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082B1 -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 Google Patents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082B1
KR102211082B1 KR1020190078723A KR20190078723A KR102211082B1 KR 102211082 B1 KR102211082 B1 KR 102211082B1 KR 1020190078723 A KR1020190078723 A KR 1020190078723A KR 20190078723 A KR20190078723 A KR 20190078723A KR 102211082 B1 KR102211082 B1 KR 10221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se plate
support
insertion hole
detach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892A (ko
Inventor
황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to KR102019007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0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olecular structures; for crystall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체지지체(21)와; 상하로 개구된 수용체삽입홀(22a)을 구비하여 받침체지지체(21)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체(22)를 갖춘 받침기구(20)와:
베이스판(10)에 안착되고,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의 하방에 위치하는 트레이기구(30)와: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지지체(41)와; 회전체지지체(41)에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42) 및; 회전체(42)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 하방에 위치하여,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을 개폐하는 개폐체(43)를 갖춘 개폐기구(40)와:
회전체지지체(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1접속기구(51)와; 회전체(4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2접속기구(52) 및; 일단이 제1접속기구(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를 갖춘 개폐체회전기구(50)와: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체(61)와; 수용체(61)를 개폐하는 덮개(62)를 갖춘 수용기구(60)와: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끼우개(70)와:
배터리끼우개(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80)와: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90)와:
일단이 스위치(9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접속기구(5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전선과(100)과:
일단이 스위치(80)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 연결되는 제2전선(110)과:
일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전선(120)
을 포함하여,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제1접속기구(51), 제2접속기구(52), 배터리끼우개(70), 배터리(80), 스위치(90), 제1전선(100), 제2전선(110), 제3전선(120),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스위치(90)의 온오프에 따라 통전되거나 단전되어,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Kit For Educating The Principle Of Shape Memory Alloy}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의 원리 및 수용기구의 개폐 원리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에 관한 것이다.
형상기억합금은 형상기억효과, 제진특성 및 초탄성효과가 확연히 나타날 뿐만 아니라, 그밖에 내부식성, 생체적 합성 특성 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의 주요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형상기억효과란 임계점 이하의 저온에서 변형을 시켰다가, 고온으로 가열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을 말하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 것으로는 온수조절용 벨브, 화재 발생시에 유해가스의 유출을 막기 위한 Fire Damper, Micro Robot의 구동소자 등을 들 수 있다.
제진특성은 형상기억합금의 저온상(Martensite)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특성으로 저온상의 경우 일정 높이에서 형상기억합금을 떨어뜨리면 금속성의 소리가 나는 것이 아니라 고무 등과 같이 이른바, '툭'하는 둔탁한 소리를 내게 된다.
초탄성효과는 임계점 이상의 고온상(Austenite)에서 변형을 시켰다가, 외력 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특성으로서, 이 효과는 휴대폰 안테나, 브래지어 와이어 등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이상과 같이 형상기억합금은 다양한 고유특성을 나타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러한 형상기억합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교재가 없는 관계로 교육현장에서는 오로지 막연한 이론학습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취약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일로(Silo) 형상의 수용기구에 다양한 물체를 수용하고, 이러한 수용기구를 개폐하여 수용기구 내의 물체를 이동시키는 기술이 다양한 현장에서 사용되지만, 이러한 원리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교재가 없는 관계로 교육현장에서는 오로지 막연한 이론학습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취약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633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형상기억합금의 원리 및 수용기구 개폐 원리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체지지체(21)와; 상하로 개구된 수용체삽입홀(22a)을 구비하여 받침체지지체(21)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체(22)를 갖춘 받침기구(20)와:
베이스판(10)에 안착되고,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의 하방에 위치하는 트레이기구(30)와: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지지체(41)와; 회전체지지체(41)에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42) 및; 회전체(42)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 하방에 위치하여,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을 개폐하는 개폐체(43)를 갖춘 개폐기구(40)와:
회전체지지체(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1접속기구(51)와; 회전체(4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2접속기구(52) 및; 일단이 제1접속기구(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를 갖춘 개폐체회전기구(50)와: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체(61)와; 수용체(61)를 개폐하는 덮개(62)를 갖춘 수용기구(60)와: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끼우개(70)와:
배터리끼우개(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80)와: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90)와:
