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26B1 -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26B1
KR102210726B1 KR1020190008660A KR20190008660A KR102210726B1 KR 102210726 B1 KR102210726 B1 KR 102210726B1 KR 1020190008660 A KR1020190008660 A KR 1020190008660A KR 20190008660 A KR20190008660 A KR 20190008660A KR 102210726 B1 KR102210726 B1 KR 102210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body
slip
scent
manufacturing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641A (ko
Inventor
김남희
Original Assignee
김남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희 filed Critical 김남희
Priority to KR102019000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은 제 1 슬립(slip) 및 제 1 슬립에 다공성 물질이 혼합된 제 2 슬립(slip)이 구비되는 단계, 석고몰드에 제 1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1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석고몰드에 제 2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1 성형체로부터 연장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제 1 성형체 및 제 2 성형체를 포함하는 성형체가 석고몰드로부터 탈형되어 획득되는 단계, 획득된 성형체가 초벌소성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제 2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에는 소정의 발향성 물질이 투입됨으로써 발향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STURCTURE AROMATIC CERAMICS}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자슬립과 백자슬립에 다공성 물질이 혼합된 다공성 슬립을 이용하여 백자슬립을 통한 음식이나 물건이 놓여질 수 있는 부분과 다공성 슬립을 통한 디퓨져와 같이 향기를 발생시키는 부분의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세라믹 제품은 유리, 시멘트, 도자기와 같이, 비금속 또는 무기질 재료를 높은 온도에서 가공, 성형하여 만든 소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금속 재질에 비해 보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단단하면서도 고유의 질감을 통해 장식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보온 용기 등의 각종 생활용품 및 주방 용품에서부터 전자 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집에서 사용되는 접시는 음식을 담기 위한 기능적인 측면과 식욕을 돋구거나 장식을 위한 심미적인 측면만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음식의 고유의 향과 함께 식사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일 부분에서 향이 발생되기 위한 접시는 개발된 바 없다.
이에 따라, 도자기의 일 부분은 음식이나 물건이 놓여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디퓨져와 같이 향기를 발생시키는 다층구조로 형성된 도자기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도정하고 남은 쌀 껍질을 피부 미용에 활용하는 등 색다르게 재활용(recycling)하는 사례가 많은데, 쌀 껍질과 같은 식물 원료를 이용하여 다공체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향이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접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56997호 (2000.02.26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 개발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백자슬립으로 형성된 제 1 영역은 유리질화되어 식기로서 활용되고, 다공성 슬립으로 형성된 다공체 영역에는 발향물질이 투입됨으로써 도자기로부터 향이 발생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은 제 1 슬립(slip) 및 제 1 슬립에 다공성 물질이 혼합된 제 2 슬립(slip)이 구비되는 단계, 석고몰드에 제 1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1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석고몰드에 제 2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1 성형체로부터 연장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제 1 성형체 및 제 2 성형체를 포함하는 성형체가 석고몰드로부터 탈형되어 획득되는 단계, 획득된 성형체가 초벌소성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제 2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에는 소정의 발향성 물질이 투입됨으로써 발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이후에 석고몰드에 제 1 슬립을 재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2 성형체로부터 연장된 제 3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성형체에는 제 3 성형체가 더 포함되어 도자기는 제 1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제 1 영역, 다공체 영역 및 제 3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제 3 영역이 구비된 다층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성형체가 소성되는 단계 이후에 제 1 성형체 및 제 3 성형체에 대하여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유하는 단계 및 시유된 성형체에 대하여 재벌소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약 조성물은 장석 50중량%, 석회석 5중량%, 백운석 12중량%, 카올린 13중량% 및 규석 18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공성 물질은 식물성 원료를 분쇄함으로써 획득되고, 식물성 원료에는 쌀 껍질, 갈대, 짚 및 미역줄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공성 물질에는 식물성 원료의 분쇄에 따라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이 