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323B1 -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 Google Patents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323B1
KR102209323B1 KR1020200141147A KR20200141147A KR102209323B1 KR 102209323 B1 KR102209323 B1 KR 102209323B1 KR 1020200141147 A KR1020200141147 A KR 1020200141147A KR 20200141147 A KR20200141147 A KR 20200141147A KR 102209323 B1 KR102209323 B1 KR 10220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icroorganisms
sewage
reaction tim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41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4NH3-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5N03-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및 오수정화시설(오수, 폐수)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부유물질, 영양염류 등 각종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으로 고도 처리하여 제거한 후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에 관한 것으로, 혐기조와 무산소조 및 호기조 각 수조에는 미생물의 반응시간 증대와 체류시간 확보 및 유입수 이송흐름과 배수 속도 지연구조를 갖는 딜레이댐이 구비되도록 하는 바, 이는 투입된 미생물과 유입수 간 반응시간 증대 및 유지시간이 적절하게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오염물에 대한 제거성능(반응성)이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여과 효율과 공정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Reactor for advanced treatment equipment with a structure to secure microbial residence time to improve river water quality}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및 오수정화시설(오수, 폐수)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부유물질, 영양염류 등 각종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으로 고도 처리하여 제거한 후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에 관한 것으로, 혐기조와 무산소조 및 호기조 각 수조에는 미생물의 반응시간 증대와 체류시간 확보 및 유입수 이송흐름과 배수 속도 지연구조를 갖는 딜레이댐이 구비되도록 하는 바, 이는 투입된 미생물과 유입수 간 반응시간 증대 및 유지시간이 적절하게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오염물에 대한 제거성능(반응성)이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여과 효율과 공정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폐수 및 우수에는 유기물질, 부유물질, 질소, 인 등 다양한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적정하게 처리하지 않고 하천에 방류할 경우에 방류수역의 수질오염 및 부영양화를 유발시켜 수서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하는 오염물질에 대하여 용수 처리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물속에 함유된 무기물질은 물리, 화학적으로 제거하고 유기물질은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 처리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하수 침전방식을 병행하는 고도처리장치는 주로 침사지에서 침사물과 협잡물을 제거한 후 1차 침전지에서 중력침전을 통해 오염물질을 간이 침전시킨 후 후속 반응조를 통해 미생물로 하여금 하수 내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생물학 반응조는 유입수의 유속이 빠를 경우 미생물과의 접촉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로 반응을 제대로 일으키지 못한 채 배수구로 빠져나가 원할한 고도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미생물과의 반응 시간이 짧아 처리효율이 낮게 되고 이에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한 부대시설 설치와 그에 따른 관리 및 유지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유기물질, 질소, 인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고도처리시설인 생물막 반응조는 오히려 체류시간 증가로 인해 부지면적이 크게 소요되고, 하수 처리에 필요한 적정 미생물을 증식시키는데 산소공급량이 과다하게 필요하여 동력원의 소비와 그에 따른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현재 하수처리에 대해서는 생물학적 고도처리가 적용되어 있는데, 혐기조, 무산소 및 호기조의 미생물은 우점종이 각각의 반응조에 맞게 성장하고 체류해야 하고, 대부분의 생물반응조에 미생물이 후속되는 반응조로 유출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즉, 이러한 미생물의 유출은 후속 반응조의 미생물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전단 반응조내에 미생물 확보의 어려움이 야기되고 있어, 적정미생물 확보를 위해 2차 침전조의 슬러지를 처리공정의 최앞단 반응조로 유입(외부반송)시키거나 호기조내의 미생물을 무산소조로 내부 반송하여 미생물의 성장 조건의 악화를 초래하여 처리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최근 운영되고 있는 하수처리시설의 현미경 관찰 결과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의 미생물이 동일하게 관측되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반응조에서 동일한 미생물이 관측된다는 것은 유출이 항시 일어나고 있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본 기술은 하,폐수의 생물학적 고도처리 공정인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에 각각의 반응조에서 성장한 미생물들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처리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시 말해, 현재 대부분의 생물학적 고도처리시설은 생물반응조 후단에 침전조를 두고 생물반응조의 미생물 조절은 이차침전조에서 MLSS를 반송하여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고도처리공정은 혐기조, 무산소조 및 호기조로 구성되며 질산화 및 탈질산화, 인방출 및 인제거 등을 목적으로 생물 반응조를 여러조로 나누어져 있다.