일단이 스위치(9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접속기구(5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전선(100)과:
일단이 스위치(80)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 연결되는 제2전선(110)과:
일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전선(120)
을 포함하여,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제1접속기구(51), 제2접속기구(52), 배터리끼우개(70), 배터리(80), 스위치(90), 제1전선(100), 제2전선(110), 제3전선(120),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스위치(90)의 온오프에 따라 통전되거나 단전되어,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은, 상하로 개구된 연통부(11c)를 구비한 제1베이스판(11)과; 상하로 개구되는 다수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2a)과, 상하로 개구되는 회전체지지체삽입홀(12b)과, 상하로 개구된 트레이기구삽입홀(12c)과, 상하로 개구되고 제1베이스판(11)의 연통부(11c)와 연통되는 스위치삽입홀(12d) 및, 제2베이스판(1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배티리끼우개삽입부(12e)을 구비하여, 제1베이스판(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베이스판(12)을 갖추며,
상기 받침기구(20)는, 받침체(22)에 받침체지지체(21)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22b)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받침체지지체(21)의 하단이 제2베이스판(12)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트레이기구(30)는 제2베이스판(12)의 트레이기구삽입홀(12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개폐기구(40)에서, 회전체지지체(41)는 전후로 관통된 볼트삽입홀(41a) 및 회전축삽입홀(41b)이 형성되어 제2베이스판(12)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12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회전체(42)는 전후로 관통된 볼트삽입홀(42a)과, 전후으로 관통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회전축삽입홀(41b)과 연통되는 회전축삽입홀(42b)이 형성되고, 회전체지지체(41)의 회전축삽입홀(41b) 및 회전체(42)의 회전축삽입홀(42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44a)과, 회전축(44a)의 양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걸림체(44b,44c)를 구비한 회전축기구(44)를 더 갖추며,
상기 개폐체회전기구(50)에서, 제1접속기구(51)는 회전체지지체(41)의 볼트삽입홀(4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51a)와, 상기 볼트(5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와셔(51b) 및, 상기 볼트(51a)에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후방에 배치되는 너트(51d)를 구비하고, 제2접속기구(52)는 회전체(42)의 볼트삽입홀(4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52a)와, 상기 볼트(5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4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2와셔(52b,52c) 및, 상기 볼트(52a)에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체(42)의 후방에 배치되는 너트(52d)를 구비하고,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의 일단이 제1접속기구(51)의 제1와셔(51b)에 끼워져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와 너트(51d)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의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의 제1와셔(52b)에 끼워져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와 너트(52d)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끼우개(70)는 제1베이스판(11)에 안착되어 제2베이스판(12)의 배터리끼우개삽입부(12e)에 삽입되며,
상기 스위치(90)는 제2베이스판(12)의 스위치삽입홀(12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전선(100)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전선(101)과 제2연결전선(102)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전선(101)이 스위치(90)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연결전선(102)이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전선(110)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전선(111)과 제2연결전선(112)을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전선(111)이 스위치(90)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연결전선(112)이 배터리끼우개(70)에서 인출되며,
상기 제3전선(120)은 일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서 인출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의 제2와셔(52c)에 끼워져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와 너트(52d)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2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제1베이스판(11)은 상하로 개구되고 제2베이스판(12)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2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받침체삽입홀(11a)과, 상하로 개구되고 제2베이스판(12)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12b)와 연통되는 회전체지지체삽입홀(11b)을 갖추고서,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베이스판(12)이 제1베이스판(11)에 결합될 시, 제1베이스판(11)의 우측에 제1베이스판(11)의 연통부(11c)와 연통되는 전선배치공간(a)이 형성되며,
트레이기구(3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개폐기구(40)의 회전체지지체(41)는 전후로 개구된 삽입부재삽입홀(41c)과, 전후로 개구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볼트삽입홀(41a)에 이웃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핀삽입홀(41d)을 갖추며,
개폐기구(40)의 회전체(42)는 전후로 개구된 다수의 무게추와이어삽입홀(42c)을 갖추며,
상기 제1접속기구(51)는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후방에 배치되되, 제1접속기구(51)의 너트(51d)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와셔(51c)를 갖추며,
제1베이스판(11)과 제2베이스판(12)은 양면테이프로 접착되고, 개폐체(43)는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회전체(42)에 접착되며,
수용기구(60)에서, 수용체(61)는 수용체(61)의 일측에 구비되는 끼움부삽입홈(61a)과, 수용체(61)의 타측에 구비되는 끼움부(61b)와, 수용체(61)의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부(61c) 및, 수용체(61)의 하단에 구비되는 삽입부(61d)를 갖춘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부(61b)가 끼움부삽입홈(61a)에 끼워지면서 깔대기 형상을 이루되,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삽입부(61d)가 받침체(22)의 수용체수용홀(22a)에 접착되고, 덮개(62)는 상하로 개구되어 수용체(61)의 결합부(61c)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홀(62a)과, 상하로 개구된 손잡이설치홀(62b)을 갖추며,
