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902B1 - 소형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902B1
KR102206902B1 KR1020167003474A KR20167003474A KR102206902B1 KR 102206902 B1 KR102206902 B1 KR 102206902B1 KR 1020167003474 A KR1020167003474 A KR 1020167003474A KR 20167003474 A KR20167003474 A KR 20167003474A KR 102206902 B1 KR102206902 B1 KR 102206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device
housing
track
engin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154A (ko
Inventor
이본 마르텔
Original Assignee
이본 마르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본 마르텔 filed Critical 이본 마르텔
Publication of KR2016003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10Apparatus for towing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1/00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 B62D51/02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the driver standing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1/00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 B62D51/007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the vehicle being of the endless tra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7Mono-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이나 모래나 진흙 등으로 덮인 험난한 지역 위를 주행할 수 있는 소형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축선(105)을 따라 뻗고 다수의 외벽들을 갖춘 방수 하우징(104); 종축선(105)을 따라 하우징(104) 외부에 배치되고, 하우징 둘레를 회전하면서 견인장치(100)를 움직이는 궤도(102); 궤도(102)를 움직이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고, 하우징(104)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궤도 구동모터(200,202); 및 궤도 구동모터(200,202)와 궤도(102)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도록 하우징(104)에 지지되는 파워트레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파워트레인 어셈블리는 하우징(104)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270), 가로 구동차축(164,172), 및 입력부는 상기 구동축(270)에 연결되고 출력부는 가로 구동차축(164,172)에 연결되는 기어박스(302)를 가지며; 회전 동력은 하우징(104)의 벽들 중의 하나를 가로질러 밀봉되어 뻗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구간을 이용해 파워트레은 어셈블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된다.

Description

소형 견인장치{COMPACT PU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눈이나 모래나 진흙 등으로 덮인 험난한 지역 위를 주행할 수 있는 소형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험난한 지역을 주행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여러해동안 다양하게 제안되었다. 물론, 스키를 탄 한 사람이 모터로 회전하는 궤도를 이용해 밀거나 당기도록 한 소형 장치가 대부분이다. 일례로 1980년 2월 15일 공개된 Jaulmes의 FR-2,431,304와 1985년 5월 28일 공개된 US-4,519,470에 이런 예들이 소개되었다. 이런 장치들 대부분은 궤도를 구동하는데 개솔린엔진을 사용한다. 이런 종류의 장치는 대형 차량의 이동이 곤란하거나 금지된 지역에서 경량 운반수단으로 유용할 수 있다. 예컨대, 눈으로 덮인 지역에서, 눈가루가 너무 곱거나 눈높이가 너무 높아 설상차를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런 장치의 다른 장점은 설상차와 같이 크고 무거운 차에 비해 다른 차량에 싣고 운반하기가 훨씬 간단하고 용이하다는데 있다.
유감스럽게도, 기존의 어떤 장치도 동절기의 아주 혹독한 기상조건에 완전히 적합한 것은 전혀 없었다. 예를 들어, 아주 추운 온도에서는 배터리를 이용해 작동되는 전기모터를 이용하는 장치의 신뢰도와 자율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개솔린엔진의 경우, 추운 날씨에서 엔진에서 열이 방출되면 얼음과 딱딱해진 눈이 장치의 민감한 부위에 쌓이게 된다. 또, 따뜻한 온도에서는 장치 안으로 수분이 침입하여, 고장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장치가 숲속 깊이 들어갈 때나 접근이 힘든 다른 장소에 들어갈 때 더욱 그렇다.
2011년 4월 15일 출원하고 2011년 10월 20일 WO 2011/127607로 공개된 본 출원인의 PCT/CA2011/050202는 종래의 장치와 관련된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아주 좋은 해결책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기본 개념의 여러 다른 특징들을 더 개선할 필요는 항상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축선을 따라 뻗고 다수의 외벽들을 갖춘 방수 하우징; 종축선을 따라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고, 하우징 둘레를 회전하면서 견인장치를 움직이는 궤도; 궤도를 움직이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고, 하우징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궤도 구동모터; 궤도 구동모터와 궤도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도록 하우징에 지지되는 파워트레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파워트레인 어셈블리는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구동축, 가로 구동차축, 및 입력부는 구동축에 연결되고 출력부는 가로 구동차축에 연결되는 기어박스를 가지며; 회전 동력은 하우징의 벽들 중의 하나를 가로질러 밀봉되어 뻗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구간을 이용해 파워트레은 어셈블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거나 제안한 소형 견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거나 제안한 소형 견인장치의 환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거나 제안한 소형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견인장치의 일례의 사시도;
도 2는 썰매를 달고있는 도 1의 견인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견인장치의 좌측면도;
도 4는 설명의 편의상 일부가 생략된 도 1의 견인장치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견인장치의 내부의 모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1의 견인장치에서 측판들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견인장치 내부의 환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견인장치의 다른 예의 사시도.
도 1의 소형 견인장치(100)는 종축선(105)을 따라 뻗어있는 기다란 형태의 방수 하우징(104) 둘레에 무한궤도(102)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4) 외부에 감겨있는 궤도(102)가 회전하면 견인장치(100)가 눈덮인 지면 위를 움직인다. 궤도(102)는 고무나 기타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다른 재료도 가능하다. 이 견인장치(100)는 포장도로, 사막 등 거의 모든 지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방수란 방수구조를 의미하고, 하우징(104) 내부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환기회로는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예컨대, 온도가 25℃ 정도의 상한치보다 높을 때 하우징(104) 내부를 냉각하는데 환기회로를 이용하지만, 상한치는 다른 값도 가능하다. 추운 날씨에서 하우징(104) 내부를 따뜻하게 유지하는데도 환기회로가 필요하다.
도 1의 견인장치(100)의 외부는 본 출원인의 2011년 10월 20일 공개된 WO 2011/127607에 소개된 것과 거의 비슷하지만,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 견인장치(100)는 궤도(102)를 움직이는 회전 출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구동모터는 하우징(104) 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내연기관이나 전기모터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둘다 이용할 수도 있다. 전기모터로는 기계식 에너지원에서 나오는 회전 출력을 이용해 발전할 수 있는 발전모드와,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력을 이용해 회전출력을 일으킬 수 있는 전기모터 모드 둘다를 갖는 전동기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발전모드가 없는) 전기모터나, (전기모터 모드가 없는) 발전기 기능만 갖는 전동기도 가능하다. 도 1의 견인장치가 전기모터만 구비하고 내연기관은 없을 수도 있고, 전기모터 없이 내연기관만 있을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는 전동기가 "모터/발전기"를 의미한다. "모터/발전기"는 모터모드나 발전모드만 갖거나 둘다를 갖는 전기기계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물론 다른 모드도 가능하다.
