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737B1 -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737B1
KR102211737B1 KR1020190001138A KR20190001138A KR102211737B1 KR 102211737 B1 KR102211737 B1 KR 102211737B1 KR 1020190001138 A KR1020190001138 A KR 1020190001138A KR 20190001138 A KR20190001138 A KR 20190001138A KR 102211737 B1 KR102211737 B1 KR 102211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als
cosmetic composition
oil
great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068A (ko
Inventor
김주원
박창훈
박현영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이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미인 filed Critical (주)이미인
Priority to KR102019000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7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개선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꽃잎은 전처리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 내에 침강되어 바닥에 가라 앉아 있거나, 화장료 조성물상에 떠 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가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typ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etal}
본 발명은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아래에 침강되어 있는 꽃잎 또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 떠있는 꽃잎을 포함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개선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외부에 위치한 기관으로서,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고 생명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는 신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류역사를 통하여 미용학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본능적인 미적 욕구로 인해 이전부터 꾸준히 피부를 아름답게 가꾸려는 노력을 해 왔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추세를 따라 피부 관리에 관심을 갖는 남성들도 증가하고 있다.
현재 화장품 산업의 주요 트렌드는 웰빙, 전통 복고, 지역/산지 차별화 등으로 나뉜다. 특히, 100% 유기농 원료를 이용한 안전한 제품, 기능성 한방 원료를 접목한 고기능성 화장품, 슈퍼 푸드 등의 건강 식품을 활용한 화장품 및 청정 지역의 천연물을 배합한 제품 등의 개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유럽,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광우병의 발병으로 동물 유래의 화장품 소재들이 대부분 천연 식물 유래의 소재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으며, 최근에 실시된 규제 완화 조치에 의해 일부 배합이 금지된 성분을 제외하고는 배합된 전 성분을 표시하면 자유롭게 모든 소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천연 식물 유래의 화장품 원료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천연 식물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함에 따라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개선되고, 이는 곧 제품 구매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제품 이름을 천연 식물의 이름과 연관 지어 짓거나, 화장품 용기에 천연 식물의 형상을 그려 넣는 등의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제품이 천연 식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광고하는 제품도 크게 늘고 있다.
가장 직관적으로 화장품이 천연 식물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방식은 화장품 용기 내에 화장료 조성물과 천연 식물, 예를 들어 꽃잎이 함께 담겨 있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화장품이 꽃잎의 유용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을 손쉽게 알릴 수 있으며, 꽃잎으로 인해 제품의 외관 또한 더욱 아름다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 용기에 꽃잎과 화장료 조성물을 함께 인입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상에 떠있다가 시간이 흐르면 화장료 조성물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그러나, 같은 종의 꽃잎이라도 환경에 따라 일부는 가라앉고 일부는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장품의 외관이 아름답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꽃잎을 활용한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내에 떠있거나 화장료 조성물 아래로 가라앉는 성질을 갖도록 전처리 된 꽃잎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제1047785호 (2011.07.01 등록공고)
본 발명에서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개선시키기 위하여 꽃잎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되,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 아래에 침강되거나 화장료 조성물내에 떠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전처리 된 꽃잎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유(oil-in-water)형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 아래방향으로 가라앉는 침강형 꽃잎 또는 위쪽으로 떠오르는 부상형 꽃잎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침강형 꽃잎은, 건조된 꽃잎이 저급 알코올 수용액에 침지되거나, 폴리올에 침지되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침강형 꽃잎은, 저급 알코올 수용액에 침지될 경우에는 상온에서 약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된 것일 수 있고, 폴리올에 침지될 경우에는 상온에서 약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된 후 탈기됨으로써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상형 꽃잎은, 건조된 꽃잎이 상온의 오일에 10분 내지 6시간 동안 침지되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오일은,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동백 오일, 녹차씨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꽃잎은, 건조된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및 당아욱 꽃잎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건조된 꽃잎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5000 cPs 이하의 점도를 갖는 스킨, 토너, 에센스 또는 세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처리 된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여,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개선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꽃잎은 전처리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의 아래방향으로 침강되거나 화장료 조성물내에 떠있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가 변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강형 꽃잎(A) 또는 부상형 꽃잎(B)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에 