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838A -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838A
KR20230053838A KR1020210137095A KR20210137095A KR20230053838A KR 20230053838 A KR20230053838 A KR 20230053838A KR 1020210137095 A KR1020210137095 A KR 1020210137095A KR 20210137095 A KR20210137095 A KR 20210137095A KR 20230053838 A KR20230053838 A KR 20230053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ee
cognitive
exercise program
content
train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호
최철운
이정연
이재원
강혜윤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3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3838A/ko
Publication of KR2023005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하 것으로, 인지 및 신체 훈련을 할 피훈련자를 감지하는 단계, 피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시스템들 중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로 구현되는 단계,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토대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How to provide customized exercise program content for traine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발명은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훈련시스템에 대하여 발달 장애를 가진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달장애인 등과 같이, 신체능력과 인지능력이 저하된 사람은 교육, 훈련을통하여 신체능력과 인지능력의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발달장애인은 신체능력과 인지능력의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프로그램, 신체운동프로그램, 컴퓨터기반의 인지능력 프로그램, 증강/가상현실 기반의 훈련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신체능력과 인지능력에 대하여 훈련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은 장애 정도별 집중 훈련이나 포괄적인 훈련으로서, 각 개인의 현 상황에 맞는 운동 방법, 횟수, 운동 강도 등 맞춤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병원과 같은 기관에서는 전자의료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 EMR)을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기록하고, 상기 전자의료기록은 보험 청구를 위해 임상 전문가가 입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전자의료기록은 새로운 데이터에 대하여 발생하거나,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평가가 완료된 후 또는 새로운 데이터 발생시 즉시 업데이트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발달장애인에 대한 진단, 치료 및 건강 결과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그리고 발달장애인을 진단한 의사를 비롯하여 상기 발달장애인의 치료에 참여하는 모든 전문가(예컨대, 약사, 물리치료사, 개인 트레이너 등)들이 실시간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지 않으면,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데이터로 차후에 치료 또는 진단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8-0065709호는 "발달 장애 기능 개선을 위한 뉴로피드백 장치와 영상 콘텐츠를 이용하는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피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시스템들 중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로 구현하고,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은 인지 및 신체 훈련을 할 피훈련자를 감지하는 단계; 피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시스템들 중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는 단계;선택된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로 구현되는 단계: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토대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인지 역량은, 컨텐츠에 대해 지각력, 기억력 및 주의집중력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필요로 하는 두뇌활동에 대한 수행능력인 것으로, 정답과 오답이 명확한 문제에 대해 정답 또는 오답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신체 역량은, 피훈련자의 모션변화가 증강현실 디바이스의 3D 깊이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모션에 의한 가속도으로부터 산출된 상지 강도로, 피훈련자의 상지가 회전축(관절)을 중심으로 한 각도변화범위가 증강현실 디바이스의 3D 깊이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회전축의 움직임에 대한 상대 움직임으로부터 산출된 상지 유연도 및 피훈련자의 하지가 전후 혹은 좌우로 움직임이 발생하는지를 증강 현실 디바이스의 3D 깊이 카메라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산출된 하지균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산출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피훈련자를 치료 또는 보호하는 유관련자로부터 인지역량과 신체역량를 제외한 추가 정보가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은 발달장애인과 같은 환자의 인지활동과 신체활동에 따른 인지역량과 신체역량을 산출하여, 그에 맞는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발달장애인의 인지능력과 신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료전문가뿐만 아니라 환자 본인 및 유관련자가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통합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환자 본인이 건강기록을 조회, 관리가 가능하므로 치료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의료전문가와 환자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환자의 상태, 능력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그에 맞는 운동 형태, 운동 강도, 운동 횟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서버와 클라우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눈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선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서버와 클라우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훈련자(T)는 발달장애인, 인지 및 신체 능력이 저하된 환자나 노인 등으로서, 후술되는 발달장애관리방법의 사용자가 된다. 이하에서는 인지능력 및 신체능력의 발달이 더딘 발달장애인을 주로 하여 설명한다.
