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686B1 -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 Google Patents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686B1
KR102211686B1 KR1020190141272A KR20190141272A KR102211686B1 KR 102211686 B1 KR102211686 B1 KR 102211686B1 KR 1020190141272 A KR1020190141272 A KR 1020190141272A KR 20190141272 A KR20190141272 A KR 20190141272A KR 102211686 B1 KR102211686 B1 KR 102211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odular
flow path
path form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광
계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마
Priority to KR102019014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4Arrangements for modifying the way in which the rate of flow varies during the actuation of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형성 몸체, 상기 유로형성 몸체 일 측에 형성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내부관로, 상기 내부관로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위생용 글로브 밸브는 부품 수를 최소화 하여 세척 및 멸균 작업 진행을 위한 분해/조립 시간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글로브 밸브와 비교하여 글로브 밸브의 크기를 유의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가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Module Type Flow Control Glove Valve for Sanitation}
본 발명은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형성 몸체, 유입부, 내부관로 및 상기 내부관로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이다.
산업 고도화에 따라 소재 및 원료의 위생이 요구되는 의약제조공정, 식품첨가제 투입공정 등 라인에도 미량 투입 시, 유량 조절에 한계를 극복해야하는 필요성이 발생된다.
기존의 위생용 배관라인에서 많이 사용되는 볼 밸브 및 위생용 버터플라이 밸브는 45 도 이내의 개폐범위에서는 유량 값의 조절이 가능하나 45-90 도 초과 시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의 면적이 커져 45°이후에는 유량 제어가 불가능해 정밀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위생용 밸브에 대한 수요가 제기되고 있다.
위생용 밸브는 위생공정 장비로 식품, 제약, 화학 산업의 제조 생산설비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밸브 및 운송 기기류, 배관용 파이프 등을 의미하며, 해당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규격에 의해 생산된 운송 장비를 의미한다.
밸브는 유체를 흐르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유로를 개폐하는 기기이며 개폐방식에 따라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글로브 밸브로 구분된다(하기 도 1 참조).
식품, 제약, 화학산업은 제품생산을 위해 원료가 되는 가스, 증기, 물, 화학물질과 같은 액체의 유량을 격리, 전환, 혼합방지 하는 핵심 공정이 수반되며, 이에 따라 유량의 컨트롤을 위한 밸브가 필수적인 장비로 구비되어야 한다(하기 도 2 참조). 특히, 글로브 밸브는 볼, 버터플라이 유형의 밸브와 달리 미세 조절이 가능하여, 미세한 소재 투입 조절이 필요한 산업에서 가장 신뢰성 높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기존 글로브 밸브는 기본적으로 밸브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는 추력을 가진 규격의 실린더, 밸브와 실린더(구동기)의 연결을 수행하는 요크, 소재의 운반을 직접적으로 개폐하는 플러그, 구동기의 힘으로 플러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의 전달체(막대 기둥) 스템(Stem), 플러그와 맞닿아 밀폐를 지원하는 시트(Seat), 소재의 운반 통로 및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밸브 바디로 구성 된다.
그러나 상술한 기존 글로브 밸브의 경우 약 20여종의 부품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분해/조립에 약 30~40분 이상이 소요되고 멸균기를 통한 멸균 후 재조립에 약 30~40분, 총 60~90분이 소요되어 유지보수 효율에 한계가 있다.