꽃잎이 포함된 제품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초기에는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상에 떠있다가 시간이 흐르면 화장료 조성물 내로 가라앉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꽃잎이 모두 화장료 조성물 내로 가라앉는 경우도 있으나, 온도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과 같은 다양한 환경 요인에 의해 동일한 꽃잎이라 하더라도 일부는 가라앉고 나머지 일부는 처음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상에 떠있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제품에는 꽃잎이 모두 가라앉아 있는 반면, 일부 제품에는 떠있는 꽃잎도 존재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각 제품별 품질이 동일하지 않다고 인식하게 될 수 있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제품 선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일부 꽃잎의 경우에는 꽃잎을 그대로 화장료 조성물과 함께 화장품 용기에 인입하게 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에 가라앉지 않고 떠있어 다양한 외관을 갖는 화장품에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 분산되지 않고,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아래방향으로 가라앉거나 또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위쪽 방향으로 뜨도록 전처리 된 꽃잎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꽃잎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외관을 원하는 형태로 제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꽃잎은 건조된 꽃잎으로, 장미꽃, 동백꽃, 쟈스민꽃, 카렌듈라 및 당아욱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꽃잎일 수 있다. 이 외의 꽃잎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전처리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가라앉거나 뜨는 등의 원하는 거동을 보이지 않거나, 꽃잎의 색, 표면 형상이 손상되거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꽃잎은 상술한 5종으로 제한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A)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의 아래방향으로 가라앉는 침강형 꽃잎은, 건조된 꽃잎을 알코올에 침지함으로써 얻어진 것으로서, 이때 사용되는 알코올은 저급 알코올 수용액 또는 폴리올일 수 있다.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침강형 꽃잎은,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저급 알코올 수용액에 침지되어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정치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 1~4의 알코올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및 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이때,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가열하여 35~80℃의 온도 범위에서 침지된 꽃잎의 경우, 상온에서 침지된 것과 마찬가지로 화장료 조성물의 아래방향으로 침강하는 성질을 갖게 된다. 그러나, 알코올을 가열함에 따라 손실되는 알코올의 양이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꽃잎의 물성 및 외관이 불균일해지므로 상온의 저급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지 시간은 10분 내지 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0분 미만인 경우에는 일부 꽃잎에만 침강되는 성질이 부여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으며, 1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화 및 탈색작용으로 인해 꽃잎의 원래 형태 및 색을 잃어버려 외관을 해치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운반 및 사용 중 꽃잎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사용되는 저급 알코올 수용액은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이 40~90 중량%로 포함된 수용액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80 중량%의 수용액일 수 있는데, 알코올의 농도를 이와 같이 한정한 이유는 알코올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작업 시간 및 꽃잎의 상태가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저급 알코올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침강형 꽃잎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된 꽃잎을 침지 처리하는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저급 알코올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분 연화 및 탈색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꽃잎의 상태가 불균일하게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리올을 사용하여 침강하는 성질을 갖게 된 침강형 꽃잎은, 구체적으로, 건조된 꽃잎을 상온의 폴리올에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시킨 뒤 탈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폴리올은 2개 이상의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로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소르비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소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부틸렌글리콜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된 꽃잎의 전처리 용액으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온의 폴리올에 꽃잎을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한 뒤, 탈기함으로써 침강형 꽃잎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꽃잎이 상온이 아닌 온도에서 침지되거나, 침지 처리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체 꽃잎이 불균일한 침강성을 갖게 되고, 표면 형태와 색이 불균일해져 외관이 불량해지므로 상술한 온도 및 처리 시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침지 후 탈기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꽃잎에 침강하는 성질이 부여되지 않으므로, 침지 후 반드시 탈기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때, 탈기는 진공에서 10분 내지 30분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 (B)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위쪽 방향으로 떠있는 부상형 꽃잎은 꽃잎을 오일에 소정 시간 침지시켜 꽃잎 표면을 오일로 코팅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은 호호바 오일, 올리브 오일, 동백 오일, 녹차씨 오일 및 아보카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들 오일은 인체에 무해하며, 식물성 오일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코팅 공정 중 혹은 꽃잎에 코팅된 후에 공기중에 노출되어도 꽃잎이 굳어지지 않고 유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5종의 오일 외의 다른 종류의 오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꽃잎의 일부에만 화장료 조성물의 위쪽 방향으로 뜨는 성질이 부여되거나, 장기 보관시 꽃잎의 물성이나 거동이 변화하게 되고, 오일 처리 이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오일이 굳어져 꽃잎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일은 상술한 5종으로 제한하도록 한다.
