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902B1 -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 Google Patents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902B1
KR102211902B1 KR1020207025216A KR20207025216A KR102211902B1 KR 102211902 B1 KR102211902 B1 KR 102211902B1 KR 1020207025216 A KR1020207025216 A KR 1020207025216A KR 20207025216 A KR20207025216 A KR 20207025216A KR 102211902 B1 KR102211902 B1 KR 10221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6554A (en
Inventor
나오후미 고사카
요스케 시미즈
사토시 혼다
다이키 시모쿠리
쇼우 다카라다
마사유키 사타케
겐이치 오카다
아츠시 다카시마
긴지 미즈하라
마사유키 오카모토
료코 아사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0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919B1/en
Publication of KR2020010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esters
    • C08F265/06Polymerisation of acrylate or methacrylate esters on to polym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08G18/8025Masked aliphatic 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4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7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water-bas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33/0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B32B2333/04Polymers of esters
    • B32B2333/12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e.g. PMMA, i.e. polymethyl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 C09J2301/5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process for debonding adher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 시트는,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에 의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의 점착력 (N0) 이 2.0 N/10 ㎜ 이상이고, 실온 1 일 후에 30 분간 물에 침지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끌어올려 부착수를 닦아낸 후에 측정되는 내수 점착력 (N1) 의 상기 점착력 (N0) 에 대한 저하율이 30 % 이하이고, 실온 1 일 후에 그 피착체에 20 μL 의 증류수를 적하하고, 그 증류수를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피착체의 계면의 일단에 진입시킨 후, 인장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물 박리력 (N2) 의 상기 점착력 (N0) 에 대한 저하율이 40 % 이상이다.An adhesive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s an adhesive strength (N0) of 2.0 N/10 mm or more after one day at room temperature after affixing the layer A side to a surface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of an alkali glass plate by a float method as an adherend. ,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the decrease rate of the water resistance adhesion (N1) measured after immersing in water for 30 minutes and then wiping off the adherent water is 30%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dhesion (N0), a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20 μ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dropwise to the adherend, and the distilled water was allowed to enter one end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nd, and then the water peeling force (N2)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 To the adhesive force (N0) is 40% or more.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박리 방법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본 발명은,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 2월 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018621호, 2018년 6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09385호 및 2018년 7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8-143420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그들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서 도입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sheet and an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This application is for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018621 filed on February 5, 2018,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109385 filed on June 7, 2018,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filed on July 31, 2018 The priority based on 2018-143420 is claimed, and the entire contents of these applications are taken in as a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일반적으로, 점착제 (감압 접착제라고도 한다. 이하 동일.) 는, 실온 부근의 온도역에 있어서 부드러운 고체 (점탄성체) 의 상태를 나타내고, 압력에 의해 간단하게 피착체에 접착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와 같은 성질을 살려, 점착제는,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지지체 부착 점착 시트의 형태로, 혹은 지지체를 갖지 않는 지지체리스 점착 시트의 형태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lso referred to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exhibits a soft solid (viscoelastic body) state in a temperature range near room temperature, and has a property of easily adhering to an adherend under pressure. Taking advantage of such propertie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form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a support having an adhesive layer on the support, or in the form of a supportles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out a support.

일본 특허출원공개 2005-14863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148638

점착제에는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특성이 요구된다. 그들 특성 중에는, 일방의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면 타방의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 등, 고레벨로 양립시키는 것이 곤란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이 양립이 어려운 관계에 있는 특성의 일례로서,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과, 리워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리워크란,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첩부할 때에 첩부 실수 (위치 어긋남, 주름이나 기포의 발생, 이물질의 혼입 등) 가 생긴 경우나, 점착 시트의 첩부 후에 피착체에 문제가 발견된 경우 등에,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고 다시 붙이는 것을 말한다. 특허문헌 1 에는, 점착제층과 기판 (피착체) 의 박리 계면에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박리함으로써, 기판에 손상을 미치는 일 없이, 또한 리워크성 좋게 기판으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에서는, 기판으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 사용하는 상기 액체가, 박리를 의도하지 않는 국면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의 접합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다.Various properties are required for the adhesiv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mong these characteristics, it is difficult to achieve compatibility at a high level, such as a tendency for the other characteristics to deteriorate when an attempt is made to improve one characteristic. As an example of the characteristic in such a difficult relationship, adhesive force to an adherend and rework property are mentioned. The rework refers to a case in which an affixing error (location misalignment, occurrence of wrinkles or air bubbles, mixing of foreign substances, etc.) occurs when the adhesive sheet is affixed to the adherend, or when a problem is found in the adherend after the adhesive sheet is affixed. , It refers to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and attaching it again. 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technique of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substrate with good rework properties without damaging the substrate by peeling in a state in which a liquid is present at the peeling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adherent). have. On the other hand, in Patent Literature 1, the effect of the liquid used when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substrate on the bonding reliability of the adhesive sheet in a phase where peeling is not intended is not examined.

그래서 본 발명은,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으며, 또한 내수 신뢰성이 좋은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착 시트의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can be easily peeled off by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and has goo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eeling an adhesive sheet.

이 명세서에 의하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 시트는,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의 점착력 (N0) (이하, 상태 (常態) 점착력 (N0) 이라고도 한다.) 이 2.0 N/10 ㎜ 이상이다. 또, 상기 점착 시트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40 % 이상이다. 여기서, 상기 내수 점착력 저하율은,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물에 30 분간 침지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끌어올려 부착수를 닦아낸 후에 측정되는 내수 점착력 (N1) [N/10 ㎜] 과, 상기 상태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1/N0)) × 100 ; 에 의해 산출된다. 또, 상기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은,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상기 피착체에 20 μL 의 증류수를 적하하고, 그 증류수를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피착체의 계면의 일단에 진입시킨 후, JIS Z0237 : 2009 의 「10.4.1 방법 1 : 시험판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시험 온도 23 ℃ 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물 박리력 (N2) [N/10 ㎜] 과, 상기 상태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2/N0)) × 100 ; 에 의해 산출된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n adhesive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s an adhesive strength (N0) after one day at room temperature after affixing the layer A side to a surface of an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hereinafter, state) It is also called adhesive force (N0).) is 2.0 N/10 mm or more. Moreover, the sai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s a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reduction ratio of 30% or less, and a water peeling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of 40% or more. Here,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decrease rate is that the layer A side is affixed to the surface of the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and 1 day at room temperature, immersed in water for 30 minutes, Then, from the water-resistant adhesion (N1) [N/10 ㎜] measured after wiping off the adherent water by pulling it up from the water, and from the above-described state adhesion (N0) [N/10 ㎜], the following equation: (1-(N1/N0 )) × 100; Is calculated by In addition, the water peeling adhesion reduction rate was 20 μL to the adhere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after attaching the layer A side to the surface of the alkaline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dropwise, and the distilled water was allowed to enter one end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nd, and then in accordance with "10.4.1 Method 1: 180° peel adhesion to the test plate" of JIS Z0237:2009, specifically Is, water peeling force (N2) [N/10 mm]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using a tensile tester at a test temperature of 23° C., and the state adhesive force (N0) [N/ 10 mm], the following formula: (1-(N2/N0)) × 100; Is calculated by

상기 점착 시트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40 % 이상이기 때문에,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물 박리에 의해 점착력이 크게 저하됨에도 불구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기 때문에, 내수 신뢰성이 우수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n be easily peeled off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since the water peeling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is 40% or more. And, in spite of the large decrease in adhesive strength due to water peeling in this way, since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decrease rate is 30% or less, the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is excellent.

이 명세서에 의하면, 또, 점착제층을 갖는 다른 하나의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 시트는,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물에 30 분간 침지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끌어올려 부착수를 닦아낸 후에 측정되는 내수 점착력 (N1) [N/10 ㎜] 과, 상기 알칼리 유리판의 상기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의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1/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다. 또, 상기 점착 시트는, 후술하는 정하중 박리 시험에 있어서, 건식 박리 거리가 0.5 ㎜ 이하이고, 물 진입 거리가 10 ㎜ 이상이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noth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lso provi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affixed to the side of the layer A on the surface of the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and 1 day at room temperature, immersed in water for 30 minutes, and then from water. Water-resistant adhesion (N1) [N/10 mm] measured after wiping off the adhered water by pulling it up, and adhesion (N0) [N/10 mm]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after attaching the layer A side to the surface of the alkali glass plate From the following formula: (1-(N1/N0)) x 100;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30% or less.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s a dry peeling distance of 0.5 mm or less and a water entry distance of 10 mm or more in a static load peeling test described later.

상기 점착 시트는, 건식 박리 조건에서는 양호한 유지성을 발휘하며, 또한 그 점착 시트와 피착체의 계면에 물 등의 수성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용이하게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성 액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기 때문에 내수 신뢰성이 우수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xhibits good retention under dry peeling conditions, and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adherend by supply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And although it can be easily peeled off by using the aqueous liquid in this way, since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decrease rate is 30% or less, the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is excellen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A 층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예를 들어,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로부터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이와 같은 A 층에 의하면, 높은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나타내는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In some embodiments, the layer A may be a layer formed from a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g, an emulsion-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such a layer A,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showing a high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e.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B 층은,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또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이와 같은 B 층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은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In some embodiments, the layer B may be a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ing such a layer B,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ow water-resistance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release adhesion reduction rate.

상기 A 층은,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A 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는, 소량의 수성 액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피착체로부터 바람직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 리워크성이 좋은 점착 시트에는 점착제를 잔류시키지 않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성질 (비풀 잔류성) 이 요구되는 바, A 층이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이면 그 A 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피착체에 대한 잔류가 생기기 어렵다.The layer A is preferably water-insoluble and non-water swellab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such a layer A can be preferably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by effectively using a small amount of aqueous liquid. In addition, the adhesive sheet having good rework property is required to have a property that can be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without leaving the adhesive (non-swelling property).If the layer A is water-insoluble and non-water swellab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layer A It is difficult to generate residuals for the complex.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A 층에는 물 친화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A 층에 의하면, 물 박리성과 내수 신뢰성을 바람직하게 양립하는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예를 들어, 내수 점착력 저하율 30 % 이하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 40 % 이상을 만족하는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물 친화제의 사용에 의해, 예를 들어, 내수 점착력 저하율 30 % 이하, 건식 박리 거리 0.5 ㎜ 이하 및 물 진입 거리 10 ㎜ 이상을 만족하는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당, 예를 들어 0.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ayer A may contain a water affinity agent. According to the layer A containing a water affinity agent,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ich suitably achieves both water releasability an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satisfies a water-resistance reduction rate of 30% or less and a water peeling adhesion decrease rate of 40% or more can be preferably realized. Further, by the use of a water affinity,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satisfies a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of 30% or less, a dry peeling distance of 0.5 mm or less, and a water entry distance of 10 mm or more can be preferably realized.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may be, for example, 0.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A 층은,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은, 그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50 중량% 이상이 탄소 원자수 1 ∼ 20 의 탄화수소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이와 같은 조성의 A 층을 갖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In some aspects, the layer A can be constituted by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a (meth)acrylate in which 50% by weight or more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ized product has a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n aspect having the layer A having such a composition.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이상 200 ㎛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의 점착제층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 30 % 이하와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 40 % 이상을 양립하기 쉽다. 또, 이와 같은 두께의 점착제층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 30 % 이하와, 건식 박리 거리 0.5 ㎜ 이하와, 물 진입 거리 10 ㎜ 이상을 양립하기 쉽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such a thickness, it is easy to achieve both a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of 30% or less and a water peeling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of 40% or more. 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such a thickness, it is easy to achieve both a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of 30% or less, a dry peeling distance of 0.5 mm or less, and a water entry distance of 10 mm or more.

또, 이 명세서에 의하면,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에 의하면, 예를 들어, A 층에 의해 양호한 물 박리성을 부여하면서, B 층에 의해 점착제층의 벌크 특성 (예를 들어, 내수성, 응집성, 내열성 등) 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점착제층에 의하면, 예를 들어, 물 박리성과 내수 신뢰성을 바람직하게 양립하는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예를 들어,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으며, 또한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은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물 진입 거리가 길며, 또한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은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구성은, 예를 들어, 그 점착제층의 두께가 50 ㎛ 초과인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the adhesive sheet which has an adhesive layer is provid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layer B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ayer A.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layer A and the layer B, for example, the layer A provides good water peelability, while the layer B provides bulk properties (e.g., water resistance, cohesiveness, heat resistance). Etc) can be adjus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such a constitution, for example,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ich suitably achieves both water peeling property an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high drop rate of water peeling adhesion and a low drop rate of water-resistant adhesion can be preferably realized. In addition,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ong water entry distance and a low water-resistant adhesion reduction rate can be preferably realized. Thu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can be preferably employed, for example, in an aspec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ore than 50 µm.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상기 B 층은 상기 A 층의 배면에 직접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어 A 층과 B 층 사이에 비점착성의 중간층이 개재하는 구성에 비해, 피착체의 표면 형상 (예를 들어 단차) 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한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에 의하면, 그 점착제층을 피착체의 표면에 밀착시키기 쉬운 점에서, 양호한 내수성이 얻어지기 쉽다.In an aspect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B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ayer 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superior in followability to the surface shape (for example, a step) of the adherend compar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for example, a non-adhesive intermediat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layer A and the layer B.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easily adhered to the surface of an adherend, good water resistance is easily obtained.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상기 B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의 B 층에 의하면, 점착제층이 A 층의 배면측에 B 층을 갖는 것의 이점이 바람직하게 발휘되는 경향이 있다.In the aspect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the thickness of the layer B may be, for example, 20 μm or more. According to the layer B having such a thickness, the advantage of having the layer B on the back side of the layer A tends to be exhibited favorably.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상기 A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두께의 A 층에 의하면, 물 박리성과 내수 신뢰성을 바람직하게 양립하는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예를 들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은 (및/또는, 물 진입 거리가 긴)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In the aspect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may be, for example, 5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According to the layer A having such a thickness,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ich suitably achieves both water peeling property an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For example,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ow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io (and/or a long water entry distance).

이 명세서에 의하면,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일방의 표면 (즉, A 층측) 에 접합된 부재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부착 부재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점착 시트 부착 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부재에 상기 점착 시트를 첩합 (貼合) 할 때에 있어서의 리워크성이 좋은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첩합시에 이물질의 혼입 등의 문제가 생긴 경우에,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사용하여 상기 부재로부터 상기 점착 시트를 용이하게 박리하고 다시 붙일 수 있다. 또, 상기 점착 시트 부착 부재는, 이와 같이 수성 액체를 사용한 리워크성이 좋으며, 또한 내수 신뢰성이 좋은 것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and a member bonded to the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on the A-layer side). Such a member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for example, a material having good rework properties when bo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member. For example, when a problem such as contamination of foreign substances occurs during the bo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member and reattached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In addition,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can have good reworkability using an aqueous liquid as described above, and also have good water resistance.

이 명세서에 의하면, 피착체에 첩부된 점착 시트를 그 피착체로부터 박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상기 피착체로부터의 상기 점착 시트의 박리전선 (剝離前線) 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와 상기 점착 시트의 계면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박리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상기 수성 액체의 상기 계면에 대한 진입을 진행시키면서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물 박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박리전선이란, 피착체로부터의 점착 시트의 박리를 진행시킬 때에,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시트가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을 가리킨다. 상기 물 박리 공정에 의하면, 상기 수성 액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박리 방법을 적용하여 박리되는 점착 시트는, 전형적으로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점착 시트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 중 적어도 상기 피착체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은,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 method of peel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ttached to the adherend from the adherend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in a state in which an aqueous liquid is pres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a peeling wi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peeling wire, and the aqueous liquid It may include a water peeling process of peel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while advancing the entry to the interface of. Here, the peeling wire refers to a point at which the adhesive sheet starts to fall off from the adherend when the peeling of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is advanced. According to the water peeling step, the adhesive sheet can be peeled from the adherend by effectively using the aqueous liquid. The adhesive sheet to be peeled off by applying the peeling method disclosed herein typically includes an adhesive layer. The adhesive sheet may be, for example, any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In some aspects,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adherend amo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is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water affinity agent.

상기 박리 방법은, 상기 물 박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박리전선을 10 ㎜/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를 효율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The peeling method may be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aspect of moving the peeling wire at a speed of 10 mm/min or more in the water peeling process.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adhesive sheet can be efficiently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다른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가 부재에 첩부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건식 박리 거리 및 물 진입 거리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mber with an adhesive sheet in which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ffixed to the member.
4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 dry peeling distance and a water entry distan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에 대한 교시와 출원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당해 분야에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또, 도면에 기재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로 제공되는 제품의 사이즈나 축척을 반드시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matters other than matter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tters necessary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teaching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nt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In the following drawings, members and parts exhibiting the same action may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may be omitted or simplified. In addi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drawings is schematically designed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accurately represent the size or scale of a product that is actually provided.

이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물」이란, 아크릴계 모노머를 50 중량% 보다 많이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에서 유래하는 중합물을 말한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란, 1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모노머를 말한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이란, 아크릴로일 및 메타크릴로일을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 동일하게,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각각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의미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acrylic polymer" refers to a polymer derived from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an acrylic monomer. The acrylic monomer refers to a monomer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t least one (meth)acryloyl group in one molecul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oyl" means that acryloyl and methacryloyl are indicated comprehensively. Similarly, "(meth)acrylate" refers to an acrylate and a methacrylate, and "(meth)acryl" refers to an acrylic and methacrylic, respectively.

<점착 시트의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of adhesive sheet>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일 구성예를 도 1 에 나타낸다. 이 점착 시트 (1) 는, 일방의 표면 (10A) 이 피착체에 대한 첩부면으로 되어 있는 점착제층 (10) 과, 점착제층 (10) 의 타방의 표면 (10B) 에 적층된 지지체 (20) 를 포함하는 편면 접착성의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층 (10) 은 지지체 (20) 의 일방의 표면 (20A) 에 고정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지지체 (20) 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점착제층 (10) 은 단층 구조이다. 즉, 점착제층 (10) 의 일방의 표면 (점착면) (10A) 을 구성하는 A 층에 의해 점착제층 (10) 의 전체가 구성되어 있다. 사용 전 (피착체에 대한 첩부 전) 의 점착 시트 (1)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면 (10A) 이, 적어도 그 점착제층측이 박리성 표면 (박리면) 으로 되어 있는 박리 라이너 (30) 로 보호된,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 (50) 의 형태일 수 있다. 혹은, 지지체 (20) 의 제 2 면 (20B) (제 1 면 (20A) 과는 반대측의 표면이고, 배면이라고도 한다.) 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고, 제 2 면 (20B) 에 점착면 (10A) 이 맞닿도록 권회 또는 적층됨으로써 점착면 (10A) 이 보호된 형태여도 된다.One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is shown in FIG. 1.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 in which one surface 10A is an affixing surface to an adherend, and a support 20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10B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 It is comprised as a single-sided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ntain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 is fixedly bonded to one surface 20A of the support 20. As the support 20, a plastic film such as a polyester film can be used,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 has a single layer structure. That is, the who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 is constituted by the layer A constituting one surface (adhesive surface) 10A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before use (before affixing to the adherend)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10A is at leas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ide as a releasable surface (release surface). It may be in the form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50 with a release liner, protected with a release liner 30. Alternatively, the second surface 20B of the support 20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20A, and also referred to as a rear surface) is a peeling surface, and an adhesion surface 10A on the second surface 20B ) May be a form in which the adhesive surface 10A is protected by being wound or laminated so as to abut.

박리 라이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지 필름이나 종이 등의 라이너 기재의 표면이 박리 처리된 박리 라이너나, 불소계 폴리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의 저접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박리 라이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처리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사슬 알킬계 등의 박리 처리제가 사용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박리 처리된 수지 필름을 박리 라이너로서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The release lin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release liner in which the surface of a liner substrate such as a resin film or paper is peeled off, a fluorine-based polymer (polytetrafluoroethylene, etc.) or a polyolefin-based resin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c.), a release liner made of a low-adhesion material, etc. can be used. For the peeling treatment, for example, a release treatment agent such as a silicone type or a long chain alkyl type may be used. In some aspects, a resin film subjected to a release treatment can be preferably employed as a release liner.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다른 일 구성예를 도 2 에 나타낸다. 이 점착 시트 (2) 는, 일방의 표면 (110A) 이 피착체에 대한 첩부면으로 되어 있는 점착제층 (110) 과, 점착제층 (110) 의 타방의 표면에 적층된 지지체 (20) 를 포함하는 편면 접착성의 점착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점착제층 (110) 은, 일방의 표면 (점착면) (110A) 을 구성하는 A 층 (112) 과, A 층 (112) 의 배면측에 적층 배치된 B 층 (114) 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를 갖는다. 사용 전 (피착체에 대한 첩부 전) 의 점착 시트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 (1) 와 동일하게, 점착면 (110A) 이 도시되지 않은 박리 라이너로 보호된,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혹은, 지지체 (20) 의 제 2 면 (20B) 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고, 제 2 면 (20B) 에 점착면 (110A) 이 맞닿도록 권회 또는 적층됨으로써 점착면 (110A) 이 보호된 형태여도 된다.Another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is shown in FIG. 2.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2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0 in which one surface 110A is an affixing surface to an adherend, and a support 20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0 It is comprised as a single-sided adhesive adhesive shee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0 has a two-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a layer A 112 constituting one surface (adhesive surface) 110A, and a layer B 114 laminated and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ayer A 112 Ha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2 before use (before affixing to the adherend) is the same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 shown in FIG. 1,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rface 110A is protected with a release liner (not shown). It may be in the form of a sheet. Alternatively, the second surface 20B of the support 20 may be a peeling surface, and the adhesive surface 110A may be protected by winding or laminating so that the adhesion surface 110A abuts the second surface 20B. .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리스 양면 점착 시트의 양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지지체리스 양면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점착제층의 타방의 표면에 지지체를 접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an aspect of a support-less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Such a support-less double-sided adhesive sheet may be used by bonding a support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for exampl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의 일방의 표면 (즉, A 층의 표면) 에 부재가 접합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 (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 (110) 의 일방의 표면 (110A) 에 부재 (70) 가 접합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 (200) 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 (2) 대신에, 도 1 에 나타내는 점착 시트 (1) 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부재로는, 점착 시트가 첩부되는 면이 비흡수성의 평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점착 시트 부착 부재는, 점착 시트를 부재에 첩부할 때에,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물 박리법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리워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수지 필름, 금속판 등일 수 있다. 상기 부재의 적합예에는, 후술하는 광학 부재가 포함된다. 또, 상기 부재는, 점착 시트와 첩합되는 면이 친수화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친수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나, 친수 코팅층을 형성하는 친수 코팅 처리 등의, 친수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a component of a member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which a member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at is, the surface of the layer A).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2 shown in FIG. 2 is, as shown in FIG. 3,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200 to which the member 70 is bonded to one surface 110A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0 It can be a component. Instead of the adhesive sheet 2 shown in FIG. 2, you may use the adhesive sheet 1 shown in FIG. 1. As the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affixed is a non-absorbent smooth surface. When attaching the adhesive sheet to the member, the member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easily reworked by applying a water peeling method described later as necessary. The member may be, for example, a glass substrate, a resin film, a metal plate, or the like. Suitable examples of the member include an optical member described later. Moreover, as for the said member, the surface to be bonded with an adhesive sheet may be hydrophilized. Examples of the hydrophilic treatment include treatments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ydrophilicity,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and hydrophilic coating treatment for forming a hydrophilic coating layer.

<점착 시트의 특성><Characteristics of adhesive sheet>

이 명세서에 의해 제공되는 점착 시트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라고 하는 특징을 갖는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ovided by this specifi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is 30% or less.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40 % 이상이다. 이 명세서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40 % 이상인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In a preferred aspec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s a water peeling adhesive force reduction ratio of 40% or more.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water-resistance reduction rate of 30% or less and a water peeling adhesion decrease rate of 40% or more is provided.

다른 바람직한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는, 건식 박리 거리가 0.5 ㎜ 이하이며, 또한 물 진입 거리가 10 ㎜ 이상이다. 이 명세서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고, 건식 박리 거리가 0.5 ㎜ 이하이며, 또한 물 진입 거리가 10 ㎜ 이상인 점착 시트가 제공된다.In another preferred aspec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s a dry peeling distance of 0.5 mm or less and a water entry distance of 10 mm or more.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water-resistant adhesion reduction rate of 30% or less, a dry peeling distance of 0.5 mm or less, and a water entry distance of 10 mm or more.

내수 점착력 저하율 [%] 은, 상태 점착력 (N0) [N/10 ㎜] 및 내수 점착력 (N1) [N/10 ㎜] 으로부터 (1 - (N1/N0)) × 100 에 의해 산출되는 값으로서 정의된다.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 [%] 은, 상태 점착력 (N0) [N/10 ㎜] 및 물 박리력 (N2) 으로부터 (1 - (N2/N0)) × 100 에 의해 산출되는 값으로서 정의된다.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은,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상세하게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측정 방법이 사용된다.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 is defined as a value calculated by (1-(N1/N0)) × 100 from the state adhesive force (N0) [N/10 mm] and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N/10 mm]. do. The water peeling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 is defined as a value calculated by (1-(N2/N0)) × 100 from the state adhesive force (N0) [N/10 mm] and the water peel force (N2).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 resistant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a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detail, by the following method. The same measurement method is also used in Examples described later.

[상태 점착력 (N0) 의 측정][Measurement of state adhesion (N0)]

측정 대상의 점착 시트를 폭 10 ㎜, 길이 120 ㎜ 의 장방형상으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조제한다. 상기 시험편의 A 층측을 피착체에 핸드 롤러로 첩합한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 atm, 온도 50 ℃ 의 조건에서 15 분간 처리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be measured i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width of 10 mm and a length of 120 mm to prepare a test piece. A sample for evaluation in which the layer A side of the test piece was bonded to an adherend with a hand roller was put into an autoclave and treated for 15 minutes at a pressure of 5 atm and a temperature of 50°C.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평가용 샘플을 23 ℃, 50 % RH 의 환경에 1 일 유지한 후, 동 환경하에서, 시험편과 피착체의 계면에 커터 나이프를 찔러넣어 그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피착체로부터 박리시키고, JIS Z0237 : 2009 의 「10.4.1 방법 1 : 시험판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시험 온도 23 ℃ 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After holding the sample for evaluation taken out from the autoclave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for 1 day, a cutter knife wa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test piece and the adherend under the same environment,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st piece was removed from the adherend. After peeling, according to "10.4.1 Method 1: 180° peel adhesion to test plate" of JIS Z0237:2009, specifically, using a tensile tester at a test temperature of 23°C,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a peel angle of 180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figure.

[내수 점착력 (N1) 의 측정][Measurement of water resistance adhesion (N1)]

측정 대상의 점착 시트를 폭 10 ㎜, 길이 120 ㎜ 의 장방형상으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조제한다. 상기 시험편의 A 층측을 피착체에 핸드 롤러로 첩합한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 atm, 온도 50 ℃ 의 조건에서 15 분간 처리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be measured i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width of 10 mm and a length of 120 mm to prepare a test piece. A sample for evaluation in which the layer A side of the test piece was bonded to an adherend with a hand roller was put into an autoclave and treated for 15 minutes at a pressure of 5 atm and a temperature of 50°C.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평가용 샘플을 23 ℃, 50 % RH 의 환경에 1 일 유지한 후, 실온 (23 ℃ ∼ 25 ℃) 의 물에 30 분간 침지한다. 물로는 이온 교환수 또는 증류수를 사용한다. 수중에 있어서 평가용 샘플은, 시험편이 첩부된 면이 위가 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유지한다. 평가용 샘플의 상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거리 (침지 깊이) 는 10 ㎜ 이상 (예를 들어 10 ㎜ ∼ 100 ㎜ 정도) 으로 한다. 이어서, 평가용 샘플을 물로부터 끌어올리고, 그 평가용 샘플에 부착되어 있는 물을 조심스럽게 닦아낸 후, 시험편과 피착체의 계면에 커터 나이프를 찔러넣어 그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박리하고, 23 ℃, 50 % RH 의 환경하에 있어서, JIS Z0237 : 2009 의 「10.4.1 방법 1 : 시험판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시험 온도 23 ℃ 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평가용 샘플을 물로부터 끌어올리고 나서 박리 강도를 측정할 때까지의 시간은 10 분 이내로 한다.The sample for evaluation taken out from the autoclave is maintained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for 1 day, and then immersed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23°C to 25°C) for 30 minutes. As water, ion-exchanged water or distilled water is used. In water, the sample for evaluation is held horizontal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rface on which the test piece is affixed is upward. The distance (immersion depth) of the sample for evaluation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water surface is 10 mm or more (for example, about 10 mm to 100 mm). Next, the sample for evaluation is pulled up from the water, and after carefully wiping off the water adhering to the sample for evaluation, a cutter knife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test piece and the adherend to peel off one end of the test pie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according to JIS Z0237:2009 “10.4.1 Method 1: 180° peel adhesion to test plate”, specifically, a tensile rate using a tensile tester at a test temperature of 23°C The peel strength was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300 mm/min and a peel angle of 180 degrees. The time from pulling up the sample for evaluation from water until the peel strength is measured is set to within 10 minutes.

[물 박리력 (N2) 의 측정][Measurement of water peeling force (N2)]

측정 대상의 점착 시트를 폭 10 ㎜, 길이 120 ㎜ 의 장방형상으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조제한다. 상기 시험편의 A 층측을 피착체에 핸드 롤러로 첩합한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 atm, 온도 50 ℃ 의 조건에서 15 분간 처리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be measured i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width of 10 mm and a length of 120 mm to prepare a test piece. A sample for evaluation in which the layer A side of the test piece was bonded to an adherend with a hand roller was put into an autoclave and treated for 15 minutes at a pressure of 5 atm and a temperature of 50°C.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평가용 샘플을 23 ℃, 50 % RH 의 환경에 1 일 유지한 후, 동 환경하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 부근에 있어서 그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는 피착체 표면에 20 μL 의 증류수를 적하한다. 그리고, 시험편과 피착체의 계면에 커터 나이프를 찔러넣어 상기 물을 상기 계면에 진입시킨 후, JIS Z0237 : 2009 의 「10.4.1 방법 1 : 시험판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시험 온도 23 ℃ 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또한, 물 박리력 (N2) 의 측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물은, 박리 개시 전에 피착체에 적하하는 20 μL 의 증류수뿐이다.After holding the sample for evaluation taken out of the autoclave in an environment of 23° C. and 50% RH for 1 day, 20 μ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surface of the adherend exposed from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der the same environment. Dripping. Then, after inserting a cutter knife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test piece and the adherend to allow the water to enter the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10.4.1 Method 1: 180° peel adhesion to the test plate" of JIS Z0237:2009, specifically , Peel strength was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and a peel angle of 180 degrees using a tensile tester at a test temperature of 23°C. In addition, water used in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is only 20 µL of distilled water that is dropped onto the adherend before the start of peeling.

건식 박리 거리 및 물 진입 거리는, 하기의 정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측정 방법이 사용된다.The dry peeling distance and the water entry distance are measured by the following static load peeling test. The same measurement method is also used in Examples described later.

[정하중 박리 시험][Static load peeling test]

측정 대상의 점착 시트를 폭 10 ㎜, 길이 150 ㎜ 의 장방형상으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조제한다.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시험편의 A 층측을 핸드 롤러로 첩합하여 평가용 샘플로 한다. 이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 atm, 온도 50 ℃ 의 조건에서 15 분간 처리한다.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평가용 샘플을 23 ℃, 50 % RH 의 환경에 1 일 유지한 후, 동 환경하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50 ㎜ 의 범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시켜 자유단으로 하고, 그 시험편이 첩부된 면이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피착체를 수평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시험편의 상기 자유단에 100 g 의 추를 고정시키고, 그 추를 고정시키고 나서 1 분 후에 상기 시험편과 피착체의 계면에 20 μL 의 증류수를 공급한다. 상기 자유단에 추를 고정시키고 0 초 후부터 1 분 동안에 시험편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진행된 거리를 계측하여, 건식 박리 거리로 한다. 상기 계면에 증류수를 공급하고 0 초 후부터 10 초 동안에 박리가 진행된 거리를 계측하여, 물 진입 거리로 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be measured i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width of 10 mm and a length of 150 mm to prepare a test piece. The side of the layer A of the test piece is bonded with a hand roller to a surface of an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to obtain a sample for evaluation. This sample for evaluation is put into an autoclave, and it processes for 15 minutes under the conditions of a pressure of 5 atm and a temperature of 50°C. After holding the sample for evaluation taken out from the autoclave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for 1 day, under the same environment, a range of 50 mm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st piece was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to form a free end, and The adherend is fixed horizontally by opening the side on which the test piece is affixed downward. Next, a 100 g weight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test piece, and 1 minute after the weight is fixed, 20 μL of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test piece and the adherend. The weight is fixed to the free end,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peeling of the test piece has progressed from the adherend of the test piece for 1 minute after 0 seconds is measured, and it is set as the dry peeling distance.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face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peeling has progressed from 0 seconds to 10 seconds is measured to be the water entry distance.

