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928B1 -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928B1
KR102208928B1 KR1020190099340A KR20190099340A KR102208928B1 KR 102208928 B1 KR102208928 B1 KR 102208928B1 KR 1020190099340 A KR1020190099340 A KR 1020190099340A KR 20190099340 A KR20190099340 A KR 20190099340A KR 102208928 B1 KR102208928 B1 KR 10220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eat
spring
screw threa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욱
Original Assignee
(주)와이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엔브이 filed Critical (주)와이엔브이
Priority to KR102019009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73Multiple-way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부위는 제1외면나사산(112)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봉(131), 제1조절봉(13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1외면나사산(113)과 치합되는 제1웜(132), 중심축에는 제1조절봉(131)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3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2관통공(12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25)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135)이 형성되어 제2관통공(123)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싱(133), 제1조절봉(13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어 제1고정부싱(13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1돌출단(122)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1고정너트(137)가 마련되는 제1웜부; 일단부위는 제2외면나사산(153)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는 제2조절봉(161), 제2조절봉(16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2외면나사산(153)과 치합되는 제2웜(162), 중심축에는 제2조절봉(161)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16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4관통공(14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산(145)과 치합되는 제4나사산(165)이 형성되어 제4관통공(143)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싱(163), 제2조절봉(16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어 제2고정부싱(16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2돌출단(142)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2고정너트(167)가 마련되는 제2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Safety valve having capable of rcontrolling gap for opening and shutting}
본 발명은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디에 관통 삽입되어 있는 조절봉을 직접 회전시켜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디스크의 간격 조절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매우 정밀한 개폐 간격 조절이 가능한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안전밸브는 유체의 압력을 일정 값 이하로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밸브로서, 관련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안전밸브는 도 6에 개시된 것과 같이, 유입구 및 배출구 각각이 마련되는 바디(110), 바디(110)의 하측부위 및 상측부위 각각에 마련되는 시트(120) 및 본넷(180), 본넷(180)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170) 및 스프링(170)의 상, 하측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스프링시트, 유입구를 개폐하는 디스크(130), 스프링(170)을 압축하거나 그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하는 스템(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미도시된 압력탱크에 일정 압력 상태로 저장되어 있던 유체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커져 디스크(130) 하면에 작용하면, 스프링(130)의 가압력으로 유입구를 폐쇄하고 있던 디스크(130)를 수직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유입구와 배출구가 연통되면서 압력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유체의 일부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유체의 일부가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저장탱크 내부의 압력 상태가 설정된 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디스크(130)에 작용하던 유체 압력이 스프링(170)의 복원력보다 작아짐에 따라 디스크(130)는 서서히 하강하면서 유입구를 폐쇄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압력탱크 내부의 유체 압력을 일정 값으로 조절하게 된다.
한편, 안전밸브에 있어 유체의 이동을 위한 디스크(130)의 개폐는 전적으로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달려 있으며,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한 디스크(130)의 개폐 정도는 시트(120)와 디스크홀더(160) 각각의 외면에 마련되는 제1, 2조절링(122, 162) 각각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에 의해 조절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제1, 2조절링(122, 162) 각각과 접하고 있는 제1, 2조절스크류(124, 164) 각각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 2조절링(122, 162) 각각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디스크(130)의 하면 모서리부위와 시트(120)의 상단 사이 간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서, 스프링(170)의 복원력에 의한 디스크(130)의 개폐 간극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제1, 2조절링과 고정 결합되어 있던 제1, 2조절스크류를 제1, 2조절링 각각에서 분리한 다음 디스크의 개폐 간격인 승, 하강거리를 조절하고, 다시 제1, 2조절링 각각에 제1, 2조절스크류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그 작업 자체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의도하는 범위 내로 디스크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이에 대한 대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8901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의 개폐 정도를 매우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안전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부위에는 유입구(11)가 마련되고 하측부위에는 배출구(12)가 마련되는 바디(10), 유입구(11)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시트(20), 바디(10)의 상측부위에 설치되는 본넷(30), 