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789A -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 Google Patents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789A
KR20180080789A KR1020170001749A KR20170001749A KR20180080789A KR 20180080789 A KR20180080789 A KR 20180080789A KR 1020170001749 A KR1020170001749 A KR 1020170001749A KR 20170001749 A KR20170001749 A KR 20170001749A KR 20180080789 A KR20180080789 A KR 2018008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valve seat
stem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385B1 (ko
Inventor
곽경민
이중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정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정밸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정밸브
Priority to KR102017000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3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16K1/427Attachment of the seat to the housing by one or more additional fix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초임계유동 전용밸브가 개시된다. 개시된 초임계유동 전용밸브는 일측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공을 형성하고, 타측면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공과 배출공을 연결하는 스템설치공을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하여,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된 밸브보디; 상기 스템설치공과 연통된 유량제어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공과 연통된 유량도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보디에 결합되는 밸브시트; 상기 스템설치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유량제어공을 개폐하는 제어핀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보디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밸브보디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Supercritical flow exclusive valve}
본 발명은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시트를 밸브보디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초임계유동에서의 밸브 교체비용을 줄여주고, 밸브시트에 유동안정화 그루브를 형성하여 초임계유동의 민감한 유동제어를 원활하게 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에 관한 것이다.
초임계 유체는 에너지 및 물질전달 속도가 빠르고, 저점도, 고확산 계수로 인한 미세공으로의 빠른 침투성 등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기존의 반응 및 분해, 결정화, 증류, 추출, 흡수, 건조, 흡착 등의 공정에서 저효율, 저품질, 환경에의 악영향 등과 같은 기술적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신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초임계유체 관련 기술은 화학공업, 재료공업, 전자공업, 반도체 공업, 기계공업, 환경공업, 식품공업, 제약산업 등 여러 산업 공정에서 고품질의 제품향상, 효율향상, 환경친화공정, 에너지절약공정 또는 고속공정을 위한 공통적 기반기술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초임계유체를 응용한 산업은 다양한 적용분야에서 새로운 신사업 아이템으로 기대되고 있는 기술분야로서 향후 거대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초임계 유체로는 일반적으로 H2O와 CO2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초임계유체를 응용한 설비를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주요설비로는 압축기, 열교환기, 배관, 밸브류 및 챔버 등이 구성되고 있으며, 특히 밸브는 초임계유체의 이송, 배분 및 제어를 담당하는 배관설비의 핵심요소 부품이다.
초임계유체에서 특히 초임계수(초임계온도 374, 임계압력 22.1MPa 이상의 물)의 경우, 초임계수 설비에 설치된 밸브는 다른 산업용 밸브에 비해 고온 고압의 작동조건에 대한 내압성, 기밀성 및 내구성과 함께, 일정한 고압을 상시 유지시켜주기 위해서 밸브에서의 열림 정도에 대한 정밀한 제어성이 요구된다.
