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893B1 -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893B1
KR102209893B1 KR1020180096531A KR20180096531A KR102209893B1 KR 102209893 B1 KR102209893 B1 KR 102209893B1 KR 1020180096531 A KR1020180096531 A KR 1020180096531A KR 20180096531 A KR20180096531 A KR 20180096531A KR 102209893 B1 KR102209893 B1 KR 10220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ancellous bone
antler
protein
cancell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1143A (ko
Inventor
김범수
박호
Original Assignee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수 filed Critical 김범수
Priority to KR102018009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8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08Bone, e.g. demineralised bone matrix [DBM], bone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8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hemical agents in the treatment, e.g. specific enzymes, detergents, capping agents, crosslinkers, anticalcification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9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physical conditions of the treatment, e.g.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composition, pressure cycles, ultrasonic/sonication or microwave treatment,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35Bone graft implants for filling a bony defect or an endoprosthesis cavity, e.g. by synthetic material or biologic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89The prosthesis being coated or cover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976Coating or prosthesis-covering structure made of proteins or of polypeptides, e.g. of bone morphogenic proteins BMP or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및 녹각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채취한 해면골을 포함하는 골이식재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골이식재는 녹용 및/또는 녹각으로부터 채취된 해면골을 원료로 제조함으로써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면역반응이나 감염원이 없고, 신생골 형성 유도에 유리할 뿐 아니라 체내에서 생분해가 가능하고, 소뼈를 사용하지 않아 광우병 감염 위험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BONE GRAFTING MATERIAL FROM HARTS HORN AND ANTL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W SAME}
본 발명은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용 및 녹각에서 채취한 해면골 유래의 생체적합성이 있고 신생골 형성 유도에 유리한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뼈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고, 건조 중량의 67% 가량이 대부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이루어진 무기 미네랄 성분이고, 30 내지 40%는 콜라겐이며, 나머지는 비콜라겐성 단백질과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뼈는 사고, 연증, 다양한 질환으로 인하여 결함이 발생한 경우 이를 대체하는 골이식재가 필요하다.
골이식재란 다양한 치과질환 또는 정형외과적 질환으로 인하여 뼈조직의 결손이 발생한 경우 이를 대체하고 신생골의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이식재는 본인의 뼈 중 다른 부위를 떼어내어서 이식하는 자가골로 알려져 있으나 자가이식을 하는 경우 이차적인 수술이 필요하고, 충분한 양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상처 치료시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골이식재로 사용되는 재료 중에 이종골 이식재가 전체 이식재에서 70 내지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종골은 주로 소나 송아지 등에서 골조직을 채취해 이식하는 것으로 골조직을 구하기 쉬운 장점에도 불구하고, 흡수가 느리고 골형성 유도능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이종골인 소 해면골은 특수 처리과정을 통해 유기성분을 제거한 것으로 이식재로서 우수한 골전도성 치유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종골 이식방법으로 소 해면질골을 처리하여 만든 이식재는 단독 혹은 자가골이나 다른 이식재 등과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골전도성이 인정된 골이식재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는 골이식 방법이 없다.
또한, 최근까지 생체의료용 골이식 재료는 12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소결 처리됨으로써 고결정성의 수산화아파타이트로 제조되고, 소결 과정 중 결정 성장(grain growth)이 발생하여 골조직에 존재하는 아파타이트보다 수십 배 이상 큰 크기를 가진다. 결정도가 높고 입자 크기가 클 경우에는 체내에서 생분해가 거의 불가능하고, 골전도 능력이 매우 낮으며 파골세포에 의해 분해될 수 없다.
