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860B1 -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 Google Patents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860B1
KR102211860B1 KR1020180114926A KR20180114926A KR102211860B1 KR 102211860 B1 KR102211860 B1 KR 102211860B1 KR 1020180114926 A KR1020180114926 A KR 1020180114926A KR 20180114926 A KR20180114926 A KR 20180114926A KR 102211860 B1 KR102211860 B1 KR 102211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ace
main body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626A (ko
Inventor
배소정
배경호
Original Assignee
배소정
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소정, 배경호 filed Critical 배소정
Priority to KR102018011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8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9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where one of the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s necessarily precedes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평면을 제공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그 내향면에 수평의 가이드홈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구비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메인공간과 도어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본체의 전방을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필요시 눕혀져 상기 도어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은, 도어를 개방하여 본체 내에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개방상태라 하더라도 구조가 간결하고 컴팩트하여 협소한 공간내에 쉽게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개방된 도어를 본체내에 수납하지 않고 향이나 초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 그만큼 도어 자체의 활용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도어에 끼워지는 장식판이 교체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식판을 교체하여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Charnel Box having storage door}
본 발명은 고인의 유골이나 사리를 모시는 안치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도어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유교적 장묘관행에서 벗어나 근래에는 대부분의 경우 시신을 화장하여 봉안당에 모시는 추세이다. 그런데, 납골함에 모셔진 고인의 유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충의 침입이나 습기 등의 이유로 점차 변질되고 부패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특수재질의 납골함을 사용한다거나 납골함의 밀봉을 타이트하게 하더라도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상기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으며, 그 방편의 하나로써, 골분을 아예 융해시켜 마치 보석과 같은 모양의 결정체(이하, 사리)로 만드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골분에 나노 크기의 첨가물을 혼합한 상태로 대략 200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골분을 녹이면 구슬모양의 사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사리는 악취가 없고 여러 가지 칼라를 가져, 후가공 과정을 통해 더욱 아름답고 기품 있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골분을 사리로 만들면, 유골의 부패나 변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가정 내에 보관도 할 수 있다.
한편, 고인과의 갑작스러운 단절에 따른 외로움과 슬픔이 어느 정도 진정될 때 까지, 또는 가족과 개인의 사정에 따라, 고인의 골분이나 사리를 가정 내에 모시고자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가정용 안치함이 사용된다.
가정용 안치함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대체로,
https://sites.google.com/site/hangugbonganhamanchidan/contacts
에 공지되어 있는 것처럼, 앞에 도어를 갖는 장식장 또는 박스의 형태를 취한다. 그런데 종래의 가정용 안치함은, 도어의 구조에 따른 단점이 있었다. 즉, 도어가 여닫이식 이므로, 말하자면, 열어 놓을 경우, 임시로 개방해 놓은 것 같은 어중간한 분위기가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것이다.
또한, 골분이나 사리를 가정에서 모시다가, 이별이 정리되거나 또는 기타의 이유로, 봉안시설로 옮기는 경우에도 도어의 구조에 기인한 문제가 발생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봉안시설의 개별 납골함은 투명 유리로 커버되며, 앞뒤 거리가 납골함을 넣을 정도밖에 되지 않는데, 이러한 정도의 스페이스를 갖는 납골함에 안치함을 넣을 경우 도어를 열어 놓지 못하는 것이다. 즉, 도어를 닫은 상태로 수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60744호 (납골 유골함)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3040호 (스마트 봉안함 및 그 작동 방법)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706호 (납골안치함)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개방상태라 하더라도 구조가 간결하고 컴팩트하여 협소한 공간내에 쉽게 배치가 가능하고, 도어를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 도어 자체의 활용성이 뛰어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는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은, 수평면을 제공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그 내향면에 수평의 가이드홈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구비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메인공간과 도어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본체의 전방을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필요시 눕혀져 상기 도어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틀 형태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을 도어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단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로를 제공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로 내부에 끼워지고, 외력에 의해 길이방향 위치이동 하여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홈측의 내부에 끼워지는 지지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핀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통로의 내면에 끼워지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을 받아 로드부로 전달하여 로드부가 길이방향 이동하게 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힌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홈측으로 전진하여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외력에 의해 후진 가능한 탄력핀과, 상기 탄력핀을 가이드홈측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아울러, 도어의 자유단부에는 자력에 반응하는 철편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철편과 결합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자석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의 힌지부 반대편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경첩본체와, 상기 경첩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파지철편을 포함하는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상기 경첩본체를 수용하는 제1홈과, 파지철편을 수용하는 제2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홈의 내부에는 제2홈에 삽입된 파지철편에 자기력을 가하여 고정시키는 유지자석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는 서랍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은, 도어를 개방하여 본체 내에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개방상태라 하더라도 구조가 간결하고 컴팩트하여 협소한 공간내에 쉽게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개방된 도어를 본체내에 수납하지 않고 향이나 초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 그만큼 도어 자체의 활용성이 뛰어나다.
