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925B1 -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925B1
KR102210925B1 KR1020190139918A KR20190139918A KR102210925B1 KR 102210925 B1 KR102210925 B1 KR 102210925B1 KR 1020190139918 A KR1020190139918 A KR 1020190139918A KR 20190139918 A KR20190139918 A KR 20190139918A KR 102210925 B1 KR102210925 B1 KR 102210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ge voltage
storage battery
terminal
battery replacement
auxilia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호
손성배
Original Assignee
기호
손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호, 손성배 filed Critical 기호
Priority to KR102019013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88Hand-held or hand-manipulated probes, e.g. for oscilloscopes or for portable test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전지의 교환 또는 수리를 위해 축전지 단자에서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거나 장착해야 하는 작업 공정 중에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간의 분리 또는 결합 시에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에 잔류하는 미량의 전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이 원할한 도전성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와 용이하게 접촉되는 원뿔형 첨단부가 형성된 전극부, 원뿔형 첨단부의 후방측 단부에서 전극부와 일체로 몸체가 연설되어 본체부까지 길이가 연장되고 케이블 이동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몸체의 둘레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하여 복층구조의 제1절연 피복층이 형성되는 단자 이동부, 및 단자 이동부의 후방측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길이가 확장되어 연설된 하우징 몸체로 구성되며 하우징 몸체의 둘레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하여 복층구조의 제2절연 피복층이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는 서지전압 제거회로가 구비되어 서지전압을 검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서지전압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접지로 흘려보내는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모듈 및 엔지니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Assist device for battery replacement}
본 발명은 축전지 교환 시 축전지 단자에서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거나 장착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제거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전지 단자에서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거나 장착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함으로써 축전지를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서지전압에 의한 고가의 차량 손상을 방지하여 재산상의 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엔지니어의 감전 등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축전지 교환 시 축전지 단자에서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거나 장착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제거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전지 단자에서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거나 장착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함으로써 축전지를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서지전압에 의한 고가의 차량 손상을 방지하여 재산상의 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엔지니어의 감전 등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 또는 축전지 교환 등을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축전지를 분리하거나 축전지를 교환하기 위해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고 다시 장착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간의 접촉에 따른 서지전압이 발생된다. 그런데 이때 발생되는 서지전압은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전압으로서 축전지의 상태 및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간의 접촉상태에 따라 다르긴 하나 10,000V 이상의 고전압이 순간적으로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순간적인 고전압에 의해 차량과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제어기에도 그 영향을 주게 되어 차량의 제어기인 제어모듈 손상(예를 들면 ECM, TCM, BCM 등에 있어서 제어기내부에 저장되어있는 킷값의 삭제 또는 오류로 인하여 차량 통신 불량이나 시동불량 또는 제어작동 불량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을 정비하는 엔지니어가 감전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의 자동차는 안전장치 및 편의장치의 증가 및 사양 향상에 따라 모듈의 개수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며, 따라서 축전지 교환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축전지 교환 보조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 또는 축전지 교환 등을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축전지를 분리하거나 축전지를 교환하기 위해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고 다시 장착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간의 접촉에 따른 서지전압이 발생된다. 그런데 이때 발생되는 서지전압은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전압으로서 축전지의 상태 및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간의 접촉상태에 따라 다르긴 하나 10,000V 이상의 고전압이 순간적으로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순간적인 고전압에 의해 차량과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제어기에도 그 영향을 주게 되어 차량의 제어기인 제어모듈 손상(예를 들면 ECM, TCM, BCM 등에 있어서 제어기내부에 저장되어있는 킷값의 삭제 또는 오류로 인하여 차량 통신 불량이나 시동불량 또는 제어작동 불량 등)이 빈번하게 발생되거나, 또는 차량을 정비하는 엔지니어가 감전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특히 최근의 자동차는 안전장치 및 편의장치의 증가 및 사양 향상에 따라 모듈의 개수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며, 따라서 축전지 교환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축전지 교환 보조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KR 10-1864184 B1 2018.05.29 등록 KR 10-1987935 B1 2019.06.04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축전지의 교환 또는 수리를 위해 축전지 단자에서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거나 장착해야 하는 작업 공정 중에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간의 분리 또는 결합 시에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제어시스템인 각종 모듈을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고 아울러 차량을 점검하는 엔지니어의 감전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에 잔류하는 미량의 전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이 원할한 도전성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와 용이하게 접촉되는 원뿔형 첨단부가 형성된 전극부, 원뿔형 첨단부의 후방측 단부에서 전극부와 일체로 몸체가 연설되어 본체 선단부까지 길이가 연장되고 케이블 이동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몸체의 둘레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하여 복층구조의 제1절연 피복층이 형성되는 단자 이동부, 및 단자 이동부의 후방측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길이가 확장되어 연설된 하우징 몸체로 구성되며 하우징 몸체의 둘레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하여 복층구조의 제2절연 피복층이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의 내부에는 서지전압 제거회로가 구비되어 서지전압을 검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서지전압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접지로 흘려보내는 본체를 포함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이다.
