱ)에서 수득된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에 벤질 아자이드를 반응시켜 트라이아졸을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ⅱ)는 DMF 용매 하에서 정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도록 염기를 첨가하고, 상기 (ⅲ)는 클릭 화학 반응에 의해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의 알카인과 벤질 아자이드의 아지드가 반응한 것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ⅰ)에서, 산 촉매, 바람직하게는 1M 염산 하에 37% 포름알데하이드 수용액과 페놀을 1:0.66 몰비로 42~55℃, 바람직하게는 50℃에서 중합한 후, 혼합물을 90~100℃, 바람직하게는 95℃에서 85~95분, 바람직하게는 90분 동안 교반한다. 교반이 완료된 혼합물 중 미반응 페놀, 포름알데하이드 그리고 촉매를 90℃의 증류수로 세척하여 제거한 후, 상기 증류수는 회전증발농축하여 제거한다. 상기 회전증발농축이 완료되면 연노랑색의 투명한 페놀수지, 바람직하게는 노볼락이 얻어진다.
상기 (ⅱ)에서 페놀수지를 20~27℃, 바람직하게는 25℃ 내외의 실온에서 용매에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정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도록 염을 첨가해서 pH8~12 정도의 염기상태로 만들어 주면 보라색 수용액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다이메톡시에탄(DME),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다이에틸에테르, 다이클로로메탄 및 클로로포름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를 이용하고, 염은 염기를 사용하여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 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을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카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고, 아미노기의 기타 염으로는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해물에 프로파르길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프로파르길 브로마이드(propargyl bromide)를 30분 간격으로 적하시킨 후, 50~60℃로 가열하여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물은 보라색에서 연노랑색으로 변한다. 상기 반응물에 반응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브롬화칼륨을 첨가하고 잔사 염은 여과하고 과량의 프로파르길 브로마이드(propargyl bromide)는 진공하에서 제거하여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가 수득된다.
상기 (ⅲ)에서, 용매하에 상기 (ⅱ)에서 합성된 프로파르길(propargyl)이 치환된 페놀수지에 아자이드화물, 바람직하게는 벤질 아자이드를 교반하고, 전자를 끌어주어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촉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 구리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에 프로파르길(propargyl)이 치환된 페놀수지의 알카인과 벤질 아자이드의 아지드는 클릭 화학 반응을 통해 트리아졸을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용매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메탄올, 에탄올,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다이메톡시에탄(DME), 다이메틸설폭시드(DMSO), 다이에틸에테르, 다이클로로메탄 및 클로로포름 등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를 사용한다. 상기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물 중 잔사는 여과하고 반응물은 용매로 추출하여 진공농축한다. 이때, 용매는 물을 사용한다. 상기 진공농축이 완료되면, 트라이아졸을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수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 촉매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페놀수지 함침액에 화이바글라스 기재를 함침하여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제조할 수 있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하여 모양지 함침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b) 및 (c)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함침액에 함침 기재를 담지하고 꺼내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종이 내부의 공기를 제거할 수 있고, 기재에 수지를 충분히 침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의 멜라민수지 함침액은 100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 트라이아진 변성 페놀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10~15중량부 첨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멜라민수지 함침액 100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 트라이아진 변성 페놀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10중량부, 11중량부, 12중량부, 13중량부, 14중량부 및 1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첨가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중량부 초과이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첨가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의 페놀수지 함침액은 UV 흡수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의 모양지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염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옥사닐라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UV 흡수제 및 UV 안정제는 상기 UV 필름(30)에서 차단하지 못한 자외선을 열에너지 전환 및 라디칼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외장재의 황변 성능 및 변색방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후성 및 외장재 수명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에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의 RC(Resin Content)량은 90~95중량%이고, VC(Volatile Content)량은 2~3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RC(Resin Content)량”은 