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330B1 - 인덕터 장치 - Google Patents

인덕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330B1
KR102211330B1 KR1020140148877A KR20140148877A KR102211330B1 KR 102211330 B1 KR102211330 B1 KR 102211330B1 KR 1020140148877 A KR1020140148877 A KR 1020140148877A KR 20140148877 A KR20140148877 A KR 20140148877A KR 102211330 B1 KR102211330 B1 KR 10221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inductor device
wind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515A (ko
Inventor
한윤희
이기선
박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330B1/ko
Priority to US14/928,695 priority patent/US10593462B2/en
Priority to CN201510729579.XA priority patent/CN105575589B/zh
Priority to EP15192454.5A priority patent/EP3029691B1/en
Publication of KR2016005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33Printed inductances with the coil helically wound around a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2003/106Magnetic circuits u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magnet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2017/048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encapsulating core, e.g. made of resin and magnetic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인덕터 장치는, 인덕터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서로 커플링(coupling)되는 한 쌍의 제1,2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와, 코일부의 내, 외부를 감싸는 코어부와, 코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2코일 사이의 자기장을 유기시키는 유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더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덕터 장치{INDUCTOR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인덕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 장치는 고주파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전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인덕터 장치는 코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며, 권선 방법에 따라 구분하기도 하며, 크기에 따라 일반적인 인덕터와, 칩 타입 인덕터(이하 '칩 인덕터'라고 함.)로 구분할 수도 있다. . 또한, 칩 인턱터는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에 따라 권선형이나 적층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US 2003/0137384 A1은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어레이에 관한 발명이다. 2소자 타입의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어레이는 적어도 두 개의 나선형 코일을 포함하고, 평면도에서 라미네이트 본체(칩 부재)에 나란히 배열된 두 개의 공통 모드 초크 코일 소자를 포함한다. 나선형 코일은 코일이 인접하는 측면의 코일의 권수가 서로 먼 쪽의 코일의 권수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나란히 배열된 코일의 나선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인덕터 장치가 소형화나 경량화되면, 효율적인 면이나 발열 부분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발생하며, 반대로 효율적인 면이나 발열부분을 고려하게 되면 소형화나 경량화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율개선과 순간적인 전류변화에 대한 응답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대형 전력장치에서는 복수개의 인덕터를 결합한 커플드 인덕터 (Coupled Inductor) 를 사용하고 있으나이러한 구조 커플드 인덕터는 그 크기가 커, 소형화나 경량화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게 된다.
휴대용 통신 장치와 같은 소형화 및 경량화되는 전자 장치에 적용할 수 있도록, 칩 인덕터인 투인원의 코일 구조를 가지고 커플 계수(couple coefficient)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인덕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는, 인덕터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서로 커플링(coupling)되는 한 쌍의 제1,2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내, 외부를 감싸는 코어부; 및 상기 코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2코일 사이의 자기장을 유기시키는 유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는, 일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권선부를 구비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이웃하게 위치되며, 상기 권선부와 대향한 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권선부를 포함하는 제2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내, 외부를 감싸는 코어부; 및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유기되며, 일측은 상기 제1권선부를 따라 권선되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권선부를 따라 권선되게 형성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2코일 사이에서 연결되는 유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인덕터 장치는, 서로 이웃하며 서로 커플링되는 한 쌍의 코일부 및 이들의 내, 외부를 감싸는 코어를 포함하는 투인원(2-In-1) 구조를 가지는 인덕터 장치를 구현하여, 실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도 실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코일부 사이로 상쇄코어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하나의 코일로 유기되는 자기장 및 다른 하나의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상쇄코어부재에서 서로 유기시킬 수 있게 상기 코일부를 커플링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하나의 코일로 유기되는 자기장과 다른 하나의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상쇄부재에서 유기됨에 따라 인덕터스(inductance)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인덕터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면서 높은 인피던스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쇄부재로 인해, 코일부의 인덕터 전류리플(inductor current ripple)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율도 증가될 수 있다. 