아울러, 도어에 끼워지는 장식판이 교체 가능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장식판을 교체하여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치함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치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안치함에 적용되는 도어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안치함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도어 개폐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안치함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도 9에 도시한 힌지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10)은, 본체(2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60)가, 회동 및 직선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령, 도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도어를 본체(20) 내부의 도어수납공간(20b)에 수납할 수 있고, 필요시 도어를 수납공간(20b)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여 향이나 초의 받침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어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 상향 회동시키면 내부공간을 차단하는 도어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안치함(10)의 기본 구성은, 수평면을 제공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그 내향면에 수평의 가이드홈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구비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메인공간과 도어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본체의 전방을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필요시 눕혀져 상기 도어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치함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안치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10)은, 본체(20), 구획플레이트(29), 도어(60), 접이식덮개판(40)을 구비한다.
먼저, 본체(20)는, 전방으로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수납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수납대상물은 고인의 분골이나 사리를 포함하며, 더 나아가 죽은 애완동물의 분골이나 사리 일 수도 있다.
본체(20)는, 하판(26), 측판(24), 상판(22), 뒷판(도 5의 28)으로 구성된다. 하판(26)은 수평면을 제공하는 받침대로서 그 측부에 USB포트(31)와 조명스위치(33)와 온오프스위치(34)를 갖는다. 또한 하판(26)의 저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7)와 음향발생부(39)가 구비된다. 도면부호 13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이다.
제어부(37)는 USB포트(31)와 접속된다. USB포트(31)에 USB(미도시)를 끼운 상태로 온오프스위치(34)를 켜면, 제어부(37)가 USB에 저장되어 있는 음향신호를 음향발생부(39)로 전달하여 출력하게 한다. 가령 고인의 생전 목소리나 유언 등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조명스위치(33)는 뒷판(28)에 설치되어 있는 LED램프(도 5의 35)를 켜거나 끄는 스위치이다. 상기 온오프스위치(34)와 조명스위치(33)의 온오프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측판(24)은, 하판(26)의 상부 양단에 수직으로 고정된 부재로서, 내향면에 고정홈(24a)과 가이드홈(24b)을 갖는다. 고정홈(24a)은 수평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구획플레이트(29)의 양단부를 수용 지지한다. 구획플레이트(29)의 양단부는 고정홈(24a)에 끼워져 수평을 유지한다.
아울러, 가이드홈(24b)은 고정홈(24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서 고정홈(24a)과 마찬가지로 수평 연장된다. 고정홈(24a)과 가이드홈(24b)은 상호 평행하다. 가이드홈(24b)은 후술할 도어(60)의 힌지부(70)가 지지되는 홈이다. 즉, 힌지부(70)에 포함되는 로드부(73c)의 단부가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로드부(73c)는 가이드홈(24b)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홈(24b)의 길이방향 직선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홈단부(24c)에서 축회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판(22)은 측판(24)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그 상면에 상부수납홈(22a)을 갖는다. 상부수납홈(22a)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접이식덮개판(40)을 수용하는 홈이다. 접이식덮개판(40)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부수납홈(22a)내에 수납되며, 사용할 때에 도 2나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로 세워진다.
