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007B1 -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007B1
KR102208007B1 KR1020190053186A KR20190053186A KR102208007B1 KR 102208007 B1 KR102208007 B1 KR 102208007B1 KR 1020190053186 A KR1020190053186 A KR 1020190053186A KR 20190053186 A KR20190053186 A KR 20190053186A KR 102208007 B1 KR102208007 B1 KR 10220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pisode
recording
selection signal
mi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8954A (ko
Inventor
한윤선
김민정
박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Priority to KR102019005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00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버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에 따라,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을 회차순으로 나열하여 누락된 회차를 검출하고, 상기 누락된 회차를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CONTENT ASSOCIATION METHOD AND SYSTEM HAVING MULTIPLE ATTRIBUTES}
본 발명은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녹화된 콘텐츠를 나열 및 재생하는 과정에서 시리즈로 이루어진 콘텐츠일 경우 녹화되지 않은 콘텐츠들을 실시간 방송 또는 VOD 등, 다른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로 연계시켜 주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콘텐츠 연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따라, 방송사로부터 일방적으로 방송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방송 시스템을 대신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들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시스템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개별 콘텐츠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지만, 콘텐츠가 여러 회차로 제작된 시리즈물의 경우, 이를 감상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바 사용자에게 부담이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채널 또는 콘텐츠를 녹화할 수 있는 녹화 서비스가 개시되었으며, 시청자는 콘텐츠를 녹화물,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속성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VOD 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제공하는 서비스 별로 콘텐츠들을 분리하는 바, 사용자들은 각각의 서비스 목록으로 진입하여 콘텐츠를 개별 선택하고 재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녹화물로 소장된 콘텐츠가 시리즈물일 경우, 녹화되지 못한 회차들을 감상하기 위해 녹화물 목록에서 벗어나 실시간 방송 또는 VOD 목록에서 해당 콘텐츠를 검색하여, 해당 회차를 선택한 후 감상이 가능하기 때문에, 콘텐츠 감상 흐름이 끊기게 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해당 콘텐츠를 단절이 없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며,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미국등록특허 9124946호(2015.09.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녹화물, 실시간 방송, VOD 콘텐츠 목록 등 진입한 목록에서 이탈하지 않고, 현재 화면에서 이전 또는 다음 회차의 콘텐츠를 이어서 감상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녹화물 목록에서 시리즈물로 제작된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녹화 여부를 확인하여, 누락되거나 정상적으로 녹화되지 않는 회차의 경우, 가상의 녹화물 목록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콘텐츠 연계 서버가 콘텐츠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에 따라,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을 회차순으로 나열하여 누락된 회차를 검출하고, 상기 누락된 회차를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상의 녹화물 회차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 상기 누락된 회차를 녹화 가능한 채널/시간 정보 및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시청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 중 하나의 녹화물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녹화물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녹화물의 다음 회차가 누락된 회차인 경우,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 지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까지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색되었다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에 상기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색되었다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채널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 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누락된 회차를 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에 상기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와 함께 상기 누락된 회차의 예약 녹화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버가 콘텐츠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콘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속성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속성 목록 중 하나의 속성 목록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속성 목록에 해당하는 콘텐츠 중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콘텐츠의 이전 또는 다음 회차를 시청 가능한 콘텐츠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속성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녹화물, 실시간 방송 채널 및 VO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콘텐츠의 마지막 회차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에 따라,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을 회차순으로 나열하여 누락된 회차를 검출하고, 상기 누락된 회차를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버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콘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속성 목록을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복수 개의 속성 목록 중 하나의 속성 목록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속성 목록에 해당하는 콘텐츠 중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의 이전 또는 다음 회차의 콘텐츠를 현재 화면 내에서 다양한 속성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진입한 목록에서 이탈하지 않고 콘텐츠를 이어서 감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녹화물 목록에서 시리즈물로 제작된 콘텐츠를 그룹화하고, 누락된 회차가 있는 경우, 이를 감상할 수 있는 다양한 속성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여 감상하는 VOD 콘텐츠에서 이전 또는 다음 회차의 콘텐츠가 녹화되어 있는 콘텐츠인 경우, 해당 녹화물 콘텐츠를 안내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을 위한 비용을 절약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텐츠의 속성에 초점을 두지 않고, 사용자가 시청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콘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단절이 없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콘텐츠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버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녹화물 목록을 제공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VOD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S330 단계 이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녹화물 재생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VOD 목록에서 녹화물 목록을 연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화면에서 VOD 목록으로 연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서버"는 네트워크, 보다 자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앙 처리 장치를 의미하며,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당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포함하는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프로세서(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 메모리(30), 스토리지(4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데이터 버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는 콘텐츠 연계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e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형태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매자의 신용 등급 평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콘텐츠 연계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며, 그 밖의 공지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는 그에 따른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스토리지(4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을 로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메모리(30)의 하나로 RAM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저장 매체를 메모리(30)로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토리지(4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1) 및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42)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41)의 하나로 부정맥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도시되었다.