또한 초임계수 영역에서는 초임계 조건에 따라서 급격한 고온산화 및 재료 부식이 발생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재질선정이 상당히 중요한 기술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초임계수 유체에 사용되는 밸브류는 일반 산업용 밸브를 일부 수정 또는 그대로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결과 고온 고압의 가혹한 유동조건에 대한 내압성 및 기밀성 문제와 함께 초임계 조건에서 재료의 고온 산화 및 부식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야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초임계수 영역에 적용된 밸브를 수일 내지 수주일 내에 전량교체를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것은 초임계수 설비의 운영 효율성 저하, 비용 상승 및 제품품질에 대한 치명적 결함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초임계유동 조건에서 발생하는 고온 산화 및 재료부식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고, 밸브 교체비용 절감 및 안정적인 정밀 압력 제어가 가능한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1-00199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밸브시트를 밸브보디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고온.고압의 초임계유동에서 밸브 교체비용을 줄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시트에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초임계유동의 민감한 유동상태를 안정화시켜 제어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혹한 부식환경에 노출되는 초임계밸브의 밸브시트를 티타늄으로 제작하여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공을 형성하고, 타측면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공 및 배출공과 연통하는 스템설치공을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하여,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된 밸브보디; 상기 스템설치공과 연통된 유량제어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공과 연통된 유량도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보디에 결합되는 밸브시트; 상기 스템설치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유량제어공을 개폐하는 제어핀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보디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밸브보디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스템설치공에 배치되며, 유량제어공과 유량도입공이 형성된 밸브시트 보디; 및 일단은 상기 밸브시트 보디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은 상기 밸브보디의 하부홈에 체결되는 밸브시트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밸브시트 고정볼트는, 상기 밸브보디의 하부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보디의 하부홈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 보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밸브시트 고정볼트는, 상기 돌출부와 인접하는 상기 몸통부의 단차면 상에 형성된 제1 오링 홈; 및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오링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량도입공은 상기 스템설치공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시트 보디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공과 대향하도록 링(Ring) 형상의 유동안정화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밸브시트의 재질은 티타늄(Titaniu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초임계유동 전용밸브는 상기 스템설치공에 안착되어 스템설치공과 상기 밸브스템 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상기 패킹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링을 지지하는 오링 하우징; 상기 오링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는 상기 밸브스템이 이동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스템의 승강을 안내하는 글랜드부시; 및 상기 밸브스템이 관통하는 중심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템설치공 상부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글랜드부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글랜드;를 더 포함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는 밸브시트를 밸브보디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고온.고압의 초임계유동에서의 밸브 교체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는 밸브시트에 유동안정화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초임계유동의 민감한 유동상태를 안정화시켜 제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는 가혹한 부식환경에 노출되는 초임계밸브의 밸브시트를 티타늄으로 제작하여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초임계유동 전용밸브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초임계유동 전용밸브는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된 밸브보디(100)와, 상기 밸브보디(1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유동의 개폐가 이뤄지는 밸브시트(600)와, 상기 밸브보디(100)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스템(200)과, 상기 밸브보디(100)와 밸브스템(20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300)과, 패킹(3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링을 지지하는 오링 하우징(700)과, 상기 밸브스템(2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글랜드부시(400)와, 상기 글랜드부시(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글랜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보디(100)는 유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공(101)을 형성되고, 타측면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1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공(101) 및 배출공(102)과 연통된 스템설치공(103)을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한다.
상기 공급공(101)과 배출공(102)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는 유동배관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공급공(101)과 배출공(102)은 밸브보디(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소정 깊이로 형성하되, 상기 공급공(101) 내측 단부에 는 공급공(10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진 연결공(101a)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101a)을 후술할 밸브시트(600)의 유량도입공(603)과 연통되게 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102) 내측 단부에는 배출공(10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면서 스템설치공(103)에 수평으로 연결된 연결공(102a)을 형성하여, 스템설치공(103) 내부의 유체가 배출공(10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밸브보디(100)의 하부에는 후술할 밸브시트 고정볼트(602)가 체결될 하부홈(10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동 전용밸브는 밸브시트(600)가 밸브보디(100)와 일체로 형성된 종래기술과 달리, 밸브보디(100)와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고온.고압의 초임계유동에서 가장 가혹한 환경에 노출되는 밸브시트(60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밸브시트(600)만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밸브를 설계함으로써 밸브보디 전체를 교체하는 종래에 비해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밸브시트(600)는 밸브시트 보디(601) 및 밸브시트 고정볼트(602)로 구성된다.
밸브시트 보디(601)는 스템설치공(103)에 배치되며, 유량도입공(603)과 유량제어공(104)이 형성된다.
유량도입공(603)은 공급공(101)과 연통되어 있어, 공급공(101)으로 유입된 유체가 유량도입공(603)을 통해 밸브시트(600)를 경유하게 된다.
유량제어공(104)은 스템설치공(103)과 연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밸브시트(600)에 유입된 유체는 유량제어공(104)과 밸브스템(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출된다.
