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716B1 -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716B1
KR102209716B1 KR1020190110773A KR20190110773A KR102209716B1 KR 102209716 B1 KR102209716 B1 KR 102209716B1 KR 1020190110773 A KR1020190110773 A KR 1020190110773A KR 20190110773 A KR20190110773 A KR 20190110773A KR 102209716 B1 KR102209716 B1 KR 102209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track
adjusting member
driving
length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to KR1020190110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716B1/ko
Priority to EP19944247.6A priority patent/EP4026590A4/en
Priority to PCT/KR2019/014053 priority patent/WO2021045304A1/ko
Priority to US16/723,040 priority patent/US11298576B2/en
Priority to CN201911363341.4A priority patent/CN11245190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inclination of the main axis of the movement path being adjustable, e.g. the inclination of an endless b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트레드밀이 개시된다. 개시된 트레드밀은 트랙부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경사 조절 기구를 포함하며, 이러한 경사 조절 기구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 모듈은,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길이 조절부재; 일부가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연결 벨트; 및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연결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길이가 조절되는 제2 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1 곡선 구간과,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2 곡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직선 구간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Length adjustment module, inclination adjustment apparatus and treadmil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밀은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러닝머신으로 불려진다. 트레드밀은, 날씨에 관계 없이, 적당한 온도의 실내에서 걷기 또는 러닝(running)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나날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트레드밀은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거나 다양한 운동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트랙부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 조절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사 조절 기구는 1개의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경사도를 조절하는 싱글(single) 타입과, 2개의 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경사도를 조절하는 듀얼(dual)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싱글 타입의 경사 조절 기구는, 그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트랙부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듀얼 타입의 경사 조절 기구는, 싱글 타입의 경사 조절 기구에 비해 트랙부의 안정성이 있으나, 2개의 길이 조절부재를 동시에 작동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그 크기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트랙부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그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레드밀은,
트랙부와, 상기 트랙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와, 상기 트랙부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경사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트레드밀로서,
상기 경사 조절 기구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바닥에 대한 트랙부의 경사 각도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 모듈은,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길이 조절부재;
일부가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연결 벨트; 및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연결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길이가 조절되는 제2 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1 곡선 구간과,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2 곡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직선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스크류와, 상기 구동 스크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구동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 스크류와 평행하게 배치된 종동 스크류와, 상기 종동 스크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종동 풀리와, 상기 종동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종동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벨트의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2 직선 구간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구동 풀리의 직경 또는 상기 종동 풀리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풀리, 상기 종동 풀리 및 연결 벨트가 수납되는 모듈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박스의 폭은 상기 구동 풀리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구동 풀리의 직경의 120%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박스가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축과 상기 종동 풀리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 박스를 지지하는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의 높이는 12 c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트랙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랙 구동부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트랙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트랙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전방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하우징의 트랙부에 대한 최대 높이는 15 c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랙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 모터보다 무거우며, 상기 트랙 구동모터가 상기 구동 모터에 비해 상기 전방 하우징의 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를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장력 인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트랙부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 모듈을 포함하는 경사 조절 기구로서,
상기 길이조절 모듈은,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길이 조절부재;
일부가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연결 벨트;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연결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길이가 조절되는 제2 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1 곡선 구간과,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2 곡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직선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 모듈로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길이 조절부재;
일부가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연결 벨트;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연결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길이가 조절되는 제2 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1 곡선 구간과,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2 곡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직선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에 따르면, 그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 증가를 최소화면서도 트랙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경사 조절 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에서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길이조절 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길이조절 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길이조절 모듈에서 모듈 박스를 생략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길이조절 모듈의 A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에 적용된 경사 조절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경사 조절 기구(4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주부(5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은 트랙부(10), 이러한 트랙부(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20)와, 트랙부(10)의 전방에 배치되며 트랙부(10)를 회전 구동시키는 트랙 구동부(30)와, 트랙부(10)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경사 조절 기구(40)를 포함한다.