이러한 스토리지(4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41)은 메모리(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에 의해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S110), 상기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에 따라,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오퍼레이션(S120) 및 상기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을 회차순으로 나열하여 누락된 회차를 검출하고, 상기 누락된 회차를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오퍼레이션(S13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41)은 메모리(30)에 로드되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에 의해 콘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속성 목록을 출력하는 오퍼레이션(S210), 상기 복수 개의 속성 목록 중 하나의 속성 목록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속성 목록에 해당하는 콘텐츠 중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S220) 및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S230)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언급한 컴퓨터 프로그램(41)이 수행하는 오퍼레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41)의 일 기능으로 볼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제1 실시 예는 콘텐츠를 녹화한 녹화물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연계하는 방법이며, 사용자는 소지한 셋톱 박스(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를 통해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제공하는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 및 그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어느 한 단계가 다른 단계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310).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를 처음 실행한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 VOD 및 콘텐츠의 녹화물 중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체 서비스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중 '녹화물' 목록 또는 '녹화 보관함' 목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S310 단계 이후에,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에 따라,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 기준으로 그룹화하고(S320),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을 회차순으로 나열하여 누락된 회차를 검출한 후, 누락된 회차를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한다(S330).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녹화물 목록을 제공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VOD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녹화된 시점, 즉 녹화 날짜에 관계 없이, 복수의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를 기준으로 그룹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콘텐츠의 기준은 콘텐츠의 제목, 콘텐츠의 시즌, 콘텐츠를 방송하는 채널, 콘텐츠 제작사, 콘텐츠의 유형(예. 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항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동일 콘텐츠를 회차순으로 나열한 후, 누락된 회차를 A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녹화물' 목록에서 실제로 녹화된 '녹화물 회차(B 영역)'와 함께 녹화되지 않은 '가상의 녹화물 회차'를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으며, '녹화물 회차' 항목에는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가상의 녹화물 회차' 항목에서는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속성(예. VOD 보기)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가상의 녹화물 회차'를 선택한 경우,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 누락된 회차를 녹화 가능한 채널/시간 정보 및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시청 선택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VOD 서비스 정보를 선택할 경우, 누락된 회차를 VOD로 감상할 수 있는 화면이 도 4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OD 서비스 정보에는 콘텐츠 회차 정보, 콘텐츠 이용 비용과 함께 녹화물로 소지하고 있는 회차에 대해서는 별도의 표시가 지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녹화된 녹화물들을 단순히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녹화되지 않은 회차를 감상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녹화물' 항목 내에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녹화되지 않은 회차를 감상하기 위해 현재 서비스 목록을 이탈하고, 또 다른 서비스 목록으로 진입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S330 단계 이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녹화물 재생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 중 하나의 녹화물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녹화물을 재생한다(S340). 다시 말해서, '녹화물' 목록에 진입한 사용자가 녹화된 회차 중 하나의 회차를 선택하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S340 단계 이후에,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해당 녹화물의 다음 회차가 누락된 회차인 경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350).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녹화물을 재생하는 동안 다음 회차가 녹화물로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녹화물로 존재할 경우 다음 녹화물을 이어서 재생하고, 녹화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 회차를 감상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누락된 회차를 즉시 감상할 수 있는 VOD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가 누락된 회차에 대해 비용을 들이지 않고 감상할 수 있는 방법을 검색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까지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을 검색해 볼 수 있어, 사용자가 콘텐츠 감상에 소비하는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S350 단계에서의 검색에 따라,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색되었다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에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다(S350-1, NO).
즉, 도 6과 같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 이전에, '녹화된 다음 회차가 없습니다', 'VOD 로 구매하여 이어서 시청하시겠습니까?'와 같은 VOD 서비스 정보 안내 문구(61)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VOD로 이어서 시청하기를 선택할 경우, 도 4와 같은 VOD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S350 단계에서의 검색에 따라,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색되었다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해당 채널에서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 내인지 판단한다(S360, YES). 예를 들어,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각이 22시 00분일 경우,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검색된 채널에서 누락된 회차를 방영하는 시각이 사용자가 설정한 10분 이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시리즈물로 제작된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감상하는데 있어서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은 5분, 10분 등 콘텐츠 시청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S360 단계에서의 판단에 따라,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 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 정보를 출력하고(S360-1, YES), 누락된 회차를 녹화한다(S370).