도 4 는, 건식 박리 거리 및 물 진입 거리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 (피착체) (80) 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 (80A) 에, 시험편 (82) 의 A 층측, 즉 점착면 (82A) 을 첩합하여 평가용 샘플로 하고, 이것을 오토클레이브에서 처리한 후, 면 (80A) 을 하방으로 하여 알칼리 유리판 (80) 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시험편 (82) 의 일단 (822) 으로부터 50 ㎜ 를 알칼리 유리판 (80) 으로부터 박리하여 자유단으로 하고, 여기에 100 g 의 추 (84) 를 고정시키고 0 초 후부터 1 분 후까지의 1 분 동안에 시험편 (82) 의 알칼리 유리판 (80) 으로부터의 박리가 진행된 거리를 계측하여, 이것을 건식 박리 거리 (Dd) [㎜] 로 한다. 상기 1 분 동안에 박리의 진행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건식 박리 거리 (Dd) 는 0 ㎜ 가 된다. 시험편 (82) 의 일단 (822) 에 추 (84) 를 고정시키고 나서 1 분 후에, 시험편 (82) 과 알칼리 유리판 (80) 의 계면에 20 μL 의 증류수 (W) 를, 예를 들어 마이크로시린지 (86) 에 의해 공급한다. 증류수 (W) 의 공급 위치는, 상기 계면 (즉, 점착면 (82A) 이 면 (80A) 으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 중, 시험편 (82) 의 폭 중앙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에 증류수 (W) 를 공급하고 0 초 후부터 10 초 후까지의 동안에 박리가 진행된 거리를 계측하여, 이것을 물 진입 거리 (Dw) [㎜] 로 한다. 또한, 도 4 에서는, 상기 계면에 증류수 (W) 를 공급하고 0 초 후의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상기 증류수 (W) 의 공급으로부터 10 초 후의 상태를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4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 dry peeling distance and a water entry distance. As described above, on the surface 80A of the alkali glass plate (adherent) 80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the A layer side of the test piece 82, that is, the adhesion surface ( 82A) is bonded together to obtain a sample for evaluation, and after treating this with an autoclave, the alkali glass plate 80 is held horizontally with the surface 80A downward. 50 mm from the one end 822 of the test piece 82 is peeled off from the alkali glass plate 80 to be a free end, and a 100 g weight 84 is fixed thereto, and the test piece during 1 minute from 0 seconds to 1 minute later The distance at which peeling from the alkali glass plate 80 of (82) progressed is measured, and this is made into the dry peeling distance (Dd) [mm]. When progress of peeling is not observed during the said 1 minute, the dry peeling distance Dd becomes 0 mm. One minute after fixing the weight 84 to one end 822 of the test piece 82, 20 μL of distilled water (W) was added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test piece 82 and the alkali glass plate 80, for example, a microsyringe ( 86) supplied by.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ly position of the distilled water W is set to the center of the width of the test piece 82 in the interface (that is, the point at which the adhesive surface 82A starts to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80A). Distilled water (W) is supplied to the interface, and the distance at which peeling has progressed from 0 seconds to 10 seconds later is measured, and this is taken as the water entry distance (Dw) [mm]. In addition, in FIG. 4, the state after 0 second after supplying the distilled water (W) to the said interface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and the state after 10 seconds from supply of the said distilled water (W) is indicated by a virtual line.

상기 서술한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의 측정 그리고 건식 박리 거리 및 물 진입 거리의 측정에 있어서, 피착체로는, 플로트법으로 제작한 알칼리 유리판으로서, 시험편을 첩합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것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의 알칼리 유리판 (두께 1.35 ㎜, 청판 연마품 (靑板緣磨品)) 또는 그 상당품을 피착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피착체에 대한 시험편의 첩부는, 그 시험편의 외주단으로부터 피착체의 외주단까지의 거리가 적어도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 되도록 실시한다. 광 가교성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에서는, 상기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샘플에 대하여, 23 ℃, 50 % RH 의 환경하에서 상기 알칼리 유리판을 개재하여 광 조사를 실시하고, 그 후에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광 조사의 조건 (파장, 조사 강도, 조사 시간 등) 은, 점착제층의 조성이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또, 인장 시험기로는,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 (장치명 「인장 압축 시험기, TCM-1kNB」 미네베아사 제조) 또는 그 상당품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강도의 측정은, 피착체에 첩부된 시험편의 박리가 아래로부터 위로 진행되도록 실시한다. 측정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점착 시트의 배면 (A 층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 에 적당한 배접재를 첩부하여 시험편을 보강할 수 있다. 배접재로는, 예를 들어, 두께 25 ㎛ 정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measurement of the above-described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and the dry peeling distance and water entry distance, as an adherend, as an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 test piece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distilled water is 5 to 10 degrees. For example, an alkali glass plate (thickness 1.35 mm, a blue plate polishing product) or an equivalent product thereof manufactured by Matsunami Glass Industry Co., Ltd. can be used as an adherend. The affixing of the test piece to the adherend is perform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test pie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adherend is at least 10 mm or more, preferably 15 mm or mor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cluding a photo-crosslink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ight irradiation is performed on the sample taken out from the autoclave through the alkali glass plate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and then the peel strength is measured. The conditions of light irradiation (wavelength, irradiation intensity, irradiation time, etc.) may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r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oreover, as a tensile testing machine, a universal tensile-compression testing machine (equipment name "tensile compression testing machine, TCM-1kNB" manufactured by Minevea Corporation) or its equivalent can be used. The measurement of the peel strength is carried out so that the peeling of the test piece attached to the adherend proceed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the measurement, the test piece can be reinforced by attaching a suitable backing material to the back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layer A) as necessary. As the backing material, for exampl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5 µm can be used.

또한, 상기 알칼리 유리판의 접촉각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즉, 측정 분위기 23 ℃, 50 % RH 의 환경하에서, 접촉각계 (쿄와 계면 과학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DMo-501 형」, 컨트롤 박스 「DMC-2」, 제어·해석 소프트 「FAMAS (버전 5.0.30)」) 를 사용하여 액적법에 의해 측정을 실시한다. 증류수의 적하량은 2 μL 로 하고, 적하 5 초 후의 화상으로부터 Θ/2 법에 의해 접촉각을 산출한다 (N5 로 실시).In addition, the contact angle of the alkali glass plate is measured as follows. That is, in an environment of a measurement atmosphere of 23°C and 50% RH, a contact angle meter (manufactured by 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brand name “DMo-501 type”, control box “DMC-2”, control/analysis software “FAMAS (version 5.0. 30)"), and measure by the droplet method. The dropping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set to 2 µL, and the contact angle is calculated by the Θ/2 method from the image 5 seconds after the dropping (implemented with N5).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Water peeling adhesion reduction rat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의 값이 큰 점착 시트는,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 시트가 첩부된 피착체에 소량의 수성 액체를 공급하고, 그 수성 액체를 점착 시트의 일단으로부터 그 점착 시트와 상기 피착체의 계면에 진입시킴으로써 박리의 계기를 만든 후에 상기 점착 시트를 박리함으로써,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피착체로부터의 박리 강도를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통상 사용시에 있어서의 높은 점착력과, 양호한 리워크성을 양립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은, 예를 들어 50 % 이상이어도 되고, 65 % 이상이어도 되고, 75 % 이상이어도 되고, 85 % 이상이어도 되고, 90 % 이상이어도 되고, 95 % 이상이어도 되고, 97 % 이상이어도 된다.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은, 원리상 100 % 이하이고, 전형적으로는 100 % 미만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has a water peeling adhesive force reduction ratio of 40% or mo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arge value of the water peeling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can be easily peeled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For example, a small amount of aqueous liquid is supplied to the adherend to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affixed, and the aqueous liquid enters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from one en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create an instrument for peeling, and t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By peeling, the peeling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using this property, it is possible to achieve both high adhesive strength and good rework properties in normal use. In some aspects, the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e may be, for example, 50% or more, 65% or more, 75% or more, 85% or more, 90% or more, or 95% or more. And 97% or more may be sufficient. The water peeling adhesion reduction rate is 100% or less in principle, and is typically less than 100%.

(건식 박리 거리 및 물 진입 거리)(Dry peeling distance and water entry distanc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건식 박리 거리 0.5 ㎜ 이하 및 물 진입 거리가 10 ㎜ 이상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점착 시트는, 그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과 피착체의 계면에 액상의 물이 없는 조건, 즉 건식 박리 조건에서는, 상기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하는 방향으로의 힘을 가해도 용이하게는 박리되지 않고, 양호한 유지성을 발휘하는 점에서, 접합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 점착 시트는, 그 점착 시트와 피착체의 계면에 물 등의 수성 액체를 공급함으로써, 용이하게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이것은, 리워크성이나 리사이클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satisfies a dry peeling distance of 0.5 mm or less and a water entry distance of 10 mm or more. Su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n be easily applied under a condition where there is no liquid wate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that is, under dry peeling conditions, even if a force in the direction of peel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is applied. It is excellent in the reliability of bonding because it does not peel and exhibits good re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shee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adherend by supply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Thi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workability and recycling property.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건식 박리 거리는, 예를 들어 0.4 ㎜ 이하여도 되고, 0.3 ㎜ 이하여도 되고, 0.2 ㎜ 이하여도 되고, 0.1 ㎜ 이하여도 되고, 0.1 ㎜ 미만이어도 된다. 상기 건식 박리 거리는, 일반적으로는 짧을수록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0 ㎜ 란, 시험편의 자유단에 추를 부가하고 0 초 후부터 1 분간의 동안에 박리의 진행이 관측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무엇보다, 다른 특성과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건식 박리 거리가 0.1 ㎜ 초과 또는 0.2 ㎜ 초과인 양태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In some aspects, the dry peeling distance may be, for example, 0.4 mm or less, 0.3 mm or less, 0.2 mm or less, 0.1 mm or less, or less than 0.1 mm. Generally, the shorter the dry peeling distance is, the more preferable it is, and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it is substantially 0 mm. Here, substantially 0 mm means that the progress of peeling is not observed for 1 minute from 0 seconds after adding a weight to the free end of the test piece. Above all, in consideration of the balance with other propertie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n aspect in which, for example, a dry peeling distance is more than 0.1 mm or more than 0.2 mm.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물 진입 거리는, 예를 들어 14 ㎜ 이상이어도 되고, 18 ㎜ 이상이어도 되고, 20 ㎜ 이상이어도 된다. 점착 시트의 물 박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물 진입 거리는 길수록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진입 거리는, 상기 정하중 박리 시험에 있어서 시험편과 피착체의 계면에 증류수를 공급할 때에 그 시험편이 피착체에 접합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다. 예를 들어, 길이 150 ㎜ 의 시험편을 사용하고, 그 시험편의 일단으로부터 50 ㎜ 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하여 자유단으로 하고 추를 부여하는 경우, 건식 박리 거리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건식 박리 거리가 0 ㎜ 인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물 진입 거리의 상한은 100 ㎜ 가 된다. 또, 증류수를 공급하고 나서 10 초 이내에 시험편의 상기 일단과는 반대측의 끝까지 박리가 진행되어 그 시험편이 피착체로부터 낙하한 경우, 상기 물 진입 거리는, 건식 박리 거리에 따라 상이하지만, 예를 들어 건식 박리 거리가 0 ㎜ 인 경우에는 100 ㎜ 초과로 평가할 수 있다.In some aspects, the water entry distance may be, for example, 14 mm or more, 18 mm or more, or 20 m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water peel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t can be said that the longer the water entry distance is, the more preferable. In addition, the water entry distance does not exceed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test piece is bonded to the adherend when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test piece and the adherend in the static load peeling test. For example, when a test piece having a length of 150 mm is used and 50 mm from one end of the test piece is peeled from the adherend to form a free end and a weight is applied, it varies depending on the dry peel distance, but, for example, the dry peel distance When is 0 mm, the upper limit of the water entry distance is 100 mm. In addition, if the peeling proceeds to the end opposite to the one end of the test piece within 10 seconds after supplying distilled water and the test piece falls from the adherend, the water entry distance differs depending on the dry peeling distance. When the peeling distance is 0 mm, it can be evaluated as more than 100 mm.

(내수 점착력 저하율)(Reduction rate of water-resistant adhesion)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상기와 같이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기 때문에 내수 신뢰성이 우수하다. 보다 높은 내수 신뢰성을 얻는 관점에서, 내수 점착력 저하율은, 예를 들어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 % 이하여도 된다. 내수 점착력 저하율은, 전형적으로는 0 % 이상이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 [%] 과 내수 점착력 저하율 [%] 의 차가, 예를 들어 45 % 이상, 또는 55 % 이상, 또는 70 % 이상, 또는 80 % 이상, 또는 90 % 이상인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can be easily peeled off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decrease rate is 30% or less, it is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higher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is preferably 20% or less, more preferably 10% or less, and may be 7% or less, for example. The water-resistant adhesion reduction rate is typically 0% or mor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e [%] and the water-resistant adhesion reduction rate [%] is, for example, 45% or more, or 55% or more, or 70% or more, or 80% or more, or 90% It can be preferably carried out in the above mod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접합의 신뢰성의 관점에서, 상태 점착력 (N0) 이 2.0 N/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태 점착력 (N0) 은, 예를 들어 2.5 N/10 ㎜ 이상이어도 되고, 3.0 N/10 ㎜ 이상이어도 되고, 3.5 N/10 ㎜ 이상이어도 되고, 4.0 N/10 ㎜ 이상이어도 된다. 상태 점착력 (N0) 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0 N/10 ㎜ 이하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태 점착력 (N0) 은, 20 N/10 ㎜ 이하여도 되고, 15 N/10 ㎜ 이하여도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has a state adhesive force (N0) of 2.0 N/10 m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reliability of bonding. In some aspects, the state adhesion (N0) may be, for example, 2.5 N/10 mm or more, 3.0 N/10 mm or more, 3.5 N/10 mm or more, or 4.0 N/10 mm or more. May be. The upper limit of the state adhesive force N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30 N/10 mm or less. In some aspects, the state adhesive force (N0) may be 20 N/10 mm or less, or 15 N/10 mm or less.

물 박리력 (N2) 은, 상태 점착력 (N0) 의 6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물 박리력 (N2) 은, 예를 들어 10 N/10 ㎜ 이하여도 되고, 3.5 N/10 ㎜ 이하여도 되고, 3.0 N/10 ㎜ 이하여도 되고, 2.5 N/10 ㎜ 이하여도 되고, 1.6 N/10 ㎜ 이하여도 되고, 1.2 N/10 ㎜ 이하여도 되고, 1.0 N/10 ㎜ 이하여도 된다. 물 박리력 (N2) 이 낮은 점착 시트에 의하면, 그 점착 시트를 박리할 때에 피착체에 부여하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얇은 피착체, 취약한 피착체, 변형 (늘어남, 휨, 비틀림 등) 되기 쉬운 피착체, 표면에 손상되기 쉬운 박막을 갖는 피착체 등에 첩부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특히 의의가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물 박리력 (N2) 이 0.75 N/10 ㎜ 이하, 또는 0.50 N/10 ㎜ 이하, 또는 0.25 N/10 ㎜ 이하, 또는 0.15 N/10 ㎜ 이하인 양태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물 박리력 (N2) 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0 N/10 ㎜ 여도 되고, 0 N/10 ㎜ 초과여도 된다.The water peeling force (N2) is preferably 60% or less (more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state adhesive force N0.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water peeling force (N2) may be, for example, 10 N/10 mm or less, 3.5 N/10 mm or less, 3.0 N/10 mm or less, and 2.5 N/10 mm or less It may be sufficient, 1.6 N/10 mm or less may be sufficient, 1.2 N/10 mm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1.0 N/10 mm or less may be sufficient. According to the adhesive sheet having a low water peeling force (N2), the load applied to the adherend when peeling the adhesive sheet can be reduced. This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dhered to, for example, a thin adherend, a fragile adherend, an adherend susceptible to deformation (elongation, warpage, twist, etc.), an adherend having a thin film that is susceptible to damage to the surfa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is, for example, a water peeling force (N2) of 0.75 N/10 mm or less, or 0.50 N/10 mm or less, or 0.25 N/10 mm or less, or 0.15 N/10 mm or less. It can also be carried out preferably. The lower limi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bstantially 0 N/10 mm or more than 0 N/10 mm.

또한, 리워크성 향상의 관점에서, 물 박리력 (N2) 의 측정에 있어서, 피착체 상에 점착제를 잔류시키지 않고 그 피착체로부터 박리하는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다. 즉, 비풀 잔류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다. 피착체 상에 대한 점착제의 잔류의 유무는, 예를 들어, 점착 시트 박리 후의 피착체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rework property, in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ich is peeled from the adherend without leav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adherend is preferable. That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excellent wetness retention is preferab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on the adherend can be grasped, for example, by visually observing the adherend after peeling the adhesive sheet.

상태 점착력 (N0) [N/10 ㎜] 에 대한 물 박리력 (N2) [N/10 ㎜] 의 비 (N2/N0) 는, 예를 들어 1/2.5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여도 되고, 1/10 이하여도 된다. 상기 비 (N2/N0) 가 보다 작은 것은, 상태 점착력 (N0) 에 대하여 물 박리력 (N2) 이 보다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비 (N2/N0) 가 1/15 이하, 1/25 이하 또는 1/35 이하인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비 (N2/N0) 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200 이상이어도 되고, 1/150 이상이어도 되고, 1/100 이상이어도 된다.The ratio (N2/N0)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N/10 mm] to the state adhesive force (N0) [N/10 mm] may be, for example, 1/2.5 or less, or 1/5 or less. , 1/10 or less may be sufficient. The smaller the ratio (N2/N0) means that the water peeling force (N2) is more markedly lowered with respect to the state adhesive force (N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an aspect in which the ratio (N2/N0) is 1/15 or less, 1/25 or less, or 1/35 or less.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N2/N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it may be 1/200 or more, 1/150 or more, or 1/100 or mor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비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용성의 A 층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N1) 이 높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은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A 층이 비수용성인 것은,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사용하는 박리에 있어서 피착체 상에 점착제가 잔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 A 층이 비수용성인 것은, 물 침지나 환경 중의 습기에 의해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water-insoluble. According to the water-insoluble layer A,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high water-resistant adhesion (N1) and a low water-resistant adhesion reduction rate. The fact that the layer A is water-insoluble is also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mains on the adherend during peeling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Further, the fact that the layer A is water-insoluble can be advantageous also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lowered due to water immersion or moisture in the environment.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A 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비수팽윤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팽윤성의 A 층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N1) 이 높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은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또,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사용하는 박리에 있어서, 소량의 수성 액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양호한 박리성을 발휘할 수 있다. A 층이 비수팽윤성인 것은, 수성 액체를 사용하는 박리에 있어서 피착체 상에 점착제가 잔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또, A 층이 비수팽윤성인 것은, 물 침지나 환경 중의 습기에 의해 점착 시트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layer A is preferably non-water swellable. According to the non-water swellable layer A,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high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and a low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Moreover, in peeling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good peelability can be exhibited by effectively using a small amount of aqueous liquid. The fact that the layer A is non-water swellable is also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mains on the adherend during peeling using an aqueous liquid. Further, the fact that the layer A is non-water swellable can be advantageous also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transpare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lowered due to water immersion or moisture in the environment.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가 비수용성이라는 것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겔분율이 75 % 이상인 것을 말한다. 또, 점착제가 비수팽윤성이라는 것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팽윤도가 2 이하인 것을 말한다.Her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water-insolubl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ans that the gel fraction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is 75% or more. Moreover, that the adhesive is non-water swellable means that the swelling degre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is 2 or less.

즉, 측정 대상의 점착제를 0.5 g 정도 칭량하고, 그 무게를 W1 로 한다. 이 점착제를 실온 (약 23 ℃) 에 있어서 증류수 500 mL 중에 48 시간 침지한 후, 나일론 메시로 여과하고, 물을 포함한 점착제의 무게 W2 를 측정한다. 그 후, 점착제를 130 ℃ 에서 5 시간 건조시키고, 불휘발분의 무게 W3 을 측정한다. 겔분율 및 팽윤도는,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That is, about 0.5 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be measured is weighed, and the weight is set to W1. After immersing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500 mL of distilled water at room temperature (about 23° C.) for 48 hours, it is filtered through a nylon mesh, and the weight W2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water is measured. After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dried at 130° C. for 5 hours, and the weight W3 of the nonvolatile matter is measured. The gel fraction and swelling degree ar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겔분율 [%] = (W3/W1) × 100Gel fraction [%] = (W3/W1) × 100

팽윤도 = W2/W1Swelling degree = W2/W1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A 층의 겔분율은, 예를 들어 80 % 이상이어도 되고, 90 % 이상이어도 되고, 95 % 이상이어도 되고, 98 % 이상이어도 된다. A 층의 겔분율은, 원리상 100 % 이하이다. 또,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A 층의 팽윤도는, 예를 들어 1.7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여도 되고, 1.2 이하여도 된다. A 층의 팽윤도는, 통상은 1.0 이상이고, 전형적으로는 1.0 초과이다.In some aspects,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A may be, for example, 80% or more, 90% or more, 95% or more, or 98% or more. In principle,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A is 100% or less. Moreover, in some aspects, the swelling degree of the A layer may be 1.7 or less, 1.5 or less, and 1.2 or less, for example.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layer A is usually 1.0 or more, and typically exceeds 1.0.

점착제층이 A 층과 그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포함하는 구성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B 층의 겔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B 층의 겔분율은, A 층의 겔분율과 동등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A 층의 겔분율보다 높아도 된다. B 층의 겔분율은, 예를 들어 90 % 이상이어도 되고, 95 % 이상이어도 되고, 98 % 이상이어도 되고, 99 % 이상이어도 된다. B 층의 겔분율은, 원리상 100 % 이하이다. 또, 점착제층 전체의 겔분율은, 예를 들어 85 % 이상이어도 되고, 90 % 이상이어도 되고, 95 % 이상이어도 되고, 98 % 이상이어도 되고, 99 %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A 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서는, 그 점착제층 전체의 겔분율이란 A 층의 겔분율을 의미한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ayer A,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ome embodiments,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B is preferably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A, and may be higher than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A.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B may be, for example, 90% or more, 95% or more, 98% or more, or 99% or more. In principle,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B is 100% or less. Moreover, the gel fraction of the who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85% or more, 90% or more, 95% or more, 98% or more, or 99% or more. In additio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osed of only layer A, the gel fraction of the enti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ans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A.

점착제층이 A 층과 그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포함하는 구성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B 층의 팽윤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B 층의 팽윤도는, A 층의 팽윤도와 동등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A 층의 팽윤도보다 낮아도 된다. B 층의 팽윤도는, 예를 들어 1.5 이하여도 되고, 1.3 이하여도 되고, 1.1 이하여도 된다. B 층의 팽윤도는, 통상은 1.0 이상이고, 전형적으로는 1.0 초과이다. 또, 점착제층 전체의 팽윤도는, 예를 들어 1.6 이하여도 되고, 1.4 이하여도 되고, 1.2 이하여도 되고, 1.1 이하여도 된다. 또한, A 층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서는, 그 점착제층 전체의 팽윤도란 A 층의 팽윤도를 의미한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layer A,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layer 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ome aspects,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layer B is preferably equal to or less than that of the layer A, and may be lower than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layer A.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layer B may be, for example, 1.5 or less, 1.3 or less, or 1.1 or less.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layer B is usually 1.0 or more, and typically exceeds 1.0. Moreover,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enti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1.6 or less, 1.4 or less, 1.2 or less, and 1.1 or less. In additio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osed of only layer A,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enti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ans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layer A.

또한, 점착제의 물에 대한 겔분율이나 팽윤도는,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의 조성, 중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 가교제나 다관능 모노머의 사용 등의, 본원 출원시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일반적인 수법을 적절히 채용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l fraction and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respect to water can be determined by appropriately employing common technique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such as 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the use of a crosslinking agent or a polyfunctional monomer Can be adjusted.

<점착제층><Adhesive layer>

(1) A 층(1) A layer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천연 고무계, 합성 고무계, 이들의 혼합계 등),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각종 점착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점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착제층일 수 있다. 여기서, 아크릴계 점착제란, 아크릴계 중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를 말한다. 고무계 점착제 그 밖의 점착제에 대해서도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중합물의 개념에는, 일반적으로 올리고머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는 비교적 저중합도의 중합물도 포함된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the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 example,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a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mixtures thereof, etc.),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poly It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one or two or mor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elected from various known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uch as est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eth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amid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fluori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Here,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fer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as a main component. It has the same meaning for rubber-based adhesives and other adhesives. In addition, the concept of the polymerized product here also includes a polymer having a relatively low polymerization degree that may be generally referred to as an oligomer.

(아크릴계 점착제)(Acrylic adhesive)

투명성이나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A 층의 구성 재료로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From the viewpoints of transparency and weather resistance, in some aspect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preferably employed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ayer A.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 말단에 탄소 원자수 1 이상 20 이하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50 중량% 보다 많이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으로 구성된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탄소 원자수가 X 이상 Y 이하인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메트)아크릴산 CX-Y 알킬에스테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특성의 밸런스를 취하기 쉬운 점에서, 모노머 성분 전체 중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55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6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0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동일한 이유로부터, 모노머 성분 중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99.9 중량% 이하여도 되고, 99.5 중량% 이하여도 되고, 99 중량% 이하여도 된다.As an acrylic adhesive, for example, an acrylic polymer composed of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more than 50% by weight of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t the end of the est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Hereinafter,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X or more and Y or less in the ester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meth)acrylic acid C XY alkyl ester". From the point that it is easy to balance the properties, the proportion of the (meth)acrylic acid C 1-20 alkyl ester in the whole monomer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55% by weight or more, 60% by weight or more, or 70% by weight or more. . For the same reason, the proportion of the (meth)acrylic acid C 1-20 alkyl ester in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99.9% by weight or less, 99.5% by weight or less, or 99% by weight or less.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의 비한정적인 구체예로는,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을 들 수 있다.Non-limiting specific 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C 1-20 alkyl ester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and n- (meth)acrylate. Butyl, isobutyl (meth)acrylate, s-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isopen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heptyl (meth)acrylate, Oc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isoctyl (meth)acrylate, non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decyl (meth)acrylate, isodecyl (meth)acrylate, ( Undecyl meth)acrylate, dodecyl (meth)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tetradecyl (meth)acrylate, pentadecyl (meth)acrylate, hexadecyl (meth)acrylate, heptadecyl (meth)acrylate, (meth)acrylate ) Stearyl acrylate, isostearyl (meth)acrylate, nonadecyl (meth)acrylate, eicosyl (meth)acrylate, and the like.

이들 중, 적어도 (메트)아크릴산 C4-20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메트)아크릴산 C4-18 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산n-부틸 (BA)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 (2EHA) 의 일방 또는 양방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적어도 2EHA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 C4-20 알킬에스테르의 다른 예로는, 아크릴산이소노닐, 메타크릴산n-부틸 (BMA),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2EHMA), 아크릴산이소스테아릴 (ISTA) 등을 들 수 있다.Among these,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meth)acrylic acid C 4-20 alkyl ester,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t least (meth)acrylic acid C 4-18 alkyl ester. For example,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one or both of n-butyl acrylate (BA) and 2-ethylhexyl acrylate (2EHA) as the monomer component is preferred, and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t least 2EHA is particularly preferred. Other examples of (meth)acrylic acid C 4-20 alkyl esters that can be preferably used include isononyl acrylate, n-butyl methacrylate (BMA), 2-ethylhexyl methacrylate (2EHMA), isostearyl acrylate (ISTA), etc. are mentioned.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메트)아크릴산 C4-18 알킬에스테르를 40 중량% 이상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스테르 말단에 탄소 원자수 4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비교적 많이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에 의하면, 친유성이 높은 아크릴계 중합물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친유성이 높은 아크릴계 중합물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은 점착제층이 형성되기 쉽다. 모노머 성분에서 차지하는 (메트)아크릴산 C4-18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6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75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80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어느 하한치 이상의 비율로 (메트)아크릴산 C6-18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이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may contain (meth)acrylic acid C 4-18 alkyl ester in a proportion of 40% by weight or mo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an acrylic polymer having high lipophilicity tends to be formed. According to the acrylic polymer having a high lipophilicit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low water-resistant adhesion reduction rate is likely to be formed. The proportion of the (meth)acrylic acid C 4-18 alkyl ester in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60% by weight or more, 70% by weight or more, 75% by weight or more, or 80% by weight or more. It may be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C 6-18 alkyl ester in a ratio equal to or more than any of the lower limits described above.

또, 점착제층의 응집성을 높여 응집 파괴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모노머 성분에서 차지하는 (메트)아크릴산 C4-18 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통상, 99.5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99 중량% 이하여도 되고, 98 중량% 이하여도 되고, 97 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서술한 어느 상한치 이하의 비율로 (메트)아크릴산 C6-18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모노머 성분이어도 된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cohesive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venting cohesive failure, the proportion of the (meth)acrylic acid C 4-18 alkyl ester in the monomer component is usually 99.5% by weight or less, and 99% by weight or less. It may be sufficient, 98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97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It may be a monomer component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C 6-18 alkyl ester in the ratio below any upper limit mentioned above.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함께, 필요에 따라,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모노머 (공중합성 모노머)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중합성 모노머로는, 극성기 (예를 들어, 카르복시기, 수산기, 질소 원자 함유 고리 등) 를 갖는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극성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크릴계 중합물에 가교점을 도입하거나,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이거나 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may contain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monomers) which can be copolymerized with the (meth)acrylate alkyl ester, if necessary, together with the (meth)acrylate alkyl ester. As the copolymerizable monomer, a monomer having a polar group (eg, a carboxyl group, a hydroxyl group, a nitrogen atom-containing ring, etc.) can be preferably used. The monomer having a polar group may be helpful in introducing a crosslinking point to the acrylic polymer or increasing the co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polymerizable monomer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공중합성 모노머의 비한정적인 구체예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The following are mentioned as a non-limiting specific example of a copolymerizable monomer.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carboxyethyl acrylate, carboxypentyl 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crotonic acid, isocrotonic acid, and the like.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Acid anhydride group-containing monomers: For example,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수산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12-하이드록시라우릴,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하이드록시알킬 등.Hydroxyl-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2-hydroxybutyl (meth)acry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meth)acrylate ) 4-hydroxybutyl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8-hydroxyoctyl (meth) acrylate, 10-hydroxydecyl (meth) acrylate, 12-hydroxylauryl (meth) acrylate, ( Hydroxyalkyl (meth)acrylates such as 4-hydroxymethylcyclohexyl)methyl (meth)acrylate;

술폰산기 또는 인산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비닐술폰산나트륨,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Monomers containing a sulfonic acid group or a phosphoric acid group: For example, styrenesulfonic acid, allylsulfonic acid, sodium vinylsulfonic acid, 2-(meth)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meth)acrylamide propanesulfonic acid, sulfopropyl (meth) Acrylate, (meth)acryloyloxynaphthalenesulfonic acid, 2-hydroxyethylacryloyl phosphate, and the like.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이나 (메트)아크릴산-2-에틸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에테르 등.Epoxy group-containing monomers: For example, epoxy group-containing acrylates such as glycidyl (meth)acrylate and 2-ethylglycidyl ether (meth)acrylate, allyl glycidyl ether, glycidyl ether (meth)acrylate, etc. .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Cyano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c.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Isocyanate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2-isocyanate ethyl (meth)acrylate, etc.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 N-비닐아세트아미드 등의 N-비닐카르복실산아미드류 ; 수산기와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예를 들어, N-(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1-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하이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 알콕시기와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예를 들어,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 그 밖에,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meth)acrylamide; N,N-dimethyl (meth)acrylamide, N,N-diethyl (meth)acrylamide, N,N-dipropyl (meth)acrylamide, N,N-diisopropyl (meth)acrylamide, N, N,N-dialkyl (meth)acrylamide, such as N-di(n-butyl)(meth)acrylamide and N,N-di(t-butyl)(meth)acrylamide; N-alkyl (meth)acrylamides such as N-ethyl (meth)acrylamide, N-isopropyl (meth)acrylamide, N-butyl (meth)acrylamide, and N-n-butyl (meth)acrylamide; N-vinylcarboxylic acid amides, such as N-vinyl acetamide; Monomers having a hydroxyl group and an amide group, such as N-(2-hydroxyethyl)(meth)acrylamide, N-(2-hydroxypropyl)(meth)acrylamide, N-(1-hydroxypropyl) (Meth)acrylamide, N-(3-hydroxypropyl)(meth)acrylamide, N-(2-hydroxybutyl)(meth)acrylamide, N-(3-hydroxybutyl)(meth)acrylamide , N-hydroxyalkyl (meth)acrylamide, such as N-(4-hydroxybutyl)(meth)acrylamide; Monomers having an alkoxy group and an amide group, for example, N-alkoxyalkyl such as N-methoxymethyl (meth)acrylamide, N-methoxyethyl (meth)acrylamide, and N-butoxymethyl (meth)acrylamide (Meth)acrylamide; In addition, N,N-dimethylaminopropyl (meth)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etc.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에폭시기를 갖는 모노머 :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Monomers having an epoxy group: For example, glycidyl (meth) acrylate, methyl glycidyl (meth) acrylate, allyl glycidyl ether.