개폐기구(40)의 회전체지지체(41)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이 삽입부재삽입홀(41c)로 노출되는 스펀지 재질의 삽입부재(130)와; 삽입부재(13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제1고정핀(140)과; 회전체지지체(41)의 가이드핀삽입홀(41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제2고정핀(150)과; 회전체(42)의 무게추와이어삽입홀(42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무게추와이어(160)와; 무게추와이어(160)에 뭉쳐져 끼워지는 찰흙 재질의 무게추(170) 및; 덮개(62)의 손잡이설치홀(6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181)와, 상기 볼트(181)에 나사산 체결되어 덮개(62)의 하방에 배치되는 너트(182) 및,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183a)을 구비하고 덮개(62)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183a)을 상기 볼트(181)가 통과하는 끼움체(183)를 갖춘 손잡이(180)
를 더 포함하되,
제1접속기구(51)에 연결된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제1고정핀(140)과 제2고정핀(150)을 경유하여 제2접속기구(5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원리를 교육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이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을 조립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의 결합 원리를 이해할 수 있고, 형상기억합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함과 더불어 수용기구(60)의 개폐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판을 나타낸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체회전기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수용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수용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무게추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전체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형상기억합금와이어 연결에 따른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다른 방식으로 형상기억합금와이어를 신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판을 나타낸 분해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기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체회전기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수용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수용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무게추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전체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형상기억합금와이어 연결에 따른 전기적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10)과, 받침기구(20)와, 트레이기구(30)와, 개페기구(40)와, 개폐체회전기구(50)와, 수용기구(60)와, 배터리끼우개(70)와, 배터리(80)와, 스위치(90)와, 제1전선(100)과, 제2전선(110)과, 제3전선(120)과, 삽입부재(130)와, 제1고정핀(140)과, 제2고정핀(150)과, 무게추와이어(160)와, 무게추(170) 및, 손잡이(180)를 포함하여,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제1접속기구(51), 제2접속기구(52), 배터리끼우개(70), 배터리(80), 스위치(90), 제1전선(100), 제2전선(110), 제3전선(120)이, 스위치(90)의 온오프에 따라 통전되거나 단전되어,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상기 베이스판(1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베이스판(11)과, 제2베이스판(12)을 갖춘다.
상기 제1베이스판(11)은 상하로 개구된 연통부(11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연통부(11c)는 우측방 및 하방이 개구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이스판(11)은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1a)과, 상하로 개구된 회전체지지체삽입홀(11b)을 더 갖춘다. 여기서 상기 받침체지지체삽입홀(11a) 및 회전체지지체삽입홀(11b)은 상방이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베이스판(11)은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판(12)은 상하로 개구된 다수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2a)과, 상하로 개구된 회전체지지체삽입홀(12b)과, 상하로 개구된 트레이기구삽입홀(12c)과, 상하로 개구되고 제1베이스판(11)의 연통부(11c)와 연통되는 스위치삽입홀(12d) 및, 제2베이스판(12)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배티리끼우개삽입부(12e)을 갖추고서, 제1베이스판(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베이스판(12)이 제1베이스판(11)에 결합될 시, 제1베이스판(11)은 제1베이스판(11)의 우측에 제1베이스판(11)의 연통부(11c)와 연통되는 전선배치공간(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체지지체삽입홀(12)은 제1베이스판(11)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1a)과 연통되게 구비되지만 제1베이스판(11)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1a)과 연통되지 않고 홈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에에서 상기 회전체지지체삽입홀(12b)은 제1베이스판(11)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11b)과 연통되게 구비되지만 제1베이스판(11)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11b)과 연통되지 않고 홈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2베이스판(11,12)은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2베이스판(12)은 우드락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받침기구(2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받침체지지체(21)와, 받침체(22)를 갖춘다
상기 받침체지지체(21)는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체지지체(21)는 하단이 베이스판(10)의 제1,2베이스판(11,12)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1a,1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받침체(22)는 받침체지지체(21)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22b)과, 상하로 개구되어 받침체지지체삽입홀(22b) 사이에 위치하는 수용체삽입홀(22a)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체지지체삽입홀(22b)은 하방으로 개구된 홈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받침체(22)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기구(3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에 안착되고,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의 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기구(30)는 제2베이스판(12)의 트레이기구삽입홀(12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기구(3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40)는 도 1, 도 2, 도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지지체(41)와, 회전체(42)와, 개폐체(43) 및, 회전축기구(44)를 갖춘다.