도면부호 22c는 받침돌기이다. 받침돌기(22c)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3)가 세워진 상태로 표시부(43)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표시부(43)가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접이식덮개판(40)은, 상판(22)의 후단부에 힌지 결합하여 상하 회동가능한 제1회동판(41a), 제1회동판(41a)과 경첩(41c)으로 연결되는 제2회동판(41b)을 포함한다. 제2회동판(41b)은 제1회동판(41a)에 대해 회동 가능하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힐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2회동판(41b)에는 표시부(43)가 구비된다. 표시부(43)는 고인의 사진이 들어있는 액자일 수 있다. 결국 제2회동판(41b)의 선단부를 잡고 접이식덮개판(40)을 전체적으로 들어 올린 후 표시부(43)의 하단을 상부수납홈(22a)의 바닥에 내려, 표시부(43)를 세워놓을 수 있는 것이다.
뒷판(28)은, 하판(26), 측판(24), 상판(22)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본체(20)의 내부공간을 마감한다. 즉, 내부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구획플레이트(29)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양단부가 고정홈(24a)에 끼워져 고정된다. 구획플레이트(29)는 본체(20)의 내부공간을 메인공간(20a)과 도어수납공간(20b)으로 구획한다. 메인공간(20a)은 수납대상물, 가령 안치상자(도 5의 5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안치상자(50)는 골분이나 사리가 모셔진 상자이다.
도어수납공간(20b)은 수평으로 눕혀진 도어가 수납되는 공간이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60)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화살표 a방향으로 진입시켜, 도어(60)를 도어수납공간(20b)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도어수납공간(20b)에 완전히 삽입된 도어(60)는 구획플레이트(29)에 완전히 커버된다.
한편, 상기 도어(60)는, 도어프레임(61), 장식판(62), 고정부재(63), 힌지부(70)로 이루어진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60)는 힌지부(70)를 통해 상기한 가이드홈(24b)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운동 및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다.
도어프레임(61)은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틀의 형태를 취한다. 도어프레임(61)이 도어수납공간(20b)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짐은 물론이다. 도어프레임(61)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판지지턱(도 4의 61d)이 마련되어 있다. 장식판지지턱(61d)은 장식판(62)의 테두리부가 걸려 지지되는 걸림턱이다.
장식판(62)은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형 부재로서 도어프레임(61)의 장식판지지턱(61d)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부재(63)에 의해 고정된다. 장식판(62)은 나전칠기 또는 원목 또는 패브릭소재로 제작된 사각판이다. 경우에 따라 장식판(62)에 원하는 도안이나 문구를 넣거나 사진을 붙일 수도 있다.
고정부재(63)는 도어프레임(61)의 장식판(62)을 장식판지지턱(61d)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재(63)는 네 개의 막대형 부재로 구성되며 도어프레임(61)의 내측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어 장식판(62)을 지지한다. 고정부재(63)는 조립된 상태로 사각틀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힌지부(70)는, 고정브라켓(71)과 지지핀(73)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브라켓(71)은 도어프레임(61)의 일단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부재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된 것이다. 고정브라켓(71)은 직각의 사이각을 가지며 도어프레임(61)에 밀착 고정되는 제1,2고정부(71a,71b)와 핀수용부(71c)를 갖는다.
핀수용부(71c)는 제1고정부(71a)와 제2고정부(71b)의 사이에 위치한 부분으로서, 상기 가이드홈(27b)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로(71d)를 제공한다.
지지핀(73)은 관통로(71d)에 끼워지는 직선형 부재로서, 돌출부(73a), 홈부(73b), 로드부(73c)를 갖는다. 로드부(73c)는 일정직경을 갖는 환봉형 부재로서 핀수용부(71c)의 내부에 수용된다. 로드부(73c)는 관통로(71d)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부(73c)는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관통로(71d)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돌출부(73a)는 홈부(73b)를 사이에 두고 로드부(73c)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홈부(73b)를 형성한 이유는, 지지핀(73)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를테면, 드라이버의 단부를 홈부(73b)에 위치시킨 상태로 망치를 이용해 돌출부(73a)를 화살표 b방향으로 타격하여, 지지핀(73)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돌출부(73a)를 화살표 c방향으로 타격하여 지지핀(73)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핀(73)을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로드부(73c)의 단부가 가이드홈(24b)에 삽입되어, 본체(20)에 대한 도어(6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반대로 지지핀(73)을 도 2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홈(24b)에 삽입되어 있던 로드부(73c)가 가이드홈(24b)의 외부로 빠진다. 본체(20)로부터 도어(6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61)에 있어서, 힌지부(70)가 위치한 부분의 반대측 단부에는 손잡이부(65)와 철편(64)이 구비된다. 도 4를 통해 손잡이부(65)와 철편(64)에 관한 설명을 이어가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안치함에 적용되는 도어(60)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61)의 단부 중앙에 손잡이홈(61f)이 형성되고, 손잡이홈(61f)에 손잡이부(65)가 결합한다.