본 발명의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 의하면, 축전지를 교환하거나 임의적으로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여 차량의 점검 및 정비를 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이후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장착하고자 할 때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하여 고가인 차량의 각종 제어 모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엔지니어가 서지전압에 의해 감전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의 외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서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서지전압 제거회로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작성된 구성요소 및 선의 두께와 길이 등은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하게 표현되어 과장 또는 함축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의 한정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실시 예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의 외부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서 본체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에서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서지전압 제거회로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10)와 단자 이동부(20) 및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극부(10)는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에 잔류하는 미량의 전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이 원할한 도전성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와 용이하게 접촉이 가능하도록 선단부에 원뿔형 첨단부(11)가 형성된다.
단자 이동부(20)는 케이블 단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케이블 이동공간이 구비된 원통형 몸체(21)로 이루어지며 원뿔형 첨단부(11)의 후방측 단부에서 전극부(10)와 일체로 몸체가 연설되어 본체부(100)까지 길이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원통형 몸체(21)의 둘레 전체에는 절연물로 코팅된 복층구조의 제1절연 피복층(22)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 이동부(20)는 본체(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원통형 몸체(21)의 후방측 단부에 나사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 결합부 또는 어댑터와의 연결을 위한 어댑터 연결부 중의 어느 하나를 형성하여 본체(100)와 나사 결합/분리가 가능하거나 어댑터를 통한 연결/분리가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극부(10)와 단자 이동부(20)는 축전지 단자의 크기에 따라 직경 및 길이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체(100)는 단자 이동부(20)의 후방측 단부에서 반경이 후단부로 갈수록 원추형으로 점차 확장되고 일정 길이의 원통형 몸체가 연설된 형태의 하우징 몸체(101)로 구성되며, 하우징 몸체(101)의 둘레 전체에는 절연물로 코팅된 복층구조의 제2절연 피복층(102)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체(100)의 하우징 몸체(101)의 내부에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지전압 제거회로(110)가 구비되어 서지전압을 검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서지전압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접지로 흘려보내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100)를 구성하는 하우징 몸체(10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지전압 방출부(113) 및 조작부(115)를 각각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방출부 노출구(101a) 및 조작부 노출구(101b)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서지전압 방출부(113) 및 조작부(115)가 이들 각각의 노출구(101a,101b)를 통해 각각 상부로 노출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단자 이동부(20)의 제1절연 피복층(22)과 본체(100)의 제2절연 피복층(102)은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제1절연 피복층(22)과 제2절연 피복층(102)은 단일수지 또는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서지전압 제거회로(110)는 도 2의 평면도 및 도 3의 측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우징 몸체(101) 내부 공간에 탑재되어 설치되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지전압 검출부(111), 서지전압 흡인부(112), 서지전압 방출부(113), 접지부(114), 및 조작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지전압 검출부(111)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자 이동부(20)의 후방측 단부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전극부(10) 및 단자 이동부(20)를 통해 본체(100) 내부로 인가되는 서지전압을 검출한다.
