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854B1 -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854B1
KR101519854B1 KR1020150004186A KR20150004186A KR101519854B1 KR 101519854 B1 KR101519854 B1 KR 101519854B1 KR 1020150004186 A KR1020150004186 A KR 1020150004186A KR 20150004186 A KR20150004186 A KR 20150004186A KR 101519854 B1 KR101519854 B1 KR 101519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r
parts
hydrogel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택
Original Assignee
김종택
(주) 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택, (주) 제이티 filed Critical 김종택
Priority to KR102015000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팩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적외선 방출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성이 낮으면서도, 장기보관안정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팩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Composition of hydrogel emitting far-infrared ray and hydrogel mask-pack containing tha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적외선 방출량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팩은 타입에 따라 필오프 팩(peel-off pack), 워시오프 팩(wash-off pack) 및 티슈오프 팩(tissue-off pack) 등으로 나뉘는데, 필오프 팩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건조된 피막을 떼어내는 형태로서 보습, 피부 탄력회복, 피지 및 노폐물 제거 등의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필오프 타입의 일종인 튜브에 든 액상의 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액상의 수용성 팩제를 피부에 도포한 후, 일정시간 동안 방치하여 건조시켜 형성 피막을 피부로부터 박리하면서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피부에 형성된 피막을 피부로부터 박리할 때 생기는 피막의 점착력에 의해 모공 중의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충분한 각질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워시오프 타입은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난 후 물로 씻어내는 형태로서 보습, 진정, 피로회복 및 영양감 부여 등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티슈오프 팩은 크림 타입의 팩제를 얼굴에 바르고 팩제의 영양성분 일부를 피부에 흡수시키고 난 후, 나머지 팩제를 타월로 닦아내는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마스크 팩은 부직포에 물 또는 화장수를 첨가하거나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추출물 등을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티슈오프 타입인 부직포 타입의 팩은 합성 고분자로 제조되는데, 화장수나 기능성 추출물을 첨가하면 뻣뻣하게 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다. 또한 부직포를 화장액 등의 첨가제에 적셔서 지속적인 미용액의 흡수를 유도한 제형의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낮으며, 미용액이 공기에 노출됨으로 인해 야기되는 미용성분들의 변성을 피하기 어렵고, 초기에 너무 고농도의 미용성분이 피부와 접촉함으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의 소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부직포 마스크 팩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하이드로겔은 하이드로겔만으로는 외형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나 부직포, 메쉬, 망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부직포에서 하이드로겔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많았으며, 합성수지 등을 사용한 하이드로겔의 경우 생체 적합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많은 평가와 검토가 필요하다. 그 결과, 상기의 생체 적합성 등의 문제 극복을 위해 천연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천연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경우, 부직포 등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지 않고 천연에서 얻은 물질 자체를 그대로 필름 형태로 제조하기 때문에 부직포나 합성수지 등에 의한 민감성 피부의 가려움 등의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근거하여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사용한 화장용 마스크 팩이 시장에 출시되어 있으나, 콜라겐이 동물 유래 소재이며, 강도가 약해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하이드로겔 팩, 특히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대한 관련 공지 기술이 많이 있는데, 팩제로서 일본국 특개소 54-49334호는 폴리아크릴산염, 다가알코올 및 물을 주성분으로 한 보수성이 뛰어난 저박리력(低剝離力)의 팩제가 개시되어 있 다. 또한, 일본국 특공평 1-46485호 공보에는 가교형 함수겔을 기제로서 사용한 시이트상의 팩제, 그리고, 일본국 특개평 5-295004호 공보에는 천연유래 반합성 성분을 보습제 및 증점제로서 배합한 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팩제는 팩작용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과, 첩부시의 압박감과 따가운 느낌 등의 위화감이 발생하기 쉽고, 시이트 코스메틱붐이라고 떠들석한 현재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릴렉세이션 (relaxation) 요구를 만족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피부에 알맞는 점착성을 갖으면서도, 또한 피부에 대한 효과 및 안정성, 그리고 심신의 긴장완화 작용이 뛰어난 팩 작용을 갖는 하이드로겔 성분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각고의 연구 끝에, 피부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할 수 있는 최적의 조성 및 조성비를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새로운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하이드로겔 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증류수, 칼슘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글리세린(glycerin), 세라토니아 실리쿠아검(ceratonia siliqua gum), 콘드러스 크리스푸스(chondurus crispus), 잔탄검(xanthan gum) 및 원적외선 방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팩은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시, 5㎛ ~ 20㎛ 파장 범위에서 0.800 ~ 0.950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을 수 있으며, 또한, 5㎛ ~ 20㎛ 파장 범위에서, (3.00 ~ 4.00)×102 W/m2·㎛의 높은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 팩은 피부 자극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바, 피부 혈행을 도와서 피부를 개선 효과가 크면서도 하이드로겔 팩에 담긴 성분의 피부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곰팡이 등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 및/또는 지연시켜서 장기보관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기존의 하이드로겔 팩 보다 방부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바, 방부제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 팩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방출량을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2 