예를 들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C채널 22시 5분 오늘의 탐정 11화를 이어서 감상하시겠습니까?', '10분 후 C 채널 오늘의 탐정 11화를 이어서 감상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실시간 방송 정보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C채널 22시 5분 오늘의 탐정 11화를 녹화하시겠습니까?'와 같은 예약 녹화 정보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단계는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이 아니더라도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어, 사용자가 언제든지 원하는 속성(예. VOD, 실시간 방송)으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반면, S360 단계에서의 판단에 따라,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에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와 함께 누락된 회차의 예약 녹화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다(S360-2, NO).
예를 들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이어서 시청 가능한 채널이 없습니다.', 'C채널 오늘의 탐정 11화를 녹화하시겠습니까?'와 같은 VOD 서비스 정보 및 예약 녹화 서비스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콘텐츠 시청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시리즈물로 제작된 콘텐츠를 끊김없이 감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녹화된 녹화물들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누락된 회차를 이어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감소하여, 사용자 시청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은 녹화물뿐만 아니라 실시간 방송, VOD 기준으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으로서,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사용자가 소지한 셋톱 박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제공하는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 및 그에 따른 콘텐츠 연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어느 한 단계가 다른 단계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콘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속성 목록을 출력한다(S410). 여기서, 복수 개의 속성은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실시간 방송, VOD 및 녹화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 진입 시 최초의 화면으로 각 속성에 해당하는 서비스 목록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S410 단계 이후에,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복수 개의 속성 목록 중 하나의 속성 목록을 선택 받고, 선택된 속성 목록에 해당하는 콘텐츠 중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420). 예를 들어,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실시간 방송 서비스' 속성 목록을 선택 받은 경우,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에 방송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VOD' 속성 목록을 선택 받은 경우, VOD로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 하나의 콘텐츠, 더 나아가 하나의 회차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녹화물' 속성 목록을 선택 받은 경우, 녹화물 목록에서 하나의 녹화물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 즉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을 지불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실시간 방송 서비스' 속성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라, 'VOD', '녹화물' 속성의 경우 사용자의 구매 이력에 따라 해당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S420 단계 이후에,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선택 신호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재생하고, 콘텐츠의 시리즈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430). 여기서, 시리즈의 존재 여부는 콘텐츠의 제목, 콘텐츠를 방송하는 채널, 콘텐츠의 제작사, 콘텐츠의 유형(예. 드라마, 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항목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현재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된 직후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의 판단에 따라, 콘텐츠의 시리즈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콘텐츠의 이전 또는 다음 회차를 시청 가능한 콘텐츠 속성 정보를 출력한다(S440, YES). 여기서, 콘텐츠 속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녹화물, 실시간 방송 채널 및 VO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에 따라 시청 가능한 속성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아울러, 이전 또는 다음 회차는 시즌 별로 제작된 콘텐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가 시즌 1의 마지막화일 경우, 다음 회차는 시즌 2의 첫 번째 화가 될 수 있다.
한편,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회차에 따라 콘텐츠 연계 서버(100)가 제공하는 이전 또는 다음 회차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가 가장 최근에 방영된 마지막 회차일 경우, 첫 번째 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에피소드가 묶인 하나의 콘텐츠일 경우, 에피소드의 시작 회차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VOD 목록에서 녹화물 목록을 연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화면에서 VOD 목록으로 연계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VOD' 목록을 선택하고,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해당 콘텐츠를 구매 후 바로 시청할 수 있는 회차(81)와 함께 해당 콘텐츠의 녹화물 목록(83)이 서비스 화면 하단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기 전, 녹화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비용을 절약시켜 줄 수 있다.
아울러,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실시간 방송' 목록을 선택하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해당 콘텐츠의 또 다른 회차를 시청하고 싶은 경우 서비스 화면 하단에 해당 콘텐츠의 회차 별 시청 가능한 속성 정보(91)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청 중인 콘텐츠의 회차가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해당 콘텐츠의 회차 별 서비스 이용 정보(예. 1화 녹화물, 2화 녹화물, 14화 B 채널 방송 중, 15화 VOD 1,500원)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S430 단계에서의 판단에 따라, 콘텐츠의 시리즈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콘텐츠의 마지막 회차 알림을 출력한다(S450, NO).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연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 연계 서버(100)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의 이전 또는 다음 회차의 콘텐츠를 현재 화면 내에서 다양한 속성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진입한 목록에서 이탈하지 않고 콘텐츠를 이어서 감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콘텐츠 연계 서버
10: 프로세서
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 메모리
40: 스토리지
50: 데이터 버스

Claims (15)