그러나, A2O계열의 대부분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은 반응조를 단순사각형이나 원형반응조로 만들고 MLSS 유출량을 줄이기 위한 시설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각각의 반응조의 MLSS 농도는 호기조에서 무산소조로 유입량의 1~3배 가량을 반송시키는 내부반송과 침전조에서 혐기조나 탈질조로 반송하는 외부반송에 의존하고 있거나, 반응조내에 담체를 넣어 미생물의 부착을 증가시켜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내외부반송에 의존하는 미생물량의 유지는 각각의 반응조에 적합한 미생물 확보의 어려이 발생한다.
또한, 전단에서 유입된 미생물이 상호 경쟁 관계로 공생하거나 오염물질 부하율 증가로 전환되어 오염물질 부하량이 증가하여 미생물 성장을 방해하며 처리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내외부 반송에 의존하는 공정은 반송을 위한 펌프의 설치 및 가동에 따른 초기 설치비 및 운영비의 상승을 초래하기도 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606호(2012. 09. 2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및 오수정화시설(오수, 폐수) 등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 부유물질, 영양염류 등 각종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인 처리방법으로 고도 처리하여 제거한 후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는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에 관한 것으로, 혐기조와 무산소조 및 호기조 각 수조에는 미생물의 반응시간 증대와 체류시간 확보 및 유입수 이송흐름과 배수 속도 지연구조를 갖는 딜레이댐이 구비되도록 하는 바, 이는 투입된 미생물과 유입수 간 반응시간 증대 및 유지시간이 적절하게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오염물에 대한 제거성능(반응성)이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여과 효율과 공정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딜레이댐은 지연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연판은 외함체를 기준으로 가림패널이 인출되면서 유량 또는 유속 지연 면적이 가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일측 면상에 중량추가 구비된 조절레버가 형성되어 기 설정된 중량추의 무게와 각 수조 내 유량 또는 유속의 정도(증감)에 따라 회동 각도가 대응되면서 기울기가 가변되도록 하는 바, 이는 추가 동력원의 가동 없이 미생물과 유입수 간 반응시간 증대 및 유지시간 간격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때, 상기 가림패널은 유입수 이송흐름(유속)이 빠를 경우 가림패널이 지연판을 기준으로 하향 노출되면서 지연판의 전체 면적이 넓어지면 빠른 유속을 감속시켜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높이고 미생물이 그대로 흘러 나가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수의 유량이 적고 유속이 느릴때 힌지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경사판의 면적 자체가 유속을 감속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유량이 많고 유속이 빠를 경우에는 힌지구(221)를 기준으로 경사판의 아랫단이 후방(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밀리면서 기울어져 지연판(210)과 고정격벽(160) 사이를 통해 위로 상승하는 물의 입구 간격을 좁혀 유속을 감속시켜 수조 내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높이고 미생물이 그대로 흘러 나가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 적용된 혐기조, 무산소조, 호기조 등으로 구성된 생물학적 고도처리공정에서 후속 공정으로 미생물이 유출되어 반응조 내에 미생물 확보의 어려움과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수 증가나 유입수질의 상승 등의 비상운전 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반응조에 적합한 미생물 확보를 통해 혐기/무산소/호기반응조에 적합한 미생물을 확보하고, 미생물 성장이 잘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들어 궁극적으로 목표 수질에 적합한 처리효율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에 적용된 다수의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미생물 확보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방류 수계 수질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처리기술은 신규시설은 물론이고 이미 설치된 생물학적 처리시설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시설설치 비용과 고장 발생 우려가 없어 적용성이 탁월하며, 유지관리의 편의성과 현장 적용이 쉬운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와 외부 반송량을 줄여줌으로써 펌프를 가동시간을 단축하여 소비되는 동력비가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즉, 이러한 각각의 반응조에 적합한 미생물의 확보는 수처리 공정에서 유기물질 제거는 물론 질소와 인제거에 탁월한 효율증가를 달성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혐기, 무산소, 호기조의 미생물이 각각 종류가 다르므로 미생물의 성장 조건도 각각의 반응조의 미생물의 성장조건에 부합되도록 하여 활성 미생물을 각각 확보할 수 있는 바, 이는 결국 