본넷(30)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31), 상면부위가 스프링(31)의 하단부위와 접하는 제1스프링시트(32), 하면부위가 스프링(31)의 상단부위와 접하는 제2스프링시트(33), 일정길이를 가지며 스프링(31) 및 제1, 2스프링시트(32, 33) 각각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템(35), 개구된 상측부위는 바디(10)의 상단부위와 본넷(30)의 하단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개구된 하측부위는 시트(20)의 상단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디스크홀더(36), 내면 중앙부위는 스템(35)와 하단부위와 접하고 외면부위는 디스크홀더(36)와 접하며 밀착되어 시트(20)의 상단 부위를 개폐하는 디스크(38)를 포함하는 안전밸브로서, 시트(20)의 상측부위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시트링(111), 제1시트링(11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시트(20)의 상측부위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시트나사산(21)과 치합되는 제1내면나사산(112), 제1시트링(11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외면나사산(113)이 마련되는 제1웜휠부; 바디(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121), 제1관통공(121)과 동축을 이루며 바디(10)의 외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돌출단(122), 제1관통공(121)과 연통되며 제1돌출단(122) 중심축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123)이 마련되는 제1관통부; 일단부위는 제1외면나사산(112)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1, 2관통공(121, 12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봉(131), 제1조절봉(13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1외면나사산(113)과 치합되는 제1웜(132), 중심축에는 제1조절봉(131)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3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2관통공(12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25)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135)이 형성되어 제2관통공(123)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싱(133), 제1조절봉(13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어 제1고정부싱(13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1돌출단(122)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1고정너트(137)가 마련되는 제1웜부; 제1관통공(12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디(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제3관통공(141), 제3관통공(141)과 동축을 이루며 바디(10)의 외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돌출단(142), 제3관통공(141)과 연통되며 제2돌출단(142) 중심축에 형성되는 제4관통공(143)이 마련되는 제2관통부; 디스크홀더(36)의 하측부위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시트링(151), 제2시트링(15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디스크홀더(36)의 하측부위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홀더나사산(37)과 치합되는 제2내면나사산(152), 제2시트링(15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외면나사산(153)이 마련되는 제2웜휠부; 일단부위는 제2외면나사산(153)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3, 4관통공(141, 1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2조절봉(161), 제2조절봉(16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2외면나사산(153)과 치합되는 제2웜(162), 중심축에는 제2조절봉(161)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16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4관통공(14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산(145)과 치합되는 제4나사산(165)이 형성되어 제4관통공(143)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싱(163), 제2조절봉(16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어 제2고정부싱(16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2돌출단(142)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2고정너트(167)가 마련되는 제2웜부;가 구비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관통공(121, 123)은 내경을 달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절봉(131)의 타측부위에는 제1걸림링(136)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링(136)의 타측부위는 제1, 2관통공(121, 123)의 경계단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부싱(133)의 타측부위는 제1걸림링(136)의 일측부위와 밀착되며; 상기 제2조절봉(161)의 타측부위에는 제2걸림링(166)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링(166)의 타측부위는 제3, 4관통공(141, 143)의 경계단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부싱(163)의 타측부위는 제2걸림링(166)의 일측부위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프링시트(32)의 모서리에는 본넷(30)의 내면과 밀착되는 밀착단(321)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단(321)에는 환형으로 삽입홈(32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2)에는 오링(323)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디에 관통 삽입되는 조절봉의 일단부위를 시트링과 치합시킨 상태에서 조절봉의 타단부위를 직접 회전시켜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을 수행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상황에 따라 디스크의 간격 조절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매우 정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하측부위를 지지하는 스프링시트에 밀착단 및 오링을 마련하여 본넷을 바디 내부공간과 분리시킴으로써, 안전밸브가 장시간 작동되더라도 가스가 누설되는 현상을 보다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략적인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에 있어 제1, 2웜휠부 및 제1, 2웜부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략적인 내부 사시 구성도.
도 6은 종래 안전밸브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략적인 측면 및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를 보여준다. 각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바디(10) 및 시트(20), 본넷(30) 그리고, 제1, 2웜훨부, 제1, 2관통부, 제1, 2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바디(10)에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마련된다. 유입구(11)는 바디(10)의 하측부위에 마련되고, 배출구(12)는 바디(10)의 타측부위에 마련된다. 일정압력의 유체가 저정되는 미도시된 압력탱크는 바디(10)의 유입구(11)와 연결된다.
