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211B1 -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211B1
KR102210211B1 KR1020190090268A KR20190090268A KR102210211B1 KR 102210211 B1 KR102210211 B1 KR 102210211B1 KR 1020190090268 A KR1020190090268 A KR 1020190090268A KR 20190090268 A KR20190090268 A KR 20190090268A KR 102210211 B1 KR102210211 B1 KR 10221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unit
refractive power
contact lens
shap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이경문
김기홍
임해용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주)비젼사이언스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사이언스,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비젼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9009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N)부가 교대 배치로 모여서 환형( annular shape )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은 원거리 교정부(D)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이 근거리 교정부(N)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부(N)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본발명은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N)부가 교대 배치로 모여서 환형( annular shape ) 형상을 형성하여,
동공의 크기와 관계없이 원거리 교정(D)부와 근거리 교정부(N)를 다 사용할 수 있으며, 불명시역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A multifocal contact lens having a plurality of refractive power distributions}
본발명은 다초점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N)부가 교대 배치로 모여서 환형( annular shape ) 형상을 형성하여, 동공의 크기와 관계없이 원거리 교정(D)부와 근거리 교정부(N)를 다 사용할 수 있으며, 불명시역이 없는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이 약한 사람들이 널리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최근에는 다초점이 형성되는 콘택트렌즈가 개발되어 왔으며, 상기 종래의 다초점 콘택트렌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눈의 초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능력( 이를 눈의 조절력이라 한다.)이 저하된다. 관찰자에 가까운 사물을 보고자 할 때는 수정체의 중심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수정체의 굴절력이 커져야 하는데 나이가 들면 수정체의 굴절력을 크게 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상태의 눈을 노안(presbyopia)이라고 한다.
눈의 조절력이 부족하게 되면 먼거리의 물체는 잘 보이지만 가까운 거리의 물체는 잘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눈의 조절력을 보충해주기 위해 돋보기 또는 누진다초점 안경렌즈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콘택트 렌즈 분야에서는 원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원거리 교정부와 근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근거리 교정부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가 개발되었다.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82287호에는 제1 콘택트 렌즈가 시각 영역을 각각 갖는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하고, 당해 볼록면 시각 영역은 실질적으로 모든 원거리 광학 배율을 포함하는 중심 환상 영역을 포함하고, 당해 오목면 시각 영역은 배율이 원거리 광학배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 개 이상의 동심 환상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콘택트 렌즈가 시각 영역을 각각 갖는 볼록면 및 오목면을 포함하고, 당해 볼록면 시각 영역은 실질적으로 모든 근거리 광학 배율을 포함하는 중심 환상 영역을 포함하고, 당해 오목면 시각 영역은 배율이 근거리 광학 배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 개 이상의 동심 환상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 착용자를 위한 제1 및 제2 콘택트 렌즈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82539호에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쌍을 설계하는 방법으로서,
(a) 렌즈 착용자의 우세안을 위한 제1 렌즈 설계와 렌즈 착용자의 비우세안을 위한 제2 렌즈 설계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우세안 렌즈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제1 신경 대비 민감도 함수의 함수인 제1 가중 함수와 비우세안 렌즈 설계에 적용하기 위한 제2 신경 대비 민감도 함수의 함수인 제2 가중 함수를 선택하는 단계와;
(c) 제1 및 제2 렌즈 설계의 각각에 대한 성능 예측 모델에 제1 렌즈 설계를 위한 제1 가중 함수와 제2 렌즈 설계를 위한 제2 가중 함수를 사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성능 예측 모델은 둘 이상의 렌즈 설계에 대한 측정된 성능을 제1 및 제2 렌즈 설계의 각각에 대한 예측된 성능과 상관시키는, 상기 제1 가중 함수와 상기 제2 가중 함수 사용 단계; 및
(d) 단계 (c)에서 얻은 결과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렌즈 설계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쌍을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계 (c)는 (i) 다음 식에 따라 광학 전달 함수의 가중된 면적을 먼저 계산함으로써 예측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된 시각적 성능을 계산하는 단계로서,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1
여기서, max와 min은 적분이 수행되는 주파수 범위를 정의하고,
OTF는 망막 면에서 렌즈 설계에 대하여 계산된 광학 전달 함수이고,
v 는 중심와(fovea)에서 원호각의 각도당 사이클(cpd) 또는 각도당 선 쌍으로 표현되는 공간 주파수이고,
D는 밀리미터 단위의 동공 직경이고,
V는 이향운동(vergence)이고,
물체 대비는 관찰되는 물체의 대비를 나타내는 0과 1 사이의 값이고,
NCSF는 신경 대비 민감도 함수이고,
L은 칸델라/㎡으로 표현되는 실내의 휘도이고,
N은 1 내지 2의 값을 갖는 지수인, 상기 계산 단계; 및
(ii) WAOTF를 둘 이상의 렌즈들의 측정된 시각적 성능과 상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쌍을 설계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두 특허는 콘택트 렌즈의 중심으로부터 다수개의 동심원 환형 모양의 영역을 가지고 있는데, 이 환형 모양의 영역 각각이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가면서 원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근거리 교정부(N)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굴절력( 도수) 분포를 보면 <도 2, 3>과 같다.