서지전압 흡인부(112)는 서지전압 검출부(111)의 후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지전압 검출부(111)에서 검출된 서지전압을 흡인하여 직접 저장한다. 이러한 서지전압 흡인부(112)는 커패시터 등으로 구현되는 서지전압 저장부(112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는 일회용 축전지 또는 충전용 축전지를 내설하지 않고도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서지전압 방출부(113)는 서지전압 흡인부(112)의 후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되되 조작부(115)의 스위치(115a)가 설정된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며, 스위치(115a)가 방출모드로 설정된 경우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연결되어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에 대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서지전압 방출부(113)는 전극부(10)와 접지부(114)의 여타 접속 없이 그 자체로 서지전압 흡인부(112)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닫힘 회로를 형성하여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을 직접 방출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지전압 방출부(113)는 접지부(114)의 연결 없이 단독으로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의 에너지 양에 따라 각 단계별로 방출하는 발열체 또는 진동소자 또는 전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 서지전압 흡인부(112) 내의 서지전압 저장 공간에 저장된 에너지를 모두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서지전압 방출부(113)는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지전압 에너지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본체(100)의 하우징 몸체(101)에 형성된 방출부 노출구(101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접지부(114)는 서지전압 방출부(113)의 후단부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을 그라운드로 흘려보내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접지부(114)는 접지선 연결구(114a), 접지선(114b), 및 접지 집게(11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지선 연결구(114a)는 본체(100)의 하우징 몸체(101) 후단부에 형성되며 이러한 접지선 연결구(114a)를 통해 나사 또는 아답터의 형태로 접지부(114)를 본체(100)에 연결하여 서지전압 방출부(113)의 후방측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접지선(114b)은 접지선 연결구(114a)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서지전압의 접지를 위해 일정 길이를 갖게 형성된다.
접지 집게(114c)는 접지선(114b)의 다른측 단부에 설치되며 집게의 손잡이부가 절연물로 피복되어 형성된다.
조작부(115)는 동작 온 모드(M1)와 오프 모드(M2)와 서지전압 방출모드(M3)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115a)를 구비한다. 이러한 스위치(115a)는 3단의 위치 지정이 가능한 스위치로서, on/off, 및 방출모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가 분리 또는 장착되는 순간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제거하기 위하여, 엔지니어가 축전지 단자에 본 발명의 전극부(10)를 갖다 대고 접지부(114)의 접지 집게(114c)를 케이블 단자에 취부한 후 조작부(115)의 스위치(115a)를 on시키게 되면, 축전지에서 서지전압이 발생되는 경우 서지전압 검출부(111)가 이를 검출하여 서지전압 흡인부(112)로 전달하게 되므로, 서지전압은 서지전압 흡인부(112)의 커패시터로 구현된 서지전압 저장부(112a)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엔지니어는 축전지 단자의 고정 나사를 풀고 케이블 단자를 들어 올려 단자 이동부(20)로 이동시킨 후 본 발명의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를 축전지 단자에서 탈거하는 것으로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에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가 분리되면, 여타의 타 극성인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간의 분리로 회로가 차단되었으므로 서지전압 발생 없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어떠한 극성의 단자를 먼저 탈거할 것 인지에 대한 규정이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통상적으로는 (-)단자를 먼저 탈거한 후 (+)단자를 탈거하고, 반대로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단자를 먼저 부착하고 (-)단자를 부착하는 순서가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 탈거시 (+)단자를 먼저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 케이블 단자를 탈거하는 중에 만약 차체와 케이블 단자가 접촉이 일어나게 되면 순간적으로 쇼트가 발생되고 (+)전압이 차체로 유입되어 차량의 각종 제어기에 더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 단자를 먼저 탈거하는 경우 케이블 단자 또한 (-)이기 때문에 차체(-)와 접촉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서지전압의 처리 정도에 따라 차량의 각 제어기에 피해를 주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취부하고자 하는 경우 (+)단자를 먼저 취부하는 이유는 앞서의 과정을 역으로 해서 이미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가 양단 모두 분리되어 있어 (+)단자를 취부하는 과정에서 (+)단자가 차체와 접촉이 일어난다고 