질산화/탈질산화(Nitrification/Denitrification)와 인제거(Phosporus Removal) 효율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온저하에 따른 미생물 확보가 어려운 동절기와 미생물 성장이 활발한 계절의 상황에 맞게 미생물량을 조절할 수 있는 미생물 조절시설도 설치함으로써 현재 많은 하수처리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반응조 형태에 적합한 원형 및 구형의 침전구역을 두어 유출되는 미생물량을 줄여 각 반응조의 특성에 적합한 미생물의 확보를 쉽게 하고, 각각의 수조에는 미생물 조절장치를 추가로 부설하여 미생물 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반응조에 적합한 활성 있는 미생물 확보와 후속 공정의 부하를 줄여줌으로써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침전지로부터 회수된 반송슬러지 내 인산염이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혐기 상태에서 분해되어 인이 방출되도록 하는 혐기조(110)가 구비되고, 상기 혐기조(110)의 유출수와 후단 호기조(130)에서 순환되는 질산화액에 대하여 질산성질소(NO3-N)를 질소(N2)로 환원시켜 탈질화시키도록 하는 무산소조(120)가 구비되며, 상기 혐기조(110)와 무산소조(120)에서 미처리된 잔류 유기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피에이치(pH) 센서, 암모니아성질소(NH4-N) 센서, 질산성질소(NO3-N) 센서,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 용존산소(DO센서) 센서가 구비되어 잔류 질소량을 파악하도록 형성되고, 암모니아성질소(NH4-N)을 질산성질소(NO3-N)로 산화시킨 질산화액이 무산소조(120)로 순환되면서 미생물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호기조(1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100)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110), 무산소조(120), 호기조(130)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관(140)과 배출관(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관(140)과 배출관(150) 사이 중 배출관(150) 근방에는 각 수조로 투입된 미생물과 유입 하수 간 반응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류시간 지연용 딜레이댐(2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딜레이댐(200)은 반응수조의 상하단을 제외한 폭방향 측면 내주면과 면적이 대응되도록 지연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연판(210)은 하부 이송로에 배출관 측을 통해 하단부가 기울어진 경사판(220)이 형성되어 유입 하수의 상향류식 부상 흐름시 이를 지연시키면서 미생물과의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딜레이댐(200)의 지연판(210)은 각 수조(110,120,130) 내에서 배출관(150) 측의 고정격벽(160)을 기준으로 연결봉(300: 지연판의 고정시에는 배출관 측을 향한 지연판 면상과 상기 지연판을 향한 고정격벽 사이)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지연판(210)은 하부에 인출구(211)가 형성된 외함체(212) 내부에 상하향 인출 가능한 가림패널(213)이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림패널(213)의 하측단 좌우측 양쪽에는 고정브라켓(214)이 형성되어 업다운로드(215)의 하측 말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업다운로드(215)는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슬라이드중공관(216) 내에서 이송구간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중공관(216)은 상단부가 외함체(212)의 양단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블럭(217)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업다운로드(215)가 삽입된 슬라이드중공관(216)의 길이방향 선상 일측에는 관통나사홈(218)이 형성되어 스토퍼용 조임볼트(219)가 관통 삽입되면서 업다운로드(215)의 길이구간 일부를 압착하여 가림패널(123)의 상하향 인출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220)은 상단 일측에 힌지구(221)가 형성되어 가림패널(213)의 하단 힌지부(213-1)와 대응되면서 힌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경사판(220)은 물이 유입되는 측 면상 일측에 회동각도 조절용 조절레버(222)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레버(222)는 축상 끝단부에 숫나사부(223)가 형성되어 너트 형태인 중량추(224)가 나사체결 조립되면 기 설정된 중량추(224)의 무게와 각 수조 내 유량 또는 유속의 정도에 따라 회동 각도가 대응되면서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혐기조와 무산소조 및 호기조로 이루어진 생물학 반응조 각 수조에 미생물의 반응시간 증대와 체류시간 확보 및 유입수 이송흐름과 배수 속도 지연구조를 갖는 딜레이댐이 구비되도록 하는 바, 이는 투입된 미생물과 유입수 간 반응시간 증대 및 유지시간이 적절하게 확보되도록 함으로서 오염물에 대한 제거성능(반응성)이 개선되도록 함은 물론 여과 효율과 공정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딜레이댐은 지연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연판은 외함체를 기준으로 가림패널이 인출되면서 유량 또는 유속 지연 면적이 가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일측 면상에 