이에 따라, 골이식재 보다 인체에 더욱 안전하고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면역반응이나 감염원이 없고, 신생골 형성 유도에 유리한 골이식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923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및 녹각 원료로부터 골이식재를 제조함으로써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면역반응이나 감염원이 없고, 신생골 형성 유도에 유리할 뿐 아니라 체내에서 생분해가 가능하며, 특히 종래 소뼈 재료를 사용함에 따른 광우병 감염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녹용 및 녹각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채취한 해면골을 포함하는 골이식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면골은 녹각으로부터 채취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는 칼슘(Ca)과 인(P)이 1.5:1 내지 2.0:1 의 원자조성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는 분말형, 블록형 및 고분자 혼합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분말형 골이식재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2.0mm 일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는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의 비표면적은 60 내지 120m2/g 일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는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생체활성 고분자(bioactive polymer), 생체활성 유리(bioactive glass), 생체활성 세라믹스(bioactive ceramics), 및 생체활성 금속(bioactive meta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단백질(BMP)은 BMP-2 내지 BMP-9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형성 단백질(BMP)은 BMP-2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a) 녹각 및 녹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로부터 해면골을 채취하는 단계;
(b) 상기 해면골에서 혈액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c) 혈액성분이 제거된 해면골에서 지방 및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지방 및 단백질이 제거된 해면골을 열처리하는 단계; 및
(e) 열처리된 해면골을 소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이식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의 상기 재료는 녹각일 수 있다.
단계 (b)는 상기 해면골을 정제수에 침지시켜 혈액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 (c)는,
(c-1) 혈액성분이 제거된 해면골을 정제수에 넣고 끓여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을 1차 제거하는 단계;
(c-2)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이 1차 제거된 해면골을 소정의 형태로 절단, 파쇄 또는 분쇄하는 단계;
(c-3) 절단, 파쇄 또는 분쇄된 해면골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지방 성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 및
(c-4) 지방성분이 2차 제거된 해면골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가하여 단백질 성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c-4) 이후, 상기 해면골을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침지시켜 잔여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d)는 상기 해면골을 100 내지 130℃에서 10분 내지 30분간 열처리함으로써 면역반응 및 감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 (d)의 결과물인 해면골을 200 내지 3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추가 열처리함으로써 잔여한 지질 및 단백질을 추가 제거할 수 있다.
단계 (e)에서 상기 면역반응 및 감염원 제거 처리 후의 소결은 350 내지 50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하여 저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소결된 해면골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e)에서 상기 잔여한 지질 및 단백질 추가 제거 처리 후의 소결은 600 내지 900℃에서 3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하여 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소결된 해면골을 제조할 수 있다.
단계 (e) 이후,
(f) 소결된 골분말에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생체활성 고분자(bioactive polymer), 생체활성 유리(bioactive glass), 생체활성 세라믹스(bioactive ceramics), 및 생체활성 금속(bioactive meta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단백질(BMP)은 BMP-2 내지 BMP-9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형성 단백질(BMP)은 BMP-2 일 수 있다.
상기 골형성 단백질(BMP)은 녹용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골이식재는 녹용 및/또는 녹각으로부터 채취된 해면골을 원료로 제조함으로써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면역반응이나 감염원이 없고, 신생골 형성 유도에 유리할 뿐 아니라 체내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골이식재는 녹용 및/또는 녹각을 재료로 하므로 종래 소뼈 유래의 재료를 골이식재로 사용할 때 염려되던 광우병의 감염 우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이식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 구조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의 XRD 회절 분석을 통한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의 EDS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골이식재의 독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live(green)/dead(red) 염색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6은 hMSC 세포들의 부착형태에 대한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골이식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골이식재는 녹용 및 녹각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채취한 해면골을 원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슴의 뿔이 늦봄에 저절로 떨어지고 그 자리에 새로운 뿔이 자라는데 이와 같이 새롭게 자라기 시작한 뿔을 녹용이라 한다. 한편, 녹각이란 사슴과에 속하는 마녹, 매화녹, 엘크, 노루, 순록 등 각종 사슴의 각질화된 뿔을 의미한다.
