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429B1 -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 Google Patents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429B1
KR102211429B1 KR1020190084363A KR20190084363A KR102211429B1 KR 102211429 B1 KR102211429 B1 KR 102211429B1 KR 1020190084363 A KR1020190084363 A KR 1020190084363A KR 20190084363 A KR20190084363 A KR 20190084363A KR 102211429 B1 KR102211429 B1 KR 10221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ot hub
cover
option module
ma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610A (ko
Inventor
이인성
유진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4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1/00Constructional details of selecting arrangements
    • H04Q2201/10Housing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제1 옵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환경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관실과 같은 특수 환경에도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INTERNET OF THINGS HUB OF SHIPS}
본 발명은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의 일반 환경은 물론 기관실 등 특수 환경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물들을 통신으로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전송하여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이다.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해, 주변상황(사물 또는 환경)을 감지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 기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네트워크 기술 및 정보를 처리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을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구현하고, 주변의 각 사물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며, 사물들 간에 공유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소통하기 위해서는 허브가 필요하다. 허브는, 사물들 간에 정보교환이 이루어진 상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사물인터넷을 선박에 적용하려면, 선박에서의 특수한 상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즉, SIOT(ship internet of things)의 다양한 환경을 감지하고, 유무선 통신 연결과 연결 기자재들의 클라우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선내의 일반적인 환경은 물론 기관실 등과 같은 특수한 환경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선박의 환경을 만족할 만한 사물인터넷 허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기존의 사물인터넷 허브를 선박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9828호 (2018.07.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의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제1 옵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되, 상기 제1 옵션 모듈과 다른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제2 옵션 모듈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옵션 모듈은, 압력 감지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감지 센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및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옵션 모듈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된 외부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옵션 모듈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먼지 감지 센서, 소음 감지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및 송풍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내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내부 하우징과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옵션 모듈은,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내부 하우징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내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보드는 상기 내부 하우징과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옵션 모듈은,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내부 하우징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 상기 커버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서브하우징; 및 상기 서브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서브하우징의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제2 옵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되, 상기 제2 옵션 모듈과 다른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제1 옵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환경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관실과 같은 특수 환경에도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건 및 사고 등을 감지하기 위해, 온/습도, 조도, 연기 감지, 먼지 감지, 소음, 모션 감지, 압력, 휘발성 유기화합물 감지, 이산화탄소 감지, 진동 및 가속도 감지 등을 위한 각종 센서가 포함되어, 선박에서의 다양한 환경을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선박의 환경에 따라 환경의 감지를 위한 센서를 모듈화하여, 허브에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어, 선박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모듈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에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와 브래킷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에 변형된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에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가 모듈화된 서브허브가 메인허브에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100)는, 하우징(110), 커버(120), 안테나(130), 메인보드, 제1 옵션 모듈(143), 제2 옵션 모듈(145), 송풍팬(147), 발광원(149), 커넥터(15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일면을 가지며, 양 측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절곡된 양 측면에 의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양 측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각종 전자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일면에 한 종류 이상의 커넥터(1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150)는 외측으로 노출되고, 내측에서 메인 보드(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측으로 노출된 커넥터(150)는 외부에 배치된 케이블(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일면은 커넥터(150)가 설치된 위치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넥터(150)에 케이블(170)이 연결될 때, 돌출된 형상에 의해 보다 편리하게 커넥터(150)에 케이블(17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내부 하우징(112)이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12)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을 둘 이상으로 분리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 하우징(112)의 내부 공간에 소정의 전자 부품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112)의 공간이 메인 보드(141)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이 일면과 양 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세 개의 면이 개방되는데, 그에 따라 커버(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세 면을 덮을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20)는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의 일면과 일면의 양 측면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120)의 일면과 양 측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소정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120)에는, 개폐버튼(121), 에어홀(123), 윈도우(125)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버튼(121)은, 하우징(110)과 커버(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120)를 하우징(110)에서 분리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즉, 하우징(110)과 커버(120)는 탈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개폐버튼(121)을 이용하여 커버(120)를 하우징(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20)는 일 측에 개폐버튼(121)에 눌림에 따라 하우징(110)에 걸린 팁이 눌려 하우징(110)과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타 측에 하우징(110)에 걸리는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에 타 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커버(120)의 타 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커버(120)의 걸림턱이 하우징(110)의 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이며, 하우징(110)에 일 측에 다른 걸림홈이 형성되고, 커버(120)의 일 측에 걸림팁이 형성되어, 걸림팁이 하우징(110)의 일 측의 다른 걸림홈에 삽입되어 커버(120)가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개폐버튼(121)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걸림팁이 하우징(110)의 일 측에 형성된 다른 걸림홈에서 이탈하여 커버(120)가 하우징(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20)에 에어홀(123)이 형성되는데, 에어홀(123)은 다수의 미세한 홀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개폐버튼(121)과 