증강현실 디바이스(10)는 상기 피훈련자(T)의 인지활동과 신체활동을 감지하고, 상기 피훈련자에게 컨텐츠, 즉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는 피훈련자(T)의 인지활동과 신체활동, 특히 상기 신체활동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피훈련자(T)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3D 깊이 카메라(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훈련자(T)에게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2)로는 TV, 모니터와 같이 패널을 이용한 장치뿐만 아니라, 상기 피훈련자(T)의 머리에 착용하는 HMD(Head mounted device)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를 통하여 구현된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의 공간 내에서 상기 피훈련자(T)의 모션을 상기 3D 깊이 카메라(11)가 감지한다.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 직접적으로 상기 피훈련자(T)의 인지활동을 감지할 수는 없으나, 상기 컨테츠를 수행 중, 상기 피훈련자(T)가 컨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정답을 선택하는 과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3D 깊이 카메라(11)와 상기 디스플레이(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20)는 상기 피훈련자(T),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컨텐츠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실시간으로 접속된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피훈련자(T)에 대한 통합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이 저장된다. 상기 개인건강기록에는 상기 피훈련자(T)를 식별할 수 있는 기본정보를 비롯하여, 병력 및 가족력, 약제 처방이력 및 알러지 정보,상지 및 하지 근육의 강도, 관절의 가동범위, 균형도 및 유연도, 인지능력, 지구력, 심혈관 상태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개인건강기록은 상기 피훈련자가 직전까지 상기 발달장애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수행한 내역을 반영하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발달장애 관리 방법 및, 상기 개인건강기록과 상기 발달장애 관리 방법에서 산출된 인지역량 및 신체역량에 따라 상기 피훈련자(T)에게 맞춤형 운동프로그램(New personal trainingprogram)을 제공하는 로직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서버(20)는 생성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상기 피훈련자(T)에게 컨텐츠로 제공하고, 상기 피훈련자(T)는 상기 피훈련자(T)가 위치한 곳, 예를 들면 집에서 상기 컨텐츠를 수행하며, 그 결과는 상기 서버(20)로 전송된다. 상기 피훈련자(T)의 컨텐츠 수행결과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에 업테이트되고, 이는 추후 상기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데 다시 활용된다. 상기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은 의료전문가가 상기 피훈련자(T)의 상태에 맞게 운동 형태, 운동 강도, 운동 횟수 등을최적화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서버(20)에 상기 피훈련자(T)의상태에 맞게 상기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로직이 저장되어, 상기 서버(20)에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서버(20)는, 클라우딩 컴퓨팅 환경에 적용되는 클라우드 서버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20)는 상기 피훈련자(T)를 치료 또는 보호하는 유관련자, 예컨대 의료전문가, 물리치료사, 보험사, 보호자 등도 상기 서버(20)에 실시간으로접속되어 상기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피훈련자(T)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버(20)로 상기 피훈련자(T)를 대하면서 겪는 경험, 문제점 등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다른 유관련자가 상기 피훈련자(T)를 대할 때 참고로 하거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할 때 활용토록 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Auth와 같은 공개인증을 통하여 보안이 구성된 환경에서, 상기 관리자, 상기 피훈련자(T), 상기 유관련자가 상기 서버(20)에 접속한다.
상기 서버(20)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이 적용된다.
상기 서버(20)는 클라이언트, 즉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와 통신하여,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한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서버(20)에 접속한 상기 관리자, 상기 피훈련자(T), 상기 유관련자에 의해 생성된 상기 피훈련자(T)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한다.
한편, 클라이언트측의 구조를 살펴보면, 정보를 기록할 테이블을 정의하고,상기 피훈련자(T)별로 맞춤형 처방을 위하여 의료진은 프로토콜을 상세히 조절하고, 상기 피훈련자(T)는 훈련중 통증을 의료진에게 보고 하며, 상기 피훈련자(T)에게 운동을 지도하고, 상기 피훈련자(T)의 운동결과를 평가, 분석, 조사하여 서로 커뮤니케이션 한다.