손잡이부(6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혀있는 도어(60)를 당겨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첩본체(65a)와 회동편(65d)과 파지철편(65e)을 갖는다.
경첩본체(65a)는 일정두께를 갖는 띠형 부재로서 그 중앙 측부에 회동편수용홈(65c)을 갖는다. 경첩본체(65a)는 손잡이홈(61f)의 제1홈(61a)에 안착된 상태로 도어프레임(61)에 대해 나사 결합한다.
회동편(65d)은 회동편수용홈(65c)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니들핀(65f)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파지철편(65e)은 니들핀(65f)을 회동축으로 삼아 도 1의 화살표 d 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동편(65d)에는 파지철편(65e)이 구비된다. 파지철편(65e)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이다. 말하자면, 손가락으로 파지철편(65e)을 잡아 손잡이부(65)를 당겨 도어(60)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파지철편(65e)은 자석에 붙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홈(61f)은 손잡이부(65)를 수용 고정하는 홈으로서, 손잡이부(65)를 완전히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손잡이부(65)는 손잡이홈(61f)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손잡이홈(61f)은 제1홈(61a)과 제2홈(61b)을 갖는다. 제1홈(61a)은 경첩본체(65a) 및 회동편(65d)을 수용하고, 제2홈(61b)은 파지철편(65e)을 수용한다. 특히 제2홈(61b)의 내부에는 유지자석(68)이 고정되어 있다. 유지자석(68)은 파지철편(65e)을 당겨, 도어(60)가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파지철편(65e)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제2홈(61b)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 파지철편(65e)이 유지자석(68)에 흡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손가락을 넣어 파지철편(65e)을 도 1의 화살표 d 방향으로 빼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홈(61f)의 양측부에는 철편(64)이 고정되어 있다. 철편(64)은 자석에 붙는 금속편으로서, 상판(22)의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자석(도 5의 79)에 대응한다. 즉, 도어(60)를 닫은 상태에서 고정자석(79)과 일대일 대응하며 고정자석(79)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철편(64)과 고정자석(79)에 의해 도어(6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안치함(10)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공간(20a)에 안치상자(50)가, 도어수납공간(20b)에 도어(60)가 수납되어 있다. 도어(60)는 눕혀있는 도어를 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밀어 넣은 것이다. 안치상자(50)는 구획플레이트(29)를 받침대로 삼아 메인공간(20a)에 수용된다. 필요에 따라 구획플레이트(29)의 상면에 안치상자(50)를 위한 디자인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뒷판(28)에 설치된 LED램프(35)는 조명스위치(33)를 조작함에 따라 점등되어, 안치상자(50)의 뒤에서 빛을 발한다. 도 5에는 LED램프(35)가 안치상자(50) 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지만, LED램프(35)의 위치는 가급적 낮은 것이 좋다. LED램프(35)에서 조사되는 빛이 안치상자(50)의 뒷면에 반사되어 메인공간(20a)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은은하게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10)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방식의 도어 개폐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판(22)의 저면에 입출형자석부(81)가 구비되어 있고, 도어(60)에 철편(67)이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입출형자석부(81)는, 상판(22)의 저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홀더(81a), 홀더(81a)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더(81b), 슬라이더(81b)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자석(81c)을 구비한다.
홀더(81a)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파이프형 부재로서, 내부에 스프링(미도시)과 록킹부(미도시)를 갖는다. 슬라이더(81b)는 그 일부가 홀더(81a)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화살표 f방향으로 눌려 홀더(81a)의 내부로 삽입된다. 특히, 슬라이더(81b)는, 한번 누르면 홀더(81a) 내부로 길이 A만큼 들어가고, 한 번 더 누르면 A만큼 튀어나온다.