또한 Dynamic 하게 바뀌는 전류의 트랜션트(Transient)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투인원(2-in-1) 구조를 가지는 인덕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 유기부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 유기부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 유기부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2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2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2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3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3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3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4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4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5실시 에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6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6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6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라 발광되는 색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가지거나, 제스쳐를 감지하거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른 다양한 색을 발광하는 서비스 광의 기능을 갖추거나, 제스쳐 감지 또는 생체 신호 감지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 장치(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상태에 따라 발광되는 색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을 가지거나, 제스쳐를 감지하거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칩 인덕터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 다양한 실시 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앞서 본원 발명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는 유기부의 형상에 따라 6가지의 실시 예들을 대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는 6가지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며, 서로 인접한 코일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시킬 수 있다면, 유기부는 얼마든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투인원 구조를 가지는 인덕터 장치(100)에 대해 우선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투인원(2-in-1) 구조를 가지는 인덕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투인원 구조를 가지는 인덕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인덕터 장치(100)는 코일부(110)와 코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유기부(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도 2 내지 도 12를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부(110)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은 서로 인접하여 이웃하게 구비되며, 서로 커플링(Coupling)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내, 외부는 코어부(120)에 의해 감싸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코일(111)은 코어부(120) 내부에서 감겨져 있으며, 제1코일(111)의 시점(111a)과 종점(111b)은 코어부(120)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하게 실장된 외부 단자(14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코일(112)은 제1코어부(120)와 인접한 코어부(120) 내부에서 감겨져 있으며, 제2코일(112)의 시점(112a)과 종점(112b)은 코어부(120)의 양단부에 서로 대향하게 실장된 외부 단자(14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부(110)는 코어부(120)의 내부에 서로 인접하여 두 개의 코일이 구비되는 투인원(2-in-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원형, 타원형 등의 소정 형상을 가지며 권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코일(111)은 두 개의 라인이 일방향,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반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권선부(11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코일(112)은 상기 제1코일(111)과 반대 방향, 구체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권선부(1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 내지 도 12 함께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코일(111)의 제1권선부(1111)와 제2코일(112)의 제2권선부(1121)는 각각 두 줄의 라인을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1코일(111)의 제1권선부(1111)와 제2코일(112)의 제2권선부(1121)의 감긴 형상이나, 라인의 개수 및 적층 형상 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권선부(1111)와 제2권선부(1121)는 한 줄의 라인을 가질 수도 있으며, 스프링 형태로 권선될 수도 있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코어부(120)의 서로 대향한 양측면에는 외부 단자(140)가 실장될 수 있다. 외부 단자(140)에는 상기 코일부(110)의 시점(111a, 112a)과 종점(111b, 112b)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코일(111)의 시점(111a)과 제2코일(112)의 시점(112a)은 외부 단자(140)의 일측면에 실장되는 외부 단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코일(111)의 종점(111b)과 제2코일(112)의 종점(112b)은 외부 단자(140)의 일측면에 대향한 타측면에 실장되는 외부 단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코어부(120)는 외부 단자(140)를 통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내부 전극에서 유도되는 자속이 지나가는 경로인 자로(magnetic path)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어부(120)는 투자율이 높은 세라믹 재질이나 페라이트 재질 또는 이들의 합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금속합금 (metal Alloy) 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어부(120)의 재질은 세라믹 재질이나 페라이트 재질 또는 이들의 합성이나, 금속 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부(120)의 재질은 외부 단자(140)의 전류 인가에 따라 자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높은 투자율을 가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코어부(120) 및 코어부(120)의 내측으로 한 쌍의 코일부(110)를 가지는 인덕터 장치(100)는 칩 인덕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100)가 칩 인덕터로 이루어진 경우, 제1, 2코일(111, 112)의 내부를 감싸는 코어부(120)는 전극 본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극 본체의 내부에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내부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전극에는 내부 전극과 서로 대향하게 실장되어 외부 단자(140)를 연결하는 접속 전극(앞서 상술한 '시점' 및 '종점'에 해당됨.)이 구비될 수 있다. 인덕터 장치(100)가 칩 인덕터로 이루어지는 경우, 내부 전극은 두 개의 라인이 일방향으로 권선되는 형상의 제1권선부(1111)로 이루어진 내부 전극(이하에서,'제1코일(111)'이라 함.)과 수 있고, 제1코일(111)과 이웃하며 제1코일(111)과 반대 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권선부(1121)로 이루어진 제2내부 전극(이하에서, '제2코일(112)'이라 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인덕터 장치(100)에 구비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를 설명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유기부(130A)의 제1실시 예를 설명하며,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유기부(130B)의 제2실시 예를 설명하며,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유기부(130C)의 제3실시 예를 설명하며,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유기부(130D)의 제4실시 예를 설명하며,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유기부(130E)의 제5실시 예를 설명하며,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유기부(130F)의 제6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의 순서대로 다양한 형태의 유기부(130A, 130B, 130C, 130D, 130E, 130F)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 유기부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 유기부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에서, 유기부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앞서서 도면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인덕터 장치(100)에서 코일부(110) 상에는 자기장이 유기될 수 있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A)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A)는 플레이트형 부재(130A)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코일부(110)의 적어도 하나의 일면, 구체적으로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서로 인접한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플렝트형 부재(130A)는 제1코일(111)이 제2코일(112)과 인접한 위치의 제1권선부(1111)(이하, '제2권선부 인접부(1111a)라'고 함.) 