및 도 3은 실험예 1에서 실시한 실시예 1의 하이드로겔 팩의 방사율 및 방사에너트 방출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한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제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제 외에 증류수, 칼슘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글리세린(glycerin), 세라토니아 실리쿠아검(ceratonia siliqua gum), 콘드러스 크리스푸스(chondurus crispus), 잔탄검(xanthan gum)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칼슘클로라이드 0.01 ~ 5 중량부, 글리세린 1 ~ 10 중량부, 세라토니아 실리쿠아검 0.1 ~ 8 중량부, 콘드러스 크리스푸스 0.1 ~ 2.5 중량부, 잔탄검 0.1 ~ 2 중량부 및 상기 원적외선 방사제 0.05 ~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칼슘클로라이드의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1 ~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글리세린은 점도 조절 및 보습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4 ~ 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글리세린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조성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 팩의 보습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조성물의 겔화시간이 너무 지연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세라토니아 실리쿠아검은 비타민,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이 풍부한 성분으로서,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8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1 ~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이때,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이를 사용하는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그 사용량이 과하며 피부가 흡수를 다 하지 못하는 바,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콘드러스 크리스푸스는 피부를 연화시켜서 조성물에 함유된 피부 개선 성분이 피부에 잘 흡수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5 ~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피부 연화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그 사용량이 너무 많아서 오히려 피부 탄력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잔탄검은 점증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2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1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잔탄검 함유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서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오히려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킬레이트 착화제로서, 다이소디움 EDTA(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0.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05 ~ 0.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겔 형성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긴산 및/또는 만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알긴산을 사용시, 그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1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2 ~ 0.8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만난을 사용시 그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1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1 ~ 0.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 성분인 상기 원적외선 방사제는 물(H2O) 이외에 규소(Si), 산화칼륨(K2O), 나트륨(Na), 산화붕소(B2O3), 몰리브덴(Mo), 아연(Zn), 철(Fe), 산화마그네슘(MgO), 게르마늄(Ge), 구리(Cu), 산화칼슘(CaO), 셀레늄(Se) 및 키토산을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제는 규소 0.05 ~ 0.2 ppm, 산화칼륨 80 ~ 250 ppm, 나트륨 100 ~ 300 ppm, 산화붕소 1 ~ 5 ppm, 몰리브덴 0.05 ~ 0.3 ppm, 아연 0.1 ~ 0.5 ppm, 철 0.01 ~ 0.05 ppm, 산화마그네슘 0.5 ~ 3 ppm, 게르마늄 0.02 ~ 0.1 ppm, 구리 0.02 ~ 0.1 ppm, 산화칼슘 1 ~ 8 ppm, 셀레늄 0.1 ~ 0.5 ppm 및 키토산 0.1 ~ 5 ppm의 농도로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규소 0.10 ~ 0.15 ppm, 산화칼륨 100 ~ 200 ppm, 나트륨 150 ~ 250 ppm, 산화붕소 1.5 ~ 4 ppm, 몰리브덴 0.10 ~ 0.20 ppm, 아연 0.15 ~ 0.45 ppm, 철 0.02 ~ 0.04 ppm, 산화마그네슘 1 ~ 2.5 ppm, 게르마늄 0.05 ~ 0.1 ppm, 구리 0.05 ~ 0.08 ppm, 산화칼슘 2 ~ 6.5 ppm, 셀레늄 0.2 ~ 0.5 ppm 및 키토산 2 ~ 5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원적외선 방사제의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 2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5 ~ 2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방부제, 보습제, 향료 및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로는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및 클로페네신(chlorphenes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녹시에탄올 사용시, 그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 3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이 때, 0.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너무 미비하여, 방부제를 첨가하는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라벤의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2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5 ~ 1.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너무 미비하여 충분한 방부제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마스크 팩으로 제조시,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방부제 성분인 상기 클로페네신의 사용량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 1.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이때, 0.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너무 미비하여 충분한 방부제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기능성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보습제로는 부틸렌글리콜, 히알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오이 추출물, 서양장미꽃수(rosa centifolia flower water), 편백수(chamaecyparis obtusa water), 알로에베라잎 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베테인(Betaine) 및 알란토인(allanto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틸렌글리콜의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 5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보습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히알론산나트륨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2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02 ~ 1.2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히알론산나트륨은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글루크론산으로 구성되는 장쇄상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으로 대단히 큰 분자량의 다수의 친수기?? 