시트(20)는 유입구(11)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며, 그 상단 부위는 바디(10)의 내부유로로 노출된다. 본넷(30)은 바디(10)의 상측부위에 설치된다. 스프링(31)은 본넷(3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제1, 2스프링시트(32, 33) 각각은 스프링(31)과 접하며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중에서, 제1스프링시트(32)는 그 상면부위가 스프링(31)의 하단부위와 접하며 지지하며, 제2스프링시트(33)는 그 하면부위가 스프링(31)의 상단부위와 접하며 지지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스프링시트(32)의 모서리에는 본넷(30)의 내면과 밀착되는 밀착단(321)이 형성되고, 밀착단(321)에는 환형으로 삽입홈(322)이 형성되며, 삽입홈(322)에는 오링(323)이 삽입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즉, 종래 안전밸브에 있어 스템 주변을 감싸며 마련되는 벨로우즈를 제거하는 대신에, 제1스프링시트(32)의 구성 자체를 변경하여 유입구(11)를 통해 이동하는 가스 중의 일부가 본넷(30)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벨로우즈는 통상적으로 스템의 승하강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접철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스템의 작동에 따라 벨로우즈가 장시간 반복적으로 작용하다 보면 그 재질의 특성상 특정 부분이 손상되어 가스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밀착단(321) 및 오링(323)의 구성을 이용하게 되면, 장시간 보다 안정적인 기밀 상태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스템(35)은 전달되는 유체 압력 변화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부분으로, 스프링(31) 및 제1, 2스프링시트(32, 33) 각각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디스크홀더(36)는 디스크(38)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하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디스크홀더(36)의 개구된 상측부위는 바디(10)의 상단부위 및 본넷(30)의 하단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디스크홀더(36)의 개구된 하측부위는 시트(20)의 상단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디스크(38)는 시트(20)의 상단부위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내면 중앙부위는 스템(35)의 하단부위와 접하고, 그 외면부위는 디스크홀더(36)와 접한다. 가스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스템(35), 제1스프링시트(32), 디스크(38)는 일체형으로 승하강한다.
제1웜휠부는 시트(20)의 상측부위에서 일정 수직높이만큼 승하강하는 부분으로, 제1시트링(111), 제1내면나사산(112), 제1외면나사산(113)이 마련된다. 제1시트링(111)은 시트(20)의 상측부위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1내면나사산(112)은 제1시트링(11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며, 시트(20)의 상측부위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시트나사산(21)과 치합된다. 제1외면나사산(113)은 제1시트링(11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2웜휠부는 디스크홀더(36)의 하측부위에서 일정 수직높이만큼 승하강하는 부분으로, 제2시트링(151), 제2내면나사산(152), 제2외면나사산(153)이 마련된다. 제2시트링(151)은 디스크홀더(36)의 하측부위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내면나사산(152)은 제2시트링(15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며, 디스크홀더(36)의 하측부위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홀더나사산(37)과 치합된다. 제2외면나사산(153)은 제2시트링(15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된다.
제1관통부는 제1웜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제1관통공(121), 제1돌출단(122), 제2관통공(123)이 마련된다. 제1관통공(121)은 바디(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된다. 제1돌출단(122)은 제1관통공(121)과 동축을 이루며 바디(10)의 외면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된다. 제2관통공(123)은 제1관통공(121)과 연통되며 제1돌출단(122) 중심축에 형성된다.
이때, 상호 연통되는 제1, 2관통공(121, 123)은 도 4와 같이 내경을 달리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2관통공(121, 123)이 내경을 달리하며 형성되는 경우, 제2관통공(123)의 내경이 제1관통공(12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관통부는 제2웜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제3관통공(141), 제2돌출단(142), 제4관통공(143)이 마련된다. 제3관통공(141)은 제1관통공(12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디(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된다. 제2돌출단(142)은 제3관통공(141)과 동축을 이루며 바디(10)의 외면에서 일정길이로 돌출된다. 제4관통공(143)은 제3관통공(141)과 연통되며 제2돌출단(142) 중심축에 형성된다.