또한, 버핑가공 편의를 위한 수직구조 설계(하기 도 3 참조, 조립전1,2,3화살표방향 가공) 및 밀착력 강화 설계 결과 밸브의 파이프 결합 시 배관이 2층의 구조로 2배 공간이 필요한 것은 물론, 단층 실린더 구조를 채택하여 2중 실린더 대비동일 구동력 발생을 위해 2배의 면적 필요한 문제가 존재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74365호(발명의 명칭 : 유량 조절 밸브)에서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유체의 유량이 조절되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외측부에 관부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통로에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며 미끄럼 이동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한 밸브헤드; 상기 밸브 하우징의 관부에 하부 외면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하 양측으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수용몸체; 상기 수용몸체의 상측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고 나선이 하부 외주부에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 외주부가 상측에서 삽입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선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몸체의 하부 내벽에 대해 회전이 방지된 채 상기 내부공간에서 상하로 미끄럼 이동되고, 상기 밸브헤드가 결합나사에 의해 하단부에 결합된 이동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용이한 회전을 제공하는 회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유량 조절밸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은 글로브 밸브 구조를 단순화시킨 장점은 존재하나, 밸브 바디에 2층 구조를 채택하고, 밸브바디의 제작이 까다로운 등 상기 문제점들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글로브 밸브 부품의 수를 최소화 하여 세척 및 멸균 작업 진행을 위한 분해/조립 시간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글로브 밸브와 비교하여 글로브 밸브의 크기를 유의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가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위생용 글로브 밸브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밸브 바디의 내부에 배관 형성을 위한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장착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실린더 구조에 이중 실린더 기술을 적용할 경우 상술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글로브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글로브 밸브 부품의 수를 최소화 하여 세척 및 멸균 작업 진행을 위한 분해/조립 시간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글로브 밸브와 비교하여 글로브 밸브의 크기를 유의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가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위생용 글로브 밸브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밸브 바디의 내부에 배관 형성을 위한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장착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실린더 구조에 이중 실린더 기술을 적용할 경우 상술한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로형성 몸체, 상기 유로형성 몸체 일 측에 형성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내부관로, 상기 내부관로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모듈식’은 주요 구성의 전부 또는 일부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일체의 형식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클램프(clamp)’는 복수의 물체들을 상호 연결, 결합 또는 체결하기 위한 일체의 도구 또는 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활주(滑走)’는 특정 물체가 다른 물체와 접촉하여 미끄러져 이동하는 일체의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밸브시트’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결합하여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통공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는 글로브 밸브 중 식품, 제약 또는 화학산업 등에 사용하기 위해 밸브 표면을 버핑(Burffing) 가공 처리한 글로브 밸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버핑’은 연마제를 사용하여 표면조도를 조정하는 일체의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양측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 안착을 위한 개구가 형성된 밸브바디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가 양측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 안착을 위한 개구가 형성된 밸브바디의 내부에 결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양측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 안착을 위한 개구가 형성된 밸브바디의 내부에 결합할 경우 밸브바디 내부에 복잡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가공작업이 필요 없는 것은 물론,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제거에 의해 밸브바디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상기 유입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상기 유입부 주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바디 내주면과 밀착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입부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제1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밸브시트와 상기 개구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시트에서 유출된 유체를 상기 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배출유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형성 몸체 타 측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 내부면에 밀착한 지지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입부, 상기 내부관로, 상기 밸브시트 및 상기 배출유로를 통과한 다음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하측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 축이 형성 또는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하측에는 상기 높이조절 축을 수용하기 위한 축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하측에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 축이 형성 또는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하측에 상기 높이조절 축을 수용하기 위한 축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높이조절 축 및 상기 높이조절 축을 수용할 수 있는 축 수용부를 포함할 경우 상기 높이조절 축을 이용하여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린 다음,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고압의 세척액을 통과시켜 밸브바디 내부를 손쉽게 세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 축의 주변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축 수용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밀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절 축의 상하 운동에 의해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중 실린더, 상기 이중 실린더가 상측에 결합된 밸브바디, 상기 이중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서 유량을 조절하는 스템, 및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유로형성 몸체, 상기 유로형성 몸체 일 측에 형성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내부관로, 상기 내부관로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에 포함된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 구성과 관련된 사항은 상술한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와 공통되므로 몬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중 실린더, 상기 이중 실린더가 상측에 결합된 밸브바디, 상기 이중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서 유량을 조절하는 스템, 및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는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는 바람직하게는 유로형성 몸체, 상기 유로형성 몸체 일 측에 형성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내부관로, 상기 내부관로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에 포함된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 구성과 관련된 사항은 상술한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와 공통되므로 몬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유로형성 몸체, 상기 유로형성 몸체 일 측에 형성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내부관로, 상기 내부관로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제공한다.
(b) 본 발명인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듈식 위생용 글로브 밸브는 부품 수를 최소화 하여 세척 및 멸균 작업 진행을 위한 분해/조립 시간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글로브 밸브와 비교하여 글로브 밸브의 크기를 유의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제품의 가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인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인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의 분해도를 나타낸다(좌측: 이중실린더, 우측: 밸브바디).