상기 회전체지지체(41)는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지지체(41)는 회전체지지체(41)가 제2베이스판(12)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12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회전체지지체(41)는 전후로 관통된 볼트삽입홀(41a)과, 전후로 관통되어 상기 볼트삽입홀(41a)의 상측에 구비되는 회전축삽입홀(41b)과, 전후로 개구되어 상기 볼트삽입홀(41a)과 회전축삽입홀(41b) 사이에 구비되는 사각홀 형상의 삽입부재삽입홀(41c) 및, 전후로 개구되어 상기 볼트삽입홀(41a)의 좌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핀삽입홀(41d)을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지지체(41)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42)는 회전체지지체(41)에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42)는 전후로 관통된 형성된 볼트삽입홀(42a)과, 전후로 관통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회전축삽입홀(41b)과 연통되며 상기 볼트삽입홀(42a)의 우측에 구비되는 회전축삽입홀(42b) 및, 전후로 개구되어 상기 회전축삽입홀(42b)의 우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무게추와이어삽입홀(42c)을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42)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개폐체(43)는 회전체(42)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 하방에 위치하여,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체(43)는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회전체(42)의 좌측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개폐체(43)는 원판 형상을 이루지만,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개폐체(43)는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기구(44)는 회전체지지체(41)의 회전축삽입홀(41b) 및 회전체(42)의 회전축삽입홀(42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44a)과, 회전축(44a)의 양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걸림체(44b,44c)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44a)은 쇠봉 형상을 이루고, 제1,2걸림체(44b,44c)는 투명튜브 형상을 이룬다.
상기 개폐체회전기구(50)는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재질의 제1접속기구(51)와, 도전재질의 제2접속기구(52) 및,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를 갖춘다.
상기 제1접속기구(51)는 개폐기구(40)의 회전체지지체(4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접속기구(51)는 회전체지지체(41)의 볼트삽입홀(4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51a)와, 상기 볼트(5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2와셔(51b,51c)와, 상기 볼트(51a)에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체지지체(41)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제2와셔(51c)의 후방에 배치되는 너트(51d)를 갖춘다.
상기 제2접속기구(52)는 회전체(4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접속기구(52)는 회전체(42)의 볼트삽입홀(4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52a)와, 상기 볼트(5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4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2와셔(52b,52c) 및, 상기 볼트(52a)에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체(42)의 후방에 배치되는 너트(52d)를 갖춘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는, 일단이 제1접속기구(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는, 일단이 제1접속기구(51)의 제1와셔(51b)에 끼워져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와 너트(51d)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의 제1와셔(52b)에 끼워져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와 너트(52d)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는 니켈과 티탄의 합금인 니티놀로 이루어져,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면서 길이가 줄어들고,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 열이 식으면서 다시 원래의 길이로 늘어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상합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기구(60)는 도 1,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체(61)와, 덮개(62)를 갖춘다.
상기 수용체(61)는 받침체(22)의 수용체삽입홀(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체(61)는 일측에 구비되는 끼움부삽입홈(61a)과, 타측에 구비되는 끼움부(61b)와,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부(61c) 및, 하단에 구비되는 삽입부(61d)를 갖추고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부(61b)가 끼움부삽입홈(61a)에 끼워지면서 깔대기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체(61)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덮개(62)는 상하로 개구되어 수용체(61)의 결합부(61c)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홀(62a)과, 상하로 개구된 손잡이설치홀(62b)을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62)는 우드락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끼우개(7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끼우개(70)는 제1베이스판(11)에 안착되어 제2베이스판(12)의 배터리끼우개삽입부(12e)에 삽입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끼우개(70)는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배터리(80)와 제2,3전선(110,120)가 상기 접속단자를 매개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터리(8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끼우개(7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80)는 일반 건전지, 충전용 배터리 등 다양한 배터리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스위치(90)는 도 1,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90)는 제2베이스판(12)의 스위치삽입홀(12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전선(100)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스위치(9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접속기구(51)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전선(100)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전선(101)과 제2연결전선(102)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선(101)이 스위치(90)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연결전선(102)이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연결전선(102)은 선단에 집게 형상의 접속체가 구비되어 상기 접속체를 매개로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에 연결된다.
상기 제2전선(110)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스위치(80)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전선(110)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전선(111)과 제2연결전선(112)을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전선(111)이 스위치(90)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연결전선(112)이 배터리끼우개(70)에서 인출된다.