질소 원자 함유 고리를 갖는 모노머 :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메틸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N-비닐피리미딘,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옥사졸, N-(메트)아크릴로일-2-피롤리돈, N-(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N-비닐모르폴린,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진-2-온, N-비닐-3,5-모르폴린디온, N-비닐피라졸, N-비닐이소옥사졸, N-비닐티아졸, N-비닐이소티아졸, N-비닐피리다진 등 (예를 들어, N-비닐-2-카프로락탐 등의 락탐류).Monomers having a nitrogen atom-containing ring: For example, N-vinyl-2-pyrrolidone, N-methylvinylpyrrolidone, N-vinylpyridine, N-vinylpiperidone, N-vinylpyrimidine, N-vinyl Piperazine, N-vinylpyrazine, N-vinylpyrrole, N-vinylimidazole, N-vinyloxazole, N-(meth)acryloyl-2-pyrrolidone, N-(meth)acryloyl piperi Dean, N-(meth)acryloylpyrrolidine, N-vinylmorpholine, N-vinyl-3-morpholinone, N-vinyl-2-caprolactam, N-vinyl-1,3-oxazine-2 -One, N-vinyl-3,5-morpholinedione, N-vinylpyrazole, N-vinylisoxazole, N-vinylthiazole, N-vinylisothiazole, N-vinylpyridazine, etc. (e.g. , Lactams such as N-vinyl-2-caprolactam).

숙신이미드 골격을 갖는 모노머 : 예를 들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등.Monomers having a succinimide skeleton: For example, N-(meth)acryloyloxymethylenesuccinimide, N-(meth)acryloyl-6-oxyhexamethylenesuccinimide, N-(meth)acrylic Royl-8-oxyhexamethylene succinimide, etc.

말레이미드류 : 예를 들어,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Maleimides: For example, N-cyclohexylmaleimide, N-isopropylmaleimide, N-laurylmaleimide, N-phenylmaleimide, and the like.

이타콘이미드류 : 예를 들어,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등.Itaconimides: For example, N-methyl itaconimide, N-ethyl itaconimide, N-butyl itaconimide, N-octyl itaconimide, N-2-ethylhexyl itacone Mid, N-cyclohexyl itaconimide, N-lauryl itaconimide, etc.

(메트)아크릴산아미노알킬류 :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N,N-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Aminoalkyl (meth)acrylates: For example, 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N,N-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t- (meth)acrylate Butylaminoethyl.

알콕시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폭시에틸, (메트)아크릴산부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에톡시프로필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류 ; (메트)아크릴산메톡시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렌글리콜류.Alkoxy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2-methoxyethyl (meth)acrylate, 3-methoxypropyl (meth)acrylate, 2-ethoxyethyl (meth)acrylate, propoxyethyl (meth)acrylate, (meth) Alkoxyalkyl (meth)acrylates such as butoxyethyl acrylate and ethoxypropyl (meth)acrylate; Alkoxyalkylene glycols (meth)acrylates, such as methox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and methoxypolypropylene glycol (meth)acrylate.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 : 예를 들어 3-(메트)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트)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 (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비닐에스테르류 :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Vinyl esters: For exampl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etc.

비닐에테르류 : 예를 들어, 메틸비닐에테르나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알킬에테르.Vinyl ethers: For example, vinyl alkyl eth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and ethyl vinyl ether.

방향족 비닐 화합물 :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Aromatic vinyl compounds: For example, styrene, α-methylstyrene, vinyltoluene, and the like.

올레핀류 : 예를 들어, 에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Olefins: For example, ethylene, butadiene, isoprene, isobutylene, etc.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cyclopent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a Damantyl (meth)acrylate, etc.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예를 들어,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n aromatic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phenyl (meth)acrylate, phenoxyethyl (meth)acrylate, benzyl (meth)acrylate, and the like.

그 밖에, (메트)아크릴산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등의 복소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염화비닐이나 불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할로겐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규소 원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In addition, heterocycle-containing (meth)acrylates such as 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halogen atom-containing (meth)acrylates such as vinyl chloride or fluorine atom-containing (meth)acrylates, silicone (meth)acrylates (Meth)acrylic acid ester obtained from silicon atom-containing (meth)acrylate, terpene compound derivative alcohol, etc.;

이와 같은 공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0.01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공중합성 모노머의 사용 효과를 보다 잘 발휘하는 관점에서, 공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을 모노머 성분 전체의 0.1 중량% 이상으로 해도 되고, 0.5 중량%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점착 특성의 밸런스를 취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공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통상, 모노머 성분 전체의 5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4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using such a copolymerizable monomer, the amount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usually appropriate to be 0.01%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 From the viewpoint of better exhibiting the effect of using the copolymerizable monomer, the amount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may be 0.1%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 or 0.5%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facilitating balance of the adhesive properties, the amount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to be used is usually appropriately 50%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40%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은,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적합예로서, 아크릴산 (AA) 및 메타크릴산 (MAA) 을 들 수 있다. AA 와 MAA 를 병용해도 된다. AA 와 MAA 를 병용하는 경우, 그들의 중량비 (AA/MAA)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대략 0.1 ∼ 10 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중량비 (AA/MAA) 는, 예를 들어 대략 0.3 이상이어도 되고, 대략 0.5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중량비 (AA/MAA) 는, 예를 들어 대략 4 이하여도 되고, 대략 3 이하여도 된다.In some aspects, it is preferable that the monomer component contains a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suitable example of a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acrylic acid (AA) and methacrylic acid (MAA) are mentioned. You may use AA and MAA together. When AA and MAA are used together, their weight ratio (AA/MA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0.1 to 10. In some aspects, the weight ratio (AA/MAA)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0.3 or higher, or approximately 0.5 or higher. Moreover, the said weight ratio (AA/MAA) may be about 4 or less, and about 3 or less, for example.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에 의해, A 층의 표면에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신속하게 친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물 박리력 (N2) 의 저하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 전체의 0.05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0.1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0.3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0.5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0.8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어 15 중량% 이하여도 되고, 10 중량% 이하여도 되고, 5 중량% 이하여도 되고, 4.5 중량% 이하여도 되고, 3.5 중량% 이하여도 되고, 3.0 중량% 이하여도 되고, 2.5 중량% 이하여도 된다.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지 않은 것은, A 층의 벌크에 대한 물의 확산을 억제하고, 내수 점착력 (N1) 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지 않은 것은, 물 박리력 (N2) 의 측정에 사용하는 물이 A 층에 흡수되어 박리 도중에 물이 부족한 사상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도 유리해질 수 있다.By use of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can be rapidly brought into affinity with the surface of the layer A. This can help to lower the water peeling force (N2). The amount of th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to be used may be, for example, 0.05% by weight or more, 0.1% by weight or more, 0.3% by weight or more, 0.5% by weight or more, or 0.8%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 Further, the proportion of th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for example, 15% by weight or less, 10% by weight or less, 5% by weight or less, 4.5% by weight or less, 3.5% by weight or less, or 3.0% by weight. %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2.5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The fact that the amount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not too larg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diffusion of water into the bulk of the layer A and suppressing a decrease in the water-resistant adhesion (N1).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amount of th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is not too large can be advantageous also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water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from being absorbed by the layer A, and preventing water shortage during peeling.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은,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에 의해, 점착제의 응집력이나 가교 밀도를 조정하고, 상태 점착력 (N0) 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모노머 성분 전체의 0.01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0.1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0.5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 또, A 층의 벌크에 대한 과도한 물 확산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전체의 예를 들어 4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30 중량% 이하로 해도 되고, 20 중량% 이하로 해도 되고,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또는 3 중량% 이하로 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A 층의 모노머 성분으로서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onomer component may contain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By use of a hydroxyl-containing monomer, the cohesive strength and crosslinking den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adjusted, and the state adhesion (N0) can be improved. In the case of using a hydroxyl-containing monomer, the amount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it may be 0.01% by weight or more, 0.1% by weight or more, or 0.5%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excessive water diffusion into the bulk of the layer A,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to be used is suitably 40%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of the entire monomer component, and 30% by weight. It may be set as% or less, may be set as 20 wt% or less, and may be set as 10 wt% or less, 5 wt% or less, or 3 wt% or les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even in an embodiment in which a hydroxyl-containing monomer is not substantially used as the monomer component of the layer A.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은,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는, 전형적으로는, 1 분자 내에 적어도 1 개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 예를 들어 2 개 또는 3 개) 의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이고, 그 구체예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의 사용에 의해, 점착제층에 실란올기의 축합 반응 (실란올 축합) 에 의한 가교 구조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는, 후술하는 실란 커플링제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onomer component may contain an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The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typically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having at least one (preferably two or more, for example, two or three) alkoxysilyl groups in one molecul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are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The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By use of an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a crosslinked structure by condensation reaction (silanol condensation) of silanol groups can be introduced in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addition, the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can also be grasped as a silane coupling agent described later.

모노머 성분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그 모노머 성분 전체에서 차지하는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어 0.005 중량% 이상으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01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0.5 중량% 이하여도 되고, 0.1 중량% 이하여도 되고, 0.05 중량% 이하여도 된다.In the aspect in which the monomer component contains an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the ratio of the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to the entire monomer component can be, for example, 0.005% by weight or more, and usually 0.01% by weight or more. It is appropriate. In addition, the ratio of the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for example, 0.5% by weight or less, 0.1% by weight or less, or 0.05%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adherend.

모노머 성분의 조성은, 그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기초하여 Fox 의 식에 의해 구해지는 유리 전이 온도 (이하, 「아크릴계 중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라고도 한다.) 가 -75 ℃ 이상 -10 ℃ 이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20 ℃ 이하인 것이 적당하고,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55 ℃ 이하여도 된다. 아크릴계 중합물의 Tg 가 낮아지면, A 층의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은 대체로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A 층에 의하면, 점착 시트의 박리를 의도하지 않는 국면에 있어서 피착체와 A 층의 계면에 대한 물 침입을 억제하기 쉽다. 이것은, 내수 점착력 (N1) 의 향상이나, 내수 점착력 저하율의 저감의 관점에서 유리해질 수 있다. 또, 아크릴계 중합물의 Tg 는, 상태 점착력 (N0) 을 높이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예를 들어 -70 ℃ 이상이어도 되고, -65 ℃ 이상이어도 된다.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is such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n acrylic polymer") determined by Fox's formula ba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is -75°C or more and -10°C or less. Can be set. In some embodiment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suitably -20°C or less, preferably -30°C or less, more preferably -40°C or less, and furthermore -50°C or less. It is preferable and, for example, -55 degreeC or less may be sufficient. When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lowered, the adhesion of the layer A to the adherend generally tends to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layer A having high adhesion to the adherend, it is easy to suppress water intrusion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layer A in a phase where peel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not intended. This can be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and reducing the rate of decrease in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In addition,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may be, for example, -70°C or higher, or -65°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y to increase the state adhesive force (N0).

여기서, 상기 Fox 의 식이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중합체의 Tg 와, 그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각각을 단독 중합한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Tgi 와의 관계식이다.Here, the formula of Fox is a relational expression between the Tg of the copolym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i of the homopolymer obtained by homopolymerizing each of the monomers constituting the copolymer, as shown below.

1/Tg = Σ(Wi/Tgi)1/Tg = Σ(Wi/Tgi)

또한, 상기 Fox 의 식에 있어서, Tg 는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단위 : K), Wi 는 그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모노머 i 의 중량분율 (중량 기준의 공중합 비율), Tgi 는 모노머 i 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단위 : K) 를 나타낸다.In addition, in the formula of Fox, Tg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unit: K) of the copolymer, Wi is the weight fraction of the monomer i in the copolymer (the copolymerization ratio based on weight), and Tgi is the homogeneity of the monomer i. It show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unit: K) of a polymer.

Tg 의 산출에 사용하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로는, 공지 자료에 기재된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 드는 모노머에 대해서는, 그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로서 이하의 값을 사용한다.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used for calculating Tg, the value described in publicly known data is assumed to be used. For example, for the following monomers, the following values are used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of the monomer.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 ℃2-ethylhexyl acrylate -70°C

n-부틸아크릴레이트 -55 ℃n-butyl acrylate -55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5 ℃Methyl methacrylate 105 ℃

메틸아크릴레이트 8 ℃Methyl acrylate 8 ℃

아크릴산 106 ℃Acrylic acid 106 ℃

메타크릴산 228 ℃Methacrylic acid 228 ℃

상기에서 예시한 것 이외의 모노머의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해서는, 「Polymer Handbook」 (제 3 판, John Wiley & Sons, Inc., 1989) 에 기재된 수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본 문헌에 복수 종류의 값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값을 채용한다.Fo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a homopolymer of a monomer other than those exemplified above, the numerical values described in "Polymer Handbook"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89) shall be used. When plural types of values are described in this document, the highest value is adopted.

상기 Polymer Handbook 에도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에 대해서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일본 특허출원공개 2007-51271호 참조). 구체적으로는, 온도계, 교반기, 질소 도입관 및 환류 냉각관을 구비한 반응기에, 모노머 100 중량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200 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가스를 유통시키면서 1 시간 교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중합계 내의 산소를 제거한 후, 63 ℃ 로 승온하고 10 시간 반응시킨다.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고형분 농도 33 중량% 의 호모폴리머 용액을 얻는다. 이어서, 이 호모폴리머 용액을 박리 라이너 상에 유연 도포하고, 건조시켜 두께 약 2 ㎜ 의 시험 샘플 (시트상의 호모폴리머) 을 제작한다. 이 시험 샘플을 직경 7.9 ㎜ 의 원반상으로 타발 (打拔) 하고, 패러렐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넣고, 점탄성 시험기 (ARES, 레오메트릭스사 제조) 를 사용하여 주파수 1 Hz 의 전단 변형을 부여하면서, 온도 영역 -70 ∼ 150 ℃, 5 ℃/분의 승온 속도로 전단 모드에 의해 점탄성을 측정하고, tanδ 의 피크 톱 온도를 호모폴리머의 Tg 로 한다.For monomers for which the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not described in the Polymer Handbook as well, a value obtain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is used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51271). Specifically, 100 parts by weight of a monomer, 0.2 parts by weight of azobisisobutyronitrile, and 20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were added to a reactor equipped with a thermometer, a stirrer, a nitrogen introduction tube, and a reflux cooling tube, and nitrogen gas was added. Stir for 1 hour while flowing. After removing oxygen in the polymerization system in this manner,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63°C and reacted for 10 hours. Then, it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a homopolymer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33% by weight is obtained. Next, this homopolymer solution is cast and dried on a release liner to prepare a test sample (sheet-shaped homopolyme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mm. This test sample was punched into a disk shape with a diameter of 7.9 mm, sandwiched between parallel plates, and sheared at a frequency of 1 Hz using a viscoelastic tester (ARES, manufactured by Rheometrics), and temperature range The viscoelasticity is measured by shear mode at a temperature rising rate of -70 to 150°C and 5°C/min, and the peak top temperature of tan δ is taken as Tg of the homopolymer.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층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조성의 모노머 성분을, 중합물, 미중합물 (즉, 중합성 관능기가 미반응인 형태), 혹은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 (점착 성분) 가 물에 분산된 형태의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유기 용매 중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형태의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자외선이나 방사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하여 점착제를 형성하도록 조제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가열 용융 상태에서 도공되고, 실온 부근까지 냉각되면 점착제를 형성하는 핫멜트형 점착제 조성물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closed herein u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monomer component of th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form of a polymerized product, an unpolymerized product (i.e., a form in which th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s unreacted), or a mixture thereof. Can be form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dhesive component) is dispersed in water,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n an organic solvent, and cured by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or radiation to cu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to form, and a hot-mel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coated in a hot-melt state and cooled to near room temperatur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방법이나 중합 양태 등에 따라, 공지 또는 관용의 열 중합 개시제나 광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 개시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polymerization, a known or commonly used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o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polymerization method or polymerization mode. Such a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by combining 2 or more types suitably.

열 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개시제, 과산화물과 환원제의 조합에 의한 레독스계 개시제, 치환 에탄계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딘)이황산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틸아미딘),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 등의 아조계 개시제 ; 예를 들어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 예를 들어 페닐 치환 에탄 등의 치환 에탄계 개시제 ; 예를 들어 과황산염과 아황산수소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나트륨의 조합 등의 레독스계 개시제 ; 등이 예시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열 중합은, 예를 들어 20 ∼ 100 ℃ (전형적으로는 40 ∼ 80 ℃) 정도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 azo polymerization initiator, a peroxide initiator, a redox initiator obtained by a combination of a peroxide and a reducing agent, a substituted ethane initiator, and the like can be use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2,2'-azobisisobutyronitrile,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sulfate, 2,2'-azobis(2-amidino Propane)dihydrochloride, 2,2'-azobis[2-(5-methyl-2-imidazolin-2-yl)propane]dihydrochloride, 2,2'-azobis(N,N'- Azo initiators such as dimethylene isobutylamidine) and 2,2'-azobis[N-(2-carboxyethyl)-2-methylpropionamidine]hydrate; Persulfates, such as potassium persulfate and ammonium persulfate, for example; Peroxide initiators such as benzoyl peroxide, t-butyl hydro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Substituted ethane initiators such as phenyl substituted ethane; For example, redox initiators such as a combination of persulfate and sodium hydrogen sulfite, and a combination of peroxide and sodium ascorbate; Etc. are illustrated,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In addition, thermal polymerization can be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about 20 to 100°C (typically 40 to 80°C).

광 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케탈계 광 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 중합 개시제, 벤조인에테르계 광 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 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 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 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 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 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 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 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 중합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 photoinitiator, For example, a ketal-type photoinitiator, acetophenone-type photoinitiator, a benzoin ether-type photoinitiator, an acylphosphine oxide-type photoinitiator, α-ketol-type photoinitiator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 aromatic sulfonyl chloride photoinitiator, a photoactive oxime photoinitiator, a benzoin photoinitiator, a benzyl photoinitiator, a benzophenone photoinitiator, a thioxanthone photoinitiator, etc. can be used. have.

이와 같은 열 중합 개시제 또는 광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방법이나 중합 양태 등에 따른 통상적인 사용량으로 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합 대상의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 대략 0.001 ∼ 5 중량부 (전형적으로는 대략 0.01 ∼ 2 중량부, 예를 들어 대략 0.01 ∼ 1 중량부) 를 사용할 수 있다.The amount of such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or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may be a conventional amount depending on the polymerization method or polymerization m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bout 0.001 to 5 parts by weigh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typically about 0.01 to 2 parts by weight, for example, about 0.01 to 1 part by weight) can be us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to be polymerized.

상기 중합에는, 필요에 따라, 종래 공지된 각종 연쇄 이동제 (분자량 조절제 혹은 중합도 조절제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를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는, n-도데실메르캅탄, t-도데실메르캅탄, 티오글리콜산 등의 메르캅탄류를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황 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연쇄 이동제 (비황계 연쇄 이동제) 를 사용해도 된다. 비황계 연쇄 이동제의 구체예로는, N,N-디메틸아닐린, N,N-디에틸아닐린 등의 아닐린류 ; α-피넨, 테르피놀렌 등의 테르페노이드류 ; α-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다이머 등의 스티렌류 ; 디벤질리덴아세톤, 신나밀알코올, 신나밀알데히드 등의 벤질리데닐기를 갖는 화합물 ; 하이드로퀴논, 나프토하이드로퀴논 등의 하이드로퀴논류 ; 벤조퀴논, 나프토퀴논 등의 퀴논류 ; 2,3-디메틸-2-부텐, 1,5-시클로옥타디엔 등의 올레핀류 ; 페놀, 벤질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 디페닐벤젠, 트리페닐벤젠 등의 벤질수소류 ; 등을 들 수 있다.For the polymerization, if necessary,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chain transfer agents (which can also be regarded as molecular weight modifiers or polymerization degree modifiers) can be used. Mercaptans, such as n-dodec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and thioglycolic acid, can be used as a chain transfer agent. Alternatively, a chain transfer agent that does not contain a sulfur atom (non-sulfur chain transfer agent) may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non-sulfur chain transfer agent include anilines such as N,N-dimethylaniline and N,N-diethylaniline; Terpenoids, such as α-pinene and terpinolene; Styrene, such as α-methylstyrene and α-methylstyrene dimer; Compounds having a benzylidene group such as dibenzylidene acetone, cinnamyl alcohol and cinnamylaldehyde; Hydroquinones such as hydroquinone and naphthohydroquinone; Quinones, such as benzoquinone and naphthoquinone; Olefins such as 2,3-dimethyl-2-butene and 1,5-cyclooctadiene; Alcohols such as phenol, benzyl alcohol, and allyl alcohol; Benzyl hydrogens such as diphenylbenzene and triphenylbenzene; And the like.

연쇄 이동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대략 0.01 ∼ 1 중량부 정도로 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연쇄 이동제를 사용하지 않는 양태로도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A chain transfer agent can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When a chain transfer agent is used, the amount thereof can be, for example, about 0.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implemented even in an embodiment in which a chain transfer agent is not used.

상기의 각종 중합법을 적절히 채용하여 얻어지는 중합물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요구 성능에 맞추어 적당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중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은, 통상은 대략 10 × 104 이상 (예를 들어 20 × 104 이상) 이고, 응집력과 접착력을 균형 있게 양립하는 관점에서, 30 × 104 초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일 양태에 관련된 중합물은,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도 양호한 접착 신뢰성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 × 104 이상 (전형적으로는 대략 50 × 104 이상, 예를 들어 대략 55 × 104 이상) 의 Mw 를 갖는다. 상기 중합물의 Mw 의 상한은, 통상은 대략 500 × 104 이하 (예를 들어 대략 150 × 104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Mw 는 대략 75 × 104 이하여도 된다. 여기서 Mw 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얻어진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을 말한다. GPC 장치로는, 예를 들어 기종명 「HLC-8320GPC」 (칼럼 : TSKgelGMH-H(S), 토소사 제조) 를 사용하면 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상기 Mw 는, 점착제 조성물 중, 점착제층 중 어느 것에 있어서의 상기 중합물의 Mw 일 수 있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obtained by appropriately employing the various polymerization methods described ab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t in an appropriate range according to the required performanc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mer is usually approximately 10 × 10 4 or more (for example, 20 × 10 4 or more), and from the viewpoint of balancing cohesive strength and adhesive force in a balanced manner, it is more than 30 × 10 4 It is suit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good adhesion reliability even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he polymer according to one aspect is preferably 40 × 10 4 or more (typically about 50 × 10 4 or more, for example, about 55 × 10 4 or more) of Mw Has. The upper limit of the Mw of the polymer may be usually about 500 × 10 4 or less (eg, about 150 × 10 4 or less). The Mw may be approximately 75×10 4 or less. Here, Mw means a value in terms of standard polystyrene obta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s the GPC device, the model name "HLC-8320GPC" (column: TSKgelGMH(S),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may be used, for example. The same is true for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Mw may be Mw of the polymer in an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A 층을 갖는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의 대표예로서,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모노머 성분의 중합물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has a layer A formed from a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water-dispersible adhesive composition, an emulsion-type adhesive composition is mentioned. The emulsion-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ypically contains a polymerized product of a monomer component and an additive used as necessary.

모노머 성분의 에멀션 중합은, 통상, 유화제의 존재하에서 실시된다. 에멀션 중합용의 유화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아니온성 유화제, 논이온성 유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mulsion polymeriza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is usually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n emulsifier. The emulsifier for emulsion polymeriz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anionic emulsifiers, nonionic emulsifiers, and the like can be used. Emulsifier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아니온성 유화제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유화제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유화제 (반응성 유화제) 를 사용해도 된다. 반응성 유화제의 예로는, 상기 서술한 아니온성 유화제 또는 논이온성 유화제에, 프로페닐기나 알릴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구조의 라디칼 중합성 유화제를 들 수 있다.Non-limiting examples of anionic emulsifiers includ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sodium polyoxyethylene lauryl sulfat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 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ammonium sulfate, polyoxy Sodium ethylene alkyl phenyl ether sulfat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sulfosuccinate, etc. are mentioned. Non-limiting examples of the nonionic emulsifier includ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 and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block polymer. You may use an emulsifier (reactive emulsifier)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Examples of the reactive emulsifier include a radically polymerizable emulsifi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radical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a propenyl group or an allyl ether group is introduced into the anionic emulsifier or nonionic emulsifier described above.

에멀션 중합에 있어서의 유화제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2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내수 점착력 (N1) 의 향상이나 내수 점착력 저하율의 저감, 혹은 점착제층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유화제의 사용량은, 통상,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하로 해도 된다. 또한, 여기서 에멀션 중합에 사용하는 유화제는, A 층의 물 친화제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The amount of emulsifier used in emulsion polymerization may be, for example, 0.2 parts by weight or more, 0.5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or 1.5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N1), reducing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or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the emulsifier used is usually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It is appropriate to be below,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ay be 3 parts by weight or less. In addition, the emulsifier used for emulsion polymerization here can also function as a water affinity agent for layer A.

에멀션 중합에 의하면, 모노머 성분의 중합물이 물에 분산된 에멀션 형태의 중합 반응액이 얻어진다. A 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중합 반응액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emulsion polymerization, a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in the form of an emulsion in which a polymer of a monomer component is dispersed in water is obtained. The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forming the layer A can be preferably prepared us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다른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A 층을 가질 수 있다.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모노머 성분의 용액 중합물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한다. 용액 중합에 사용하는 용매 (중합 용매) 는, 종래 공지된 유기 용매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톨루엔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 (전형적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류) ; 아세트산에틸이나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 헥산이나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류 ; 1,2-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알칸류 ;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 4 의 1 가 알코올류) ; tert-부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 종의 용매,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액 중합에 의하면, 모노머 성분의 중합물이 중합 용매에 용해된 형태의 중합 반응액이 얻어진다. A 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중합 반응액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several other preferred embodiments may have a layer A formed from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ypically contains a solution polymerized product of a monomer component and an additive used as necessary. The solvent (polymerization solvent) used for solution polymerization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organic solvents. For example, aromatic compounds such as toluene (typically aromatic hydrocarbons);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Aliphatic or alicyclic hydrocarbons such as hexane and cyclohexane; Halogenated alkanes such as 1,2-dichloroethane; Lower alcohols such as isopropyl alcohol (for example, monohydric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ethers such as tert-butyl methyl ether;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y one type of solvent selected from, for example, or a mixed solvent of two or more types can be us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a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in a form in which a polymer of a monomer component is dissolved in a polymerization solvent is obtained. The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d to form the layer A can be preferably prepared using the polymerization reaction solution.

다른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A 층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활성 에너지선」이란, 중합 반응, 가교 반응, 개시제의 분해 등의 화학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진 에너지선을 가리킨다. 여기서 말하는 활성 에너지선의 예에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과 같은 광이나, α 선, β 선, γ 선, 전자선, 중성자선, X 선과 같은 방사선 등이 포함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의 일 적합예로서,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광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두꺼운 점착제층이어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several other preferred embodiments may have a layer A formed from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e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ctive energy ray" refers to an energy ray having energy capable of causing a chemical reaction such as a polymerization reaction, a crosslinking reaction, and decomposition of an initiator. 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s here include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infrared rays, radiation such as α rays, β rays, γ rays, electron rays, neutron rays, and X rays. As one suitable example of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a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mentioned. The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formed even if it is a thick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mong them, an ultraviolet 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red.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는, 그 조성물의 모노머 성분 중 적어도 일부 (모노머의 종류의 일부여도 되고, 분량의 일부여도 된다.) 를 중합물의 형태로 포함한다. 상기 중합물을 형성할 때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각종 중합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에멀션 중합, 괴상 중합 등의 열 중합 (전형적으로는, 열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실시된다.) ;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실시하는 광 중합 (전형적으로는, 광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실시된다.) ; β 선, γ 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하여 실시하는 방사선 중합 ;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 중합이 바람직하다.The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ypically contains at least a part of the monomer component of the composition (a part of the type of the monomer or a part of the amount) in the form of a polymer. The polymerization method for forming the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polymerization methods can be appropriately employed. For example, thermal polymerization such as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and bulk polymerization (typically, it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Photopolymerization performed by irradiating light such as ultraviolet rays (typically, it i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radiation polymerization performed by irradiating radiation such as β-ray and γ-ray; Etc. can be appropriately adopted. Among them, photopolymerization is preferred.

바람직한 일 양태에 관련된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모노머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부분 중합물은, 전형적으로는 모노머 성분에서 유래하는 중합물과 미반응의 모노머와의 혼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시럽상 (점성이 있는 액상) 을 나타낸다. 이하, 이러한 성상의 부분 중합물을 「모노머 시럽」 또는 간단히 「시럽」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모노머 성분을 부분 중합시킬 때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각종 중합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효율이나 간편성의 관점에서, 광 중합법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광 중합에 의하면, 광의 조사량 (광량) 등의 중합 조건에 의해, 모노머 성분의 중합 전화율 (모노머 컨버션) 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contains a partially polymerized product of a monomer component. Such a partial polymer is typically a mixture of a polymer derived from a monomer component and an unreacted monomer, and preferably exhibits a syrup form (a viscous liquid). Hereinafter, a partial polymer of such a property may be referred to as "monomer syrup" or simply "syrup". The polymerization method when partially polymerizing the monomer compon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polymerization methods as described abov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cy and simplicity, a photopolymerization method can be preferably employed. According to photo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monomer conversion) of a monomer component can be easily controlled by polymerization conditions such as an irradiation amount of light (amount of light).

상기 부분 중합물에 있어서의 모노머 혼합물의 중합 전화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합 전화율은, 예를 들어 대략 70 중량% 이하로 할 수 있고, 대략 60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용이성이나 도공성 등의 관점에서, 통상, 상기 중합 전화율은, 대략 50 중량% 이하가 적당하고, 대략 4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대략 35 중량% 이하) 가 바람직하다. 중합 전화율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전형적으로는 대략 1 중량% 이상이고, 통상은 대략 5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of the monomer mixture in the partial polymerized produ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can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70% by weight or less, and is preferably approximately 60%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preparation and coat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partially polymerized product, usually,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is preferably approximately 50% by weight or less, and approximately 40%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approximately 35% by weight or less). Is preferred. The lower limit of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typically approximately 1% by weight or more, and usually approximately 5% by weight or more is suitable.

모노머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그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모노머 성분의 전체량을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적당한 중합 방법 (예를 들어 광 중합법) 에 의해 부분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모노머 성분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그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모노머 성분 중의 일부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 또는 완전 중합물과, 나머지 모노머 성분 또는 그 부분 중합물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완전 중합물」이란, 중합 전화율이 95 중량% 초과인 것을 말한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partial polymerized product of the monomer component, for example,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the total amount of the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artially polymerized by an appropriate polymerization method (for example, photopolymerization). It can be obtained by doing.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partial polymerization product of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a mixture of a partial polymerization product or a complete polymerization product of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a part of the monomer components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remaining monomer component or a partial polymerization product thereof. do.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completely polymerized product" means that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is more than 95 weight%.

상기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광 중합 개시제, 다관능 모노머, 가교제, 물 친화제 등) 이 배합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성분을 배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혼합물에 미리 함유시켜도 되고, 상기 부분 중합물에 첨가해도 된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partial polymer, other components (eg,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polyfunctional monomers, crosslinking agents, water affinity agents, etc.) may be blended as needed. The method of blending such other compon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may be contained in advance in the monomer mixture or may be added to the partial polymerized product.

(물 친화제)(Water affinity)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의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이, 모노머 성분의 중합 반응물에 더하여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 반응물로서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고, 추가로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A 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다.In the PSA sheet disclosed herei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yer A constituting one surface of the PSA layer contains a water affinity agent in addition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product of the monomer component.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an acrylic polymer as the polymerization product and further comprising an A layer containing a water affinity agent is preferable.