오일에 침지하는 침지 시간은 10분 내지 6시간일 수 있으며, 침지 시간이 10분 미만인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위쪽으로 뜨는 성질을 부여하기 곤란하고, 반면 침지 시간이 6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우에는 꽃잎이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유용성의 물질들이 용출되어 꽃잎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시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된 꽃잎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건에서 전처리함으로써 침강형 꽃잎 혹은 떠있는 부상형 꽃잎을 제조할 수 있으며, 침지를 통해 이러한 성질이 부여된 꽃잎은 이후 건조되어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건조는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전기건조, 동결건조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건조된 꽃잎의 전처리에 사용되는 침지액인 저급 알코올 수용액, 폴리올 또는 오일에는 침지하는 동안 꽃잎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가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1,2-헥산디올, 메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된 꽃잎 0.5~5 중량%, 정제수 75~95 중량% 및 베이스 화장료 4~22 중량%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은 저점도 혹은 무점도의 스킨, 토너, 에센스 또는 세럼일 수 있는데, 이때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5000 cPs 이하로, 이를 초과하는 점도 범위를 갖는 경우에는 전처리 된 꽃잎이 원하는 거동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점도 범위 이하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이스 화장료는 기본적으로 보습제 및 방부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컨디셔닝제, pH 조절제, 금속이온봉쇄제, 계면활성제, 향료 및 각질제거, 피부보호, 주름제거 등의 특수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료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에 포함되는 원료는 해당 기술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습제는 글리세린,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베타인, 알긴산, 키토산올리고당, 디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및 히알루로닉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먼저, 동결건조 된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당아욱꽃, 벚꽃, 튤립, 국화 및 캐모마일의 꽃잎을 분리하여 상온의 에탄올 수용액(75 중량%)에 3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이후 꽃잎을 에탄올 수용액에서 분리하여 에탄올로 전처리 된 꽃잎을 준비하였다.
또한, 표 1의 조성을 갖는 투명한 스킨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성분 중량%
정제수 88.23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글리세린 5.00
부틸렌글라이콜 5.0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0
1,2-헥산디올 1.00
페녹시에탄올 0.30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향료 0.10
이후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한 전처리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처리를 통해 얻어진 꽃잎의 표면의 색 및 형태가 균일한지 관찰하였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꽃잎을 동일한 강도로 가볍게 5회 문지른 뒤, 꽃잎의 원형이 유지되는지의 여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2의 꽃잎의 강도 항목에 기재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제조된 스킨 조성물 100g과 전처리 전, 후의 각 꽃잎 3g을 밀폐용기에 투입하고 가볍게 10회 흔들어 준 뒤 정치시켰다. 이후, 모든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 내로 침강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한 침강시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일주일 경과 후에도 침강되지 않는 경우에는 "-"로 표시하였다.