종래 골이식재 원료로 사용되는 소뼈와 본 발명의 녹각을 비교하여 보면, 소가 성장하면서 뼈가 자라나는 속도와 녹각이 1년 동안 자라서 떨어지는 속도를 살펴보면 녹각의 단위시간 당 성장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에 골 밀도가 더 낮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녹각을 골이식재로 변환하여 인체에 삽입하면 소뼈 유래 골이식재에 비하여 파골세포의 작용 등으로 인한 생분해속도가 다 빠를 것이며, 이에 따라 골 치환율이 향상되어 우수한 골형성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소와 녹각은 포함하는 미량원소의 함량 및 종류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와 같은 차이는 녹각의 골형성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Fe, Mg, Mn, Sr, Zn, Se 등의 미량 원소가 미치는 영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Fe는 뼈 관련 세포의 부착을 촉진하고 Mg는 골세포의 세포성장과 분화를 촉진하며, Mn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골세포의 부착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Sr은 골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세포분화시 ALP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Zn은 골모세포 성장과 분화에 관여하여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과 제1형 콜라겐(Collagen type I)의 발현을 촉진하고 Se은 항산화 작용을 하며 골 밀도를 높이고 골 리모델링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꽃사슴의 녹각은 칼슘과 인 성분 이외에 함유하는 미량원소가 다음과 같다.
Fe Zn Mn Si K
0.08 % 0.01 % 0.03 % 2.42 % 0.91 %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면골은 녹각으로부터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는 칼슘(Ca)과 인(P)이 1.5:1 내지 2.0:1 의 원자조성비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형 골이식재의 평균입경은 0.1 내지 2.0mm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는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골이식재의 비표면적은 60 내지 120m2/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이식재는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생체활성 고분자(bioactive polymer), 생체활성 유리(bioactive glass), 생체활성 세라믹스(bioactive ceramics), 및 생체활성 금속(bioactive meta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골형성 단백질(BMP)은 BMP-2 내지 BMP-9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형성 단백질(BMP)은 BMP-2 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골이식재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함하는 골이식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녹각 및 녹용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로부터 해면골을 채취한다(단계 a).
상기 녹각 및 녹용의 해면골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한도에서 골절단기를 사용하여 해면골을 채취한다. 녹각 및 녹용은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녹각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해면골에서 혈액성분을 제거한다(단계 b).
바람직하게는 해면골을 정제수에 15 내지 30시간 동안 침지시켜 혈액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후, 혈액성분이 제거된 해면골에서 지방 및 단백질을 제거한다(단계 c).
구체적으로 본 단계는 아래의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혈액성분이 제거된 해면골을 정제수에 넣고 끓여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을 1차 제거한다(단계 c-1).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의 1차 제거를 위한 정제수 끓이는 시간은 2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끓이는 과정 중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새로운 정제수로 교환하여 줄 수 있다.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이 1차 제거된 후에는 완전 건조시킨다.
이후,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이 1차 제거된 해면골을 소정의 형태로 절단, 파쇄 또는 분쇄한다(단계 c-2).
다음으로, 절단, 파쇄 또는 분쇄된 해면골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지방 성분을 2차 제거한다(단계 c-3).
다음으로, 지방성분이 2차 제거된 해면골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가하여 단백질 성분을 2차 제거한다(단계 c-4).
단백질 성분이 2차 제거된 해면골은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침지시켜 잔여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해면골을 열처리한다(단계 d).
상기 열처리에 의해 면역반응 및 감염원을 제거할 수 있고, 잔여한 지질 및 단백질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면골을 100 내지 130℃에서 10분 내지 30분간 열처리함으로써 면역반응 및 감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승온시켜 해면골을 200 내지 3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추가 열처리함으로써 잔여한 지질 및 단백질을 추가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처리된 해면골을 소결한다(단계 e).
상기 소결은 6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3 내지 12시간 동안 소결하여 골이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는, 350 내지 500℃의 저온에서 15 내지 30시간 동안 저온 소결시킴으로써 체내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저결정성(low crystallinity) 골이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소결된 골분말에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생체활성 고분자(bioactive polymer), 생체활성 유리(bioactive glass), 생체활성 세라믹스(bioactive ceramics), 및 생체활성 금속(bioactive meta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코팅한다(단계 e).
골형성 단백질(BMP)은 골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단백질로서, 상기 단백질의 cDNA는 9종류의 BMP(BMP-1~BMP-9)를 복제할 수 있다. BMP-3은 오스테오제닌, BMP-7은 OP-1, BMP-6은 Ⅴgr-1이라고도 한다. BMP-1을 제외하면 다른 것은 형질전환증식인자 β(TGF-β)슈퍼패밀리에 속한다. BMP-2~BMP-9는 C말단의 110~140개의 아미노산이 호모 또는 헤테로2합체를 형성하며 발현한다. BMP를 근육 내에 이식하면 먼저 연골이 형성된다.