즉 <도 2>와 같이 원거리 교정부를 중심에 배치하고 바깥쪽 방향으로 근거리 교정부, 원거리 교정부 순으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하되 각각의 교정부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배치하기도 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근거리 교정부를 중심에 배치하고 바깥쪽 방향으로 원거리 교정부, 근거리 교정부 순으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하되 각각의 교정부의 굴절력이 고정된 값을 갖도록 배치하기도 한다.
이때 <도 3>과 같은 콘택트렌즈는 (원용)0.0 디옵터 (근용) 1.0 디옵터용 렌즈라고 한다.
사례1)의 문제점
사람의 눈의 홍채는 보고자 하는 외부 물체 주변부의 밝기에 따라 밝은 곳에서는 2~3mm, 어두운 곳에서는 4~6mm 직경으로 커져서 광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받아들이는 기능이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특허 10-0782287에서 인용된 <도1>에서 원거리 교정부(D) 11의 직경이 2mm, 근거리 교정부(N) 12의 외각 직경이 3mm,, 원거리 교정부(D) 13의 외각 직경이 4mm, 근거리 교정부(N) 14의 외각 직경이 5mm, 원거리 교정부(D) 15의 내부 직경이 5mm 이상이라고 했을 때, 외부물체의 주변부의 밝기가 밝은 곳에서 사람의 눈의 홍채가 2mm 직경을 유지하는 사람인 경우에는 원거리 교정부(D)의 영역을 통해서 만 외부 광선이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눈 앞의 근거리 물체를 보고자 할 때는 교정이 되지 않아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 홍채의 직경이 4mm가 되는 사람(눈1)과 5mm가 되는 사람(눈2)이 외부의 물체를 보고자 할 때에는 상기에 제시된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부(N)의 영역을 가지는 렌즈를 착용할 경우 눈1의 경우는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부(N)의 영역을 지나는 광량의 비는 2.75 : 1.25 = 1 : 0.45 이고 눈2는 2.75 : 3.5 = 1 : 1.27 로 나타나기 때문에 눈1과 눈2가 원거리 물체와 근거리 물체를 보고자 할 때 광량비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망막에 결상하는 외부 물체의 상의 선명도가 차이나게 된다. 즉 눈1은 눈2보다 원거리 교정부(D)에 비해서 근거리 교정부(N)의 영역을 지나는 광량이 적기 때문에 근거리를 볼 때 눈1이 눈2보다 근거리 물체를 볼 때는 선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원거리 교정부를 중심에 배치하고 바깥쪽 방향으로 근거리 교정부, 원거리 교정부 순으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하되 각각의 교정부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배치하였지만, 동공 5mm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사용 굴절력의 불연속인 영역이 나타나게 되어 외부물체를 볼 때 불명시역(0.0~0.1 Dptr, -0.25~-0.5 Dptr)이 존재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아래 사례2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시된 종래특허이다.
