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019B1 - 의자용 좌판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019B1
KR102211019B1 KR1020190176152A KR20190176152A KR102211019B1 KR 102211019 B1 KR102211019 B1 KR 102211019B1 KR 1020190176152 A KR1020190176152 A KR 1020190176152A KR 20190176152 A KR20190176152 A KR 20190176152A KR 102211019 B1 KR102211019 B1 KR 102211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plate
cushion
chai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삼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47C27/006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역할의 수행은 물론, 좌판의 쿠션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착될 때 쿠션에 형성되는 통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유지시켜 좌판의 통기성을 계속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좌판에 장시간 착석할 경우에도 쾌적함이 유지되어 땀, 악취의 발생이 감소하며, 아울러 좌판 내부의 쿠션이 축축하게 젖거나 마모되어 쿠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Seat for chair}
본 발명은 극장 또는 대강당 등에 사용되는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일반적인 의자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좌판과 등받이 그리고 팔걸이 등으로 구성되며, 보다나은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좌판과 등받이에 쿠션재를 부가하기도 한다.
여러 종류의 의자 중 극장 또는 강당에 사용되는 의자는, 통상 바닥면에 고정되는 붙박이 의자가 채용되며, 좌판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사용시에는 펴서 사용하고, 사용자가 기립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접혀지게 구성됨이 보통이다.
따라서 의자에 자동으로 접혀지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자의 팔걸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양측에 좌판의 후위 양측을 회전축과 힌지로 연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후단부위의 하면에는 중량체를 결합하여 상부측으로 자유상태가 되면(즉 사용자가 기립하게 되면) 중량체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접히게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극장용 의자의 좌판은, 좌우 양측으로 회전축이 인출되는 좌판프레임이 구비되고, 스폰지재의 상부쿠션과 하부쿠션이 상기 좌판프레임의 상하부에서 얹혀져 상호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쿠션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좌판프레임의 회전축이 돌출될 수 있도록 타공 처리되어 상기 회전축이 외부로 돌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쿠션의 외측에 천 또는 가죽재의 시트커버(외피)를 덮어 의자의 좌판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의자용 좌판은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시켜주기 위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할 경우 자신의 신체하중을 좌판에 완전히 의지하게 된다. 따라서, 좌판은 사용자의 체중이 직접 전달됨에 따라 높은 탄성력이 요구되고, 좌골을 직접 받쳐 지지함에 따라 어느 정도의 강도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용 좌판은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기본적인 역할은 수행하고 있었으나, 그 기능이 이에 한정되어 있어 장시간 사용이 이루어질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여름철과 같이 무더운 계절에 장시간 의자에 착석할 경우, 엉덩이 또는 다리에 습기가 차 습진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악취 등을 발생시켜 불쾌감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좌판의 통기성에 의한 것으로, 사용자의 엉덩이 또는 다리와 좌판 사이에 공기가 통하지 않으므로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좌판의 통기성을 향개선하기 위하여 좌판 내부의 쿠션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스펀지재로 제작되는 쿠션이 좌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착되면, 쿠션에 형성된 통공이 막히거나 좁아져 통공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끊기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좌판의 통기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13266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의자용 좌판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의자의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역할의 수행은 물론, 좌판의 쿠션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착될 때 쿠션에 형성되는 통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유지시켜 좌판의 통기성을 계속 확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좌판에 장시간 착석할 경우에도 쾌적함이 유지되어 땀과 악취의 발생이 감소하며, 아울러 좌판 내부의 쿠션이 축축하게 젖거나 마모되어 쿠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의자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상부쿠션; 및 상기 통기공에 삽입되고, 의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쿠션이 가압될 때 상기 통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통기공의 형태를 유지시키며,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통기공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쿠션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구의 내주연에 다수 형성되고, 지지구의 내주연을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지지구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며, 상기 지지구의 내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용 좌판은, 상기 상부쿠션의 하면에 구비되는 좌판프레임; 및 상기 상부쿠션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쿠션과 좌판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쿠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좌판의 쿠션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압착될 때, 쿠션에 형성되는 통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유지시켜 좌판의 통기성을 계속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좌판에 장시간 착석할 경우에도 쾌적함이 유지되어 땀과 악취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좌판 내부의 쿠션이 땀에 의해 축축하게 젖거나 마모되어 쿠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분해도와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 사용되는 지지체의 단면도 및 지지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통풍패드가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분해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 구비되는 통풍패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개략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상부쿠션(10); 상기 상부쿠션(10)의 하부에 삽입되는 좌판프레임(20); 및 상기 상부쿠션(10)의 하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상부쿠션(10)과 좌판프레임(20)을 지지하는 하부쿠션(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쿠션(10) 및 하부쿠션(30)은 우레탄발포 폼 또는 메모리 폼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신축성 또는 탄력을 가진 재료로 복원력을 갖는다.
