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161B1 -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 Google Patents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161B1
KR102208161B1 KR1020190079475A KR20190079475A KR102208161B1 KR 102208161 B1 KR102208161 B1 KR 102208161B1 KR 1020190079475 A KR1020190079475 A KR 1020190079475A KR 20190079475 A KR20190079475 A KR 20190079475A KR 102208161 B1 KR102208161 B1 KR 10220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ge
fishing net
net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549A (ko
Inventor
유진형
홍석남
윤창호
Original Assignee
홍진영어조합법인
유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진영어조합법인, 유진형 filed Critical 홍진영어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9007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1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두리를 수면에 띄울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원통 또는 각기둥 파이프구조로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주부력 프레임; 상기 주부력 프레임과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관 형태로 이루어져 파이프관 내부로 해수 주입에 따라 부력이 증감하여 수중에서 부상과 침하가 가능한 부침프레임; 상기 부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전개되어 양식어를 수용할 수 있는 가두리를 형성하는 가두리부로 이루어진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외해에서 가두리 양식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외해 양식의 양식어의 탈출, 손상, 폐사가 감소될 수 있고 적조, 태풍 등의 자연재해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본 발명은 어류 양식 가두리에 관한 것으로, 주 부력프레임과 부침식 프레임을 함께 구성하여 어류의 탈출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가두리망은 섬유재질의 1차어망과 황동재질의 2차어망으로 이루어져, 보다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에 관한 것이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어업과 수산양식업이 발달했다. 최근에는 수산자원의 고갈, 환경오염 등으로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어류 종묘의 확보, 치어 생산에서 양식방법 양식기자재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어종의 완전양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양식의 방법은 주로 연안해에 가두리를 설치하는 방법과 육지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연안해 가두리는 바닷가에서 여러 가지 재질의 그물로 도피 방지 시설을 만들어 어류를 양식하는 양식방법으로, 그물코를 통하여 가두리 안팎으로 물이 자유롭게 통과하므로, 물의 교환이 용이하고,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식 중의 대사노폐물을 별도로 제거 또는 분리할 필요가 없고, 많은 양의 어류를 길러도 가두리 내의 수질이 나빠지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 양성에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식에 필요한 기자재가 비교적 단순하고 설치가 쉬우며, 관리자와 가까운 곳에 설치되는 점에서 양식장의 관리가 용이한 편이다.
그러나, 최근 연안해의 가두리 양식 어가가 증가함에 따라 양식에 따른 폐기물 등이 쌓여 연안해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데다가 육지로부터 흘러나오는 오염수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적조나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속수무책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재해발생 여부에 따라 양식어가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육지양식방법은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고 양식환경을 완전히 컨트롤 할 수 있는 양식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사육수를 여과 살균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양식폐기물이 적은 친환경 양식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양식어에 필요한 사육수의 pH, 용존산소, 염도, 수온 및 질소/탄소 비 등을 양식어에 맞추어 정교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시설, 설비가 갖추어져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모되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으며, 양식어 생태적 특성상 양식대상 어종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자연환경을 이용하여 양식할 수 있으며 수질이 깨끗한 수역에서 양식할 수 있는 외해 양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외해 양식은 사람들의 왕래가 가의 없어 깨끗한 수질에서 양식어를 키울 수 있으며, 참다랑어 등 고급 회유성 어종의 양식가능성도 커져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서귀포시 표선면 앞바다에서 외해양식 시험어업을 통해 태풍에 안전한 어구 도입 및 양식 방법 등에 대한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고등어, 참돔 등의 양식에 나서고 있다. 특히, 돔류의 경우 수익률이 연안 가두리에 비해 4배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양식 어류의 생존율과 사료 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해에서의 양식은 육지의 지형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보호받는 연근해 양식과는 달리, 조류 또는 극심한 풍랑 등 자연 재해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외해 양식 중에는 자연환경과 지형 및 어종에 따라 가두리를 일정한 수심까지 위치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가두리가 일정 조건에서 부상하거나 침하할 수 있도록 개발된 부침식 가두리는 가두리를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과정이나, 가두리가 수면에 떠 있을 때, 또는 가두리가 수중에 있는 때 등의 모든 조건에서 가두리의 형태 및 장치 자체를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가두리의 부침 과정에서 양식어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가두리 그물 상부에 천장망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외해 양식의 대상어종이 되는 고등어, 참다랑어 등의 고등어과 어종들은 외양성 고도 회유종으로, 수만 킬로미터를 유영하며 유영속도가 평균 시속 60 킬로미터에 달하며, 순간 최대 시속 160 킬로미터까지 헤엄칠 수 있기 때문에 그물에 닿는 기회가 많을수록 그물과 충돌하여 상처를 입거나 폐사하는 일이 많아진다.