도포되는 수지량이고, “VC(Volatile Content)량”은 건조 후 잔류하는 휘발분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외장재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상기 화이바글라스 함침지의 RC(Resin Content)량 및 VC(Volatile Content)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적거나 많은 경우 층 간의 박리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어 상기 외장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모양지 함침지의 RC(Resin Content)량은 55~65중량%이고, VC(Volatile Content)량은 5~6중량%일 수 있고, 상기 모양지의 RC(Resin Content)량 및 VC(Volatile Content)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 너무 적거나 많은 경우 층 간의 박리가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어 상기 외장재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및 (c) 단계는 10~15m/min 및 130~140℃에서 건조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조 후 상기 화이바글라스 함침지 및 모양지 함침지에 함침되어 잔류되는 비휘발성 성분은 후술되는 조합하여 외장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접착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외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조합하여 심재부(10)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양지 함침지를 조합하여 외피부(20, 20')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20, 20')는 상기 심재부(10)의 적어도 일 면 상에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d) 및 (e) 단계에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 및 모양지 함침지는 구현하고자 하는 두께에 따라 조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매, 3매, 4매, 5매, 6매, 7매, 8매, 9매 또는 10매 이상 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외피부(20, 20')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을 형성함으로써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MMA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은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외장재의 내후성 및 변색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UV 필름(30)의 자외선 차단 메커니즘, UV 필름의 두께 및 이에 따른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1M의 염산 존재 하에서 37%인 포름알데히드 및 페놀을 1 : 0.66몰비로 50℃에서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95℃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종료된 후 미반응 페놀, 포름알데히드 및 촉매를 90℃의 증류수로 세척 및 제거하여 페놀수지를 수득하였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존재 하에서 수산화나트륨 5g을 첨가하고, 상기 페놀수지를 프로파르길 브로마이드 15g을 30분 간격으로 적하시킨 후 65℃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상기 반응물에 브롬화칼륨을 첨가하여 잔사 염을 여과하고 과량의 프로파르길 브로마이드를 진공 하에 제거과정을 거쳐 프로파르길 치환 페놀수지를 수득하였다. 다이메틸폼아마이드(DMF) 존재 하에서 벤질 아자이드 5g 및 요오드화구리 250㎎을 첨가하고, 상기 프로파르길 치환 페놀수지와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물 중 잔여 요오드화구리 및 브롬화나트륨을 여과하고 용매로 추출하여 진공농축과정을 거쳐 트라이아졸을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수득하였다.
제조된 트라이아졸을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산화 알루미늄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화이바글라스 부직포를 도포수지량(RC) 90중량% 및 잔류휘발분량(VC) 2.5중량%가 되도록 함침시킨 후 135℃에서 건조시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제조하였다.
멜라민수지 함침액 100중량부에 대해 모양지를 도포수지량(RC) 60중량% 및 잔류휘발분량(VC) 5.5중량%가 되도록 함침시킨 후 135℃에서 건조시켜 모양지 함침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20매 조합 및 적층시켜 성형기로 150℃, 60kgf/㎠ 및 40분 동안 가열 가압하여 심재부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모양지 함침지를 10매씩 2묶음을 조합 및 적층시켜 성형기로 150℃, 60kgf/㎠ 및 40분 동안 가열 가압하여 2개의 외피부를 제조하였다.
멜라민용으로 하도처리된 PMMA UV필름을 제조하였다.
모양지 함침지, 화이바글라스 함침지, 모양지 함침지 및 PMMA UV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150℃, 60kgf/㎠ 및 40분 동안 가열 가압하여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페놀수지 함침액 100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10중량부가 첨가된 함침액에 모양지를 도포수지량(RC) 90중량% 및 잔류휘발분량(VC) 2.5중량%가 되도록 함침시킨 후 135℃에서 건조시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M의 염산 존재 하에서 37%인 포름알데히드 및 페놀을 1 : 0.66몰비로 50℃에서 반응시킨 후 혼합물을 95℃에서 90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이 종료된 후 미반응 페놀, 포름알데히드 및 촉매를 90℃의 증류수로 세척 및 제거하여 페놀수지를 수득하였다.
제조된 페놀수지를 산화 알루미늄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화이바글라스 부직포를 도포수지량(RC) 90중량% 및 잔류휘발분량(VC) 2.5중량%가 되도록 함침시킨 후 135℃에서 건조시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제조하였다.
멜라민수지 함침액 100중량부에 대해 함침액에 모양지를 도포수지량(RC) 60중량% 및 잔류휘발분량(VC) 5.5중량%가 되도록 함침시킨 후 135℃에서 건조시켜 모양지 함침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20매 조합 및 적층시켜 성형기로 150℃, 60kgf/㎠ 및 40분 동안 가열 가압하여 심재부를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모양지 함침지를 10매씩 2묶음을 조합 및 적층시켜 성형기로 150℃, 60kgf/㎠ 및 40분 동안 가열 가압하여 2개의 외피부를 제조하였다.
