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987Y1 -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 Google Patents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987Y1
KR200478987Y1 KR2020130009902U KR20130009902U KR200478987Y1 KR 200478987 Y1 KR200478987 Y1 KR 200478987Y1 KR 2020130009902 U KR2020130009902 U KR 2020130009902U KR 20130009902 U KR20130009902 U KR 20130009902U KR 200478987 Y1 KR200478987 Y1 KR 200478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low frequency
low
heat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190U (ko
Inventor
유상원
Original Assignee
에인에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인에이(주) filed Critical 에인에이(주)
Priority to KR2020130009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98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9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1Electromedic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2Electromedical belts, e.g. neck chains, arm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8Apparatus for applying thermoelectric curr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저주파 패드 또는 온열 패드를 함께 또는 따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 패드의 출력구를 따로 구비함으로써, 쇼트와 같은 전기적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열을 발생시키는 온열 패드; 상기 온열 패드에 체결되어 저주파를 발생시키며, 탈부착이 가능한 저주파 패드; 상기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의 전원 및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복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출력구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를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SEPARATION TYPE WAIST BELT FOR ELECTRICAL STIMULUS APPARATUS}
본 고안은 복부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열 및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복부벨트에 있어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패드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저주파 패드와 온열 패드를 각각의 연결단자를 통해 출력구에 연결할 수 있어 전기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문화의 변화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해 비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각종 성인병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기능을 가진 미용 관련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의 복부에 형성된 경혈의 위치에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를 착용하여 전기자극을 가하여 부족한 운동시간 및 각종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질병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고 있다.
종래의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패드와 온열을 생성하는 온열 패드가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저주파 패드의 전선과 온열 패드의 전선을 피복재로 피복하여 1개의 포트에 연결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의 저주파 패드 및 온열 패드의 채널 수가 다변화되는 추세에 따라 저주파 패드의 전선 수와 온열 패드의 전선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저주파 패드와 온열 패드 간의 전기적 간섭에 의해 전기적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의 사용으로 피복재의 유실로 저주파 패드의 전선과 온열 패드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저주파 패드의 전선과 온열 패드의 전선 간이 전기적으로 쇼트(short)되는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저주파 패드와 온열 패드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로 설계되기 때문에 저주파 패드 및 온열 패드의 고장시, 이를 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에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6781호(2007.11.08. 등록)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복합 물리치료용 자극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온열 및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복부벨트에 있어서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패드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조를 변경하여 두 명의 사용자가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패드를 각각의 연결단자에 연결하여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도 쇼트(short) 등의 전기적 위험도 예방할 수 있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열을 발생시키는 온열 패드; 상기 온열 패드에 체결되어 저주파를 발생시키며, 탈부착이 가능한 저주파 패드; 상기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의 전원 및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복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출력구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상기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를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저주파 패드 및 온열 패드가 분리형으로 각각 설계되므로, 사용자가 저주파 패드 및 온열 패드를 함께 사용하거나, 또는 필요한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부벨트의 고장시 저주파 패드 및 온열 패드의 분리가 용이하여 수리 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저주파 패드의 출력구와 온열 패드의 출력구를 별도로 구분하여 설계함으로써, 저주파 패드의 전선과 온열 패드의 전선 상호 간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쇼트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의 앞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의 뒷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열 패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열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패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의 앞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의 뒷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100)는 온열 패드(110), 저주파 패드(120), 구동부(130) 및 연결 케이블(140)을 포함한다.
온열 패드(110)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된다. 온열 패드(100)의 일면에 제1 장착부(114)가 형성되고, 온열 패드(110) 타면에는 제1 장착부(114)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장착부(115)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장착부(114, 115)가 부착됨으로써, 복부 벨트(100)가 사용자의 복부에 착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장착부(115)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되어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열 패드(110) 타면의 일측에는 지퍼(118)가 형성되어, 온열 패드(110)의 내부 부품이 손상되었을 경우, 쉽게 부품을 교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열 패드(110) 내부의 세척 또한 용이하게 해준다.
온열 패드(110)의 일면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후술할 저주파 패드(120)의 체결홈(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 부재(112)는 저주파 패드(120)와 온열 패드(110)가 서로 체결되도록 해준다.
저주파 패드(120)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저주파 패드(120)를 관통하며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홈(122)이 형성된다. 한 쌍의 체결홈(122)은 온열 패드(110)의 일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 부재(112)와 서로 체결 될 수 있다.