및 제2코일(112)이 제1코일(111)과 인접한 위치의 제2권선부(1121)(이하 '제1권선부 인접부(1121a)'라 함.) 상에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상면, 하면 또는 그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의 상면과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상면에 위치되거나,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의 하면과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하면에 위치되거나, 또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의 권선 사이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권선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의 상면과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상면에 위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하면 및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를 관통하여 위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또는 이들이 결합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코일(111) 및 제2코일(112)의 자기장의 유기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플레이트형 부재(130A)가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상면에 위치되어 이들을 연결함에 따라,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플레이트형 부재(130A)로 유기될 수 있다. 제1코일(1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플레이트형 부재(130A)로 유기되고,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체 자기장이 플레이트형 부재(130A)로 유기되어 서로 상쇄되면서 인덕턴스(inductance)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인덕터 장치(100)가 2-in-1 구조를 가지며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비될 때, 플레이트형 부재(130A)가 코일부(110)의 일면 상에서 커플링 가능하게 위치됨에 따라 인덕턴스가 증가된 인덕터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형 부재(130A)가 포함된 인덕터 장치(100)는 플레이트형 부재(130A)에 의해 인덕터 전류 리플(inductor current ripple)을 저감 시킬 수 있고, 전압 리플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형 부재(130A)와 같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소형의 인덕터 장치(100)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같은 인덕터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실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치에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 고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100)에서, 제1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A)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의 실장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앞선 도 3a 내지 도 3c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반해 도 3d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가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의 공간에 놓임에 따라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도 앞서 도 3a 내지 도 3c의 플레이트형 부재(130A)와 같이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또는 이들이 결합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코일(111) 및 제2코일(112)의 자기장 유기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형 부재(130A)가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의 공간에 위치됨에 따라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를 커플링 시킬 수 있고,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플레이트형 부재(130A)로 유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트형 부재(130A)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에서 제1코일(111)에서 유기된 자기장과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체 자기장을 서로 상쇄시킬 수 있고, 인덕턴스(inductance)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2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2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2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B)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의 고리형 연결부재(130B)(ring-type portion)로 구비될 수 있다.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를 감싸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권선들이 감겨지거나 적층된 제1권선부(1111)의 안쪽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권선들이 감겨지거나 적층된 제2권선부(1121)의 안쪽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상, 하 및 제1권선부(1111)와 제2권선부(1121)의 안쪽 공간을 관통하면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한 쌍의 플레이트부(131B, 132B)와, 한 쌍의 플레이트부(131B, 132B)와 연결되는 연결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부(131B, 132B)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의 상면과 하면으로 각각 서로 대면되게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부(133B)는 제1권선부(1111) 및 제2권선부(1121)의 내측 공간을 관통하며,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상, 하면에서 서로 대면한 플레이트부(131B, 132B)의 양단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쌍의 플레이트부(131B, 132B)는 넓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133B)는 제1,2코일(111, 112)의 상, 하면에 배치된 플레이트부(131B, 132B)를 연결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131B, 132B)와 연결부(133B)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공간 사이로 위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B)의 형태는 두 개의 직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부(131B, 132B) 및 기둥 형상의 연결부(133B)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고리형 연결부재(130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내측 공간이 빈 직사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는 직사각형 기둥의 빈 공간 사이로 관통되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를 감싸면서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을 커플링 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그 형태나 형상은 변형이나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또는 이들이 결합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B)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코일(111) 및 제2코일(112)의 자기장 유기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를 감싸도록 구비된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를 커플링 시킬 수 있고,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고리형 연결부재(130B)로 유기될 수 있다. 