또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햇빛이 들지 않는 상온에 일주일간 정치시킨 뒤 꽃잎의 색소 용출로 인한 화장료 조성물의 색 변화 여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꽃의 종류 전처리 후
꽃잎의 표면상태
꽃잎의 강도 침강시간
전처리 전 전처리 후
장미 균일 우수 - 13초
동백 균일 우수 - 20초
쟈스민 불균일 우수 7시간 42초
카렌듈라 균일 우수 - 26초
당아욱꽃 균일 불량 8시간 10초
벚꽃 균일 불량 2시간 3초
튤립 불균일 우수 - 14초
백합 불균일 우수 - 52분
캐모마일 균일 불량 5시간 -
표 2를 참조하면, 에탄올을 이용한 전처리 후, 캐모마일을 제외한 대부분의 꽃잎에,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 아래로 가라앉는 침강성이 부여된 것으로 나타났다. 캐모마일의 경우에는 이러한 침강성이 부여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꽃잎 표면이 쉽게 뭉개져 제조,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꽃잎이 쉽게 손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쟈스민과 백합의 경우에는 꽃잎 표면이 불균일하게 바래는 문제가 있었고, 튤립의 경우에는 꽃잎의 표면이 일부 탈색되어 꽃잎의 표면 상태가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당아욱꽃과 벚꽃은 에탄올을 이용한 전처리를 거쳤을 때 침강성이 부여되고, 표면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꽃잎 표면이 쉽게 뭉개져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반면, 장미, 동백 및 카렌듈라는 상술한 꽃잎들과는 달리 에탄올을 사용한 전처리 후, 침강성이 부여되거나, 침강 속도가 현저히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처리 후에도 꽃잎의 형상 및 색이 균일하게 유지되었으며, 강도가 우수하여 쉽게 뭉개지지 않아 제조,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꽃잎이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험예 1을 통하여 침강형 꽃잎을 제조할 때 에탄올을 이용하는 경우, 일부 꽃잎에만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장미, 동백 및 카렌듈라의 경우, 이러한 전처리를 거친 후에도 꽃잎의 표면이 균일한 색 및 형상을 갖고, 꽃잎이 무르지 않고 단단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앞서 수행한 실험예 1과 동일한 전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장미, 동백, 카렌듈라 및 벚꽃을 전처리하였다. 이때, 전처리는 12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며, 표 3에 기재된 특정 시간 경과 후부터 꽃잎의 일부를 분리하여 꽃잎의 강도 및 침강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전처리 시간 꽃잎의 강도 침강여부
장미 동백 카렌듈라 장미 동백 연꽃
5분 우수 우수 우수 - - -
8분 우수 우수 우수 - - -
10분 우수 우수 우수 O O O
20분 우수 우수 우수 O O O
40분 우수 우수 우수 O O O
1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2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3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4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5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6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7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8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9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10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11시간 불량 우수 불량 O O O
12시간 불량 불량 불량 O O O
표 3을 살펴보면, 전처리 시간에 따라 꽃잎의 강도 또는 침강시간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장미와 카렌듈라는 전처리가 10시간 이하로, 동백은 11시간 이하로 수행될 때 꽃잎이 무르지 않고 단단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미, 동백, 카렌듈라 모두 전처리를 10분 이상 수행했을 때 침강성이 부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험예 2로부터 꽃잎에 침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에탄올을 이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에탄올에 침지하는 시간이 10분 내지 10시간일 때 꽃잎의 강도가 무르지 않으면서 꽃잎에 침강성이 부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동결건조 된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당아욱꽃, 벚꽃, 튤립, 국화 및 캐모마일의 꽃잎을 분리하여 상온의 1,3-부틸렌글리콜에 2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이후 꽃잎을 1,3-부틸렌글리콜에서 분리하고 진공에서 15분간 탈기하여 전처리 된 꽃잎을 준비하였다.
이후, 실험예 1과 동일하게 꽃잎의 표면상태와 강도를 관찰하고, 실험예 1에서 제조된 스킨 조성물을 이용하여 침강시간을 관찰한 뒤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꽃의 종류 전처리 후
꽃잎의 표면상태
꽃잎의 강도 침강시간
전처리 전 전처리 후
장미 균일 우수 - 11초
동백 불균일 우수 - 21초
쟈스민 균일 우수 7시간 14초
카렌듈라 불균일 우수 29시간 22초
당아욱꽃 균일 우수 8시간 10초
벚꽃 불균일 우수 2시간 7초
튤립 불균일 우수 - 20초
백합 불균일 우수 - -
캐모마일 균일 불량 5시간 27분
1,3-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전처리를 수행한 실험 결과,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장미, 쟈스민 및 당아욱꽃은 전처리 후 꽃잎의 형태 및 표면 상태와 색상이 균일하고, 꽃잎의 강도 또한 단단하며, 스킨 조성물 아래로 침강하는 성질이 부여되거나, 침강 시간이 현저히 단축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동백, 카렌듈라, 벚꽃 및 튤립의 경우에는 침강성이 나타나나, 전처리 후 꽃잎의 형상이 쭈글쭈글해지거나, 표면의 색이 불균일하게 탈색되어 표면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백합은 동백 등과 마찬가지로 꽃잎의 표면 상태가 불량해질 뿐만 아니라 침강성 또한 부여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캐모마일은 전처리 후 침강 시간이 단축되고, 꽃잎의 표면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처리를 통해 꽃잎의 강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약한 마찰에도 쉽게 뭉개지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나타났다.