포함되고, 제 2 슬립에는 제 1 슬립에 제 1 물질이 혼합된 제 2a 슬립, 제 2 물질이 혼합된 제 2b 슬립 및 제 3 물질이 혼합된 제 2c 슬립이 포함되며, 제 2 성형체에는 제 2a 슬립, 제 2b 슬립 및 제 2c 슬립이 순차적으로 석고몰드에 투입되고 건조되어 형성된 제 2a 성형체, 제 2b 성형체 및 제 2c 성형체가 각각 포함되고, 제 2a 성형체는 제 1 성형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 2b 성형체는 제 2a 성형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 2c 성형체는 제 2b 성형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다공체 영역은 각각 제 2a 성형체 내지 제 2c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층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이후에, 제 2 성형체에 대하여 투입된 발향성 물질이 다공체 영역의 기공들로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백자슬립으로 형성된 제 1 영역은 유리질화되어 식기로서 활용되고, 다공성 슬립으로 형성된 다공체 영역에는 발향물질이 투입됨으로써 도자기로부터 향이 발생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접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제 3 영역이 포함된 접시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다공체 영역이 다층구조로 형성된 접시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다공체 영역에 유체통로가 형성된 접시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는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슬립 캐스팅(slip casting)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슬립 캐스팅이란 석고 몰드(mold) 내에서 고형물체로 만들어 성형하기 위하여, 주입될 재료와 물을 함께 넣어 슬러리 혹은 슬립을 만든 후 석고 몰드 안에 부어서 성형하는 공정으로 석고몰드의 삼투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주입성형(鑄入成形)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슬립(slip)은 도자기 제조용 소지에 물과 해교제(解膠劑)를 배합하여 침전이 되지 않으면서도 뻑뻑하고 유동성이 좋은 시럽과 같은 현탁액 상태의 흙물 또는 점토 슬러지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은 제 1 슬립(slip) 및 제 1 슬립에 다공성 물질이 혼합된 제 2 슬립(slip)이 구비되는 단계(S100), 석고몰드에 제 1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1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S200), 석고몰드에 제 2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1 성형체로부터 연장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S300), 제 1 성형체 및 제 2 성형체를 포함하는 성형체가 석고몰드로부터 탈형되어 획득되는 단계(S400), 획득된 성형체가 초벌소성되는 단계(S500)가 포함되고, 제 2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에는 소정의 발향성 물질이 투입됨으로써 발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립은 통상의 백자 슬립일 수 있으며, 분산매(Ex. 물)와 섞이는 분말은 고령토(kaolin), 규석, 장석이 배합될 수 있으며, SiO2, Al2O3, Fe2O3,K2O, Na2O, MgO, CaO, TiO2 등의 화학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슬립은 전술한 제 1 슬립에 소정의 다공성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다공성 물질은 식물성 원료를 분쇄함으로써 획득되고, 식물성 원료에는 쌀 껍질, 갈대, 짚 및 미역줄기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제 2 슬립은 쌀 껍질 등을 분쇄하여 획득가능한 다공체 물질이 상기 제 1 슬립과 혼합되어 다공성의 도자기를 만들기 위한 슬립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성형체가 초벌소성되는 단계(S500)에서 초벌소성은 추후 유약처리, 채색 혹은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800℃~1000℃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burning)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발향성 물질은 액체, 파우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슬립으로부터 건조, 탈형, 소성 과정을 거쳐 형성된 다공체 영역에 투입되어 향을 전달하기 위한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성 물질이 전달하는 향에는 다양한 종류의 향이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향에는 식욕을 돋구기 위한 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성 물질이 액체인 경우에는 소정의 온도 범위로 가열되어 도자기의 보온과 동시에 향이 더욱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향성 물질은 30℃ 내지 40℃의 액체물질로써, 후술하는 접시의 보온과 동시에 발향 성능이 더욱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발향성 물질의 다공체 영역으로의 투입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형태의 발향성 물질은 스프레이를 통해 다공체 영역에 뿌려질 수 있음은 물론, 소정의 파우더 형태의 발향성 물질을 다공체 영역의 일정 간격마다 뿌려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다공체 영역은 발향성 물질로부터 발생되는 향을 다공체 영역 내 다수의 기공 내에 포집 혹은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접시(1000)의 예시도이다. 