상기 골형성 단백질은 골성장인자로서 다양한 동물이나 인체의 골분말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주재료인 녹용 및/또는 녹각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골형성 단백질이 풍부한 녹용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단백질은 추출 재료인 골분말로부터 단백질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될 수 있다. 골형성 단백질은 비공유결합으로 골기질(bone matrix)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백질 추출용매는 이 결합을 파괴함으로써 골형성 단백질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추출용매는 구아니디움 하이드로클로라이드(Guanidium hydrochloride buffered) 및 트로메타민(tromethamine, 2-amino-2-hydroxymethyl-propane-1, 3-dio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단백질 추출을 위하여, 단백질 추출용매와 해면골을 10:1 내지20: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액을 1 내지 12℃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골형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청액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골형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청액과 골이식재를 혼합하여 골이식재 표면에 골형성 단백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녹각 유래 골이식재 분말 제조
(1) 녹각 유래 해면골 분말 제조
꽃사슴의 녹각으로부터 해면골 부위 부분만을 채취하여 해면골 부피의 약 5배의 정제수에 하루 동안 침지시켜 혈액성분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혈액성분 제거된 해면골을 약 5배 부피의 정제수에 넣고 20시간 동안 끓이고, 새로운 정제수로 다시 끓이는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지방 및 단백질을 1차 제거하였다. 이후, 50℃의 오븐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킨 후 유발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2) 유기물 제거
녹각에 함유된 단백질 및 지방성분을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1시간 동안 정제수를 이용하여 끓힌 후, 수세 및 건조하고 뼈를 유발을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다음으로, 지방 성분의 2차 제거를 위하여 뼈 분말을 클로로포름/메탄올(1:1(v/v)) 혼합용매에 침지시켜 반응시키고, 이후 유기용매의 제거를 위하여 수세하고 48시간 동안 60℃에서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단백질 성분의 2차 제거를 위하여 뼈 분말을 3%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48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용액을 회전하며 반응시킨 후, 72시간 동안 정제수를 이용하여 수세하였다. 이후, 10%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3) 열처리
유기물 제거된 골분말은 이종간 면역반응 및 감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1기압, 121℃에서 20분간 오토클레이브를 수행하고 건조시켰다. 이후, 건조된 골분말을 분당 1℃의 속도로 승온하여 300℃까지 올린 뒤 3시간을 유지하여 잔존 지질과 단백질 등을 제거하였다.
(4) 소결
이후, 다시 분당 1℃의 속도로 승온하여 900℃까지 온도를 높이고 이를 10시간 소결하여 뼈 이식재를 제조하였고, 체로 걸러 균일한 골이식재 분말을 최종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저결정성 골이식재 분말 제조
실시예 1의 (3)에서 분당 1℃의 속도로 승온하여 300℃까지 올린 뒤 3시간을 유지하여 잔존 지질과 단백질 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4)의 소결을 370℃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저결정성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골형성 단백질 부착 골이식재 분말 제조
녹용 분말과 4M 완충된 구아니듐 하이드로클로라이드(guanidinium hydrochloride) + 50mM 트로메타민(tromethamine)를 혼합하여 골형성 단백질을 추출하여 추출 용액을 제조하였다. 추출 용액을 30,000G의 초원심분리를 이용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청액을 분리하였다.
이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 분말과 상기 상청액을 1: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골형성 단백질이 표면 부착된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한 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4: 골형성 단백질 부착 골이식재 분말 제조
실시예 1 대신에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 분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골형성 단백질 부착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골형성 단백질 부착 골이식재 분말 제조
실시예 1 대신에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 분말을 사용하고, 골형성 단백질을 녹용으로부터 추출하지 않고, 0.1 M 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MES) 완충용액에 상용 BMP-2 (0.1 mg/㎖)을 첨가하여 골이식재 분말을 상온에서 하루 동안 유지한 후 증류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비교예 1: 소뼈 유래 골이식재 분말 제조
녹각 대신에 소 대퇴부 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소뼈 유래 골이식재 분말 제조
녹각 대신에 소 대퇴부 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소뼈 유래 골이식재 분말 제조
녹각 대신에 소 대퇴부 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소뼈 유래 골이식재 분말 제조
녹각 대신에 소 대퇴부 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소뼈 유래 골이식재 분말 제조
녹각 대신에 소 대퇴부 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골이식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골이식재 분말 제조 조건을 비교하여 아래의 표 2에 정리하였다.