실험예 3을 통해 1,3-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꽃잎에 전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일부 꽃잎에 침강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일부 꽃잎은 꽃잎 표면의 색, 형태 또는 강도가 불량해지거나,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에 색소를 용출시켜 꽃잎과 화장료 조성물의 색을 변화시키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꽃잎에 침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1,3-부틸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올을 이용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꽃잎은 장미, 쟈스민 및 당아욱꽃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실험예 3과 동일한 전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장미, 쟈스민 및 당아욱꽃을 전처리하였다. 이때, 전처리는 12 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며, 표 3에 기재된 특정 시간 경과 후부터 꽃잎의 일부를 분리하여 꽃잎의 강도 및 침강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험예 3과 동일한 전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전처리되었으나, 탈기 과정을 거치지 않은 장미, 쟈스민, 당아욱꽃의 침강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함께 기재하였다.
전처리
시간
꽃잎의 강도 침강여부(탈기) 침강여부(비탈기)
장미 쟈스민 당아욱꽃 장미 쟈스민 당아욱꽃 장미 쟈스민 당아욱꽃
5분 우수 우수 우수 - - - - - -
8분 우수 우수 우수 - - - - - -
10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20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40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1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2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3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4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5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6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7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8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9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10시간 우수 우수 우수 O O O - - -
11시간 불량 불량 우수 O O O - - -
12시간 불량 불량 불량 O O O - - -
표 5를 참조하면, 장미, 쟈스민은 10시간을 초과하여 침지되었을 때 꽃잎의 강도가 불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당아욱꽃의 경우에는 11시간을 초과하여 침지되었을 때 꽃잎의 강도가 불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탈기과정을 거친 각 꽃잎은 10분 이상 침지되었을 때 침강성이 부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탈기 과정을 거치지 않을 경우에는 침지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침강성이 부여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험예 4로부터 꽃잎에 침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1,3-부틸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지 후 반드시 탈기 과정을 거치되, 침지 시간이 10분 내지 10시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동결건조 된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당아욱꽃, 벚꽃, 튤립, 국화 및 캐모마일의 꽃잎을 분리하여 상온의 오일에 45분 동안 침지한 뒤, 꽃잎을 오일에서 분리하여, 오일 처리 된 꽃잎을 준비하였다.
이때, 오일의 종류를 표 4와 같이 달리하여 전처리 하였으며, 전처리 된 각 꽃잎 3 g과 실험예 1에서 제조된 스킨 조성물 100 g을 밀폐용기에 투입하고, 가볍게 10회 흔들어 혼합한 뒤 정치시켰다. 이후, 일주일간 관찰하여 전처리 된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 가라앉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가라앉는 경우는 O, 그렇지 않은 경우는 X로 하여 표 6에 기재하였다.