온열 패드(110)의 한 쌍의 체결 부재(112)는 저주파 패드(120)의 체결홈(122)에 각각 삽입된 후, 체결 부재(112)의 일단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와 온열 패드(110)의 일면에 형성되며, 체결 부재(112)의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벨크로 테이프가 서로 부착됨에 따라 온열 패드(110)에 저주파 패드(120)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저주파 패드(120)와 온열 패드(110)의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두 명의 사용자가 온열 패드(110) 또는 저주파 패드(1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부(130)는 온열 패드(110) 및 저주파 패드(120)와 연결 케이블(14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열 및 저주파 패드(110, 120)의 작동을 제어한다. 구동부(130)를 통해 온열 패드(110)의 발열 온도, 저주파 패드(120)의 저주파 세기 및 작동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충전용 밧데리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220V 전원에 연결하여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저주파 패드(120) 및 온열 패드(110)는 각각의 연결 케이블(140)을 통해 구동부(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의 복수의 패드가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구동부와 연결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쇼크 등의 전기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열 패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온열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온열 패드(110)는 설정온도의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신호를 발열체(116)에 인가한다. 이러한 온열 패드(110)는 온도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발열체(116)의 설정온도의 차를 최소화시켜 일정한 열을 공급하는 스위칭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발열체(116)가 과열되어 사용자의 복부에 화상을 입히지 않도록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온도 감지 센서는 정특성 서미스터와 바이메탈을 이용한 전류 차단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116)는 온열 패드(110) 중앙부에 사용자의 복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열을 발생하며, 10V 이하의 전력을 직, 병렬 형식으로 연결하여 구동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온열 패드(110)는 구동부(도1의 130)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발열체(116)에서 36 ~ 60℃의 열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복부를 따뜻하게 데워줄 수 있다. 발열체(116)가 36℃ 미만의 열을 발생시키면 사용자가 발열 효과를 충분히 느끼기 어렵다. 반대로, 발열체(116)가 60℃를 초과하는 열을 발생시키면 사용자가 복부에 화상을 입을 수 있다.
발열체(116)는 발열 면적의 확장을 위해 와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크롬(Cr) 및 니켈(Ni)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사인 발열체(116)는 온열 패드(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구동부(도1의 130)로부터의 전원을 인가받아 설정온도로 발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패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저주파 패드(120)는 전도성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일면에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저주파 출력부(124)를 구비한다. 이때, 다수의 저주파 출력부(124)를 제외한 저주파 패드(120)의 표면에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ydroxyethyl Cellulose), 다이하이드로 터피네올(Dihydro-terpineol) 및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되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저주파 패드(120)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내후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저주파 출력부(124)는 구동부(도1의 130)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저주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다수의 저주파 출력부(124)는 도전성 직물지 또는 도전성 실리콘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복부에 저주파를 출력하여 복부를 마사지하여 복부 비만을 치료하고, 복부 비만으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저주파 패드(120)는 양단에 타원형의 한 쌍의 체결홈(122)을 구비한다. 체결 홈(122)은 저주파 패드(120)를 관통하는 타원형 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술한 온열 패드(도1의 110)의 체결 부재(도1의 112)와 체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동부(130)는 컨트롤러(134) 및 출력구(136)를 포함하며, 상술한 온열 패드(110) 및 저주파 패드(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34)는 본 고안에 따른 복부벨트(100)의 전원 및 저주파 패드(120)와 온열 패드(1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34)는 구동부(130)의 일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제어버튼을 구비하며, 저주파 패드(120)의 저주파 세기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온열 패드(110)의 발열 온도 및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134)를 통해 저주파 및 온열 패드(110)의 구동을 따로 제어할 수 있어 두 명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각 패드의 구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출력구(136)는 구동부(13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저주파 패드(120) 및 온열 패드(11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연결단자(137)를 구비함으로써, 각 패드와 연결된 복수의 연결 케이블(140)을 복수의 연결단자(137)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하나의 연결단자에 복수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발생하던 쇼트 등의 전기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결 케이블(140)을 복수의 고정클립(40)을 이용하여 연결 케이블 선이 꼬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연결단자(137)의 외주면은 정전기 쇼크 등을 방지하고 전기 과부하를 억제하기 위해 규산염 유리, 알루미노규산염 유리, 붕산염유리, 인산염 유리 및 남산염 유리 등의 유리 용액과 반도전성 나노 입자를 혼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도전성 나노 입자로는 SiC, ZnO, TiO2, SnO2, SrTiO3 및 BaTiO3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연결단자(137)의 내부는 Pt, Pd, Au, Ag 및 Ni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전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저주파 패드의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온열 패드와 저주파 패드를 따로 사용할 수 있어 2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온열 기능 및 저주파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는 고장시 저주파 패드 및 온열 패드의 분리가 용이하여 수리 작업이 간편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주파 패드의 출력구와 온열 패드의 출력구를 별도로 구분하여 설계함으로써, 저주파 패드의 전선과 온열 패드의 전선 상호 간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쇼트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고안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어댑터 40 : 고정클립