구분 원료 소결온도 골형성단백질 코팅
실시예 1 녹각 900℃ 없음
실시예 2 녹각 370℃ 없음
실시예 3 녹각 900℃ 녹용 추출
실시예 4 녹각 370℃ 녹용 추출
실시예 5 녹각 370℃ 상용 BMP-2
비교예 1 소뼈 900℃ 없음
비교예 2 소뼈 370℃ 없음
비교예 3 소뼈 900℃ 녹용 추출
비교예 4 소뼈 370℃ 녹용 추출
비교예 5 소뼈 370℃ 상용 BMP-2
[시험예]
시험예 1: 골이식재 표면 및 특성 관찰
제조된 골이식재의 특징을 관찰하기 위하여 0.02/min 의 스캔속도, 50kV, 0-90° 의 30 mA 조건에서 CuKa radiation으로 XRD (X-ray diffrac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천연 표면 형태(morphology)와 성분분석은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OM-6360; JEOL, Tokyo, Japan)과 EDS(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에 의해 분석되었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 구조에 대한 SEM 이미지이다. 이러한 구조는 인체 내 해면골 구조와 유사한 망상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공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해상도의 SEM 이미지에서는 표면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결정상 구조가 관찰되었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의 XRD 회절 분석을 통한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골이식재의 결정이 표준 하이드록시아파티이트와 일치하는 피크를 나타내었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의 EDS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이에 따르면, 골이식재의 성분 중 칼슘과 인의 비율이 1.6 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골이식재의 생체적합성 분석
생체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hMSC 세포를 사용하였다. 세포들은 5% CO2, 37℃ 배양기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 (Gibco-BRL))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Gibco-BRL, Gaithersbug, MD)에서 배양되었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골이식재는 70% 알코올로 5분 동안 살균되었으며, 1X phosphate-buffered saline(PBS)로 각 10분 동안 3번 워싱하였다. 다음으로, 세포들은 각 지지체에 대해 1 X 104의 밀도로 골이식재에 접종되었다. 48시간 배양 후 세포의 독성평가를 위하여 live/dead 형광염색을 해당 키트를 이용하고 제조사의 프로토콜 대로 사용하여 염색 후 형광현미경을 사용하여 샘플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의 부착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의 골이식재의 독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live(green)/dead(red) 염색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대부분의 세포들은 골이식재 표면부에 부착되어 생존(녹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녹각 유래 골이식재는 독성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hMSC 세포들의 부착형태에 대한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hMSC 세포들은 골이식재의 표면에 부착되었으며, 세포의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며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녹각 유래 골이식재는 골형성과 관련된 세포의 부착 및 성장에 적합하게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골형성 능력 평가
건강한 7주령 웅성 Sprague-Dawley 랫트(Samtaco, Osan, Korea; weight, 250-280 g) 30마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동물은 23±2℃의 실내 온도, 12 시간 밤-낮 주기, 60±10%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방에서 사육하였다. 수돗물과 설치류 사료는 임의로 공급하였다
랫트의 두개골결손 모델에서 골이식 후 4주 및 8주째에 다이아몬드 톱을 이용하여 샘플을 수득하고 70 kVp, 7mA, 0.031 s 및 15 cm FFD(focal film distance) 조건에서 방사선 촬영을 실시하였다. 또한, 48 kVp, 201 μA 조건에서 스카이스캔 1172 데스크탑 X-선 마이크로단층촬영기(Skyscan, Aartselaar, 벨기에)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CT(micro-computed tomography)를 시행함으로써 샘플을 분석하였다. 골 부피 및 골 밀도는 골이식 후 4주 및 8주째에 마이크로 CT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원료 소결온도 골형성단백질 코팅 골부피(%) 골밀도(g/mm3)
4주 8주 4주 8주
대조군 - - - 2.106 10.771 0.445 0.491
실시예 1 녹각 900℃ 없음 35.086 37.806 0.455 0.580
실시예 2 녹각 370℃ 없음 38.012 39.352 0.512 0.632
실시예 3 녹각 900℃ 녹용 추출 41.286 43.045 0.580 0.710
실시예 4 녹각 370℃ 녹용 추출 44.631 48.056 0.687 0.756
실시예 5 녹각 370℃ 상용 BMP-2 44.032 47.670 0.620 0.782
비교예 1 소뼈 900℃ 없음 30.612 32.870 0.366 0.380
비교예 2 소뼈 370℃ 없음 31.012 34.352 0.370 0.409
비교예 3 소뼈 900℃ 녹용 추출 32.284 35.302 0.380 0.410
