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334B1 -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334B1
KR102212334B1 KR1020200038207A KR20200038207A KR102212334B1 KR 102212334 B1 KR102212334 B1 KR 102212334B1 KR 1020200038207 A KR1020200038207 A KR 1020200038207A KR 20200038207 A KR20200038207 A KR 20200038207A KR 102212334 B1 KR102212334 B1 KR 10221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server
content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838A (ko
Inventor
최동훈
서한길
이승학
Original Assignee
최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훈 filed Critical 최동훈
Priority to KR102020003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3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Abstract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은,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별로 서로 다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재활서버, 및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테스트컨텐츠를 재활훈련 대상자가 시연 가능하게 재생한 후, 재활훈련 대상자의 시연 결과에 따라 현재 신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측정정보를 상기 재활서버로 전송하는 재활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SYSTEM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BASED ON VIRTUAL REALITY(VR) AND HOW TO PROVIDE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CONTENTS TO REHABILITATION PATIENTS USING THE SAME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재활훈련이 필요한 사람에게 각 개인별로 특화된 재활 훈련법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활 훈련 혹은 치료에 대하여 살펴보면, 넓은 의미에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최적의 신체적, 감각적, 지능적, 심리적, 사회적 수준을 성취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수행하는 모든 치료를 말한다. 또한 장애가 없더라고 통증이나 일시적 질환, 외상 등으로 인해 환자가 영위하는 삶의 질이 떨어질 때,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모든 치료를 뜻한다.
한편, 재활 치료가 가지는 좁은 의미는 치료 중심의 의학과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치료 중심의 의학이 약물이나 수술적 용법을 주로 사용하는 데 반하여, 재활 치료는 신체 기능을 회복, 유지시키기 위해 환자의 활동에 대해 중재를 시행하고 물리적 자극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을 뜻한다.
주요한 재활 치료의 예를 살펴보면, 운동 치료와 작업 치료가 있다. 운동 치료는 치료사가 환자의 관절 움직임을 수동적으로 만들어 주거나, 보행을 교육하고 조력하여 환자의 운동 기능이 회복되고 유지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고, 작업 치료는 일반적인 일상생활 동작을 수행하거나 보상할 수 있도록 연습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재활 치료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의사 혹은 치료사가 환자의 재활에 도움이 되는 적합한 치료법을 추천하고, 환자가 이 치료법을 제대로 이행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재활치료에서는 의료기기를 통해 나타난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일반적으로 알려진 운동법을 추천하는 정도만 가능하다.
또한, 장애나 통증을 일으킨 원인에 따라 그 경과가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재활 치료의 경과를 진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이며, 환자의 재활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의사나 치료사로부터 진단받은 재활치료를 성실히 이행하더라도, 일부 환자는 수일 내에 원하는 재활 치료의 목표를 달성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장기간의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환자가 장기간으로 병원 혹은 재활센터를 내원하여 치료를 받는다는 것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3429호(2017. 7. 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현실을 통해 재활훈련이 필요한 사람의 실제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개인별 특성이 반영된 재활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은 재활훈련이 필요한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별로 그에 적합하게 특화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재활서버;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시연 가능하도록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가 재생되는 HMD와,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에 착용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와 함께 움직이는 모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재활기구; 및 상기 재활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에 대한 재활을 돕기 위해 진단자가 사용하는 진단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해결하는 반응으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재활이 필요한 신체부위가 움직이도록 유도하되,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 상태 파악을 위한 테스트용으로 사용되는 테스트컨텐츠를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하고, 상기 재활기구가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재활기구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시연 결과에 따라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현재 신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서버에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는,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재활추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추천정보를 상기 재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재활추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상기 재활서버에 접속해 오면,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일반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고,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활서버가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적합한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활기구가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활기구에서 상기 테스트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재활기구가 상기 모션 컨트롤러를 착용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현재 신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서버에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활서버가 상기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재활추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추천정보를 상기 재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추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상기 재활서버에 접속해 오면,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일반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단순한 정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특화된 VR 재활컨텐츠를 직접 시연한 결과를 이용하여 재활훈련에 적용함으로써, 환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히 반영하여 재활훈련에 필요한 컨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한 재활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재활서버에서 제공하는 재활컨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은, 재활서버(100), 재활기구(200), 및 진단자 단말장치(300)로 이루어진다.
재활서버(100)는 재활훈련이 필요한 신체부위별로 서로 다른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재활컨텐츠(이하, 'VR 재활컨텐츠'라 한다)를 제공한다.