100 : 복부 벨트 110 : 온열 패드
112 : 체결 부재 114 : 제1 장착부
115 : 제2 장착부 116 : 발열체
118 : 지퍼 120 : 저주파 패드
122 : 체결홈 124 : 저주파 출력부
130 : 구동부 134 : 제어판
136 : 출력구 137 : 연결단자
140 : 연결 케이블

Claims (10)

  1. 열을 발생시키는 온열 패드;
    상기 온열 패드에 체결되어 저주파를 발생시키며, 탈부착이 가능한 저주파 패드;
    상기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의 전원 및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복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출력구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를 상기 복수의 연결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자는 외주면은 유리 용액과 반도전성 나노 입자를 혼합한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는 Pt, Pd, Au, Ag 및 Ni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 패드는
    상기 온열 패드의 일면 양단에 형성되어 서로 부착되며, 상기 온열 패드를 벨트 형태로 체결시키는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와,
    상기 온열 패드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와,
    상기 온열 패드 일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저주파 패드와 온열 패드를 체결시키는 한 쌍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온열 패드의 타면에 지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 각각은
    벨크로 테이프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36 ~ 60℃의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크롬(Cr) 및 니켈(Ni) 중에서 1종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패드는
    상기 저주파 패드의 양단에 형성되며, 저주파 패드를 관통하는 타원형 홀 형태인 한 쌍의 체결홈과, 상기 저주파 패드의 일면에 형성되며,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저주파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체결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체결홈에 각각 삽입된 후 온열 패드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온열 패드 및 저주파 패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패드는
    상기 다수의 저주파 출력부를 제외한 표면에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Hydroxyethyl Cellulose), 다이하이드로 터피네올(Dihydro-terpineol) 및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된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전성 나노 입자는
    SiC, ZnO, TiO2, SnO2, SrTiO3 및 BaTi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KR2020130009902U 2013-11-29 2013-11-29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KR200478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02U KR200478987Y1 (ko) 2013-11-29 2013-11-29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902U KR200478987Y1 (ko) 2013-11-29 2013-11-29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90U KR20150002190U (ko) 2015-06-09
KR200478987Y1 true KR200478987Y1 (ko) 2015-12-08

Family

ID=5351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902U KR200478987Y1 (ko) 2013-11-29 2013-11-29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9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227B1 (ko) * 2019-12-02 2022-01-17 (주)메디스포츠랩 Ems를 이용한 온열 벨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478Y1 (ko) * 2001-11-30 2002-03-02 주식회사 메디텐스 저주파 치료용 패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478Y1 (ko) * 2001-11-30 2002-03-02 주식회사 메디텐스 저주파 치료용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90U (ko)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225B2 (en) Wearable medical system with stretch-cable assembly
JP4447326B2 (ja) 着用衣類
US20200404987A1 (en) Tri-modal localized heating garment
KR101661239B1 (ko) 무릎용 광, 냉, 온 찜질기
KR101775512B1 (ko) 전기적 자극을 이용한 근육강화 및 다이어트용 건강증진장치
CN106456971B (zh) 身体接触的便携式治疗仪
US20200155825A1 (en) Medical therapy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a human or animal subject
WO2015123157A1 (en) Wearable sensor
KR20200115574A (ko) 가열 및/또는 냉각 패드
KR20160090114A (ko) 운동량 극대화 의류
US20170258628A1 (en) Segmented leg heater system method
US20160331959A1 (en) Protective equipment having thermotherapy and electrotherapy functions
KR102472838B1 (ko) 골반저근 자극장치
KR200478987Y1 (ko) 분리형 전기자극장치용 복부벨트
KR200472453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온열 및 저주파 발생 복부벨트
US20170258629A1 (en) Segmented leg heater system apparatus
KR200490571Y1 (ko) 저주파 및 온열 치료용 니트 밴드
KR101578032B1 (ko) 저주파 복부자극기
KR101743176B1 (ko) 저주파 및 온열치료 패드
CN205672354U (zh) 脉冲和加热整合的理疗仪
KR101793025B1 (ko) 전기 자극 인가에 의한 피부 개선 미용 기기
KR101396310B1 (ko) 전기 자극을 이용한 무릎 경락 전기자극장치
GB2599351A (en) A toning device
KR20200116862A (ko)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운동복
CN202665969U (zh) 一种腹背电针刺热疗保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