물 친화제로는, A 층에 함유됨으로써 그 A 층의 표면의 물 친화성을 높이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는 각종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A 층의 물 친화성을 높임으로써, A 층의 표면에 물 등의 수성 액체를 보다 신속하게 친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물 박리력 (N2) 의 측정시에 있어서, 처음에 적하한 1 방울의 물을, 피착체로부터의 점착 시트의 박리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A 층의 표면에 고루 퍼지게 할 수 있고, 물 박리력 (N2) 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동일한 작용에 의해,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점착 시트와 피착체의 계면에 진입시키면서 박리전선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박리 방법에 있어서, 그 점착 시트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일 수 있다.As the water affinity agent,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exerting an action of increasing the water affinity of the surface of the layer A by being contained in the layer A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By increasing the water affinity of the A layer,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can be more quickly made affinity to the surface of the A layer. Thereby, for example, in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the first drop of water dripped can be spread evenly on the surface of the layer A by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peeling wire of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There is, and water peeling force (N2) can be effectively reduced. By the same action, in the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comprising moving the peeling wire while introduc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the peelability of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can be improved. .

물 친화제로는, 공지된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카티온계 계면 활성제 등), 친수성 가소제 (수용성 가소제일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이들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물 친화제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the water affinity agent, known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etc.), hydrophilic plasticizers (water-soluble plasticizers may be used), water-soluble polymer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urfactant, a non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nd combinations thereof are preferable. Water affinity ag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친수성 가소제로는, 각종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폴리올) 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성 가소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Various polyols (preferably polyether polyols) can be used as the hydrophilic plasticizer.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ol include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polyoxypropylene sorbitol ether, and polyglycerin. These hydrophilic plasticizer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수용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등을 들 수 있다.As a water-soluble polymer, polyvinyl alcohol, polyvinylpyrrolidone, polyacrylic acid,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가소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 (PPG)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 폴리옥시에틸렌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에테르), 옥시에틸렌 단위와 옥시프로필렌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들 단위의 배열은, 랜덤이어도 되고, 블록상이어도 된다.) ; 이들의 유도체 ;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계면 활성제 중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옥시에틸렌 골격 (폴리옥시에틸렌 세그먼트라고도 한다.) 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PEG 가 보다 바람직하다.In some embodiments, as the hydrophilic plasticizer, a compound having a polyoxyalkylene skeleton can be preferably employed. Examples of the compound having a polyoxyalkylene skeleton include polyalkylene glycol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olypropylene glycol (PPG); Polyether containing polyoxyethylene units, polyether containing polyoxypropylene units (e.g., polyoxypropylene sorbitol ether), compound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xypropylene units (the arrangement of these units is random It may be or may be a block shape.); Derivatives thereof; Etc. can be used. Moreover, among the surfactants mentioned above, a compound having a polyoxyalkylene skeleton can also be used. 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pound containing a polyoxyethylene skeleton (also referred to as a polyoxyethylene segment), and PEG is more preferable.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PEG) 의 분자량 (화학식량)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00 미만인 것이 적당하고, 점착제 조성물 조제성의 면에서, 대략 600 이하 (예를 들어 500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의 분자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자량이 대략 100 이상 (예를 들어 대략 200 이상, 나아가서는 대략 300 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molecular weight (chemical formula) of the compound (e.g., PEG) having a polyoxyalkylene skelet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suitable, for example, less than 1000, 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mulation, approximately 600 or less (e.g. 50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below). The lower limit of the molecular weight of the compound having a polyoxyalkylene skeleton (eg, polyethylene glyc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os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 or more (eg about 200 or more, and further about 300 or more) are preferably used. .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노닐벤젠술폰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염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 라우릴황산염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옥타데실황산염 등의 알킬황산염 ; 지방산염 ; 폴리옥시에틸렌옥타데실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페닐에테르황산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등), 폴리옥시에틸렌스티렌화페닐에테르황산염 등의, 폴리에테르황산염 ;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에스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 ; 상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의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염 ; 라우릴술포숙신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술포숙신산염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술포숙신산염 ;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아세트산염 ; 등을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가 염을 형성 하고 있는 경우, 그 염은, 예를 들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의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1 가 금속의 염), 암모늄염, 아민염 등일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 alkylbenzene sulfonates such as nonylbenzenesulfonate and dodecylbenzenesulfonate (for example,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lkyl sulfates such as lauryl sulfate (for exampl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and octadecyl sulfate; Fatty acid salt;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s such as polyoxyethylene octadecyl ether sulfate and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ulfate (for exampl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 polyoxyethylene alkyl such as polyoxyethylene lauryl phenyl ether sulfate Polyether sulfates, such as a phenyl ether sulfate (for example, 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ammonium sulfate, 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sodium sulfate, etc.), and polyoxyethylene styrenated phenyl ether sulfat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such as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hosphate and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phosphat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salts such as sodium salt and potassium salt of th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Sulfosuccinates such as lauryl sulfosuccinate and polyoxyethylene lauryl sulfosuccinate (for example,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sulfosuccinat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acetate; And the like. When the anionic surfactant forms a salt, the salt may be, for example, a metal salt such as sodium salt, potassium salt, calcium salt, magnesium salt (preferably monovalent metal salt), ammonium salt, amine salt, etc. have. Anionic surfactant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아민 등의 폴리에테르아민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cationic surfactants include polyetheramines such as polyoxyethylene laurylamine and polyoxyethylene stearylamine.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등) ;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 ;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비스페놀 A 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알킬렌에테르 ;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에테르지방산에스테르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논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nonionic surfactant includ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polyoxyethylene cetyl ether, 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polyoxyethylene oleyl ether, etc.); 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polyoxyethylene octylphenyl ether,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etc.); Sorbitan fatty acid esters such as sorbitan monolaurate, sorbitan monopalmitate, sorbitan monostearate, and sorbitan monoole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sorbitan tristearate, polyoxyethylene sorbitan triisostearate, polyoxyethylene sorb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such as non-monooleate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trioleate; Polyoxyalkylene ethers such as polyoxyethylene glyceryl ether, polyoxypropylene glyceryl ether, and polyoxyethylene bisphenol A ether; 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glyceryl ether fatty acid ester; And polyoxyethylene/polyoxypropylene block polymers. Nonionic surfactant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POH 기, -COH 기 및 -SOH 기의 적어도 하나를 갖는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OH 기를 갖는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계면 활성제는, 전형적으로는 인산에스테르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예를 들어 인산의 모노에스테르 (ROP(=O)(OH)2 ; 여기서 R 은 1 가의 유기기), 디에스테르 ((RO)2P(=O)OH ; 여기서 R 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1 가의 유기기),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의 양방을 포함하는 혼합물 등일 수 있다. -POH 기를 갖는 계면 활성제의 적합예로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예를 들어 6 ∼ 20 이어도 되고, 8 ∼ 20 이어도 되고, 10 ∼ 20 이어도 되고, 12 ∼ 20 이어도 되고, 14 ∼ 20 이어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for example, an anionic surfactant having at least one of a -POH group, a -COH group and a -SOH group can be preferably used. Among them, a surfactant having a -POH group is preferable. Such a surfactant typically contains a phosphoric acid ester structure, and, for example, a monoester of phosphoric acid (ROP(=O)(OH) 2 ; where R is a monovalent organic group), a diester ((RO) 2 P(=O)OH; wherein R may be a mixture containing both monoesters and diesters), the same or different monovalent organic groups.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surfactant having a -POH group,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oric acid ester is mentioned. The number of carbon atoms of the alkyl group in th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hosphate may be, for example, 6 to 20, 8 to 20, 10 to 20, 12 to 20, or 14 to 20.

물 친화제의 HLB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 이상이고, 대략 6 이상이 적당하고, 8 이상 (예를 들어 9 이상) 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물 친화제의 HLB 는 10 이상이다. 이로써, 물 박리성이 바람직하게 발현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HLB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예를 들어 14 이상) 이다. 상기 범위의 HLB 를 갖는 물 친화제 (전형적으로는 계면 활성제) 를 A 층에 포함시킴으로써, 물 박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HLB 의 상한은 20 이하이고, 예를 들어 18 이하여도 되고, 16 이하여도 되고, 15 이하여도 된다.The HLB of a water affinity agen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3 or more, approximately 6 or more is suitable, and may be 8 or more (for example, 9 or more).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HLB of the water affinity agent is 10 or more. Thereby, the water peelability tends to be expressed preferably. The HLB is more preferably 11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12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3 or more (eg 14 or more). By including a water affinity agent (typically a surfactant) having HLB in the above range in the layer A, water releasability can be more effectively expressed. The upper limit of the HLB is 20 or less, for example, 18 or less, 16 or less, and 15 or les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HLB 는, Griffin 에 의한 Hydrophile-Lipophile Balance 이고, 계면 활성제의 물이나 기름에 대한 친화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고, 친수성과 친유성의 비를 0 ∼ 20 사이의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HLB 의 정의는, W. C. Griffin : J. Soc. Cosmetic Chemists, 1,311 (1949) 이나, 타카하시 코시타미, 난바 요시로우, 코이케 모토오, 코바야시 마사오 공저, 「계면 활성제 핸드북」, 제 3 판, 코가쿠 도서사 출판, 쇼와 47년 11월 25일, p179 ∼ 182 등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HLB 를 갖는 물 친화제는, 상기 참고 문헌을 필요에 따라 참작하거나 하여, 당업자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HLB in this specification is the Hydrophile-Lipophile Balance by Griffin, is a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affinity of a surfactant to water or oil, and the ratio of hydrophilicity and lipophilicity is expressed as a value between 0 and 20. will be. The definition of HLB is W. C. Griffin: J. Soc. Cosmetic Chemists, 1,311 (1949) Ina, Koshitami Takahashi, Yoshirou Namba, Motoo Koike, Masao Kobayashi, ``Surface Activator Handbook,'' 3rd edition, published by Kogaku Book Company, November 25, 1978, p179 It is as described in -182 and the like. The water affinity agent having the HLB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technical common knowledge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aking the above reference into consideration as necessary.

이와 같은 물 친화제는, 유리 (遊離) 의 형태로 A 층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친화제로는, 점착제 조성물 조제성의 면에서, 상온 (약 25 ℃) 에 있어서 액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계면 활성제 중에는, 폴리옥시알킬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 존재하고, 반대도 또한 그러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t is preferable that such a water affinity agent is contained in the A layer in the form of a glass. As the water affinity agent, a liquid at room temperature (about 25°C)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prepa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ddition, among the surfactants, a compound having a polyoxyalkylene skeleton is present,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opposite is also true.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A 층은, 전형적으로는,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서술한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핫멜트형 점착제 조성물 등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A 층은, 광 경화형 또는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일 수 있다. A 층은, 광 가교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The A layer comprising a water affinity agent is typically formed fro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water affinity ag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ny of the aforementioned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hot-melt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layer A containing a water affinity agent may be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or solvent-type adhesive composition. A layer may have photocrosslinking property.

A 층에 있어서의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물 친화제의 사용 효과가 적절히 발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물) 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당, 예를 들어 0.001 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고, 통상은 0.01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0.03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7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1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2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보다 높은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0.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A 층의 벌크에 대한 과도한 물 확산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물 친화제의 사용량은,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2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통상은 10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중량부 이하로 해도 된다. 물 친화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지 않은 것은, 내수 점착력 (N1) 의 향상이나 내수 점착력 저하율의 저감, 혹은 점착제층의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2 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1 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0.7 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0.3 중량부 미만이어도 되고, 0.2 중량부 미만이어도 된다. HLB 가 10 이상인 물 친화제는, 소량의 사용에 의해서도 양호한 물 박리성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다.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in the layer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et so that the effect of using the water affinity agent is appropriately exhibited. 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may be, for example, 0.001 parts by weight or more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eg, acrylic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It is appropriate to use 0.01 parts by weight or more, 0.03 parts by weight or more, 0.07 parts by weight or more, or 0.1 parts by weight or more. In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may be, for example, 0.2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0.5 parts by weight or more, or 1.0 parts by weight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higher effect. It may be more than or equal to 1.5 parts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excessive water diffusion to the bulk of the layer A,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water affinity agent used may be, for example,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It is appropriate to use 10 parts by weight or less of silver,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ay be 3 parts by weight or less. The fact that the content of the water-affinity agent is not too large is also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reducing the rate of decrease in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or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the adhesive layer.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less than 2 parts by weight, less than 1 part by weight, less than 0.7 parts by weight, and less than 0.3 parts by weight. It may be, and it may be less than 0.2 parts by weight. A water affinity agent having an HLB of 10 or more tends to exhibit good water peelability even when used in a small amount.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A 층에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A 층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은 (및/또는, 물 진입 거리가 긴)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layer A may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According to the layer A containing the silane coupling agen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ow water-resistance adhesion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e (and/or a long water entry distance) can be preferably realized.

실란 커플링제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 구조를 갖는 규소 화합물 ;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규소 화합물 ;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트리메톡시실란 ;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트리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효과가 보다 바람직하게 발휘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아세토아세틸기 함유 트리메톡시실란이 예시된다.As the silane coupling agent, it has an epoxy structure such a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and 2-(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Silicon compound; Amino group-containing silicon compounds such as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and N-(2-aminoethyl)3-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Trimethoxysilane containing acetoacetyl group; (Meth)acrylic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s such as 3-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and 3-methacryloxypropyl triethoxysilane; An isocyanate group-containing silane coupling agent, such as 3-isocyanate propyl triethoxysilane, etc. are mentioned. In some aspects, by employing a silane coupling agent having a trialkoxysilyl group, the above-described effect can be more preferably exhibited. Among them, as preferable silane coupling agent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nd acetoacetyl group-containing trimethoxysilane are exemplified.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원하는 사용 효과가 얻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01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보다 높은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0.00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1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0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의 사용량은, A 층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3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1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0.5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The amou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used can be set so as to obtain a desired effect of us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used may be, for example, 0.001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and 0.005 parts by weight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higher effect. It may be at least part, 0.01 part by weight or more, and may be at least 0.015 part by weight.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adherend, in some aspects, the amou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used may be, for example, 3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layer A, 1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0.5 parts by weight.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A 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유리의 형태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 있어서의 A 층은, 예를 들어, 광 경화형 또는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일 수 있다. A 층은, 광 가교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In some aspects, the A layer may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in the form of glass. The A layer in such an aspect may be,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or solvent-type adhesive composition. A layer may have photocrosslinking property.

또한, 모노머 성분이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양태에서는, A 층에 포함되는 실란 커플링제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상기 알콕시실릴기 함유 모노머를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 있어서의 A 층은, 예를 들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n aspect in which the monomer component contains an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the alkoxysily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be used as a part or all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contained in the layer A. The A layer in such an aspect may be,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a water-dispersible adhesive composition.

(가교제)(Crosslinking agent)

A 층에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종래 공지된 가교제로부터 적절히 선택한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의 구체예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우레아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히드라진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e A layer, a crosslinking agent can be contained as needed. The kind of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 crosslinking agent appropriately selected from conventionally known crosslinking agents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 epoxy crosslinking agent, an oxazoline crosslinking agent, an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a carbodiimide crosslinking agent, a melamine crosslinking agent, a urea crosslinking agent, a metal alkoxide crosslinking agent, a metal chelate crosslinking agent, a metal salt system. A crosslinking agent, a hydrazine type crosslinking agent, an amine type crosslinking agent,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예로는, 2 관능 이상의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p-이소시아나토페닐)티오포스페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 등을 들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토소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토소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L」),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토소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HX」)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분산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물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용성, 수분산성 또는 자기 유화형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블록된, 이른바 블록드 이소시아네이트형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a poly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 having a b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 can be used. For example, aromatic isocyanate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polymethylene polyphenyl diisocyanate, tris(p-isocyanatophenyl)thiophosphate, an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licyclic isocyanates such as isophorone diisocyanate; Aliphatic isocyanates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the lik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trimethylolpropane/tolylenediisocyanate trimer adduct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brand name ``Colonate L''), trimethylolpropane/hexamethylenediisocyanate terpolymer adduct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brand name ``Colonate HL''). ”) and isocyanate adducts such as an isocyanurate product of hexamethylene diisocyanate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brand name “Colonate HX”), etc. can be illustrated. In the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 of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capable of dissolving or dispersing in water is preferred. For example, a water-soluble, water-dispersible, or self-emulsifying type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can be preferably employed.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of a so-called blocked isocyanate type in which an isocyanate group is blocked can be preferably used.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1 분자 중에 3 ∼ 5 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가교제의 구체예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계 가교제의 시판품으로는, 미츠비시 가스 화학사 제조의 상품명 「TETRAD-X」, 「TETRAD-C」, DIC 사 제조의 상품명 「에피클론 CR-5L」, 나가세켐텍스사 제조의 상품명 「데나콜 EX-512」, 닛산 화학 공업사 제조의 상품명 「TEPIC-G」 등을 들 수 있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물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에폭시계 가교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As the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one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having 3 to 5 epoxy groups per molecule is preferred. Specific examples of the epoxy crosslinking agent include N,N,N',N'-tetraglycidyl-m-xylenediamine, 1,3-bis(N,N-diglycidylaminomethyl)cyclohexane,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etc. are mentione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the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include the brand names ``TETRAD-X'' and ``TETRAD-C''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s, the brand name ``Epiclon CR-5L'' manufactured by DIC, and the brand name ``Denacol EX''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512", a brand name "TEPIC-G"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ies, etc. are mentioned. In the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that can be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옥사졸린계 가교제로는, 1 분자 내에 1 개 이상의 옥사졸린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물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옥사졸린계 가교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As the oxazoline crosslinking agent, one having one or more oxazoline groups in one molecule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In the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 of an oxazoline-based crosslinking agent capable of dissolving or dispersing in water is preferred.

아지리딘계 가교제의 예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1-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1-(2-메틸)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include trimethylolpropanetris [3-(1-aziridinyl)propionate], trimethylolpropanetris [3-(1-(2-methyl)aziridinylpropionate)], etc. Can be mentioned.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로는, 카르보디이미드기를 2 개 이상 갖는 저분자 화합물 또는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물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As the carbodiimide crosslinking agent, a low-molecular compound or a high-molecular compound having two or more carbodiimide groups can be used. In the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arbodiimide crosslinking agent that can be dissolved or dispersed in water.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과산화물을 사용해도 된다. 과산화물로는,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n-옥타노일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가교 반응 효율이 우수한 과산화물로서, 디(4-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라우로일퍼옥사이드,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 과산화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중합 반응에 사용되지 않고 잔존한 과산화물을 가교 반응에 사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과산화물의 잔존량을 정량하여, 과산화물의 비율이 소정량에 못 미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량이 되도록 과산화물을 첨가하면 된다. 과산화물의 정량은, 일본 특허공보 4971517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peroxide may be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As the peroxide, di(2-ethylhexyl)peroxydicarbonate, di(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di-sec-butylperoxydicarbonate, t-butylperoxyneodecanoate, t- Hexylperoxypivalate, t-butylperoxypivalate, dilauroyl peroxide, di-n-octanoyl peroxide, 1,1,3,3-tetramethylbutylperoxyisobutylate, dibenzoyl peroxide And the like. Among these, as peroxides having particularly excellent crosslinking reaction efficiency, di(4-t-butylcyclohexyl)peroxydicarbonate, dilauroyl peroxide, dibenzoyl peroxid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when a peroxide is used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eroxide remaining without being used in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ay be used for the crosslinking reaction. In that case, the residual amount of peroxide is quantified, and when the proportion of peroxid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peroxide may be added to a predetermined amount as necessary. The peroxide can be quantifi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4971517.

가교제의 함유량 (2 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합계량)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력이나 응집력 등의 점착 특성을 균형 있게 발휘하는 점착제를 실현하는 관점에서, 가교제의 함유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은 대략 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대략 0.001 ∼ 5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001 ∼ 4 중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0.001 ∼ 3 중량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혹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착제 조성물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등의 가교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점착제 조성물이 가교제 (전형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상기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가교제의 양이 0.05 중량부 미만 (예를 들어 0.01 중량부 미만) 인 것을 말하고, 상기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가교제의 양이 0 중량부인 것을 포함한다.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when two or more types of crosslinking agents are included, their total amou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rom the viewpoint of realiz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exhibits adhesive properties such as adhesion and cohesiveness in a balanced manner, it is appropriate that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usually approximately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bout 0.00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to set it as about 0.001 to 4 parts by weight, and still more preferably to set it as about 0.001 to 3 parts by weight. Alternatively, it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not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used a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one that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such as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Her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ubstantially does not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typically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means that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is less than 0.05 parts by weight (for example,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And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is 0 parts by weight.

가교 반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가교 촉매를 사용해도 된다. 가교 촉매로는, 테트라-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나셈 제 2 철, 부틸주석옥사이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금속계 가교 촉매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주석계 가교 촉매가 바람직하다. 가교 촉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가교 촉매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대략 0.0001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0.001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0.005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In order to advance the crosslinking reaction more effectively, you may use a crosslinking catalys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catalyst include metal-based crosslinking catalysts such as tetra-n-butyl titanate, tetraisopropyl titanate, ferric nasemite, butyl tin oxide, and dioctyl tin dilaurate. Among them, tin-based crosslinking catalysts such as dioctyl tin dilaurate are preferable. The amount of crosslinking catalyst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catalyst used f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 example, approximately 0.00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 part by weight or less, 0.0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0.1 parts by weight or less, and 0.005 parts by weight or more. 0.5 parts by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A 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가교 지연제로서,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발생하는 화합물을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발생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양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연장하는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formation of the layer A, as a crosslinking retardant, a compound that generates keto-enol tautomerism can be contained. For example, 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by blending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an aspect including a compound generating keto-enol tautomerism can be preferably employed. Thereby, the effect of extending the pot lif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realized.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발생하는 화합물로는, 각종 β-디카르보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아세틸아세톤, 2,4-헥산디온 등의 β-디케톤류 ;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등의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류 ; 프로피오닐아세트산에틸 등의 프로피오닐아세트산에스테르류 ; 이소부티릴아세트산에틸 등의 이소부티릴아세트산에스테르류 ; 말론산메틸, 말론산에틸 등의 말론산에스테르류 ;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화합물로서 아세틸아세톤 및 아세토아세트산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발생하는 화합물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mpound generating keto-enol tautomerism, various β-dicarbonyl compounds can be used. As a specific example, β-diketones, such as acetylacetone and 2,4-hexanedione; Acetoacetate esters such as methyl acetoacetate and ethyl acetoacetate; Propionyl acetate esters such as propionyl ethyl acetate; Isobutyryl acetate, such as isobutyryl ethyl acetate; Malonic acid esters such as methyl malonate and ethyl malonate; And the like. Among them, preferred compounds include acetylacetone and acetoacetic acid ester. The compounds that generate keto-enol tautomerism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케토-에놀 호변이성을 발생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1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통상은 0.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예를 들어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로 할 수 있고, 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로 해도 된다.The content of the compound generating keto-enol tautomerism may be, for example, 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usually 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t is appropriate to use parts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it may be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다관능성 모노머)(Polyfunctional monomer)

A 층에는, 필요에 따라 다관능성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교제를 대신하여, 혹은 그 가교제와 조합하여 사용됨으로써, 응집력의 조정 등의 목적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다관능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착체에 첩부되기 전의 점착 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다관능성 모노머는, 중합성 관능기가 미반응의 형태여도 되고, 부분적으로 반응한 형태여도 되고, 반응 후의 형태여도 된다.In the A layer, a polyfunctional monomer may be used if necessary. The polyfunctional monomer may be useful for purposes such as adjustment of cohesive force by being used in place of the crosslinking agent as described above or in combination with the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polyfunctional monomer can be preferably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before being affixed to the adherend, the polyfunctional monomer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 form in which the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s unreacted, may be partially reacted, or may be a form after reaction.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부틸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a polyfunctional monomer, for exampl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1,6 -Hexanedioldi(meth)acrylate, 1,12-dodecanedioldi(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etramethylolmethane tri(meth)acrylate, allyl(meth)acrylate , Vinyl (meth)acrylate, divinylbenzene, epoxy acrylate, polyester acrylate, urethane acrylate, butyldiol (meth)acrylate, hexyldiol di (meth)acrylate, and the like. Among them,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1,6-hexanedioldi(meth)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can be preferably used. The polyfunctional monomer can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그 분자량이나 관능기수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은,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 3.0 중량부 정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0.02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1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0.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또는 2.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의 증대에 의해, 보다 높은 응집력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과도한 응집력 향상에 의해 점착제층과 인접하는 층과의 접착성이 저하되는 것을 피하는 관점에서, 상기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다관능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1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5.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3.0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The amount of polyfunctional monomer to be used varies depending on its molecular weight, number of functional groups, etc., but usually, it is appropriate to be in the range of 0.0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o. In some embodiments, the amou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to be use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0.02 parts by weight or more, 0.1 parts by weight or more, 0.5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or 2.0. It may be not less than parts by weight.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used, a higher cohesive force tends to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deterioration of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jacent layer due to excessive cohesiveness, the amou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10 parts by weight or less, It may be 5.0 parts by weight or less, or 3.0 parts by weight or less.

(아크릴계 올리고머)(Acrylic oligomer)

A 층에는, 응집력의 향상이나, 점착제층에 인접하는 면 (예를 들어, 지지체의 표면 등일 수 있다.) 과의 접착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시킬 수 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로는,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중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물의) Tg 에 대하여, 보다 높은 Tg 를 갖는 것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The acrylic oligomer can be contained in the A lay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cohesive strength or improving adhesion to a surface adjacen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example, it may be a surface of a support). As the acrylic oligomer, those having a higher Tg relative to the Tg of the polymer (eg, acrylic polymer) contain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preferably employed.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Tg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약 20 ℃ 이상 30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Tg 는, 예를 들어 약 30 ℃ 이상이어도 되고, 약 40 ℃ 이상이어도 되고, 약 60 ℃ 이상이어도 되고, 약 80 ℃ 이상 또는 약 100 ℃ 이상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Tg 가 높아지면,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지지체에 대한 투묘성이나 충격 흡수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Tg 는, 예를 들어 약 250 ℃ 이하여도 되고, 약 200 ℃ 이하여도 되고, 약 180 ℃ 이하 또는 약 150 ℃ 이하여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Tg 는, 상기 모노머 성분의 조성에 대응하는 아크릴계 중합물의 Tg 와 동일하게, Fox 의 식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값이다.The Tg of the acrylic olig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20° C. or more and 300° C. or less. The Tg may be, for example, about 30°C or higher, about 40°C or higher, about 60°C or higher, or about 80°C or higher or about 100°C or higher. When the Tg of the acrylic oligomer is increas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hesive force tends to be substantially increased.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impinging property to the support, shock absorption, and the like, the Tg of the acrylic oligomer may be, for example, about 250°C or less, about 200°C or less, or about 180°C or less or about 150°C or less. In addition, the Tg of the acrylic oligomer is a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formula of Fox in the same manner as the Tg of the acrylic polymer correspon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 component.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Mw 는, 전형적으로는 약 1000 이상 약 3000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500 이상 약 1000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0 이상 약 5000 미만일 수 있다. Mw 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응집성이나 인접하는 면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바람직하게 발휘되기 쉽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Mw 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으로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소사 제조의 HPLC8020 에, 칼럼으로서 TSKgelGMH-H(20) × 2 개를 사용하여,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매로 유속 약 0.5 mL/분의 조건에서 측정된다.The Mw of the acrylic oligomer may be typically about 1000 or more and less than about 30000, preferably about 1500 or more and less than about 10000, and more preferably about 2000 or more and less than about 5000. When Mw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improving cohesiveness and adhesion to adjacent surfaces is easily exhibited. Mw of the acrylic oligomer is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can be obtained as a value in terms of standard polystyrene. Specifically, it i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a flow rate of about 0.5 mL/min in a tetrahydrofuran solvent, using TSKgelGMH-H(20) x 2 as a column in HPLC8020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는, 상기 서술한 각종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 ; 상기 서술한 각종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 상기 서술한 각종 방향족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 테르펜 화합물 유도체 알코올로부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an acrylic oligomer, various (meth)acrylic acid C 1-20 alkyl ester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various alicyclic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acrylates; The above-described various aromatic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acrylates; (Meth)acrylate obtained from terpene compound derivative alcohol; (Meth)acrylate monomers such as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나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기가 분기 구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나 방향족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 등으로 대표되는, 비교적 부피가 큰 구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모노머 단위로서 포함하고 있는 것이, 접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합성시나 점착제층의 제작시에 자외선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렵다는 점에서, 에스테르 말단에 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알킬기가 분기 구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나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acrylic oligomer is an alkyl (meth)acrylate in which an alkyl group such as isobutyl (meth)acrylate or t-butyl (meth)acrylate has a branched structure; Alicyclic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and aromatic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adhesiveness that an acrylic monomer having a relatively bulky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like, is contained as a monomer unit. In addition, when ultraviolet rays are used in the synthesis of the acrylic oligomer or in the produ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monomer having a saturated hydrocarbon group at the ester end is prefe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duce polymerization. For example, the alkyl group has a branched structure. (Meth)acrylate or a saturated alicyclic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can be preferably used.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에서 차지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비율은, 전형적으로는 50 중량% 초과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예를 들어 80 중량% 이상, 나아가서는 90 중량% 이상) 이다.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는,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실질적으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만으로 이루어지는 모노머 조성을 갖는다. 모노머 성분이 지환식 탄화수소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메트)아크릴산 C1-20 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그들의 중량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90 ∼ 90/10 의 범위, 20/80 ∼ 80/20 의 범위, 70/30 ∼ 30/70 의 범위 등으로 할 수 있다.The proportion of the (meth)acrylate monomer to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is typically more than 50% by weight, preferably 60%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70% by weight or more (e.g. 80 It is weight% or more, and further 90 weight% or mor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crylic oligomer has a monomer composition consisting of substantially only one or two or more (meth)acrylate monomers. When the monomer component contains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and a (meth)acrylic acid C 1-20 alkyl ester, their weight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0/90 to 90/10, It can be set as the range of 20/80-80/20, the range of 70/30-30/70, etc.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구성 모노머 성분으로는, 상기의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로는, N-비닐-2-피롤리돈,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질소 원자 함유 복소 고리를 갖는 모노머 ;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 AA, MAA 등의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모노머 ; 를 들 수 있다. 이들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에서 차지하는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어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또는 3 중량%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또, 예를 들어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7 중량% 이하로 할 수 있다.As the constituent monomer component of the acrylic oligomer, in addition to the (meth)acrylate monomer described above,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can be used if necessary. Examples of 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onomers having a nitrogen atom-containing heterocycle such as N-vinyl-2-pyrrolidone and N-acryloylmorpholin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N,N-diethyl (meth)acrylamid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AA and MA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2-hydroxyethyl (meth)acrylate; Can be mentioned. Thes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s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the case of using a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the ratio of the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to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can be, for example, 1% by weight or more, 2% by weight or more, or 3%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it can be 15 weight% or less, 10 weight% or less, or 7 weight% or less.

바람직한 아크릴계 올리고머로는, 예를 들어,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DCPM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CHMA),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IBXMA),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IBXA),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DCPA), 1-아다만틸메타크릴레이트 (ADMA), 1-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ADA) 의 각 단독 중합체 외에, DCPMA 와 MMA 의 공중합체, DCPMA 와 IBXMA 의 공중합체, ADA 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의 공중합체, CHMA 와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IBMA) 의 공중합체, CHMA 와 IBXMA 의 공중합체, CHMA 와 아크릴로일모르폴린 (ACMO) 의 공중합체, CHMA 와 디에틸아크릴아미드 (DEAA) 의 공중합체, CHMA 와 AA 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Preferred acrylic oligomers include, for example,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DCPMA),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isobornyl methacrylate (IBXMA), isobornyl acrylate (IBXA), dicyclo In addition to each homopolymer of fentanyl acrylate (DCPA), 1-adamantyl methacrylate (ADMA), and 1-adamantyl acrylate (ADA), a copolymer of DCPMA and MMA, a copolymer of DCPMA and IBXMA, ADA And methyl methacrylate (MMA), CHMA and isobutyl methacrylate (IBMA) copolymer, CHMA and IBXMA copolymer, CHMA and acryloylmorpholine (ACMO) copolymer, CHMA and di A copolymer of ethyl acrylamide (DEAA), a copolymer of CHMA and AA, etc. are mentioned.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그 구성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중합 방법이나 중합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각종 중합 방법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에멀션 중합, 괴상 중합, 광 중합, 방사선 중합 등) 을, 적절한 양태로 채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중합 개시제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의 종류는, 대체로 아크릴계 중합물의 합성에 관하여 예시한 바와 같고, 중합 개시제량이나, 임의로 사용되는 연쇄 이동제 (예를 들어 메르캅탄류) 의 양은, 원하는 분자량이 되도록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적절히 설정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acrylic oligomer can be formed by polymerizing the constituent monomer components. The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polymerization mod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conventionally known polymerization methods (eg,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photopolymerization, radiation polymerization, etc.) can be adopted as appropriate modes. The types of polymerization initiators (e.g., azo polymerization initiators) that can be used as needed are generally as exemplified for the synthesis of acrylic polymers, and the amount of polymerization initiators and chain transfer agents (e.g., mercaptans The amount of) is appropriately set based on common technical knowledge so as to obtain a desired molecular weigh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 층에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함유량은, 그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 (전형적으로는 아크릴계 중합물) 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01 중량부 이상으로 할 수 있고, 보다 높은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0.05 중량부 이상으로 해도 되고, 0.1 중량부 이상 또는 0.2 중량부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중합물과의 상용성 등의 관점에서,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통상, 50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30 중량부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이하이고, 예를 들어 1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5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When the acrylic oligomer is contained in the layer A, the content may be, for example, 0.01 parts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ypically acrylic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higher effect, it may be 0.05 parts by weight or more, or 0.1 parts by weight or more or 0.2 parts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the polymer, the content of the acrylic oligomer is usually less than 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less than 3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5 parts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it may be 10 parts by weight or less, 5 parts by weight or less, or 1 part by weight or less.