VR 재활컨텐츠는, 각 신체부위별로 그에 적합하게 특화된 컨텐츠이다. 예를 들면, 다리 부위에 재활이 필요한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해서는, 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훈련 방법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을 멀리차게 하는 연습, 가까운 곳에 공을 맞추는 연습, 걸어서 바닥에 있는 표식을 밟는 연습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활서버(1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에서 꼭 필요한 VR 재활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서버로, 재활서버(100)에서 제공하는 VR 재활컨텐츠에 따라 재활훈련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재활서버(1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재활기구(200)는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VR 재활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기구들을 통칭한다.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머리에 착용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및 손에 착용하는 모션 컨트롤러(Motion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재활기구(200)로는 VR 재활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더 많은 기구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활기구(200)로는 다리에 착용하여 다리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한 기구, 및 허리에 착용하여 허리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한 기구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재활기구(200)는 재활서버(100)의 VR 재활컨텐츠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VR 재활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해당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새로운 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재활훈련 대상자는 재활서버(100)에서 제공하는 VR 재활컨텐츠를 재활기구(200)를 통해 시연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진단자 예를 들면, 의사 및 치료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단자는 환자에 대한 상태를 환자가 전달하는 내용이나 엑스레이, CT와 같은 촬영장치를 통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판단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환자의 습관, 및 근육상태에 따라 개인별로 나타날 수 있는 차이에 대해서는 정확한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VR 재활컨텐츠를 통해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진단자 단말장치(300)는 재활서버(1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재활서버(10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재활훈련 대상자에 대한 재활을 돕는 장치로, 진단자 즉, 의사 및 치료사가 사용하는 단말장치이다.
진단자 단말장치(300)는 재활서버(100)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태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진단자 단말장치(300)는 재활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상태정보 및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담정보에 기초하여, 재활추천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진단자 단말장치(300)는 재활추천정보를 재활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담정보는 진단자가 재활훈련 대상자와의 직접 상담을 통해 입력한 정보일 수 있고, 혹은 설문 형식으로 재활훈련 대상자가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서버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활서버(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상태정보 생성부(120), 재활컨텐츠 추출부(130), VR 재활컨텐츠 데이터베이스(DataBase : DB)(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재활서버(100)의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재활서버(100)가 재활기구(200), 및 진단자 단말장치(300)들과 통신을 하여 상호간에 소정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재활기구(200)로 VR 재활컨텐츠를 전송하여 재활훈련 대상자가 해당 컨텐츠를 이용하여 재활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재활기구(200)에서 전송되는 측정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는 상태정보를 진단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
상태정보 생성부(120)는 재활기구(200)로부터 전송받은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재활컨텐츠 추출부(130)는 재활기구(200)에서 재생할 VR 재활컨텐츠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재활훈련 대상자들 중, 현재 재활훈련을 수행할 재활훈련 대상자에 대하여 적합한 VR 재활컨텐츠를 VR 재활컨텐츠 DB(140)로부터 추출한다.
VR 재활컨텐츠 DB(140)는 다양한 VR 재활컨텐츠를 저장한다. 여기서, VR 재활컨텐츠는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 상태 파악을 위한 테스트용으로 사용되는 테스트컨텐츠와,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일반컨텐츠를 포함한다. 이러한 VR 재활 컨텐츠는 수시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VR 재활컨텐츠는 신체부위별로 각 부위에 특화된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한다. 즉, 팔 재활을 위한 컨텐츠, 다리 재활을 위한 컨텐츠, 허리 재활을 위한 컨텐츠, 및 목 재활을 위한 컨텐츠 등을 세분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 신체부위별 컨텐츠들도 장애 정도, 재활 진행 정도, 진단 상황 등에 따라 보다 더 세분화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 상태정보 생성부(120), 재활컨텐츠 추출부(130), VR 재활컨텐츠 DB(14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재활서버(100)가 재활기구(200)와 진단자 단말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재활기구(200)가 동작할 때 재활컨텐츠 추출부(130)가 VR 재활컨텐츠 DB(140)로부터 적절한 VR 재활컨텐츠를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한 재활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신체부위 중 팔의 재활을 위한 VR 재활컨텐츠 중 한가지 예로, 재활기구(200)를 착용하고 공받기 연습을 통한 재활훈련을 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A는 재활훈련 대상자가 착용한 HMD를 통해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B는 재활훈련 대상자가 재활기구(200)가 구비된 장소 예를 들면, 병원, 재활원, 및 가정에서 재활훈련을 하는 실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재활훈련 대상자는 HMD를 머리에 착용하고, 모션 컨트롤러를 손에 들고 공을 받는 재활훈련을 하고 있는 상태임을 예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VR 재활컨텐츠 내의 캐릭터(C)가 주기적으로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공을 던져주면, 재활훈련 대상자는 모션 컨트롤러를 손에 쥔 상태에서 캐릭터(C)가 던져주는 공을 받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3a는 설명의 편의상 재활훈련 대상자가 보는 화면(A)에 재활훈련 대상자의 훈련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B)을 함께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재활훈련 대상자가 HMD를 통해 보게 되는 화면은 도 3a에서 자신의 실제 모습은 포함되지 않는다.