상기 제3전선(12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전선(120)은, 일단이 배터리끼우개(70)에서 인출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52)의 제2와셔(52c)에 끼워져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와 너트(52d)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삽입부재(13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져, 개폐기구(40)의 회전체지지체(41)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이 삽입부재삽입홀(41c)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재(130)는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회전체지지체(41)의 후면에 결합된다. 여기서 삽입부재(130)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져 제1고정핀(140)의 삽입이 용이하며, 제1고정핀(14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구멍이 구비되어, 제1고정핀(140)에 걸리는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핀(140)의 위치 조절을 통해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삽입부재(130)는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스펀지 재질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재질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제1고정핀(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이루어, 삽입부재(13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핀(140)은 일단이 첨단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고정핀(1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이루어, 회전체지지체(41)의 가이드핀삽입홀(41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고정핀(150)은 일단이 첨단 형상을 이룬다.
한편, 제1접속기구(51)에 연결된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는 제1고정핀(140) 과 제2고정핀(150)을 경유하여 제2접속기구(52)에 연결된다.
상기 무게추와이어(1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42)의 무게추와이어삽입홀(42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와이어(160)는 철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추(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와이어(160)에 뭉쳐져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무게추(170)는 찰흙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점성을 가지고서 무게추와이어(160)에 설치될 수 있으면 다양한 재질로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18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2)의 손잡이설치홀(6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181)와, 상기 볼트(181)에 나사산 체결되어 덮개(62)의 하방에 배치되는 너트(182) 및,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183a)을 구비하고 덮개(62)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183a)을 상기 볼트(181)가 통과하는 끼움체(183)를 갖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다른 방식으로 형상기억합금와이어를 신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의 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을 각각 개별적으로 준비한다.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삽입부재(130)를 회전체지지체(41)의 후면에 접착하여, 삽입부재(130)가 회전체지지체(41)의 삽입부재삽입홀(41c)로 노출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이때 삽입부재(130)는 제1베이스판(11)에서 연통부(11c)를 만들 때 발생하는 절단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기구(40)의 회전축기구(44)를 매개로 회전체지지체(41)에 회전체(42)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어서,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의 일단을 제1접속기구(51)의 제1와셔(51b)에 걸어 묶고,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에 제1고정핀(140) 및 제2고정핀(150)을 끼운 후, 형상기억합금(53)의 타단을 제2접속기구(52)의 제1와셔(52b)에 걸어 묶는다.
이후, 제2고정핀(150)을 회전체지지체(41)의 가이드핀삽입홀(41d)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접속기구(51)의 제1와셔(51b)에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를 끼운 후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와 너트(51d)를 매개로 상기 제1와셔(51b)를 회전체지지체(41)에 고정하고, 제2접속기구(52)의 제1와셔(52b)에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를 끼운 후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와 너트(52d)를 매개로 상기 제1와셔(52b)를 회전체(42)에 고정한다. 이어서 제1고정핀(140)을 삽입부재(130)에 고정한다.
계속해서, 제1베이스판(11)과 제2베이스판(12)을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접착하고, 스위치(90)를 제2베이스판(12)의 스위치삽입홀(12d)에 삽입한다. 이때 스위치(90)에는 제1전선(100)의 제1연결전선(101)과 제2전선(110)의 제1연결전선(111)이 각각 인출된다.
그리고 나서, 배터리끼우개(70)에서 인출되는 제3전선(120)에 제2접속기구(52)의 제2와셔(52c)를 걸어 묶고, 배터리끼우개(70)에서 인출되는 제2전선(110)의 제2연결전선(112)과 스위치(90)에서 인출되는 제2전선(110)의 제1연결전선(111)을 연결하여 절연테이프로 감싼후, 배터리(80)가 삽입된 배터리끼우개(70)를 제2베이스판(12)의 배터리끼우개삽입부(12e)에 삽입한다. 이때 제2전선(110)의 제1,2연결전선(111,112)은 테이프를 매개로 전선배치공간(a)에 위치하게 제2베이스판(12)의 저면에 부착된다.
이어서, 스위치(90)에서 인출되는 제1전선(100)의 제1연결전선(101)과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에 연결되는 제1전선(100)의 제2연결전선(102)을 연결한 후 절연테이프로 감싼다. 이때 상기 제2연결전선(102)의 선단에는 집게 형상의 접속체가 구비된다.
계속해서, 개폐기구(40)의 회전체지지체(41)를 제1,2베이스판(11,12)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11b,12b)에 삽입한다.
이후, 제1전선(100)의 제2연결전선(102)에 구비된 접속체를 제1접속기구(51)의 볼트(51a)의 후단에 연결하고, 제3전선(120)에 연결된 제2접속기구(52)의 제2와셔(52c)에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를 끼운 후, 제2접속기구(52)의 볼트(52a)와 너트(52d)를 매개로 상기 제2와셔(52c)를 고정한다.
그리고,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개폐기구(40)의 개폐체(43)를 회전체(42)의 상면에 부착한다.
