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077B1 -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 - Google Patents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077B1
KR102210077B1 KR1020200039270A KR20200039270A KR102210077B1 KR 102210077 B1 KR102210077 B1 KR 102210077B1 KR 1020200039270 A KR1020200039270 A KR 1020200039270A KR 20200039270 A KR20200039270 A KR 20200039270A KR 102210077 B1 KR102210077 B1 KR 10221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lip
air steam
w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철
Original Assignee
금명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명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명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9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사용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은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상기 뚜껑을 관통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에 끼워지는 상기 에어스팀 클립으로서, 상기 에어스팀 클립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날개와 하부날개, 및 상기 상부날개와 상기 하부날개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날개는 왕곡된 형태로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가 뚜껑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면 더 이상 압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안전하게 데울 수 있고, 뚜껑을 안전하고 손쉽게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A LID WITH AN AIRSTEAM CLIP}
본 발명은 용기에 사용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내부에 물건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용기와 함께 사용되는 뚜껑은 용기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물건이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례로 밀폐용기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밀폐용기용 뚜껑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의 입구를 덮을 수 있는 바디(1100) 및 바디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는 절첩날개(1300)를 구비하여 바디(1100)가 밀폐용기를 덮은 상태에서 접첩날개(1300)가 밀폐용기의 일측에 걸려 뚜껑(1000)이 밀폐용기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뚜껑(1000)의 바디(1100)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실링부재 삽입홈(1110)이 형성되되, 뚜껑(1000)이 밀폐용기를 닫은 상태에서 밀폐용기와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뚜껑(1000)이 밀폐용기를 덮은 상태에서 내용물이 내부에서 외부로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용기는 음식물을 보관하는 식기로도 많이 사용되는데, 용기 재질의 발달로 차가운 음식물뿐만 아니라 뜨거운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차가운 음식물을 보관한 상태로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울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일정한 상태에서는 온도가 상승하면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뚜껑을 닫은 상태로 뜨거운 내용물을 보관하거나, 차가운 내용물을 데우게 되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뚜껑을 여는데 수고스러울 수 있고,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오거나, 심지어 용기가 폭발할 염려도 있다.
이에, 용기의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는 경우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에 뜨거운 내용물을 보관하거나 용기에 보관된 차가운 내용물을 데우면서, 용기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은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상기 뚜껑을 관통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에 끼워지는 상기 에어스팀 클립으로서, 상기 에어스팀 클립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날개와 하부날개, 및 상기 상부날개와 상기 하부날개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날개는 왕곡된 형태로 탄성을 가지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날개의 상기 하부날개와 대향하는 면에 밀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날개와 상기 하부날개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연결축에서 멀어질수록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날개는 상기 배출부와 상보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밀페용기 뚜껑에는 상기 하부날개가 안착되는 하부날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와 상기 하부날개 안착부는 90°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에는 상기 상부날개가 안착되는 상부날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가 뚜껑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면 더 이상 압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내용물을 넣은 상태에서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안전하게 데울 수 있고, 뚜껑을 안전하고 손쉽게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의 미장착 상태의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의 미장착 상태의 뚜껑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의 장착 상태의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의 장착 상태의 뚜껑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에어스팀 클립에 의해 배출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8의 상태로부터 배출부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밀폐용기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에어스팀 클립(200)의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은 상부날개(210), 하부날개(250) 및 연결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는 서로 대향하고, 연결축(230)은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 사이에서 이들 날개들(210, 250)을 연결한다. 상부날개(210), 하부날개(250) 및 연결축(230)은 각각 제조된 후 접합하여 하나의 에어스팀 클립(200)으로 완성될 수 있지만, 사출성형 등을 통하여 일체(一體)로 제조될 수 있다.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의 대향하는 면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데, 최소 이격간격(dmin)과 최대 이격간격(dmax)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부날개(250)는 왕곡(枉曲)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ƒˆ이,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 사이의 이격거리는 연결축(230)에서 멀어질수록 짧아지는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의 대향하는 면들 사이의 최장 이격거리는 연결축(230)의 근위부에서 형성되고,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의 대향하는 면들 사이의 최단 이격거리는 연결축(230)의 원위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하부날개(250)는 탄성을 갖고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가해지는 힘에 따라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그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형태로 되돌아올 수 있다.