사례2)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3-0002850호는 하나는 원거리 광학 배율을 갖는 제1단편이고 다른 하나는 근거리 광학 배율을 갖고 제1단편과 인접하여 위치하여 이와 경계를 이루는 제2단편인, 하나 이상의 단편이 비구형 표면 만곡을 갖는 다수의 단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눈의 망막 위에 광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다초점 굴절 렌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는 콘택트 렌즈의 중심에서 방사상 방향으로 동일한 굴절력을 같도록 하면서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영역으로 다수개 나누어 각각의 영역이 원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근거리 교정(N)부로 번갈아가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사례1의 문제점을 해결한 경우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홍채의 크기가 다양해도 원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근거리 교정(N)부의 유효 면적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된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홍채의 크기에 따르는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의 사용 면적이 달라짐에 따르는 원거리 및 근거리 물체의 결상 선명도 변화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사례2)의 문제점
상기 특허(공개번호 특1993-0002850 분할된 다초점 콘텍트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을 보면 원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를 보기 위한 교정 굴절력을 가지는 근거리 교정(N)부를 두기 위해 각각 교정부에서의 광학 배율을 다르게 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굴절 렌즈 재료의 두께를 변화시키거나, 굴절 렌즈 재료의 전면에서의 만곡도를 변화시킨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를 가진다면 광학 배율이 다른 두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의 곡면의 만곡도가 다르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나는 이 들 영역의 이음부분은 단차가 발생되게 된다. 그러면 <도 4>의 중심에서는 이들 단차가 좁은 영역에서 반복되기 때문에 이 단차들이 일종의 grating 역할을 하여 회절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이 회절현상은 입사하는 광선들을 분산시켜 분해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가 방사상으로 모이는 중심 부위에 근거리 교정(N)부(<도 5>) 또는 원거리 교정부(D)(<도 6>)와 같은 굴절력을 갖는 영역A ( 이 영역이 원이라면 직경 D1이 되는 원형이 영역A가 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N)부가 교대 배치로 모여서 환형( annular shape )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은 원거리 교정부(D)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이 근거리 교정부(N)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부(N)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N)부가 교대 배치로 모여서 환형( annular shape ) 형상을 형성하여, 동공의 크기와 관계없이 원거리 교정(D)부와 근거리 교정부(N)를 다 사용할 수 있으며, 불명시역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특허등록번호 10-0782287호의 렌즈의 평면도
도 2는 특허등록번호 10-1482539호 NCSF의 적용 및 성능 예측 계산의 사용 후의 도 3의 설계의 변경에 기인한 방사상 도수 프로파일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인 특허등록번호 10-1482539호 비우세안에 유용한 렌즈를 위한 방사상 도수 프로파일도면
도 4는 종래기술인 공개특허공보 1993-0002850의 렌즈 평면도
도 5 ~ 도 8은 본발명의 근거리 교정(N)부와 원거리 교정부(D)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콘택트 렌즈의 교정굴절력 분포의 예시도
도 9은 본발명의 동공의 크기와 관계없이 원거리 교정(D)부와 근거리 교정부(N)를 다 사용할 수 있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동공 5mm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근용부 굴절력 0.5~-1.5Dptr, 원용부 굴절력 0.0 ~ -2.5 Dptr을 보이고 있으며 0.5~-2.5Dptr 범위의 명시역을 얻을 수 있는 예시도
본발명은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N)부가 교대 배치로 모여서 환형( annular shape )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은 원거리 교정부(D)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이 근거리 교정부(N)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부(N)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은 원형일 경우 그 직경의 범위가 0.13~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의 교정 굴절력 차이를 주기 위해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를 형성하는 렌즈의 두 표면 중 전면인 눈의 각막을 향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의 곡률반경을 서로 다르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의 교정 굴절력 차이를 주기 위해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를 형성하는 렌즈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의 교정 굴절력 차이를 주기 위해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를 형성하는 렌즈의 두 표면 중 전면인 눈의 각막을 향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의 곡률반경을 서로 다르게 하고, 동시에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를 형성하는 렌즈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N)부가 방사상으로 모이는 중심 부위에 근거리 교정(N)부(<도 5>) 또는 원거리 교정부(D)(<도 6>)와 같은 굴절력을 갖는 영역A ( 이 영역이 원이라면 직경 D1이 되는 원형이 영역A가 됨))두고자 한다.
이 때 직경 D1은
직경 D1으로 입사하는 광선이 레일리 기준(Rayleigh's criterion)에 따르는 회절에 의한 광선의 흐트러짐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2
직경 D1으로 입사하는 광선이 빛의 직진성에 의한 광선의 퍼짐 D1이 일치하는 조건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3
---(1)
에서 유도되는 조건, 즉 D1을 핀홀로 생각했을 때 최상의 상을 얻을 조건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4
---(2)
를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중심 부위의 영역 직경 D1의 최소의 크기로 제한하고자한다. (여기서 NA는 numerical aperture,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5
는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이용하는 가시영역 광선의 중심파장,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6
는 콘택트렌즈에서 망막까지의 거리인 안축장 거리를 의미한다.)