상기 상부쿠션(10)의 하면에 좌판프레임(20)이 삽입되고, 상부쿠션(10)의 하측에 하부쿠션(3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쿠션(10)과 하부쿠션(30)은 가죽재, 천 또는 합성수지재의 외피로 감싸진다.
상기 상부쿠션(10)은 상기 좌판프레임(20)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부가 하면에 형성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통기공(11)이 내부에 다수 형성되며, 상면에는 후술할 통풍패드(5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11)은 상부쿠션(1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쿠션(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고, 경우에 따라 상기 상부쿠션(10)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11)에는 실리콘과 같이 플렉시블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재의 지지체(40)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11)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지지구(41); 및 상기 지지구(41)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쿠션(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4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40)는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할 때,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쿠션(10)이 가압되어 상기 상부쿠션(10)이 눌려지거나 찌그러지면서 상기 통기공(11)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체(40)의 지지구(41)가 통기공(11)에 삽입되어 상기 통기공(11)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한다.
상기 지지체(40)는 상기 통기공(11)에 상기 지지구(41)가 억지끼움될 수 있고, 상기 플랜지(42)가 상부쿠션(10)의 상면에 걸리면서 안착되어 상기 지지체(40)가 상부쿠션(10)에 고정 및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용 좌판은,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부쿠션(10)이 가압되어 눌려질 때, 상부쿠션(10)의 통기공이(11) 상기 지지체(40)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좌판의 통기성이 유지되어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로 좌판을 이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구(41)는 상기 통기공(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구(41)는 상기 통기공(11)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일예로 통기공(11)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41)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기공(11)에 삽입된 지지구(41)의 내측와 외측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지지체(4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지지체(40)의 지지구(41) 내주연에는 다수의 지지돌기(4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43)는 상기 지지구(41)를 지지하여 상기 지지체(40)가 외력에 의해 형태 변형되는 것을 억제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지지체(41)의 내부가 계속하여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구(41)의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내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지지돌기(43)의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돌기(43)는 상기 지지체(40)가 의자의 좌판 사용자 하중에 의해 상부쿠션(10)과 함께 찌그러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지지구(41)의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틈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지지구(41)의 내부가 막히지 않고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41)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구(41)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지지구(41)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지지구(41)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지지돌기(43)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4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돌기(43) 사이의 공기가 통기공(11)의 상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통기공(11)의 내부에서 지지구(41)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지지구(41)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지지돌기(43) 사이의 공간과 상기 플랜지(4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돌기(43)는 다양한 길이로 지지구(41)의 내주연 및/또는 외주연에 형성될 수 있고, 지지구(41)의 상부와 하부로 분할되어 상측과 하측의 지지돌기(43)가 서로 교차되거나 엇갈리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구(41)의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거나 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43)는 상기 지지구(41)의 내주연 또는/및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43)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다수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돌기(43)가 지지구(41) 내부에서 겹치거나 지지구(41)의 내주연에 밀착될 경우 상기 통공을 통해 공기가 지지구(41) 내외부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쿠션(10)의 상면에는 안착홈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부(12)에는 통풍패드(50)가 안착된다.
상기 통풍패드(50)는 공기투과성과 복원력 및 형상 유지 성능이 우수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또는 합성섬유로 형성되는 충진사(51); 및 상기 충진사(51)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그물망 형태의 덮개부(52);를 포함한다.