가지며 높은 점성을 갖는 물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점도를 유지시키고 안정성을 유지하여 보습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2 ~ 2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02 ~ 1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사용량이 0.02 중량부 미만이면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이를 첨가하는 의미가 없으며, 사용량이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졸 혼합물의 교반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오이 추출물은 보습뿐만 아니라, 미백효과를 발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2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충분한 미백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오이 냄새가 너무 많이 발생하여 하이드로겔 팩의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서양장미꽃수는 보습, 피부정화, 피부진정 및 향료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2 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0.05 ~ 1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충분한 피부진정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편백수는 보습뿐만 아니라, 항균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1.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1 ~ 0.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항균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보습 및 피부 재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5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1 ~ 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너무 적어서, 피부 재생 등의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그 사용량이 너무 많아서 하이드로겔의 겔화시간을 너무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콜라겐은 보습 및 피부의 진피층에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 2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이때, 0.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사용량이 너무 미비하여 이를 첨가하는 효과를 볼 수 없을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더라도 이의 첨가로 인한 영양 공급 효과가 증대하지 않는 바,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베테인은 천연보습성분으로서,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3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보습효과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란토인은 피부 진정 및 완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함유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3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1 ~ 1.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그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수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첨가제 성분 중 향료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향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라그란스 HP- 304017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5 ~ 2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0.01 ~ 1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0.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충분한 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로 하이드로겔 팩 제조시, 향이 너무 강하여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첨가제 성분 중 상기 오일은 계면활성제 및 용해보조제 역할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광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의 사용량은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이때,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시 본 발명의 다양한 조성 성분들간에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오히려 조성 성분들간에 상용성이 떨어져서 조성물의 겔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은 앞서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가열 및 혼합하여 졸(sol)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졸 혼합물을 성형틀에 부은 후, 겔화시켜서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졸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의 가열은 60℃ ~ 70℃로, 바람직하게는 62℃ ~ 68℃로 가열한 후, 이 온도 하에서 조성물들을 혼합하여 졸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온도가 60℃ 미만이면 조성물들간의 혼합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0℃를 초과하면 조성물 중 일부가 휘발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졸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는 단계는 20 ~ 35℃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30℃ ~ 35℃ 하에서 성형틀에 부어진 겔 혼합물을 겔화시키는 것이 좋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제조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팩은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방출량을 갖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팩은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시 5 ~ 20㎛ 파장 범위에서 0.800 ~ 0.950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바람직하게는 0.870 ~ 0.930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0.875 ~ 0.900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팩은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시 5 ~ 20㎛ 파장 범위에서 (3.00 ~ 4.0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30 ~ 3.8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3.35 ~ 3.7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팩은 피부미용을 위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하이드로겔 팩은 아이패치, 팔자주름패치, 가슴패치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준비예 1 : 원적외선 방사제 준비
하기 표 1의 성분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제를 100배 희석시켜서 원적외선 방사제를 준비하였다.