모양지 함침지, 화이바글라스 함침지 및 모양지 함침지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150℃, 60kgf/㎠ 및 40분 동안 가열 가압하여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PMMA UV 필름을 모양지 함침지 상에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면,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를 포함하여 심재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면,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UV 필름을 모양지 함침지 상에 형성시킨 것을 제외하면, 비교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외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황변성능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황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촉진 내후성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진행방법은 KS F 2274:2018, KS A 0063:2015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외장재 시트를 4㎝X 4㎝의 크기의 샘플로 제작한 후, 제논-아크 램프에 3,000 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3,000 시간 경과 후 램프 조사 전과 후의 색도를 측정하여 색의 변화 정도인 색차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색차(ΔE*ab)
실시예 1 0.7
실시예 2 0.8
비교예 1 4.6
비교예 2 3.7
비교예 3 4.0
비교예 4 3.8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2의 외장재는 색차 값이 0.7 및 0.8로 황변이 거의 진행되지 않아 내후성 및 변색방지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심재부가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PMMA UV 필름을 포함하여 외장재가 제조됨으로써 황변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후성 및 변색방지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 반응을 통해 생성된 종래 페놀수지를 포함하고, UV 필름을 생략하여 제조된 비교예 1의 경우 자외선의 차단없이 외장재의 최외각 면에 위치한 외피부로 자외선이 조사 및 흡수됨으로써 멜라민수지가 자외선과 반응하여 황변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3,000시간 후 색차 값이 4.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내어 내후성 및 변색방지 성능이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에 PMMA 필름을 추가한 비교예 2의 경우 UV 필름에 의해 자외선이 일부 차단되었으나, 잔량의 자외선에 의해 비교예 1보다는 낮은 색차 값을 나타내었으나, 황변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V 필름이 생략된 비교예 3의 경우에도 황변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UV 필름을 포함한 비교예 4의 경우 자외선이 일부 차단되었으나, PMMA UV 필름에 비해 차단력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불연성능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불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열방출 시험 및 가스유해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진행방법은 각각 KS F ISO 5660-1:2015 및 KS F 2271:2016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외장재 시트를 30㎝X 30㎝의 크기의 샘플로 제작하였다.
열방출 시험은 샘플을 가열 개시 후 10분 간 총방출열량 및 10분 간의 10초 이상 지속되는 최대 열방출률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가스유해성 시험은 시험용 흰 쥐를 연소가스에 노출시켰을 때 나타내는 흰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min)을 측정하는 것으로, 220㎜ X 220㎜의 시험상자를 준비하고, 시험용 흰 쥐(ICR계 암놈, 5주령, 18~22g)을 한 마리씩 넣은 회전 바구니 8개를 시험상자에 투입하고, 가열시간 6분 동안은 배기구를 개방하고, 이 후에는 시험상자 내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도록 배기구를 차단하고, 가열시작 후 15분 동안 각각의 시험용 흰 쥐가 행동을 정지할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 값을 계산하였고, 총 2그룹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열방출시험 총방출열량
(MJ/㎡)
2.3 2.6 8.7 8.8 3.4 3.6
열방출률이 연속으로 200Kw/㎡을 초과하는 시간(s) 0 0 3 2 0 0
샘플을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여부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없음 없음
가스
유해성시험
평균
행동정지
시간(min)
10:04 9:49 7:27 7:48 9:21 9:11
준불연재료 기준(건축법 시행령 제2조)
-총방출열량: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 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가 준불연재료 기준을 만족함
-10초 이상 지속되는 최대 열방출률: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 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아니함
-가열 완료 후 샘플을 관통하는 방화 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 하며, 복합자재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지 아니함
가스유해성시험
-평균행동정지시간(min): 2그룹의 시험을 진행하고 평균 행동정지시간이 9분 이상일 경우 합격함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및 2의 외장재는 열방출 시험의 모든 평가항목기준을 통과함으로써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준불연재료 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가스유해성 시험 기준도 통과하여 안정성의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가 건축물에 적용될 시 난연성 및 불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변색방지 효과가 있어 내후성이 우수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 페놀수지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열방출 시험 및 가스유해성 시험에서 모두 기준을 미달하여 불연성 및 난연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를 포함하는 비교예 3 및 4는 준불연 시험기준을 만족하였으나, UV 필름을 포함하지 않거나 PU아크릴레이트 필름으로 대체되어 황변이 발생하여 내후성이 불량하여 본 발명의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에 비해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심재부
20: 외피부
20': 외피부
30: UV 필름

Claims (14)

  1.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로 종이 또는 직물 기재를 함침하여 형성되는 심재부(10);
    종이 기재를 멜라민수지로 함침하여 형성되고, 상기 심재부의 적어도 일 면에 접합되는 외피부(20);