윈도우(12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홀(123)은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에어홀(123)은 윈도우(125)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홀(123)을 통해 외부에서 연기나 먼지 등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윈도우(125)는 커버(120)의 중앙에 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25)는 투명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125)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CA)가 배치됨에 따라 카메라(CA)에서 외부를 촬영하기 위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125)는, 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일면에서 양 측면으로 이어지는 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해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130)는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메인 보드(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부에 커넥터(150)가 형성됨에 따라 사물인터넷 허브(100)는 실내의 천정 등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이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부 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테나(130)는,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된 정보를 메인 보드(141) 측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130)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 규격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와이파이 접속을 위한 AP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인 보드(14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112)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커넥터(150)는 내부 하우징(112)의 내부에서 메인 보드(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보드(141)는,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전자부품이 실장되며, 커넥터(15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다른 전자 장치에 공급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보드(141)는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동작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전자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메인 보드(141)에는, 진동 감지 및 가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진동 감지 및 가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는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기울기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허브(100) 자체의 진동이나 가속도를 감지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진동 감지 및 가속도 감지를 위한 센서가 메인 보드(141)에 설치되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선박이나 해상 부유물 등에 설치되어 선박이나 해상 부유물의 움직임을 보다 민감하게 감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물인터넷 허브(100)는, 선박의 진동이나 기울기를 기본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1 옵션 모듈(14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 하우징(112)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때, 제1 옵션 모듈(143)은, 메인 보드(1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112)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옵션 모듈(143)은 내부 하우징(112)에서 탈착할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11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옵션 모듈(143)은 공기 순환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옵션 모듈(143)에서 감지된 정보는 메인 보드(141)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옵션 모듈(143)은, 외부돌출부(14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돌출부(143a)는 커버(120)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120)에는 외부돌출부(143a)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H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에 형성된 관통홀(HA)은 커버(120)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관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125)에 형성된 것에 대해 설명한다.
이렇게 윈도우(125)에 형성된 관통홀(H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외부돌출부(143a)에는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옵션 모듈(143)에 공기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는데, 예컨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먼지 감지 센서, 소음 감지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등이 모듈화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옵션 모듈(143)에 주변 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감지 센서들이 설치되어,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주변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옵션 모듈(143)에 인접한 위치에 송풍팬(147)이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47)은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설치된 위치가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주변 공기의 흐름이 거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주변 공기를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147)은 제1 옵션 모듈(143)과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옵션 모듈(143)과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제2 옵션 모듈(145)은 본 실시예에서, 제1 옵션 모듈(14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내부 하우징(112)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옵션 모듈(145)은 제1 옵션 모듈(143)과 마찬가지로 메인 보드(141)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2 옵션 모듈(145)에서 감지된 정보를 메인 보드(141)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옵션 모듈(145)은 압력 감지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감지 센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등이 모듈화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C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옵션 모듈(145)은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특수한 환경에 설치되는 경우,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특수한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옵션 모듈(145)과 함께 설치되는 카메라(CA)는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세 개의 카메라(CA)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카메라(CA)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120)의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외부 촬영을 위해 커버(120)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125)가 설치된다.
이때, 윈도우(1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세 개의 카메라(CA)는 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 개의 카메라(CA)는 윈도우(125)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촬영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제1 옵션 모듈(143), 제2 옵션 모듈(145), 송풍팬(147) 및 카메라(CA)는 커버(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메인 보드(141)만 장착된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설치될 수 있고, 제1 옵션 모듈(143)만, 또는 제2 옵션 모듈(145)만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옵션 모듈(143), 제2 옵션 모듈(145), 송풍팬(147) 및 카메라(CA)가 모두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선내에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모듈이 설치된 사물인터넷 허브(100)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카메라(CA)는 윈도우(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주변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옵션 모듈(145)에 카메라(CA)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 등이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하나의 카메라(CA)가 주기적으로 이동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발광원(149)은 내부 하우징(112)의 측면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커버(120)의 양 끝단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발광원(149)은 다양한 색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원(149)에서 방출된 광이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과 커버(120)의 사이에 발광홀(L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원(149)에서 방출된 광은 발광홀(LH)을 통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발광원(149)은 메인 보드(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상태에 따라 다른 색이 발광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적으로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동작하는 경우, 발광원(149)은 파란색이 발광될 수 있고, 제1 옵션 모듈(143)에서 정상적이지 않은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붉은색이 발광될 수 있으며, 제2 옵션 모듈(145)에서 정상적이지 않은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주황색이 발광될 수 있다.