성분 함량(ppm)
규소(Si) 10
산화칼륨(K2O) 19,100
나트륨(Na) 24,500
산화붕소(B2O3) 200
몰리브덴(Mo) 10
아연(Zn) 20
철(Fe) 2
산화마그네슘(MgO) 100
게르마늄(Ge) 4
구리(Cu) 4
산화칼슘(CaO) 400
셀레늄(Se) 20
키토산(총 글루코사민) 100
증류수 나머지 잔량
실시예 1 : 원적외선 방사제 준비
상기 100 배 희석한 준비예 1의 원적외선 방사제 및 하기 표 2의 조성비를 갖는 조성물들과 65℃에서 혼합 및 교반시켜서 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마스크 형태의 틀에 부은 후, 32℃에서 겔화시켜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기 표 2의 조성 및 조성비를 갖도록 졸 혼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겔화시켜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여 실시예 2 ~ 실시예 4를 각각 실시하였다.
비교예 1 ~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기 표 2의 조성 및 조성비를 갖도록 졸 혼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겔화시켜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조하여 비교예 1 ~ 비교예 2를 각각 실시하였으며, 비교예 1은 원적외선 방사제를 사용하지 않았고, 비교예 2는 원적외선 방사제를 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은 오일 성분으로서,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광유의 총량을 0.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였다.
구분(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증류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칼슘클로라이드 2.5 2.5 2.3 1.8 2.5 2.5 2.5
글리세린 6 6 6.2 7 6 6 6
세라토니아 실리쿠아검 4 4 3.5 4.2 4 4 4
콘드러스 크리스푸스 1.5 1.5 1.2 2 1.5 1.5 1.5
잔탄검 1 1 0.8 1.2 1 1 1
다이소디움 EDTA 0.25 0.25 0.3 0.1 0.25 0.25 0.25
알긴산 - 0.5 0.6 0.8 - - -
만난 - 0.3 0.4 - - - -
원적외선 방사제 1.3 1.3 1.5 1.7 - 0.04 -
페녹시에탄올 0.08 0.08 0.07 0.1 0.08 0.08 0.08
MFP-KT - - 0.08 - - - -
클로페네신 0.2 0.2 0.1 0.05 0.2 0.2 0.2
부틸렌글리콜 2 1.8 2 1.5 2 2 2
히알론산나트륨 0.8 0.6 0.6 1 0.8 0.8 0.8
오이 추출물 0.7 1 1 0.8 0.7 0.7 0.7
서양장미꽃수 0.5 0.5 0.4 0.75 0.5 0.5 0.5
편백수 0.4 0.4 0.5 0.6 0.4 0.4 0.4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1.5 1.5 1.3 2 1.5 1.5 1.5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5 0.7 0.8 0.8 0.5 0.5 0.5
베테인 1.2 1 1.1 1 1.2 1.2 1.2
알란토인 1 1 1.2 0.8 1 1 1
프라그란스 HP- 304017 0.08 0.08 0.08 0.08 0.08 0.08 0.08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8 0.6 0.7 1 0.8 0.05 0.05
광유 0.6 0.7 0.8 1 0.6 0.03 0.03
실험예 1 :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양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 팩을 사단법인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의뢰하여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방출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 도 3 및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은 KFIA-FI-100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피부온도인 37℃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도 1에 한국원적외선 협회로부터 받은 시험성적서를 나타냈으며, 원적외선 방사율은 도 2에 나타냈고,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방출량은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의 방사율을 살펴보면, 5 ~ 20㎛ 파장에서, 0.800 ~ 0.950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바람직하게는 0.870 ~ 0.930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평균 방사율은 5 ~ 20㎛에서 0.885가 나왔다(도 1 및 하기 표 3 참조).