외해 가두리가 수장중에는 상부를 열어놓는 경우가 많으나, 침하시키는 경우, 양식어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장망이 필요하며, 침하과정에서 양식어가 천장망에 닿아 손해가 일어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통상적인 가두리망은 섬유어망으로 형성되어 부착생물로 인한 가두리 내 양식생물의 질병발생율 및 폐사율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하락하고, 시간에 따라 내구성이 감소하여 가두리 시설물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두리 시설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35125호에서는 물고기를 기르는 가두리 그물망과; 상기 가두리 그물망의 상단의 형을 유지시키는 상부림과, 가두리 그물망의 하단의 형을 유지시키는 하부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두리 그물망을 수면이나 수중에 띄우면서 일정한 형을 유지시키는 뜸틀부; 및 정역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드럼 상에 상기 뜸틀부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설 및 해권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가두리 그물망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수중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이동이 가능한 외해 가두리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6120호에서는 어류를 가둘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가두리망과, 상기 가두리망의 상단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에어의 공급 및 배출동작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며 부력을 발생시키는 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둘레면에는 상기 튜브의 수축 및 팽창동작에 따라 상부프레임의 내부 공간부로 해수를 유입 및 배출시키는 다수개의 통과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해용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663호에서는 프레임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에 설치되며 양식동물을 양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두리유닛과, 상기 프레임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유닛 및 가두리유닛을 수중으로 가라 앉히거나 수면을 향해 부상시킬 수 있도록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조절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부력조절유닛은 부력조절을 위해 내부에 물 또는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충진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수면 위로 연장되는 공기전력호스와 연결되는 공기홀이 형성된 부력조절파이프와, 상기 부력조절파이프에 설치되며 상기 충진공 간으로 물을 유입시키거나 충진공간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중펌프를 구비하는 부침식 양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5403호에서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무게추를 매달 수 있게 구성되고, 그물망의 하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림(rim); 상기 그물망의 상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수평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일정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의 밀폐공간부가 형성된 상부림;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하부림과 상부림 사이에 부착되고, 적어도 상면은 닫혀지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공기 또는 해수가 채워질 수 있게 구성되는 복수의 부력조절 파이프; 및 상기 부력조절 파이프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조절 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는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섬유어망으로 형성되어 부착생물로 인한 가두리 내 양식생물의 질병발생율 및 폐사율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하락하고, 시간에 따라 내구성이 감소하여 가두리 시설물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 부력프레임과 부침식 프레임을 함께 구성하여 어류의 탈출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가두리망은 섬유재질의 1차어망과 황동재질의 2차어망으로 이루어져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은 가두리를 수면에 띄울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원통 또는 각기둥 파이프구조로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주부력 프레임; 상기 주부력 프레임과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관 형태로 이루어져 파이프관 내부로 해수 주입에 따라 부력이 증감하여 수중에서 부상과 침하가 가능한 부침프레임; 상기 부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전개되어 양식어를 수용할 수 있는 가두리를 형성하는 가두리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주부력 프레임은 외부 주부력프레임과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내부 주부력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주부력 프레임은 상기 외부 주부력 프레임 내부 중앙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및 내부 주부력프레임은 L자형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 및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부력 프레임에는 일정 두께로 하부에는 두 반원의 함입부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측단면 구조는 T형을 이루며, 상기 함입부는 외부 주부력 프레임 및 내부 주부력 프레임 상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보조 부력제가 더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침 프레임은 흡배기 및 흡배수가 가능한 밸브를 부착하여 부침을 조절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가두리부는 부침프레임과 상부가 연결되고 섬유망 재질로 형성되는 1차어망과 상기 1차어망 하부와 연결되고 황동어망 재질로 형성되는 측면망과 바닥망으로 구성되는 2차어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해에서 가두리 양식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외해 양식의 양식어의 탈출, 손상, 폐사가 감소될 수 있고 적조, 태풍 등의 자연재해를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부력프레임 및 부침프레임의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부력프레임 및 부침프레임의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부력 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 부력제를 나타낸다.