제1, 2관통공(121, 123)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호 연통되는 제3, 4관통공(141, 143)은 내경을 달리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3, 4관통공(141, 143)이 내경을 달리하며 형성되는 경우, 제4관통공(143)의 내경이 제3관통공(14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웜부는 제1웜휠부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제1조절봉(131), 제1웜(132), 제1고정부싱(133), 제1고정너트(137)가 마련된다.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1조절봉(131)은 그 일단부위가 제1외면나사산(113)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1, 2관통공(121, 12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1웜(132)은 제1조절봉(13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1외면나사산(113)과 치합된다. 제1고정부싱(133)은 그 중심축에는 제1조절봉(131)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3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2관통공(12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25)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135)이 형성되어 제2관통공(123)에 결합된다.
제1고정너트(137)는 제1조절봉(13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며, 제1고정부싱(13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1돌출단(122)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도면부호 138은 오링이며, 도면부호 139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가 삽입되는 홈이다.
제1관통부에 있어 제1, 2관통공(121, 123)이 내경을 달리하며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은 제1조절봉(131)의 타측부위에 제1걸림링(136)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조절봉(131)의 타측부위에 제1걸림링(136)이 형성되면, 제1걸림링(136)의 타측부위는 도 4와 같이 제1, 2관통공(121, 123)의 경계단 부위(124)에 밀착된다. 이럴 경우, 제1고정부싱(133)이 제2관통공(123)에 결합될 때, 제1고정부싱(133)의 타측부위는 제1걸림링(136)의 일측부위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제2웜부는 제2웜휠부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제2조절봉(161), 제2웜(162), 제2고정부싱(163), 제2고정너트(167)가 마련된다.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2조절봉(161)은 그 일단부위가 제2외면나사산(153)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3, 4관통공(141, 1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제2웜(162)은 제2조절봉(16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2외면나사산(153)과 치합된다. 제2고정부싱(163)은 그 중심축에는 제2조절봉(161)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16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4관통공(14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산(145)과 치합되는 제4나사산(165)이 형성되어 제4관통공(143)에 결합된다.
제2고정너트(167)는 제2조절봉(16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며, 제2고정부싱(16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2돌출단(142)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도면부호 168은 오링이며, 도면부호 169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가 삽입되는 홈이다.
제1조절봉(131)의 제1걸림링(136)과 같이, 제2관통부에 있어 제3, 4관통공(141, 143)이 내경을 달리하며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은 제2조절봉(161)의 타측부위에 제2걸림링(166)이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2조절봉(161)의 타측부위에 제2걸림링(166)이 형성되면, 제2걸림링(166)의 타측부위는 제3, 4관통공(141, 143)의 경계단 부위(144)에 밀착된다. 이럴 경우, 제2고정부싱(163)이 제4관통공(143)에 결합될 때, 제2고정부싱(163)의 타측부위는 제2걸림링(166)의 일측부위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안전밸브의 작동과정 중에 디스크(38)의 승하강에 따른 개폐 간격 조절이 필요하면, 안전밸브의 작동을 중지시킨 다음 외력을 가하여 제1, 2고정너트(137, 167)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제1, 2조절봉(131, 16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분리한다.
제1, 2고정너트(137, 167)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제1, 2조절봉(131, 16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로부터 분리되면, 제1, 2고정부싱(133, 163)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2고정부싱(133, 163)의 타측부위를 제1, 2걸림링(136, 166)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일측부위와 분리시킨다.
제1, 2걸림링(136, 166)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일측부위가 제1, 2고정부싱(133, 163)의 타측부위와 분리되면,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의 단부를 제1, 2조절봉(131, 16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홈(139, 169)에 삽입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5의 실선 및 점선 각 참조).
제1, 2조절봉(131, 16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2시트링(111, 15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시트(20) 또는 디스크홀더(36) 각각에 대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5의 실선 및 점선 각 참조).
시트(20) 또는 디스크홀더(36) 각각에 대하여 제1, 2시트링(111, 15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2시트링(111, 151) 각각은 시트(20) 또는 디스크홀더(36) 각각에 대하여 일정 수직높이만큼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고(도 5의 실선 및 점선 각 참조), 이에 따라 디스크(38)의 승하강 거리가 조절된다.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디스크(38)의 승하강 거리가 조절되면, 제1, 2고정부싱(133, 163)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2고정부싱(133, 163)의 타측부위를 제1, 2걸림링(136, 166)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일측부위와 밀착시킨다.