트레드밀(1)은 지주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주부(50)는 지주(51)와, 지주(51)의 타단에 부착된 손잡이(52)와, 사용자가 운동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운동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설치된 제어판(53)을 포함한다.
트랙부(10)는 무한 궤도 타입의 트랙 벨트(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트랙부(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트랙부(10)는 트랙 벨트(11) 대신에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슬래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 구동부(30)는 트랙부(1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트랙 구동모터(31)와, 트랙 구동모터(31)에 연결된 회전 벨트(32)와, 트랙 구동모터(31)와 회전 벨트(3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전방 하우징(33)을 포함한다. 다만, 트랙 구동부(30)는 선택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트랙부(10)가 회전하는 수동 트레드밀(1)에서는 트랙 구동부(30)가 생략될 수 있다.
전방 하우징(33)은 하부 커버(34)와, 이러한 하부 커버(34)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부 커버(3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구(20)는, 전방에 배치된 구동 롤러(21), 후방에 배치된 종동 롤러(22)와, 구동 롤러(21)와 종동 롤러(22) 사이에 배치되며 트랙 벨트(11)의 내부에 배치된 데크(23)와, 데크(23)의 양 측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프레임(24)을 포함한다. 구동 롤러(21)는 회전 벨트(32)에 의해 트랙 구동모터(31)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과 데크(23) 사이에는, 데크(23)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25, 26)가 배치될 수 있다. 댐퍼(25, 26)는 데크(23)에 수직으로 가해진 힘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25)와 데크(23)에 수평으로 가해진 힘을 흡수하기 위한 댐퍼(26)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조절 기구(40)는 트레드밀(1)의 전방 부분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경사 조절 기구(40)는 지지 기구(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경사 지지부(41)와, 경사 지지부(41)에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 모듈(100)을 포함한다.
경사 지지부(41)는 한 쌍의 지지 부재(42)와, 한 쌍의 지지 부재(42)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4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 부재(42) 각각은, 일 단부가 지지 프레임(24)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 단부가 바닥(F)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 부재(42)의 타 단부에는 바닥(F)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회전 부재(46)가 배치될 수 있다.
길이조절 모듈(100)은, 일부가 트레드밀(1)의 전방 하우징(33)의 외부로 노출되며, 다른 일부가 전방 하우징(3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조절 모듈(100)의 노출된 일부는, 경사 지지부(4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길이조절 모듈(10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길이조절 모듈(100)과 경사 지지부(41)가 이루는 각도(θ1)가 달라지며, 경사 지지부(41)와 지지 프레임(24)이 이루는 각도(θ2)가 달라진다. 경사 지지부(41)의 각도(θ2)가 달라짐에 따라, 바닥(F)에 대한 지지 기구(20)의 각도 및 트랙부(10)의 각도(θ3)가 달라진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에서 상부 커버(35)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길이조절 모듈(100)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길이조절 모듈(100)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길이조절 모듈(100)에서 모듈 박스(150)를 생략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길이조절 모듈의 A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길이조절 모듈(100)은 하나의 구동 모터(110)와, 구동 모터(11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제2 길이 조절부재(120, 130)와, 제1, 제2 길이 조절부재(120, 130)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140)를 포함한다.
제1 길이 조절부재(120)는 제2 길이 조절부재(13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길이 조절부재(120)와 제2 길이 조절부재(130)는 동시에 길이가 조절된다.
제1 길이 조절부재(120)는 구동 모터(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부재(120)는 구동 모터(110)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 있다.
