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246B1 -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 - Google Patents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246B1
KR102207246B1 KR1020200038306A KR20200038306A KR102207246B1 KR 102207246 B1 KR102207246 B1 KR 102207246B1 KR 1020200038306 A KR1020200038306 A KR 1020200038306A KR 20200038306 A KR20200038306 A KR 20200038306A KR 102207246 B1 KR102207246 B1 KR 102207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ortswear
belt
user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862A (ko
Inventor
김진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웬티
Priority to JP202156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2528761A/ja
Priority to PCT/KR2020/004443 priority patent/WO2020204591A1/ko
Priority to US17/598,664 priority patent/US20220168561A1/en
Priority to EP20782743.7A priority patent/EP3949775A1/en
Publication of KR20200116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41D1/005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with embedded cable or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Abstract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은 사용자 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복수의 위치에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들과, 패드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극들과, 복수의 전극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신장성 도선들과, 전기적 신호를 신장성 도선들에 연결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하는 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S}
본 기술은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의 운동복은 사용자의 신체를 보호하거나,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땀을 신속하게 배출하여 사용자의 운동 기능을 감소시키지 않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운동중 사용자가 흘리는 땀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며, 운동복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의 습기를 운동복 내부로 투과시키지 않거나, 높은 신축성을 가져 운동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등의 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한편 사무직에 종사하는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사무실에서 업무를 수행하며 보낸다. 이들은 운동의 필요성에 대하여 대부분 인지하고 있으나, 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하루에 권장 운동 시간만큼 반복적으로 운동를 수행하는 경우는 드문 실정이다.
종래의 운동복은 사용자의 운동 능력 저하를 막기 위한 피동적인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쳤으며,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능동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까지는 이르지 않았다.
본 실시예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는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온동복의 기능을 넘어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복을 제공하는 것이 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은 사용자 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복수의 위치에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들과, 패드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극들과, 복수의 전극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신장성 도선들과, 전기적 신호를 신장성 도선들에 연결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하는 벨트를 포함한다.
운동복의 일 실시예로, 운동복은 상의 및 하의가 분리된 형태 또는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되, 타이츠(tights) 형태를 가져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된다.
운동복의 일 실시예로, 신장성 도선들은, 지그재그로 배선되며, 절연 피복된 전기 전도성 선로 및 전기 전도성 선로와 함께 짜여져 신장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운동복의 일 실시예로, 복수의 전극들 각각은, 운동복과 운동복에 배치된 패드를 관통하는 리벳 및 아일렛 중 어느 하나이며, 복수의 전극들 각각과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는 접촉 방지막을 더 포함한다.
운동복의 일 실시예로, 벨트는 벨트 커넥터를 포함하며, 벨트 커넥터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와 벨트 커넥터는 서로 상보적인 극성을 가지는 자석에 의하여 결합된다.
운동복의 일 실시예로, 커넥터는 전면 커넥터 및 후면 커넥터를 포함하고, 벨트 커넥터는 전면 커넥터와 결합하는 전면 벨트 커넥터 및 후면 커넥터와 결합하는 후면 벨트 커넥터를 포함하며, 전면 커넥터와 전면 벨트 커넥터는 상응하는 극성을 가지는 자석에 의하여 결합하고, 후면 커넥터와 후면 벨트 커넥터는 전면 커넥터 및 전면 벨트 커넥터에 포함된 자석과 각각 반대 극성을 가지는 자석에 의하여 결합한다.
운동복의 일 실시예로, 벨트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원과 연결되어 운동복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한다.