도 5는 밸브바디에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인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밸브가 닫힌 상태).
도 7은 본 발명인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밸브가 열린 상태).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의 정면도, 좌측면도 및 평면도 및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가 결합된 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100)의 분해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는 유입부(2), 내부관로(3), 밸브시트(4), 제1 밀폐부(5), 지지대(6), 높이조절 축(7), 제2 밀폐부(8) 및 유로형성 몸체(9)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2)는 후술하는 밸브바디(20)의 유입구(22) 및 제1 관로(21)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시작점으로 후술하는 내부관로(3)와 연결된다.
상기 내부관로(3)는 상기 유입부(2)를 통해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관로로 내부관로(3)를 통해 이동한 유체는 후술하는 밸브시트(4)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밸브시트(4)는 상기 내부관로(3)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후술하는 통로(30)로 토출하기 위한 출구이다. 상기 밸브시트(4)에는 후술하는 플러그(423)가 결합하여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제1 밀폐부(5)는 상기 유입부(2) 주변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밸브바디(20) 내주면과 밀착하여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입부(2)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밀폐부(5)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밀폐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브바디(20)의 내주면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밀폐부(5)의 밀폐력을 보조 또는 증가시키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 패킹 등의 부재를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6)는 상기 유입부(2)의 반대편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밸브시트(4)와 후술하는 개구(23) 사이에는 상기 밸브시트(4)에서 유출된 유체를 후술하는 유출구(26)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25)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로(25)는 후술하는 유로형성 몸체(9) 타 측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4) 내부면에 밀착한 상기 지지대(6)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밸브바디(20)의 상기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입부(2), 상기 내부관로(3), 상기 밸브시트(4) 및 상기 배출유로(25)를 통과한 다음 상기 밸브바디(20)의 후술하는 유출구(26)를 통해 유츌된다.
상기 높이조절 축(7)은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의 하측에 형성 또는 결합되며,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는 상기 높이조절 축의 상하 운동에 의해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밸브바디(20)의 하측에는 상기 높이조절 축(7)을 수용하기 위한 축 수용부(28)가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축 수용부(28)에는 상기 높이조절 축(7)과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 축(7)을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 축(7)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유입구(22)와 상기 유출구(26)가 직접 연결되어 밸브 관로에 고압의 세척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밸브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제2 밀폐부(8)는 상기 높이조절 축(7)의 주변에 형성 또는 결합하여 상기 배출유로(25)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축 수용부(28)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로형성 몸체(9)는 상술한 유입부(2), 내부관로(3), 밸브시트(4), 제1 밀폐부(5), 지지대(6), 높이조절 축(7) 및 제2 밀폐부(8)가 형성 또는 결합된 몸체이고,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합성수지를 사용할 경우 사출성형 방식 또는 절삭가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을 사용할 경우 다이캐스팅 또는 절삭가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100)는 실린더바디(11), 헤드커버(12), 제1 스템 지지부(121), 테일커버(13), 제2 스템 지지부(131), 밀폐용 패킹부재(132), 고정판(14), 제3 스템 지지부(141), 제1 실린더(15), 제1 피스톤(16), 제2 실린더(17), 제2 피스톤(18) 및 밸브바디 결합부(19)를 포함하는 이중 실린더(10), 제1 관로(21), 유입구(22), 개구(23), 제2 관로(24), 배출유로(25), 유출구(26), 실린더 결합부(27) 및 축 수용부(28)를 포함하는 밸브바디(20), 통로(30), 상측파트(41), 제1 스템(411), 제1 연결수단(412), 하측파트(42), 제2 스템(421), 제2 연결수단(422), 플러그(423) 및 연결부(43)를 포함하는 스템(40) 및 클램프(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실린더(10)는 실린더바디(11), 헤드커버(12), 제1 스템 지지부(121), 테일커버(13), 제2 스템 지지부(131), 밀폐용 패킹부재(132), 고정판(14), 제3 스템 지지부(141), 제1 실린더(15), 제1 피스톤(16), 제2 실린더(17), 제2 피스톤(18) 및 밸브바디 결합부(19)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1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내부 실린더에 피스톤을 활주 가능하게 안착하여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스템(40)에 전달한다.
상기 헤드커버(12)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바디(11)의 상단을 밀폐한다.