이어서, 찰흙을 뭉쳐 무게추(170)를 만들어 무게추와이어(160)에 고정한 후, 회전체(42)가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체(42)의 무게추와이어삽입홀(42c)에 무게추와이어(160)를 끼운다.
그러고 나서, 받침기구(20)의 받침체지지체(21)를 제1,2베이스판(11,12)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11a,12a)에 꽂은 후, 받침체(22)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22b)를 받침체지지체(21) 상단에 삽입하여, 받침체(22)를 받침체지지체(21)의 상단에 설치한다.
계속해서, 수용기구(60)의 수용체(61)를 말아 수용체(61)의 끼움부(61b)를 수용체(61)의 끼움부삽입홈(61a)에 끼워, 깔대기 형상의 수용체(61)를 만든다.
그리고, 수영체(61)의 삽입부(61d)에 양면테이프를 붙인 후 상기 삽입부(61d)를 받침체(22)의 수용체수용홀(22a)에 삽입고정한다.
이후, 손잡이(180)의 볼트(181)에 끼움체(183)을 끼운 후, 상기 볼트(181)를 덮개(62)의 손잡이설치홀(62b)에 삽입하고, 상기 볼트(181)에 손잡이(180)의 너트(182)를 체결하여, 덮개(62)에 손잡이(180)를 설치한다. 이때 덮개(62)는 제2베이스판(12)에서 트레이기구삽입홀(12c)를 만들 때 발생하는 절단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수용기구(60)의 덮개(62)의 결합부삽입홀(62a)를 수용체(61)의 결합부(61c)에 삽입하여, 덮개(62)를 수용체(61)의 상단에 배치한다.
그리고 나서, 트레이기구(30)를 제2베이스판(12)의 트레이기구삽입홀(12c)에 삽입하여, 트레이기구(30)를 수용기구(60)의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조립되고, 초콜릿이 수용기구(60)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위치(90)를 온하면,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제1접속기구(51), 제2접속기구(52), 배터리끼우개(70), 배터리(80), 스위치(90), 제1전선(100), 제2전선(110), 제3전선(120),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통전되고, 저항 발생에 의해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에 열이 발생하여,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의 길이가 줄어든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기구(40)의 회전체(42)가 당겨지면서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개폐체(43)가 받침체(22)의 수용체수용홀(22a)를 개방하여, 초콜릿이 트레이기구(30)으로 낙하하게 된다.
또한, 스위치(90)를 오프하면,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제1접속기구(51), 제2접속기구(52), 배터리끼우개(70), 배터리(80), 스위치(90), 제1전선(100), 제2전선(110), 제3전선(120),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단전되어,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가 냉각되고, 이에 따라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이 원래대로 복귀하여(늘어나), 도 1과 같이 개폐기구(40)의 회전체(42)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접속기구(51)에서 제1전선(100)을 분리하고, 제2접속기구(52)에서 제3전선(120)을 분리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히터(HT)를 제1접속기구(51) 또는 제2접속기구(52)에 연결하여 제1접속기구(51) 또는 제2접속기구(52)에 직접 열을 가함으로써,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의 신축 작용을 시현할 수 있다. 이때 히터(HT)는 별도의 접속체가 구비되어 제1접속기구(51) 또는 제2접속기구(52)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HT)는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되어 열을 공급하거나 공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별도로 냉각장치가 구비되면 제1접속기구(51) 또는 제2접속기구(52)에 열을 공급하거나 상기 열에 비해 낮은 냉열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형상기억합금 원리를 교육하기 위한 각각의 구성이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을 조립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의 결합 원리를 이해할 수 있고, 형상기억합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함과 더불어 수용기구(60)의 개폐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베이스판(10)과, 받침기구(20)와, 개폐기구(40)와, 개폐체회전기구(50)와, 수용기구(60)의 조립을 통해, 구조체의 조립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기구(40)를 통해 개폐체(43)의 회전 원리를 이해함과 함께, 개폐기구(40)의 회전체(42)에 설치되는 무게추와이어(160)와 무게추(170)를 통해 평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제1접속기구(51), 제2접속기구(52), 배터리끼우개(70), 배터리(80), 스위치(90), 제1전선(100), 제2전선(110), 제3전선(120),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을 통해, 형상기억합금와이어(53)을 신축하기 위한 회로 원리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상기억합금의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하나의 키트를 완성함으로써, 다양한 물리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으로, 간단한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지만, 초등 교육 또는 초등 교육 과정을 거치지 않은 사람들에게 간단한 방법을 통해 다양한 물리 원리를 쉽게 설명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10; 베이스판 20; 받침기구
30; 트레이기구 40; 개페기구
50; 개폐체회전기구 60; 수용기구
70; 배터리끼우개 80; 배터리
90; 스위치 100; 제1전선
110; 제2전선 120; 제2전선
130; 삽입부재 140; 제1고정핀
150; 제2고정핀 160; 무게추와이어
170; 무게추 180; 손잡이

Claims (3)

  1.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체지지체와; 상하로 개구된 수용체삽입홀을 구비하여 받침체지지체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체를 갖춘 받침기구와:
    베이스판에 안착되고, 받침체의 수용체삽입홀의 하방에 위치하는 트레이기구와: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지지체와; 회전체지지체에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및; 회전체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받침체의 수용체삽입홀 하방에 위치하여, 받침체의 수용체삽입홀을 개폐하는 개폐체를 갖춘 개폐기구와:
    회전체지지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1접속기구와; 회전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전재질의 제2접속기구 및; 일단이 제1접속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형상기억합금와이어를 갖춘 개폐체회전기구와:
    받침체의 수용체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체와; 수용체를 개폐하는 덮개를 갖춘 수용기구와: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끼우개와:
    배터리끼우개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와:
    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와:
    일단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접속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전선과:
    일단이 스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터리끼우개에 연결되는 제2전선과:
    일단이 배터리끼우개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전선
    을 포함하여,
    하나의 회로를 이루는 제1접속기구, 제2접속기구, 배터리끼우개, 배터리, 스위치, 제1전선, 제2전선, 제3전선, 형상기억합금와이어가,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통전되거나 단전되어, 형상기억합금와이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하로 개구된 연통부를 구비한 제1베이스판과; 상하로 개구되는 다수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과, 상하로 개구되는 회전체지지체삽입홀과, 상하로 개구된 트레이기구삽입홀과, 상하로 개구되고 제1베이스판의 연통부와 연통되는 스위치삽입홀 및, 제2베이스판에 상하로 개구되게 형성된 배티리끼우개삽입부을 구비하여, 제1베이스판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베이스판을 갖추며,
    상기 받침기구는, 받침체에 받침체지지체의 상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받침체지지체의 하단이 제2베이스판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트레이기구는 제2베이스판의 트레이기구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개폐기구에서, 회전체지지체는 전후로 관통된 볼트삽입홀 및 회전축삽입홀이 형성되어 제2베이스판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회전체는 전후로 관통된 볼트삽입홀과, 전후으로 관통되어 회전체지지체의 회전축삽입홀과 연통되는 회전축삽입홀이 형성되고, 회전체지지체의 회전축삽입홀 및 회전체의 회전축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2걸림체를 구비한 회전축기구를 더 갖추며,
    상기 개폐체회전기구에서, 제1접속기구는 회전체지지체의 볼트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지지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와셔 및, 상기 볼트에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체지지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제2접속기구는 회전체의 볼트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1,2와셔 및, 상기 볼트에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체의 후방에 배치되는 너트를 구비하고, 형상기억합금와이어의 일단이 제1접속기구의 제1와셔에 끼워져 제1접속기구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형상기억합금와이어의 타단이 제2접속기구의 제1와셔에 끼워져 제2접속기구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배터리끼우개는 제1베이스판에 안착되어 제2베이스판의 배터리끼우개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위치는 제2베이스판의 스위치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전선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전선과 제2연결전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연결전선이 스위치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연결전선이 제1접속기구의 볼트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전선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전선과 제2연결전선을 구비하여, 상기 제1연결전선이 스위치에서 인출되고, 상기 제2연결전선이 배터리끼우개에서 인출되며,
    상기 제3전선은 일단이 배터리끼우개에서 인출되고 타단이 제2접속기구의 제2와셔에 끼워져 제2접속기구의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제1베이스판은 상하로 개구되고 제2베이스판의 받침체지지체삽입홀과 연통되는 다수의 받침체삽입홀과, 상하로 개구되고 제2베이스판의 회전체지지체삽입홀와 연통되는 회전체지지체삽입홀을 갖추고서,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베이스판이 제1베이스판에 결합될 시, 제1베이스판의 우측에 제1베이스판의 연통부와 연통되는 전선배치공간이 형성되며,
    트레이기구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개폐기구의 회전체지지체는 전후로 개구된 삽입부재삽입홀과, 전후로 개구되어 회전체지지체의 볼트삽입홀에 이웃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핀삽입홀을 갖추며,
    개폐기구의 회전체는 전후로 개구된 다수의 무게추와이어삽입홀을 갖추며,
    상기 제1접속기구는 제1접속기구의 볼트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체지지체의 후방에 배치되되, 제1접속기구의 너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와셔를 갖추며,
    제1베이스판과 제2베이스판은 양면테이프로 접착되고, 개폐체는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회전체에 접착되며,