도 6은 보조 부력제가 주부력 프레임에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보조 부력제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8은 보조 부력제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보조 부력제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부침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1은 부침프레임 측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부침프레임의 부상 및 침하 원리를 나타낸다.
도 13 은 본 발명의 가두리부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가두리부를 나타낸다.
도 15는 1차 어망 이송문을 나타낸다.
도 16은 2차 어망 연결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두리를 수면에 띄울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원통 또는 각기둥 파이프구조로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주부력 프레임(100); 상기 주부력 프레임과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관 형태로 이루어져 파이프관 내부로 해수 주입에 따라 부력이 증감하여 수중에서 부상과 침하가 가능한 부침프레임(110); 상기 부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전개되어 양식어를 수용할 수 있는 가두리를 형성하는 가두리부(200)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주부력프레임 및 부침프레임의 평면도 및 사시도를 나타낸다. 주부력 프레임(1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앙 공간에는 부침프레임이 설치되며, 부침 프레임(110) 중앙 공간에는 양식어를 수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부력 프레임의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를 나타낸다. 주부력 프레임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외부 주부력프레임과, 상기 외부 주부력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내부 주부력프레임이 원형 또는 다각형 내부 공간에 일정공간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외부 및 내부 주부력프레임은 브라켓(112)을 매개로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은 L자형 구조로 수평 하단 측면에는 상기 외부 및 내부 주부력 프레임이 끼움 고정될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수직 상단 측면에는 난간프레임(111)은 끼움 고정될 수 있는 고정공이 형성될 수 있다. 난간 프레임(111)은 내부 주부력 프레임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 주부력 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는 난간프레임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작업을 돕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주부력 프레임의 역할은 가두리 양식장치를 수면 위에 띄우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부이 등을 연결하지 않아도 가두리가 수면에서 부상상태를 유지하도록 가두리의 프레임 자체가 부력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주부력 프레임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여기에 공기를 채워 부력을 형성한다. 또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부식이 거의 없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형태 또한,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부력프레임상에 형성되는 보조 부력제를 나타내고, 도 6은 보조 부력제가 주부력 프레임에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보조 부력제(113)는 일정두께로 하부에는 두 반원의 함입부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측단면 구조는 T형를 이룬다. 또한, 보조 부력제의 상측면에는 T홈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보조 부력제를 로프 형상의 연결장치를 매개로 고정이 가능하다.
보조 부력제의 합입부는 외부 및 내부 주부력 프레임 상단부에 끼워져 거치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함입부 사이의 돌출부는 외부 및 내부 주부력 프레임의 이격공간에 끼워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 부력제는 주부력 프레임 하단부에 역방향으로 추가적으로 끼움 고정이 가능함으로 주부력 프레임 상단 및 하단 양 방향에 설치하여 한정적인 공간에 다수개의 보조 부력제 설치가 가능하다. 보조 부력제 내부에는 공기가 주입되고, 하나 이상 주부력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부력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은 물론, 다수개 설치로 발판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수표상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부력제는 크기 않은 부피와 보다 단순한 구조로 설치와 보관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주부력 프레임의 외부 주부력 프레임은 외경 400mm의 HDPE 파이프이고 내경이 각각 25.9M와 27.5M인 두 개의 원환체인 외부 및 내부 주부력 프레임을 설치하고, 동심을 일치시킨 두 개의 프레임을 'L' 형태의 PE재질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연결하며, 브라켓 기둥 상단에는 외경 110mm의 HDPE 재질로 형성된 난간프레임을 삽입하여 난간을 구성하였다. 또한, 내측 400mm HDPE 파이프에 등간격의 보조부력제 10개를 부착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보조 부력제는 반지름 205mm의 두 반원을 가지는 T 형태의 발판으로 가로 1,227mm, 세로 400mm, 높이 305mm의 크기로 형성되었다.