  1. 콘텐츠 연계 서버가 콘텐츠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에 따라,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을 회차순으로 나열하여 누락된 회차를 검출하고, 상기 누락된 회차를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 중 하나의 녹화물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녹화물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녹화물의 다음 회차가 누락된 회차인 경우,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 지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까지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상의 녹화물 회차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 상기 누락된 회차를 녹화 가능한 채널/시간 정보 및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시청 선택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색되었다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에 상기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색되었다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채널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 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 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누락된 회차를 녹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누락된 회차의 방송 시각이 기 설정된 재생 시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에 상기 누락된 회차의 VOD 서비스 정보와 함께 상기 누락된 회차의 예약 녹화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9. 콘텐츠 연계 서버가 콘텐츠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콘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속성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복수 개의 속성 목록 중 하나의 속성 목록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속성 목록에 해당하는 콘텐츠 중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연계 서버가, 상기 콘텐츠가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콘텐츠의 이전 또는 다음 회차를 시청 가능한 콘텐츠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 받은 하나의 속성 목록이 VOD이고, 선택된 VOD 속성에 해당하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콘텐츠를 구매 후 바로 시청할 수 있는 회차와 함께 해당 콘텐츠의 녹화물 목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속성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녹화물, 실시간 방송 채널 및 VO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콘텐츠 시청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콘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면,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콘텐츠의 마지막 회차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1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녹화물 목록 선택 신호에 따라, 녹화물들을 동일 콘텐츠 기준으로 그룹화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을 회차순으로 나열하여 누락된 회차를 검출하고, 상기 누락된 회차를 가상의 녹화물 회차로 변환하여 상기 녹화물들과 함께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그룹화한 동일 콘텐츠의 녹화물들 중 하나의 녹화물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녹화물을 재생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해당 녹화물의 다음 회차가 누락된 회차인 경우, 상기 누락된 회차를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오퍼레이션;
    를 포함하고,
    상기 시청 가능한 채널이 존재하는지 검색하는 오퍼레이션은
    상기 해당 녹화물의 재생이 종료되는 소정 시점 이전까지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연계 방법.
  1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대용량 네트워크 데이터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콘텐츠에 대한 복수 개의 속성 목록을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복수 개의 속성 목록 중 하나의 속성 목록을 선택 받고, 상기 선택된 속성 목록에 해당하는 콘텐츠 중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오퍼레이션;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콘텐츠의 시리즈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콘텐츠가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콘텐츠의 이전 또는 다음 회차를 시청 가능한 콘텐츠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및
    상기 선택 받은 하나의 속성 목록이 VOD이고, 선택된 VOD 속성에 해당하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콘텐츠를 구매 후 바로 시청할 수 있는 회차와 함께 해당 콘텐츠의 녹화물 목록을 출력하는 오퍼레이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연계 서버.
KR1020190053186A 2019-05-07 2019-05-07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KR10220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86A KR102208007B1 (ko) 2019-05-07 2019-05-07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86A KR102208007B1 (ko) 2019-05-07 2019-05-07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54A KR20200128954A (ko) 2020-11-17
KR102208007B1 true KR102208007B1 (ko) 2021-01-26

Family

ID=7364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86A KR102208007B1 (ko) 2019-05-07 2019-05-07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0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6871B2 (ja) * 2008-04-30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録画装置、録画状況検出方法、番組配信録画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094553B1 (ko) * 2009-10-01 2011-12-19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실시간 방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9124946B1 (en) 2014-09-24 2015-09-01 Microseven Systems, Llc. Plug and play method and system of viewing live and recorded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954A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9210B (zh) 再现用于存储提供增强的搜索功能的元数据的存储介质的装置和方法
US11843648B2 (en) Identifying insertion points for inserting live content into a continuous content stream
JP4247638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4081099B2 (ja) 番組選択装置、番組録画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1003331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dexing on-demand video content in a cable system
US20080109415A1 (en) Preference extracting apparatus, preference extracting method and preference extracting program
JP5135024B2 (ja) コンテンツのシーン出現を通知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300253A1 (en) Selecting equipment for audio-visual content
US202202951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Media Channels
JP2008193585A (ja) 放送番組記録再生装置および放送番組記録再生方法
JP4083179B2 (ja) 番組情報表示装置、番組蓄積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007518A (zh) 一种pvr播放方法、一种机顶盒和一种pvr播放系统
KR102208007B1 (ko) 멀티 속성을 가지는 콘텐츠 연계 방법 및 시스템
JP2007294020A (ja) 記録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JP4628495B2 (ja) 番組情報表示装置、番組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01974B1 (ko) 녹화된 뉴스 프로그램들을 브라우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JP4593609B2 (ja) 番組選択装置、番組選択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59099B2 (ja) 番組推薦装置及び番組推薦方法
JP5575936B2 (ja) システム及び番組推薦方法
JP4592737B2 (ja) 番組情報表示装置、番組蓄積装置、番組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49282B2 (ja) 検索支援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KR20090089712A (ko) 비디오 온 디맨드 시스템에서 시리즈 물 연속 재생 방법 및이를 이용한 비디오 온 디맨드 재생 장치
JP2015226121A (ja) 番組表示方法および録画装置
JP2015115803A (ja) 記憶番組再生装置
JP2006086636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