하우징(104)에 연결된 핸들바(106)는 견인장치(100)의 뒷쪽으로 뻗고, 핸들바의 말단부에 달린 손잡이(108)를 견인장치의 뒷쪽에 서있는 조작자(110)가 쥘 수 있다. 핸들바(106)이 기단부는 하우징(104)의 좌우측에 필요에 따라 피봇되게 또는 고정 연결된다. 피봇일 경우, 스토퍼 등을 이용해 수평에 대해 최대각도와 최소각도 사이로 핸들바(106)를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핸들바(106)의 말단부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조작자(110)는 핸들바(106)의 손잡이(108)에 있는 제어장치들을 이용해 견인장치(100)의 주행속도와 다른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들은 유무선으로 하우징(104)에 연결되고, 필요하다면 핸들바(106)의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의 내부로 전선을 유도하여 마모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의 조작자(110)는 스키(112) 위에 서서 전진하는 견인장치(100)의 손잡이(108)를 쥐고있으면서, 회전하고자 하는 반대방향으로 핸들바(106)를 움직여 견인장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런 방식은 기존의 소형 잔디깎기와 비슷하다. 스키(112)는 눈이나 얼음 위를 움직이는데 유용하지만, 지면 상태에 따라서는 발이나 썰매나 심지어 바퀴달린 기구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04) 뒤에 운반기를 연결할 수도 있다. 운반기는 지면에 닿는 타이어 위에 플랫폼을 단 것이고, 플랫폼 위에 조작자(110)의 발을 얹을 수 있다.
하우징(104)은 무게중심을 가능한한 낮출 수 있도록 하고, 견인장치(100)의 무게중심도 비교적 낮도록 한다. 도 1의 조작자(110)의 무릎 밑에 무게중심이 있는 것이 좋다.
모델에 따라서는, 견인장치(100)를 자체 동력으로 후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어떤 경우에 아주 유용할 수 있다. 브레이크를 조작하는 레버나 다른 종류의 제어장치들도 있다. 예컨대, 자전거나 모터사이클과 마찬가지로 핸들바(106)에 레버를 설치하고, 필요하다면 램프나 표시 다이얼과 같은 다른 장치도 핸들바에 설치한다. 물론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하우징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드는데, 경량이면서 강력한 재료로는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른 재료도 가능하다. 하우징(104) 양쪽의 측벽(140)은 고정식이거나 착탈식이고, 측면 도어를 사용하지 않고 하우징 내부 부품에 접근하려면 측벽을 착탈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견인장치(100)가 움직일 때는 하우징 양쪽의 측벽(140)은 방수되게 닫혀있는데, 이때 볼트나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에 결합된다. 하우징(104)의 다른 부분 모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하여, 하우징 내부를 작동중에 건조상태로 유지한다.
도 2는 썰매(120)를 단 견인장치(100)의 사시도로서, 썰매의 연결부(122)를 가로지지대(124)에 연결하며, 가로지지대(124)는 중심부가 뒷쪽을 향해 약간 휘어져 있다. 가로지지대(124)는 하우징(104)의 윗면을 향해 돌출한 2개의 양쪽 측판(126)에 지지된다. 썰매의 연결부(122)에 달린 2개의 리테이너 아암들은 정면 판(128)에 연결되고, 체결요소(130)가 달려있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다. 체결요소(130)는 가로지지대(124)를 따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체결요소(130)의 양쪽에 배치된 2개의 풀리를 이용해 움직인다. 즉, 체결요소(130)는 가로지지대(124)를 따라 끝에서 끝까지 움직일 수 있어, 견인장치(100)의 조작은 쉽고 조작자(110)의 노력은 적게 들게 한다. 썰매(120)의 흔들림은 하우징(104)으로 전달되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조작자(110)는 썰매(120) 위에서 자신의 체중울 좌우로 움직여 견인장치(100)의 흔들림을 조정한다. 그러나, 연결부의 축과 요동축을 중심으로 한 운동은 견인장치(100)와 썰매(120) 사이에 없다. 물론 그 변형도 가능하다.