도 7은 보조 부력제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도 7에 따른 보조 부력제는 전, 후면 어느 한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형성된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좌,우 나란하게 돌기와 수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보조 부력제는 상측면에 형성된 T홈에 로프 형상의 연결고정은 보조 부력제의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보조 부력제는 상기 돌기 및 수용홈의 결합으로 고정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보조 부력제의 실시예 2를 나타내고,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보조 부력제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2에 따른 보조 부력제는 상측면은 음각의 복수개 홈 및 십자 홈이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를 방지할 수 있고 상단과 하단의 보조 부력제는 볼트 고정을 매개로 고정이 된다.
도 10은 부침프레임을 나타낸다. 부침프레임(110)은 주부력 프레임 중앙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원환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는 2중 구조로 형성된다. 부침프레임은 주부력프레임 및 가두리부와 고정로프를 매개로 연결 고정된다.
도 11은 부침프레임 측면을 나타낸다. 주부력 프레임 어느 한 측면에는 공기주입밸브(101) 및 물 배출밸브(10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부침 프레임은 공기 주입 및 배출 또는 물 배출에 따라 도 12에 따라 부상 및 침하가 가능하다. 상기 부상 및 침하는 상세하게는 부침 프레임 내부에 공기를 채워 부상형으로 위치할 때는 1차 어망이 접혀져 있고, 반대로 내부에 물을 채워 침하형으로 하는 경우 1차 어망이 전개되면서 가두리부의 깊이를 깊게 하고 양식어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가두리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두리부(200)는 원통형의 망사로 상기 부침 프레임과 연결되고 섬유 재질로 형성되는 1차 어망(210), 상기 1차어망의 원통 하부측과 연결되고 황동 재질로 형성되는 2차 어망(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두리부의 바닥은 편평한 형태로 전체적인 형상은 바닥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원발명과 대비되는 해외의 선행 발명의 일반적인 가두리 형상은 원형의 토기 모양으로 이루어져, 어망의 하부로 갈수록 주름이 커지는 구조로, 바닥의 뭉쳐진 부분의 하중이 증가하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어류의 서식 공간이 줄어들고, 공간확보를 위한 가두리 어망의 높이가 길어져 재료의 낭비가 발생한다(도 13의 (b) 참조)
도 14는 본 발명의 가두리 바닥부를 나타낸다. 본원발명의 가두리 어망 하부의 형상 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차어망과 바닥망이 연결되는 부분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 70mm직경의 환봉을 원형 프레임으로 제작하고, 측면망 하부와 바닥망이 연결되는 테두리에 결착하였다. 프레임과 황동어망 테두리의 직접 연결 시 발생할 수 있는 어망의 파손을 막기 위해 직경 약32mm의 연결 로프를 사용하여 환봉의 운동에 따른 충격과 장력의 크기를 완화시켰다.
1차 어망은 섬유재질로 형성되어 부침프레임의 부상과 침하에 따라 유연하게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한다. 1차 어망은 2차 어망과 재질이 달리함으로써 2차 어망이 수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2차 어망은 황동 재질로 형성되어 수면의 공기 중에 노출되면 부식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황동재질은 본 발명에서 개발된 황동재질로 다음과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황동 재질의 조성비율
화학성분 구리Cu 아연Zn 주석Sn 인P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
% 65.3 33.45 0.75 0.05 0.12 0.07 0.23
황동어망의 소재개발을 위해서 소재 합금설계 및 특성 평가 진행한 결과, 상기 구성비율이 인장강도 5%미만 향상되어 압출 가공시 강도 향상 기대된다. 내식특성은 Cr, Co를 함께 첨가한 경우에 부식저항 향상되었고 마모특성은 Cr 함량이 0.1% 이상에서 내마모성 향상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내식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상기 조성물로 선정하였다.