커넥터(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측이 메인 보드(141)와 연결되며, 타 측이 케이블(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150)는 GRAND 내부의 전선과 데이터 케이블(170)을 분류하고 연결 작업이 용하도록 다수의 포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원 연결 포트, 랜 포트 및 시리얼 포트 등을 구분될 수 있다.
케이블(170)은, 숙박 시설이나 사무 공간의 경우, GRAND(ground?) 없이 장착될 수 있고, 기관실 등과 같이 특수한 환경의 경우, GRAND(ground?)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170)은 세 개가 커넥터(1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케이블(170)은 전원 연결을 위한 것이고, 다른 두 개는 유선 통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케이블(170)의 유선 통신은 랜 통신 또는 시리얼 통신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150)와 케이블(170)의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커넥터 커버(160)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170)은 세 개가 이용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 두 개 이하의 케이블(170)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커버(160)는, 케이블(170)이 커넥터(150)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에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와 브래킷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100)를 선내에 설치하기 위해 제1 브래킷(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래킷(180)은, 메인 패널(182), 연결 패널(184) 및 보조 패널(186)을 포함한다. 메인 패널(182)은 선체의 벽에 결합되기 위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 패널(184)은 메인 패널(182)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플레이트 형상이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패널(186)은 메인 패널(182)과 보조 패널(186)의 연결을 보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패널에는 연결홀(184a)이 형성되며, 연결홀(184a)을 관통하여 케이블(170)과 커넥터(150)가 결합되고, 커넥터 커버(160)가 연결패널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연결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패널과 사물인터넷 허브(100)의 하우징(110) 사이에 러버홀(RBH)이 형성된 러버(RB)가 배치될 수 있다. 러버(RB)는, 선체의 특수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사물인터넷 허브(10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에 변형된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100)가 제2 브래킷(190)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브래킷(190)은 하나의 플레이트 형상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래킷(190)의 일 측은 제1 브래킷(180)의 연결 패널(184)과 같이 사물인터넷 허브(100)와 연결되고, 제2 브래킷(190)의 타 측은 일 측에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제1 브래킷(180)의 메인 패널(182)과 같이, 선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는, 하우징(210), 서브하우징(210a), 안테나(230), 메인보드, 제1 옵션 모듈(243), 제2 옵션 모듈(245), 송풍팬(247) 및 발광원(24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2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에 메인 보드(241), 제1 옵션 모듈(243) 및 제2 옵션 모듈(245)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외부 돌출부는 제2 옵션 모듈(24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옵션 모듈(243)에 인접한 위치에 송풍팬(247)이 설치될 수 있고, 제2 옵션 모듈(245)이 인접한 위치에 카메라(CA)가 설치될 수 있다.
그 외에 메인 보드(241), 제1 옵션 모듈(243) 및 제2 옵션 모듈(245)의 기능은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발광원(249)은 하우징(210)의 일 측면에 배치된 상태로 사물인터넷 허브(20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에 브래킷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200)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 브래킷(190)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제3 브래킷(19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가 모듈화된 서브하우징이 하우징에 탈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변형 예로, 서브하우징(21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변형 예에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메인 보드(241) 및 발광원(249)이 내부에 설치되고, 또한, 외부에 에어홀(223)이 형성됨에 따라 제1 옵션 모듈(243)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하우징(210a)에는 제2 옵션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옵션 모듈(245)이 외부돌출부(24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돌출부(243a)에는 조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서브하우징(210a)이 별도로 구비되고, 서브하우징(210a)을 하우징(210)에 결합하여 사물인터넷 허브(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서브하우징(210a)이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경우, 서브하우징(210a)과 하우징(210)에는 하우징(210)에 설치된 메인 보드(241)와 서브하우징(210a)에 설치된 제2 옵션 모듈(245)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브하우징(210a)을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는 하우징(210)만으로 구성된 사물인터넷 허브(200)를 선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특수 환경에 맞는 위치에는 하우징(210)에 서브하우징(210a)을 결합한 사물인터넷 허브(2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허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허브(300)를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디자인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윈도우가 사물인터넷 허브(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 측에 사물인터넷 허브(300)의 하우징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평면 형상이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사물인터넷 허브(400)로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대략 원형 형상을 갖도록 사물인터넷 허브(500)로 디자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사물인터넷 허브