하부날개(250)가 상부날개(210)에 비하여 더 작은 외력에 변형될 수 있도록, 하부날개(250)의 휨강성이 상부날개(210)의 휨강성에 비하여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날개(250)는 상부날개(210)에 비하여 휨강성이 작은 재질이나 구조로, 일실시예로 하부날개(250)는 상부날개(210)에 비하여 두께 및/또는 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의 미장착 상태의 뚜껑(10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의 미장착 상태의 뚜껑(100)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뚜껑(100)은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가장자리부(130)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100)이 용기를 닫을 때, 바디부(110)는 용기의 입구를 덮은 상태로 가장자리부(130)가 용기와 밀착하여 용기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장자리부(130)에는 실리콘 고무 등이 삽입/부착되거나 절첩식 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100)의 바디부(110)에는 배출부(120)가 형성되는데, 배출부(120)는 바디부(110)의 내측면(112)과 외측면(116)을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뚜껑(100)이 용기를 닫은 상태에서도 배출부(120)를 통하여 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뚜껑(100)에 형성된 배출부(120)는 뚜껑(100)이 용기를 닫은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할 때, 용기 내부 기체를 배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배출부(120)의 형태는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지만, 제작의 경제성이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직사각형(완전한 직사각형은 아님) 따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120)의 형태는, 에어스팀 클립(200)의 하부날개(2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날개(250)의 형태와 대응되거나 하부날개(250)가 드나들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의 장착 상태의 뚜껑(10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의 장착 상태의 뚜껑(100)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에어스팀 클립(200)에 의한 배출부(120)의 닫힘 및 열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8a 및 도 9a는 클립의 정면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7에서 A-A'의 단면)이고, 도 8b 및 도 9b는 클립의 측면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7에서 B-B'의 단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스팀 클립(200)은, 하부날개(250)가 용기 내부에 위치하고 상부 날개가 용기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출부(120)에 끼워진 상태로 뚜껑(100)에 장착될 수 있다.
에어스팀 클립(200)이 뚜껑(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뚜껑(100)의 외측면(116)에 클립(200)의 상부날개(210)가 밀착되어 있다.
하부날개(250)를 배출부(120)를 통하여 삽입 후 클립(200)을 대략 90°회전시킨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서 배출부(120)를 통하여 상부날개(210)가 드러나게 된다.
에어스팀 클립(200)이 뚜껑(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날개(250)가 뚜껑(100)의 바디부(110)의 내측면(112)을 지지하고, 상부날개(210)가 뚜껑(100)의 바디부(110)의 외측면(116)과 밀착하여, 배출부(120)는 상부날개(21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일실시예로,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의 대향하는 면들이 이루는 최소 이격간격(dmin)이 배출부(120)가 형성된 바디부(110)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면, 해당 부분에서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가 각각 바디부(110)의 외측면(116)과 내측면(112)을 지지할 수 있어, 에어스팀 클립(200)이 뚜껑(100)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날개(210)가 배출부(120)를 막게 된다.