제1코일(111)에서 고리형 연결부재(130B)로 유기된 자기장과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체 자기장이 고리형 연결부재(130B)에서 서로 상쇄되면서 인덕턴스(inductance)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인덕터 장치(100)가 2-in-1 구조를 가지며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비될 때, 고리형 연결부재(130B)가 제2권선부 인접부(1111a) 및 제1권선부 인접부(1121a)를 감싸도록 구비됨에 따라 인덕턴스가 증가된 인덕터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리형 연결부재(130B)가 포함된 인덕터 장치(100)는 인덕터 전류 리플(inductor current ripple)을 저감 시킬 수 있고, 전압 리플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인덕터 장치(100)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와 같은 인덕터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실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치에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 고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3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3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3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C)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의 공간으로 폐루프(closed loop) 형상, 좀더 구체적으로는 인너 폐루프 형상(inner closed loop) 의 고리형 연결부재(130C)(ring-type portion)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C)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로 구비된 실장 공간에 위치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이 빈 링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C)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의 공간에 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고리형 연결부재(130C)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리형 연결부재(130C)는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의 실장 공간에 플레이트 타입으로 위치될 수도 있으며,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이 제3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C)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또는 이들이 결합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C)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코일(111) 및 제2코일(112)의 자기장 유기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고리형 연결부재(130C)가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의 실장 공간에 위치됨에 따라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를 커플링 시킬 수 있다. 즉,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에 위치된 고리형 연결부재(130C)로 유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C)는 제1코일(111)에서 유기된 자기장과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체 자기장을 서로 상쇄시킬 수 있고, 인덕턴스(inductance)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와 같이 인덕터 장치(100)가 2-in-1 구조를 가지며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비될 때, 고리형 연결부재(130C)가 제2권선부 인접부(1111a)와 제1권선부 인접부(1121a) 사이의 실장 공간에 구비될 수 있어, 소형 인덕터 장치는 그 크기 변화는 거의 발생되지 않으나, 인덕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연결부재(130C)가 포함된 인덕터 장치(100)는 인덕터 전류 리플(inductor current ripple)을 저감 시킬 수 있고, 전압 리플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인덕터 장치(100)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와 같은 인덕터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실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치에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 고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4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4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D)는 코일부(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폐루프 형상, 좀더 구체적으로 유기부(130D)의 내측으로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이 위치되어 마치 코일부(110)를 감싸는 것과 같이 형성되는 아우터 폐루프(outer closed loop) 형상의 고리형 연결부재(130D)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아우터 폐루프 형상을 가지는 고리형 연결부재(130D)는 코일부(110)를 감싸며, 코어부(1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링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형 연결부재(130D)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외측 둘레에 위치됨에 따라 제1코일(1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제1코일(111)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게 위치된 고리형 연결부재(130D) 측으로 유기될 수 있고,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제2코일(112)의 외측 둘레에 인접하게 위치된 고리형 연결부재(130D) 측으로 유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D)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자기장을 유기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또는 이들이 결합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D)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코일(111) 및 제2코일(112)의 자기장 유기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고리형 연결부재(130D)가 코일부(1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코일부(110)의 외측 둘레면과 인접하게 구비됨에 따라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을 커플링 시킬 수 있다. 