(점착 부여 수지)(Adhesive imparting resin)

A 층에는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시켜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 유도체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석유계 점착 부여 수지,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 페놀계 점착 부여 수지, 케톤계 점착 부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layer A may contain a tackifying resin. As tackifying resin, for example, a petroleum-based tackifying resin, terpene-based tackifying resin, phenolic tackifying resin, ketone-based tackifying resin, etc., including rosin-based tackifying resin and rosin derivative tackifying resin. Can be lifted. These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검 로진, 우드 로진, 톨유 로진 등의 로진 외에, 안정화 로진 (예를 들어, 상기 로진을 불균화 혹은 수소 첨가 처리한 안정화 로진), 중합 로진 (예를 들어, 상기 로진의 다량체, 전형적으로는 2 량체), 변성 로진 (예를 들어, 말레산, 푸마르산,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산에 의해 변성된 불포화산 변성 로진 등) 등을 들 수 있다.As the rosin-based tackifying resin, for example, in addition to rosin such as gum rosin, wood rosin, tall oil rosin, stabilized rosin (for example, stabilized rosin obtained by disproportionation or hydrogenation of the rosin), polymerized rosin ( For example, a multimer of the above rosin, typically a dimer), modified rosin (e.g., unsaturated acid-modified rosin modified with unsaturated acids such as maleic acid, fumaric acid, (meth)acrylic acid, etc.), etc. I can.

상기 로진 유도체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상기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의 에스테르화물 (예를 들어, 안정화 로진에스테르나 중합 로진에스테르 등의 로진에스테르류), 상기 로진계 수지의 페놀 변성물 (페놀 변성 로진) 및 그 에스테르화물 (페놀 변성 로진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rosin derivative tackifying resin include esterified products of the rosin-based tackifying resin (for example, rosin esters such as stabilized rosin ester and polymerized rosin ester), and phenol-modified products of the rosin-based resin ( Phenol-modified rosin) and its esterified product (phenol-modified rosin ester).

상기 석유계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지방족계 석유 수지, 방향족계 석유 수지, 공중합계 석유 수지, 지환족계 석유 수지,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etroleum tackifying resin include aliphatic petroleum resins, aromatic petroleum resins, copolymerized petroleum resins, alicyclic petroleum resins, and hydrides thereof.

상기 테르펜계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α-피넨 수지, β-피넨 수지, 방향족 변성 테르펜계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erpene tackifying resin include α-pinene resin, β-pinene resin, aromatic modified terpene resin, terpenephenol resin, and the like.

상기 케톤계 점착 부여 수지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페논 등의 지방족 케톤 ;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등의 지환식 케톤 등) 와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에 의한 케톤계 수지 ;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ketone-based tackifying resin include ketones (e.g., aliphatic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acetophenone; alicyclic ketones such as cyclohexanone and methylcyclohexanone) Ketone resins obtained by condensation of and formaldehyde; And the lik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로는, 로진계 점착 부여 수지, 로진 유도체 점착 부여 수지 및 테르펜페놀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로진 유도체 점착 부여 수지가 바람직하고, 적합예로서 안정화 로진에스테르 및 중합 로진에스테르 등의 로진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In some aspect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as the tackifying resin,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rosin-based tackifying resins, rosin derivative tackifying resins, and terpenephenol resins can be preferably used. . Among them, a rosin derivative tackifying resin is preferred, and preferred examples thereof include rosin esters such as stabilized rosin esters and polymerized rosin esters.

수분산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점착 부여 수지가 수성 용매에 분산된 형태의 수분산형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의 수분산액과 수분산형 점착 부여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이들 성분을 원하는 비율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수분산형 점착 부여 수지로는, 환경 위생에 대한 배려 등의 관점에서, 적어도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그 밖의 유기 용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수분산형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water-dispersible tackifier resin in a form in which the tackifying resin as described above is dispersed in an aqueous solvent. For example, by mixing an aqueous dispersion of an acrylic polymer and a water-dispersible tackifying res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components in a desired ratio can be easily prepared. In some aspects, as the water-dispersible tackifying resin, from the viewpoint of consideration for environmental hygiene and the like, those that do not substantially contain at least an aromatic hydrocarbon-based solvent can be preferably used.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a water-dispersible tackifier resin that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an aromatic hydrocarbon-based solvent or other organic solvent.

로진에스테르류를 포함하는 수분산형 점착 부여 수지의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아라카와 화학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슈퍼에스테르 E-720」, 「슈퍼에스테르 E-730-55」, 「슈퍼에스테르 E-865NT」, 「펜셀 D-125」, 「펜셀 D-135」, 「펜셀 D-160」 등이나, 하리마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하리에스터 SK-90D」, 「하리에스터 SK-70D」, 「하리에스터 SK-70E」, 「네오톨 115E」 등을 들 수 있다. 또, 테르펜페놀 수지 (수분산형 테르펜페놀 수지의 형태일 수 있다.) 의 시판품으로는, 아라카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타마놀 E-100」, 「타마놀 E-200」, 「타마놀 E-200NT」 등을 들 수 있다.As a commercial item of the water-dispersible tackifying resin containing rosin esters, for example, the brand names "Super Ester E-720", "Super Ester E-730-55"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Co., Ltd., "Super Ester E-865NT" '', ``Pencel D-125'', ``Pencel D-135'', ``Pencel D-160'', etc., as well as the brand names ``Hariester SK-90D'', ``Hariester SK-70D'', ``Hariester'' manufactured by Harima Hwasung Co., Ltd. SK-70E", "Neotol 115E",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as a commercial product of terpenephenol resin (which may be in the form of a water-dispersible terpenephenol resin), Arakawa Chemical Industries Co., Ltd. trade names "Tamanol E-100", "Tamanol E-200", and "Tamanol E -200NT" etc. are mentioned.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제층의 응집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통상은, 연화점이 80 ℃ 이상인 점착 부여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은, 90 ℃ 이상이어도 되고, 100 ℃ 이상이어도 되고, 110 ℃ 이상이어도 되고, 120 ℃ 이상이어도 된다. 연화점 130 ℃ 이상 또는 140 ℃ 이상의 점착 부여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또, 투명성이나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의 관점에서, 연화점이 200 ℃ 이하 또는 180 ℃ 이하인 점착 부여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으로는, 문헌이나 카탈로그 등에 기재된 공칭값을 채용할 수 있다. 공칭값이 없는 경우에는, JIS K5902 또는 JIS K2207 에 규정하는 연화점 시험 방법 (환구법) 에 기초하여 점착 부여 수지의 연화점을 측정할 수 있다.The softening point of the tackifying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decrease in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ually, a tackifying resin having a softening point of 80°C or higher can be preferably used. The softening point of the tackifying resin may be 90°C or higher, 100°C or higher, 110°C or higher, or 120°C or higher. A tackifying resin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30°C or higher or 140°C or higher may be used.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and adhesion to an adherend, a tackifying resin having a softening point of 200°C or less or 180°C or less can be preferably used. In addition, as the softening point of the tackifying resin referred to herein, a nominal value described in literature, catalog, or the like can be adopted. When there is no nominal value, the softening point of the tackifying resin can be measured based on the softening point test method (ring ball method) specified in JIS K5902 or JIS K2207.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량은, 그 사용 효과를 바람직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통상은,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고, 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0 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25 중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또,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과 응집성을 균형 있게 양립하는 관점에서,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점착 부여 수지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7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50 중량부 이하여도 되고, 40 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혹은, 점착 부여 수지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A 층이어도 된다.The amount of tackifying resin to be used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from the viewpoint of exhibiting the effect of use preferably, and 5 parts by weight It may be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20 parts by weight or more, or 25 parts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balancing the adhesion and cohesiveness to the adherend, the amount of tackifying resin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may be, for example, 70 parts by weight or less, 5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40 parts by weight. It may be negative. Alternatively, it may be a layer A that does not contain a tackifying resin substantially.

몇 가지의 양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원하는 타이밍에서 물 박리력을 상승시키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내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나타내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A 층이 점착 부여 수지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실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물 박리력을 상승시키는 처리는, 예를 들어, 피착체에 대한 점착 시트의 첩부 후에, 실온역보다 높은 온도를 적용하는 처리일 수 있다. 적용하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작업성, 경제성, 편리성, 점착 시트나 피착체의 내열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예를 들어 45 ℃ 이상이어도 되고, 55 ℃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온도는, 예를 들어 150 ℃ 미만이어도 되고, 120 ℃ 이하여도 되고, 100 ℃ 이하여도 되고, 80 ℃ 이하여도 된다. 상기 온도를 적용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시간 이상이어도 되고, 3 시간 이상이어도 되고, 1 일 이상이어도 된다. 혹은, 점착 시트나 피착체에 현저한 열 열화가 생기지 않는 한도에서,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상기 온도를 적용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처리의 효율화의 관점에서, 상기 온도를 적용하는 시간은, 예를 들어 14 일 이내로 할 수 있고, 7 일 이내로 해도 된다. 상기 온도는, 한 번에 적용해도 되고, 복수 회로 나누어 적용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some aspects can further improve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by performing a treatment to increase the water peeling force at a desired ti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exhibiting such properties can be realized, for example,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ayer A contains a tackifying resin, but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The treatment to increase the water peeling force may be, for example, a treatment in which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room temperature range is applied after affix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The temperature to be appli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workability, economy, convenience, heat resistance of an adhesive sheet or an adherend, and the like. The temperature may be 45°C or higher, or 55°C or higher, for exampl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less than 150°C, 120°C or less, 100°C or less, and 80°C or less. The time for applying the above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it may be 1 hour or more, 3 hours or more, or 1 day or more. Alternatively, the temperature may be appli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as long as no significant thermal deterioration occur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r adherend. In some aspect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treatment, the time to apply the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within 14 days or within 7 days. The temperature may be applied at one time or may be appli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times.

상기 물 박리력을 상승시키는 처리 후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의 물 박리력 (N3) 은, 그 점착 시트에 대하여 상기 서술한 방법으로 측정되는 물 박리력 (N2) 에 대하여, 예를 들어 2 배 이상이어도 되고, 5 배 이상이어도 되고, 10 배 이상이어도 되고, 20 배 이상이어도 되고, 30 배 이상이어도 된다. 물 박리력 (N3) 은, 예를 들어 2.0 N/10 ㎜ 이상이어도 되고, 3.0 N/10 ㎜ 이상이어도 되고, 4.0 N/10 ㎜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물 박리력 (N3) 의 측정은,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평가용 샘플에 대하여 물 박리력을 상승시키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서술한 물 박리력 (N2) 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된다.Even if the water peeling force (N3) of the adhesive sheet after the treatment to increase the water peeling force is, for example, twice or more with respect to the water peeling force (N2)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heet It may be 5 times or more, 10 times or more, 20 times or more, and 30 times or more. The water peeling force (N3) may be, for example, 2.0 N/10 mm or more, 3.0 N/10 mm or more, or 4.0 N/10 mm or more. In addition,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3)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treatment to increase the water peeling force was performed on the sample for evaluation taken out from the autoclave. do.

A 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pH 조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산 또는 염기 (암모니아수 등) 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그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다른 임의 성분으로는, 점도 조정제 (예를 들어 증점제), 레벨링제, 가소제, 충전제, 안료나 염료 등의 착색제, 안정제, 방부제, 노화 방지제 등의, 점착제 조성물의 분야에서 일반적인 각종 첨가제가 예시된다. 이와 같은 각종 첨가제에 대해서는, 종래 공지된 것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고, 특별히 본 발명을 특징짓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ed for forming the layer A may, if necessary, contain an acid or a base (such as aqueous ammonia) used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pH or the like. Other optional components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viscosity modifiers (e.g., thickeners), leveling agents, plasticizers, fillers, coloring agents such as pigments and dyes, stabilizers, preservatives, anti-aging agents, etc., in the field of adhesive compositions. Various general additives are illustrated. For such various additives, conventionally known additives can be used by conventional methods, and since they do not particularly characterize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2) B 층(2) B layer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은,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에 더하여, 그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A 층에 의해 양호한 물 박리성을 부여하면서, B 층에 의해 점착제층의 벌크 특성 (예를 들어, 내수성, 응집성, 내열성 등) 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구성의 점착제층에 의하면, 물 박리성이 좋으며, 또한 내수 신뢰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예를 들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은 (및/또는, 물 진입 거리가 긴)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강점착성과 양호한 물 박리성을 고레벨로 양립하는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may further include a layer B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ayer A in addition to the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layer A and the layer B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bulk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the layer B while imparting good water peelability by the layer A (e.g., water resistance, cohesiveness, heat resistance, etc. ) Can be adjus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the layer A and the layer B,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good water peeling property and excellent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ow water-resistant adhesion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e (and/or a long water entry distance) can be preferably realized. Further,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both strong adhesiveness and good water peelability at a high level can be preferably realized.

B 층은, A 층의 배면에 직접 접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A 층의 배면과의 사이에 다른 층을 개재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층 (이하, 중간층이라고도 한다.) 은, 전형적으로는 비점착성의 층으로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지지체와 동일한 플라스틱 필름, 발포체 시트, 직포나 부직포, 종이, 금속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점착 시트의 유연성이나 피착체의 표면 형상에 대한 추종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A 층과 B 층이 직접 접하여 (즉, 중간층을 개재하지 않고) 적층된 구성의 점착제층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The layer B may be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layer A, 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layer A and the other layer. The other lay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layer) is typically a non-adhesive layer, and for example, a plastic film, foam sheet, woven or nonwoven fabric, paper, metal foil, and the like similar to those of the support described later can be u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flexi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r the followability of the surface shape of the adherend, in some embodiment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ayer A and the layer B are directly in contact (that is, without interposing an intermediate layer) is preferably used. Can be adopted.

B 층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등의 공지된 각종 점착제로부터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점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착제층일 수 있다. 투명성이나 내후성 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B 층의 구성 재료로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B 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는, 예를 들어, A 층에 사용할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로서 예시한 것으로부터, A 층과의 조합에 있어서 원하는 특성이 발휘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B 층은, 1 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여도 되고, 조성이 상이한 2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여도 된다.Layer B is one or two selected from various known adhesives such as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rubb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silico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est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uretha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ether-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polyamid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and fluorine-based pressure-sensitive adhesives. It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ing more than one typ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From the viewpoints of transparency and weather resistance, in some aspect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preferably used 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ayer B.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stituting the layer B is, for example, exemplified a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at can be used for the layer A, and can be selected so that desired properties are exhibited in combination with the layer A. The layer B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consisting of on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including two or more layer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B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 (예를 들어, 아크릴계 중합물) 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그 모노머 성분 전체의 40 중량% 이상의 비율로 C1-20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B 층의 모노머 성분 전체에서 차지하는 C1-20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예를 들어 98 중량% 이하여도 되고, B 층의 응집성 향상의 관점에서 95 중량% 이하여도 되고, 85 중량% 이하여도 되고, 70 중량% 이하여도 되고, 60 중량% 이하여도 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eg, acrylic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B contains C 1-20 (meth) acrylate alkyl ester in a proportion of 40%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onomer component. Can include. The proportion of C 1-20 (meth) acrylate alkyl ester in the entire monomer component of the layer B may be, for example, 98% by weight or less, or 95%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cohesiveness of the layer B, or 85% by weight. It may be as follows, 70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60 weight% or less may be sufficient.

B 층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함께,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는, A 층에 사용될 수 있는 공중합성 모노머로서 예시한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공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B 층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체의 예를 들어 5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15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30 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0 중량% 이상이어도 된다.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layer B may contain a copolymerizable monomer together with an alkyl (meth)acrylate ester. The copolymerizable monomer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those exemplified as the copolymerizable monomer that can be used for the layer A. The amount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to be used may be, for example, 5% by weight or more, 15% by weight or more, 30% by weight or more, or 40% by weight or more of the entir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layer B.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B 층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서 차지하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어 2 중량% 이하여도 되고, 1 중량% 이하여도 되고, 0.5 중량% 이하여도 된다. B 층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다. 여기서,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적어도 의도적으로는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조성의 B 층을 갖는 점착 시트는, 내수 신뢰성이 높은 것이 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some aspects, the proportion of th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in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layer B may be, for example, 2% by weight or less, 1% by weight or less, or 0.5% by weight or less. It is not necessary to substantially use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layer B. Here, that th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is not used substantially means that th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is not used intentionally at leas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the layer B having such a composition is preferable because it tends to have high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A 층과 B 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의 일 적합예로서, B 층의 겔분율이 A 층의 겔분율보다 높은 것, 및, B 층의 팽윤도가 A 층의 팽윤도보다 낮은 것의 일방 또는 양방을 만족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점착 시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은 (및/또는, 물 진입 거리가 긴)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As a suitable exampl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omprising a layer A and a layer B, the gel fraction of the layer B is higher than that of the layer A, and the swelling degree of the layer B satisfies one or both of the lower swelling degree of the layer A. Th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said adhesive layer is mentioned.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ow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io (and/or a long water entry distance).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B 층은,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또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B 층에 의하면, 내수 신뢰성이 좋은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 예를 들어,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A 층과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B 층의 조합, 또는,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A 층과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B 층의 조합에 있어서,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은 (및/또는, 물 진입 거리가 긴) 점착 시트가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내수성 향상의 관점에서, 물 친화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B 층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layer B may be a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layer B formed from such a composition,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goo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For example, in a combination of a layer A formed from a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 layer B formed from a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 combination of a layer A formed from a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 layer B formed from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ow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 peel adhesion reduction rate (and/or a long water entry distance) can be preferably realized. In some aspect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water resistance, a layer B substantially free of a water affinity agent can be preferably employed.

<지지체><Support>

몇 가지의 양태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의 타방의 표면 (배면) 에 접합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지지체 부착 점착 시트의 형태일 수 있다. 지지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 시트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양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지지체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이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염화비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염화비닐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클로로프렌 폼 등의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시트 ; 각종 섬유상 물질 (마, 면 등의 천연 섬유,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등의 합성 섬유, 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섬유 등일 수 있다.) 의 단독 또는 혼방 등에 의한 직포 및 부직포 ; 화지, 상질지, 그래프트지, 크레이프지 등의 종이 ; 알루미늄박, 동박 등의 금속박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복합한 구성의 지지체여도 된다. 이와 같은 복합 구조의 지지체의 예로서 예를 들어, 금속박과 상기 플라스틱 필름이 적층된 구조의 지지체, 유리 클로스 등의 무기 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시트 등을 들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some aspects may be in the form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a support including a support bonded to the other surface (back)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material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r the mode of us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support that can be used include polyolefin films based on polyolefins such as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polyester films based on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lastic films such as polyvinyl chloride films containing polyvinyl chloride as a main component; Foam sheets made of foams such as polyurethane foam, polyethylene foam, and polychloroprene foam; Woven fabrics and non-woven fabrics made of a variety of fibrous substances (natural fibers such as hemp and cotton,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ester and vinylon, semi-synthetic fibers such as acetate, etc.); Paper, such as Japanese paper, fine-quality paper, graft paper, and crepe paper; Metal foils such as aluminum foil and copper foil; And the like. It may be a suppor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se are combined. Examples of the support of such a composite structure include, for example, a suppor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etal foil and the plastic film are laminated, and a plastic sheet reinforced with inorganic fibers such as glass cloth.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의 지지체로는, 각종 필름 (이하, 지지 필름이라고도 한다.) 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필름은, 발포체 필름이나 부직포 시트 등과 같이 다공질의 필름이어도 되고, 비다공질의 필름이어도 되고, 다공질의 층과 비다공질의 층이 적층된 구조의 필름이어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필름으로는, 독립적으로 형상 유지 가능한 (자립형의, 혹은 비의존성의) 수지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지 필름」이란, 비다공질의 구조로서, 전형적으로는 실질적으로 기포를 포함하지 않는 (보이드리스의) 수지 필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수지 필름은, 발포체 필름이나 부직포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상기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되고, 2 층 이상의 다층 구조 (예를 들어 3 층 구조) 여도 된다.Various film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support films) can be preferably used as a support f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The support film may be a porous film, such as a foam film or a nonwoven fabric sheet, may be a non-porous film, or may be a fil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rous layer and a non-porous layer are laminated. In some aspects, as the support film, one containing a resin film (self-standing or non-dependent) capable of maintaining its shape independently can be preferably used as a base film. Here, the "resin film" is a non-porous structure and typically means a (voidless) resin film that does not contain substantially any air bubbles. Therefore, the resin film is a concept distinguished from a foam film or a nonwoven fabric. The resin film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eg, a three-layer structure).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노르보르넨 구조 등의 지방족 고리 구조를 갖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폴리시클로올레핀, 나일론 6, 나일론 6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PA), 폴리이미드 (PI), 폴리아미드이미드 (PA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PEEK), 폴리에테르술폰 (PES), 폴리페닐렌술파이드 (PPS),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우레탄 (PU),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EVA),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등의 불소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등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지 필름은, 이와 같은 수지의 1 종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블렌드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수지 필름은, 무연신이어도 되고, 연신 (예를 들어 1 축 연신 또는 2 축 연신) 된 것이어도 된다.As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resin film, for example, polycycloolefin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n aliphatic ring structure such as polyester, polyolefin, norbornene structure, nylon 6, nylon 66, partially aromatic polyamide, etc. Polyamide (PA), polyimide (PI), polyamideimide (PAI),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ersulfone (PES),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carbonate (PC), polyurethane (PU),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fluorine resin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crylic resin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diacetyl Resins such as cellulose polymers such as cellulose and triacetyl cellulose, vinyl butyral polymers, arylate polymers,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epoxy polymers can be used. The resin film may be formed using a resin material containing one type of such a resin alone, or may be formed using a resin material in which two or more types are blended. The resin film may be unstretched or stretched (for example, uniaxially stretched or biaxially stretched).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적합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PPS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란, 폴리에스테르를 50 중량% 를 초과하는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를 말한다. 동일하게, PPS 수지란 PPS 를 50 중량% 를 초과하는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를 말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란 폴리올레핀을 50 중량% 를 초과하는 비율로 함유하는 수지를 말한다.As suitable examples of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resin film, a polyester resin, a PPS resin, and a polyolefin resin can be mentioned. Here, the polyester resin refers to a resin containing polyester in a proportion exceeding 50% by weight. Similarly, PPS resin refers to a resin containing PPS in a proportion exceeding 50% by weight, and a polyolefin resin refers to a resin containing polyolefin in a proportion exceeding 50% by weight.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전형적으로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올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the polyester resin, typically, a polyester resin containing as a main component polyester obtained by polycondensing a dicarboxylic acid and a diol is used. As a specific example of a polyester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butylene naphthalate, etc. are mentioned.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1 종의 폴리올레핀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의 폴리올레핀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어 α-올레핀의 호모폴리머, 2 종 이상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α-올레핀과 다른 비닐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일 수 있다.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R) 등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저밀도 (LD) 폴리올레핀 및 고밀도 (HD) 폴리올레핀의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의 예로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CPP) 필름,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OPP)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필름,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필름, 중밀도 폴리에틸렌 (MDPE)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필름, 2 종 이상의 폴리에틸렌 (PE) 을 블렌드한 폴리에틸렌 (PE) 필름, 폴리프로필렌 (PP) 과 폴리에틸렌 (PE) 을 블렌드한 PP/PE 블렌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As the polyolefin resin, one type of polyolefin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ypes of polyolefin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polyolefin may be, for example, a homopolymer of α-olefin, a copolymer of two or more α-olefins, a copolymer of one or two or more α-olefins and other vinyl monomers. Specific examples include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1-butene, poly-4-methyl-1-pentene, and ethylene propylene rubber (EPR), and ethylene-propylene- Butene copolymers, ethylene-butene copolymers,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s, and ethylene-ethyl acrylate copolymers. Any of low density (LD) polyolefin and high density (HD) polyolefin can be used. Examples of polyolefin resin films include non-stretched polypropylene (CPP) films,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OPP) films,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s,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films, and medium-density polyethylene (MDPE) films. , A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film, a polyethylene (PE) film obtained by blending two or more types of polyethylene (PE), and a PP/PE blend film obtained by blending polypropylene (PP) and polyethylene (PE).

지지체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의 구체예로서, PET 필름, PEN 필름, PPS 필름, PEEK 필름, CPP 필름 및 OPP 필름을 들 수 있다. 강도의 면에서 바람직한 예로서, PET 필름, PEN 필름, PPS 필름 및 PEEK 필름을 들 수 있다. 입수 용이성, 치수 안정성, 광학 특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예로서 PET 필름을 들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of the resin film which can be used preferably as a support, a PET film, a PEN film, a PPS film, a PEEK film, a CPP film, and an OPP film are mentioned. Preferred examples in terms of strength include PET film, PEN film, PPS film, and PEEK film. A PET film is mentioned as a preferable example from the viewpoint of availability, dimensional stability, optical properties, and the like.

수지 필름에는,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착색제 (염료, 안료 등), 충전재,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 시트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In the resin film, known additives such as light stabilizer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colorants (dyes, pigments, etc.), fillers, slip agents, and anti-blocking agents can be blended as necessary. The blending amount of the addi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출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T 다이 캐스트 성형, 캘린더 롤 성형 등의, 종래 공지된 일반적인 수지 필름 성형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resi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conventionally known general resin film molding methods, such as extrusion molding, inflation molding, T die cast molding, and calender roll molding, can be appropriately adopted.

상기 지지체는, 이와 같은 수지 필름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혹은, 상기 지지체는, 상기 수지 필름 외에, 보조적인 층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보조적인 층의 예로는, 광학 특성 조정층 (예를 들어 착색층, 반사 방지층), 지지체 또는 점착 시트에 원하는 외관을 부여하기 위한 인쇄층이나 라미네이트층, 대전 방지층, 하도층, 박리층 등의 표면 처리층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재는, 후술하는 광학 부재여도 된다.The support may be formed substantially from such a resin film. Alternatively, the support may include an auxiliary layer other than the resin film. Examples of the auxiliary layer include an optical property adjustment layer (e.g., a colored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printing layer or a laminate layer, an antistatic layer, an undercoat layer, a peeling layer, etc. for imparting a desired appearance to a support or an adhesive sheet. A surface treatment layer is mentioned. Moreover, the said support material may be an optical member mentioned later.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 시트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양태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지지체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0 ㎛ 이하여도 되고, 500 ㎛ 이하여도 되고, 100 ㎛ 이하여도 되고, 70 ㎛ 이하여도 되고, 50 ㎛ 이하여도 되고, 25 ㎛ 이하여도 되고, 10 ㎛ 이하여도 되고, 5 ㎛ 이하여도 된다. 지지체의 두께가 작아지면, 점착 시트의 유연성이나 피착체의 표면 형상에 대한 추종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 취급성이나 가공성 등의 관점에서, 지지체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 이상이어도 되고, 5 ㎛ 초과 또는 10 ㎛ 초과여도 된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지지체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 이상이어도 되고, 35 ㎛ 이상이어도 되고, 55 ㎛ 이상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r the mode of use.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ay be, for example, 1000 µm or less, 500 µm or less, 100 µm or less, 70 µm or less, 50 µm or less, 25 µm or less, 10 µm or less, It may be 5 µm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reduced, the flexi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followability to the surface shape of the adherend tend to be improved.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handling properties and workability,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ay be, for example, 2 µm or more, or more than 5 µm or 10 µm. In some aspects,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may be, for example, 20 µm or more, 35 µm or more, or 55 µm or more.

지지체 중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측의 면에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하도제 (프라이머) 의 도포, 대전 방지 처리 등의, 종래 공지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는, 지지체와 점착제층의 밀착성, 바꾸어 말하면 점착제층의 지지체에 대한 투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일 수 있다. 프라이머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하도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01 ㎛ ∼ 1 ㎛ 정도가 적당하고, 0.1 ㎛ ∼ 1 ㎛ 정도가 바람직하다.On the side of the support to be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f necessary, conventionally known corona discharge treatment, plasma treatment, ultraviolet irradiation treatment, acid treatment, alkali treatment, application of a primer (primer), antistatic treatment, etc. Surface treatment may be performed. Such surface treatment may be a treatment for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other words, the seepage proper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the support. The composition of the pri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known ones. The thickness of the undercoat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usually about 0.01 µm to 1 µm is suitable, and about 0.1 µm to 1 µm is preferable.

지지체 중 점착제층에 접합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 (이하, 배면이라고도 한다.) 에는, 필요에 따라, 박리 처리, 접착성 또는 점착성 향상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등의, 종래 공지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지지체의 배면을 박리 처리제로 표면 처리함으로써, 롤상으로 권회된 형태의 점착 시트의 되감기력을 가볍게 할 수 있다. 박리 처리제로는,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장사슬 알킬계 박리 처리제, 올레핀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지방산 아미드계 박리 처리제, 황화몰리브덴, 실리카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side of the support opposite to the side to be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back side), as necessary, a conventionally known surface treatment such as peeling treatment, adhesion or adhesion improvement treatment, antistatic treatment, etc. is performed. It may be. For example, by surface-treating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with a release treatment agent, the rewinding force of the adhesive sheet wound in a roll shape can be lightened. As the release treatment agent, a silicone release treatment agent, a long-chain alkyl release treatment agent, an olefin release treatment agent, a fluorine release treatment agent, a fatty acid amide release treatment agent, molybdenum sulfide, silica powder, or the like can be used.