    상기 외피부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30);이 형성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부의 기재는 무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화이바글라스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난연제는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수지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 트라이아진 변성 페놀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수지는 UV 흡수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의 기재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염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옥사닐라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의 두께는 8~10T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8. (a) 무기 난연제가 충진된 페놀수지 및 멜라민수지를 각각의 함침조에 투입하여 페놀수지 함침액 및 멜라민수지 함침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페놀수지 함침액에 화이바글라스 기재를 함침하여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멜라민수지 함침액에 모양지를 함침하여 모양지 함침지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하나 이상의 화이바글라스 함침지를 조합하여 심재부를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하나 이상의 모양지 함침지로 조합하여 외피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부는 상기 심재부의 적어도 일 면 상에 접합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외피부의 적어도 일 면 상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UV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페놀수지는,
    (ⅰ) 산 촉매 하에서 페놀수지 합성 단계;
    (ⅱ) 상기 (ⅰ)에서 합성된 페놀수지에 프로파르길 할라이드를 반응시켜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ⅲ) 상기 (ⅱ)에서 수득된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에 벤질 아자이드를 반응시켜 트라이아졸을 포함하는 페놀수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ⅱ)는 DMF 용매 하에서 정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도록 염기를 첨가하고,
    상기 (ⅲ)는 클릭 화학 반응에 의해 프로파르길이 치환된 페놀수지의 알카인과 벤질 아자이드의 아지드가 반응하는 것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페놀수지 함침액은 100중량부에 대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에이, 트라이아졸 변성 페놀수지, 트라이아진 변성 페놀수지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10~15중량부 첨가하는,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멜라민수지 함침액은 UV 흡수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트라이아졸계, 트라이아진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모양지는 UV 안정제를 포함하는 염료를 더 포함하고,
    상기 UV 안정제는 하이드록시벤조페논계 화합물,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옥사닐라이드계 화합물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화이바글라스 함침지의 RC(Resin Content)량은 90~95중량%이고, VC(Volatile Content)량은 2~3중량%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모양지 함침지의 RC(Resin Content)량은 55~65중량%이고, VC(Volatile Content)량은 5~6중량%인,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20200145862A 2020-11-04 2020-11-04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862A KR102212582B1 (ko) 2020-11-04 2020-11-04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US18/035,422 US20230405985A1 (en) 2020-11-04 2021-07-16 Eco-friendly semi-noncombustible exterior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1/009198 WO2022097878A1 (ko) 2020-11-04 2021-07-16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862A KR102212582B1 (ko) 2020-11-04 2020-11-04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582B1 true KR102212582B1 (ko) 2021-02-09

Family

ID=7455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862A KR102212582B1 (ko) 2020-11-04 2020-11-04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05985A1 (ko)
KR (1) KR102212582B1 (ko)
WO (1) WO20220978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878A1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41B1 (ko) * 2009-04-08 2009-08-05 주식회사 보원케미칼 함침인쇄지를 이용한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28945A (ko) * 2011-05-18 2012-11-28 이형석 불연성 외장 마감재
KR200471442Y1 (ko) * 2012-05-15 2014-02-24 이형석 내장마감재용 불연성 타공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5389A1 (en) * 2008-07-17 2010-01-21 Alberta Research Council Inc. Container floor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706575B1 (ko) * 2016-04-04 2017-02-27 최헌식 난연성 아크릴 수지 조성물 및 아크릴 판재 제조방법
KR102212582B1 (ko) * 2020-11-04 2021-02-09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741B1 (ko) * 2009-04-08 2009-08-05 주식회사 보원케미칼 함침인쇄지를 이용한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28945A (ko) * 2011-05-18 2012-11-28 이형석 불연성 외장 마감재
KR200471442Y1 (ko) * 2012-05-15 2014-02-24 이형석 내장마감재용 불연성 타공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878A1 (ko) * 2020-11-04 2022-05-12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878A1 (ko) 2022-05-12
US20230405985A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RU2531397C1 (ru) Огнестойкий ламинат
FI87322B (fi) Eldbestaondigt laminat.
CN104441835B (zh) 一种防热辐射防水透汽膜及其制备方法
KR102212582B1 (ko) 친환경 준불연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661382B (zh) 用于改善吸音板性能的硅酸盐涂料及其制备方法
JP2002307410A (ja) 装飾シートおよび/または成形品、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010795B1 (ko) Uv 경화형 필름을 부착시킨 건축 및 산업용 단열재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2417645A (zh) 阻燃石头纸生产方法
KR102239920B1 (ko) 복합 방화 유리용 방화성 조성물
KR101448253B1 (ko) 발포성 탄화층 구조의 내화피복재 조성물
CN107130894A (zh) 一种带有阻燃秸秆防火板的防火门中缝
KR20090001762U (ko) 난연 발포폴리스티로폼을 이용한 방화도어
KR200398801Y1 (ko) 난연성을 갖는 합판
KR100679330B1 (ko) 난연성을 갖는 함침무늬목의 제조방법 및 이용하여 제조된난연성 합판
KR102137408B1 (ko) 친환경 방염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공법
KR100635935B1 (ko) 불연성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933974B1 (ko) 칸막이와 문짝용 불연성 열경화성 수지 강판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881085B1 (ko) 단열, 차광 및 차음 기능을 겸비한 다기능성 방염 포지
KR20190017398A (ko) 건축용 단열재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220088609A (ko) 고내열성 섬유 및 페놀수지를 포함하는 내화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74476B1 (ko) 경량성 구조의 친환경준불연 외장재
KR20210022344A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5647A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648855B1 (ko) 글라스파우더를 포함하는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제조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