구동 모터(110)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 모터(110)에 연결된 제1 길이 조절부재(120)의 길이(L1)가 조절된다. 제1 길이 조절부재(120) 및 연결 벨트(140)를 통해, 구동 모터(110)의 구동력은 제2 길이 조절부재(130)로 전달되며, 그 과정에서 제2 길이 조절부재(130)의 길이(L2)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경사 조절 기구(40)는 2개의 길이 조절부재(120, 13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경사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트랙부(1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부재(120)는 구동 모터(11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스크류(121)와, 구동 스크류(121)의 단부에 배치되며 연결 벨트(140)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구동 풀리(122)와, 구동 스크류(121)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구동 암나사부(1231)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이동부(123)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110)에 의해 구동 스크류(121)가 회전되며, 구동 스크류(121)의 회전에 의해 제1 이동부(123)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구동 스크류(1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이동부(123)가 구동 스크류(12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1 길이 조절부재(120)의 길이(L1)가 짧아진다. 예를 들어, 구동 스크류(1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이동부(123)가 구동 스크류(12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1 길이 조절부재(120)의 길이(L1)가 길어진다.
제2 길이 조절부재(130)는 구동 스크류(121)와 평행하게 배치된 종동 스크류(131)와, 종동 스크류(131)의 단부에 배치되며 연결 벨트(140)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종동 풀리(132)와, 종동 스크류(131)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종동 암나사부(1331)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이동부(133)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122)가 회전됨에 따라, 연결 벨트(140)에 의해 연결된 종동 풀리(132)가 회전된다. 종동 풀리(132)의 회전에 의해 종동 스크류(131)가 회전하며, 그에 따라 제2 이동부(133)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종동 스크류(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이동부(133)가 종동 스크류(13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2 길이 조절부재(130)의 길이(L2)가 짧아진다. 예를 들어, 종동 스크류(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이동부(133)가 종동 스크류(13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제2 길이 조절부재(130)의 길이(L2)가 길어진다.
연결 벨트(140)는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구동 풀리(122)로부터 종동 풀리(132)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연결 벨트(140) 대신에 복수의 연결 기어를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연결 기어는 그로 인해 무게 및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주는 소음이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반해, 연결 벨트(140)는 복수의 연결 기어에 비해, 무게 및 비용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 벨트(140)는 제1 길이 조절부재(120)에 감겨진 제1 곡선 구간(1401)과 제2 길이 조절부재(130)에 감겨진 제2 곡선 구간(1402)과, 제1 곡선 구간(1401)의 일 단부와 제2 곡선 구간(1402)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직선 구간(1403)과, 제1 곡선 구간(1401)의 타 단부와 제2 직선 구간(1404)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제1 직선 구간(1403)에 대응하는 제2 직선 구간(1404)을 가진다.
제1 직선 구간(1403)은 제1 곡선 구간(1401)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곡선 구간(1402)은 제1 직선 구간(1403)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직선 구간(1404)은 제2 곡선 구간(1402)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곡선 구간(1401)은 제2 직선 구간(1404)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직선 구간(1404)이 제1 직선 구간(1403)에 대응하는 예로서, 제2 직선 구간(1404)의 길이와 제1 직선 구간(1403)의 길이가 동일하며, 제2 직선 구간(1404)이 제1 직선 구간(1403)과 평행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직선 구간(1404)이 제1 직선 구간(1403)에 대응하는 예로서,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의 직경이 다를 경우, 제2 직선 구간(1404)의 길이와 제1 직선 구간(1403)의 길이가 동일하며, 제2 직선 구간(1404)은 제1 직선 구간(1403)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연결 벨트(140)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벨트(140)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 모듈(100)은 구동 풀리(122), 종동 풀리(132) 및 연결 벨트(140)가 수납되는 모듈 박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박스(150)는 트랙 구동부(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박스(150)는 트랙 구동모터(3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길이조절 모듈(100)은 제2 길이 조절부재(130)를 제1 길이 조절부재(120)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장력 인가 구조물(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인가 구조물(151)에 의해 제2 길이 조절부재(130)가 제1 길이 조절부재(120)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될 경우, 연결 벨트(140)는 탄성 변형되며, 그 과정에서 연결 벨트(140)는 제1, 제2 길이 조절부재(120, 130)에 밀착될 수 있다.