사람 눈의 시감도 곡선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7
= 550nm이고, 안축장 길이는
Figure 112019076560558-pat00008
=24mm 이므로 식(2)에 의한 직경 D1은 약 0.13mm로 계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직경 D1의 최소의 크기를 0.13mm로 제한한다.
또한 밝은 날 일반인의 동공의 크기가 2~3mm 임을 고려하면 렌즈 중심 부위의 영역 직경 D1을 2mm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만약 렌즈 중심 부위의 영역 직경 D1이 2mm 이상일 경우 일부 일반인( 밝은 날 동공의 크기가 2mm 인 경우 )이 밝은날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도 5>와 같은 경우에는 근거리 교정(N)부를 통해서만, <도 6>과 같은 경우에는 원거리 교정부(D)를 통해서만 외부 물체를 보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해 렌즈 중심 부위의 영역 직경 D1을 2mm 이하로 제한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영역A가 원형이라면 이 원형의 직경의 범위가 0.13~2mm 이어야 함이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영역A가 원형이라면 본 발명에서 제시될 수 있는 근거리 교정(N)부와 원거리 교정부(D)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콘택트 렌즈의 교정굴절력 분포의 예시가 <도 5> ~ <도 8> 에 제시되어 있다.
<도 5> ~ <도 8>에서 근거리 교정(N)부와 원거리 교정부(D)의 방사상의 원주 방향의 폭 a, b는 만들고자 하는 콘택트렌즈가 근거리 교정의 비율을 높일 것인가 또는 원거리 교정의 비율을 높일 것인가에 따라 그 것의 비율을 결정하면 될 것이다. 즉 가까운 곳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인 경우 근거리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도 5>와 <도 8>에서 폭 a를 폭 b보다 크게 해주면 될 것이고, 먼 곳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인 경우 원거리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도 5>와 <도 8>에서 폭 a를 폭 b보다 작게 해주면 될 것이다.
<도 6>과 같은 형상에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원거리 교정(D)부의 교정굴절력을 0.0 Dptr, 영역A의 직경을 1mm, 근거리 교정부(N)의 교정굴절력을 1.0 Dptr로 한다면 방사상의 교정굴절력의 분포는 <도 9>와 같을 것이며 이는 기존 특허의 방사상의 교정굴절력의 분포 <도 3>과 비교된다. 즉 콘택트 렌즈 사용자 눈의 동공의 사용범위(직경)가 밝은 곳에서는 2mm 어두운 곳에서는 5mm이라면 <도 9>와 같은 분포를 보이는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인 경우에는 동공의 크기와 관계없이 원거리 교정(D)부와 근거리 교정부(N)를 다 사용할 수 있는데 비하여, <도 3>과 같은 기존 특허에서는 동공의 크기 2mm만 사용하는 밝은 곳에서는 근거리 교정부(N)만을 사용하게 되어 원거리를 잘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동공의 크기 5mm를 사용하는 어두운 곳에서는 원거리 교정(D)부와 근거리 교정부(N)를 통과하는 광선들의 비율이 약 1:2 정도가 되기 때문에, 근거리 물체에 비해 원거리 물체에 대한 인식도가 떨어질 것이다.