<점착 시트><Adhesive sheet>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층일 수 있다. 즉, 그 점착제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적당한 표면에 부여 (예를 들어 도포) 한 후, 경화 처리를 적절히 실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2 종 이상의 경화 처리 (건조, 가교, 중합 등) 를 실시하는 경우, 이들은, 동시에, 또는 다단계에 걸쳐서 실시할 수 있다. 모노머 성분의 부분 중합물 (아크릴계 폴리머 시럽) 을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경화 처리로서, 최종적인 공중합 반응이 실시된다. 즉, 부분 중합물을 추가적인 공중합 반응에 제공하여 완전 중합물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광 경화성의 점착제 조성물이면, 광 조사가 실시된다. 필요에 따라, 가교, 건조 등의 경화 처리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광 경화성 점착제 조성물에서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건조 후에 광 경화를 실시하면 된다. 완전 중합물을 사용한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전형적으로는, 상기 경화 처리로서, 필요에 따라 건조 (가열 건조), 가교 등의 처리가 실시된다. 2 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점착제층은, 미리 형성한 점착제층을 첩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혹은, 미리 형성한 제 1 점착제층 상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 2 점착제층을 형성해도 된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a cured layer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ppropriately performing a curing treatment after applying (for example,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an appropriate surface. When performing two or more types of curing treatments (drying, crosslinking, polymerization, etc.), these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over multiple steps. 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ing a partial polymer (acrylic polymer syrup) of a monomer component, a final copolymerization reaction is typically performed as the curing treatment. That is, the partial polymer is subjected to an additional copolymerization reaction to form a complete polymer. For example, if it is a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light irradiation is performed. If necessary, curing treatment such as crosslinking and drying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it is necessary to dry with a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hotocuring may be performed after drying.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sing a completely polymerized product, treatment such as drying (heat drying) and crosslinking is typically performed as the curing treatment, if necessar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of two or more layers can be produced by bonding the previously form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Alternativel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onto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in advanc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ured to form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의 관용의 코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지지체를 갖는 형태의 점착 시트에서는,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그 지지체에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부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직접법을 사용해도 되고, 박리면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지지체에 전사하는 전사법을 사용해도 된다.The applic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coater such as a gravure roll coater, a reverse roll coater, a kiss roll coater, a dip roll coater, a bar coater, a knife coater, and a spray coat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support, as a method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upport, a direct method of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y directly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the support may be used, o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release surface may be used as a support. You may use a transfer method to transfer to.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 ㎛ ∼ 1000 ㎛ 정도일 수 있다. 점착제층을 피착체에 밀착시켜 내수 신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이상이어도 되고, 10 ㎛ 이상이어도 되고, 20 ㎛ 이상이어도 되고, 30 ㎛ 이상이어도 되고, 50 ㎛ 이상이어도 되고, 50 ㎛ 초과여도 되고, 70 ㎛ 이상이어도 되고, 100 ㎛ 이상이어도 되고, 120 ㎛ 이상이어도 된다. 또,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에 의한 풀 잔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0 ㎛ 이하여도 되고, 300 ㎛ 이하여도 되고, 200 ㎛ 이하여도 되고, 170 ㎛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기술은, 점착제층의 두께가 130 ㎛ 이하, 90 ㎛ 이하, 60 ㎛ 이하 또는 40 ㎛ 이하인 점착 시트의 형태로도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A 층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에서는, 점착제층의 두께란 A 층의 두께를 의미한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bout 3 μm to 1000 μm.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by bring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nd, in some embodiments,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5 μm or more, 10 μm or more, 20 μm or more, and 30 It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50 μm, greater than or equal to 50 μm, greater than or equal to 50 μm, greater than or equal to 70 μm,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μm, or greater than or equal to 120 μm.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glue retention due to cohesive failur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some aspects,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500 μm or less, 300 μm or less, and 200 μm or less. It may be sufficient, and 170 micrometers or less may be sufficient as it. The technique disclosed herein can also be preferab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130 μm or less, 90 μm or less, 60 μm or less, or 40 μm or less. In addition,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the layer A,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eans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점착제층이 두꺼워지면, 대체로, 물 박리성과 내수 신뢰성의 양립은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 점착제층의 두께가 예를 들어 50 ㎛ 초과인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점착제층에 의하면, 그 점착제층이 두꺼워져도, 물 박리성과 내수 신뢰성을 고레벨로 양립하는 점착 시트가 얻어지기 쉽다.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ecomes thick, in general, there is a tendency that both water peeling property an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become difficult. From this point of view, in an aspect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ore than 50 μm, for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can be preferably adopted. According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hick,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achieves high level of water peelability an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A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이상이어도 되고, 2 ㎛ 이상이어도 되고, 4 ㎛ 이상이어도 되고, 5 ㎛ 이상이어도 되고, 10 ㎛ 이상이어도 되고, 15 ㎛ 이상이어도 된다. 또, A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 ㎛ 이하여도 되고, 45 ㎛ 이하여도 되고, 35 ㎛ 이하여도 되고, 25 ㎛ 이하여도 된다. 특히,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A 층을 구비하는 양태나, A 층이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양태에서는, A 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크지 않은 것은, 점착 시트의 내수 신뢰성의 향상, 점착제층의 투명성의 향상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e aspect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layer A and layer B, the thickness of layer A may be, for example, 1 μm or more, 2 μm or more, 4 μm or more, 5 μm or more, or 10 μm. It may be more than or equal to 15 µm or more. Moreover,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may be, for example, 50 µm or less, 45 µm or less, 35 µm or less, and 25 µm or less. Particularly, in an embodiment including a layer A formed from a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n embodiment in which the layer A contains a water affinity agent,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is not too large,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transparenc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ement of.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B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 이상이어도 되고, 10 ㎛ 이상이어도 된다. A 층의 배면측에 B 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보다 잘 발휘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B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 ㎛ 이상이어도 되고, 30 ㎛ 이상이어도 되고, 50 ㎛ 이상이어도 되고, 70 ㎛ 이상이어도 되고, 100 ㎛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aspect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the thickness of the layer B may be, for example, 5 µm or more, or 10 µ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better exerting the effect of forming the layer B on the back side of the layer A, in some aspects, the thickness of the layer B may be, for example, 20 μm or more, or 30 μm or more, It may be 50 µm or more, 70 µm or more, or 100 µm or more.

점착제층이 A 층과 B 층을 포함하는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전체의 두께에서 차지하는 A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90 % 이하여도 되고, 통상은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하여도 되고, 30 % 이하여도 되고, 20 % 이하여도 되고, 15 % 이하여도 된다. 또, A 층의 형성 용이성이나 점착 시트의 물 박리성의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점착제층 전체의 두께에서 차지하는 A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 이상이어도 되고, 5 % 이상이어도 되고, 7 % 이상이어도 되고, 10 %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aspect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the layer A and the layer B,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occupied by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90% or less, usually preferably 70% or less, and even 50% or less. It may be, 30% or less, 20% or less may be sufficient, and 15% or less may be sufficient.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ease of formation of the layer A and the water peel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some aspects,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occupied by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3% or more, or even 5% or more. It may be, 7% or more may be sufficient, and 10% or more may be sufficient.

<용도><us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물 등의 수성 액체를 사용하여 피착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점에서 리워크성이 좋으며, 또한 내수 신뢰성이 좋다는 특징을 살려, 예를 들어 각종 휴대 기기 (포터블 기기), 자동차, 가전 제품 등을 구성하는 부재에 첩부되는 양태로, 그 부재의 고정, 접합, 성형, 장식, 보호, 지지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재의 적어도 표면을 구성하는 재질은, 예를 들어, 알칼리 유리판이나 무알칼리 유리 등의 유리 ; 수지 필름 ; 스테인리스강 (SUS),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 ; 아크릴 수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의 수지 재료 ; 등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알키드계, 멜라민계, 우레탄계, 산에폭시 가교계, 혹은 이들의 복합계 (예를 들어 아크릴멜라민계, 알키드멜라민계) 등의 도료에 의한 도장면이나, 아연 도금 강판 등의 도금면에 첩부되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부재가 그 점착 시트의 A 층측에 접합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has good rework properties in that i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an adherend us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water, and has goo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For example, various portable devices (portable Devices), automobiles, home appliances, and the like, and can be used for fixing, bonding, molding, decoration, protection, support, etc. of the member. The material constituting at least the surface of the member is, for example, glass such as an alkali glass plate or an alkali free glass; Resin film; Metal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SUS) and aluminum; Resin materials such as acrylic resin, ABS resin, polycarbonate resin, and polystyrene resin; Etc.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is coated with a paint such as acrylic, polyester, alkyd, melamine, urethane, acid-epoxy crosslinked, or composites thereof (for example, acrylic melamine, alkyd melamine). It may be affixed to a surface or a plated surface such as a galvanized steel shee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may be, for example, a compone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in which such a member is bonded to the layer A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이와 같은 점착 시트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 (이하, 접합면이라고도 한다.) 은,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예를 들어 60 도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도 이하가 되는 정도의 친수성을 나타내는 표면일 수 있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의 접촉각은, 예를 들어 45 도 이하여도 되고, 40 도 이하여도 되고, 35 도 이하여도 되고, 30 도 이하여도 된다. 상기 접합면의 접촉각이 작아지면, 그 접합면을 따라 물이 젖어 퍼지기 쉬워지고, 점착 시트의 물 박리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상기 접합면에 상기 점착 시트를 첩합하여 점착 시트 부착 부재를 제작할 때의 리워크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합면의 접촉각은, 적어도 점착 시트를 첩합하는 시기 (예를 들어, 첩합의 30 분 전) 에 상기 서술한 어느 각도 이하이면, 그 접촉각이 소정 이하인 것에 의한 리워크성 향상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접촉각의 하한은, 원리상 0 도이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접합면의 접촉각은, 0 도 초과여도 되고, 1 도 이상이어도 되고, 3 도 이상이어도 되고, 5 도 이상이어도 된다. 부재의 접합면의 접촉각은, 상기 서술한 알칼리 유리판의 접촉각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된다.In such an adhesive sheet attaching member, the surface of the member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bonding surface) has a contact angle with distilled water of, for example, 60 degrees or less, preferably 50 degrees or less. It may be a surface showing a degree of hydrophilicity. In some aspects, the contact angle of the bonding surface may be, for example, 45 degrees or less, 40 degrees or less, 35 degrees or less, and 30 degrees or less. When the contact angle of the bonding surface becomes small, water tends to wet and spread along the bonding surface, and the water peelability of the adhesive sheet tends to be improved. Thi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rework property when attaching the adhesive sheet to the bonding surface to produce a member with an adhesive sheet. In addition, if the contact angle of the bonding surface is at least at the time of bo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example, 30 minutes before bonding) or less than any of the above-described angle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work property is exhibited by the contact angle being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Can be. In principle, the lower limit of the contact angle is 0 degrees. In some aspects, the contact angle of the bonding surface may exceed 0 degrees, may be 1 degrees or more, 3 degrees or more, or 5 degrees or more. The contact angle of the bonding surface of the member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act angle of the alkali glass plate described above.

부재의 접합면은,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을 저하시키기 위해, 친수화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친수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나, 친수 코팅층을 형성하는 친수 코팅 처리 등의, 친수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코로나 처리나 플라즈마 처리에 사용하는 장치나 처리 조건은, 종래 공지된 기술에 기초하여, 원하는 접촉각을 나타내는 접합면이 얻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친수 코팅층의 형성은, 공지된 코팅제로부터 원하는 접촉각을 나타내는 접합면이 얻어지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친수 코팅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1 ㎛ 이상이어도 되고, 0.05 ㎛ 이상이어도 되고, 0.1 ㎛ 이상이어도 되고, 또, 예를 들어 10 ㎛ 이하여도 되고, 5 ㎛ 이하여도 되고, 2 ㎛ 이하여도 된다.The bonding surface of the member may be subjected to a hydrophilic treatment in order to reduce the contact angle with distilled water. Examples of the hydrophilic treatment include treatments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ydrophilicity,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and hydrophilic coating treatment for forming a hydrophilic coating layer. The apparatus and treatment conditions used for corona treatment or plasma treatment can be set so that a bonding surface showing a desired contact angle is obtained based on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Formation of the hydrophilic coating layer can be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selecting what obtains a bonding surface exhibiting a desired contact angle from a known coating agent, and using a conventional method. The thickness of the hydrophilic coating layer may be, for example, 0.01 µm or more, 0.05 µm or more, or 0.1 µm or more, and may be, for example, 10 µm or less, 5 µm or less, or 2 µm or less.

바람직한 용도의 일례로서, 광학 용도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광학 부재를 첩합하는 용도 (광학 부재 첩합용) 나 상기 광학 부재가 사용된 제품 (광학 제품) 의 제조 용도 등에 사용되는 광학용 점착 시트로서,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preferable application, an optical application is mentione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as an optical adhesive sheet used for bonding an optical member (for bonding an optical member) or for manufacturing a product (optical product) in which the optical member is used, the adhesive disclosed herein A sheet can be preferably used.

상기 광학 부재란, 광학적 특성 (예를 들어, 편광성, 광 굴절성, 광 산란성, 광 반사성, 광 투과성, 광 흡수성, 광 회절성, 선광성, 시인성 등) 을 갖는 부재를 말한다. 상기 광학 부재로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 (화상 표시 장치), 입력 장치 등의 기기 (광학 기기) 를 구성하는 부재 또는 이들 기기에 사용되는 부재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도광판, 반사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하드 코트 (HC) 필름, 충격 흡수 필름, 방오 필름, 포토크로믹 필름, 조광 필름, 투명 도전 필름 (ITO 필름), 의장 필름, 장식 필름, 표면 보호판, 프리즘, 렌즈, 컬러 필터, 투명 기판이나, 나아가서는 이들이 적층되어 있는 부재 (이들을 총칭하여 「기능성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판」 및 「필름」은, 각각 판상, 필름상, 시트상 등의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은, 「편광판」, 「편광 시트」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said optical member refers to a member having optical properties (eg, polarization, light refraction, light scattering, light reflectivity, light transmittance, light absorption, light diffraction, optical rotation, visibility, etc.). The optical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mber having optical properties. For example, a member constituting devices (optical devices) such as a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or a member used in these devices For example, a polarizing plate, a wave plate, a retardation plate,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a luminance enhancing film, a light guide plate, a reflective film, an antireflection film, a hard coat (HC) film, a shock absorbing film, an antifouling film, a photochromic Film, light control film,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TO film), design film, decorative film, surface protection plate, prism, lens, color filter, transparent substrate, and furthermore, members on which they are laminated (collectively referred to as ``functional film'' There are cases.),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late" and "film" shall each include forms such as a plate shape, a film shape, and a sheet shape, and for example, a "polarization film" refers to a "polarizing plate", a "polarizing sheet", etc. It shall be included.

상기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PDP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자 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입력 장치로는, 터치 패널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organic EL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 PDP (plasma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paper. Moreover, a touch panel etc. are mentioned as said input device.

상기 광학 부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금속 박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재 (예를 들어, 시트상이나 필름상, 판상의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학 부재」에는,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가식 (加飾) 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 (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 필름 등) 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said optical member, For example, a member made of glass, acrylic resin, polycarbon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metal thin film, etc. (e.g., a sheet-like member, a film-like member, a plate-like member) etc. are mentioned. I can. In addition, the "optical member" in this specification also includes a member (design film, decorative film, surface protection film, etc.) that plays a role of decoration or protection while maintaining visibility of a display device or an input device. It should be done.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광학 부재를 첩합하는 양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광학 부재끼리를 첩합하는 양태나, (2)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광학 부재를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첩합하는 양태여도 되고, (3)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가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서 그 점착 시트를 광학 부재 또는 광학 부재 이외의 부재에 첩합하는 양태여도 된다. 또한, 상기 (3) 의 양태에 있어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의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지지체가 광학 부재 (예를 들어, 광학 필름) 인 점착 시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로서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의 점착 시트는, 점착형 광학 부재 (예를 들어, 점착형 광학 필름) 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또,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가 지지체를 갖는 타입의 점착 시트로서, 상기 지지체로서 상기 기능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 시트는, 기능성 필름의 적어도 편면측에 여기에 개시되는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형 기능성 필름」으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an aspect of bonding an optical member using th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For example, (1) An aspect of bonding optical members through th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and (2) ) An optical member may be attached to a member other than the optical member via th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and (3) th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includes an optical member, and the adhesive sheet is an optical member or an optical member. It may be an aspect to be attached to members other than the member.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the above (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cluding an optical member may be,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ose support is an optical member (eg, an optical film). In this wa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cluding an optical member as a support can be regarded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member (eg, a pressure-sensitive optical film). In addition,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is a typ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support, and the functional film is used as the suppor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in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isclosed her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unctional film. It can also be grasped as a "adhesive functional film" having.

<박리 방법><Peeling method>

이 명세서에 의하면, 피착체에 첩부된 점착 시트의 박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박리 방법은, 상기 피착체로부터의 상기 점착 시트의 박리전선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와 상기 점착 시트의 계면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박리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상기 수성 액체의 상기 계면에 대한 진입을 진행시키면서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물 박리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물 박리 공정에 의하면, 상기 수성 액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피착체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할 수 있다. 수성 액체로는, 물 또는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매에, 필요에 따라 소량의 첨가제를 함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용매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용매로는, 물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는 저급 알코올 (예를 들어 에틸알코올) 이나 저급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공지된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착체의 오염을 피하는 관점에서,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첨가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수성 액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환경 위생의 관점에서, 수성 액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순도나 입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증류수, 이온 교환수, 수도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 method for peel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ttached to an adherend is provided. The peeling method, in a state in which an aqueous liquid exists at an interfac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adhesive sheet in the peeling wire of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follows the movement of the peeling wire, and the interface of the aqueous liquid And a water peeling step of peel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while advancing the entry to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water peeling step, the adhesive sheet can be peeled from the adherend by effectively using the aqueous liquid. As the aqueous liquid, water or a mixed solvent containing water as a main component may contain a small amount of additives as necessary. As a solvent other than water constituting the mixed solvent, a lower alcohol (eg ethyl alcohol) or a lower ketone (eg acetone) that can be uniformly mixed with water may be used. As the additive, a known surfactant or the like can be used.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contamination of the adherend, in some embodiments, an aqueous liquid substantially free of additives can b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hygiene,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water as the aqueous liquid. The wa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distilled water, ion-exchanged water, tap water, etc.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ity and availability requir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박리 방법은, 예를 들어 물 박리력 (N2) 의 측정시와 동일하게, 피착체에 첩부된 점착 시트의 외연 부근의 피착체 상에 수성 액체를 공급하고, 그 수성 액체를 상기 점착 시트의 외연으로부터 그 점착 시트와 상기 피착체의 계면에 진입시킨 후, 새로운 물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고 (즉, 박리 개시 전에 피착체 상에 공급한 수성 액체만을 이용하여) 점착 시트의 박리를 진행시키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물 박리 공정의 도중에, 박리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점착 시트와 피착체의 계면에 진입시키는 물이 도중에 고갈될 것 같으면, 그 물 박리 공정의 개시 후에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물을 추가 공급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피착체가 흡수성을 갖는 경우나,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 또는 점착면에 수성 액체가 잔류하기 쉬운 경우 등에 있어서, 물 박리 공정의 개시 후에 물을 추가 공급하는 양태를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In some aspects, in the peeling method, for exampl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asurement of water peeling force (N2), an aqueous liquid is supplied onto the adherend near the outer edg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ffixed to the adherend, and the After the aqueous liquid enters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no new water is supplied (i.e., using only the aqueous liquid supplied on the adherend before starting peeling) It can be carried out preferably in an aspect of advancing peeling of. In addition, if water enter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is likely to be deplet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peeling process,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peeling wire, water may be additionally supplied intermittently or continuously after the start of the water peeling process. .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adherend has water absorption, or when an aqueous liquid tends to remain on the adherend surface or adhesive surface after peeling, the mode of additionally supplying water after the start of the water peeling process can be preferably adopted. .

박리 개시 전에 공급하는 수성 액체의 양은, 점착 시트의 첩부 범위 밖으로부터 그 점착 시트와 피착체의 계면에 상기 수성 액체를 도입할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성 액체의 양은, 예를 들어 5 μL 이상이어도 되고, 통상은 10 μL 이상이 적당하고, 20 μL 이상이어도 된다. 또, 상기 수성 액체의 양의 상한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다. 몇 가지의 양태에 있어서, 작업성 향상 등의 관점에서, 상기 수성 액체의 양은, 예를 들어 10 mL 이하여도 되고, 5 mL 이하여도 되고, 1 mL 이하여도 되고, 0.5 mL 이하여도 되고, 0.1 mL 이하여도 되고, 0.05 mL 이하여도 된다. 상기 수성 액체의 양을 적게 함으로써, 점착 시트의 박리 후에 상기 수성 액체를 건조나 닦아냄 등에 의해 제거하는 조작을 생략 또는 간략화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aqueous liquid supplied before the start of peel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amount capable of introducing the aqueous liqui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from outside the affixing range of the adhesive sheet. The amount of the aqueous liquid may be, for example, 5 µL or more, usually 10 µL or more, and may be 20 µL or more. In addition,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the aqueous liquid. In some embodiment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workability, the amount of the aqueous liquid may be, for example, 10 mL or less, 5 mL or less, 1 mL or less, 0.5 mL or less, and 0.1 mL.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0.05 mL or less. By reducing the amount of the aqueous liquid, it is possible to omit or simplify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aqueous liquid by drying or wiping off the adhesive sheet after peeling.

박리 개시시에 상기 점착 시트의 외연으로부터 그 점착 시트와 상기 피착체의 계면에 수성 액체를 진입시키는 조작은, 예를 들어, 점착 시트의 외연에 있어서 상기 계면에 커터 나이프나 바늘 등의 지그의 선단을 찔러넣는 것, 점착 시트의 외연을 갈고리나 손톱 등으로 긁어서 들어올리는 것, 강점착성의 점착 테이프나 흡반 등을 점착 시트의 외연 부근의 배면에 부착시켜 그 점착 시트의 끝을 들어올리는 것 등의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 시트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계면에 수성 액체를 강제적으로 진입시킴으로써, 피착체와 상기 점착 시트의 계면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수성 액체를 계면에 강제적으로 진입시키는 조작을 실시하여 박리의 계기를 만든 후에 있어서의 양호한 물 박리성과, 이러한 조작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의 높은 내수 신뢰성을, 바람직하게 양립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injecting an aqueous liquid into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sheet and the adheren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sheet at the time of initiation of peeling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tip of a jig such as a cutter knife or a needle into the interface at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sheet. Inserting the adhesive sheet, lifting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sheet by scratching it with a hook or fingernail, and lifting the end of the adhesive sheet by attaching a strong adhesive tape or sucker to the back surface near the outer edge of the adhesive sheet, etc. It can be carried out in an aspect. As described above, by forcibly entering the aqueous liquid into the interface from the outer edg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 state in which the aqueous liquid is pres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can be efficiently formed. Moreover, good water peelability after the operation of forcibly entering the interface of the aqueous liquid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peeling, and high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in the case of not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can be suitably compatible.

상기 박리 방법에 의해 박리되는 점착 시트는,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 중 적어도 상기 피착체측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은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시트는, 예를 들어,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점착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박리 방법은, 여기에 개시되는 어느 점착 시트의 박리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be peeled off by the above-described peeling method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the surface of the adherend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made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 water affinity ag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adhesive sheet is any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for example. Therefore, the said peeling method is preferable as a peeling method of any adhesive sheet disclosed here.

몇 가지의 양태에 관련된 물 박리 공정은, 상기 박리전선을 10 ㎜/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양태로 바람직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박리전선을 10 ㎜/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은, 예를 들어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 있어서는, 점착 시트를 20 ㎜/분 이상의 인장 속도로 박리하는 것에 상당한다. 상기 박리전선을 이동시키는 속도는, 예를 들어 50 ㎜/분 이상이어도 되고, 150 ㎜/분 이상이어도 되고, 300 ㎜/분 이상이어도 되고, 500 ㎜/분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박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수성 액체의 상기 계면에 대한 진입을 진행시키면서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시트를 박리함으로써, 이와 같이 비교적 빠른 박리 속도여도 양호한 물 박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박리전선을 이동시키는 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박리전선을 이동시키는 속도는, 예를 들어 1000 ㎜/분 이하일 수 있다.The water peeling process according to some aspects may be preferably carried out in an aspect of moving the peeling wire at a speed of 10 mm/min or more. Moving the peeling wire at a speed of 10 mm/min or more corresponds to peel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t a tensile speed of 20 mm/min or more under conditions of, for example,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The speed at which the peeling wire is moved may be, for example, 50 mm/min or more, 150 mm/min or more, 300 mm/min or more, or 500 mm/min or more. According to the peeling method disclosed herein, by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while advancing the entry of the aqueous liquid into the interface, good water peelability can be exhibited even at such a relatively high peeling speed. The upper limit of the speed at which the peeling wire is mov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peed of moving the peeling wire may be, for example, 1000 mm/min or less.

여기에 개시되는 박리 방법은, 예를 들어, 그 방법에 사용하는 수성 액체 (예를 들어 물) 의 체적 10 μL 당 점착 시트의 박리 면적이, 예를 들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 되는 양태로 실시할 수 있다.In the peeling method disclosed herein, for example, the peeling area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er 10 μL of the volume of the aqueous liquid (for example, water) used in the method is, for example, 50 cm 2 or more, preferably 100 cm 2 or more. It can be carried out in the form of becoming.

여기에 개시되는 박리 방법은, 예를 들어, 유리판, 금속판, 수지판 등과 같은 비흡수성의 평활면에 첩부된 점착 시트의 박리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여기에 개시되는 박리 방법은, 상기 서술한 어느 광학 부재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칼리 유리나 무알칼리 유리 등의 유리판에 첩부된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The peeling method disclosed herein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peeling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ffixed to a non-absorbent smooth surface such as, for example, a glass plate, a metal plate, or a resin plate. Moreover, the peeling method disclosed here can be used suitably as a method of peeling an adhesive sheet from any optical member mentioned above. Especially, it is preferable as a method of peeling the adhesive sheet affixed to a glass plate, such as an alkali glass and an alkali-free glass.

또한, 이 명세서에 의해 개시되는 사항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following are included in matters disclosed by this specification.

(1)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1) As an adhesive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포함하고,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A 층측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의 점착력 (N0) 이 2.0 N/10 ㎜ 이상이고,The adhesive strength (N0)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after affixing the layer A side to the adherend is 2.0 N/10 mm or more,

상기 A 층측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물에 30 분간 침지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끌어올려 부착수를 닦아낸 후에 측정되는 내수 점착력 (N1) [N/10 ㎜] 과, 상기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1/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며, 또한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N1) [N/10 mm] measured after attaching the layer A side to the adherend, a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immersed in water for 30 minutes, and then pulled up from water to wipe off the adherent water, and the adhesive force ( From N0) [N/10 mm], the following formula: (1-(N1/N0)) × 100;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30% or less, and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A 층측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상기 피착체에 1 방울의 물을 적하하고, 그 물을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피착체의 계면의 일단에 진입시킨 후, 새로운 물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고 박리하여 측정되는 물 박리력 (N2) [N/10 ㎜] 과, 상기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2/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40 % 이상인, 점착 시트.After affixing the layer A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a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a drop of water is added dropwise to the adherend, and the water enters one end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nd, and then a new From the water peeling force (N2) [N/10 mm] measured by peeling without supplying water, and the adhesive force (N0) [N/10 mm], the following equation: (1-(N2/N0)) × 10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n which the water peeling adhesion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40% or more.

(2) 상기 A 층은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점착 시트.(2)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 wherein the layer A contains a water affinity agent.

(3) 상기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상기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상기 (2) 에 기재된 점착 시트.(3)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2), wherein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is 0.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4) 상기 A 층은,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인,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4)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layer A is water-insoluble and non-water swellable.

(5) 상기 A 층은,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5) The layer A is compos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50 중량% 이상은 탄소 원자수 1 ∼ 20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인,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above, wherein 50% by weight or more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

(6)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 이상 200 ㎛ 이하인,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6)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1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7)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7)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urther includes a layer B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layer A.

(8) 상기 B 층은 상기 A 층의 배면에 직접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기 (7) 에 기재된 점착 시트.(8)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7), wherein the layer B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layer A.

(9) 상기 B 층의 두께는 20 ㎛ 이상인, 상기 (7) 또는 (8) 에 기재된 점착 시트.(9)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7) or (8),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ayer B is 20 µm or more.

(10) 상기 A 층의 두께는 5 ㎛ 이상 50 ㎛ 이하인, 상기 (7)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1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9),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is 5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11) 상기 A 층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이고,(11) The layer A is a layer formed from a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B 층은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또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인, 상기 (7)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7) to (10), wherein the layer B is a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or a solvent-type adhesive composition.

(12)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12) As an adhesive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과, 상기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포함하고,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layer B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layer A,

상기 A 층은 수분산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이고,The layer A is a layer formed from an aqueous dispersion 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B 층은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또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인, 점착 시트.The layer B is a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13)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13) As an adhesive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과, 상기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포함하고,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layer B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layer A,

상기 A 층은 물 친화제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The A layer contains a water affinit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4) 상기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상기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인, 상기 (13) 에 기재된 점착 시트.(1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13), wherein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is 0.2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15) 상기 A 층은,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인, 상기 (12)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15)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14), wherein the layer A is water-insoluble and non-water-swellable.

(16) 상기 A 층측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물에 30 분간 침지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끌어올려 부착수를 닦아낸 후에 측정되는 내수 점착력 (N1) [N/10 ㎜] 과, 상기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1/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며, 또한(16)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N1) [N/10 mm] measured after attaching the layer A side to the adherend, a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immersed in water for 30 minutes, and then pulled up from water to wipe off the adherent water, and From the adhesive force (N0) [N/10 mm], the following formula: (1-(N1/N0)) × 100;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30% or less, and

상기 점착 시트의 상기 A 층측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상기 피착체에 1 방울의 물을 적하하고, 그 물을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피착체의 계면의 일단에 진입시킨 후, 새로운 물의 공급을 실시하지 않고 박리하여 측정되는 물 박리력 (N2) [N/10 ㎜] 과, 상기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2/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40 % 이상인, 상기 (12)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After affixing the layer A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a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a drop of water is added dropwise to the adherend, and the water enters one end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nd, and then a new From the water peeling force (N2) [N/10 mm] measured by peeling without supplying water, and the adhesive force (N0) [N/10 mm], the following equation: (1-(N2/N0)) × 10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2) to (15), wherein the water peeling adhesion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40% or more.

(17) 상기 A 층측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의 점착력 (N0) 이 2.0 N/10 ㎜ 이상인, 상기 (12)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17)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16), wherein the A-layer side is affixed to the adherend, and the adhesion (N0) after one day at room temperature is 2.0 N/10 mm or more.

(18) 상기 B 층은 상기 A 층의 배면에 직접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기 (12)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18)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17), wherein the layer B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layer A.

(19) 상기 B 층의 두께는 20 ㎛ 이상인, 상기 (12)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19)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18),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ayer B is 20 µm or more.

(20) 상기 A 층의 두께는 5 ㎛ 이상 50 ㎛ 이하인, 상기 (12) ∼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20)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19),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is 5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21) 상기 A 층은,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21) The layer A is compos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50 중량% 이상은 탄소 원자수 1 ∼ 20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인, 상기 (12)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20) above, wherein 50% by weight or more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

(22)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 이상 200 ㎛ 이하인, 상기 (12)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2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2) to (2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1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23) 상기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일방의 표면에 접합된 부재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부착 부재.(23) A member with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1) to (22) and a member bonded to the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4) 상기 부재는,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0 도 이하인, 상기 (23) 에 기재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24)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according to (23), wherein the member has a contact angle of 5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25) 피착체에 첩부된 점착 시트의 박리 방법으로서,(25) As a peeling metho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ffixed to an adherend,

상기 피착체로부터의 상기 점착 시트의 박리전선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와 상기 점착 시트의 계면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박리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상기 수성 액체의 상기 계면에 대한 진입을 진행시키면서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물 박리 공정을 포함하는, 박리 방법.In a state in which an aqueous liquid exist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adhesive sheet in the peeling wire of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the aqueous liquid enters the interface by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peeling wire. A peeling method comprising a water peeling step of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while making it.

(26) 상기 점착 시트는, 상기 (1) ∼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인, 상기 (25) 에 기재된 박리 방법.(26) The peeling method according to (25), wherein the adhesive sheet is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22).

(27) 상기 물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박리전선을 10 ㎜/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상기 (25) 또는 (26) 에 기재된 박리 방법.(27) The peeling method according to (25) or (26), wherein in the water peeling step, the peeling wire is moved at a speed of 10 mm/min or more.

(28) 상기 피착체는,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0 도 이하인, 상기 (25)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28)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25) to (27), wherein the adherend has a contact angle of 5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29) 상기 (25) ∼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박리 방법에 의해, 피착체인 부재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공정과,(29) The step of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member to be adhered by the peel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25) to (28), and

점착 시트를 박리한 상기 부재에, 박리한 상기 점착 시트와는 별도의 점착 시트를 첩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부착 부재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member with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a step of affixing an adhesive sheet separate from the peeled adhesive sheet to the member from which the adhesive sheet has been peeled off.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Hereinafter, som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hown in these example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art" and "%" are based on weight unless otherwise noted.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점착제 조성물 U-1)(Adhesive composition U-1)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HA), N-비닐-2-피롤리돈 (NVP),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HEA) 및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IBXA) 를 80/35/5/30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100 부를, 광 중합 개시제로서의 상품명 : 이르가큐어 651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05 부 및 상품명 : 이르가큐어 184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05 부와 함께 4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점도 (BH 점도계, No.5 로터, 10 rpm, 측정 온도 30 ℃) 가 약 15 Pa·s 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중합시킴으로써,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시럽을 조제하였다.2-ethylhexyl acrylate (2EHA), N-vinyl-2-pyrrolidone (NVP), 2-hydroxyethyl acrylate (HEA) and isobornyl acrylate (IBXA) by 80/35/5/30 A four-neck flask with 100 parts of the monomer mixture contained in a weight ratio of, as a photoinitiator, as a photoinitiator: 0.05 parts of Irgacure 651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and 0.05 parts of brand name: Irgacure 184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And photopolymerization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until the viscosity (BH viscometer, No.5 rotor, 10 rpm, measurement temperature 30° C.) becomes about 15 Pa·s in a nitrogen atmosphere, thereby forming a partial polymer of the monomer mixture. A monomer syrup containing was prepared.