도 15는 1차어망 이송문을 나타낸다. 가두리 시설로부터 길러낸 어류의 입식 및 출하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어망을 들어 어류를 한곳으로 모은 후 수확하거나, 부력프레임으로부터 어망 상부를 탈착시켜 이송용 가두리로 옮기는 작업을 한다. 황동어망은 금속재료의 특성상 일반적인 가두리 수확방법을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물 측면에 잠수부가 출입 가능한 크기 정도의 게이트를 만들고, 이를 통해 어류의 이송 및 출하, 작업자의 출입이 이루어진다. 이송문은 1차 어망 어느 한 측면에는 1차어망 내외부로 양식생물 및 작업자의 이동 및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문은 나일론 재질론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이송문은 2차 어망 상부로부터 1.2m 내지 2m 크기로 형성되어 가두리 시설로부터 길러낸 어류의 입식 및 출하가 용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2차 어망(220)은 황동 재질로 형성된 다각 판 형상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되는 측면망과, 바닥망으로 구성되어 원통구조를 이룬다. 상기 측면망과 바닥망 연결부에는 하부 프레임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은 폴리 에틸렌 재질의 림구조로 2차 어망이 외력에 의해 굽힘 현상 및 변형에 따른 파손방지와 형상 유지가 가능하다. 2차 어망의 망목은 체인 링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2차 어망 연결 형태를 나타낸다. 좌측은 상부와 하부가 황동선으로 보강된 경우이고, 우측은 황동선을 사용한 연결부위에 UHMWPE 로프를 항치기하여 보강한 경우를 나타낸다. 국내에서 생산 가능한 체인 링크형 황동어망의 깊이방향 직조 길이는 약 6m 이내로, 본 발명의 측면망 설계 깊이인 10m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연결이 필요하다. 2차 어망의 연결은 단일의 2차 어망과 타 2차 어망의 연결부위를 겹치도록 하고 망목에 황동선(221)을 수직방향으로 끼움 고정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어망을 연결 고정한다. 우선 연결이 필요한 두 어망의 가장자리 그물코에 힘줄 역할의 황동선을 삽입하고, 두 어망을 2코 이상 겹쳐 서로의 힘줄과 겹쳐진 그물코를 황동선으로 감아준다. 가장자리 힘줄용으로 직경 Ø50의 황동선(221)을 사용하고, 연결용으로 직경 Ø30의 황동선을 사용한다. 또한, 삽입된 어망과 황동선을 추가적으로 로프로 고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황동어망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바닥에 펼친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2회이상 반복해서 감아주며, 한번 감겨 변형된 황동선은 풀어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작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바닥망 또한 각 레이어별 망목을 겹쳐 직경 Ø30의 황동선으로 연결한다. 직경 Ø30의 연결용 황동선은 어망에 사용된 황동선보다 가늘어 수중 부설시 황동어망의 무게에 의해 인장력이 증가하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 및 인장력에 의해 직경이 감소하여 연결부위의 파손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동선을 사용한 연결부위에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로프를 항치기로 추가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황동선은 단일의 2차어망 높이로 형성되어 연결하고자 하는 2차 어망의 겹쳐진 측면부의 망목에 수직으로 관통 고정됨으로 2중 결속으로 내구성이 증가됨은 물론, 파랑에 의한 충격강도가 감소될뿐만 아니라 황동선 제작에 따른 부가 제작비 소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깨끗한 외해 양식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외해 양식의 양식어의 탈출, 손상, 폐사를 감소시키며 가두리 양식 시설이 내구성이 강화되어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양식이 가능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주부력 프레임 101: 공기주입밸브
102: 물 배출밸브 111: 난간프레임
112: 브라켓 113: 보조 부력제
110: 부침 프레임 200: 가두리부
210: 1차 어망 211: 이송문
220: 2차 어망 221: 황동선
225 : UHMWPE 로프

Claims (2)

  1. 가두리를 수면에 띄울 수 있는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원통 파이프구조로 형성되는 주부력 프레임; 상기 주부력 프레임과 로프를 매개로 연결되고 원형 파이프관 형태로 이루어져 파이프관 내부로 해수 주입에 따라 부력이 증감하여 수중에서 부상과 침하가 가능한 부침프레임; 상기 부침프레임 하부에 연결되어 하부로 전개되어 양식어를 수용할 수 있는 가두리를 형성하는 가두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부력 프레임은 외부 주부력프레임과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내부 주부력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주부력 프레임은 상기 외부 주부력 프레임 내부 중앙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및 내부 주부력프레임은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 고정되는 가두리 양식시설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부는 부침프레임과 상부가 연결되고 섬유망 재질로 형성되는 1차어망과 상기 1차어망 하부와 연결되고 황동어망 재질로 형성되는 측면망과 바닥망으로 구성되는 2차어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어망의 어느 한 면에는 1차 어망 내외부로 양식생물 및 작업자의 이동과 출입이 가능한 이송문이 형성되고;
    상기 2차어망의 황동어망 재질은 크롬과 코발트가 함께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2. 삭제