썰매(120)는 눈이나 얼음 위에서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초원, 흙, 모래와 같은 다른 종류의 지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포장도로 위로 장거리 주행하려면 썰매(120) 밑에 바퀴를 달 수도 있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전진하는 견인장치(100)에 조작자(110)가 탑승하고, 견인장치에 매달린 썰매(120)나 궤도(102) 위에 있는 외부 갑판에 화물을 실을 수 있다. 외부 갑판은 하우징(104)의 상단부의 다른 위치에 있는 다른 측판들(126)의 지지를 받는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견인장치는 눈 위에서 자체 중량의 2배 이상의 하중을 쉽게 끌 수 있다. 예컨대, 135kg의 중량을 갖는 장치를 이용한 테스트에 의하면, 견인장치(100)가 640km 정도의 거리를 450kg 이상의 하중을 운반할 수 있고, 이때 60리터 연료탱크 하나만 사용했고 평균 속도는 14km/h 였다. 일반 도로를 움직일 때의 견인장치(100)는 60리터 연료탱크 하나를 사용해 1200km 정도의 거리를 평균 20km/h의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견인장치는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예컨대 긴급구조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위험구역이나 고립된 구역의 험난하거나 불안정한 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고에 대응하기 쉽다. 가능한 어떤 곤란한 상황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구조자가 희생자들을 위험구역에서 끌어내어 좁은 통로를 통해 지면으로 이동해야만 하는 광산이나 동굴과 같은 지하 환경에서도 구조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산사태가 일어나고 주변환경이 아직 아주 불안정한 곳에서도 구조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런 사고에서는 소음과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어떤 사고도 구조팀에게는 잠재적 위험이 있다. 따라서, 많은 여러가지 상황에서 최대의 효율로 조사와 구조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 모든 위험 상황에 항상 필요하다. 견인장치(100)는 이런 목표를 도울 수 있다. 견인장치(100)를 사용하는 구조대원들은 조사구조 장비와 조사구조 보급품을 갖고 아주 어려운 상황에서도 매우 신속하게 원격지에 접근하여 희생자들을 찾고 안정시킨 다음 위험상황에서 희생자를 끌어내고 다른 피난차량이나 구급대원에게 희생자를 데려갈 수 있다. 예컨대, 구멍이나 절벽과 같은 위험구역에서 견인장치(100)에 연결된 끈을 사용해 희생자를 당긴 다음, 썰매에 희생자를 싣고 피난시킨다. 견인장치(100)로 운반할 수 있는 조사구조장비로는 의료장비, 모바일 생명유지장치, 로프, 마구, 삽, 부유기, 담요, 소화기와 같은 구조장비는 물론 센서와 같은 전자장비, 통신기, GPS 등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텐트, 음식료, 히터 등의 다른 장비도 있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견인장치(100)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견인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 견인장치(100)에서 궤도(102)와 하우징 didWHr의 측판(140)과 하우징 내부의 몇몇 부분들은 생략했다. 하우징(104)은 좌우 측판(140) 외에도 윗벽(142), 바닥벽(144), 전방벽(146) 및 후방벽(148)을 갖는다. 후방 내벽(150)은 하우징(104) 내부의 후방 격실(154)과 전방 격실(152)을 분리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구조를 강화한다. 하우징의 외형을 다르게 구성하는 등의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하우징(104)의 내부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하우징의 내부의 격실을 하나나 2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궤도(102)를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4)의 전방에 적어도 하나의 전방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데, 여기서는 2개의 롤러(162)가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롤러(162)는 양쪽에서 길이방향으로 뻗는 2개의 전방 측판(166)에 양단부가 연결된 차축에 지지되는 전방 가로차축(164)에 동축으로 설치된다(도 5 참조). 전방 측판(166)은 하우징(104)의 전방부에 견고히 연결된다. 전방 롤러(162)는 궤도(102)의 안쪽면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궤도(102)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방 롤러가 하우징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여기서는 2개의 후방 롤러(170)가 설치된다. 이들 후방 롤러(170)는 양쪽에서 길이방향으로 뻗는 2개의 후방 측판(174)에 설치된 베어링(178)에 양단부가 지지된 후방 가로차축(172)에 동축으로 설치된다. 후방 롤러(170)도 궤도(102)의 안쪽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것처럼 후방 롤러(170)의 원주면은 평면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궤도(102)를 하우징(104) 둘레에 지지하는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윗벽(142)의 윗면 양쪽에 한쌍의 상단 스키드(160)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바닥벽(144)의 밑면 양쪽에도 한쌍의 바닥 스키드가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들 스키드는 마찰계수가 아주 낮은 좁은 스트립 형태의 재료로 만들어져, 궤도(102)의 내면과 하우징(104)의 외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하우징 둘레로 궤도(10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스키드는 견인장치(100)의 종축선과 일치되게 궤도(102)를 유지하는 가이드 역할도 한다. 스키드(160)는 위아래 벽(142,144)의 전단부와 후단부보다 수 cm 정도 돌출하여 궤도(102)가 견인장치의 거의 전장에 걸쳐 지지되도록 한다. 스키드의 양단부는 도시된 것처럼 휘어져 있다. 필요하다면, 스키드(160)를 하우징(104)에 설치되어 궤도(102)의 내면에 맞물리는 소형 롤러나 바퀴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소형 롤러나 바퀴는 궤도(102)의 내면과 하우징(104)의 외면 사이의 마찰을 더 줄이는데, 특히 모래로 덮인 지면에서 견인장치를 사용할 때 더 그렇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견인장치(100)의 전방에 설치된 전방 범퍼(168)는 양단부가 측판(140)에 연결되고, 측판들을 제거했을 때 범퍼도 제거된다. 전방 범퍼(168)의 내부와 전방 롤러(162)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여, 견인장치가 동작할 때 궤도(102)가 전방 범퍼(168)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물론 이런 범퍼가 없을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4)은 밑면 중심을 볼록하게 하고 바닥벽(144)의 전방을 수평면과 각도를 이루게 하여, 견인장치의 궤도(102)의 앞뒤에서 3cm 정도 높게 한다. 이런 중앙부는 하우징(103)의 길이의 1/3 정도에 해당한다. 특히 높이를 높이면 견인장치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이 단단하고 거친 표면에서 선회하거나 수동으로 피봇할 때 요잉(yawing)이 쉬워진다. 전방 가로차축(164)도 후방 가로차축(172)보다 높게 하면 장애물을 넘기가 쉽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견인장치의 파워트레인 어셈블리는 하우징(104)의 지지를 받고, 하우징(104) 내부에 있는 궤도 구동모터와 하우징 외부의 궤도(102)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한다. 하우징 내부의 궤도 구동모터의 회전 출력을 이용한 궤도(102)의 회전에 의해 견인장치(100)가 지면 위를 움직인다.
파워트레인 어셈블리의 구동축(270)은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104) 안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구동축 전체는 아니라도 대부분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다. 구동축(270)은 싱글 모노리딕 튜브 형태이거나 2개 이상의 부분을 클러치 등으로 서로 연결한 구조이다. 파워트레인 어셈블리의 기어박스(302)는 하우징(104) 안이나 밖에 위치하고, 기어박스의 입력부는 구동축(270)에 연결되며 출력부는 가로 차축에 연결된다.