운동복의 일 실시예로, 전도성 패드는, 사용자의 흉부, 복부, 옆구리, 허벅지, 팔, 어깨, 옆구리, 둔부 중 선택된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패드들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전기 신호가 제공된다. 따라서, 높은 효율로 사용자 근육을 수축시키거나 이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의 전면과 후면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패드가 형성된 운동복의 단면을 개요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운동복에 포함된 신장성 도선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벨트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표현은 각각 과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일 예로, "A 및/또는 B"라는 기재는 "A, B 그리고 A와 B 모두"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요소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a, b 및 c 또는 1, 2 및 3 등의 부호를 부기하여 설명하나, 복수의 요소를 구별할 필요가 없거나, 요소들 전체를 지칭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기된 부호를 제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을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의 전면과 후면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1)에는 사용자에게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패드들이 형성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운동복(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좌측 흉부와 우측 흉부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110L, 110R)들과 좌측 복부와 우측 복부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120L, 120R)들이 위치한다. 운동복(1)의 좌측 옆구리 및 우측 옆구리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들(130L, 130R)이 위치한다. 운동복(1)의 좌측 팔과 우측 팔을 둘러싸는 형태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들(140L, 140R)이 위치하며, 좌측 허벅지과 우측 허벅지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들(150L, 150R)이 위치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운동복(1)의 후면에는 사용자의 좌측 어깨부근과 우측 어깨부근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210L, 210R)들과 좌측 어깨 하단부부와 우측 어깨 하단부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220L, 220R)들이 위치한다. 운동복(1) 후면의 좌측 옆구리 및 우측 옆구리에는 전면에 형성된 패드들(130L, 130R)연장된다. 운동복(1)의 좌측 팔과 우측 팔을 둘러싸는 패드들(140L, 140R)이 위치하며, 좌측 허벅지과 우측 허벅지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기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패드들(150L, 150R)이 위치한다. 좌측 둔부와 우측 둔부에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패드들(230L, 230R)이 위치한다. 각각의 패드들은 모두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신호원(미도시)이 제공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의 피부를 통하여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로 예시된 실시예에서, 운동복(1)은 타이츠(tights)로 상의와 하의가 부착되며 전면에 형성된 지퍼(zipper, 미도시)를 통하여 착용가능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운동복은 상의와 하의가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운동복(1)은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하는 타이츠 형태를 가져 패드와 사용자의 피부(skin)와의 접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동복은 종래 기술에 의한 운동복과 같이 운동중 사용자가 배출하는 땀을 흡수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운동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운동복(1)에는 전면과 후면에 위치하는 패드들과 신장성 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터는 운동복(1)의 전면에 배치된 패드들과 연결된 전면 커넥터 및 운동복(1)의 후면에 배치된 패드들과 연결된 후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동복(1)은 단일한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를 통하여 전면에 배치된 패드들 및 후면에 배치된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넥터는 자석(magnet)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벨트(500)에 형성된 반대 극성의 커넥터(도 4, 520 참조)와 결합할 수 있다. 운동복(1)에 위치하는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며, 커넥터와 신장성 도선(400)으로 연결된 패드들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기적 신호를 제공한다.
도 2는 패드(110)가 형성된 운동복(1)의 단면을 개요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드(11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재봉 및/또는 접착되어 운동복(1)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110)는 사용자의 피부(skin)에 접촉하여 신장성 도선(40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전극(300)은 전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운동복(1) 타면에 배치된 신장성 도선(40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패드(11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로, 전극(300)은 운동복(1)을 관통하여 패드(110)와 신장성 도선(400)을 연결하는 리벳(rivet), 아일렛(eyele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300)은 전도성 금속재질이므로, 사용자의 피부(skin)에 접촉하여 금속 알러지(metal allergy)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극(300)이 사용자 피부(skin)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피부(skin)와 전극(30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접촉 방지막(31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방지막(310)은 패드(110)에 재봉되어 배치되거나, 전극(300) 및 패드(110)에 접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운동복(1)에 포함된 신장성 도선(400)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신장성 도선(400)은 지그재그(zig-zag)로 배열된 절연 피복된 도선(410)과 도선이 절연 피복된 도선과 함께 짜여져 신장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420)를 포함한다.