그리고, 뚜껑(100)이 용기를 닫은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의 외측면(116)에 밀착된 상부날개(210)도 단위면적당 동일한 압력을 받게 되므로 상부날개(210)와 바디부(110)의 외측면(116)이 벌어지게 되고, 용기 내부의 기체가 배출부(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연결축(230)이 배출부(120)가 형성된 바디부(11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면, 상부날개(210)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압력이 작용할 때, 하부날개(250)는 탄성변형을 하며 연결축(230)과 상부날개(210)는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배출부(120)는 열리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날개(210)와 하부날개(250)의 대향하는 면들이 이루는 최대 이격간격(dmax)은 연결축(230)에 대한 근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200)은 하부날개(250)의 휨강성이 상부날개(210)의 휨강성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용기가 뚜껑(100)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하부날개(250)의 탄성변형이 먼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날개(210)가 뚜껑(100)의 외측면(116)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 있다가 별도의 조작 없이도 뚜껑(100)으로부터 이격되고, 배출부(120)를 통하여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부날개(250)의 휨강성을 조정하여 용기 내부에서 유지하고자 하는 압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날개(210)가 용기 뚜껑(100)의 바디부(110)의 외측면(116)과 밀착한 상태에서, 상부날개(210)와 바디부(110)의 외측면(116) 사이에서의 누출을 막기 위하여, 상부날개(210) 및/또는 바디부(110)의 밀착 부위에는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밀착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밀착부재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의 내측면(112)에는 하부날개(250) 안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날개(250) 안착부(113)는, 에어스팀 클립(200)이 뚜껑(1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부날개(250)가 안착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날개(250) 안착부(113)는 하부날개(25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날개(250) 안착부(113)와 배출부(120)는 소정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90°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뚜껑(100)의 외측면(116)에는 상부날개(210)가 안착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하는 상부날개(210)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뚜껑
110: 바디부
112: 내측면
113: 하부날개 안착부
116: 외측면
120: 배출부
130: 가장자리부
200: 에어스팀 클립
210: 상부날개
230: 연결축
250: 하부날개
dmin: 최소 이격간격
dmax: 최대 이겨간격
1000: 종래의 밀폐용기 뚜껑
1100: 바디
1110: 실링부재 삽입홈
1300: 절첩날개

Claims (7)

  1.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으로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상기 뚜껑을 관통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에 끼워지는 상기 에어스팀 클립으로서, 상기 에어스팀 클립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날개와 하부날개, 및 상기 상부날개와 상기 하부날개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날개는 왕곡된 형태로 탄성을 가지고, 상기 배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배출부에 대하여 회전할 때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스팀 클립이 상기 뚜껑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날개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날개는 상기 배출부를 밀폐할 수 있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하부날개가 안착되는 하부날개 안착부가 상기 배출부와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개의 상기 하부날개와 대향하는 면에 밀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날개와 상기 하부날개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연결축에서 멀어질수록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와 상기 하부날개 안착부는 90°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상부날개가 안착되는 상부날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하는 뚜껑.
KR1020200039270A 2020-03-31 2020-03-31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 KR10221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270A KR102210077B1 (ko) 2020-03-31 2020-03-31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270A KR102210077B1 (ko) 2020-03-31 2020-03-31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077B1 true KR102210077B1 (ko) 2021-02-02

Family

ID=7455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270A KR102210077B1 (ko) 2020-03-31 2020-03-31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0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108A (ja) * 1999-06-24 2001-01-09 Zojirushi Corp 密閉容器の吸排気構造
KR20090006407U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인터홈 음식물용기 뚜껑
KR20130003573U (ko) * 2011-12-07 2013-06-17 김병기 실리콘 압력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108A (ja) * 1999-06-24 2001-01-09 Zojirushi Corp 密閉容器の吸排気構造
KR20090006407U (ko)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인터홈 음식물용기 뚜껑
KR20130003573U (ko) * 2011-12-07 2013-06-17 김병기 실리콘 압력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3564T3 (es)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al vacío.
KR20070038983A (ko) 스프링 부재를 구비한 누설 방지 폐쇄 장치
KR20160066506A (ko) 가변 체적 음식 캐니스터를 형성하는 가역 덮개 및 컨테이너
EP2404842B1 (en) Dispensing cap with automatic valve for containers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liquid or creamy substances
KR102210077B1 (ko) 에어스팀 클립을 구비한 뚜껑
JP2018008714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20120060568A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180002202U (ko) 분리결합이 용이한 가압밀폐용기
KR101737102B1 (ko) 수증기 밀폐용기
KR101827129B1 (ko) 진공밀폐 용기
KR20200027572A (ko) 폼 절연물을 갖는 누설 방지 용기 뚜껑
JP2001002108A (ja) 密閉容器の吸排気構造
KR200406689Y1 (ko) 결합형 밀폐용기
KR100796295B1 (ko) 이중 가스켓 김치저장용기
JPH0833515A (ja) 密閉容器の吸排気弁構造
KR102112837B1 (ko) 발효식품용 포장용기
KR20160032059A (ko) 밀폐용기용 커버
KR20110114808A (ko) 진공밀폐용기의 증기압력 배출용 릴리스 밸브
KR100462455B1 (ko) 밸브 기능을 갖는 스트로우
KR20130007257U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101303837B1 (ko)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200442421Y1 (ko) 원터치로 공기단속수단을 갖는 용기뚜껑
KR200419790Y1 (ko) 밀폐용기
KR200248959Y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20060125406A (ko) 저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