즉, 그물망 형태의 덮개부(52)가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52)는 충진사(5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통풍패드(50)는 3층 입체 구조로서, 충진사(52)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섬유로 형성될 수 있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 PA 등의 소재로 형성하거나 PA(polyamide),PET,PE 등의 모노필라멘트 소재를 이용하여 덮개부(52)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의자용 좌판은 통기성을 향상시켜 의자의 좌판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느끼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상기 상부쿠션(10)의 상면에 상기 통풍패드(5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부쿠션(10)의 통기공(11)과 함께 좌판 내부의 공기 이동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좌판의 통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통풍패드(50)는 상기 통기공(11)에 지지체(40)가 삽입된 후 상기 상부쿠션(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2)에 안착되고, 이후 상기 상부쿠션(10)을 덮는 외피(6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통풍패드(50)는 상기 지지체(40)에 의해 상부쿠션(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상기 통풍패드(50)가 상기 안착홈부(12)에 안착되고, 이후 상기 지지체(40)의 지지구(41)가 상기 통풍패드(50)를 관통하여서 상기 통기공(11)에 삽입되며, 플랜지(42)가 통풍패드(5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통풍패드(50)가 상부쿠션(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의 통기공(11)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11)의 하부 내주연에 걸림턱(11a)이 형성되며, 의자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상부쿠션(10); 및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11)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11a)에 지지되며, 의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쿠션(10)이 가압될 때 상기 통기공(11)의 형상을 유지시켜 상기 통기공(11)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지지체(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체(4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2)가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통기공(11)의 내부에 삽입되어서 통기공(1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턱(11a)에 지지 및 고정된다.
상기 지지체(40)는 다양한 실시예를 갖는 상기 지지돌기(4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체(40)의 내주연 또는/및 외주연에는 길이방향의 지지돌기(42)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쿠션(10)의 하부에는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부에는 좌판프레임(20)이 수용되며, 좌판프레임(20)이 상부쿠션(10)의 하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쿠션(10)의 하부가 하부쿠션(30)에 의해 차단되고, 상부쿠션(10)과 하부쿠션(30)이 상하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쿠션(10)과 하부쿠션(30)이 외피(6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하부쿠션(30)은 상부쿠션(10)의 통기공(11)에 대응하는 통기공(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통기공(31)에는 상기 지지체(4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쿠션(30)의 통기공(31)도 지지체(40)에 의해 항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좌판의 통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쿠션(30)의 통기공(11)의 내경을 상기 상부쿠션(10)의 통기공(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쿠션(10)의 통기공(11)에 삽입되는 지지체(40)가 하부쿠션(30)의 상면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턱(11a) 없이도 통기공 (1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쿠션(10) 및/또는 하부쿠션(30)의 통기공(11,31)에 상기 지지체(4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쿠션(10)의 상부에 통풍패드(5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통풍패드(50)는 핀 또는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상기 상부쿠션(10)에 고정할 수 있고, 별도 고정수단 없이 상부쿠션을 감싸는 외피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40)와 통풍패드(50)는 상부쿠션(10)에 고정되는 작업순서가 바뀔 수 있는데 일예로, 상기 통풍패드(50)가 상기 상부쿠션(10)의 안착홈부(12)에 안착되고, 이후 상기 지지체(40)의 지지구(41)는 통풍패드(50)를 관통하여 통기공(11)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체(40)의 플랜지(42)는 상기 통풍패드(50)의 상면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쿠션(10)의 하부 수용홈부(13)에 좌판프레임(20)을 삽입하고, 상부쿠션(10)의 하부를 하부쿠션(30)으로 차단 또는 지지한다.
상기 상부쿠션(10)에 지지체(40) 및 통풍패드(50)가 구비되고, 상부쿠션(10)의 하측에 하부쿠션(30)이 구비된 후에는 외피(60)로 상기 상부쿠션(10)과 하부쿠션(30)을 감싼다.