중량추가 구비된 조절레버가 형성되어 기 설정된 중량추의 무게와 각 수조 내 유량 또는 유속의 정도(증감)에 따라 회동 각도가 대응되면서 기울기가 가변되도록 하는 바, 이는 추가 동력원의 가동 없이 미생물과 유입수 간 반응시간 증대 및 유지시간 간격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를 나타낸 일측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딜레이댐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딜레이댐의 지연 면적 증감을 나타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을 나타낸 사용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가변조절구의 고정구에 대한 상세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100)는 일측에 혐기조(110)가 형성되어 침전지로부터 회수된 반송슬러지 내 인산염이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혐기 상태에서 분해되어 인이 방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협기조 후단에는 무산소조(120)가 구비되어 혐기조(110)의 유출수와 후단 호기조(130)에서 순환되는 질산화액에 대하여 질산성질소(NO3-N)를 질소(N2)로 환원시켜 탈질화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산소조의 후단에는 호기조(130)가 구성되어 혐기조(110)와 무산소조(120)에서 미처리된 잔류 유기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피에이치(pH) 센서, 암모니아성질소(NH4-N) 센서, 질산성질소(NO3-N) 센서,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 용존산소(DO센서) 센서가 구비되어 잔류 질소량을 파악하도록 형성되고, 암모니아성질소(NH4-N)을 질산성질소(NO3-N)로 산화시킨 질산화액이 무산소조(120)로 순환되면서 미생물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기 혐기조(110), 무산소조(120), 호기조(130)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관(140)과 배출관(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관(140)과 배출관(150) 사이 중 배출관(150) 근방에는 각 수조로 투입된 미생물과 유입 하수 간 반응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류시간 지연용 딜레이댐(200)이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딜레이댐(200)은 반응수조의 상하단을 제외한 폭방향 측면 내주면과 면적이 대응되도록 지연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연판(210)은 하부 이송로에 배출관 측을 통해 하단부가 기울어진 경사판(220)이 형성되어 유입 하수의 상향류식 부상 흐름시 이를 지연시키면서 미생물과의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딜레이댐(200)의 지연판(210)은 각 수조(110,120,130) 내에서 배출관(150) 측의 고정격벽(160)을 기준으로 연결봉(300: 지연판의 고정시에는 배출관 측을 향한 지연판 면상과 상기 지연판을 향한 고정격벽 사이)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연판(210)은 하부에 인출구(211)가 형성된 외함체(212) 내부에 상하향 인출 가능한 가림패널(213)이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림패널(213)의 하측단 좌우측 양쪽에는 고정브라켓(214)이 형성되어 업다운로드(215)의 하측 말단부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업다운로드(215)는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슬라이드중공관(216) 내에서 이송구간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중공관(216)은 상단부가 외함체(212)의 양단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블럭(217)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업다운로드(215)가 삽입된 슬라이드중공관(216)의 길이방향 선상 일측에는 관통나사홈(218)이 형성되어 스토퍼용 조임볼트(219)가 관통 삽입되면서 업다운로드(215)의 길이구간 일부를 압착하여 가림패널(123)의 상하향 인출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220)은 상단 일측에 힌지구(221)가 형성되어 가림패널(213)의 하단 힌지부(213-1)와 대응되면서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경사판(220)은 물이 유입되는 측 면상 일측에 회동각도 조절용 조절레버(222)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조절레버(222)는 축상 끝단부에 숫나사부(223)가 형성되어 너트 형태인 중량추(224)가 나사체결 조립되면 기 설정된 중량추(224)의 무게와 각 수조 내 유량 또는 유속의 정도에 따라 회동 각도가 대응되면서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중량추는 무게가 미리 정해진 너트(Nut)형 부재로서, 숫나사부에 대응 조립시 규격(무게, 크기 등)과 조임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이 조절되면서 미생물 체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중량추는 수조내 유속이 빠르면 그에 따라 무거운 중량의 중량추가 비례하면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경사판의 기울기가 힌지구를 기준으로 너무 빨리 밀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물속에 잠긴 경사판이 수직 상태를 