110, 210: 하우징
112: 내부 하우징
210a: 서브하우징
120: 커버
121: 개폐버튼
123, 223: 에어홀
125, 225: 윈도우
130, 230: 안테나
141, 241: 메인 보드
143, 243: 제1 옵션 모듈
143a, 243a: 외부돌출부
145, 245: 제2 옵션 모듈
147, 247: 송풍팬
149, 249: 발광원
150: 커넥터
160: 커넥터 커버
170, 270: 케이블
180: 제1 브래킷
182: 메인 패널
184: 연결 패널
184a: 연결홀
186: 보조 패널
190: 제2 브래킷
195: 제3 브래킷
CA: 카메라
HA: 관통홀
LH: 발광홀
RB: 러버
RBH: 러버홀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둘 이상으로 분리하도록 설치된 내부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커버의 내부에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 그리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부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제1 옵션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그리고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측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되, 상기 제1 옵션 모듈과 다른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제2 옵션 모듈을 포함하며,
    사물인터넷 허브가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에 따라 상기 메인 보드, 상기 제1 옵션 모듈 또는 상기 제2 옵션 모듈 중 하나 이상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사물인터넷 허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옵션 모듈은, 압력 감지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감지 센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및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허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윈도우가 설치된 사물인터넷 허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옵션 모듈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된 외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허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옵션 모듈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먼지 감지 센서, 소음 감지 센서, 모션 감지 센서 및 송풍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수단이 포함된 사물인터넷 허브.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4363A 2019-07-12 2019-07-12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KR10221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363A KR102211429B1 (ko) 2019-07-12 2019-07-12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363A KR102211429B1 (ko) 2019-07-12 2019-07-12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610A KR20210007610A (ko) 2021-01-20
KR102211429B1 true KR102211429B1 (ko) 2021-02-03

Family

ID=7430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363A KR102211429B1 (ko) 2019-07-12 2019-07-12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4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494B1 (ko) 2017-11-22 2018-12-24 (주)에프에스알엔티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322A (ko) * 2015-07-16 2017-01-25 주식회사 씨큐트로닉스 사물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복합보안장치
KR20170082373A (ko) * 2016-01-06 2017-07-14 (주)아람솔루션 센서모듈의 탈착이 가능한 비콘
KR101847020B1 (ko) * 2016-05-24 2018-05-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사물 인터넷 기반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KR101898589B1 (ko) 2017-01-02 2018-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용 허브 기기, 동작용 서브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로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494B1 (ko) 2017-11-22 2018-12-24 (주)에프에스알엔티 통신망을 이용한 선박내 IoT 스마트 단말의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610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723B2 (en) Sensor arrangements
US9103931B2 (en) Modular light curtain and optical unit for a light curtain
US7651281B2 (en) Surveillance camera
KR20180004211A (ko) 캔틸레버식 디스플레이를 갖는 사용자 제어 장치
CN102282735B (zh) 用于网络装置的附加装置
KR101962205B1 (ko) 출입 통제 장치
JP4760363B2 (ja) 天井配線モジュール及び配線システム
US9337601B2 (en) Child monitoring system
US20070081474A1 (en) Wireless terminal and program
KR101766626B1 (ko) 단말장치가 구비된 cctv 시스템
WO2018001055A1 (zh) 一种遥控器、照明装置及照明系统
CN110770802A (zh) 传感器组件和包括这种传感器组件的设备.
CN107771415B (zh) 对照明器的改进或者与照明器相关的改进
KR102211429B1 (ko) 선박의 사물인터넷 허브
KR101732172B1 (ko) Cctv 카메라 일체형 led 등기구
US10760779B2 (en) Lighting fixture with auxiliary bay
US20210343125A1 (en)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6918744B2 (ja) カメラ付きledランプ、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照明範囲監視・警報システム
KR101733227B1 (ko) 내장된 비콘센서를 이용한 위치인식기능이 구비된 cctv 카메라 어셈블리
CN112243425B (zh) 用于电梯设备的数据检测装置和建筑物入口监控系统
JP5879397B2 (ja) センシングユニット及び機能制御システム
KR200460672Y1 (ko) 자기상태표시수단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KR102341530B1 (ko) 센서
CN219392822U (zh) 一种带侧向提示灯的学习机
TWM497192U (zh) 門鈴系統之室外門口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