즉,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제1코일(111)의 외측 둘레면과 인접한 고리형 연결부재(130D) 측과 제2코일(112)의 외측 둘레면과 인접한 고리형 연결부재(130D) 측으로 유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D)는 제1코일(111)에서 유기된 자기장과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체 자기장을 서로 상쇄시킬 수 있고, 인덕턴스(inductance)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와 같이 인덕터 장치(100)가 2-in-1 구조를 가지며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비될 때, 고리형 연결부재(130D)가 코일부(110)의 외측과 코어부(120)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어, 소형 인덕터 장치는 그 크기 변화는 거의 발생되지 않으나, 인덕턴스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연결부재(130D)가 포함된 인덕터 장치(100)는 인덕터 전류 리플(inductor current ripple)을 저감 시킬 수 있고, 전압 리플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인덕터 장치(100)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와 같은 인덕터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실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치에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 고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5실시 에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E)는 코일부(110) 의 최외각 권선부를 따라 링 타입의 고리형 연결부재(130E)로 구비될 수 있다. 고리형 연결부재(130E)는 코일부(110)의 최외각에 위치된 권선부의 상면(도 7a 참조), 하면(도 7c 참조) 또는 최외각에 위치된 권선부 사이(도 7b 참조)에 위치되고, 폐루프 형상, 좀더 구체적으로 아우터 폐루프(outer closed loop)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리형 연결부재(130E)는 제1코일(111)의 외측으로 최외각에 권선된 제1권선부(1111)와, 제2코일(112)의 외측으로 최외각에 권선된 제2권선부(1121)의 상면, 하면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아우터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형 연결부재(130E)는 제1코일(111)의 최외각에 위치된 제1권선부(1111)와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2코일(112)의 최외각에 위치된 제2권선부(1121)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고리형 연결부재(130E)로 유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E)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자기장을 유기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또는 이들이 결합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E)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코일(111) 및 제2코일(112)의 자기장 유기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고리형 연결부재(130E)가 제1권선부(1111)의 외측에 위치된 최외각의 제1권선부(1111)의 상, 하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되고 제2권선부(1121)이 외측에 위치된 최외각이 제2권선부(1121)의 상, 하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을 커플링 시킬 수 있다. 즉,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은 제1코일(111) 외측 최외각의 제1권선부(1111)의 상, 하면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된 고리형 연결부재(130E) 측과 제2코일(112) 외측 최외각의 제2권선부(1121)의 상, 하면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된 고리형 연결부재(130E) 측으로 유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리형 연결부재(130E)는 제1코일(111)에서 유기된 자기장과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체 자기장을 서로 상쇄시킬 수 있고, 인덕턴스(inductance)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와 같이 인덕터 장치(100)가 2-in-1 구조를 가지며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비될 때, 고리형 연결부재(130B)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제1,2권선부(1111, 1121) 상, 하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소형 인덕터 장치(100)는 그 크기 변화는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반하여 인덕턴스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고리형 연결부재(130B)가 포함된 인덕터 장치(100)는 인덕터 전류 리플(inductor current ripple)을 저감 시킬 수 있고, 전압 리플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소형의 인덕터 장치(100)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와 같은 인덕터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실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치에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 고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6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6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제6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인덕터 장치(100)에서 유기부(130F)는 인덕터 장치(100)에서 코일부(110) 상에는 자기장이 유기될 수 있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F)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F)는 제1코일(111)의 제1권선부(1111)에 인접하여 제1권선부(1111)를 따라 제1권선부(1111)의 형태로 권선되는 제1권선코어(131F)와, 제2코일(112)의 제2권선부(1121)에 인접하여 제2권선부(1121) 형태로 권선된 제2권선코어(132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권선코어(131F)와 제2권선코어(132F)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시점 및 종점에서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권선코어(131F)는 제1코일(111)의 시점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된 제1권선부(1111)를 따라 제1코일(111)의 종점까지 위치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제2권선코어(132F)는 제2코일(112)의 시점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권선된 제2권선부(1121)를 따라 제2코일(112)의 종점까지 위치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또한, 제1코일(111)의 시점 및 종점 과 제2코일(112)의 시점 및 종점에 위치된 제1,2권선코어가 서로 연결되어 폐루프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권선코어(131F)가 제1권선부(1111)를 따라 구비됨에 따라, 제1권선코어(131F)는 적층 또는 권선된 제1권선부(1111) 하나 하나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코일(111)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는 경우, 제1권선코어(131F)는 제1권선부(1111) 각각과 인접하여 제1권선부(11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권선코어(132F)가 제2권선부(1121)를 따라 구비됨에 따라 제2권선코어(132F)는 적층 또는 권선된 제2권선부(1121) 하나 하나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코일(112)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는 경우, 제2권선코어(132F)는 제2권선부(1121) 각각과 인접하여 제2권선부(112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권선코어(131F)와 제2권선코어(132F)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할 수 있도록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또는 이들이 결합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유기부(130F)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자율 특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제1코일(111) 및 제2코일(112)의 자기장 유기율이 높은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1권선코어(131F)와 제2권선코어(132F)가 각각 제1권선부(1111) 및 제2권선부(1121)를 따라 권선되어 폐루프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이 제1권선코어(131F) 및 제2권선코어(132F) 측으로 유기될 수 있다.