후방 롤러(170)는 하우징 내부의 궤도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용해 궤도(102)를 구동한다. 하우징(104)의 뒷벽에 설치된 밀봉 베어링(180)은 하우징에서 돌출하는 구동축(270) 뒷부분(274)의 후단부 둘레에 밀봉 설치된다. 이 기능은 하우징(104)의 내부를 밀봉 유지하고 먼지나 물이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이것은 하우징(104)의 구멍들을 통해 나가는 체인이 아니다. 구동축(270)의 외부는 기어박스(302)에 연결되고, 후방 가로차축(172)이 기어박스에 연결된다. 여기서는 기어박스(302)가 하우징 외부에서 후방 가로차축(172)의 중심에 위치한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뒷벽(1480의 베어링 대신에 회전 밀봉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고, 베어링을 하우징(014)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전방 가로차축(164)이 궤도(102)를 구동하는 구조로 견인장치(100)를 설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전방이나 후방이 아닌 하우징의 내부에서 궤도(102)를 구동하고 기어박스(302)를 내부에 배치할 수도 있다. 하우징(104)의 한쪽이나 양쪽으로 QJe는 가로 구동축을 사용해 궤도(102)에 토크를 전달할 수도 있다. 측벽들(140)을 관통하는 가로 구동축의 단부는 해당 측벽(140)과의 밀봉연결부를 포함한다. 다른 구조도 가능하다.
기어박스(302)의 입출력부 사이에 내부 감속기어기구가 있어서, 입출력부 사이에서 회전속도는 줄이고 그만큼 토크는 높인다. 따라서, 구동축(270)의 회전속도는 후방 가로차축(172)의 회전속도보다 높다. 내부 감속기어기구로는 워엄기어가 있다. 이런 구조에서는 입출력부를 직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예컨대, 트랜스미션과 같은 감속구조를 하우징(104) 안에 배치하거나, 기어박스(302)의 입출력부 사이에 동력전달비의 변환이 없을 수도 있다.
또, 기어박스(302)의 내부 감속기어기구의 예로 자체잠금구조를 갖는 내부 기어가 있다. 이 경우, 기어박스는 입력부가 구동축(270)에 의해 회전하지 않을 경우 자체적으로 주차모드로 고정된다. 즉, 출력부에 작용하는 외부 토크가 회전운동을 일으키지 못한다. 이 특징은 견인장치(100)가 경사지에서 자중에 의해 저절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이런 구조는 회전요소들 사이의 급한 각도들을 이용한 자체잠금을 할 수 있다.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후방 가로차축(172)에 브레이크 디스크(176)가 있고, 하우징(104)에 대응 브레이크 패드가 가동 시스템에 설치되며, 제동력이 필요할 때 손잡이(108)를 통해 조작자(110)가 가동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다. 물론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104) 내부의 구동축(270)에 브레이크 디스크를 동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견인장치(100) 내부의 모터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견인장치(100)의 모터(202)는 구동축(270)에 직접 동축으로 설치된다. 중량 절감을 위해, 모터(202)의 회전자를 구동축(270)에 일체화한다. 구동축(270)은 엔진(200)의 출력부와 기어박스(302) 사이를 뻗고, 기어박스는 후방 가로차축(172)에 연결된다. 엔진(200) 내부의 크랭크축의 회전중심은 종축선(105)에 평행하고, 구동축(270)의 전단부는 엔진의 출력부에 연결된다.
전기식이나 원심형의 클러치들을 구동축(270)이나 단부에 설치하여, 작동모드에 따라 각종 부품들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각각의 클러치를 통해 토크 전달 방식으로 부품들을 연결/분리할 수 있다. 이런 클러치들은 일방향 기구일 수도 있다.
도 5의 구조에서는 엔진(200)과 모터(202)를 이용해 (전기모터 모드 없는) 발전모드도 가능하다. 원심형일 수 있는 제1 클러치(272)는 구동축(270)의 잔방부의 후단부와 구동축의 후방부의 전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구동축(270)의 후방부(274)는 제1 클러치(272)와 기어박스(302)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클러치는 엔진(200)의 출력축이 1500 rpm 정도의 최소 속도로 회전할 때만 결합되며 천이상태에서의 회전속도차를 보상한다. 다른 값도 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견인장치가 움딕이지 않을 때는 엔진(200)이 공회전한다.
엔진(200)이 모터(202)에 토크를 공급할 때는 견인장치(100)가 움직이지 않아도 제1 클러치(272)가 맞물리지 않도록 세팅할 수 있다. 발전을 위한 회전속도는 제1 클러치(272)를 결합하기 위한 최저 회전속도보다 낮을 수 있다. 한편, 원심형 클러치 대신에 수동식이나 전기식 클러치를 이용해 엔진(200)의 출력부와 기어박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 모터(202)가 발전모드와 전동기 모드 양쪽을 가질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엔진(200)과 모터(202) 사이에, 구체적으로는 엔진의 출력부와 구동축(270)의 전단부 사이에 제2 클러치(276)를 배치할 수도 있다. "제1"이나 "제2"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을 위해 사용하는 용어일 뿐이다.
제2 클러치(276)는 원심형이거나 원격작동식이거나 일방향일 수 있다. 예컨대, 견인장치(100)가 20km/h 정도의 저속으로 움직일 때는 모터(202)의 토크만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다른 값도 가능하다. 고속의 경우, 엔진(200)이 시동되거나, 공회전 엔진의 출력부가 구동축(270)과 연결된다. 또, 조작자(110)가 견인장치를 "전기" 모드에만 두면, 예컨대 엔진(200)이 있을 경우에도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모터(200)나 전용 시동기로 엔진(200)을 시동걸 수 있다. 모터(200)에 의한 엔진(200)의 시동은 시동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도 가능하다. 시동모드는 전용 시동기의 필요성은 줄이지만 여전히 몇가지 이유로 사용되고 있다. 제2 클러치(276)가 일방향 클러치이면, 모터모드를 보조하는데 모터(202)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제1 클러치(272)는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모터(202)는 견인장치(100)를 역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유일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진(200)을 역회전시켜 견인장치(100)를 반대로 움직이는 엔진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중량과 비용절감을 위해 역회전 기어트레인의 사용은 생략할 수 있다. 물론,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한편, 클러치 없이 구동축(270)을 엔진(200)에서 기어박스(302)까지 장애 없이 뻗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모터(202)는 견인장치(100)의 이동과 엔진(200)의 시동을 항상 동시에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견인장치가 움직이지 않을 때마다 엔진(200)은 공회전에 이를 정도로 충분히 빠르게 정지한다. 견인장치(100)가 움직이고 엔진(200)이 시동되면, 모터(202)는 전기모터 모드가 아닌 발전모드로 되어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여분의 동력이 필요할 경우, 예컨대 견인장치(100)가 무거운 짐을 운반하거나 급경사를 올라야만 할 때 모터(202)를 전기모터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전기모터 모드와 발전모드 사이의 변환은 자동으로나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견인장치(100)에서 생긴 전력과 연료의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동작이 필요할 수도 있다.