따라서 도어(60)를 일으켜 철편(67)을 고정자석(81c)에 맞춘 후, 도어(60)를 한 번 누르면 도어(60)가 슬라이더(81b)를 화살표 f방향으로 누른 상태로 도 6b와 같이 닫힘 상태가 된다. 닫힘 상태에서 도어(60)를 다시 한 번 누르면 슬라이더(81b)가 A만큼 돌출되며 도어(60)의 상단부가 상판(22)의 저면으로부터 벗어난다. 도어(60)의 상단부를 당겨 안치함을 개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10)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안치함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구획플레이트(29)가 본체(20)의 내부공간에서 상측에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도어수납공간(20b)이 메인공간(20a)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홈(24b)도 구획플레이트(29) 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6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공간(20a)의 상부에 수납되게 된다.
아울러 메인공간(20a)의 바닥부, 즉 하판(26)의 상면에는 서랍부(83)가 구비된다. 서랍부(83)는 서랍통(83a)과 서랍본체(83b)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맞추어 사용된다. 가령, 고인의 유품이나 편지 등을 넣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a 및 10b는 도 9에 도시한 힌지부(9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61)의 일단부 양측에 힌지홈(61e)이 형성되어 있고, 각 힌지홈(61e)에 힌지부(90)가 고정되어 있다. 힌지부(90)는, 케이싱(91), 탄력핀(95), 스프링(9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91)은 대략 육면체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공간(91b)을 갖는 부재이다. 내부공간(91b)은 스프링(93)과 바디부(95a)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가이드슬릿(91a)과 핀홀(91c)을 통해 외부로 개방된다.
가이드슬릿(91a)은 일정폭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홈(24b)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로로서 돌출부(95b)를 통과시킨다. 또한 핀홀(91c)은 가이드슬릿(91a)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 통로이며 핀부(95c)를 습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탄력핀(95)은, 바디부(95a), 돌출부(95b), 핀부(95c)를 갖는 부재로서, 스프링(93)에 의해 화살표 k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바디부(95a)는 스프링(93)과 함께 내부공간(91b)에 수용된다. 돌출부(95b)는 바디부(95a)에 고정되며 가이드슬릿(91a)을 통해 케이싱(91) 외부로 연장된다. 사용자는 돌출부(95b)를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핀부(95c)는 핀홀(91c)에 삽입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운동 가능하며, 스프링(93)의 작용에 의해 케이싱(91)의 외부로 빠져 가이드홈(24b)에 끼워진다. 사용자가 돌출부(95b)를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핀부(95c)가 가이드홈(24b)으로부터 분리됨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돌출부(95b)를 조작하여 본체(20)로부터 도어(60)를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안치함 13:전력선 20:본체
20a:메인공간 20b:도어수납공간 22:상판
22a:상부수납홈 24:측판 24a:고정홈
24b:가이드홈 24c:홈단부 26:하판
28:뒷판 29:구획플레이트 31:USB포트
33:조명스위치 34:온오프스위치 35:LED램프
37:제어부 39:음향발생부 40:접이식덮개판
41a:제1회동판 41b:제2회동판 41c:경첩
43:표시부 50:안치상자 60:도어
61:도어프레임 61a:제1홈 61b:제2홈
61d:장식판지지턱 61e:힌지홈 61f:손잡이홈
62:장식판 63:고정부재 64:철편
65:손잡이부 65a:경첩본체 65c:회동편수용홈
65d:회동편 65e:파지철편 65f:니들핀
67:철편 68:유지자석 70:힌지부
71:고정브라켓 71a:제1고정부 71b:제2고정부
71c:핀수용부 71d:관통로 73:지지핀
73a:돌출부 73b:홈부 73c:로드부
79:고정자석 81:입출형자석부 81a:홀더
81b:슬라이더 81c:고정자석 83:서랍부
83a:서랍통 83b:서랍본체 90:힌지부
91:케이싱 91a:가이드슬릿 91b:내부공간
91c:핀홀 93:스프링 95:탄력핀
95a:바디부 95b:돌출부 95c:핀부

Claims (8)

  1. 삭제
  2. 수평면을 제공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그 내향면에 수평의 가이드홈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구비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메인공간과 도어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본체의 전방을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필요시 눕혀져 상기 도어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틀 형태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장식판과,
    상기 장식판을 도어프레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단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구비하는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로를 제공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로 내부에 끼워지고, 외력에 의해 길이방향 위치이동 하여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홈측의 내부에 끼워지는 지지핀을 포함하는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관통로의 내면에 끼워지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을 받아 로드부로 전달하여 로드부가 길이방향 이동하게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힌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힌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홈측으로 전진하여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외력에 의해 후진 가능한 탄력핀과,