꽃의
종류
호호바
오일
월넛
오일
녹차씨
오일
포도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로즈힙
오일
올리브
오일
동백
오일
장미 X X X X X X X X
동백 X X X X X X X X
쟈스민 X X X X X X X X
카렌듈라 X X X X X X X X
당아욱꽃 X X X X X X X X
벚꽃 X O X X X X X X
튤립 X X X O X X X X
백합 X O X X X X X X
캐모마일 X X X X X O X X
표 6을 살펴보면, 꽃잎에 오일을 이용하여 전처리 하는 경우, 대부분의 꽃잎에 화장료 조성물상에 뜨는 성질이 부여된 것으로 나타나나, 특정 오일과 꽃잎의 조합에 따라 오일로 전처리 하여도 화장료 조성물 내에 가라앉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된 오일 중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을 이용하여 전처리 한 경우에는 꽃잎의 종류에 상관없이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상에 떠 있는 부상성이 부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에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월넛 오일, 포도씨 오일 및 로즈힙 오일을 사용하여 전처리 된 꽃잎은 열풍건조 이후에 꽃잎 표면에 부착된 오일이 피막을 형성하며 굳어져 꽃잎을 구부릴 경우 굳어진 오일이 탈리되는 문제가 있어 오일을 이용한 전처리 방법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험예 5를 통해, 꽃잎에 부상성을 부여하기 위한 오일로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해, 앞서 실험예 5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중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동백 오일로 전처리 된 꽃잎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한달 동안 해가 들지 않는 상온에서 실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환경과 유사하게 1~2일 간격으로 가볍게 2~3회 흔들어 주었다. 이후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꽃잎의 표면 상태, 꽃잎의 강도 및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부상성 변화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각각 표 7, 표 8 및 표 9에 기재하였다.
꽃의 종류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동백
오일
장미 균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동백 균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쟈스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카렌듈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당아욱꽃 균일 균일 균일 균일 균일
벚꽃 불균일 불균일 균일 균일 불균일
튤립 불균일 균일 불균일 불균일 불균일
백합 균일 균일 불균일 균일 불균일
캐모마일 균일 불균일 불균일 균일 균일
오일 전처리를 통한 꽃잎의 장기 보관에 따른 표면 상태의 변화가 기재된 표 7을 살펴보면,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로 전처리 된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및 당아욱꽃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꽃잎의 표면 상태, 즉 꽃잎의 형태, 색 및 질감이 균일하게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벚꽃, 튤립, 백합 및 캐모마일의 경우, 전처리에 사용된 오일의 종류에 따라 일부 꽃잎의 형태 또는 질감이 변하거나, 꽃잎 표면에 얼룩이 형성되어 꽃잎의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꽃의 종류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동백
오일
장미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동백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쟈스민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카렌듈라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당아욱꽃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벚꽃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튤립 우수 우수 우수 불량 우수
백합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불량
캐모마일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오일 전처리 후 장기 보관에 따른 꽃잎의 강도를 기재한 표 8을 살펴보면, 표 7과 마찬가지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로 전처리 된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및 당아욱꽃의 꽃잎은 장기 사용에 따라 꽃잎이 뭉개지거나 찢어지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벚꽃과 캐모마일의 경우, 전처리에 사용된 오일의 종류에 상관없이 장기 사용시 꽃잎이 뭉개져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해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튤립과 백합은 각각 올리브 오일 및 동백 오일을 이용하여 전처리 한 경우에만 일부 꽃잎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의 종류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동백
오일
장미 X X X X X
동백 X X X X X
쟈스민 X X X X X
연꽃 X X X X X
라벤더 X X X X X
벚꽃 O O X X O
튤립 O O O O O
백합 O O X O O
캐모마일 X O O X X
표 9는 오일 전처리 후 장기 보관에 따른 꽃잎의 부상성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부상성 변화가 있는 경우 'O', 없는 경우 'X'로 표시하였다.
표 9를 참조하면,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로 전처리 된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및 당아욱꽃의 경우, 장기간 사용에도 꽃잎의 부상성이 변하지 않고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위쪽 방향으로 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벚꽃, 튤립, 백합 및 캐모마일의 경우, 초기에는 꽃잎이 모두 화장료 조성물상에 떠 있었으나, 전처리에 사용된 오일의 종류에 따라 약 2주 후부터 일부 꽃잎이 가라앉아 한달 후 일부 꽃잎은 떠 있고 나머지 꽃잎은 화장료 조성물 아래 방향으로 가라앉아, 장기 사용에 따라 꽃잎의 부상성이 안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험예 6를 통해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및 당아욱꽃은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로 전처리 되었을 때, 장기간 사용에도 꽃잎의 형태, 색, 표면의 질감, 강도 및 부상성이 변하지 않고 처음과 같이 양호한 형태, 강도를 유지하며 지속적인 부상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4를 통해, 장미, 동백 또는 카렌듈라를 상온의 저급 알코올 수용액에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하거나, 장미, 쟈스민 또는 당아욱꽃을 상온의 폴리올에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침지한 뒤 탈기함으로써 꽃잎이나 화장료 조성물의 물성, 외관 변화 없이 꽃잎에 화장료 조성물 내로 가라앉는 침강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 5 및 실험예 6을 통해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또는 당아욱꽃을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로 전처리 함으로써, 장기 사용에 따른 꽃잎의 물성, 부상성, 외관 및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 변화 없이 꽃잎이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위쪽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떠 있는 부상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아래방향으로 가라앉는 침강형 꽃잎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침강형 꽃잎은, 장미, 동백 및 카렌듈라 중에서 선택되는 건조된 꽃잎을,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이 40~90중량% 포함된 수용액에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상온에서 침지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것이고,
    상기 전처리 과정을 거친 침강형 꽃잎은, 건조된 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oil-in-water)형 화장료 조성물.