즉,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자기에는 다양항 제품이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접시를 기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과정을 거쳐 생성된 접시(1000)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의 접시에는 음식이나 물건을 놓기 위한 제 1 영역(100) 및 다공성 물질이 포함된 제 2 슬립으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20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S300) 이후에 석고몰드에 제 1 슬립을 재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2 성형체로부터 연장된 제 3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S310)가 더 포함되고, 성형체에는 제 3 성형체가 더 포함되어 도자기는 제 1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제 1 영역, 다공체 영역 및 제 3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제 3 영역이 구비된 다층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도자기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슬립으로부터 건조, 탈형, 소성 과정을 거친 제 1 영역과 제 3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사이에 제 2 슬립으로부터 건조, 탈형, 소성 과정을 거쳐 형성된 다공체 영역이 구비된 3층 구조의 도자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성형체가 소성되는 단계 이후에 제 1 성형체 및 제 3 성형체에 대하여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유하는 단계(S600) 및 시유된 성형체에 대하여 재벌소성되는 단계(S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약 조성물에서 유약(glaze)은 도자기 표면을 피복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유리질 소재를 지칭할 수 있다. 즉, 제 1 슬립으로부터 형성된 제 1 성형체 및 제 3 성형체에 대하여만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리질화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는 다공체 물질이 포함된 제 2 슬립으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은 유리질화 시키지 않고 다수의 기공을 이용하여 발향이 이루어지기 위함이다.
상기 재벌소성되는 단계(S700)에서 재벌소성은 1100℃~1300℃의 온도 범위에서 2차 소성(burning) 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초벌 소성에 비해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의 강도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제 3 영역이 포함된 접시(1000)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에 따라 생성된 접시에는 전술한 제 1 영역(100) 및 다공체 영역(200)뿐 아니라 제 3 영역(300)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접시의 제 1 영역(100)에는 음식이 놓여질 수 있고, 다공체 영역(200)에는 발향 물질을 통해 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 3 영역(300)은 식기의 세척이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다공체 영역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공체 영역(2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약 조성물을 통해 유리질화됨으로써 도자기의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약 조성물은 장석 50중량%, 석회석 5중량%, 백운석 12중량%, 카올린 13중량% 및 규석 18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성범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다공성 물질에는 식물성 원료의 분쇄에 따라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이 포함되고, 제 2 슬립에는 제 1 슬립에 제 1 물질이 혼합된 제 2a 슬립, 제 2 물질이 혼합된 제 2b 슬립 및 제 3 물질이 혼합된 제 2c 슬립이 포함되며, 제 2 성형체에는 제 2a 슬립, 제 2b 슬립 및 제 2c 슬립이 순차적으로 석고몰드에 투입되고 건조되어 형성된 제 2a 성형체, 제 2b 성형체 및 제 2c 성형체가 각각 포함되고, 제 2a 성형체는 제 1 성형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 2b 성형체는 제 2a 성형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 2c 성형체는 제 2b 성형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다공체 영역은 각각 제 2a 성형체 내지 제 2c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층구조일 수 있다.
즉, 다공성 물질은 다공체 영역의 기공의 크기를 달리하기 위하여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로 구분가능하며, 상기 기공의 직경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물질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의 기공은 10nm~20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물질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의 기공은 50nm~70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 3 물질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의 기공은 90nm~110n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기공 직경의 범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공체 영역에 투입되는 발향성 물질의 종류, 혹은 발향 목적에 따라 다공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물질 내지 제 3 물질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공의 직경 범위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 2 슬립에는 제 1 슬립에 제 1 물질이 혼합된 제 2a 슬립, 제 2 물질이 혼합된 제 2b 슬립 및 제 3 물질이 혼합된 제 2c 슬립이 포함될 수 있는데, 제 2a 슬립 내지 제 2c 슬립은 각각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공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슬립을 지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공체 영역은 제 2a 슬립으로부터 제 2a 성형체가, 제 2b 슬립으로부터 제 2b 성형체가, 제 2c 슬립으로부터 제 2c 성형체가 각각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3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다공체 영역이 다층구조로 형성된 접시의 예시도이다.