도 3b 및 3c에서는 진단자 즉, 의사 혹은 재활담당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예시하였다. VR 재활컨텐츠 내의 캐릭터(C)는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A)의 것과 동일하지만, 재활훈련 대상자가 보는 화면 이외에도 재활훈련 대상자의 재활훈련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메뉴(D, E, F)가 더 제공된다.
도 3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재활훈련 대상자에 대한 기록 관리를 위한 기록관리 창(D), 기본 모드, 스피드 모드와 같은 여러 모드 중 선택이 가능한 모드 선택 창(E)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록 관리 창(D) 및 모드 선택 창(E) 이외에도, 재활훈련 대상자의 재활훈련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메뉴(D)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즉, 공을 던지는 거리, 속도, 높이, 방향, 반경, 주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메뉴(D)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재활서버에서 제공하는 재활컨텐츠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VR 재활컨텐츠로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 캐릭터(C)가 던져주는 공을 받는 연습을 하는 컨텐츠를 예시하였다. 이는 VR 재활컨텐츠 중 팔에 대한 재활을 위한 컨텐츠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VR 재활컨텐츠는 각 신체부위별로 다양하게 구비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망치로 못을 두드리는 연습을 하는 컨텐츠, 실로폰을 연주하는 연습을 하는 컨텐츠, 우주환경에서 우주선을 이동시키는 연습을 하는 컨텐츠, 공을 던지거나 받는 연습을 하는 컨텐츠, 컵에 있는 작은 음식을 그릇으로 옮겨 담는 연습을 하는 컨텐츠, 및 손으로 비누방울을 쳐서 올리는 연습을 하는 컨텐츠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VR 재활컨텐츠는 신체부위별 재활훈련을 함에 있어서, 단순히 운동 동작을 반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재활훈련 대상자에 적합한 VR 재활컨텐츠를 선별하여 제공함은 물론, 유사한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다양한 흥미 요소를 주어 재활훈련 대상자가 흥미롭게 재활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VR 재활컨텐츠 DB(140)는 이미 구축되어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VR 재활컨텐츠 DB(140)는 이미 구축되어있음을 전제로 설명한다.
재활훈련을 필요로 하는 재활훈련 대상자는 재활서버(100)에 VR 재활컨텐츠 제공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재활서버(100)에서는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적합한 VR 재활컨텐츠를 추출하여 재활기구(200)로 전송한다(S400).
재활훈련 대상자가 재활기구(200)를 착용하면, 재활기구(200)를 통해 재활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VR 재활컨텐츠가 재생된다. 이를 통해, 재활훈련 대상자는 VR 재활컨텐츠를 시연한다. 이때, VR 재활컨텐츠는 테스트컨텐츠일 수 있다(S410).
재활훈련 대상자가 VR 재활컨텐츠의 시연을 마치면, 재활기구(200)에서는 재활훈련 대상자의 시연 결과에 따라 현재 신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생성한 후, 재활서버(100)로 생성한 측정정보를 전송한다(S420).
재활서버(100)에서는 재활기구(200)로부터 측정정보가 전송되면, 이 전송된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한 후, 재활서버(100)는 상태정보를 진단자 단말장치(300)로 전송한다(S430).