엔진(200)과 모터(202)를 둘다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모터(202)를 발전모드나 전기모터 모드로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상황은 전술한 실시예와 비슷하지만, 제1 클러치(272)가 이용된다. 제1 클러치(272)는 원심형이나 원격작동형이다. 엔진(200)은 견인장치(100)의 동작 없이 모터(202)를 발전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동축으로 배치된 2개의 축 부분들을 이용해 구동축(270)을 구성할 수 있다. 모터(202)의 회전자를 외부 축 부분에 연결하고 엔진(200)의 출력축은 내부 축 부분에 연결한다. 내부축과 외부축 사이에 클러치를 설치해 서로 연결/분리되도록 한다. 양쪽 축 부분들이 분리되면 엔진(200)이 견인장치(100)를 구동하되 모터(202)의 토크 전달이 불필요할 때 모터(202) 내부의 회전자의 불필요한 회전을 피할 수 있다. 견인장치(100)를 엔진(200) 없이 구동할 때에도 양쪽 축 부분들이 분리된다.
도 6은 도 1의 견인장치의 측판(140)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모터(202)의 대부분은 하우징(104)의 후방 격실(154)에 위치하고, 엔진(200) 전체는 견인장치의 전방 격실(152) 안에 위치한다.
배터리(206)는 전방 격실(152) 안에 설치된다. 배터리가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러개일 수도 있다.
배터리(206)는 전기모터 모드일 때는 모터(202)에 전력을 공급하고, 발전모드일 때는 전력을 저장하며, 필요하다면 엔진(200)의 시동기에 전력을 공급하기도 한다. 조작자(110)는 측판(140)을 분리하고 엔진(200)에 접근하지 않고도 전선 등을 사용해 손으로 엔진의 시동을 걸 수 있다. 견인장치(100)가 움직일 때에도 엔진(200)의 기계적 동력을 이용해 모터(202)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발전모드로 동작하는 모터(202)에서 생긴 전기를 견인장치(100)의 내외부에 설치된 전기 소켓을 이용해 외부 장비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런 전기의 전압은 규격에 맞게 60Hz나 50Hz에서 110V나 220V나 240V일 수 있다. 견인장치(100)를 이용한 발전 가능성은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산장이나 원격지의 전력 공구들의 운용하는 작업자들에게 아주 유리하다. 다른 사용이나 상황도 가능하다. 모터(202)의 정격 전력은 4000~6000W 정도이지만 더 크거나 작은 용량도 가능하다. 견인장치(100)가 배터리(206)만을 이용해 외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외부장비를 위한 발전을 할 때, 견인장치(100)의 양 측벽(140) 중의 하나나 둘다를 냉각을 위해 분리할 수도 있다.
도 6의 제어반(306)은 발전을 할 때 견인장치(100)의 전력관리를 위한 것으로, 스위치, 다이얼, 전기소켓 등을 포함하며, 측판(140)의 안이나 밖에 위치할 수 있다. 견인장치 내부에 제어반(306)이 있으면 물이나 먼지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측판을 분리해서나 제어반 정면에 위치한 힌지 커버(132)를 열어 접근할 수 있다(도 3 참조). 이 커버(132)는 상부 힌지식이어서, 커버를 열면 제어반에 비가 닿지 않는다.
도 6은 하우징(104)과 궤도(102)의 상부에 설치된 외부 연료탱크(204)를 보여준다. 이런 외부 연료탱크(204)는 측판(126)의 지지를 받는다. 외부 연료탱크(204) 대신에 외부 갑판을 사용하고, 하우징(104) 안에 연료탱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연료탱크를 하우징 안과 밖 양쪽에 배치할 수도 있다. 외부 갑판은 공구박스, 화물박스, 외부 배터리 등의 짐을 운반하는데 유용하다. 도시된 것과 같은 외부 연료탱크는 60리터 정도의 연료를 채울 수 있다. 이 연료는 외부 연료탱크와 하우징 내부 사이에 이루어진 연료라인을 통해 엔진(200)에 공급된다. 외부 갑판 위에 외부 배터리가 있을 때는, 외부 배터리와 하우징 내부를 연결하는 전선이 있다.
여러 방식으로 신선한 공기를 하우징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액체나 눈이나 얼음 입자 형태의) 물, 잔가지, 나뭇잎, 모래와 같은 고체 찌꺼기나 입자와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104)에 들어갈 위험을 줄이는 방법도 여러가지 있다. 모든 오염물들은 흡배기구를 통해 공기와 같이 운반된다.
도 7은 도 1의 견인장치(100) 내부의 공기순환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편의상 배터리(206)와 제어반(306)은 제거했다. 모터(202)는 견인장치(100)의 핸들바(106)의 말단부 부근에 있는 한쌍의 흡기 슬롯(310)에서 후방 격실(154)로 들어가는 공기에 의해 냉각된다. 이런 흡기 슬롯은 따라서 지면보다 비교적 높이 있다. 핸들바(106) 안에 있는 중공 튜브(312)는 기단부가 후방 격실(154)로 통한다.
핸들바(106)는 하우징(104)에 피봇 가능하게나 고정되게 연결된다. 흡기 슬롯(310)은 물이나 눈이나 고체 입자들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교적 지면보다 높이 위치하고, 핸들바(106)가 어떤 이유로 지면에 닿을 경우에도 먼지나 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중공 튜브(312)의 측면에 위치한다.
모터(202)의 전방부(304)는 후방 내벽(15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전방 격실(152) 안으로 돌출한다. 이 전방부(304)는 모터(202)의 내부 공랭회로의 출구에 해당한다. 모터(202)의 케이싱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공기는 전방부(304)의 배기구를 통해 전방 격실(152) 안으로 배출된다. 모터(202) 내부의 팬은 모터의 회전자가 회전할 때 구동된다. 모터의 냉각회로를 형성하는 공기통로를 통해 순환한 뒤의 따뜻한 공기는 모터를 나가 하우징 내부에서, 예컨대 추운 날씨에 배터리(206)를 보호하는데 사용된다.