이 모노머 시럽 100 부에,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HDDA) 0.13 부 및 광 중합 개시제 (상품명 : 이르가큐어 651,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33 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U-1 을 조제하였다.To 100 parts of this monomer syrup, 0.13 parts of 1,6-hexanediol diacrylate (HDDA) and 0.33 parts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Irgacure 651,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were added, uniformly mixed, and ultraviolet rays 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1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U-2)(Adhesive composition U-2)

n-부틸아크릴레이트 (BA),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CHA), NVP,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4HBA) 및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ISTA) 를 70/10/10.5/15/21.1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 100 부를, 광 중합 개시제로서의 상품명 : 이르가큐어 651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05 부 및 상품명 : 이르가큐어 184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05 부와 함께 4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점도 (BH 점도계, No.5 로터, 10 rpm, 측정 온도 30 ℃) 가 약 15 Pa·s 가 될 때까지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중합시킴으로써, 상기 모노머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을 포함하는 모노머 시럽을 조제하였다.n-butyl acrylate (BA), cyclohexyl acrylate (CHA), NVP, 4-hydroxybutyl acrylate (4HBA) and isostearyl acrylate (ISTA) in a weight ratio of 70/10/10.5/15/21.1 100 parts of the monomer mixture contained as a photoinitiator as a photoinitiator: 0.05 parts of Irgacure 651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and 0.05 parts of brand name: Irgacure 184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were added to a four-neck flask together And photopolymerization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until the viscosity (BH viscometer, No.5 rotor, 10 rpm, measurement temperature 30° C.) is about 15 Pa·s in a nitrogen atmosphere, thereby containing partial polymers of the monomer mixture. A monomer syrup was prepared.

이 모노머 시럽 100 부에, HDDA 0.4 부, 광 중합 개시제 (상품명 : 이르가큐어 651,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4 부 및 연쇄 이동제로서 α-메틸스티렌 2 량체 (니치유 제조 「노후마 MSD」) 0.08 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U-2 를 조제하였다.To 100 parts of this monomer syrup, 0.4 parts of HDDA, 0.4 parts of a photoinitiator (trade name: Irgacure 651,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and α-methylstyrene dimer as a chain transfer agent ("Nofuma MSD" manufactured by Nichiyu) 0.08 part was added, it mixed uniformly, and the ultraviolet-curable adhesive composition U-2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S-1)(Adhesive composition S-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BA 98 부, HEA 1 부 및 아크릴산 (AA) 1 부를, 열 중합 개시제로서의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0.3 부 및 중합 용매로서의 아세트산에틸과 함께 투입하고, 질소 가스 기류하에 있어서 60 ℃ 에서 4 시간 반응시킴으로써, Mw 가 180 만인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 (고형분 농도 30 %) 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 부당, 0.3 부의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니혼 유지 제조, 나이파 BO-Y) 와, 0.02 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토소 제조, 콜로네이트 L) 과, 0.1 부의 실란 커플링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를 배합하고,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여,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S-1 을 조제하였다.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cooling tube, a nitrogen introduction tube, a thermometer and a stirring device, 98 parts of BA, 1 part of HEA, and 1 part of acrylic acid (AA) were added to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 A solution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having Mw of 1.8 millio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30%) was obtained by adding 0.3 parts and ethyl acetat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and reacting at 60° C. for 4 hours under a nitrogen gas stream. Per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is acrylic polymer solution, 0.3 parts of dibenzoyl peroxide (manufactured by Nippon Oil, Nippa BO-Y), and 0.02 parts of trimethylolpropane/tolylene diisocyanate terpolymer adduct (manufactured by Tosoh, Colonate L) and , 0.1 part of a silane coupling agent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was blended, stirred and mixed uniformly, to prepare a solvent-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1.

(점착제 조성물 S-2)(Adhesive composition S-2)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BA 95 부, 2EHA 50 부 및 AA 5 부와, 열 중합 개시제로서의 AIBN 0.2 부와, 중합 용매로서의 아세트산에틸 233 부를 주입하고, 질소 가스 기류하에 있어서 60 ℃ 에서 8 시간 반응시킴으로써, Mw 가 70 만인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 부당, 점착 부여 수지로서 로진에스테르 수지 (아라카와 화학 공업 제조, 펜셀 D-125) 25 부,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 량체 부가물 (토소사 제조, 상품명 「콜로네이트 L」) 2 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여,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S-2 를 조제하였다.In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cooling tube, a nitrogen inlet tube, a thermometer and a stirring device, 95 parts of BA, 50 parts of 2EHA and 5 parts of AA as a monomer component, 0.2 parts of AIBN 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233 parts of ethyl acetat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were added. The solution was injected and reacted at 60° C. for 8 hours in a nitrogen gas stream to obtain a solution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having a Mw of 700,000. Per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is acrylic polymer solution, 25 parts of rosin ester resin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 Industries, Pencel D-125) as tackifying resin, trimethylolpropane/tolylenediisocyanate trimer adduct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brand name `` Colonate L") 2 parts were added, it stirred and mixed uniformly, and the solvent-type adhesive composition S-2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E-1)(Adhesive composition E-1)

2EHA 85 부, MA 13 부, AA 1.2 부, MAA 0.8 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KBM-503) 0.02 부, 연쇄 이동제로서의 t-도데실메르캅탄 0.048 부 및 유화제 (카오사 제조, 라테물 E-118B) 2.0 부를, 이온 교환수 100 부 중에서 혼합하여 유화함으로써, 모노머 혼합물의 수성 에멀션 (모노머 에멀션) 을 조제하였다.2EHA 85 parts, MA 13 parts, AA 1.2 parts, MAA 0.8 parts,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Shin-Etsu Chemical Co., Ltd., KBM-503) 0.02 parts, t-dodecylmercaptan 0.048 parts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2.0 parts of an emulsifier (made by Kao Corporation, Latte product E-118B) were mixed and emulsified in 100 parts of ion-exchanged water to prepare an aqueous emulsion (monomer emulsion) of a monomer mixture.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상기 모노머 에멀션을 넣고, 질소 가스를 도입하면서 실온에서 1 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이어서, 계를 60 ℃ 로 승온하고,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 (와코 순약 공업사 제조, VA-057) 0.1 부를 투입하고, 60 ℃ 에서 6 시간 반응시켜, 아크릴계 폴리머의 수분산액을 얻었다. 계를 상온까지 냉각한 후, pH 조정제로서의 10 % 암모니아수 및 증점제로서의 폴리아크릴산 (불휘발분 36 % 의 수용액) 을 사용하여 pH 약 7.5, 점도 약 9 Pa·s 로 조정함으로써,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E-1 을 조제하였다.The monomer emulsion was put into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cooling tube, a nitrogen introduction tube, a thermometer and a stirring device,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or more while introducing nitrogen gas. Then, the system was heated to 60° C., and 0.1 part of 2,2'-azobis[N-(2-carboxyethyl)-2-methylpropionamidine]hydrate (manufactured by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VA-057) was added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It was added and reacted at 60° C. for 6 hours to obtain an aqueous dispersion of an acrylic polymer. After cooling the system to room temperature, by adjusting the pH to about 7.5 and the viscosity to about 9 Pa·s using 10% aqueous ammonia as a pH adjuster and polyacrylic acid (a 36% nonvolatile aqueous solution) as a thickener, emulsion-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 1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E-2)(Adhesive composition E-2)

점착제 조성물 E-1 의 조제에 있어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의 수분산액의 고형분 100 부당, 점착 부여 수지 에멀션 (아라카와 화학 제조, 슈퍼에스테르 E-865NT, 연화점 160 ℃ 의 중합 로진에스테르의 수분산액) 을 고형분에 30 부 첨가하였다. 또한, pH 조정제로서의 10 % 암모니아수 및 증점제로서의 폴리아크릴산 (불휘발분 36 % 의 수용액) 을 사용하여, pH 를 약 7.5, 점도를 약 9 Pa·s 로 조정함으로써, 에멀션형 점착제 조성물 E-2 를 조제하였다.Per 100 parts of the solid content of the aqueous dispersion of the acrylic polymer obtained in the prepar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1, a tackifying resin emulsion (manufactured by Arakawa Chemicals, Superester E-865NT, an aqueous dispersion of a polymerized rosin ester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60°C) is 30 to the solid content. Was added. In addition, by using 10% aqueous ammonia as a pH adjuster and polyacrylic acid (a 36% nonvolatile aqueous solution) as a thickener, adjusting the pH to about 7.5 and the viscosity to about 9 Pa·s to prepare an emulsion-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2. I did.

<점착 시트의 제작 (1)><Production of adhesive sheet (1)>

(예 1)(Example 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F#38) 에 점착제 조성물 U-1 을 도포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2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E#38) 를 씌워 공기를 차단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두께 130 ㎛ 의 점착제층 B1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점착제층 B1 을 덮는 박리 필름 R2 를 박리하고, 코로나 처리된 두께 7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PET 필름 (지지체) 과 점착제층 B1 과 박리 필름 R1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시트를 얻었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1 was applied to a 38 µm-thick release film R1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in which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is the release side, and the thickness 38 that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is the release side. A µm release film R2 (Mitsubishi Resin Co., Ltd., MRE#38) was covered to block air,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and cured to form a 130 µm-thick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1. Subsequently, the release film R2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1 is peeled off, and the PET film (suppor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1 and the release film R1 are laminated in this order by bonding the corona-tre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with a thickness of 75 μm. Obtained a laminated sheet.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F#38) 에 점착제 조성물 E-1 을 도포하고, 120 ℃ 에서 3 분간 건조시켜, 두께 20 ㎛ 의 점착제층 A1 을 형성하였다. 상기 적층 시트의 점착제층 B1 을 덮는 박리 필름 R1 을 박리하고, 여기에 점착제층 A1 을 첩합함으로써, 점착제층 B1 및 점착제층 A1 이 직접 접하여 적층된 2 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그 점착제층의 B1 층측의 표면에 PET 필름 (지지체) 이 접합된 구성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 점착 시트의 A1 층측의 표면은, 점착제층 A1 의 형성에 사용한 박리 필름 R1 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1 was applied to the release film R1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and dried at 120° C. for 3 minutes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By peeling off the release film R1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1 of the laminated sheet, and bo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there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1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directly contact each other to include a two-lay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ET film (support) wa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B1 layer side was obtained.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A1 layer of this PSA sheet is protected by the release film R1 used for formation of the PSA layer A1.

(예 2)(Example 2)

점착제 조성물 E-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E-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본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Except having used the adhesive composition E-2 instea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E-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the adhesive sheet concerning this example.

(예 3)(Example 3)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F#38) 에 점착제 조성물 S-2 를 도포하고, 130 ℃ 에서 5 분간 건조시켜, 두께 50 ㎛ 의 점착제층 B3 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 B3 에, 코로나 처리된 두께 75 ㎛ 의 PET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PET 필름 (지지체) 과 점착제층 B3 과 박리 필름 R1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시트를 얻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2 was applied to the release film R1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and dried at 130° C. for 5 minutes to form a 50-µm-thick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A laminated sheet in which the PET film (suppor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and the release film R1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was obtained by bonding a corona-treated PET film with a thickness of 75 µm to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상기 적층 시트의 점착제층 B3 을 덮는 박리 필름 R1 을 박리하고,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필름 R1 의 박리면 상에 형성한 두께 20 ㎛ 의 점착제층 A1 을 첩합함으로써, 점착제층 B3 및 점착제층 A1 이 직접 접하여 적층된 2 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그 점착제층의 B3 층측의 표면에 PET 필름 (지지체) 이 접합된 구성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The release film R1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of the laminated sheet was peeled off,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having a thickness of 20 µm formed on the release surface of the release film R1 was bond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here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two-laye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directly contacted and laminated was included, and a PET film (support) was bonded to the surface on the B3 lay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예 4)(Example 4)

점착제 조성물 E-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S-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본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Except having used the adhesive composition S-1 instea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E-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the adhesive sheet which concerns on this example.

(예 5)(Example 5)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F#38) 에 점착제 조성물 U-1 을 도포하고, 박리 필름 R2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E#38) 를 씌워 공기를 차단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두께 150 ㎛ 의 점착제층 B5 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점착제층 B5 를 덮는 박리 필름 R2 를 박리하고, 코로나 처리된 두께 7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PET 필름 (지지체) 과 점착제층과 박리 필름 R1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시트를 얻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1 was applied to the release film R1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and the release film R2 (Mitsubishi Resin Co., Ltd., MRE#38) was covered to block air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cure it. A µm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5 was formed. Subsequently, the release film R2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5 was peeled off, and a 75 μm-thick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was bonded to each other, whereby the PET film (suppor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release film R1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A laminated sheet was obtained.

(예 6)(Example 6)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F#38) 에 점착제 조성물 S-2 를 도포하고, 130 ℃ 에서 5 분간 건조시켜, 두께 50 ㎛ 의 점착제층 B3 을 형성하였다. 박리 필름 R2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E#38) 에 점착제 조성물 S-2 를 도포하고, 130 ℃ 에서 5 분간 건조시켜, 두께 50 ㎛ 의 점착제층 B6 을 형성하였다. 박리 필름 R1 상의 점착제층 B3 에 부직포 (다이후쿠 제지 주식회사, SP-14K) 를 첩합하고, 그 부직포의 반대면에 박리 필름 R2 상의 점착제층 B6 을 첩합함으로써, 점착제층 B3 과 점착제층 B6 이 중간층으로서의 부직포를 개재하여 적층된 구성의 양면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2 was applied to the release film R1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and dried at 130° C. for 5 minutes to form a 50-µm-thick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2 was applied to the release film R2 (Mitsubishi Resin Co., Ltd., MRE#38), and dried at 130° C. for 5 minutes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6 having a thickness of 50 μm. By bonding a nonwoven fabric (Daifuku Paper Co., Ltd., SP-14K)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on the release film R1, and bo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6 on the release film R2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3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6 serve as intermediate layer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laminated configuration was produced through a nonwoven fabric.

상기 양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 B6 을 덮는 박리 필름 R2 를 박리하고, 이 점착제층 B6 에, 코로나 처리된 두께 75 ㎛ 의 PET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PET 필름 (지지체), 점착제층 B6, 부직포, 점착제층 B3 및 박리 필름 R1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시트를 얻었다.The release film R2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6 of th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is peeled off, and a corona-treated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75 μm is bond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6, thereby making a PET film (support), an adhesive layer B6, a nonwoven fabric, and an adhesive layer. B3 and release film R1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to obtain a laminated sheet.

(예 7)(Example 7)

1 리터의 3 구 플라스크에,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토아 합성, 아로닉스 M-5300) 45 부, BA 50 부, 스티렌술폰산나트륨 5 부, 수산화칼륨 8.8 부, 물 96 부, 메탄올 144 부, AIBN 0.175 부를 투입하여 혼합하고, 질소 가스 기류하에 있어서 60 ℃ 에서 5 시간 반응시켜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100 부에 대하여, 수용성 가소제 (산요 화성사 제조의 상품명 「산닉스 SP750」 20 부와, 가교제로서 중합도 약 9 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나가세 화학, EX-830) 0.2 부를 배합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 P-1 을 조제하였다.In a 1 liter three-necked flask, 45 parts of caprolactone acrylate (Toa Synthesis, Aronix M-5300), 50 parts of BA, 5 parts of sodium styrene sulfonate, 8.8 parts of potassium hydroxide, 96 parts of water, 144 parts of methanol, AIBN 0.175 Part was added, mixed, and reacted at 60° C. for 5 hours under a nitrogen gas stream to obtain an acrylic polymer solution. In this solution,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the acrylic polymer, 20 parts of a water-soluble plasticizer (trade name "Sanix SP750" manufactured by Sanyo Chemical Co., Ltd., and a diglycidyl ether of polyethylene glycol having a polymerization degree of about 9 as a crosslinking agent (Nagase Chemical, EX- 830) 0.2 part was blended, and it mixed uniformly,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P-1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E-1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P-1 을 사용함으로써 수팽윤성의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본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Except having formed the water-swellable adhesive layer by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P-1 in place of the adhesive composition E-1,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nd produced the adhesive sheet concerning this example.

(예 8)(Example 8)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PET 필름 (지지체) 과 점착제층 B1 과 박리 필름 R1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시트의 점착제층 B1 을 덮는 박리 필름 R1 을 박리하고, 여기에 시판되는 수용성 양면 점착 테이프 (클로버 주식회사 제조) 를 첩합함으로써, 본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laminated sheet in which a PET film (support), an adhesive layer B1, and a release film R1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was obtained. The peeling film R1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1 of this laminated sheet was peeled off,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water-solubl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nufactured by Clover Co., Ltd.) was bonded thereto to prepa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성능 평가 (1)><Performance evaluation (1)>

예 1 ∼ 예 8 에 의해 얻어진 점착 시트에 대하여, A 층측의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을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피착체로는, 알칼리 유리판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 플로트법으로 제작, 두께 1.35 ㎜, 청판 연마품, 점착 시트를 첩합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 : 8 도) 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With respect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obtained in Examples 1 to 8, the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on the layer A side we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As the adherend, an alkali glass plate (manufactured by Matsunami Glass Industry Co., Ltd.,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thickness 1.35 mm, a blue plate polishing product, and a contact angle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on the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sheet is bonded: 8 degrees) was used. From the obtained results,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and the water peeling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were calculated. Table 1 shows the results.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1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 1 ∼ 예 5 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음으로써,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내수 신뢰성도 우수하였다. 예 1 ∼ 3 에서는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에 대하여, 예 6 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물에 의한 박리가 곤란하였다. 또, 예 7, 8 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내수 신뢰성이 낮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 7 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30 분간의 물 침지의 도중에 시험편의 전체가 피착체로부터 자연스럽게 박리되고 부상하여, 물로부터 끌어올려 박리 강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표 1 에서는 예 7 의 내수 점착력 (N1) 을 편의상 0 N/10 ㎜ 로 표시하고 있다. 예 8 에 관련된 점착 시트에 있어서도, 상기 30 분간의 물 침지에 의해 시험편의 끝으로부터 일부에 피착체로부터의 들뜸이 발생되어 있었다. 또, 예 7 에 관련된 점착 시트가 물 침지에 의해 자연스럽게 박리된 후의 피착체 표면 및 예 8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내수 점착력 (N1) 의 측정 후의 피착체 표면에서는, 풀 잔류가 관찰되었다. 한편, 예 1 ∼ 예 6 에 관련된 점착 시트에서는, 내수 점착력 (N1) 의 측정 및 물 박리력 (N2) 의 측정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시험편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 있어서 풀 잔류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구체적인 수치는 나타내지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 U-1, U-2, S-1, S-2, E-1, E-2 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각각은, 모두,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인 것이 확인되어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s 1 to 5 has a low water-resistance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removal adhesion reduction rate, so that it can be easily peeled from an adherend using a small amount of water, and The reliability was also excellent. In Examples 1 to 3, particularly favorable results were obtained.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6 was difficult to peel with water.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7 and 8 had low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7, the entire test piece naturally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and floated in the middle of water immersion for 30 minutes, pulled up from water, and the peel strength could not be measured. Therefore, in Table 1,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of Example 7 is indicated as 0 N/10 mm for convenience. Also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8, lifting from the adherend occurred from the tip to a part of the test piece by the water immersion for 30 minutes. In addition, on the adherend surface aft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7 was naturally peeled off by water immersion, and on the adherend surface after measurement of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8, residue of glue was observ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no glue residue was observed on the adherend surface after peeling of the test piece in either of the measurement of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and the measurement of the water peeling force (N2). 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numerical values are not shown, eac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s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U-1, U-2, S-1, S-2, E-1, and E-2 is both water-insoluble and non-water swellable. Has been confirmed.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2)><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2)>

(점착제 조성물 B-1)(Adhesive composition B-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모노머 성분으로서 BA 64.5 부, CHA 6 부, NVP 9.6 부, ISTA 5 부 및 4HBA 14.9 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α-티오글리세롤 0.07 부, 중합 용매로서 아세트산에틸 122 부를 주입하고, 열 중합 개시제로서 AIBN 0.2 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용액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Mw 가 60 만인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In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cooling tube, a nitrogen introduction tube, a thermometer and a stirring device, as a monomer component, BA 64.5 parts, CHA 6 parts, NVP 9.6 parts, ISTA 5 parts and 4HBA 14.9 parts, and α-thioglycerol 0.07 as a chain transfer agent. Part, 122 parts of ethyl acetate were injected as a polymerization solvent, 0.2 parts of AIBN was added 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solut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in a nitrogen atmosphere to obtain a solution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having an Mw of 600,000.

상기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그 용액의 조제에 사용한 모노머 성분 100 부당,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트리메틸올프로판/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케네이트 D-110N, 고형분 농도 75 질량%) 을 고형분 기준으로 0.09 부, 아크릴계 올리고머 0.4 부, 가교 촉진제로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도쿄 파인케미컬사 제조, 엔비라이자 OL-1) 0.02 부,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 3 부, 다관능 모노머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PHA) 2.7 부, 광 중합 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 184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22 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 B-1 을 조제하였다.To the acrylic polymer solution obtained above, per 100 parts of the monomer component used to prepare the solution,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trimethylolpropane/xylylenediisocyanate adduct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Co., Ltd., Takenate D-110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75% by mass) ) 0.09 parts based on solid content, 0.4 parts of acrylic oligomer, 0.02 parts of dioctyltin dilaurate (manufactured by Tokyo Fine Chemicals, Enviraiza OL-1) as a crosslinking accelerator, 3 parts of acetylacetone as a crosslinking retardant, polyfunctional monomer 2.7 parts of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0.22 parts of Irgacure 184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Co., Ltd.) were added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the mixture was uniformly mixed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1.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로는, 이하의 방법으로 합성한 것을 사용하였다.As the acrylic oligomer, one synthesized by the following method was used.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합성][Synthesis of acrylic oligomer]

톨루엔 100 부,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DCPMA) (상품명 : FA-513M, 히타치 화성 공업 주식회사 제조) 60 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40 부, 및 연쇄 이동제로서 α-티오글리세롤 3.5 부를 4 구 플라스크에 투입하였다. 그리고, 70 ℃ 에서 질소 분위기하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열 중합 개시제로서 AIBN 0.2 부를 투입하고, 70 ℃ 에서 2 시간 반응시키고, 계속해서 80 ℃ 에서 2 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130 ℃ 의 온도 분위기하에 투입하고, 톨루엔, 연쇄 이동제, 및 미반응 모노머를 건조 제거함으로써, 고형상의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얻었다. 이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Tg 는 144 ℃ 이고, Mw 는 4300 이었다.Toluene 100 parts,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DCPMA) (trade name: FA-513M, manufactured by Hitachi Chemical Industries, Ltd.) 60 parts, methyl methacrylate (MMA) 40 parts, and α-thioglycerol 3.5 parts as a chain transfer agent 4 Into the old flask. And after stirring at 70 degreeC in nitrogen atmosphere for 1 hour, 0.2 part of AIBN was put 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it was made to react at 70 degreeC for 2 hours, and it was made to react at 80 degreeC for 2 hours. Thereafter, the reaction solution was put in a temperature atmosphere of 130°C, and toluene, a chain transfer agent, and an unreacted monomer were dried and removed to obtain a solid acrylic oligomer. Tg of this acrylic oligomer was 144°C, and Mw was 4300.

<점착 시트의 제작 (2)><Production of adhesive sheet (2)>

(예 9)(Example 9)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F#38) 에 점착제 조성물 B-1 을 도포하고, 135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두께 130 ㎛ 의, 광 가교성을 갖는 점착제층 B9 를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 B9 에, 코로나 처리된 두께 75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PET 필름 (지지체) 과 점착제층 B9 와 박리 필름 R1 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 시트를 얻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1 was applied to a 38 µm-thick release film R1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in which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is a release surface, and dried at 135°C for 2 minutes, and a thickness of 130 µ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9 having photocrosslinking property was formed. A laminated sheet in which a PET film (suppor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9, and a release film R1 were laminated in this order was obtained by bonding a corona-tre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with a thickness of 75 μm to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9.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MRF#38) 에 점착제 조성물 E-1 을 도포하고, 120 ℃ 에서 3 분간 건조시켜, 두께 20 ㎛ 의 점착제층 A1 을 형성하였다. 상기 적층 시트의 점착제층 B9 를 덮는 박리 필름 R1 을 박리하고, 여기에 점착제층 A1 을 첩합함으로써, 상기 PET 필름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 B9 와 점착제층 A1 이 이 순서로 직접 접하여 적층된 2 층 구조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 시트의 A1 층측의 표면은, 점착제층 A1 의 형성에 사용한 박리 필름 R1 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1 was applied to the release film R1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and dried at 120° C. for 3 minutes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By peeling the release film R1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9 of the laminated sheet, and bon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thereto, the two-layered adhesive layer B9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1 directly contact each other in this order on the PET film (suppor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structure was formed.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A1 layer of this PSA sheet is protected by the release film R1 used for formation of the PSA layer A1.

<성능 평가 (2)><Performance evaluation (2)>

예 9 에 의해 얻어진 점착 시트에 대하여, A 층측의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은, 피착체인 알칼리 유리판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 플로트법으로 제작, 두께 1.35 ㎜, 청판 연마품, 점착 시트를 첩합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 : 8 도) 에 점착 시트를 상기의 방법으로 첩부하고, 23 ℃, 50 % RH 의 환경하에서 상기 알칼리 유리판을 개재하여 광 조사를 실시한 후, 상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광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300 ㎽/㎠) 를 사용하여, 적산 광량 300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또한, 점착력 (N0, N1, N2) 의 어느 측정에 있어서도, 시험편 박리 후의 피착체 표면에 있어서 풀 잔류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 구체적인 수치는 나타내지 않지만, 광 조사 후의 점착제층 B9 는,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인 것이 확인되어 있다.About the adhesive sheet obtained by Example 9, the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 resistance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on the A layer side were measured. Each measurement was carried out by placing an adhesive sheet on an alkali glass plate (manufactured by Matsunami Glass Industries, Ltd.,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thickness 1.35 mm, a blue plate polishing product, and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sheet is bonded to distilled water: 8 degrees) as an adherend. After sticking with and performing light irradiation through the said alkali glass plate in an environment of 23 degreeC and 50% RH, it implemented by the said method. The light irradiation wa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ith a cumulative amount of light of 3000 mJ/cm 2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300 mJ/cm 2 ). From the obtained results,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and the water peeling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In addition, in any measurement of the adhesive force (N0, N1, N2), no glue residue was observed on the adherend surface after peeling of the test piece. In addition, although a specific numerical value is not shown, it is confirmed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9 after light irradiation is water-insoluble and non-water-swellable.

<점착 시트 부착 부재의 제작 및 평가><Production and evaluation of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예 10)(Example 10)

시판되는 아크릴판 (미츠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크릴라이트판 (품번 001)」, 두께 2 ㎜ × 폭 200 ㎜ × 길이 300 ㎜) 을, 특별히 표면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본 예에 있어서의 부재 (피착체) 로서 사용하였다. 이 아크릴판의 표면 (접합면) 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한 후, 그 접촉각의 측정으로부터 30 분 이내에, 상기 표면에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A 층측을 첩부하여, 본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점착 시트 부착 부재에 대하여, 알칼리 유리판 대신에 상기 아크릴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서술한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피착체에 대한 상태 점착력, 내수 점착력 및 물 박리력을 측정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A commercially available acrylic plate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 Ltd., brand name "acrylic plate (part number 001)", thickness 2 mm × width 200 mm × length 300 mm) was not specifically subjected to hydrophilization treatment on the surface, and in this example It was used as a member (adherence) of. After measuring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bonding surface) of this acrylic plate with distilled water, within 30 minutes from the measurement of the contact angle, the A lay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was affixed to the surfac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attachment member was produced. For this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asurement of the above-described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 resistant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except that the acrylic plate was used instead of the alkali glass plate, in Example 9 The state adhesive force, water resistance adhesive force, and water peel force of the relat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were measured, and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and the water peel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예 11 ∼ 16)(Examples 11 to 16)

예 10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아크릴판의 접합면에, 상압 플라즈마 표면 처리 장치 (세키스이 화학 공업 제조, AP-T05) 를 사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은, 플라즈마 취출구로부터 아크릴판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4 ㎜ 로 하고, 질소 유량을 60 L/분, 펄스폭을 5 ㎲, 전압을 150 V 로 고정시키고, 아크릴판의 반송 속도를 0.2 ∼ 0.3 m/분의 범위에서, 주파수를 10 Hz ∼ 20 kHz 의 범위에서 변화시킴으로써, 표 2 에 나타내는 플라즈마 처리 에너지 [Ws/㎠] 로 처리된 접합면을 갖는 아크릴판을 얻었다. 플라즈마 처리 후, 30 분 이내에 각 아크릴판의 접합면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그 접촉각 측정으로부터 30 분 이내에, 각 아크릴판의 접합면에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A 층측을 첩부하여, 예 11 ∼ 16 에 관련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들 점착 시트 부착 부재에 대하여, 예 10 의 점착 시트 부착 부재와 동일하게,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상태 점착력, 내수 점착력 및 물 박리력을 측정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Plasma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same acrylic plate used in Example 10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Industries, AP-T05). In the plasma treatment conditions, the distance from the plasma outlet to the surface of the acrylic plate was 4 mm, the nitrogen flow rate was 60 L/min, the pulse width was 5 μs, the voltage was fixed at 150 V, and the conveying speed of the acrylic plate was 0.2 By changing the frequency in the range of -0.3 m/min, the frequency in the range of 10 Hz-20 kHz, the acrylic plate which has the bonding surface treated with the plasma treatment energy [Ws/cm<2>] shown in Table 2 was obtained. After plasma treatment, the contact angle of the bonding surface of each acrylic plate was measured within 30 minutes. Within 30 minutes from the measurement of the contact angle, the A lay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was affixed to the bonding surface of each acrylic plate to prepare a member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s 11 to 16. For thes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s, in the same manner as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of Example 10, the state adhesive force, water adhesive force, and water peel force of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were measured, and the water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and the water peel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were calculated.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예 17)(Example 17)

두께 75 ㎛ 의 PET 필름 (도레이사 제조, 루미라 S10, 두께 75 ㎛) 을, 특별히 표면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본 예에 있어서의 부재 (피착체) 로서 사용하였다. 이 PET 필름의 표면 (접합면) 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한 후, 그 접촉각의 측정으로부터 30 분 이내에, 상기 표면에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A 층측을 첩부하여, 본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를 제작하였다. 조작의 편의상, 상기 PET 필름은,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의 알칼리 유리판 (플로트법으로 제작, 두께 1.35 ㎜, 청판 연마품) 의 표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 (닛토 전공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No.5000」) 로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이 점착 시트 부착 부재에 대하여, 알칼리 유리판 대신에 상기 PET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서술한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피착체에 대한 상태 점착력, 내수 점착력 및 물 박리력을 측정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75 µm (manufactured by Toray Corporation, Lumira S10, 75 µm in thickness) was used as a member (adherent) in this example without performing a hydrophilic treatment on the surface in particular. After measuring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bonding surface) of this PET film with distilled water, within 30 minutes from the measurement of the contact angle, the A lay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was affixed to the surfac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attachment member was produced.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PET film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manufactured by Nitto Electric Co., Ltd., brand name "No.5000") on the surface of an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thickness 1.35 mm, blue plate polishing product) manufactured by Matsunami Glass Industry Co., Ltd. It was fixed to and used. With respect to this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asurement of the above-described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 resistance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except that the PET film was used instead of the alkali glass plate, in Example 9 The state adhesive force, water resistance adhesive force, and water peel force of the relat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were measured, and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and the water peel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예 18 ∼ 19)(Examples 18 to 19)