하여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며, (+)단자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단자 취부 시 서지전압의 발생만 없다면 (-)단자와 차체의 접촉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축전지를 교환하였다면, 이후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취부해야 하는데, 이때는 케이블 (+)단자를 먼저 취부하며, 이때 본 발명의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사용하지 않더라도 회로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로서 서지전압의 발생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고 나면 본 발명의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의 내부에는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 단자가 분리 시에 발생된 서지전압이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때 조작부(115)의 스위치(115a)를 방출모드 쪽으로 설정하게 되면 서지전압 흡인부(112)의 서지전압 저장부(112a)에 저장되어 있던 서지전압을 서지전압 방출부(113)를 통하여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서지전압 방출부(113)는 전극부(10)와 접지부(114)를 별개로 하여 하나의 연결된 닫힘 회로를 내부적으로 이루게 되므로 축전지 또는 차체 등에 접촉 없이 방전이 가능한 회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케이블 (-)단자를 축전지 (-)단자에 취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케이블 (-)단자를 본 발명의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의 단자 이동부(20)에 놓고 접지부(114)의 접지 집게(114c)를 케이블 단자에 물린 후 조작부(115)의 스위치(115a)를 on 모드 쪽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극부(10)를 축전지 단자에 댄 후 케이블 단자를 축전지 단자에 취부하고 단자의 고정볼트를 조여주는 것으로 축전지 교환 시 또는 축전지 단자와 임의적으로 분리 및 장착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지 단자에서 케이블 단자를 분리하거나 장착 시 발생되는 서지전압을 안전하게 제거하여 축전지를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서지전압에 의한 고가의 차량 손상을 방지하여 재산상의 물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엔지니어의 감전 등을 예방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상식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청구범위에 따라 정의되는 범위에 대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를 볼 수 있다.
10 : 전극부 11 : 원뿔형 첨단부
20 : 단자 이동부 21 : 원통형 몸체
22 : 제1절연 피복층 100 : 본체
101 : 하우징 몸체 101a : 방출부 노출구
101b : 조작부 노출구 102 : 제2절연 피복층
110 : 서지전압 제거회로 111 : 서지전압 검출부
112 : 서지전압 흡인부 112a : 서지전압 저장부
113 : 서지전압 방출부 114 : 접지부
114a : 접지선 연결구 114b : 접지선
114c : 접지 집게 115 : 조작부
115a : 스위치 M1 : 온모드
M2 : 오프모드 M3 : 방출모드

Claims (9)

  1.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에 잔류하는 미량의 전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이 원할한 도전성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축전지 단자 또는 케이블 단자와 용이하게 접촉되는 원뿔형 첨단부(11)가 형성된 전극부(10);
    상기 원뿔형 첨단부(11)의 후방측 단부에서 전극부(10)와 일체로 몸체가 연설되되 본체(100) 선단부까지 길이가 연장되어 케이블 이동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몸체(21)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몸체(21)의 둘레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한 복층구조의 제1절연 피복층(22)이 형성되는 단자 이동부(20); 및
    상기 단자 이동부(20)의 후방측 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 확장되고 일정 길이의 원통형 몸체가 연설된 형태의 하우징 몸체(101)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101)의 둘레 전체를 절연물로 코팅한 복층구조의 제2절연 피복층(102)이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101)의 내부에는 서지전압 제거회로(110)가 구비되어 서지전압을 검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서지전압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접지로 흘려보내는 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전압 제거회로(110)는,
    상기 단자 이동부(20)의 후방측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지전압을 검출하는 서지전압 검출부(111);
    상기 서지전압 검출부(111)에서 검출된 서지전압을 흡인하여 저장하는 서지전압 흡인부(112);
    상기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을 방출하는 서지전압 방출부(113);
    상기 서지전압 방출부(113)에 연결되어 상기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을 접지로 흘려보내는 접지부(114); 및
    동작 온/오프와 서지전압 방출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115a)를 구비한 조작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114)는,
    상기 서지전압 방출부(113)의 후방측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는 접지선 연결구(114a);
    상기 접지선 연결구(114a)에 일측 단부가 연결되고 서지전압의 접지를 위해 일정 길이를 갖게 형성되는 접지선(114b);