이후, 제1, 2고정너트(137, 167)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제1, 2조절봉(131, 161)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단부에 결합하고, 제1, 2고정너트(137, 167)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타측부위를 제1, 2고정부싱(133, 163)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의 일측부위에 밀착시켜 제1, 2조절봉(131, 161)을 바디(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38)의 개폐 간격 조절 과정이 종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안전밸브의 작동 과정 중에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필요한 경우, 조절봉을 바디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바디에 삽입되어 있는 조절봉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격 조절 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나아가 시트링과 치합되어 있는 조절봉을 그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의도하는 범위 내에서 매우 정밀한 간격 조절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바디 11 : 유입구
12 : 배출구 20 : 시트
30 ; 본넷 31 : 스프링
32 : 제1스프링시트 33 : 제2스프링시트
35 : 스템 36 : 디스크홀더
38 : 디스크
111, 151 : 제1, 2시트링 112, 152 : 제1, 2내면나사산
113, 153 : 제1, 2외면나사산 121, 141 : 제1, 3관통공
122, 142 : 제1, 2돌출단 123, 143 : 제2, 4관통공
131, 161 : 제1, 2조절봉 132, 162 : 제1, 2웜
133, 163 : 제1, 2고정부싱 136, 166 : 제1, 2걸림링
137, 167 : 제1, 2고정너트 321 : 밀착단
322 : 삽입홈 323 : 오링

Claims (3)

  1. 일측부위에는 유입구(11)가 마련되고 하측부위에는 배출구(12)가 마련되는 바디(10), 유입구(11) 내부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시트(20), 바디(10)의 상측부위에 설치되는 본넷(30), 본넷(30)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31), 상면부위가 스프링(31)의 하단부위와 접하는 제1스프링시트(32), 하면부위가 스프링(31)의 상단부위와 접하는 제2스프링시트(33), 일정길이를 가지며 스프링(31) 및 제1, 2스프링시트(32, 33) 각각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스템(35), 개구된 상측부위는 바디(10)의 상단부위와 본넷(30)의 하단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개구된 하측부위는 시트(20)의 상단부위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디스크홀더(36), 내면 중앙부위는 스템(35)와 하단부위와 접하고 외면부위는 디스크홀더(36)와 접하며 밀착되어 시트(20)의 상단 부위를 개폐하는 디스크(38)를 포함하는 안전밸브로서,
    시트(20)의 상측부위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시트링(111), 제1시트링(11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시트(20)의 상측부위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시트나사산(21)과 치합되는 제1내면나사산(112), 제1시트링(11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외면나사산(113)이 마련되는 제1웜휠부;
    바디(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121), 제1관통공(121)과 동축을 이루며 바디(10)의 외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돌출단(122), 제1관통공(121)과 연통되며 제1돌출단(122) 중심축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123)이 마련되는 제1관통부;
    일단부위는 제1외면나사산(112)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1, 2관통공(121, 12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1조절봉(131), 제1조절봉(13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1외면나사산(113)과 치합되는 제1웜(132), 중심축에는 제1조절봉(131)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13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2관통공(12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산(125)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135)이 형성되어 제2관통공(123)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싱(133), 제1조절봉(13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어 제1고정부싱(13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1돌출단(122)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1고정너트(137)가 마련되는 제1웜부;
    제1관통공(12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바디(10)의 일측부위에 형성되는 제3관통공(141), 제3관통공(141)과 동축을 이루며 바디(10)의 외면에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2돌출단(142), 제3관통공(141)과 연통되며 제2돌출단(142) 중심축에 형성되는 제4관통공(143)이 마련되는 제2관통부;
    디스크홀더(36)의 하측부위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시트링(151), 제2시트링(151)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디스크홀더(36)의 하측부위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홀더나사산(37)과 치합되는 제2내면나사산(152), 제2시트링(151)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외면나사산(153)이 마련되는 제2웜휠부;
    일단부위는 제2외면나사산(153)과 대향하며 위치하고 연장되는 타측부위는 제3, 4관통공(141, 14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제2조절봉(161), 제2조절봉(161)의 일단부위에 형성되어 제2외면나사산(153)과 치합되는 제2웜(162), 중심축에는 제2조절봉(161)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164)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4관통공(143)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산(145)과 치합되는 제4나사산(165)이 형성되어 제4관통공(143)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싱(163), 제2조절봉(161)의 타단부위에 나사 치합되어 제2고정부싱(163)의 일측부위를 가압하며 제2돌출단(142)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제2고정너트(167)가 마련되는 제2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관통공(121, 123)은 내경을 달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절봉(131)의 타측부위에는 제1걸림링(136)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링(136)의 타측부위는 제1, 2관통공(121, 123)의 경계단에 밀착되고, 상기 제1고정부싱(133)의 타측부위는 제1걸림링(136)의 일측부위와 밀착되며; 상기 제2조절봉(161)의 타측부위에는 제2걸림링(166)이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링(166)의 타측부위는 제3, 4관통공(141, 143)의 경계단에 밀착되고, 상기 제2고정부싱(163)의 타측부위는 제2걸림링(166)의 일측부위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시트(32)의 모서리에는 본넷(30)의 내면과 밀착되는 밀착단(321)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단(321)에는 환형으로 삽입홈(32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322)에는 오링(323)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하는 안전밸브.