그리고 도 3에는 상기 서버(20)와 클라이언트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버(20)에는 각종 DB(Data Base)와, 관리정보가 포함된다.
예컨대, 사용자 DB에는 병원정보, 관리자 계정 정보, 의료진(의료전문가) 계정 정보, 환자(피훈련자) 계정 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운동 DB에는 운동, 문진,프로토콜 DB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운동처방 DB에는 운동처방 내용(맞춤형 운동프로그램)에 관한 DB, 운동처방의 결과에 관한 DB 등이 저장된다. 아울러, 관리정보에는 사용자 계정 관리, 담당의사와 담당환자의 매칭관리, 키트(kit)매칭(예컨대,여러 질환에 대한 처방을 동시에 하도록 키트를 서로 매칭) 관리에 관한 내용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피훈련자(T)가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는 로그인에 관련된 모듈, 프로토콜 정보에 관련된 모듈, 측정에 관한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통신에 관한 모듈, 센서제어에 관한 모듈이 포함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피훈련자(T)는 상기 발달장애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별도의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의 내부에 포함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토콜 정보에 관한 모듈에는 환자의 스케쥴리스트, 예약에 관한 프로토콜, 실행 및 실행 결과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측정에 관한 모듈에는 상기 피훈련자(T)의 관절각, 각속도에 대한 분석, 상기 피훈련자(T)가 진행하는 처방에 대한진행사항 및 결과가 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피훈련자(T) 또는유관련자가 상기 클라이언트에 접속 및 이용할 수 있고,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는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제어 모듈은 상기 피훈련자(T)의 모션을감지할 수 있는 3D동작분석센서, 즉 3D 깊이 카메라(11)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3D 깊이 카메라(11)에서 촬영한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센서 제어 모듈은, 각 센서를 초기화 및 작동 제어를 하고, 상기 3D 깊이 카메라(11) 등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처리하고,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피훈련자(T)의 자세, 동작 등을 상기 피훈련자(T)의 뼈대와 인체골격, 형태학적 골격 등으로 정보를 분석하며, 이를 RAW data로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인지 및 신체 훈련을 할 피훈련자를 감지하는 단계(S100)는 인지 및 신체 훈련을 할 피훈련자(T)가 감지된다. 증강현실 디바이스(10)의 3D 깊이 카메라(11)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상기 피훈련자(T)가 진입하면, 상기 3D 깊이 카메라(11)가 상기 피훈련자(T)를 인지한다. 즉,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는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로 진입하면, 상기 피훈련자(T)가 인지 및 신체 훈련을 할 피훈련자(T)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피훈련자(T)는 발달장애인, 인지 및 신체 능력이 저하된 환자나 노인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지능력 및 신체능력의 발달이 더딘 발달장애인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시스템들 중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는 단계(S110)는 발달장애관리시스템이 상기 피훈련자(T)에게 제공하는 복수의 컨테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선정한다. 상기 발달장애관리시스템은 상기 피훈련자(T)의 인지 및 신체 훈련을 위한 복수의 컨텐츠, 즉 운동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발달장애관리시스템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피훈련자(T)에게 보여주면, 상기 피훈련자(T)가 그 중 어느 하나를 직접 선택하여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발달장애관리시스템이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발달장애관리시스템이 상기 피훈련자(T)를 식별하고, 이전에 사용한 컨텐츠를 이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로 구현되는 단계(S120)는 상기 선정된 컨텐츠가 실행되어 디스플레이(12)를통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로 구현된다. 증강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로서, 상기 디스플레이(12)에 현실의 이미지와 상기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이미지가 혼합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로 구현되는 단계(S130)에서는 선정된 컨텐츠에 대한 설명과 상기 피훈련자(T)가 수행해야 하는 과제의 시험영상이 플레이되고, 이를 상기 피훈련자(T)가 시청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12)로는 TV, 모니터와 같이 패널을 이용한 장치뿐만 아니라, 상기 피훈련자(T)의 머리에 착용하는 HMD(Head mounted device) 등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12)에서는 증강현실이 아닌, 가상현실(Virtual Reality)로 상기 컨텐츠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즉, 선정된 컨텐츠가 상기 증강현실 대신 가상현실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S130)는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컨텐츠를 인지하는 동시에, 상기 피훈련자(T)는 자세의 변화로 상기 컨텐츠를 수행한다. 상기 컨텐츠를 인지하여 수행하는 상기 피훈련자의 모션변화를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 촬영한다.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 상기 피훈련자의 모션변화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가 상기 피훈련자의 모션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피훈련자의 모션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피훈련자의 인지역량을 산출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피훈련자의 신체역량을 산출한다.