절연 피복된 도선(400)은 연선일 수 있으며, 각각 절연물질로 피복되어 절연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 피복된 도선(400)은 절연물질로 피복된 니크롬선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절연 피복된 도선(400)은 단선일 수 있다.
탄성 부재(420)는 지그재그로 배열된 절연 피복된 도선(410)이 늘어난 후, 제자리로 복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이다. 일 예로, 탄성 부재(420)는 면 등의 외피로 코팅된 고무줄일 수 있다. 신장성 도선(400)는 운동복(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재봉되어 운동복(1)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1)을 착용하고 운동하는 과정에서 팔이나 다리를 움직이면 운동복(1)이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신장성 도선(400)이 신장되고, 다시 원상태로 회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1)에 의하면 사용자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벨트(500)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벨트(500)는 벨트 몸체(510)와 벨트의 양 단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512, 514)와, 운동복에 형성된 커넥터와 결합되는 커넥터(522, 524), 신호원(미도시)와 연결되는 신호 커넥터(530) 및 신체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5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512, 514)는 벨트(500)를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고정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512, 514)는 벨크로(velcro)로 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벨트를 착용한 후, 자신의 신체에 맞도록 벨크로를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고정 부재(512)는 일정한 간격으로 뚫린 구멍(hole)들일 수 있으며, 고정 부재(514)는 구멍에 삽입되어 벨트를 고정할 수 있는 핀(pin)일 수 있다. 사용자는 벨트를 착용한 후, 핀과 홀을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에 맞도록 벨트를 고정할 수 있다.
커넥터(522, 524)는 운동복(1)에 위치하는 커넥터와 결합한다. 일 실시예로, 운동복에 형성된 커넥터와 벨트(500)에 배치된 커넥터(522, 524)는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부합하는 자성에 한하여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운동복(1)의 전면 패드들에 연결된 커넥터는 N 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벨트에 형성되어 운동복 전면 패드들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는 S 극의 자성을 가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운동복(1)의 후면 패드들에 연결된 커넥터는 S 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으며, 벨트에 형성되어 운동복 후면 패드들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는 N 극의 자성을 가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패널(540)은 사용자의 신체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는 제어 패널(540)에 위치하는 정방향 삼각형 버튼을 눌러서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약방향 삼각형 버튼을 눌러서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 패널(540)에 위치하는 정지 버튼을 눌러 사용자에게 전기적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멈출 수 있다.
신호 커넥터(530)는 외부 신호원(미도시)과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전기적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어 패널(540)로 제어한 바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 신호원에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운동복(1)에 의하면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의 피부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운동시 운동성을 방해하지 않고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를 위한 실시예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운동복
110, 110L, 110R, 120L, 120R, 130L, 130R, 140L, 140R, 150L, 150R, 210L, 210R, 220L, 220R, 230L, 230R: 패드
300: 전극 310: 접촉 방지막
400: 신장성 도선 410: 절연 피복된 도선
420: 탄성 부재 500: 벨트
510: 벨트 몸체 522, 524: 커넥터
530: 신호 커넥터 540: 제어 패널

Claims (8)

  1. 사용자 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복수의 위치에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들;
    상기 패드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전극들;
    상기 복수의 전극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신장성 도선들;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신장성 도선들에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제공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벨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벨트 커넥터는 서로 상보적인 극성을 가지는 자석에 의하여 결합되는 운동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복은
    상기 운동복은 상의 및 하의가 분리된 형태 또는 상의와 하의가 일체로 형성되되,
    타이츠(tights) 형태를 가져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하는 운동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성 도선들은,
    지그재그로 배선되며, 절연 피복된 전기 전도성 선로 및
    상기 전기 전도성 선로와 함께 짜여져 신장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운동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들 각각은,
    상기 운동복과 상기 운동복에 배치된 패드를 관통하는 리벳 및 아일렛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복수의 전극들 각각과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는 접촉 방지막을 더 포함하는 운동복.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면 커넥터 및 후면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커넥터는 상기 전면 커넥터와 결합하는 전면 벨트 커넥터 및 상기 후면 커넥터와 결합하는 후면 벨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넥터와 상기 전면 벨트 커넥터는 상응하는 극성을 가지는 자석에 의하여 결합하고,
    상기 후면 커넥터와 상기 후면 벨트 커넥터는 상기 전면 커넥터 및 상기 전면 벨트 커넥터에 포함된 자석과 각각 반대 극성을 가지는 자석에 의하여 결합하는 운동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원과 연결되어 상기 운동복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는 운동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흉부, 복부, 옆구리, 허벅지, 팔, 어깨, 옆구리, 둔부 중 선택된 상기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 운동복.