  2.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아래방향으로 가라앉는 침강형 꽃잎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침강형 꽃잎은, 장미, 쟈스민 및 당아욱꽃 중에서 선택되는 건조된 꽃잎을, 폴리올에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상온에서 침지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것이고,
    상기 전처리 과정을 거친 침강형 꽃잎은, 탈기 과정을 거치고 건조된 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oil-in-water)형 화장료 조성물.
  3.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위쪽으로 떠오르는 부상형 꽃잎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부상형 꽃잎은, 장미, 동백, 쟈스민, 카렌듈라 및 당아욱꽃 중에서 선택되는 건조된 꽃잎을, 호호바 오일, 녹차씨 오일, 아보카도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동백 오일에 10분 내지 6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것이고,
    상기 전처리 과정을 거친 부상형 꽃잎은, 건조된 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oil-in-water)형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5000 cPs 이하의 점도를 갖는 스킨, 토너, 에센스 또는 세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oil-in-water)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01138A 2019-01-04 2019-01-04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1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138A KR102211737B1 (ko) 2019-01-04 2019-01-04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138A KR102211737B1 (ko) 2019-01-04 2019-01-04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068A KR20200085068A (ko) 2020-07-14
KR102211737B1 true KR102211737B1 (ko) 2021-02-04

Family

ID=7152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138A KR102211737B1 (ko) 2019-01-04 2019-01-04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2473A (zh) * 2021-07-13 2021-10-01 广州芬豪香精有限公司 一种香味持久的香水型香精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785B1 (ko) * 2005-06-30 2011-07-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5454B1 (ko) * 2007-02-01 2014-07-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8718A (ko) * 2007-06-11 2008-12-16 한국콜마 주식회사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KR101913808B1 (ko) * 2017-01-12 2018-11-01 위즈티앤티 주식회사 말린 꽃잎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9948B1 (ko) * 2017-03-13 2022-01-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건조 꽃잎을 분산시킨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068A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3372B (zh) 一种天然花瓣和采用该天然花瓣的化妆品
CN102719329B (zh) 液体香皂
CN105616281B (zh) 一种舒爽亮肤修饰乳
KR101425454B1 (ko) 꽃잎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050404A (zh) 人参花香护肤皂及其制造工艺
KR100827355B1 (ko) 두피건강용 모발샴푸
KR20180103256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KR20090060206A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CN105476950B (zh) 保湿泡沫洁面乳及其制备方法
JP2022533508A (ja) 光安定性抗酸化化粧品組成物
KR102211737B1 (ko) 꽃잎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CN102988260B (zh) 一种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24406A (zh) 一种金花葵面膜及其制备方法
KR100781553B1 (ko)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6611B1 (ko) 가죽 보호용 코팅 조성물
CN108721193A (zh) 一种可食用保健口红
KR101930348B1 (ko) 용암해수 물티슈 조성물
KR20180092599A (ko) 알콜발효 산양산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05168010A (zh) 一种完全由可用于食品生产成分组成的沐浴露
KR101631695B1 (ko) 발 마사지 크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5203B1 (ko)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
KR101519854B1 (ko)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KR20190097414A (ko) 보존화 제조방법, 레진 공예품 제조방법 및 레진 공예품 제조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