상기 인지역량은, 상기 컨텐츠에 대해 지각력, 기억력 및 주의집중력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필요로 하는 두뇌활동에 대한 수행능력이 될 수 있다. 상기 피훈련자(T)는 상기 컨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컨텐츠의 각 요소를 지각하여 식별하고, 식별된 요소를 기억하며, 각 요소의 변형, 이동 등에 대하여 주의 집중하여 문제에대한 답을 도출하는 두뇌활동을 통하여 인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인지역량은 정답과 오답이 명확한 문제에 대하여, 정답 또는 오답을 결정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칙연산의 답을 구하는 것과 같이, 정답과 오답이 명확한 문제에 대하여, 상기 피훈련자(T)가 정답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훈련자(T)의 인지역량을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역량은, 상기 피훈련자(T)의 상지 모션변화가 상기 3D 카메라에의해 측정되고, 상지 모션에 의한 가속도로부터 산출된 상지 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피훈련자(T)의 상지의 강도는 상기 피훈련자(T)의 상지의 모션의 속도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상지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를 이용하여 상기 상지의 모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상기 모션 변화의 시간변화율이 상기 상지의 속도가 되고, 다시 상기 상지 속도변화의 시간변화율이 상기 상지의 가속도가 된다. 이렇게 구해진 상기 상지의 가속도에 상기 상지의 무게를 곱하여 상기 피훈련자(T)의 상지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피훈련자(T)의 상지(上肢)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각도변화범위가 상기 3D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회전축(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상대 움직임으로부터 산출된 상지 유연도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피훈련자(T)의 상지의 중심 부분인 팔꿈치를 중심으로 상기 피훈련자(T)의 상지의 가동범위를 측정하여 상기 상지의 유연성을 산출한다. 즉,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컨텐츠를 인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상지가 회전축인 팔꿈치를 중심으로 한 각도변화를 상기 3D 깊이카메라(11)로 촬영하고, 상박(上膊)에 대하여 하박(下膊)이 상기 팔꿈치를 중심으로 한 상대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상지의 유연성을 산출한다. 유연성이 좋을수록 관절에 대한 가동범위가 커지므로,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 촬영한 상기 피훈련자(T)의 하박의 회전각도 변화로 유연성을 산출한다.
아울러, 상기 피훈련자(T)의 하지(下肢)가 전후 혹은 좌우로 움직임이 발생하는지를 상기 3D 카메라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산출된 하지균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피훈련자(T)의 하지 균형도는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컨텐츠를 인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피훈련자(T)의 하지가 초기 위치로부터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임이발생하는지를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 측정함으로써, 상기 피훈련자(T)의 하지균형도를 산출한다.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컨텐츠를 인지하면, 그에 대한 반응으로 신체 동작이 진행되는데, 이때 상기 피훈련자(T)의 하지가 초기 위치로부터 전후 또는 좌우로 움직임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피훈련자(T)가 하지 균형도를 갖춘 상태라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반응으로 신체 동작이 진행되더라도, 하지는 움직이지 않고, 초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피훈련자(T)가 하지 균형도를 충분히 갖추지 못한 상태라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신체 동작시 상기 하지는 초기 위치로부터 벗어나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컨텐츠를 인지함과 동시에 상기 피훈련자(T)의 하지의 움직임 여부를 촬영함으로써, 상기 피훈련자(T)의 하지 균형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S13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12)를 통하여 상기 피훈련자(T)에게 컨텐츠를 제시하고,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컨텐츠를 수행하는 모션을 상기 3D 깊이 카메라(11)로 인식함으로써, 인지역량과 신체역량을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12)를 통하여 사칙연산 문제를 제시한 후, 그 문제에 대한 정답과 오답을 상기 디스플레이(12)에 혼재하여 각기 다른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피훈련자(T)로부터 정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훈련자(T)가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인지역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훈련자(T)가 도출한 정답을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서 실제로 선택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12) 상에서 정답을 터치하지 않더라도, 상기 피훈련자(T)가 현재 위치에서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에서 구현된 공간에서 가상으로정답을 터치하는 신체활동을 통하여, 상기 피훈련자의 신체역량을 산출할 수 있다.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S130)에서 그 역량을 산출할 수 있는 인지활동과 신체활동의 예는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 인지역량과 상기 신체역량은 객관적인 지표로 평가되도록 한다.