    수용기구에서, 수용체는 수용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끼움부삽입홈과, 수용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끼움부와, 수용체의 상단에 구비되는 결합부 및, 수용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삽입부를 갖춘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부가 끼움부삽입홈에 끼워지면서 깔대기 형상을 이루되,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삽입부가 받침체의 수용체수용홀에 접착되고, 덮개는 상하로 개구되어 수용체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부삽입홀과, 상하로 개구된 손잡이설치홀을 갖추며,
    개폐기구의 회전체지지체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면이 삽입부재삽입홀로 노출되는 스펀지 재질의 삽입부재와; 삽입부재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제1고정핀과; 회전체지지체의 가이드핀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링 형상의 제2고정핀과; 회전체의 무게추와이어삽입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무게추와이어와; 무게추와이어에 뭉쳐져 끼워지는 찰흙 재질의 무게추 및; 덮개의 손잡이설치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산 체결되어 덮개의 하방에 배치되는 너트 및,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을 구비하고 덮개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홀을 상기 볼트가 통과하는 끼움체를 갖춘 손잡이
    를 더 포함하되,
    제1접속기구에 연결된 형상기억합금와이어가 제1고정핀과 제2고정핀을 경유하여 제2접속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KR1020190078723A 2019-07-01 2019-07-01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KR102211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23A KR102211082B1 (ko) 2019-07-01 2019-07-01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23A KR102211082B1 (ko) 2019-07-01 2019-07-01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92A KR20210002892A (ko) 2021-01-11
KR102211082B1 true KR102211082B1 (ko) 2021-02-02

Family

ID=7412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23A KR102211082B1 (ko) 2019-07-01 2019-07-01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0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953B1 (ko) 1993-02-23 2000-01-15 다카노 야스아키 냉장고
JP2000125839A (ja) 1998-10-28 2000-05-09 Japan Tobacco Inc 吸い殻入れ
KR200423311Y1 (ko) 2006-05-19 2006-08-04 허철 에너지 변환 교육교재
KR200439638Y1 (ko) 2007-01-15 2008-04-24 허철 과학 교육교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7885A (ja) * 1984-03-31 1985-10-19 株式会社東芝 冷凍冷蔵庫
JPS63199979A (ja) * 1987-02-12 1988-08-18 Hitachi Heating Appliance Co Ltd 作動スイツチ
JPH0658820U (ja) * 1993-01-29 1994-08-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コーヒー等の飲料抽出器
KR200363360Y1 (ko) 2004-02-13 2004-10-01 주식회사 바이오스마트 형상기억합금 특성의 교육을 위한 키트 및 그 부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953B1 (ko) 1993-02-23 2000-01-15 다카노 야스아키 냉장고
JP2000125839A (ja) 1998-10-28 2000-05-09 Japan Tobacco Inc 吸い殻入れ
KR200423311Y1 (ko) 2006-05-19 2006-08-04 허철 에너지 변환 교육교재
KR200439638Y1 (ko) 2007-01-15 2008-04-24 허철 과학 교육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92A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9450B (zh) 电路板接线夹
US10975595B2 (en) Automatic connecting system with heat-activated release
US5543678A (en) Flat motors
US8672703B2 (en) Spring terminal, in particular a front terminal
KR102211082B1 (ko) 수용기구 개폐 구조를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원리 교육 키트
KR2015001298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8287593A (zh) 可携式电子装置
JP2021069274A (ja) 低・中電圧の電気筐体
WO2013179311A1 (en) A system for generating refreshable tactile text and graphics
EP1440857B1 (en) A device for engaging the push-rod of the power brake to the brake pedal of a motor vehicle
CN208046190U (zh) 电视机一体型电线整理装置
CN208094013U (zh) 一种便于接线、安装的配电箱
JP4770748B2 (ja) リモコン装置の取付け構造
JP2012160412A (ja) カットアウト用作業棒先端構造
CN106200782A (zh) 支架和平板电子设备
CN105592730B (zh) 电子烟充电装置及其组装方法
CN210577209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配电箱
KR200363360Y1 (ko) 형상기억합금 특성의 교육을 위한 키트 및 그 부품
IT8224581A1 (it) Relé polarizzato
CN206789471U (zh) 一种纯平多点自复位开关
EP1950820B1 (de) Akkumulatorpack
US2777077A (en) Thermoelectric motor
US1291051A (en) Safety-chest for containing valuables.
CN215816511U (zh) 一种取电设备
CN210927802U (zh) 一种法语口语用现场教学拍摄记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