장력 인가 구조물(151)은 모듈 박스(150)에 설치되며 제2 길이 조절부재(130)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1511)와, 모듈 박스(150)에 배치되며 가압 부재(1511)의 가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장공(151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장공(1512)에는 제2 길이 조절부재(130)를 모듈 박스(15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35)가 삽입된다.
조립 과정에서, 가압 부재(1511)에 의해 제2 길이 조절부재(130)를 제1 길이 조절부재(120)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한 상태에서, 복수의 장공(1512)에 고정 부재(135)를 고정한다. 그에 따라, 구동 풀리(122) 및 종동 풀리(132)에 감겨진 연결 벨트(140)가 탄성 가압되며, 연결 벨트(140)는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에 밀착된다. 제1 곡선 구간(1401)은 구동 풀리(122)에 접촉하며, 제2 곡선 구간(1402)은 종동 풀리(132)에 접촉한다.
제1 직선 구간(1403)과 제2 직선 구간(1404)의 길이(L31, L3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직선 구간(1403)과 제2 직선 구간(1404) 사이의 거리(G)는 구동 풀리(122)의 직경 또는 종동 풀리(132)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직선 구간(1403)과 제2 직선 구간(1404) 사이의 거리(G)가 구동 풀리(122) 또는 종동 풀리(132)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작아짐에 따라, 모듈 박스(150)의 폭(W)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박스(150)의 폭(W)은 구동 풀리(122)의 직경의 120%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박스(150)의 폭(W)은 70 mm 이하일 수 있다. 이 때, 모듈 박스(150)의 폭(W)은 구동 풀리(122)의 직경보다 크다.
모듈 박스(150)의 양 측부에는, 모듈 박스(15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둥(160)이 배치된다. 모듈 박스(150)의 회동축(152)이 지지 기둥(16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모듈 박스(150)는 구동 풀리(122)의 회전축(A1)과 종동 풀리(132)의 회전축(A2)을 연결하는 가상선(VL)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모듈 박스(150)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모듈 박스(150)의 회전 반경이 작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모듈 박스(150)를 지지하는 지지 기둥(160)의 높이(h1)를 낮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기둥(160)의 높이(h1)가 12 c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 기둥(160)의 높이는 트랙 벨트(11)의 상부면으로부터의 높이(h1)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 기둥(160)의 높이(h1)가 낮아짐에 따라, 전방 하우징(33)의 높이를 낮게 설계할 수 있다. 상부 커버(35)의 높이를 낮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하우징(33)의 트랙부(10)의 대한 최대 높이(h2)는 15 cm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 모터(110)가 제1 길이 조절부재(120)의 길이(L1)를 조절하고, 연결 벨트(140)를 통해 제2 길이 조절부재(130)가 제1 길이 조절부재(120)에 종동하여 길이(L2)가 조절되도록 작동함으로써, 다양한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것처럼, 서로 이격 배치된 제1 길이 조절부재(120)와 제2 길이 조절부재(130)가 연결 벨트(140)에 의해 연결되므로, 연결 벨트(14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연결 벨트(140)를 수납한 모듈 박스(150)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으며, 트랙 구동부(30)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는, 트레드밀(1)의 디자인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트레드밀(1)의 좌우 무게를 균형감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랙 구동모터(31)는 경사 조절 기구(40)의 구동 모터(110)보다 무겁다. 예를 들어, 트랙 구동모터(31)의 무게는 12 kg ~ 20 kg인 반면, 경사 조절 기구(40)의 구동 모터(40)의 무게는 2 kg ~ 5 kg일 수 있다.