또한, 상기 상부쿠션(10)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좌판프레임(20)의 회전축(21)이 돌출될 수 있도록 타공 처리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쿠션(10)과 하부쿠션(30)은 천, 가죽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외로 감싸며, 상기 개구부에는 플라스틱재의 보강커버(70)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함으로써 의자의 좌판이 완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자용 좌판은, 좌판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상부쿠션(10)의 상면에 통풍패드(50)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쿠션(10)에 형성되는 통기공(11)을 지지체(40)에 의해 항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좌판의 통풍 또는 통기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죄판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땀 또는 습기 등을 예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쾌적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상부쿠션 11 : 통기공
12 : 안착홈부 20 : 좌판프레임
30 : 하부쿠션 31 : 통기공
40 : 지지체 41 : 지지구
42 : 플랜지 43 : 지지돌기
50 : 통풍패드 51 : 충진사
52 : 덮개부 60 : 외피

Claims (7)

  1. 다수의 통기공(11)이 형성되고, 의자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치는 상부쿠션(10);
    상기 상부쿠션(10)의 하부에 수용되고, 좌우측단부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좌판프레임(20); 및
    상기 상부쿠션(1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쿠션(10)과 좌판프레임(20)을 지지하는 하부쿠션(30);을 포함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쿠션(10)의 통기공(11)에 삽입되는 관 형상의 지지구(41)와 상기 상부쿠션(10)의 상면에 안착되는 플랜지(42)가 형성되며, 의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상부쿠션(10)이 가압될 때, 상기 통기공(11)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지지체(4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4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구(41)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기 지지구(41)의 내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돌기(43);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43)는, 상기 지지구(41)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41)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2)는 상기 지지돌기(43)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4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공기는 상기 통기공(11)의 내부에서 지지구(41)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지지구(41)의 외측으로 이동 시, 상기 지지돌기(43) 사이의 공간과 상기 플랜지(4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쿠션(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통풍패드(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풍패드(50)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섬유로 형성되는 충진사(51); 및
    상기 충진사(51)의 상하부에 형성되고, 충진사(51)에 의해 연결되는 그물망 형태의 덮개부(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쿠션(30)에는 다수의 통기공(31)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공(31)에는 상기 지지체(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76152A 2019-12-27 2019-12-27 의자용 좌판 KR102211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52A KR102211019B1 (ko) 2019-12-27 2019-12-27 의자용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52A KR102211019B1 (ko) 2019-12-27 2019-12-27 의자용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019B1 true KR102211019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152A KR102211019B1 (ko) 2019-12-27 2019-12-27 의자용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0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662A (ko) 2004-02-17 2006-12-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인타샤 패턴의 편성방법과 편성포, 니트 디자인 장치및 편성 프로그램
EP2404527A2 (en) * 2010-07-07 2012-01-11 Frontis Corp. Blowing pa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ing pad
KR20140075247A (ko) * 2012-12-11 2014-06-19 김선기 냉온풍 공급시트
KR101509407B1 (ko) * 2014-11-12 2015-04-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형 냉난방 좌석 시스템
KR20150131534A (ko) * 2014-05-15 2015-11-25 원 김 내부 지지부재가 구비된 꺾임 방지용 호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662A (ko) 2004-02-17 2006-12-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인타샤 패턴의 편성방법과 편성포, 니트 디자인 장치및 편성 프로그램
EP2404527A2 (en) * 2010-07-07 2012-01-11 Frontis Corp. Blowing pad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blowing system using the blowing pad
KR20140075247A (ko) * 2012-12-11 2014-06-19 김선기 냉온풍 공급시트
KR20150131534A (ko) * 2014-05-15 2015-11-25 원 김 내부 지지부재가 구비된 꺾임 방지용 호스
KR101509407B1 (ko) * 2014-11-12 2015-04-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형 냉난방 좌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4464C2 (ru) Набивка для мебели
KR200447052Y1 (ko) 개폐식 머리받침이 구비된 빈백 소파
CA2207248C (en) Padded chair construction
KR101015628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기능성 방석
JP2006130283A (ja) 体圧分散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5566B1 (ko) 복수 개의 스프링층을 포함하는 침구용 매트리스
KR101053553B1 (ko) 의자용 좌판
KR102211019B1 (ko) 의자용 좌판
KR101792119B1 (ko) 증강된 탄성력을 가지는 메쉬형 의자 좌판
KR101261038B1 (ko) 차량용 통풍시트 및 차량 통풍시트용 원단
KR101258171B1 (ko)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KR20090009526U (ko) 방석
KR200333968Y1 (ko) 의자 좌판부의 통기 구조
JP3197586U (ja) 寝具等のクッション
KR200313925Y1 (ko) 쿠션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KR102646980B1 (ko) 독립 쿠션의 에어셀 분할구조를 갖는 기능성 베개
JP3221017U (ja) 腰当てクッション
KR101237557B1 (ko) 한지를 이용한 방석
KR200333174Y1 (ko) 통풍구가 형성된 시트
JP2017202285A (ja) クッションセット
JP2000166709A (ja) 体圧対応ソファー兼用マットレス
KR102574855B1 (ko) 좌대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