보다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물의 유속을 감속시켜 미생물의 체류시간을 높이고 미생물이 그대로 흘러 나가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봉(30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링크아암(310)이 지연판(210)의 폭방향 좌우측 양측부에 대응되면서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아암(310)은 양단부에 각각 힌지판(320)과 힌지축(330)이 형성되어 서로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연판(210)의 일측 면상에는 힌지공(216)을 갖는 부착판(215)이 형성되어 이와 대응된 링크아암(310)의 힌지판(320)과 힌지축(330)이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격벽(130)과 맞닿는 면상에는 힌지링(171)을 갖는 고정구(170)가 형성되어 이와 대응된 링크아암(310)의 힌지핀(320)과 힌지축(330)이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딜레이댐의 지연판을 배출관 기준 전후방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유량의 이송체적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유입수의 유속에 대한 미생물 반응시간을 계절별 또는 우기중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생물반응조 110 ... 혐기조
120 ... 무산소조 130 ... 호기조
140 ... 유입관 150 ... 배출관
160 ... 고정격벽 200 ...딜레이댐
210 ... 지연판 211 ... 인출구
212 ... 외함체 213... 가림패널
213-1 ... 힌지부
214 ... 고정브라켓 215 ... 업다운로드
216 ... 슬라이드중공관 217 ... 고정블럭
218 ... 관통공 219 ... 조임볼트
220 ... 경사판 221 ... 힌지구
222 ... 조절레버 223 ... 숫나사부
224 ... 중량추 300 ... 연결봉

Claims (3)

  1. 침전지로부터 회수된 반송슬러지 내 인산염이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혐기 상태에서 분해되어 인이 방출되도록 하는 혐기조(110)가 구비되고, 상기 혐기조(110)의 유출수와 후단 호기조(130)에서 순환되는 질산화액에 대하여 질산성질소(NO3-N)를 질소(N2)로 환원시켜 탈질화시키도록 하는 무산소조(120)가 구비되며, 상기 혐기조(110)와 무산소조(120)에서 미처리된 잔류 유기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되, 일측에는 피에이치(pH) 센서, 암모니아성질소(NH4-N) 센서, 질산성질소(NO3-N) 센서, 엠엘에스에스(MLSS) 센서, 용존산소(DO센서) 센서가 구비되어 잔류 질소량을 파악하도록 형성되고, 암모니아성질소(NH4-N)을 질산성질소(NO3-N)로 산화시킨 질산화액이 무산소조(120)로 순환되면서 미생물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호기조(13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100)에 있어서,
    상기 혐기조(110), 무산소조(120), 호기조(130)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관(140)과 배출관(15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관(140)과 배출관(150) 사이 중 배출관(150) 근방에는 각 수조로 투입된 미생물과 유입 하수 간 반응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체류시간 지연용 딜레이댐(2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딜레이댐(200)은 반응수조의 상하단을 제외한 폭방향 측면 내주면과 면적이 대응되도록 지연판(210)이 형성되고, 상기 지연판(210)은 하부 이송로에 배출관 측을 통해 하단부가 기울어진 경사판(220)이 형성되어 유입 하수의 상향류식 부상 흐름시 이를 지연시키면서 미생물과의 반응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딜레이댐(200)의 지연판(210)은 각 수조(110,120,130) 내에서 배출관(150) 측의 고정격벽(160)을 기준으로 연결봉(300)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연판(210)은 하부에 인출구(211)가 형성된 외함체(212) 내부에 상하향 인출 가능한 가림패널(213)이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림패널(213)의 하측단 좌우측 양쪽에는 고정브라켓(214)이 형성되어 업다운로드(215)의 하측 말단부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업다운로드(215)는 상하 길이방향을 갖는 슬라이드중공관(216) 내에서 이송구간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중공관(216)은 상단부가 외함체(122)의 양단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블럭(217)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업다운로드(215)가 삽입된 슬라이드중공관(216)의 길이방향 선상 일측에는 관통나사홈(218)이 형성되어 스토퍼용 조임볼트(219)가 관통 삽입되면서 업다운로드(215)의 길이구간 일부를 압착하여 가림패널(213)의 상하향 인출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220)은 상단 일측에 힌지구(221)가 형성되어 가림패널(213)의 하단 힌지부(213-1)와 대응되면서 힌지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경사판(220)은 물이 유입되는 측 면상 일측에 회동각도 조절용 조절레버(222)가 결합되고, 상기 조절레버(222)는 축상 끝단부에 숫나사부(223)가 형성되어 너트 형태인 중량추(224)가 나사체결 조립되면 기 설정된 중량추(224)의 무게와 각 수조 내 유량 또는 유속의 정도에 따라 회동 각도가 대응되면서 기울기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KR1020200141147A 2020-10-28 2020-10-28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KR10220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47A KR102209323B1 (ko) 2020-10-28 2020-10-28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147A KR102209323B1 (ko) 2020-10-28 2020-10-28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323B1 true KR102209323B1 (ko) 2021-01-29