예 17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PET 필름의 접합면에, 와이어 바 #5 (rds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친수 코팅제를 도포한 후, 120 ℃ 에서 2 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0.2 ㎛ ∼ 0.5 ㎛ 의 친수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친수 코팅제로는, 예 18 에서는 콜코트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콜코트 PC-301」 (표 2 에서는 「PC-301」로 표시), 예 19 에서는 동사 제조의 상품명 「콜코트 N-103X」 (표 2 에서는 「N-103X」로 표시) 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친수화 표면을 갖는 PET 필름을, 예 18, 19 에 있어서의 부재 (피착체) 로서 사용하였다.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예 17 과 동일하게 하여, 예 18, 19 에 관련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들 점착 시트 부착 부재에 대하여, 예 17 의 점착 시트 부착 부재와 동일하게,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상태 점착력, 내수 점착력 및 물 박리력을 측정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same PET film as used in Example 17, a hydrophilic coating agent was applied using a wire bar #5 (manufactured by rds), and then dried at 120°C for 2 minutes to obtain a hydrophilic co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 µm to 0.5 µm. Formed. As the hydrophilic coating agent, in Example 18, the brand name ``Colcoat PC-301'' (indicated by ``PC-301'' in Table 2), and in Example 19, the brand name ``Colcoat N-103X'' manufactured by the company ( In Table 2, "N-103X") was used. The PET film having a hydrophilic surface thus obtained was used as a member (adherent) in Examples 18 and 19. About other points,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7, and produced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concerning Examples 18 and 19. With respect to thes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s, in the same manner as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of Example 17, the state adhesive force, water adhesive force, and water peel force of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were measured, and the water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and the water peel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were calculated.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예 20)(Example 20)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 두께 1.35 ㎜, 청판 연마품, 표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 : 8 도) 을 준비하였다. 이 알칼리 유리판의 표면에, 상압 플라즈마 표면 처리 장치 (세키스이 화학 공업 제조, AP-T05) 에 의해, 표 2 에 나타내는 플라즈마 처리 에너지 [Ws/㎠] 로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였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 (접합면) 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한 후, 그 접촉각의 측정으로부터 30 분 이내에, 상기 표면에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A 층측을 첩부하여, 본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 부착 부재를 제작하였다. 이 점착 시트 부착 부재에 대하여, 미처리의 알칼리 유리판 대신에 상기 플라즈마 처리 후의 알칼리 유리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서술한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의 피착체에 대한 상태 점착력, 내수 점착력 및 물 박리력을 측정하고,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An alkali glass plate manufactured by the float method (manufactured by Matsunami Glass Industries, Ltd., thickness 1.35 mm, a blue plate polishing product, and a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to distilled water: 8 degrees) was prepared. Plasma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is alkali glass plate with plasma treatment energy [Ws/cm 2] shown in Table 2 by an atmospheric pressure plasma surface treatment apparatus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Industries, AP-T05). After measuring the contact angle of the plasma-treated surface (bonding surface) with distilled water, within 30 minutes from the measurement of the contact angle, the A layer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was affixed to the surface,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this example The attachment member was produced. For this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measurement of the above-described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 resistance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except that the alkali glass plate after plasma treatment was used instead of the untreated alkali glass plate. Then, the state adhesive force, water adhesive force, and water peel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to the adherend were measured, and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and the water peel adhesive force decrease rate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2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 9 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음으로써, 양호한 물 박리성 및 내수 신뢰성을 나타냈다. 또,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예 9 의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제작한 예 10 ∼ 20 의 점착 시트 부착 부재에 있어서, 부재 (피착체) 의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의 접촉각이 작아지면, 점착 시트의 물 박리성은 대체로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 9 exhibited good water-removability and water-resistance reliability by having a low water-repelle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and a high water-repellent adhesive power reduction ratio.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shown in Table 2, in the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of Examples 10 to 20 produced using the adhesive sheet of Example 9, when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of the member (adherent) decreases, the adhesive sheet It can be seen that the water peeling property of is generally improved.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3)><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3)>

(점착제 조성물 B-2)(Adhesive composition B-2)

점착제 조성물 B-1 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에, 그 용액의 조제에 사용한 모노머 성분 100 부당, 실란 커플링제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상품명 : KBM-403,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0.33 부, 물 친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A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HLB 13.3, 상품명 : 레오돌 TW-L106, 카오사 제조) 0.1 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트리메틸올프로판/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타케네이트 D-110N, 고형분 농도 75 질량%) 을 고형분 기준으로 0.09 부, 아크릴계 올리고머 0.4 부, 가교 촉진제로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도쿄 파인케미컬사 제조, 엔비라이자 OL-1) 0.02 부, 가교 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 3 부, 다관능 모노머로서 DPHA 2.7 부, 광 중합 개시제로서 이르가큐어 184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조) 0.22 부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용제형의 점착제 조성물 B-2 를 조제하였다.To the acrylic polymer solution obtain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1, per 100 parts of the monomer component used to prepare the solution,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as a silane coupling agent (trade name: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0.33 Parts, nonionic surfactant A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HLB 13.3, brand name: Leodol TW-L106, manufactured by Kao) 0.1 parts,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trimethylolpropane/xylylenedi) as a water affinity agent An isocyanate adduct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 Co., Ltd., Takenate D-110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75% by mass) based on solid content 0.09 parts, acrylic oligomer 0.4 parts, dioctyl tin dilaurate as a crosslinking accelerator (manufactured by Tokyo Fine Chemical, Envy Liza OL-1) 0.02 parts, 3 parts of acetylacetone as a crosslinking retarder, 2.7 parts of DPHA as a polyfunctional monomer, 0.22 parts of Irgacure 184 (manufactured by Chiba Specialty Chemicals) as a photoinitiator were added, and mixed uniformly, A solvent-type adhesive composition B-2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B-3)(Adhesive composition B-3)

물 친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A 0.1 부 대신에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 상품명 : 에마르 10G, 카오사 제조) 0.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B-2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조성물 B-3 을 조제하였다.As the water affinity agen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2, except that 0.1 part of an anionic surfactant (sodium lauryl sulfate, brand name: Emar 10G, manufactured by Kao Corporation) was used instead of 0.1 part of the nonionic surfactant 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3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B-4)(Adhesive composition B-4)

물 친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A 0.1 부 대신에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F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HLB 12.1, 상품명 : 에마르겐 108, 카오사 제조) 0.05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B-2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조성물 B-4 를 조제하였다.As a water affinity agent, except for using 0.05 parts of nonionic surfactant F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HLB 12.1, brand name: Emargen 108, manufactured by Kao Corporation) instead of 0.1 part of nonionic surfactant A, adhesive composition B- It carried out similarly to 2, and prepared the adhesive composition B-4.

(점착제 조성물 B-5)(Adhesive composition B-5)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A 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B-2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조성물 B-5 를 조제하였다.Except having not used the nonionic surfactant A, it carried out similarly to the adhesive composition B-2, and prepared the adhesive composition B-5.

(점착제 조성물 B-6)(Adhesive composition B-6)

점착제 조성물 U-1 에, 그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모노머 시럽 100 부당, 물 친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G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HLB 16.7, 상품명 : 레오돌 TW-L120, 카오사 제조) 0.15 부를 추가로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 B-6 을 조제하였다.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U-1, per 100 parts of the monomer syrup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as a water affinity nonionic surfactant G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HLB 16.7, brand name: Leodol TW-L120, Kao Corporation Production) 0.15 part was further added, and it mixed uniformly, and the ultraviolet-curable adhesive composition B-6 was prepared.

(점착제 조성물 B-7)(Adhesive composition B-7)

물 친화제로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G 0.15 부 대신에 PEG400 (폴리에틸렌글리콜, 평균 분자량 360 ∼ 440) 0.25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B-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조성물 B-7 을 조제하였다.As the water affinity agent,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7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6, except that 0.25 parts of PEG400 (polyethylene glycol, average molecular weight 360 to 440) was used instead of 0.15 parts of the nonionic surfactant G.

(점착제 조성물 B-8)(Adhesive composition B-8)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G 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점착제 조성물 B-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 조성물 B-8 을 조제하였다.Except having not used the nonionic surfactant G, it carried out similarly to the adhesive composition B-6, and prepared the adhesive composition B-8.

<점착 시트의 제작 (3)><Production of adhesive sheet (3)>

(예 21)(Example 21)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사 제조, MRF#38) 에, 상기에서 얻은 점착제 조성물 B-2 를 도포하고, 135 ℃ 에서 2 분간 건조시켜, 두께 50 ㎛ 의, 광 가교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 점착제층에, 코로나 처리된 두께 50 ㎛ 의 PET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상기 PET 필름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지지체 부착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 점착 시트의 피착체에 대한 첩부면 (점착제층의, 지지체에 첩합된 측과는 반대측의 표면) 은, 박리 필름 R1 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2 obtained above was applied to a 38 µm-thick release film R1 (manufactured by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in which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is a release surface, and dried at 135°C for 2 minut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µm and having photocrosslinking property was formed. By attaching a 50 µm-thick PET film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to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a suppor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PET film (support) was obtained. The adhesion surface of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attached to the support) is protected by the release film R1.

(예 22 ∼ 24)(Examples 22 to 24)

점착제 조성물 B-2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B-3 ∼ B-5 를 각각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각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Except having used each of the adhesive compositions B-3 to B-5 instea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B-2,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21, and produced the adhesive sheet concerning each example.

(예 25)(Example 25)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1 (미츠비시 수지사 제조, MRF#38) 에, 상기에서 얻은 점착제 조성물 B-6 을 도포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편면이 박리면으로 되어 있는 두께 38 ㎛ 의 박리 필름 R2 (미츠비시 수지사 제조, MRE#38) 를 씌워 공기를 차단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두께 50 ㎛ 의, 광 가교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제층을 덮는 박리 필름 R2 를 박리하고, 코로나 처리된 두께 50 ㎛ 의 PET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상기 PET 필름 (지지체) 상에 점착제층을 갖는 지지체 부착 점착 시트를 얻었다. 이 점착 시트의 피착체에 대한 첩부면은, 박리 필름 R1 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6 obtained above was applied to a 38 µm-thick release film R1 (manufactured by Mitsubishi Resin Co., Ltd., MRF#38) in which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is the release side, and one side of the polyester film is the release side. A 38 µm-thick release film R2 (manufactured by Mitsubishi Resin Co., Ltd., MRE#38) was covered to block air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to cure to form a 50 µm-thick, photo-crosslink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ubsequently, the release film R2 cove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peeled off, and a 50 μm-thick PET film subjected to corona treatment was bonded to each other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PET film (support). The adhesion surface of thi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the adherend is protected by the release film R1.

(예 26, 예 27)(Example 26, Example 27)

점착제 조성물 B-6 대신에 점착제 조성물 B-7, B-8 을 각각 사용한 것 이외에는 예 25 와 동일하게 하여, 각 예에 관련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Except having used each of the adhesive compositions B-7 and B-8 instea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B-6,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25, and produced the adhesive sheet concerning each example.

<성능 평가 (3)><Performance evaluation (3)>

예 21 ∼ 27 에 의해 얻어진 점착 시트의 상태 점착력 (N0), 내수 점착력 (N1) 및 물 박리력 (N2) 을, 상기 서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각 측정은, 피착체인 알칼리 유리판 (마츠나미 유리 공업사 제조, 플로트법으로 제작, 두께 1.35 ㎜, 청판 연마품, 점착 시트를 첩합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 : 8 도) 에 점착 시트를 상기의 방법으로 첩부하고, 23 ℃, 50 % RH 의 환경하에서 상기 알칼리 유리판을 개재하여 광 조사를 실시한 후, 상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광 조사는, 고압 수은 램프 (300 ㎽/㎠) 를 사용하여, 적산 광량 300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로부터, 내수 점착력 저하율 및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The state adhesive force (N0), water resistance adhesive force (N1), and water peeling force (N2)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obtained in Examples 21 to 27 we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Each measurement was carried out by placing an adhesive sheet on an alkali glass plate (manufactured by Matsunami Glass Industries, Ltd.,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thickness 1.35 mm, a blue plate polishing product, and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adhesive sheet is bonded to distilled water: 8 degrees) as an adherend. After sticking with and performing light irradiation through the said alkali glass plate in an environment of 23 degreeC and 50% RH, it implemented by the said method. The light irradiation was per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ith a cumulative amount of light of 3000 mJ/cm 2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300 mJ/cm 2 ). From the obtained results,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and the water peeling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io were calcul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3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3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 21 ∼ 27 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으며 또한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높음으로써, 소량의 물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내수 신뢰성도 우수하였다. 예 21 ∼ 23, 예 25 ∼ 26 에서는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구체적인 수치는 나타내지 않지만, 점착제 조성물 B-2 ∼ 8 로부터 형성된 점착제층의 각각은, 모두,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인 것이 확인되어 있다.As shown in Table 3,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Examples 21 to 27 has a low water-resistance reduction rate and a high water-removal adhesion reduction rate, so that it can be easily peeled from an adherend using a small amount of water, and water resistance reliability It was also excellent. In Examples 21 to 23 and Examples 25 to 26, particularly favorable results were obtained. In addition, although a specific numerical value is not shown, it was confirmed that each of the adhesive layers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s B-2 to 8 is both water-insoluble and non-water-swellable.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실험예 1, 3 에서 제작한 점착 시트 중 표 4 에 나타내는 것에 대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정하중 박리 시험을 실시하고, 건식 박리 거리 및 물 진입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예 1 에 대해서는, 증류수를 공급하고 나서 10 초 이내에 시험편의 끝까지 박리가 진행되어 그 시험편이 피착체로부터 낙하했기 때문에, 물 박리 거리를 「100 [㎜] 초과」라고 기재하였다. 표 4 에는, 실험예 1, 3 에 있어서 구해진 각 점착 시트의 내수 점착력 저하율을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produced in Experimental Examples 1 and 3, a static load peeling test was performed by the above method, and a dry peeling distance and a water entry distance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In Example 1, since the peeling proceeded to the end of the test piece within 10 seconds after supplying distilled water and the test piece fell from the adherend, the water peeling distance was described as "more than 100 [mm]". In Table 4,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reduction rate of each adhesive sheet obtained in Experimental Examples 1 and 3 is also shown.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4
Figure 112020092231676-pct00004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 1, 2, 21, 23 에 관련된 점착 시트는, 건식 박리 거리가 짧음으로써 계면에 대한 물의 공급 전에는 양호한 유지성을 나타내며, 또한 계면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용이하게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들 점착 시트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낮은 점에서, 내수 신뢰성도 우수하였다.As shown in Table 4,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according to Examples 1, 2, 21, and 23 exhibit good retention properties before supplying water to the interface because the dry peeling distance is short, and by supplying water to the interface, they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adherend. It was peelable. Thes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s were also excellent in water-resistance reliability because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was low.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불과하고,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pecific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ese are only an illustration and do not limit a clai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the claims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specific examples illustrated above.

1, 2 : 점착 시트
10 : 점착제층 (A 층)
10A : 일방의 표면 (점착면)
10B : 타방의 표면
20 : 지지체
20A : 제 1 면
20B : 제 2 면 (배면)
30 : 박리 라이너
50 :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
70 : 부재
80 : 알칼리 유리판 (피착체)
80A :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
82 : 시험편
82A : 점착면
822 : 일단
84 : 추
86 : 마이크로시린지
110 : 점착제층
110A : 일방의 표면 (점착면)
112 : A 층
114 : B 층
200 : 점착 시트 부착 부재
1, 2: adhesive sheet
10: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layer)
10A: One side surface (adhesive surface)
10B: the other surface
20: support
20A: first side
20B: 2nd side (rear)
30: release liner
50: adhesive sheet with release liner
70: absent
80: alkali glass plate (adherent)
80A: Surface with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for distilled water
82: test piece
82A: adhesive side
822: first
84: weight
86: micro syringe
110: adhesive layer
110A: One side surface (adhesive surface)
112: A floor
114: B floor
200: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Claims (20)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포함하고,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의 점착력 (N0) 이 2.0 N/10 ㎜ 이상이고,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물에 30 분간 침지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끌어올려 부착수를 닦아낸 후에 측정되는 내수 점착력 (N1) [N/10 ㎜] 과, 상기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1/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며, 또한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상기 피착체에 20 μL 의 증류수를 적하하고, 그 증류수를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피착체의 계면의 일단에 진입시킨 후, JIS Z0237 : 2009 의 10.4.1 방법 1 : 시험판에 대한 180° 박리 점착력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시험 온도 23 ℃ 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물 박리력 (N2) [N/10 ㎜] 과, 상기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2/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75 % 이상이고,
상기 A 층은,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또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이고,
상기 A 층은,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이고,
상기 A 층은,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40 중량% 이상은, 탄소 원자수 4 ∼ 20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고,
상기 A 층은, 계면 활성제, 친수성 가소제 및 수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물 친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상기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점착 시트.
As an adhesive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strength (N0)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of the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to distilled water is at least 2.0 N/10 mm,
The layer A side was affixed to the surface of the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distilled water, and 1 day at room temperature, immersed in water for 30 minutes, and then pulled up from water to remove the adhered water. From the water-resistant adhesive force (N1) [N/10 mm] measured after wiping off and the adhesive force (N0) [N/10 mm], the following equation: (1-(N1/N0)) × 100;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30% or less, and
The layer A side was affixed to the surface of the alkaline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with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a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20 μ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dropwise to the adherend, and the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above After entering the one end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nd, according to JIS Z0237:2009 10.4.1 Method 1: 180° peel adhesion to the test plate, specifically, using a tensile tester at a test temperature of 23°C. From the water peeling force (N2) [N/10 mm]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a tensile speed of 300 mm/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and the adhesive force (N0) [N/10 mm], the following equation: (1-(N2) /N0)) × 100; The water peeling adhesion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75% or more,
The layer A is a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 solvent 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layer A is water-insoluble and non-water swellable,
The layer A is compos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and 40% by weight or more of the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Ester,
The layer A contains one or two or more water affinity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rfactants, hydrophilic plasticizers, and water-soluble polymers,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is 0.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 시트로서,
상기 점착제층은, 그 점착제층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구성하는 A 층을 포함하고,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 물에 30 분간 침지하고, 이어서 물로부터 끌어올려 부착수를 닦아낸 후에 측정되는 내수 점착력 (N1) [N/10 ㎜] 과, 상기 알칼리 유리판의 상기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 1 일 후의 점착력 (N0) [N/10 ㎜] 으로부터, 다음 식 : (1 - (N1/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내수 점착력 저하율이 30 % 이하이며, 또한
하기의 정하중 박리 시험에 의해 측정한 건식 박리 거리가 0.5 ㎜ 이하이고, 물 진입 거리가 10 ㎜ 이상이고,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에서 1 일 후의 점착력 (N0) [N/10 ㎜] 과,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A 층측을 첩부하고 실온에서 1 일 후, 상기 피착체에 20 ㎕ 의 증류수를 적하하고, 그 증류수를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피착체의 계면의 일단에 진입시킨 후, JIS Z0237 : 2009 의 10.4.1 방법 1 : 시험판에 대한 180°박리 점착력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시험 온도 23 ℃ 에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300 ㎜/분, 박리 각도 180 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물 박리력 (N2) [N/10 ㎜] 로부터 , 다음 식 : (1 - (N2/N0)) × 100 ; 에 의해 산출되는 물 박리 점착력 저하율이 75 % 이상이고,
상기 A 층은,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또는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층이고,
상기 A 층은, 비수용성 또한 비수팽윤성이고,
상기 A 층은, 아크릴계 중합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40 중량% 이상은, 탄소 원자수 4 ∼ 20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고,
상기 A 층은, 계면 활성제, 친수성 가소제 및 수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물 친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상기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하인, 점착 시트.
[정하중 박리 시험]
측정 대상의 점착 시트를 폭 10 ㎜, 길이 150 ㎜ 의 장방형상으로 커트하여 시험편을 조제한다. 피착체로서의 플로트법으로 제작된 알칼리 유리판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 도 ∼ 10 도인 면에, 상기 시험편의 A 층측을 핸드 롤러로 첩합 (貼合) 하여 평가용 샘플로 한다. 이 평가용 샘플을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압력 5 atm, 온도 50 ℃ 의 조건에서 15 분간 처리한다.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평가용 샘플을 23 ℃, 50 % RH 의 환경에 1 일 유지한 후, 동 환경하에서,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으로부터 50 ㎜ 의 범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시켜 자유단으로 하고, 그 시험편이 첩부된 면이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피착체를 수평으로 고정시킨다. 이어서, 시험편의 상기 자유단에 100 g 의 추를 고정시키고, 그 추를 고정시키고 나서 1 분 후에 상기 시험편과 피착체의 계면에 20 μL 의 증류수를 공급한다. 상기 자유단에 추를 고정시키고 0 초 후부터 1 분 동안에 시험편의 피착체로부터의 박리가 진행된 거리를 계측하여, 건식 박리 거리로 한다. 상기 계면에 증류수를 공급하고 0 초 후부터 10 초 동안에 박리가 진행된 거리를 계측하여, 물 진입 거리로 한다.
As an adhesive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 layer A constituting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layer A side was affixed to the surface of the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distilled water, and 1 day at room temperature, immersed in water for 30 minutes, and then pulled up from water to remove the adhered water. From the water resistance (N1) [N/10 mm] measured after wiping off, and the adhesion (N0) [N/10 mm]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after affixing the layer A side to the surface of the alkali glass plate, the following equation: (1-(N1/N0)) x 100; The water-resistant adhesive strength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30% or less, and
The dry peeling distance measured by the following static load peeling test is 0.5 mm or less, and the water entry distance is 10 mm or more,
The adhesive strength (N0) [N/10 mm]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after attaching the layer A side to the surface of the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distilled water and as an adherend The layer A side was affixed to the side of the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distilled water, and after 1 day at room temperature, 20 µ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dropwise to the adherend, and the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the adhesive. After entering the one end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layer and the adherend, according to JIS Z0237: 2009 10.4.1 Method 1: 180° peeling adhesion to the test plate, specifically, tensile using a tensile tester at a test temperature of 23°C. From the water peeling force (N2) [N/10 mm]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a speed of 300 mm/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the following equation: (1-(N2/N0))×100; The water peeling adhesion reduction rate calculated by is 75% or more,
The layer A is a layer formed from a photocur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r a solvent typ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layer A is water-insoluble and non-water swellable,
The layer A is compos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and 40% by weight or more of the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20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Ester,
The layer A contains one or two or more water affinity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rfactants, hydrophilic plasticizers, and water-soluble polymers,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is 0.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Static load peeling tes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o be measured is cut into a rectangle having a width of 10 mm and a length of 150 mm to prepare a test piece. The side of the layer A of the test piece is bonded with a hand roller to a surface of an alkali glass plate produced by the float method as an adherend having a contact angle of 5 to 10 degree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to obtain a sample for evaluation. This sample for evaluation is put into an autoclave, and it processes for 15 minutes under the conditions of a pressure of 5 atm and a temperature of 50°C. After holding the sample for evaluation taken out from the autoclave in an environment of 23°C and 50% RH for 1 day, under the same environment, a range of 50 mm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st piece was peeled off from the adherend to form a free end, and The adherend is fixed horizontally by opening the side on which the test piece is affixed downward. Next, a 100 g weight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test piece, and 1 minute after the weight is fixed, 20 μL of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test piece and the adherend. The weight is fixed to the free end,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peeling of the test piece has progressed from the adherend of the test piece for 1 minute after 0 seconds is measured, and it is set as the dry peeling distance.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face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peeling has progressed from 0 seconds to 10 seconds is measured to be the water entry distan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친화제의 함유량은, 상기 A 층에 포함되는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미만인,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ent of the water affinity agent is 0.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contained in the layer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중 50 중량% 이상은 탄소 원자수 1 ∼ 20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인,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50% by weight or more of the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물을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은, 이하의 조건 :
(A) 탄소 원자수 6 ∼ 18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40 중량% 이상 포함한다 ; 및
(B) 탄소 원자수 4 ∼ 18 의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60 중량% 이상 포함한다 ;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the following conditions:
(A) 40% by weight or more of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n the ester terminal; And
(B) 60% by weight or more of an alkyl (meth)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8 carbon atoms at the ester terminal;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that satisfies any one 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 이상 200 ㎛ 이하인,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1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A 층의 배면측에 배치된 B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urther includes a layer B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layer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층은 상기 A 층의 배면에 직접 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점착 시트.
The method of claim 7,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herein the layer B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ayer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층의 두께는 20 ㎛ 이상인, 점착 시트.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ckness of the layer B is 20 μm or mor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 층의 두께는 5 ㎛ 이상 50 ㎛ 이하인, 점착 시트.
The method of claim 7,
The thickness of the layer A is 5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박리력 (N2) 가 3.0 N/10 ㎜ 이하인, 점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dhesive sheet having the water peeling force (N2) of 3.0 N/10 m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일방의 표면에 접합된 부재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 부착 부재.A member with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member bonded to the on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는 면의 증류수에 대한 접촉각이 50 도 이하인, 점착 시트 부착 부재.
The method of claim 12,
The member has an adhesive sheet attachment member having a contact angle of 5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피착체에 첩부된 점착 시트의 박리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 시트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점착 시트이며,
상기 피착체로부터의 상기 점착 시트의 박리전선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와 상기 점착 시트의 계면에 수성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박리전선의 이동에 추종하여 상기 수성 액체의 상기 계면에 대한 진입을 진행시키면서 상기 피착체로부터 상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물 박리 공정을 포함하는, 박리 방법.
As a peeling method of the adhesive sheet affixed to an adherend,
The adhesive sheet is the adhesive sheet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a state in which an aqueous liquid exist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rend and the adhesive sheet in the peeling wire of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the aqueous liquid enters the interface by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peeling wire. A peeling method comprising a water peeling step of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adherend while making i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박리 전선을 10 ㎜/분 이상의 속도로 이동시키는, 박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A peeling method in which the peeling wire is moved at a speed of 10 mm/min or more in the water peeling process.
제 14 항에 기재된 박리 방법에 의해, 피착체인 부재로부터 점착 시트를 박리하는 공정과,
점착 시트를 박리한 상기 부재에, 박리한 상기 점착 시트와는 별도의 점착 시트를 첩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점착 시트 부착 부재의 제조 방법.
The step of peeling the adhesive sheet from the member to be adhered by the peel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member with an adhesive sheet, comprising a step of affixing an adhesive sheet separate from the peeled adhesive sheet to the member from which the adhesive sheet has been peeled of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7025216A 2018-02-05 2019-01-28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KR102211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2820A KR102500919B1 (en) 2018-02-05 2019-01-28 Adhesive sheet and peeling method for adhesiv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18621 2018-02-05
JPJP-P-2018-018621 2018-02-05
JP2018109385 2018-06-07
JPJP-P-2018-109385 2018-06-07
JP2018143420 2018-07-31
JPJP-P-2018-143420 2018-07-31
PCT/JP2019/002795 WO2019151194A1 (en) 2018-02-05 2019-01-28 Adhesive sheet and peeling method for adhesive shee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820A Division KR102500919B1 (en) 2018-02-05 2019-01-28 Adhesive sheet and peeling method for adhesiv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554A KR20200106554A (en) 2020-09-14
KR102211902B1 true KR102211902B1 (en) 2021-02-03

Family

ID=674790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820A KR102500919B1 (en) 2018-02-05 2019-01-28 Adhesive sheet and peeling method for adhesive sheet
KR1020207025216A KR102211902B1 (en) 2018-02-05 2019-01-28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820A KR102500919B1 (en) 2018-02-05 2019-01-28 Adhesive sheet and peeling method for adhesive sheet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14587A1 (en)
EP (1) EP3750963A4 (en)
JP (2) JP6759374B2 (en)
KR (2) KR102500919B1 (en)
CN (2) CN112920738B (en)
TW (2) TWI727257B (en)
WO (1) WO201915119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83867B2 (en) * 2018-02-05 2023-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WO2019151192A1 (en) * 2018-02-05 2019-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eeling adhesive sheet
JP2020023679A (en) * 2018-07-31 2020-02-13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thereof
CN111592836B (en) * 2019-02-21 2022-11-04 3M创新有限公司 UV (ultraviolet) debon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N114126674B (en) * 2019-05-14 2023-04-28 波士胶公司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adhesives for feminine care pads
JP2021024182A (en) * 2019-08-02 2021-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Laminate and peeling method
MX2022005213A (en) * 2019-11-13 2022-06-08 Rohm & Haas An adhesive composition.
KR102333087B1 (en) * 2019-12-12 2021-12-01 삼성전기주식회사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by using water-dissolving member
JP2021097074A (en) * 2019-12-13 2021-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JP2021095450A (en) * 2019-12-13 2021-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and use thereof
JP2021095449A (en) * 2019-12-13 2021-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JP7469872B2 (en) * 2019-12-13 2024-04-17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JP7349900B2 (en) 2019-12-24 2023-09-25 株式会社日本触媒 Adhesive for oily surfaces
WO2022024668A1 (en) * 2020-07-29 2022-02-03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removing attachment adhesive, structur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230048101A (en) * 2020-08-05 2023-04-1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Isolation method of the zygote
WO2022038926A1 (en) * 2020-08-18 2022-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Bonded object separation method
WO2022137924A1 (en) * 2020-12-25 2022-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Structure, adhesive sheet, set and method
JPWO2022202321A1 (en) * 2021-03-25 2022-09-29
JPWO2022201858A1 (en) * 2021-03-25 2022-09-29
WO2022201857A1 (en) * 2021-03-25 2022-09-29 日東電工株式会社 Surface protective sheet and treatment method
CN113654984A (en) * 2021-08-03 2021-11-16 四川欣富瑞科技发展有限公司 Method for testing continuous aging peeling force of protective film
WO2023145360A1 (en) * 2022-01-28 2023-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Surface protective sheet and treatment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7004A1 (en) 2012-02-07 2013-08-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tft array substrate
WO2017094474A1 (en) 2015-12-01 2017-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677A (en) * 1984-08-07 1986-03-03 Mitsui Toatsu Chem Inc Film for ic processing
WO1985005734A1 (en) * 1984-05-29 1985-12-19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Film for machining wafers
JPH07294585A (en) * 1994-04-21 1995-11-10 Hitachi Chem Co Ltd Electric continuity inspection method of electronic parts
IL113583A (en) * 1994-05-26 1999-12-22 Rohm & Haas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JP2859847B2 (en) * 1996-05-20 1999-02-2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JP3068472B2 (en) * 1996-10-21 2000-07-24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Protective tape peeling device and its peeling method
JP2005148638A (en) 2003-11-19 2005-06-09 Nitto Denko Corp Peeling method for adhesive type optical film
JP4971517B2 (en) 2004-12-02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adhesive, optical film adhesive layer,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7051271A (en) 2005-07-21 2007-03-01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double coated tape, adhesion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314439B2 (en) * 2008-01-25 2013-10-16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optical film peeling method and adhesive optical film
JP5230018B2 (en) * 2009-09-09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JP5968587B2 (en) 2010-10-21 2016-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adhesive sheet,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JP5890996B2 (en) * 2010-11-25 2016-03-22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attached optical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optical film peeling method
JP5982131B2 (en) * 2011-02-28 2016-08-31 日東電工株式会社 Battery adhesive tape and battery using the adhesive tape
JP2013047295A (en) * 2011-08-29 2013-03-07 Soken Chem & Eng Co Ltd Adhesive agent, adhesive sheet and laminate for touch panel
JP2013117004A (en) * 2011-12-05 2013-06-13 Nitto Denko Corp Method of peeling adhesive sheet, and double-sided adhesive sheet
JP2013139520A (en) 2012-01-04 2013-07-18 Nitto Denko Corp Adhesive composition
JP5909137B2 (en) 2012-04-05 2016-04-26 藤森工業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ve film
JP2014201702A (en) * 2013-04-08 2014-10-27 綜研化学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JP6091990B2 (en) * 2013-05-10 2017-03-08 昭和電工株式会社 Composition for transparent adhesive sheet
JP6111836B2 (en) * 2013-05-10 2017-04-12 Dic株式会社 Adhesive tape
JP6217506B2 (en) * 2014-03-31 2017-10-2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Adhesive layer forming coating
JP6587811B2 (en) * 2015-02-24 2019-10-09 日東電工株式会社 Thermally peelable adhesive sheet
TW201715005A (en) * 2015-07-13 2017-05-01 王子控股股份有限公司 Adhesive sheet,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829960B2 (en) * 2015-11-27 2021-02-17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with release film
JP6994819B2 (en) 2016-07-26 2022-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Lighting equipment and lighting equipment
JP2018109385A (en) 2017-01-05 2018-07-12 株式会社ユタカ技研 Exhaust heat utilization device for vehicle
JP6895050B2 (en) 2017-03-03 2021-06-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Fixed structure of epidermis
JP7283867B2 (en) * 2018-02-05 2023-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7004A1 (en) 2012-02-07 2013-08-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tft array substrate
WO2017094474A1 (en) 2015-12-01 2017-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m with adhes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70234A (en) 2020-09-15
KR20200106554A (en) 2020-09-14
CN111670234B (en) 2021-04-13
EP3750963A1 (en) 2020-12-16
TW201938735A (en) 2019-10-01
US20210214587A1 (en) 2021-07-15
JP6759374B2 (en) 2020-09-23
CN112920738A (en) 2021-06-08
WO2019151194A1 (en) 2019-08-08
JP2020193346A (en) 2020-12-03
JP2020023656A (en) 2020-02-13
KR20210013353A (en) 2021-02-03
TW202128917A (en) 2021-08-01
TWI727257B (en) 2021-05-11
KR102500919B1 (en) 2023-02-16
JP6864144B2 (en) 2021-04-28
CN112920738B (en) 2022-08-16
TWI795760B (en) 2023-03-11
EP3750963A4 (en)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902B1 (en)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CN112513216B (e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and use thereof
WO2021024741A1 (en) Layered article and peeling method
WO2021024864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O2019225649A1 (en) Adhesive sheet
KR20200115627A (en)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TWI811296B (en) Adhesive sheet peeling method
WO2020218154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use thereof
WO2023145360A1 (en) Surface protective sheet and treatment method
CN114127216A (en) Adhesive sheet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