구동 모터(110)를 제1 길이 조절부재(120)에 연결되도록 설계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운 트랙 구동모터(31)를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 사이의 중심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구동 모터(110)를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 벨트(11)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트랙 구동모터(31)의 중심으로부터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 사이의 중심까지의 거리(G1)는 130 mm ~ 200 mm일 수 있으며, 트랙 벨트(11)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구동 모터(110)의 중심으로부터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 사이의 중심까지의 거리(G2)가 270 mm~ 320 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랙 구동모터(31)와 구동 모터(110)를 각각의 무게를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써, 트레드밀(1)의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풀리(122)와 종동 풀리(132) 사이의 중심은 전방 하우징(33)의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경사 조절 기구(40)가 트레드밀(1)에 사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경사 조절 기구(4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경사 조절이 필요한 장치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2)에 적용된 경사 조절 기구(4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2)는 트랙부(10)와, 트랙부(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20)와, 트랙부(10)를 회전 구동시키는 트랙 구동부(30)와, 트랙부(10)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기구(40a)를 포함한다. 지지 기구(20)는 베이스부(18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경사 조절 기구(40a)는 트랙부(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 조절 기구(40a)는 하나의 구동 모터(110)와, 구동 모터(11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제2 길이 조절부재(120, 130)와, 제1, 제2 길이 조절부재(120, 130)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140;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제1, 제2 길이 조절부재(120, 130)의 일 단부는 지지 기구(20)의 연결부(27)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듈 박스(150)의 내부에는, 구동 풀리(122; 도 7 참조), 종동 풀리(132; 도 7 참조)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벨트(140)가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박스(150)는 베이스부(180) 의 지지 기둥(16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길이 조절부재(120, 130)를 포함한 길이조절 모듈(100)이 경사 조절 기구(40)에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러한 길이조절 모듈(100)의 적용은 경사 조절 기구(4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1: 트레드밀 2 : 운동 기구
10 : 트랙부 11 : 트랙 벨트
20 : 지지 기구 21 : 구동 롤러
22 : 종동 롤러 23 : 데크
24 : 지지 프레임 25, 26 : 댐퍼
30 : 트랙 구동부 31 : 트랙 구동모터
32 : 회전 벨트 33 : 전방 하우징
34 : 하부 커버 35 : 상부 커버
40 : 경사 조절 기구 41 : 경사 지지부
42 : 지지 부재 43 : 연결 부재
46 : 회전 부재 100 : 길이조절 모듈
110 : 구동 모터 120 : 제1 길이 조절부재
121 : 구동 스크류 122 : 구동 풀리
123 : 제1 이동부 130 : 제2 길이 조절부재
131 : 종동 스크류 132 : 종동 풀리
133 : 제2 이동부 135 : 고정 부재
140 : 연결 벨트 1401 : 제1 곡선 구간
1402 : 제2 곡선 구간 1403 : 제1 직선 구간
1404 : 제2 직선 구간 150 : 모듈 박스
151 : 장력 인가 구조물 1511 : 가압 부재
1512 : 장공 160 : 지지 기둥

Claims (13)

  1. 트랙부와, 상기 트랙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와, 상기 트랙부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경사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트레드밀로서,
    상기 경사 조절 기구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바닥에 대한 트랙부의 경사 각도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 모듈은,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길이 조절부재;
    일부가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연결 벨트; 및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연결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길이가 조절되는 제2 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1 곡선 구간과,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2 곡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직선 구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스크류와, 상기 구동 스크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구동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 스크류와 평행하게 배치된 종동 스크류와, 상기 종동 스크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종동 풀리와, 상기 종동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종동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풀리, 상기 종동 풀리 및 상기 연결 벨트가 수납되는 모듈 박스와, 상기 모듈 박스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둥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 박스의 회전 반경이 작아지고 상기 지지 기둥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2 직선 구간 사이의 거리가 상기 구동 풀리의 직경 또는 상기 종동 풀리의 직경에 대응하며, 상기 모듈 박스의 양 측부 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회동축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박스의 폭은 상기 구동 풀리의 직경보다 크며, 70 mm 이하인, 트레드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의 높이는 12 cm 이하인, 트레드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트랙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트랙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랙 구동부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전방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트랙부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트랙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기 전방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하우징의 트랙부에 대한 최대 높이는 15 cm 이하인, 트레드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 모터보다 무거우며,
    상기 트랙 구동모터가 상기 구동 모터에 비해 상기 전방 하우징의 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트레드밀.