KR1020190079475A 2019-07-02 2019-07-02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KR10220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75A KR102208161B1 (ko) 2019-07-02 2019-07-02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475A KR102208161B1 (ko) 2019-07-02 2019-07-02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549A KR20210003549A (ko) 2021-01-12
KR102208161B1 true KR102208161B1 (ko) 2021-01-27

Family

ID=7412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475A KR102208161B1 (ko) 2019-07-02 2019-07-02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474A (ko)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이러한 배터리 팩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3632758B (zh) * 2021-02-24 2023-09-26 福建省水产研究所(福建水产病害防治中心) 一种浮力调控升降式养殖沉箱及其作业方法
CN113040078A (zh) * 2021-03-18 2021-06-29 美钻能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浮力调节式海洋养殖网箱
CN219762238U (zh) * 2021-03-26 2023-09-29 崔文亮 一种可组合升降式网箱
KR102419614B1 (ko) 2021-07-27 2022-07-11 이지목 인공지능 딥러닝을 이용한 양식시설 제공방법
CN115136917B (zh) * 2022-06-01 2024-01-26 北京万远科技有限公司 一种助浮系统
CN115281130B (zh) * 2022-07-05 2024-04-09 北京万远科技有限公司 一种网箱系统
CN117530209B (zh) * 2023-11-23 2024-06-07 华中农业大学 大水面囤鱼吊水系统及其暂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178A (ja) * 2000-01-12 2001-07-17 Ashimori Ind Co Ltd 生け簀
US20170231206A1 (en) 2014-08-21 2017-08-17 Chun Sun PARK Fish tra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20B1 (ko) 2007-06-29 2008-01-21 문창영 외해용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KR100925403B1 (ko) 2009-03-31 2009-11-09 김동주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
JP5739047B1 (ja) * 2014-08-12 2015-06-24 トワロン株式会社 生物忌避性多層樹脂被覆金属線とそれからなる漁網
KR101626663B1 (ko) 2014-08-19 2016-06-13 임정석 부침식 양식장치
KR102146159B1 (ko) * 2018-07-19 2020-08-21 대양시스텍(주)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178A (ja) * 2000-01-12 2001-07-17 Ashimori Ind Co Ltd 生け簀
US20170231206A1 (en) 2014-08-21 2017-08-17 Chun Sun PARK Fish 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549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161B1 (ko) 친환경 황동어망을 갖는 가두리 양식시설
JP4464389B2 (ja) 水没可能囲い網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EP2787806B1 (en)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buoyancy system
KR101999071B1 (ko) 동합금을 이용한 전복 가두리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143579U (zh) 一种深远海养殖用抗风浪浮台式超大型围网
JP2008518604A (ja) 魚の養殖漁業のための生け簀
KR20080088200A (ko)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
EP2925597B1 (en) A shark barrier
KR101845500B1 (ko) 잠수형 가두리장치
CN109984070A (zh) 一种玄武岩纤维制可分流升降内置仿礁石深海养殖网箱
CN102293168B (zh) 单浮管可潜浮式集约化海珍品养殖装置
CN2377833Y (zh) 深海潜网网箱
Kumar et al. Engineering consideration for cage aquaculture
CN216164458U (zh) 一种深海养殖装备用柔性浮台结构
DE102016003239B4 (de) Senkrecht versenkbarer mobiler Fischkäfig für einen Einsatz im offenen Meer (off-shore) und in Küsten-/ Uferbereichen (on-shore)
KR102033555B1 (ko) 방오 특성이 개선된 오탁방지막
Bridger et al. Physical containment approaches to mitigate potential escape of European-origin Atlantic salmon in south coast Newfoundland aquaculture operations
WO2007131600A1 (en) An aquaculture pen with energy absorbing connections
CN214546578U (zh) 一种集群式深海网箱
CN217337023U (zh) 一种六边形沉底式海参养殖装置
KR0122774Y1 (ko) 폐타이어 어초
Olivares et al. Design of a cage culture system for farming in Mexico
Schotte et al. Development of a stock protection system for flexible oceanic pens containing finfish
KR20240113118A (ko) 양식장 및 어장 관리용 다목적 부침식 가두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