상기 헤드커버(12)의 중간 부분에는 제1 스템 지지부(121)가 형성되어, 스템(40)의 상측파트(4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스템 지지부(121)와 상기 스템(40)의 상측파트(41) 사이에는 밀폐용 패킹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실린더 내부의 기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테일커버(13)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바디(11)의 하단을 밀폐한다.
상기 테일커버(13)의 중간 부분에는 제2 스템 지지부(131)가 형성되어, 스템(40)의 상측파트(4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스템 지지부(131)와 상기 스템(40)의 상측파트(41) 사이에는 밀폐용 패킹부재(132)가 설치되어 실린더 내부의 기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판(14)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실린더바디(11) 내부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바디(11) 내부를 제1 실린더(15) 및 제2 실린더(17)로 구분한다.
상기 고정판(14)의 중간 부분에는 제3 스템 지지부(141)가 형성되어, 스템(40)의 상측파트(4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스템 지지부(141)와 상기 스템(40)의 상측파트(41) 사이에는 밀폐용 패킹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실린더 내부의 기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실린더(15)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실린더바디(11)의 내부 공간 중 헤드커버(12)와 고정판(14)에 의해 구획된 부분으로, 제1 피스톤(16)을 활주 가능하게 안착한다.
상기 제1 피스톤(16)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실린더(15)에 안착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스템(40)의 상측파트(41)에 전달한다.
상기 제2 실린더(17)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실린더바디(11)의 내부 공간 중 고정판(14)과 테일커버(13)에 의해 구획된 부분으로, 제2 피스톤(18)을 활주 가능하게 안착한다.
상기 제2 피스톤(18)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실린더(15)에 안착되어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스템(40)의 상측파트(41)에 전달한다.
상기 실린더바디(11)의 하측 부분에 형성된 밸브바디 결합부(19)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밸브바디(20)의 상측에 형성된 실린더 결합부(27)와 결합하여 후술하는 통로(30)를 형성한다.
상기 밸브바디 결합부(19)의 중간 부분에는 제4 스템 지지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스템(40)의 하측파트(4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4 스템 지지부와 상기 스템(40)의 하측파트(42) 사이에는 밀폐용 패킹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통로(30)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바디(20)는 제1 관로(21), 유입구(22), 개구(23), 제2 관로(24), 배출유로(25), 유출구(26), 실린더 결합부(27) 및 통로(3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20)의 일 측에는 일 측 단부에 유입구(22)를 포함하는 제1 관로(2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23)는 상기 밸브바디(20) 중간 부분의 상 측에 형성되고,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1) 및 플러그(423)와 결합하여 밸브바디(20)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개구(23)는 제1 관로(21)의 타 측 상부에 연장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밸브바디(20)를 통해 통로(30)로 유입한 다음, 제2 관로(24)의 배출유로(25 및 유출구(26)를 통해 밸브바디(2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밸브바디(20)의 주변에는 실린더 결합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결합부(27)는 상기 밸브바디 결합부(19)와 결합하여 제1 관로(21)와 제2 관로(24)를 연결하는 통로(3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템(40)은 상측파트(41), 제1 스템(411), 제1 연결수단(412), 하측파트(42), 제2 스템(421), 제2 연결수단(422), 플러그(423) 및 연결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파트(41)는 일 단부에 제1 연결수단(412)이 형성된 제1 스템(411)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파트(42)는 일 단부에 제2 연결수단(422)이 형성되고, 타 단부에 플러그(423)가 형성 또는 결합된 제2 스템(4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수단(412) 및 상기 제2 연결수단(422)은 결합하여 연결부(43)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50)는 상기 밸브바디(20)의 일 측에 형성된 유입구(22)와 파이프, 상기 밸브바디(20)의 일 측에 형성된 유출구(26)와 파이프 및 상기 실린더 결합부(27)와 상기 밸브바디 결합부(19)를 결합한다.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 1 유입부 2
내부관로 3 밸브시트 4
제1 밀폐부 5 지지대 6
높이조절 축 7 제2 밀폐부 8
유로형성 몸체 9
이중 실린더 10 실린더바디 11
헤드커버 12 제1 스템 지지부 121
테일커버 13 제2 스템 지지부 131
밀폐용 패킹부재 132 고정판 14
제3 스템 지지부 141 제1 실린더 15
제1 피스톤 16 제2 실린더 17
제2 피스톤 18 밸브바디 결합부 19
밸브바디 20 제1 관로 21
유입구 22 개구 23
제2 관로 24 배출유로 25
유출구 26 실린더 결합부 27
축 수용부 28 통로 30
스템 40 상측파트 41
제1 스템 411 제1 연결수단 412
하측파트 42 제2 스템 421
제2 연결수단 422 플러그 423
연결부 43 클램프 50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100

Claims (10)

  1. 이중 실린더,
    상기 이중 실린더가 상측에 결합된 밸브바디,
    상기 이중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서 유량을 조절하는 스템, 및
    상기 밸브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는