KR1020200038306A 2019-04-02 2020-03-30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 KR102207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560480A JP2022528761A (ja) 2019-04-02 2020-04-01 電気的刺激を提供することができるスポーツウェア
PCT/KR2020/004443 WO2020204591A1 (ko) 2019-04-02 2020-04-01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
US17/598,664 US20220168561A1 (en) 2019-04-02 2020-04-01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EP20782743.7A EP3949775A1 (en) 2019-04-02 2020-04-01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230 2019-04-02
KR20190038230 2019-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62A KR20200116862A (ko) 2020-10-13
KR102207246B1 true KR102207246B1 (ko) 2021-01-25

Family

ID=7288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306A KR102207246B1 (ko) 2019-04-02 2020-03-30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950A (ko)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에소코 전기 자극을 주는 슈트를 이용한 누워서 하는 다이어트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8799A (ja) * 2011-02-25 2012-10-04 Asahi Kasei Fibers Corp 電子機器付き衣服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512B1 (ko) * 2015-11-25 2017-09-07 김강석 전기적 자극을 이용한 근육강화 및 다이어트용 건강증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8799A (ja) * 2011-02-25 2012-10-04 Asahi Kasei Fibers Corp 電子機器付き衣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950A (ko)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에소코 전기 자극을 주는 슈트를 이용한 누워서 하는 다이어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62A (ko)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10250A (en) Electrical contact-carrying garment for muscle stimulation
KR101775512B1 (ko) 전기적 자극을 이용한 근육강화 및 다이어트용 건강증진장치
US20020077688A1 (en) Electrode-positioning body garment
US10835736B2 (en) EMS exercise device, EMS electrode, EMS garment, EMS stimulus generating unit, EMS signal cable, and EMS undergarment for an EMS exercis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MS exercise device
MY120716A (en)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garment.
KR20160090114A (ko) 운동량 극대화 의류
US10207107B2 (en) Electrostimulation apparatus
KR102207246B1 (ko)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
CN105682495A (zh) 防袭衣
CN105682494A (zh) 防袭衣装置
KR20170109400A (ko) 전기신호 전송용 섬유밴드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웨어
KR20210086392A (ko) 전기 자극 패드
EP3949775A1 (en)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US20180116544A1 (en) Physiological signal collection apparatus and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CN205672354U (zh) 脉冲和加热整合的理疗仪
CN209529910U (zh) 一种基于肌肉电刺激的人体工学训练服及训练服系统
CN219920335U (zh) 一种ems按摩瑜伽裤
KR20230122305A (ko) Ems 저주파 디바이스
CN211672516U (zh) 肌肉用具有电刺激功能的服饰
KR200478987Y1 (ko)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KR20230120913A (ko) 신축성 전선 및 이를 이용한 ems 수트
GB2405795A (en) Electro-stimulating underwear
CN210114063U (zh) 一种可更换长短袖的低频脉冲训练服
CN211158144U (zh) 电脉冲训练衣
KR102013900B1 (ko) 전원 연결의 끊어짐을 최소화한 점착패턴을 구비한 기능성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