또한, 도 3의 방사에너지 방출량을 살펴보면, 5 ~ 20㎛ 파장에서, (3.00 ~ 4.0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6 ~ 20㎛ 파장에서, (3.30 ~ 3.8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평균방출량은 3.41×102 W/m2·㎛였다(도 1 및 하기 표 3 참조).
도 1 ~ 도 3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팩이 매우 우수한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방출량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원적외선 평균 방사율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평균 방출량(W/m2·㎛)
실시예 1 0.885 3.41×102
실시예 2 0.877 3.38×102
실시예 3 0.892 3.63×102
실시예 4 0.916 3.79×102
비교예 1 측정 불가 측정 불가
비교예 2 0.324 2.12×102
비교예 3 0.874 3.33×102
상기 표 3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3의 경우, 5 ~ 20㎛ 파장에서, 0.800 ~ 0.950의 높은 원적외선 방사율 및 (3.00 ~ 4.00)×102 W/m2·㎛의 높은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적외선 사용량이 너무 적었던 비교예 2의 경우, 원적외선 방출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 2 : 내곰팡이성 및 장기보관안정성 측정 방법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의 내곰팡이성 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실험은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10㎝×10㎝(가로×세로)로 절단한 후, 20℃ ~ 25℃ 및 상대습도 50%의 대기에 방치시켜서, 최초 곰팡이 발생일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장기보관안정성 실험결과, 실원적외선 방사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경우, 관찰실험 6일째부터 마스크팩 표면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제를 0.0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또한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관찰실험 6일째부터 마스크팩 표면에 곰팡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의 경우, 관찰실험 10일째부터 곰팡이가 발생하였고, 실시예 2의 경우, 관찰실험 12일째부터 곰팡이가 발생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마스크팩의 최초 곰팡이 발생일 차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제가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에 곰팡이에 대한 내저항성을 발생시켜서 장기보관안정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하이드로겔 팩이 원적외선 방사량 및 방사에너지 양이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제조한 하이드로겔 팩은 미생물 등으로부터 팩의 오염을 최소화시켜서 장기보관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바, 하이드로겔 팩 제조시, 기존의 하이드로겔 팩 보다 방부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팩에 미용용 화장수를 적용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을 제조하거나, 의료용 성분을 적용한 하이드로겔 팩 등으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13)

  1. 증류수, 칼슘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글리세린(glycerin), 세라토니아 실리쿠아검(ceratonia siliqua gum), 콘드러스 크리스푸스(chondurus crispus), 잔탄검(xanthan gum) 및 원적외선 방사제를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제는 물, 규소(Si), 산화칼륨(K2O), 나트륨(Na), 산화붕소(B2O3), 몰리브덴(Mo), 아연(Zn), 철(Fe), 산화마그네슘(MgO), 게르마늄(Ge), 구리(Cu), 산화칼슘(CaO), 셀레늄(Se) 및 키토산을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제는 규소 0.05 ~ 0.2 ppm, 산화칼륨 80 ~ 250 ppm, 나트륨 100 ~ 300 ppm, 산화붕소 1 ~ 5 ppm, 몰리브덴 0.05 ~ 0.3 ppm, 아연 0.1 ~ 0.5 ppm, 철 0.01 ~ 0.05 ppm, 산화마그네슘 0.5 ~ 3 ppm, 게르마늄 0.02 ~ 0.1 ppm, 구리 0.02 ~ 0.1 ppm, 산화칼슘 1 ~ 8 ppm, 셀레늄 0.1 ~ 0.5 ppm 및 키토산 0.1 ~ 5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칼슘클로라이드 0.01 ~ 5 중량부, 상기 글리세린 1 ~ 10 중량부, 상기 세라토니아 실리쿠아검 0.1 ~ 8 중량부, 상기 콘드러스 크리스푸스 0.1 ~ 2.5 중량부, 상기 잔탄검 0.1 ~ 2 중량부 및 상기 원적외선 방사제 0.05 ~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이소디움 EDTA(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0.01 ~ 0.5 중량부, 알긴산 0.05 ~ 1 중량부 및 만난 0.05 ~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방부제, 기능성 보습제, 향료 및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및 클로페네신(chlorphenes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보습제는 부틸렌글리콜, 히알론산나트륨(sodium hyaluronate), 오이 추출물, 서양장미꽃수(rosa centifolia flower water), 편백수(chamaecyparis obtusa water), 알로에베라잎 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hydrolyzed collagen), 베테인(Betaine) 및 알란토인(allanto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프라그란스 HP- 3040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및 광유(mineral oi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1. 