    유로형성 몸체, 상기 유로형성 몸체 일 측에 형성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측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내부관로, 상기 내부관로를 통과한 유체가 토출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는 양측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 안착을 위한 개구가 형성된 밸브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상기 유입부는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상기 유입부 주변에는 상기 밸브바디 내주면과 밀착하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를 상기 유입부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제1 밀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와 상기 개구 사이에는 상기 밸브시트에서 유출된 유체를 상기 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유로형성 몸체 타 측의 일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 내부면에 밀착한 지지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입부, 상기 내부관로, 상기 밸브시트 및 상기 배출유로를 통과한 다음 상기 밸브바디의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하측에는 상기 모듈식 유로형성 구조체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 축이 형성 또는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의 하측에는 상기 높이조절 축을 수용하기 위한 축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축의 주변에는 상기 배출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축 수용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밀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KR1020190141272A 2019-11-06 2019-11-06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KR102211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272A KR102211686B1 (ko) 2019-11-06 2019-11-06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272A KR102211686B1 (ko) 2019-11-06 2019-11-06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686B1 true KR102211686B1 (ko) 2021-02-03

Family

ID=7457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272A KR102211686B1 (ko) 2019-11-06 2019-11-06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6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336A (ja) * 1995-03-27 1996-10-11 Seiritsu Kogyo Kk シート面補正バルブ
JP2001324051A (ja) * 2000-05-17 2001-11-22 Nec Yamagata Ltd L型真空バルブ
KR20110136279A (ko) * 2010-06-14 2011-12-21 유운상 정유량 감압밸브
KR20130062249A (ko) * 2011-12-02 2013-06-12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제어밸브
KR20180080789A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대정밸브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336A (ja) * 1995-03-27 1996-10-11 Seiritsu Kogyo Kk シート面補正バルブ
JP2001324051A (ja) * 2000-05-17 2001-11-22 Nec Yamagata Ltd L型真空バルブ
KR20110136279A (ko) * 2010-06-14 2011-12-21 유운상 정유량 감압밸브
KR20130062249A (ko) * 2011-12-02 2013-06-12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제어밸브
KR20180080789A (ko) * 2017-01-05 2018-07-13 주식회사 대정밸브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0671C (en) Vorticity generators for use with fluid control systems
RU2655080C9 (ru) Осевые клапаны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с кольцевыми элементами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GB2091852A (en) Double block and vent valve
CA2916997C (en) Axial fluid valves
CN101377245A (zh) 一种气动二位二通活塞式角座阀
KR102211686B1 (ko)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KR20220078532A (ko)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KR102400331B1 (ko) 분리 편의성이 향상된 클램프 결합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KR20210054938A (ko)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KR102117156B1 (ko)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US3378034A (en) Single control mixing faucet
KR102117157B1 (ko)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EP2867564B1 (en) Axial fluid valves having linear actuators
US5439024A (en) Sanitary gate valve with tapered valve plug
CN110701320A (zh) 卫生用流量调节截止阀
RU2637790C1 (ru) Запорный нажимной клапан
CN110748650A (zh) 模块式卫生流量调节截止阀
KR20180054299A (ko) 자동 밸브 장치
US20160201824A1 (en) Zero pocket valve
US3315792A (en) Valve for conveyors
US3451652A (en) Sanitary valve
CN109482553B (zh) 阀门冲洗装置
CN216611820U (zh) 灌装阀结构
JPH05272648A (ja) ダイアフラム弁
CA2859405C (en) Vorticity generators for use with fluid contro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