  11. 트랙부와, 상기 트랙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기구와, 상기 트랙부의 경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경사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트레드밀로서,
    상기 경사 조절 기구는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 모듈을 포함하며,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바닥에 대한 트랙부의 경사 각도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 모듈은,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제1 길이 조절부재;
    일부가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연결 벨트; 및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연결벨트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길이가 조절되는 제2 길이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벨트는,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1 곡선 구간과,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에 감겨진 제2 곡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1 곡선 구간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곡선 구간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직선 구간에 대응하는 제2 직선 구간을 가지며,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스크류와, 상기 구동 스크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구동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는, 상기 구동 스크류와 평행하게 배치된 종동 스크류와, 상기 종동 스크류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 벨트에 의해 일부가 감겨진 종동 풀리와, 상기 종동 스크류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종동 암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풀리, 상기 종동 풀리 및 상기 연결 벨트가 수납되는 모듈 박스와,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를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압하는 장력 인가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 인가 구조물은,
    상기 모듈 박스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길이 조절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모듈 박스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장공과,
    상기 제2 길이 조절부재를 상기 모듈 박스에 고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장공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110773A 2019-09-06 2019-09-06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KR10220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73A KR102209716B1 (ko) 2019-09-06 2019-09-06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EP19944247.6A EP4026590A4 (en) 2019-09-06 2019-10-24 LENGTH ADJUSTMENT MODULE, INCLINE ADJUSTMENT TOOL AND TREADMILL WITH IT
PCT/KR2019/014053 WO2021045304A1 (ko) 2019-09-06 2019-10-24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US16/723,040 US11298576B2 (en) 2019-09-06 2019-12-20 Length adjustment module, inclination adjustment apparatus, and treadmill including the inclination adjustment apparatus
CN201911363341.4A CN112451909B (zh) 2019-09-06 2019-12-26 长度调节模块、倾斜度调节装置以及跑步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773A KR102209716B1 (ko) 2019-09-06 2019-09-06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716B1 true KR102209716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773A KR102209716B1 (ko) 2019-09-06 2019-09-06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98576B2 (ko)
EP (1) EP4026590A4 (ko)
KR (1) KR102209716B1 (ko)
CN (1) CN112451909B (ko)
WO (1) WO2021045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5031B2 (en) * 2020-09-16 2022-10-11 RevolutioNice, Inc. Ambulation simulation systems, terrain simulation systems, treadmill system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D973153S1 (en) * 2021-05-03 2022-12-20 Landice, Inc. Treadmil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6189A1 (en) * 2003-10-29 2005-05-05 James Chen Folding exercise treadmill with front inclination
KR20050087181A (ko) * 2004-02-26 2005-08-31 주식회사 두비원 트레드밀의 경사 조절용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트레드밀의 경사조절기구
JP4949410B2 (ja) * 2005-11-30 2012-06-06 ジョセフ、ケイ.エリス 牽引および引張り運動のためのエクササイズ用トレッドミル