예컨대, 복수의 문제에 대한 정답 비율로 인지역량을 평가할 수 있고, 각 문제에 대한 답을 선택하는 신체활동에서의 상지 강도, 상지 유연도, 하지균형도 등을 수치화하여 신체역량을 평가할 수 있다.
산출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40)는 산출된 상기 인지역량 및 상기 신체역량을 저장하기 위하여 서버(20)로 전송한다.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피훈련자(T)로부터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20)로 상기 인지역량 및 상기신체역량을 전송한다. 상기 서버(20)로 상기 인지역량 및 상기 신체역량이 전송되면, 상기 서버(20)는 이를 저장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업데이트한다. 상기 서버(20)에 상기 피훈련자(T) 별로 상기 인지역량 및 상기 신체역량이 누적되어 저장된다. 업데이트된 상기 개인건강기록은 상기 피훈련자(T)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거나, 추후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데 활용된다.
상기 서버(20)는 클라우딩 컴퓨팅 환경에 적용되는 클라우드 서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훈련자를 치료 또는 보호하는 유관련자로부터 인지역량과 신체역량를 제외한 추가 정보가 입력받는 단계(S170)는 의료전문가, 물리치료사, 보험사 담당자, 보호자 등과 같이, 상기 피훈련자(T)를 치료 또는 보호하는 유관련자가 상기 피훈련자(T)를 대하면서 겪는 경험, 문제점 등과 같은 추가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유관련자는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어서, 상기 서버(20)를 상기 추가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다른 유관련자가 상기 피훈련자(T)를 대할 때 참고로 하거나,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할 때 활용토록 한다.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생성 및 공급 단계(S180)는, 의료전문가(예컨대, 의사)가 상기 피훈련자(T)의 현재 상태에 최적화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인지역량 및 상기 신체역량을 포함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의료전문가가 운동 형태, 운동 강도, 운동 횟수 등이 최적화된 상기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생성하면 이를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상기 의료전문가는 상기 서버(20)로부터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비롯하여, 상기 인지역량 및 상기 신체역량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제공되면, 부족한 인지활동과 신체활동에 대하여 훈련 처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훈련자(T)가 현재 상태로부터 더 나은 상태로 되도록 최적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한다.