또한, 제1코일(111)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제제1권선코어(131F) 및 제2권선코어(132F)로 유기되고, 제2코일(112) 자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제2권선코어(132F) 및 제1권선코어(131F) 측으로 유기되어 서로 상쇄되면서 인덕턴스(inductance)가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인덕터 장치(100)가 2-in-1 구조를 가지며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구비될 때, 제1권선코어(131F)와 제2권선코어(132F)는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위치에 구비되어 제1코일(111)과 제2코일(112)의 커플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인덕턴스가 증가된 인덕터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권선코어(131F)와 제2권선코어(132F)가 포함된 인덕터 장치(100)는 플레이트형 부재(130A)에 의해 인덕터 전류 리플(inductor current ripple)을 저감 시킬 수 있고, 전압 리플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형 부재(130A)와 같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소형의 인덕터 장치(100)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같은 인덕터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장치와 같은 소형화된 전자기기의 실장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치에 실장될 수 있음은 물론 고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덕터 장치 110: 코일부
111: 제1코일 112: 제2코일
120: 코어부 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유기부
140: 외부 단자 111a, 111b, 112a, 112b: 연결 단자

Claims (12)

  1. 인덕터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며 서로 커플링(coupling)되는 한 쌍의 제1,2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내, 외부를 감싸는 코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2코일 사이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유기시키는 유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부는 폐루프 형상의 고리형 연결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고리형 연결부재는 상기 제1코일의 권선부를 따라 권선된 제1권선코어, 및 상기 제1권선코어의 시점 및 종점과 연결되어, 상기 제2 코일의 권선부를 따라 권선된 제2 권선코어를 포함하는 인덕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연결부재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 사이의 실장 공간에 위치되는 인덕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연결부재는 상기 제1코일의 권선부 중 상기 제2코일과 인접한 권선부와 상기 제2코일의 권선부 중 제1코일과 인접한 권선부를 감싸게 구비되는 인덕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연결부재는 상기 코어부의 내측면과 상기 코일부의 외측 둘레 사이에 구비되는 인덕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연결부재는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권선부 외측 상면, 하면 또는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되어 아우터 폐루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인덕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부는 페라이트(ferrite) 또는 금속 합금(Metal Allo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덕터 장치.
  12. 인덕터 장치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권선되는 제1권선부를 구비하는 제1코일;
    상기 제1코일과 이웃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권선부와 대향한 방향으로 권선되는 제2권선부를 포함하는 제2코일;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내, 외부를 감싸는 코어부; 및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 사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유기하며, 일측은 상기 제1권선부를 따라 권선되고, 타측은 상기 제2권선부를 따라 권선되어 상기 제1,2코일 사이에서 연결되는 유기부를 포함하는 인덕터 장치.

KR1020140148877A 2014-10-30 2014-10-30 인덕터 장치 KR10221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877A KR102211330B1 (ko) 2014-10-30 2014-10-30 인덕터 장치
US14/928,695 US10593462B2 (en) 2014-10-30 2015-10-30 Inductor device
CN201510729579.XA CN105575589B (zh) 2014-10-30 2015-10-30 电感器装置
EP15192454.5A EP3029691B1 (en) 2014-10-30 2015-10-30 I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8877A KR102211330B1 (ko) 2014-10-30 2014-10-30 인덕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515A KR20160050515A (ko) 2016-05-11
KR102211330B1 true KR102211330B1 (ko) 2021-02-04

Family

ID=5436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8877A KR102211330B1 (ko) 2014-10-30 2014-10-30 인덕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93462B2 (ko)
EP (1) EP3029691B1 (ko)
KR (1) KR102211330B1 (ko)
CN (1) CN1055755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6649A (ja) * 2017-08-17 2019-03-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インダクタ
CN111937101B (zh) * 2018-03-23 2022-05-0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感器和使用电感器的电压转换器
US20210193378A1 (en) * 2019-12-20 2021-06-24 Socionext Inc. Inductor arrangements