    상기 탄력핀을 가이드홈측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6. 수평면을 제공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그 내향면에 수평의 가이드홈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구비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메인공간과 도어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본체의 전방을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필요시 눕혀져 상기 도어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도어의 자유단부에는 자력에 반응하는 철편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철편과 결합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자석이 구비된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힌지부 반대편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경첩본체와, 상기 경첩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파지철편을 포함하는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상기 경첩본체를 수용하는 제1홈과, 파지철편을 수용하는 제2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홈의 내부에는 제2홈에 삽입된 파지철편에 자기력을 가하여 고정시키는 유지자석이 구비된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8. 수평면을 제공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그 내향면에 수평의 가이드홈을 갖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판을 구비하고, 전방으로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내부공간을 메인공간과 도어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와;
    상기 측판의 가이드홈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져 본체의 전방을 커버하여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필요시 눕혀져 상기 도어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서랍부가 더 구비된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KR1020180114926A 2018-09-27 2018-09-27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KR102211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26A KR102211860B1 (ko) 2018-09-27 2018-09-27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26A KR102211860B1 (ko) 2018-09-27 2018-09-27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626A KR20200035626A (ko) 2020-04-06
KR102211860B1 true KR102211860B1 (ko) 2021-02-03

Family

ID=70281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26A KR102211860B1 (ko) 2018-09-27 2018-09-27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310B1 (ko) * 2021-04-22 2023-03-15 주식회사 카일루스 장의차량용 임시봉안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315A (ja) 2003-04-25 2004-11-18 Isao Negishi
KR101415692B1 (ko) 2012-12-10 2014-07-04 김영진 유골함 안치단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골함 안치단
KR101460744B1 (ko) 2014-06-24 2014-11-19 정용성 납골 유골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391Y2 (ko) * 1985-11-20 1991-11-13
KR200257706Y1 (ko) 2001-09-11 2001-12-24 (주)와이즈 납골안치함
KR20180083040A (ko) 2017-01-12 2018-07-20 미강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마트 봉안함 및 그 작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315A (ja) 2003-04-25 2004-11-18 Isao Negishi
KR101415692B1 (ko) 2012-12-10 2014-07-04 김영진 유골함 안치단의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골함 안치단
KR101460744B1 (ko) 2014-06-24 2014-11-19 정용성 납골 유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626A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860B1 (ko) 수납형 도어를 갖는 안치함
HK1076646A1 (en) Simplified device for magnetically operating blinds within a glass-enclosed chamber
ATE352695T1 (de) Verriegelungsvorrichtung von einem deckenlauftor
EA200601854A1 (ru) Поворотно - откидное окно
YU107104A (sh) Jednostavan uređaj za žaluzine koje se pokreću magnetnim putem unutar komore zatvorene staklom
KR101557682B1 (ko) 락장치의 로드 길이 가변용 스프링이 장착된 창호장치
KR100616763B1 (ko) 4면 힌지형 문화재 전시용 밀폐진열장
KR101499049B1 (ko) 보관함의 개폐장치
KR102287363B1 (ko) 서랍형 받침대를 구비한 봉안용구세트
JP2011212090A (ja) 仏壇
KR100566716B1 (ko)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KR20160112532A (ko) 감춤 금고를 구비한 전시 보석함
KR101687483B1 (ko) 단말기 거치대
CN218234845U (zh) 一种新式室内暗藏门
JPH11125030A (ja)
CN215446132U (zh) 一种保险箱用灯具
JP3143388U (ja) ペット用仏壇収納庫
IT1289497B1 (it) Serramento con cerniera a scomparsa
KR20180002245U (ko) 의자 일체형 화장대
JP2019122540A (ja) 仏壇
KR20100003435A (ko) 이동식 납골묘 제례단
JPH09256762A (ja) 門扉装置
JP3199221U (ja) 仏壇
KR20040003218A (ko) 조절식 시크리트 커버 구조
KR200183400Y1 (ko) 미여닫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