한편, 전송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토대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160)에서는 상기 서버(20)가 미리 정해진 로직에 따라 상기 피훈련자(T)의 현재 상태에 최적화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버(20)로 전송된 상기 인지역량및 상기 신체역량을 포함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20)가 상기 피훈련자(T)의 현재 상태에 최적화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피훈련자(T)의 현재 상태에 최적화되어, 부족한 인지활동과 신체활동에 대하여 훈련 처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피훈련자(T)가 현재 상태로부터 더 나은 상태로 되도록 하는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상기 서버(20)는 제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피훈련자(T)에게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로직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20)로 전송된 최근의 상기 인지역량 및 상기 신체역량과, 그 이전에 상기 피훈련자(T)에 대한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피훈련자(T)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상기 서버(20)는 상기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상기 의료전문가 또는 상기 서버(20)에 의해 생성되면, 이를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로 전송한다.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로 상기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전송되면, 이를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의 컨텐츠로 추가하여, 상기 피훈련자(T)에게 제공한다. 상기 증강현실 디바이스(10)에 상기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추가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기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기기,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기기,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기기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기기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기기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 : 증강현실 디바이스
11 : 3D 깊이 카메라
12 : 디스플레이
20 : 서버

Claims (4)

  1. 인지 및 신체 훈련을 할 피훈련자를 감지하는 단계;
    피훈련자에게 제공되는 훈련시스템들 중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를 통해 증강현실 컨텐츠로 구현되는 단계: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토대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인지 역량은,
    컨텐츠에 대해 지각력, 기억력 및 주의집중력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필요로 하는 두뇌활동에 대한 수행능력인 것으로, 정답과 오답이 명확한 문제에 대해 정답 또는 오답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피훈련자가 구현된 증강현실 컨텐츠를 인지하면, 피훈련자의 모션 변화를 통해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신체 역량은,
    피훈련자의 모션변화가 증강현실 디바이스의 3D 깊이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모션에 의한 가속도으로부터 산출된 상지 강도로, 피훈련자의 상지가 회전축(관절)을 중심으로 한 각도변화범위가 증강현실 디바이스의 3D 깊이 카메라에 의해 측정되고, 회전축의 움직임에 대한 상대 움직임으로부터 산출된 상지 유연도 및 피훈련자의 하지가 전후 혹은 좌우로 움직임이 발생하는지를 증강 현실 디바이스의 3D 깊이 카메라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산출된 하지균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산출된 인지 및 신체 역량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피훈련자를 치료 또는 보호하는 유관련자로부터 인지역량과 신체역량를 제외한 추가 정보가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210137095A 2021-10-15 2021-10-15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KR20230053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95A KR20230053838A (ko) 2021-10-15 2021-10-15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95A KR20230053838A (ko) 2021-10-15 2021-10-15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838A true KR20230053838A (ko) 2023-04-24

Family

ID=8614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095A KR20230053838A (ko) 2021-10-15 2021-10-15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38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2504A1 (en) Electronic arrangement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utiliz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and related method
US1073654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habilitation therapy
CA2844651C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motion tracking to augment patient administered physical rehabilitation
US802941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onitoring exercises and ranges of motion
Afyouni et al. A therapy-driven gamification framework for hand rehabilitation
US20200401214A1 (en) Systems for monitoring and assessing performance in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Lockery et al. Store-and-feedforward adaptive gaming system for hand-finger motion tracking in telerehabilitation
KR102212334B1 (ko)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활훈련 대상자에게 가상현실 기반 재활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Rabin et al. Integrative rehabilitation of elderly stroke survivors: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BrightArm™
KR20190136288A (ko)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 및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 시스템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방법
Rahman Multimedia environment toward analyzing and visualizing live kinematic data for children with hemiplegia
Zedda et al. DoMoMEA: A Home-Based telerehabilitation system for stroke patients
Kallmann et al. Vr-assisted physical rehabilitation: Adapting to the needs of therapists and patients
Maiello et al. Humans can visually judge grasp quality and refine their judgments through visual and haptic feedback
Rahman et al. Helping-Hand: a data glove technology for rehabilitation of monoplegia patients
US116367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exercise performance using a mobile device
KR20230053838A (ko) 발달장애를 가진 피훈련자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컨텐츠 제공 방법
Vogiatzaki et al. Maintaining mental wellbeing of elderly at home
KR20230013853A (ko) 개인건강기록 기반 발달장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ushnir et al. STASISM: A Versatile Serious Gaming Multi-Sensor Platform for Personalized Telerehabilitation and Telemonitoring
Wang Virtual Reality for Human Balance Assessment
WO2017039553A1 (en) A personalized rehabilitation system
Joseph ARTIFICIAL INTELLIGENCE-APPLICATIONS IN HEALTHCARE AND NURSING
US20210352066A1 (en) Range of Motion Tracking System
Brown Pilot Study of a Kinect-Based Video Game to Improve Physical Therapy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