US20170197110A1 (en) * 2016-01-13 2017-07-13 John Stelmach Lateral Tilting Treadmill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1275B1 (en) * 2000-10-30 2002-10-08 Leao Wang Elevatingly folding unit of electric exercise treadmill
US6475121B2 (en) * 2001-01-16 2002-11-05 Leao Wang Elevating apparatus of an exercise treadmill
US6730002B2 (en) * 2001-09-28 2004-05-04 Icon Ip, Inc. Inclining tread apparatus
EP1601419B1 (en) * 2003-02-28 2014-06-25 Nautilus, Inc. Dual deck exercise device
US6695751B1 (en) * 2003-03-07 2004-02-24 Long-Chuan Hsu Jogging machine having a jogging platform adjustable and foldable structure
KR20040087021A (ko) * 2003-04-04 2004-10-13 이경녕 와이어를 이용한 폴딩 및 경사조절형 런닝머신
US7211029B2 (en) * 2003-07-04 2007-05-01 Jong Jyr Kau Foldaway threadmill
US20070225126A1 (en) * 2006-03-21 2007-09-27 Seon-Kyung Yoo Actuator for controlling inclination of treadmill and inclination control device of treadmill
EP1955737A1 (en) * 2007-02-06 2008-08-13 Hai-Pin Kuo Foldable treadmill
US20140274579A1 (en) * 2013-03-14 2014-09-18 Icon Health & Fitness, Inc. Treadmills with adjustable decks and related methods
TWI680782B (zh) * 2016-12-05 2020-01-01 美商愛康運動與健康公司 於操作期間抵銷跑步機的平台之重量
CN108339229A (zh) 2017-01-23 2018-07-31 力山工业股份有限公司 跑步机
CN108355296A (zh) 2018-03-28 2018-08-03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体育教学用跳高架
CN108785976B (zh) 2018-05-21 2019-11-19 厦门凯欣达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坡度可调节型跑步机
CN209092627U (zh) 2018-11-07 2019-07-12 郑州澍青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体育用压腿训练器
CN110064166B (zh) 2019-05-29 2024-03-19 义乌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跑步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6189A1 (en) * 2003-10-29 2005-05-05 James Chen Folding exercise treadmill with front inclination
KR20050087181A (ko) * 2004-02-26 2005-08-31 주식회사 두비원 트레드밀의 경사 조절용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트레드밀의 경사조절기구
JP4949410B2 (ja) * 2005-11-30 2012-06-06 ジョセフ、ケイ.エリス 牽引および引張り運動のためのエクササイズ用トレッドミル
US20170197110A1 (en) * 2016-01-13 2017-07-13 John Stelmach Lateral Tilting Treadmil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51909B (zh) 2022-02-18
US11298576B2 (en) 2022-04-12
WO2021045304A1 (ko) 2021-03-11
EP4026590A4 (en) 2023-10-04
EP4026590A1 (en) 2022-07-13
CN112451909A (zh) 2021-03-09
US20210069540A1 (en)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716B1 (ko) 길이조절 모듈, 경사 조절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KR101184984B1 (ko)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US9254414B2 (en) Exercise device
JP5476798B2 (ja) 卓上切断機
US20070207900A1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for slide and swing exercise and method
CN101354105A (zh) 倾斜装置
US20200222738A1 (en) Structural Improvement of a Trampoline
US6065732A (en) Pivotal rotation adjusting apparatu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1855892B1 (ko) 평행이동 가능한 안마모듈
JPH08289229A (ja) テレビ受像機の収納ラック
US11247097B2 (en) Elliptical machine capable of realizing three-dimensional pedaling training
KR20230001497A (ko) 슬라이드 레일 구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브라켓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30127B1 (ko)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KR20050087181A (ko) 트레드밀의 경사 조절용 액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트레드밀의 경사조절기구
JP3413676B2 (ja) 多関節型ロボット
JP2008079772A (ja) 運動器具用バイブレーター駆動装置
JP2000122561A (ja) 薄形表示装置のチルト機構
KR101920828B1 (ko) 경사 가변형 워킹 머신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CN2643450Y (zh) 显示器支撑装置
US20220296959A1 (en) Elliptical trainer with incline adjustment mechanism
KR20110080860A (ko) 유격보정 슬라이드가 구비된 자동용접주행장치
KR102630812B1 (ko) 무동력 트레드밀
CN219508361U (zh) 带调谐质量消能器的减震支座
CN108908357B (zh) 驱动组件及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