비교예 4 소뼈 370℃ 녹용 추출 33.861 35.052 0.370 0.453
비교예 5 소뼈 370℃ 상용 BMP-2 35.143 35.290 0.370 0.412
이에 따르면,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를 비교하면, 소뼈를 원료로 제조한의 원골이식재에 비하여 녹각을 원료로 제조한 골이식재가 골부피와 골밀도가 훨씬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녹각을 재료로 하면서 골형성 단백질을 코팅한 실시예 3 내지 5, 골형성 단백질을 코팅하면서도 소뼈를 재료로 하는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골부피와 골밀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골이식재 재료로 종래 소뼈가 아닌 녹각을 사용함으로써 골형성 능력이 현저히 증가하며, 나아가 골형성단백질을 추가로 코팅한 경우에는 골형성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Claims (13)

  1. 꽃사슴의 녹각으로부터 채취한 해면골을 포함하고,
    상기 해면골은 350 내지 50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소결 처리된 저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해면골이거나, 또는 600 내지 900℃에서 3 내지 12시간 동안 소결 처리된 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해면골이고,
    칼슘(Ca)과 인(P)이 1.5:1 내지 2.0:1의 원자조성비로 포함하고,
    Fe, Mg, Mn, Si 및 K을 포함하는 미량원소를 포함하고,
    녹용으로부터 추출된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이식재는 분말형, 블록형, 및 고분자 혼합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이식재는 생체활성 고분자(bioactive polymer), 생체활성 유리(bioactive glass), 생체활성 세라믹스(bioactive ceramics), 및 생체활성 금속(bioactive meta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
  4. 삭제
  5. (a) 꽃사슴의 녹각으로부터 해면골을 채취하는 단계;
    (b) 상기 해면골에서 혈액성분을 제거하는 단계;
    (c) 혈액성분이 제거된 해면골에서 지방 및 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지방 및 단백질이 제거된 해면골을 열처리하는 단계;
    (e) 열처리된 해면골을 소결하는 단계; 및
    (f) 소결된 해면골에 녹용으로부터 추출된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e)에서 상기 소결은 350 내지 500℃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하여 저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소결된 해면골을 제조하거나,
    또는 600 내지 900℃에서 3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하여 결정성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포함하는 소결된 해면골을 제조하고,
    상기 해면골은 칼슘(Ca)과 인(P)은 1.5:1 내지 2.0:1의 원자조성비로 포함되고, Fe, Mg, Mn, Si 및 K을 포함하는 미량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단계 (c)는,
    (c-1) 혈액성분이 제거된 해면골을 정제수에 넣고 끓여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을 1차 제거하는 단계;
    (c-2) 단백질 및 지방 성분이 1차 제거된 해면골을 소정의 형태로 절단, 파쇄 또는 분쇄하는 단계;
    (c-3) 절단, 파쇄 또는 분쇄된 해면골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지방 성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 및
    (c-4) 지방성분이 2차 제거된 해면골에 차아염소산나트륨을 가하여 단백질 성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단계 (c-4) 이후, 상기 해면골을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침지시켜 잔여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단계 (d)는 상기 해면골을 100 내지 130℃에서 10분 내지 30분간 열처리함으로써 면역반응 및 감염원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계 (d)의 결과물인 해면골을 200 내지 300℃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추가 열처리함으로써 잔여한 지질 및 단백질을 추가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5항에 있어서,
    단계 (f)에서 소결된 해면골에 생체활성 고분자(bioactive polymer), 생체활성 유리(bioactive glass), 생체활성 세라믹스(bioactive ceramics), 및 생체활성 금속(bioactive metal)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13. 삭제
KR1020180096531A 2018-08-20 2018-08-20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0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31A KR102209893B1 (ko) 2018-08-20 2018-08-20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531A KR102209893B1 (ko) 2018-08-20 2018-08-20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43A KR20200021143A (ko) 2020-02-28
KR102209893B1 true KR102209893B1 (ko) 2021-02-01

Family