엔진(200)의 전방 흡기구(320)는 공기덕트(322)를 통해 후방 격실(154)에 직접 연결되고, 슈라우드(324)로 덮이며, 공기덕트(322)의 단부가 슈라우드에 연결된다. 공기덕트(322)의 타단부는 후방 내벽(150)에 형성된 구멍(326) 주면에 연결된다(도 4 참조). 엔진(200)의 냉각공기는 모두 후방 격실(154)에서 온다. 엔진의 냉각팬은 구멍(326)과 공기덕트(32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력을 일으킨다. 냉각공기는 엔진(200)의 실린더 둘레를 지나 전방 격실(152) 안으로 들어간다. 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전방 격실(152)에서 직접 흡입되지만, 후방 격실에서 흡입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구조의 장점은, 엔진(200) 내부의 연소용 공기가 예열되고 건조한데 있다. 이때문에 아주 추운 날씨에서도 엔진(200)을 장기간 작동시킬 수 있고 엔진을 파손시킬 수 있는 얼음이 쌓일 위험이 없어지거나 완화된다.
전방 격실(152)은 작동중에 정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되는데, 이 기능은 공기 출구면적을 공기 입구면적보다 작게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전방 격실(152)과 견인장치 외부 사이에 배기 슬롯(330)을 두는데, 이런 배기슬롯은 도 3과 같이 측벽(140)에 두고 중공 튜브(312)보다 작은 크기로 한다. 물론 다른 변형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단부가 궤도(102)보다 위에 있는 배기관을 통해 전방 격실(152)에서 공기가 나가거나 핸들바(106)의 배기구를 통해 공기가 나가도록 한다. 핸들바(106)에는 흡기슬롯(310)과 배기슬롯 둘다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한쪽 중공튜브(312)는 흡기용으로, 다른쪽 중공튜브는 배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하우징(104) 안으로 공기를 흡입하거나 하우징에서 공기를 내모는 스노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스노클은 측벽(140) 외측면에 설치하고, 견인장치를 습지에서 사용하거나 하우징 대부분이 일시적으로 물속에 잠기는 구간을 통과할 때 물이 침입하지 못하게 윗쪽으로 뻗는다.
전방 격실(152)의 정압 때문에 하우징(104)의 방수성이 강화된다. 하우징(104)은 핸들바(106)의 흡기슬롯(310)의 높이에 이르기까지 강한 방수구조를 갖는다. 전방격실(152) 내부의 정압 때문에 완전방수가 되지 않는 곳으로 물이 침입할 위험이 없어진다.
필요하면 흡배기구에 연결된 유연한 덕트에 여러개의 팬들을 직렬로 배치하여 전방격실(1520 내부온도가 너무 높아질 경우 공기량을 높일 수 있다. 이런 팬들은 온도센서가 달린 온도제어기를 이용해 자동으로 온오프된다. 핸들바(106)의 중공 튜브(312) 내부에도 팬을 배치할 수 있다.
배터리(206)의 측면과 측벽(140)의 내면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 앞벽(146)까지 공기가 순환한 다음 앞벽(146)과 전방 내벽(156) 사이의 반대쪽으로 돌아간다. 배터리(206)의 윗면과 바닥면을 필요하다면 발포제 등으로 밀봉하여 주변 공기회로를 만들 수도 있다. 배터리(206) 둘레의 공기회로로 들어가기 전에, 모터(202)에서 나온 공기가 엔진(200)을 순환하면서 복사열을 캡처한다.
또, 엔진(200)과 배터리(206) 사이에 내벽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런 내벽의 측면에 전동 셔터를 사용하여 배터리 둘레의 공기회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배터리가 너무 과열되지 않도록 하려면 공기회로를 닫아야 한다. 예를 들어 온도제어기나 다른 자동 제어기를 사용하건자 수동으로 전동 셔터를 조정할 수 있다.
엔진(200)의 실린더에서 나오는 배가스는 출구가 궤도(102)보다 위에 있는 배기관을 통해 견인장치 밖으로 나간다. 배기관의 출구가 다른 곳에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후방 가로차축(172)과 2개의 후방 롤러(170)가 위치한 곳에 출구가 있을 수 있다. 이 장소는 하우징(104) 둘레의 궤도(102)에 의해 부분적으로 막힌다. 이런 구성은 소음을 줄이고, 조작자(110)의옷이나 피부와 배기관의 고온 출구 사이의 접촉을 방지한다. 엔진(200)이 동작하지 않을 때 엔진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이런 개념에 의거한 소형 견인장치(100)의 다른 일례의 사시도로서, 연료작동 엔진이 없어 모터(202)는 전기모터 모드로만 사용된다. 엔진이 없어 배터리(206)가 더 많이 있다. 배터리는 외부전원을 이용해 충전된다.
사용중에 배터리(206) 둘레의 공기경로에서, 예컨대 배터리의 좌측의 공간에서 전진했다가 전방 격실(152)의 전방의 공간에서 좌에서 우로 흘렀다가, 다시 배터리(206) 우측 공간에서 뒤로 흘러 하우징을 빠져나가도록 공기가 순환한다. 배터리(206) 좌우측 공간은 배터리 윗면이나 아랫면을 따라 배치된 발포요소 등을 이용해 서로 분리된다. 전방 격실(152) 내부의 주변 공기회로에 의해 배터리(206)를 추운 날씨에서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구성에서는 핸들바(106) 말단부의 배기슬롯(314)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공기는 중공 튜브(312) 중의 하나로 들어가고 나머지 중공튜브로 나간다. 중공튜브(312)는 상단부를 막아 흡기슬롯(310)과 배기슬롯(314)이 핸들바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한다. 환기회로 마지막 구간에 있는 공기덕트(340)를 통해 유입 공기와 섞이지 않고 공기가 바로 다른쪽 중공튜브(312)에 직접 보내진다. 후방 내벽(150)에 있는 구멍(326)을 이용해 전방 격실(152)에서 공기가 나간다.
도 8의 환기회로의 구성을 도 1~7의 구성에 구현하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도 8의 구성을 취하면, 하우징(104)이 핸들바(106)의 흡기슬롯과 배기슬롯의 높이까지 강력한 방수 구조를 갖고, 이때문에 견인장치(100)가 강이나 개울 등을 거널 때 물 속에 잠겨도 괜찮다.