KR1020190099340A 2019-08-14 2019-08-14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KR10220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40A KR102208928B1 (ko) 2019-08-14 2019-08-14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40A KR102208928B1 (ko) 2019-08-14 2019-08-14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928B1 true KR102208928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340A KR102208928B1 (ko) 2019-08-14 2019-08-14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38A (ko) 2021-09-16 2023-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압력 안전 밸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964B2 (en) * 1998-06-16 2004-04-27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ing Ltd.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KR101178901B1 (ko) 2010-02-22 2012-08-31 주식회사 삼신 안전 방출 밸브
KR101574607B1 (ko) * 2014-07-14 2015-12-04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비압축성 유체 개폐밸브장치
KR101801085B1 (ko) * 2016-03-22 2017-12-20 캄텍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KR101892092B1 (ko) * 2018-04-23 2018-08-27 주식회사 와이엔브이 스프링 편심 보정장치가 구비된 안전밸브
KR101912395B1 (ko) * 2018-03-08 2018-10-26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공정용 릴리프 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964B2 (en) * 1998-06-16 2004-04-27 Trw Lucasvarity Electric Steering Ltd. Relating to electrical power assisted steering
KR101178901B1 (ko) 2010-02-22 2012-08-31 주식회사 삼신 안전 방출 밸브
KR101574607B1 (ko) * 2014-07-14 2015-12-04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비압축성 유체 개폐밸브장치
KR101801085B1 (ko) * 2016-03-22 2017-12-20 캄텍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KR101912395B1 (ko) * 2018-03-08 2018-10-26 태광후지킨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공정용 릴리프 밸브
KR101892092B1 (ko) * 2018-04-23 2018-08-27 주식회사 와이엔브이 스프링 편심 보정장치가 구비된 안전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38A (ko) 2021-09-16 2023-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압력 안전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741A (en) Pressure reducing valve
US4130130A (en) Valve with variable secondary orifice
US4671485A (en) Solenoid-operated pilot valve with adjustable flow control
US6068014A (en) Pressure-reducing valve
JP2008309255A (ja) 逃がし弁
KR102208928B1 (ko) 디스크의 개폐 간격 조절이 용이한 안전밸브
US8167268B2 (en) Dual chamber orifice fitting plate support
EP0501328B1 (en) Fluid controller
TWI668324B (zh) Gas supply system
JP4667964B2 (ja) 流量調整弁
JPH04503703A (ja) ユニバーサル制御弁
EP1492972B1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improved repairability
US4365365A (en) Flush valve and means for mounting the same
JPH11153235A (ja) スムースベントバルブ
US3018797A (en) Valves
US1962740A (en) Pressure control device
US4226261A (en) Relief valve
US3754567A (en) Ball lock control valve
JP4255149B2 (ja) 給湯施設用の圧力逃し弁
KR101576523B1 (ko) 극 미세유량 조절밸브
JP2004225839A (ja) 流量調整弁及びその調整方法
US5161585A (en) Liquid filling apparatus having a biased gas pipe mounted for a small range of movement
JP5006701B2 (ja) 減圧弁
JPH0579570A (ja) 制御器
US2049663A (en) Fauc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