즉, 전술한 도자기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접시의 다공체 영역에는 제 2a 성형체로부터 건조, 소성 등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제 2a 영역(210), 제 2b 성형체로부터 건조, 소성 등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제 2b 영역(220), 제 2c 성형체로부터 건조, 소성 등의 과정에 따라 형성된 제 2c 영역(23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a 영역 내지 제 2c 영역의 다공체 영역(200)은 기공의 직경을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3 층 구조의 다공체 영역(200)이 형성됨에 따라 발향성 물질로부터 전달되는 향이 사용자에게 더욱 잘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a 영역(210)으로부터 제 2c 영역(230)으로 갈수록 다공체 영역(200)의 기공의 직경이 큰 값이 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발향성 물질이 접시의 테두리 방향으로 갈수록 기공의 직경이 커지므로 사용자는 발향성 물질로부터 전달되는 향을 잘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기공의 직경에 관한 상기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접시의 중심으로 갈수록 즉, 제 2a 영역에서부터 제 2c 영역으로 갈수록 기공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지 않고 각기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다공체 영역(200)에 유체통로(250)가 형성된 접시(1000)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이후에, 제 2 성형체에 대하여 투입된 발향성 물질이 다공체 영역(200)의 기공들로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유체통로(250)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체통로(250)의 너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체 영역(200)의 기공의 직경보다는 큰 값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유체통로(250)를 형성함으로써 발향성 물질이 다공체 영역으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투입구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유체통로(250)를 거쳐 발향성 물질이 다공체 영역(200)의 각 기공들로 스며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통로(250)는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에 따라 생성된 접시(1000)의 다공체 영역(20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원을 그리도록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 1 영역 200: 다공체 영역
210: 제 2a 영역 220: 제 2b 영역
230: 제 2c 영역 300: 제 3 영역
250: 유체통로
1000: 접시

Claims (7)

  1.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슬립(slip) 및 상기 제 1 슬립에 다공성 물질이 혼합된 제 2 슬립(slip)이 구비되는 단계;
    석고몰드에 상기 제 1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제 1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석고몰드에 상기 제 2 슬립을 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상기 제 1 성형체로부터 연장된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 1 성형체 및 제 2 성형체를 포함하는 성형체가 상기 석고몰드로부터 탈형되어 획득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성형체가 초벌소성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제 2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다공체 영역에는 소정의 발향성 물질이 투입됨으로써 발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다공성 물질은 식물성 원료를 분쇄함으로써 획득되고, 상기 식물성 원료에는 쌀 껍질, 갈대, 짚 및 미역줄기가 포함되는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석고몰드에 상기 제 1 슬립을 재투입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건조되어 상기 제 2 성형체로부터 연장된 제 3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성형체에는 상기 제 3 성형체가 더 포함되어 상기 도자기는 상기 제 1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제 1 영역, 상기 다공체 영역 및 상기 제 3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제 3 영역이 구비된 다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가 소성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성형체 및 제 3 성형체에 대하여 유약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유된 성형체에 대하여 재벌소성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 조성물은 장석 50중량%, 석회석 5중량%, 백운석 12중량%, 카올린 13중량% 및 규석 18중량%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에는 상기 식물성 원료의 분쇄에 따라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제 1 물질, 제 2 물질 및 제 3 물질이 포함되고, 상기 제 2 슬립에는 상기 제 1 슬립에 상기 제 1 물질이 혼합된 제 2a 슬립, 상기 제 2 물질이 혼합된 제 2b 슬립 및 상기 제 3 물질이 혼합된 제 2c 슬립이 포함되며,
    상기 제 2 성형체에는 상기 제 2a 슬립, 제 2b 슬립 및 제 2c 슬립이 순차적으로 상기 석고몰드에 투입되고 건조되어 형성된 제 2a 성형체, 제 2b 성형체 및 제 2c 성형체가 각각 포함되고, 상기 제 2a 성형체는 상기 제 1 성형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2b 성형체는 상기 제 2a 성형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2c 성형체는 상기 제 2b 성형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다공체 영역은 각각 제 2a 성형체 내지 제 2c 성형체로부터 형성된 기공의 직경을 달리하는 다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성형체가 형성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성형체에 대하여 상기 투입된 발향성 물질이 상기 다공체 영역의 기공들로 스며들도록 하기 위한 유체통로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 방법.