Family

ID=7423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147A KR102209323B1 (ko) 2020-10-28 2020-10-28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843A (zh) * 2022-03-21 2022-06-14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一种推流曝气强化河道固定生物膜去除污染物的智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970A (ko) * 2009-10-29 2011-05-06 설동화 격막 순환식 활성슬러지 포기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186606B1 (ko) 2011-06-13 2012-09-27 (주)지지산업 하수 및 오/폐수의 질소 와 인을 복합적으로 제거하는 고도처리장치
KR101904985B1 (ko) * 2017-08-14 2018-11-28 주식회사 엠지워터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970A (ko) * 2009-10-29 2011-05-06 설동화 격막 순환식 활성슬러지 포기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186606B1 (ko) 2011-06-13 2012-09-27 (주)지지산업 하수 및 오/폐수의 질소 와 인을 복합적으로 제거하는 고도처리장치
KR101904985B1 (ko) * 2017-08-14 2018-11-28 주식회사 엠지워터 생물반응조 종합관리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향상시킨 하수 고도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0843A (zh) * 2022-03-21 2022-06-14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一种推流曝气强化河道固定生物膜去除污染物的智慧系统
CN114620843B (zh) * 2022-03-21 2023-10-13 中国城市建设研究院有限公司 一种推流曝气强化河道固定生物膜去除污染物的智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60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municipal sewage by aoa process via endogenous partial denitrification coupled with anammox in anoxic zone
WO2021036458A1 (zh) 一种自循环高效生物脱氮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147157B1 (ko) 장방형 상향류 혐기/무산소 반응조를 포함하는 하?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
CN105036467B (zh) 一种用于小城镇污水处理的人工湿地污水预处理的方法
KR100873416B1 (ko) 연속 회분식 반응조의 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8808543B2 (en) Method for wet weather wastewater treatment
KR100784400B1 (ko) 담수호 및 하천 정화장치
CN111675435A (zh) 一种基于a/o-mbbr工艺的一体化污水处理设备及污水处理方法
CN101792230A (zh) 无回流连续曝气式污水处理系统和处理方法
CN1129677A (zh) 改进的硝化与脱氮化废水处理法
KR102209323B1 (ko) 하천 수질 개선 강화를 위하여 미생물 반응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하폐수 고도처리시설용 생물반응조
KR20090055160A (ko) 유량 조정조를 생물반응조로 활용하는 하수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CN101585650A (zh) 挂膜式浮动链曝气污染水体修复方法与装置
CN106745744B (zh) 污水处理方法及污水处理系统
CN106186321B (zh) 一种一体化节能脱氮装置及方法
KR101366867B1 (ko) 하이브리드 공간분리기능과 콤팩트형 접촉여재를 이용한 산화구 개선시스템
KR100624768B1 (ko) 미생물과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211847350U (zh) 序批式连续排放污水处理器
KR20010045253A (ko) 하수 고도처리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 하수처리방법
CN108394996B (zh) 一种活性污泥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100468997B1 (ko) 슬러지 배출억제형 상향류 혐기반응조를 갖는 폐수처리장치
KR102209325B1 (ko)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해 미생물 체류시간 확보 구조를 갖는 고도처리장치용 반응조
KR20060024288A (ko) 반응조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하수 및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20020083978A (ko) 연속 유입 주기식 활성 슬러지공법
KR200381627Y1 (ko) 미생물과 분리막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