상기 유량제어공(104)의 직경은 사용하는 유체의 종류, 유량, 압력, 온도 등 여러 사용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유량제어공(104)의 상단부에는 상기 밸브스템(200)의 개폐시에 밸브스템(200)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기밀 유지를 통해 정밀한 유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경사면(10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시트 보디(601)에는 유량도입공(603)이 상기 스템설치공(103)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축대칭을 이루며 형성된다.
유량도입공(603)이 하나가 설치된 경우, 유입된 고압의 유체는 밸브보디(100)에 비대칭적인 요동을 부가하게 되어, 정밀한 유량제어가 곤란하게 된다.
한편 연결공(101a)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유체가 유량도입공(603)에 직접적으로 유입될 경우, 유동단면적의 급격한 변화와 유동경로의 변경으로 인해 심한 난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유량도입공(603)에 인접한 유량제어공(104)의 유동에 영향을 미쳐 정밀한 유량 제어를 곤란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밸브시트 보디(601)에 복수개의 유량도입공(603)을 상기 스템설치공(103)의 반경방향으로 축대칭을 이루며 형성한다. 이를 통해 유입되는 고압 유체에 의한 요동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밸브시트 보디(601)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공(101a)과 대향하도록 링(Ring) 형상의 유동안정화 그루브(601a)를 형성한다. 연결공(101a)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유체는 유량도입공(603)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싸는 유동안정화 그루브(601a)를 경유하면서 유동의 난류특성이 완화되며, 스템설치공(103)에 축 대칭으로 배치된 복수의 유량도입공(603)에 대칭적으로 유입된다. 결국 유량제어공(104)에서의 유동상태가 안정화되어 제어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초임계유동에서는 급격한 고온산화 및 재료 부식이 발생하므로, 밸브시트 보디(601)의 재질은 내부식성이 좋은 티타늄(Titaniu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표면에 기밀성이나 내마모성 향상을 위해 표면코팅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밸브시트 보디(601)의 장탈 및 장착을 위해 밸브시트 고정볼트(602)가 제공된다.
밸브시트 고정볼트(602)는 일단은 상기 밸브시트 보디(601)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은 상기 밸브보디(100)의 하부홈(105)에 체결된다.
밸브시트 고정볼트(602)는 헤드부(602a), 몸통부(602b) 그리고 돌출부(602c)로 구성된다.
헤드부(602a)는 상기 밸브보디(100)의 하부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구성이다. 몸통부(602b)는 헤드부(602a)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보디(100)의 하부홈(105)의 내측면에 체결된다. 그리고 돌출부(602c)는 상기 몸통부(602b)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 보디(601)의 하부에 결합된다.
밸브시트 고정볼트(602)에는 밸브보디(100) 하부로의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오링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돌출부(602c)와 인접하는 상기 몸통부(602b)의 단차면 상에 제1 오링 홈(602d)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02c)의 측면에는 제2 오링 홈(602e)이 형성된다.
밸브스템(200)은 상기 밸브보디(100)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스템설치공(103)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밸브스템(200)의 하단부에는 유량제어공(104)과 미세 유격을 가지도록 유량제어공(104)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제어핀(201)이 형성된다.
제어핀(201)은 봉체로 형성되며, 제어핀(201)의 외경 및 제어핀(201)과 유량제어공(104) 간의 유격은 유체의 종류나, 유량, 압력, 온도 등 여러 사용 조건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밸브스템(200)을 최대 높이로 상승시키더라도, 제어핀(201)은 유량제어공(104)을 완전히 이탈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스템(200) 상단부에는 밸브스템 연결부재(800)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스템 연결부재(800)에 밸브스템(200)을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유량제어 자동컨트롤러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보디(100)를 통한 유량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량제어 자동컨트롤러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바, 그에 대한 도면의 도시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패킹(300)은 상기 스템설치공(103)과 상기 밸브스템(200) 간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템설치공(103) 상부의 걸림턱(106)에 다층 구조로 안착되게 설치한다.