도 8의 구성에서, 하우징 내부의 화물공간을 위해 배터리 수를 줄이거나 하우징을 더 크게할 수도 있다. 화물공간은 하우징(104)의 앞벽과 내벽(156) 사이에 마련하고, 이곳에 자가발전기, 자가발전 워터펌프 등의 장비를 보관할 수도 있다. 이런 장비는 화물공간에서 꺼내 견인장치(100) 외부에서 작동되거나 견인장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장비를 조작하는 것을 피하려면 후자가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출력부를 하우징 내부의 배터리에 연결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자가발전기를 내장한 견인장치(100)를 설계할 수도 있다. 공기순환을 통해 발전기의 열을 배터리(206)에 보내 배터리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전동 셔터를 온도제어기와 서보모터에 연결해 공기회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열선과 같은 히터를 하우징(104) 내부에 설치해 배터리를 충전할 때나 추운날씨에 외부에 저장할 때 따뜻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런 히터에 필요한 전력은 가정용 콘센트 등의 외부 전원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핸들바(106)의 기단부를 견인장치의 다른 곳에, 예를 들면 견인장치를 어느 방향으로도 쉽게 사용할 수있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핸들바(106)의 기단부 좌우측을 양쪽측벽(140)에서 견인장치의 중심에 연결할 수도 있지만,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이런 특징은 핸들바(106)를 하우징(104)의 다른쪽으로 피봇하여 하우징을 돌리지 않고도 견인장치(100) 방향을 바꾸는데 유용하다. 예컨대, 견인장치(100)가 막다른 곳에 있을 경우, 조작자(110)가 손잡이(108)를 다른 쪽으로 움직이기만 해도 견인장치(100)를 후진시킬 수 있다. 완벽한 가역장치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개념이 없다.
견인장치(100)의 앞에 쟁기와 같은 도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런 쟁기는 눈이나 얼음은 물론 모래나 흙이나 진흙을 치우는데 사용된다. 쟁기에 리프팅 시스템을 달아 지면에 대해 위아래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 하우징(104)에 로더가 달린 버킷이나 포크리프트를 연결할 수도 있다.

Claims (55)

  1. 종축선(105)을 따라 뻗고 다수의 외벽들을 갖춘 방수 하우징(104);
    종축선(105)을 따라 하우징(104) 외부에 배치되고, 하우징 둘레를 회전하면서 견인장치(100)를 움직이는 궤도(102);
    상기 궤도(102)를 움직이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고, 하우징(104)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궤도 구동모터(200,202); 및
    상기 궤도 구동모터(200,202)와 궤도(102)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하도록 하우징(104)에 지지되는 파워트레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트레인 어셈블리가 구동축(270), 가로 구동차축(164,172) 및 기어박스(302)를 가지며;
    상기 구동축(270)은 하우징(104)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축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104)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어박스(302)는 입력부는 상기 구동축(270)에 연결되고 출력부는 가로 구동차축(164,172)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동력은 하우징(104)의 벽들 중의 하나를 가로질러 밀봉되어 뻗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구간을 이용해 파워트레인 어셈블리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2)가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내부 감속기어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감속기어기구가 자체잠금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2)와 가로 구동차축(164,172)가 하우징(104)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구동차축(164,172)가 기어박스의 출력부를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2)가 가로 구동차축(164,172)을 따라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구간이 구동축(270)의 일부분(27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70)의 일부분(274)이 하우징(104)의 뒷벽(148)을 관통하고 밀봉 베어링(180)이나 회전 밀봉 구조에 의해 뒷벽(148)에 밀봉 연결되고, 기어박스(302)의 출력부는 견인장치의 후단부에 있는 후방 가로 구동차축(17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가로 구동차축(172)이 이곳에 동축으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170)를 통해 토크를 전달하도록 궤도(102)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170)는 궤도(102)의 안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302)의 출력부가 견인장치의 전단부에 있는 전방 가로 구동차축(16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102)의 위로 하우징(104)에 연결된 외부 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갑판이 짐이나 장비를 포함한 화물 저장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갑판이 외부 배터리와 전선을 갖고, 이 전선은 외부 배터리와 하우징(104)의 내부 사이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갑판이 외부 연료탱크와 연료라인을 갖고, 이 연료라인은 외부 연료탱크와 하우징(104)의 내부 사이로 뻗어 연료를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말단부와 기단부를 갖는 핸들바(1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단부는 하우징(104)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106)의 기단부가 하우징(104)의 좌우 측면에 피봇 연결된 좌우 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106)가 핸들바에 있는 공기구멍과 하우징(104)의 내부 사이로 뻗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회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튜브(312)를 포함하고, 이 공기회로는 하우징(104)의 좌우 측면부 중의 적어도 하나와 핸들바(106)의 피봇연결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106)가 핸들바(106)의 말단부가 지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106)의 말단부가 하우징(104)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어, 핸들바의 말단부를 하우징(104)의 대응 단부쪽으로 돌려 견인장치(100)를 어떤 방향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의 말단부가 하우징의 중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106)의 말단부와 기단부 사이로 핸들바 내부에 마모나 파손되지 않도록 전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2.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궤도(102) 위에서부터 하우징(104)안으로 신선한 공기를 들여보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노클이 하우징 옆에서 윗쪽으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3.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하우징(104) 뒤에 운반기를 연결하고, 이 운반기는 접지 타이어와 상부 플랫폼을 가지며, 상부 플랫폼에 조작자가 서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4.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 내부에 화물공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화물공간에 자가동력 장비를 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동력 장비가 견인장치(100) 내부에 설치되고 화물공간 내부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동력 장비가 작동을 위해 화물공간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동력 장비가 연료로 동작하는 자가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동력 장비가 연료로 동작하는 자가발전 워터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동력 장비가 연료로 동작하는 자가발전기를 포함하고, 이 자가발전기는 작동중인 견인장치(100) 내부의 배터리(206)를 충전하는 전기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기가 작동할 때 배터리(206)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회로가 하우징(104) 내부의 화물공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2.