기존 특허 <도 2>와 같이 원거리 교정부를 중심에 배치하고 바깥쪽 방향으로 근거리 교정부, 원거리 교정부 순으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하되 각각의 교정부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배치하였지만, 동공 5mm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사용 굴절력의 불연속인 영역이 나타나게 되어 외부물체를 볼 때 불명시역(0.0~0.1 Dptr, -0.25~-0.5 Dptr)이 존재하게 되는 단점이 보인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도 <도 6>과 같이 원거리 교정부를 영역A에 배치하고 영역A를 제외한 영역에서 원주 방향으로 근거리 교정부, 원거리 교정부 순으로 번갈아 가면서 배치하되 각각의 교정부의 굴절력이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은 기존 발명에서는 동공 5mm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명시역(사용 굴절력) 영역에서 불연속인 영역이 나타나게 되지만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동공 5mm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불명시역을 나타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본 발명에서는 동공 5mm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근용부 굴절력 0.5~-1.5Dptr, 원용부 굴절력 0.0 ~ -2.5 Dptr을 보이고 있으며 0.5~-2.5Dptr 범위의 명시역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5>, <도 6>의 영역A는 원형 이외에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Claims (6)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부(N)가 교대 배치로 모여서 환형( annular shape )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은 원거리 교정부(D)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원거리 교정부(D)와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이 근거리 교정부(N)의 굴절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부채꼴 모양의 근거리 교정부(N)와 연결되어 구성된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상기 환형 형상의 중심부 영역( 영역A)은 직경 D1이 되는 원형으로,
상기 직경 D1으로 입사하는 광선이 레일리 기준(Rayleigh's criterion)에 따르는 회절에 의한 하기의 광선의 흐트러짐 조건
Figure 112020097012858-pat00019

과(여기서 NA는 numerical aperture, λ는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이용하는 가시영역 광선의 중심파장, f 는 콘택트렌즈에서 망막까지의 거리인 안축장 거리를 의미한다.),
직경 D1으로 입사하는 광선이 빛의 직진성에 의한 광선의 퍼짐 D1이 일치하는 조건
Figure 112020097012858-pat00020
---(1)
에서 유도되는 조건으로서 D1을 핀홀로 생각했을 때 최상의 상을 얻을 조건인
Figure 112020097012858-pat00021
---(2)
를 콘택트 렌즈 중심 부위의 영역 직경 D1의 최소의 크기로 제한하는 것으로,
그 직경 D1의 범위가 0.13~2mm 이며,
상기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부(N)의 교정 굴절력 차이를 주기 위해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부(N)를 형성하는 렌즈의 두 표면 중 전면인 눈의 각막을 향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의 곡률반경을 서로 다르게 하고, 동시에 원거리 교정부(D)와 근거리 교정부(N)를 형성하는 렌즈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190090268A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KR10221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68A KR102210211B1 (ko)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268A KR102210211B1 (ko)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211B1 true KR102210211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268A KR102210211B1 (ko) 2019-07-25 2019-07-25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2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6877A (zh) * 2021-04-22 2022-10-25 亮点光学股份有限公司 近视控制隐形眼镜
CN115728964A (zh) * 2022-11-28 2023-03-03 珠海博爱之光科技有限公司 具有波峰波谷的软性接触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5997B2 (ja) * 2008-05-13 2010-11-04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JP3194002U (ja) * 2014-04-30 2014-10-30 ペガヴィ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Pegavision Corporation 累進多焦点レン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5997B2 (ja) * 2008-05-13 2010-11-04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JP3194002U (ja) * 2014-04-30 2014-10-30 ペガヴィ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Pegavision Corporation 累進多焦点レン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6877A (zh) * 2021-04-22 2022-10-25 亮点光学股份有限公司 近视控制隐形眼镜
CN115728964A (zh) * 2022-11-28 2023-03-03 珠海博爱之光科技有限公司 具有波峰波谷的软性接触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7820C1 (ru) Элемент в виде линзы
KR102341449B1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다초점 렌즈 설계 및 방법
CA2175654C (en) Concentric annular ring lens designs for astigmatic presbyopes
KR100407733B1 (ko) 중간 광학배율을 가진 다촛점 렌즈
JP4652576B2 (ja) 虹輪視の寸法を減少させる多重焦点眼用レンズ
US5929969A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4294865B2 (ja) 老眼を補償するのに適したプログレッシブ多焦点コンタクトレンズ
US5771088A (en) Contact lens designed to accommodate and correct for the effects of presbyopia
KR20210002505A (ko) 렌즈 요소
CN101796451B (zh) 设计多焦点隐形眼镜的方法
HUT65866A (en) Method for developing sight lens and sight repairing lens
JPH09182767A (ja) 老眼用の同心環状リングコンタクトレンズの装着法
KR102210211B1 (ko) 다수개의 굴절력 분포를 가지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AU717501B2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
JP2001235712A (ja) 一対の老視用レンズ、老視用レンズのレンジ及び一対の老視用レンズの処方法
JP7007194B2 (ja) 眼科用レンズ及びそのような眼科用レンズの決定方法
JP2022531745A (ja) 美容的配慮及び効能の注意事項を有するフォトクロミック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CN109154725B (zh) 用于老花眼的隐形眼镜
JPH05181096A (ja) マルチフォーカル眼用レンズ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20010013441A (ko) 형상화된 안과렌즈
US20220179240A1 (en) Contact lens
CN113514962A (zh) 连续变焦隐形眼镜
JP2022531469A (ja) エッジトゥエッジのフォトクロミック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を設計する方法
JP6956526B2 (ja) 単焦点眼内レンズ
KR101359721B1 (ko) 향상된 단초점 안경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