상기 패킹(300)은 유체의 누설 방지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고무, 가죽, 천연섬유, 테플론과 같은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패킹(300) 상부에는 오링 하우징(700)이 배치된다. 오링 하우징(700)은 스템설치공(103)에 설치된 오링을 지지한다. 오링은 오링 하우징(70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한다.
밸브스템(200)이 스템설치공(103)을 관통하여 극미세 유량제어를 위해 상하로 승강하는 과정에서 밸브스템(200)의 정밀한 승강을 안내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기밀성 유지를 위하여 오링 하우징(700)의 상부와 하부에는 적어도 각각 하나 이상의 오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링 하우징(700)의 상부에는 글랜드부시(400)가 안착된다. 글랜드부시(400)는 중앙에 관통공(401)이 형성되어, 밸브스템(200)의 승강을 안내한다.
글랜드부시(400)의 외경은 스템설치공(103)의 내경과 최소한의 유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글랜드부시(400)는 밸브스템(2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내주면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제조되며, 내주면의 내마모성 향상을 위해서 내주면에는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랜드부시(400)의 상부에는 글랜드(500)가 결합된다. 글랜드(500)는 상기 밸브스템(200)이 관통하는 중심공(50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템설치공(103) 내부에 설치되는 글랜드부시(400) 등의 부속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템설치공(103) 내부에 설치되는 부속의 손상시, 유지 보수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스템설치공(103) 상부의 암나사부(103a)에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밸브보디 100
공급공 101
연결공 101a
배출공 102
연결공 102a
스템설치공 103
암나사부 103a
유량제어공 104
하부홈 105
걸림턱 106
밸브스템 200
제어핀 201
밸브시트부 202
패킹 300
글랜드부시 400
관통공 401
글랜드 500
중심공 501
밸브시트 600
밸브시트 보디 601
유동안정화 그루브 601a
밸브시트 고정볼트 602
헤드부 602a
몸통부 602b
돌출부 602c
유량도입공 603
제1 오링 홈 602d
제2 오링 홈 602e
오링 하우징 700
밸브스템 연결부재 800

Claims (7)

  1. 일측면에 유체를 공급하는 공급공을 형성하고, 타측면에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공급공 및 배출공과 연통하는 스템설치공을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하여, 유체의 유동경로가 형성된 밸브보디;
    상기 스템설치공과 연통된 유량제어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공과 연통된 유량도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보디에 결합되는 밸브시트;
    상기 스템설치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일단에는 상기 유량제어공을 개폐하는 제어핀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보디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밸브보디로부터 장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스템설치공에 배치되며, 유량제어공과 유량도입공이 형성된 밸브시트 보디; 및
    일단은 상기 밸브시트 보디의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은 상기 밸브보디의 하부홈에 체결되는 밸브시트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 고정볼트는,
    상기 밸브보디의 하부에 밀착하여 결합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보디의 하부홈의 내측면에 체결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시트 보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 고정볼트는,
    상기 돌출부와 인접하는 상기 몸통부의 단차면 상에 형성된 제1 오링 홈; 및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오링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도입공은 상기 스템설치공의 반경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시트 보디의 측면에는 상기 연결공과 대향하도록 링(Ring) 형상의 유동안정화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의 재질은 티타늄(Titaniu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설치공에 안착되어 스템설치공과 상기 밸브스템 간의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
    상기 패킹의 상부에 배치되어 오링을 지지하는 오링 하우징;
    상기 오링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며, 중앙에는 상기 밸브스템이 이동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스템의 승강을 안내하는 글랜드부시; 및