TWI774615B (zh) * 2021-11-18 2022-08-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電感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9151A1 (en) * 2005-12-19 2007-06-21 Nussbaum Michael B Amplifier output filter having planar induc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511A (en) * 1981-02-09 1984-01-10 Amnon Brosh Planar coil apparatus employing a stationary and a movable board
JPH02305413A (ja) 1989-05-19 1990-12-19 Murata Mfg Co Ltd 相互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3250629B2 (ja) 1992-12-10 2002-01-28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
JP3158757B2 (ja) * 1993-01-13 2001-04-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650949B2 (ja) * 1997-07-04 2005-05-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複合電子部品
US6097273A (en) * 1999-08-04 2000-08-01 Lucent Technologies Inc. Thin-film monolithic coupled spiral balun transformer
CN1161880C (zh) * 1999-09-21 2004-08-1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感电容滤波器
US6653910B2 (en) * 2001-12-21 2003-11-25 Motorola, Inc. Spiral balun
US6842158B2 (en) * 2001-12-27 2005-01-11 Skycross, Inc. Wideband low profile spiral-shaped transmission line antenna
JP4214700B2 (ja) * 2002-01-22 2009-01-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アレイ
US7352662B2 (en) * 2003-06-13 2008-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lded coil device for actuator of disc drive
JPWO2005031764A1 (ja) * 2003-09-29 2006-12-0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積層型磁性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7875955B1 (en) * 2006-03-09 2011-01-2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On-chip power inductor
JP2008300432A (ja) 2007-05-29 2008-12-11 Hitachi Metals Ltd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5399317B2 (ja) * 2010-05-18 2014-01-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リアクトル
US8601673B2 (en) 2010-11-25 2013-12-10 Cyntec Co., Ltd. Method of producing an inductor with a high inductance
JP5280500B2 (ja) 2011-08-25 2013-09-04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型インダクタ
TWI436376B (zh) * 2011-09-23 2014-05-01 Inpaq Technology Co Ltd 多層螺旋結構之共模濾波器及其製造方法
US10529475B2 (en) 2011-10-29 2020-01-07 Intersil Americas LLC Inductor structure including inductors with negligible magnetic coupling therebetween
KR101380603B1 (ko) 2012-08-23 2014-04-04 한국과학기술원 인덕터
JP5755617B2 (ja) 2012-09-06 2015-07-29 東光株式会社 面実装インダクタ
JP2014067991A (ja) 2012-09-06 2014-04-17 Toko Inc 面実装インダクタ
JP6103342B2 (ja) 2012-09-13 2017-03-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9151A1 (en) * 2005-12-19 2007-06-21 Nussbaum Michael B Amplifier output filter having planar indu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9691B1 (en) 2020-07-29
US10593462B2 (en) 2020-03-17
US20160126000A1 (en) 2016-05-05
CN105575589A (zh) 2016-05-11
EP3029691A1 (en) 2016-06-08
CN105575589B (zh) 2019-10-11
KR20160050515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994B2 (en) Antenna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JP5610098B2 (ja) 通信端末装置
KR102211330B1 (ko) 인덕터 장치
US9801006B2 (en) NFC antenna architectur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ingle-piece metal housing
US9973023B2 (en) Inductive energy transfer coil structure
US10553345B2 (en) Coil device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58770B1 (ko) 전자파 저감 장치 및 방법
CN107967509A (zh) 电子装置
US10210994B2 (en) Coil structure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ing the same
WO2013191896A1 (en) Edge-emitting antennas for ultra slim wireless mobile devices
JP6635230B1 (ja) アンテナ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WO2015098794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608339B2 (en) Wireless device with shared coil
CN105405578A (zh) 壳体及包括该壳体的装置
JPWO2019176636A1 (ja) アンテナ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2014526797A (ja) コイル技術
US10340882B2 (en) Bulk acoustic wave filter
KR101597956B1 (ko) 이동통신용 안테나 복합체
JP6981334B2 (ja) 複合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機器
JP6573057B2 (ja) アンテナ装置、アンテナコイル及び電子機器
CN108401472A (zh) 均匀的无线充电设备
JP2018023019A (ja) アンテナ装置、アンテナ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6187097B2 (ja) アンテナ装置
JP2017099186A (ja) 受電装置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
TWM451650U (zh) 用於無線充電或nfc近場感應的線圈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