KR1020190008660A 2019-01-23 2019-01-23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210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60A KR102210726B1 (ko) 2019-01-23 2019-01-23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60A KR102210726B1 (ko) 2019-01-23 2019-01-23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41A KR20200091641A (ko) 2020-07-31
KR102210726B1 true KR102210726B1 (ko) 2021-02-02

Family

ID=71834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60A KR102210726B1 (ko) 2019-01-23 2019-01-23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357B1 (ko) 2020-08-14 2022-08-01 일 허 차덖음용 내열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6140B1 (ko) * 2022-07-05 2022-09-21 최대언 초본류가 혼입된 화산회토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997B1 (ko) 1998-04-17 2000-05-15 구본주 주방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00065309A (ko) * 1999-04-01 2000-11-15 하상원 방향제의 흡습성 및 휘산성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KR100549125B1 (ko) * 2003-12-26 2006-02-02 이동강 상감기법을 응용한 입체 디자인을 갖는 생활자기 및 그의제조 방법
KR101131293B1 (ko) * 2009-04-30 2012-03-30 안성준 방향성(芳香性)을 갖는 장식용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장식용 도자기
KR20150145497A (ko) * 2014-06-20 2015-12-30 주식회사 윌럭스 악취제거용 세라믹 소결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41A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726B1 (ko) 다층구조의 발향성 도자기의 제조방법
CN105392444A (zh) 氧化物陶瓷的烧结动力学的控制
KR19990007578A (ko) 황토제품 제조방법
KR101131293B1 (ko) 방향성(芳香性)을 갖는 장식용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장식용 도자기
Anbarasu et al. Types of Earthenwares and its Uses
JP2005272214A (ja) 断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92559B1 (ko) 창문투시효과를 갖는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WO2000030994A1 (fr) Porcelaine coloree a aspect granule obtenue par injection et son procede d'obtention
KR20180052491A (ko) 커피 분말을 이용한 세라믹 소성체의 제조 방법
CN201080024Y (zh) 具有活性炭层的陶瓷建材
KR101883451B1 (ko) 은의 균열 및 떨어짐을 억제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Randall-MacIver The manufacture of pottery in Upper Egypt
CN1286702C (zh) 一次性容器
KR102131308B1 (ko) 친환경 황토 내외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5493380U (zh) 一种多功能陶瓷水杯
KR20020023871A (ko) 향발산 세라믹스 결합체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5559A (ko) 도자재 등잔
CN205359077U (zh) 一种瓷木结合的陶瓷水杯
KR20060088447A (ko) 감람석분을 함유하는 도기그릇의 성형방법
KR100902231B1 (ko) 숯을 이용한 소결 성형품의 제조방법
US10405695B2 (en) Thermodynamic element for reducing cooling rate of a liquid
CN108567337A (zh) 一种饮水机及阀门的主体
JP2004224602A (ja) 炭化焼成品
CN108567336A (zh) 一种饮水机及阀门的主体
RU61277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керам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