    상기 밸브스템이 관통하는 중심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템설치공 상부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글랜드부시의 이탈을 방지하는 글랜드;를 더 포함하는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KR1020170001749A 2017-01-05 2017-01-05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KR10191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749A KR101919385B1 (ko) 2017-01-05 2017-01-05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749A KR101919385B1 (ko) 2017-01-05 2017-01-05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789A true KR20180080789A (ko) 2018-07-13
KR101919385B1 KR101919385B1 (ko) 2018-11-16

Family

ID=6291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749A KR101919385B1 (ko) 2017-01-05 2017-01-05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3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223B1 (ko) * 2018-08-17 2019-11-11 이종위 개별 분해 조립형 냉매 차단용 밸브
KR102080603B1 (ko) * 2019-04-17 2020-02-27 (주)하이플럭스 스템용 가이드부를 구비한 리플레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KR20200126113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미래보 반도체 공정의 반응부산물 포집장치용 가스 가압형 밸브
KR102211686B1 (ko) * 2019-11-06 2021-02-03 주식회사 오토마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550A (ja) * 1995-10-26 1997-05-06 Keihin Seiki Mfg Co Ltd パルス駆動型電磁弁
KR200383975Y1 (ko) * 2005-02-28 2005-05-10 주식회사 환금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KR20060084360A (ko) * 2003-06-26 2006-07-24 플레이너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원자 층 증착을 위한 다이아프램 밸브
KR20110124896A (ko) * 2010-05-12 2011-11-18 (주)유성 구조 개선된 고온 고압용 밸브
KR20150100399A (ko) *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대정밸브 극 미세유량 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550A (ja) * 1995-10-26 1997-05-06 Keihin Seiki Mfg Co Ltd パルス駆動型電磁弁
KR20060084360A (ko) * 2003-06-26 2006-07-24 플레이너 시스템스 인코포레이티드 원자 층 증착을 위한 다이아프램 밸브
KR200383975Y1 (ko) * 2005-02-28 2005-05-10 주식회사 환금 감압 및 릴리프 밸브장치
KR20110124896A (ko) * 2010-05-12 2011-11-18 (주)유성 구조 개선된 고온 고압용 밸브
KR20150100399A (ko) * 2014-02-25 2015-09-02 주식회사 대정밸브 극 미세유량 조절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223B1 (ko) * 2018-08-17 2019-11-11 이종위 개별 분해 조립형 냉매 차단용 밸브
KR102080603B1 (ko) * 2019-04-17 2020-02-27 (주)하이플럭스 스템용 가이드부를 구비한 리플레이스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KR20200126113A (ko) *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미래보 반도체 공정의 반응부산물 포집장치용 가스 가압형 밸브
KR102211686B1 (ko) * 2019-11-06 2021-02-03 주식회사 오토마 모듈식 위생용 유량 조절 글로브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385B1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385B1 (ko) 초임계유동 전용밸브
EP3123263B1 (en) Double port pressure regulator with floating seat
US9732873B2 (en) Valve seat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valves
US10330217B2 (en) Choke valve with flow-impending recesses
US9267604B2 (en) Valve seat apparatus for use with fluid valves
KR102445153B1 (ko) 감압 밸브
RU2608547C2 (ru) Уравновешенный по давлению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CN205504018U (zh) 用于流体流动控制设备的阀内件组件的热补偿阀内件部件和流体流动控制设备
RU2516049C2 (ru) Трехпутевой клапан с пневмоприводом
US8882078B2 (en) Flow rate control valv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US11441385B2 (en) Choke valve trim
US20200278044A1 (en) Quick Change Valve Trim Assembly
KR20190016035A (ko) 유체 제어 밸브, 및 유체 제어 밸브 제조 방법
US10281052B2 (en) Valve stem and valve core assembly and valve comprising the assembly
JP2004162774A (ja) 流量調整装置
RU24702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хода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200032192A (ko) 가스 공급 시스템
US10018282B2 (en) Flow rate adjusting device
KR101803343B1 (ko) 극미세 유량 조절밸브 및 그 제조방법
KR101894641B1 (ko) 테이퍼형 유로가 형성된 셔터를 구비한 유량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