제10항에 있어서,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시, 5㎛ ~ 20㎛ 파장 범위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0.800 ~ 0.9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2. 제10항에 있어서, KFIA-FI-1005에 의거하여 37℃에서 측정시, 5㎛ ~ 20㎛ 파장 범위에서 (3.00 ~ 4.00)×102 W/m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3.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9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60℃ ~ 70℃로 가열 및 혼합하여 졸(sol)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졸 혼합물을 30℃ ~ 35℃ 하에서 성형틀에 부어서, 겔화시켜서 하이드로겔 팩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150004186A 2015-01-12 2015-01-12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51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86A KR101519854B1 (ko) 2015-01-12 2015-01-12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186A KR101519854B1 (ko) 2015-01-12 2015-01-12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854B1 true KR101519854B1 (ko) 2015-05-20

Family

ID=5339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186A KR101519854B1 (ko) 2015-01-12 2015-01-12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37A (ko) 2018-07-25 2020-02-0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0939A (ko) 2022-10-12 2024-04-19 (주) 제이티 다층 하이드로겔 패치 및 다층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69Y1 (ko) * 2002-06-05 2002-08-27 김수경 한지 원료에 황토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된 기능성얼굴미용 마사지 팩
KR20060108282A (ko) * 2005-04-12 2006-10-17 최규준 천연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용맛사지팩의 제조방법
KR20110008648A (ko) * 2009-07-20 2011-01-27 주식회사 인섹트 바이오텍 아라자임을 함유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스킨케어 마스크
KR20140069456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삼경엠에스엠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69Y1 (ko) * 2002-06-05 2002-08-27 김수경 한지 원료에 황토와 원적외선 방사 물질이 혼합된 기능성얼굴미용 마사지 팩
KR20060108282A (ko) * 2005-04-12 2006-10-17 최규준 천연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용맛사지팩의 제조방법
KR20110008648A (ko) * 2009-07-20 2011-01-27 주식회사 인섹트 바이오텍 아라자임을 함유한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스킨케어 마스크
KR20140069456A (ko) * 2012-11-29 2014-06-10 주식회사 삼경엠에스엠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837A (ko) 2018-07-25 2020-02-04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50939A (ko) 2022-10-12 2024-04-19 (주) 제이티 다층 하이드로겔 패치 및 다층 하이드로겔 패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368B1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CN105411919A (zh) 一种玫瑰护肤品及其制备方法
EP2465487A2 (en) Propylene glycol/glycerin-based deodorant
KR20140061115A (ko) 스티키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3393A (ko) 키토산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팩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069393B (zh) 化妆用醇凝胶膜及其制造方法
JP2013253036A (ja) 血行促進剤、発汗促進剤及び浴用組成物
KR101519854B1 (ko) 원적외선 방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TWI533887B (zh) 外用劑套組
CN105686971A (zh) 一种聚氨基酸凝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063770B (zh) 一种含有生长因子的凝胶贴膜及其制备方法
CN104224599A (zh) 花青素晒后修复凝露
CN107920971A (zh) 头皮用组合物、头皮用化妆料和头皮用组合物的涂布方法
CN110496069A (zh) 一种小分子聚肽原液及其制备方法
KR20150067823A (ko) 워시 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769A (ko) 겔 마스크팩 조성물
KR101712023B1 (ko) 한지에 홍삼을 적층시킨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5990A (ko)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제조방법
TW201841602A (zh) 身體化妝料
KR20050062473A (ko) 황토를 첨가한 겔형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082359B1 (ko) 구리 이온을 이용하는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1555B1 (ko) 지지체가 없는 온도 감응형 3중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00043744A (ko)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0897364B1 (ko) 기능성 이미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천연 미용비누 및기능성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