ID=6963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531A KR102209893B1 (ko) 2018-08-20 2018-08-20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8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12B1 (ko) 2006-09-12 2008-06-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말뼈를 이용한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589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코리아티슈뱅크 골형성단백질이 코팅된 골이식재
KR101348335B1 (ko) * 2011-07-08 2014-01-03 주식회사 나이벡 이종골 유래 골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5272A (ko) * 2012-10-08 2014-04-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뼈로부터 유래된 저결정성 세라믹재의 제조 방법
KR101570832B1 (ko) 2013-09-09 2015-11-20 주식회사 본셀바이오텍 갑오징어뼈를 이용한 골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32197A1 (ko) * 2014-08-25 2016-03-03 주식회사 셀루메드 골형성단백질과 세포외기질이 코팅된 골 이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12B1 (ko) 2006-09-12 2008-06-2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말뼈를 이용한 골이식재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 BÂCIUT et al., "Investigation of deer antler as a potential bone regenerating biomaterial", Journal of Optoelectronics and Advanced Materials(2007), Vol. 9, pp.2547-25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143A (ko)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gley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osteoinductive properties of bioceramic, coral and processed bone graft substitutes
EP0657178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Implantatkeramikmaterial, insbesonders von Hydroxylapatit aufweisenden Implantatkeramikmaterial
EP0141004B1 (de) Knochenersatzmaterial auf der Basis natürlicher Knochen
Katthagen Bone regeneration with bone substitutes: an animal study
US7718616B2 (en) Bone growth particles and osteoinductive composition thereof
Zhang et al. Osteoconductive effectiveness of bone graft derived from antler cancellous bone: an experimental study in the rabbit mandible defect model
Parizi et al. Effectiveness of synthetic hydroxyapatite versus Persian Gulf coral in an animal model of long bone defect reconstruction
Dias et al. Osteoconduction in keratin–hydroxyapatite composite bone‐graft substitutes
Kim et al. Tooth bank system for bone regeneration-safety report
JP2024050785A (ja) 有孔虫由来の骨移植材
Tang et al. Hard tissue compatibility of natural hydroxyapatite/chitosan composite
US10016529B2 (en) Biomaterial compositions, impla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586099B2 (en) Method for preparing a prion-free bond grafting substitute
US20050244450A1 (en) Heat-treated implantable bone material
KR102209893B1 (ko) 녹용 및 녹각 유래의 골이식재 및 그의 제조방법
Harsini et al. Bone Grafting and the Materials for Using in Orthopedics
PL236369B1 (pl) Sposób otrzymywania rusztowania kostnego na bazie ceramiki fluoroapatytowej i polimeru oraz rusztowanie kostne
KR20170096525A (ko) 전복패각으로부터 합성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및 베타-제삼인산칼슘(β-tricalcium phosphate)를 활용한 이상인산칼슘계열의 치과의료용 합성골 이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8745B1 (ko) 동물뼈로부터 유래된 저결정성 세라믹재의 제조 방법
CN111921014B (zh) 一种地黄多糖/异种煅烧骨复合骨修复材料
Rashmi et al. Evaluation of acellular bovine cancellous bone matrix seeded with foetal rabbit osteoblasts for segmental bone defects in rabbits.
KR100635385B1 (ko) 프라이온-프리 골 이식 대체재의 제조방법
RU2393819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заменителя костного трансплантата, не содержащего прионов
Chae et al. Comparative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Bone Regeneration According to Bone Graft Type.
KR102285323B1 (ko) 코콜리드와 코콜리드로부터 합성된 탄산수산화인회석 기반의 골이식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