    상기 접지선(114b)의 다른측 단부에 설치되며 집게의 손잡이부가 절연물로 피복되어 형성되는 접지 집게(114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전압 방출부(113)는,
    상기 전극부(10)와 접지부(114)의 여타 접속 없이 그 자체로 닫힘 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을 직접 방출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지전압 방출부(113)는,
    상기 서지전압 흡인부(112)에 저장된 서지전압의 에너지 양에 따라 각 단계별로 방출이 가능한 발열체 또는 진동소자 또는 전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이동부(20)는,
    상기 본체(100)와 일체형, 또는 본체(100)와 나사 또는 어댑터를 통한 연결이 가능한 분리형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10)와 단자 이동부(20)는,
    축전지 단자의 크기에 따라 직경 및 길이의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 피복층(22)과 제2절연 피복층(10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 피복층(22)과 제2절연 피복층(102)은 단일수지 또는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KR1020190139918A 2019-11-05 2019-11-05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KR102210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18A KR102210925B1 (ko) 2019-11-05 2019-11-05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918A KR102210925B1 (ko) 2019-11-05 2019-11-05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925B1 true KR102210925B1 (ko) 2021-02-01

Family

ID=7457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918A KR102210925B1 (ko) 2019-11-05 2019-11-05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9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487A (ja) * 2000-09-13 2002-03-29 Seiwa Kogyo Kk 接続クリップ及びバッテリ交換用コード
JP2011044414A (ja) * 2009-08-21 2011-03-03 Kimihiko Nakamura 自動車用バッテリー交換時の電源バックアップ用ケーブル
JP2016099338A (ja) * 2014-11-19 2016-05-30 ヒュンダイ・モービ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クランプとケーブル接続部一体型ibs装置
KR101864184B1 (ko) 2010-02-15 2018-06-05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직류 전압 시스템을 위한 서지전압 제한 장치
KR101987935B1 (ko) 2016-08-30 2019-06-12 (주)와이엔피 기계식 스위치 개폐 서지 및 과도 전압 전류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1279B1 (ko) * 2018-01-31 2019-06-20 (주)그로빅 충전용 점프케이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487A (ja) * 2000-09-13 2002-03-29 Seiwa Kogyo Kk 接続クリップ及びバッテリ交換用コード
JP2011044414A (ja) * 2009-08-21 2011-03-03 Kimihiko Nakamura 自動車用バッテリー交換時の電源バックアップ用ケーブル
KR101864184B1 (ko) 2010-02-15 2018-06-05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직류 전압 시스템을 위한 서지전압 제한 장치
JP2016099338A (ja) * 2014-11-19 2016-05-30 ヒュンダイ・モービ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クランプとケーブル接続部一体型ibs装置
KR101987935B1 (ko) 2016-08-30 2019-06-12 (주)와이엔피 기계식 스위치 개폐 서지 및 과도 전압 전류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1279B1 (ko) * 2018-01-31 2019-06-20 (주)그로빅 충전용 점프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5221B2 (ja) 電力変換装置
CN108604516B (zh) 继电器装置
US9472941B2 (en) Battery module
CN106687337B (zh) 汽车用电源装置
CN109070756A (zh) 包括保险装置的高压电池系统
CN112993961B (zh) 一种加热回路保护电路、呼吸加热电路及呼吸辅助设备
US8319377B2 (en) Fuse for disconnecting an inverter from a photovoltaic generator
JP5972389B2 (ja) 高電圧装置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5606488B2 (ja) 車載電源装置
KR102210925B1 (ko) 축전지 교환 보조장치
JP2010288325A (ja) コンデンサ収容装置
JP5106579B2 (ja) 端子台装置
US10500960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system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JP5323550B2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
JP7227618B2 (ja) Led照明器具の保護装置
CN116710331A (zh) 具有高压支路、低压支路和低压侧绝缘故障识别的车辆电气系统
JP6014764B2 (ja) 電池システム監視装置
JP3890946B2 (ja) ハイブリッド車用電源回路の安全装置
CN105429196A (zh) 在充电过程中保护导体的监视
JP6790871B2 (ja) 電動自動車の電源装置
KR20170034167A (ko) 소켓을 구비한 퓨즈박스 커버를 이용한 상시전원 공급장치
KR102071988B1 (ko) 휴대형 정비용 방전 장치
KR100993553B1 (ko) 차량의 배터리 단자 소손 방지 구조
JP5840661B2 (ja) 事故探査装置
KR20230172553A (ko) 차량 고전압 영역 밖으로 연장되는 저전압 라인의 전압 제한 요소용 보호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