진단자 단말장치(300)는 재활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상태정보와 재활훈련 대상자로부터 제공받은 상담정보에 기초하여, 재활추천정보를 생성한다. 진단자 단말장치(300)는 재활추천정보를 생성한 후, 이 재활추천정보를 재활서버(100)로 전송하고(S440), 재활서버(100)에서는 이를 VR 재활컨텐츠 DB(140)에 재활훈련 대상자별로 저장한다. 이를 통해, 추후 재활훈련 대상자가 재활서버(100)에 접속해 오면, 재활추천정보에 기반하여 적합한 VR 재활훈련 컨텐츠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활서버(100)에서는 다양한 VR 재활컨텐츠를 구비하고, 재활훈련 대상자별로 특화된 VR 재활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활훈련 대상자는 재활이 필요한 신체부위별 특히, 자신의 신체 상태를 정확히 반영하여 재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재활훈련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 재활서버 200 : 재활기구
300 : 진단자 단말장치 1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20 : 상태정보 생성부 130 : 재활컨텐츠 추출부
140 : VR 재활컨텐츠 DB 150 : 제어부

Claims (2)

  1. 재활훈련이 필요한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별로 그에 적합하게 특화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재활서버;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머리에 착용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시연 가능하도록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가 재생되는 HMD와,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에 착용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와 함께 움직이는 모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재활기구; 및
    상기 재활서버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에 대한 재활을 돕기 위해 진단자가 사용하는 진단자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해결하는 반응으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재활이 필요한 신체부위가 움직이도록 유도하되,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 상태 파악을 위한 테스트용으로 사용되는 테스트컨텐츠를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하고,
    상기 재활기구가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재활기구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시연 결과에 따라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현재 신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서버에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는,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재활추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추천정보를 상기 재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재활추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상기 재활서버에 접속해 오면,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일반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2. 제1항에 기재된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고,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재활서버가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적합한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활기구가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활기구에서 상기 테스트컨텐츠가 재생되면, 상기 재활기구가 상기 모션 컨트롤러를 착용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신체부위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현재 신체에 대한 측정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서버에 상기 측정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재활서버가 상기 측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상태정보를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자 단말장치가 상기 상태정보 및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재활추천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재활추천정보를 상기 재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활추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가 상기 재활서버에 접속해 오면, 상기 재활서버는, 상기 재활훈련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가상현실 재활컨텐츠 중 상기 테스트컨텐츠를 통해 신체 상태 파악을 마친 재활훈련 대상자를 위한 일반컨텐츠를 선별하여 상기 재활기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00038207A 2020-03-30 2020-03-30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KR10221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07A KR102212334B1 (ko) 2020-03-30 2020-03-30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07A KR102212334B1 (ko) 2020-03-30 2020-03-30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00A Division KR20190136288A (ko) 2018-05-30 2018-05-30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38A KR20200036838A (ko) 2020-04-07
KR102212334B1 true KR102212334B1 (ko) 2021-02-03

Family

ID=7029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07A KR102212334B1 (ko) 2020-03-30 2020-03-30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7590A (ko) 2020-08-05 2022-02-14 주식회사 씨앰지 Vr 신체검사를 기반으로 한 의료정보의 제공과 의료정보 결과에 따라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서비스 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39031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재활 진단 훈련 시스템 및 재활 진단 훈련 방법
KR102365197B1 (ko) * 2021-03-25 2022-02-21 박준 증강현실 기반의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활 심리치료 보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 심리치료방법
KR102596517B1 (ko) * 2021-07-01 2023-11-01 근로복지공단 Vr을 이용한 직업 재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230140796A (ko) 2022-03-30 2023-10-10 주식회사 씨앰지 Vr 신체검사 및 이를 이용한 의료정보 제공 및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82B1 (ko) * 2012-02-29 2014-08-1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추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운동 기능성 측정 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429A (ko) 2016-01-08 2017-07-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재활 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7214A (ko) * 2016-01-20 2017-07-28 주식회사 준소프트 가상 현실 장비를 이용한 재활 치료 방법
KR20180045278A (ko) * 2016-10-25 2018-05-0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인지재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82B1 (ko) * 2012-02-29 2014-08-1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추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운동 기능성 측정 평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38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34B1 (ko)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US11944446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e-action therapy
Hsu et al.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vestibular rehabilitation for chronic imbalance problem caused by Ménière’s disease: a pilot study
US11904101B2 (en) Digital virtual limb and body interaction
KR20190136288A (ko)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방법
KR101911179B1 (ko) 가상현실과 근전도 피드백 기반 재활훈련시스템
US1180414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e-action gaming
US20110117528A1 (en) Remote physical therapy apparatus
US20090240172A1 (en) Vestibular rehabilitation unit
KR20140054197A (ko) 환자에 의해 관리되는 물리 재활치료를 증강시키기 위한 비침습적 모션 추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Buxbaum et al. Predictors of arm nonuse in chronic strok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O2017021320A1 (en) Motor training
US20210125702A1 (en) Stress management in clinical settings
Riva et al.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for psycho-neuro-physiological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US20200155070A1 (en) Exergaming for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vte)
Riva From toys to brain: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in neuroscience
Pereira et al. A VR-Based Vestibular Rehabilitation Therapeutic Game
US202301160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ysical therapy using augmented reality and treatmen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istoia et al. Integrated ICT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rehabilitation therapy for Alzheimer’s patients and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efficiency in managing their health: the rehab-dem project
KR20230053838A (ko)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WO2017039553A1 (en) A personalized rehabilitation system
García-Salgado et al. Biobehavioural Physiotherapy through Telerehabilitation during the SARS-CoV-2 Pandemic in a Patient with Post-polio Syndrome and Low Back Pain: A Case Report
KR20230013853A (ko) 개인건강기록 기반 발달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047377A1 (en) Digital virtual limb and body interaction
Guy Evaluation and Manipulation of Virtual Embodi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