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70)에 브레이크 디스크가 동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구동모터가 구동축(270)에 동축으로 설치된 전기모터(2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202)가 하우징 내부의 배터리(206)에서 전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5. 제34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의 배터리(206)에서 전력을 받아 외부 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파워 인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이 전방 격실(152)과 후방 격실(154) 사이에서 하우징 내부를 분리하는 내벽(1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150)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동 셔터를 통과하는 환기회로가 하우징(104)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8. 제36항에 있어서, 하우징(104)의 전방 격실(152)을 정압으로 가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39. 제33항에 있어서, 궤도(102)를 구동하는 회전 동력을 전기모터(202)만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구동모터가 내연기관형 엔진(200)을 더 포함하고, 이 엔진의 크랭크축 회전축은 종축선(105)에 평행하며, 엔진(200)의 출력부는 구동축(270)의 단부에 연결되고, 엔진(200)이 대응 공기덕트(322)를 통해 후방 격실(154)과 연료가 통하는 입구를 갖춘 빌트인 환기구와 통합 슈라우드(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구동모터가 전기모터(202)와 내연기관형 엔진(200)을 더 포함하고, 이 엔진의 크랭크축 회전축은 종축선(105)에 평행하며, 엔진(200)의 출력부는 구동축(270)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전기모터(202)와 기어박스(302) 사이에 위치한 구동축(270)의 2 부분들을 연결분리하는 제1 클러치(272)를 더 포함하고, 이 클러치가 원심형이나 전기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202)가 시동모드와 발전모드를 갖고, 시동모드에서는 엔진(200)의 크랭크축을 구동하는 회전 동력을 공급하여 엔진(200)을 시동시키고, 발전모드에서는 엔진(200)에서 받은 회전 동력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4. 제43항에 있어서, 엔진(200)과 구동축(270) 사이에 제2 클러치(276)를 더 배치하고, 제2 클러치(276)는 원심형, 전기식 또는 일방향식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5. 제44항에 있어서, 전기모터(200) 모드에서만 견인장치를 백업하도록 제2 클러치(276)를 통해 엔진(200)을 구동축(270)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6.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급경사에 있거나 하중을 끌 때 상기 궤도(102)를 움직이는 회전 동력의 일부를 동시에 생성하는 엔진(200)과 전기모터(202)에 의해 동시에 궤도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7.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견인장치가 움직이고 있을 때 제동력을 일으키고 제동력의 토크를 이용해 배터리(206)를 충전할 수 있는 발전모드를 상기 전기모터(202)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8.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터(202)가 견인장치의 동작중에 발전할 수 있는 발전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49.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궤도 구동모터가 종축선(105)에 평행한 크랭크축 회전축을 갖는 내연기관형 엔진(200)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50. 제49항에 있어서, 엔진(200)의 회전을 반대로 하고 견인장치(100)를 반대쪽으로 구동시키는 엔진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51.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이 상부 힌지를 이용해 하우징의 벽(140)에 피봇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이 측면 패널은 개방되었을 때 비를 막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52.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4)이 한쌍 이상의 롤러나 바퀴가 달린 스키드(160)를 더 포함하고, 이런 롤러나 바퀴는 하우징(104)에 설치된채 궤도(102)의 내면에 맞닿아 궤도(102)의 내면과 하우징(104)의 외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53.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조사구조 장비와 보급품 중의 적어도 하나를 실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54.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쟁기, 버킷 및 포크리프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하우징(104)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5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70)이 동축으로 배치되는 2개의 축 구간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견인장치(100).
KR1020167003474A 2013-07-11 2014-06-30 소형 견인장치 KR102206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44893P 2013-07-11 2013-07-11
US61/844,893 2013-07-11
PCT/CA2014/050626 WO2015003262A1 (en) 2013-07-11 2014-06-30 Compact pul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154A KR20160032154A (ko) 2016-03-23
KR102206902B1 true KR102206902B1 (ko) 2021-01-22

Family

ID=5227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474A KR102206902B1 (ko) 2013-07-11 2014-06-30 소형 견인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3019389A4 (ko)
JP (1) JP6458800B2 (ko)
KR (1) KR102206902B1 (ko)
CN (1) CN105431346B (ko)
BR (1) BR112016000306B1 (ko)
CA (1) CA2917718C (ko)
HK (1) HK1216872A1 (ko)
MX (1) MX2016000322A (ko)
WO (1) WO2015003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865B2 (en) 2010-04-15 2017-11-21 Yvon Martel Compact pulling apparatus
BR112015008545B1 (pt) 2012-10-19 2021-06-22 Yvon Martel Unidade de acionamento de transporte
KR20180047896A (ko) * 2016-11-01 2018-05-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기차량 구동용 외장 배터리 팩 및 이의 사용방법
CN107516927B (zh) * 2017-09-28 2019-09-03 中国矿业大学 一种刮板输送机链监测节点自主供能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470A (en) 1983-03-29 1985-05-28 Giovanni Allisio Self-propelled unit for propelling a person wearing snow skis along a rising snow path
US4548315A (en) 1983-06-07 1985-10-22 Dravo Corporation Tethered vehicle for moving bulk material
JP2006123595A (ja) 2004-10-26 2006-05-18 Yamaha Motor Co Ltd 雪上車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17103A (en) * 1919-09-23 Emile rimailho
GB140121A (en) * 1917-12-26 1920-03-25 Cie Forges Et Acieries Mari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ndless track or belt rail tractor vehicles
US2393309A (en) * 1943-04-16 1946-01-22 Avery M Cochran Snow tractor
US2702088A (en) * 1951-08-31 1955-02-15 Jr Marcel Klimek Snowmobile
AU1473870A (ko) * 1970-05-06 1971-11-11
FR2431304A1 (fr) * 1978-07-18 1980-02-15 Jaulmes Eric Appareil de propulsion pour skieur
WO1994015683A1 (es) * 1993-01-15 1994-07-21 Pedro Salcedo Garcia Transportador autonomo para esquiadores
CA2195916C (en) * 1997-01-24 2005-09-20 Allen Clifford Robinson Drive system
NO311337B1 (no) * 2000-02-04 2001-11-19 Gunnar Borgli Fremdriftsaggregat for båt
JP2004089118A (ja) * 2002-09-03 2004-03-25 Seirei Ind Co Ltd クローラトラクタ
US7131507B2 (en) 2005-01-14 2006-11-07 Wenko Ag Burgdorf Tracked ATV
DE102005035824A1 (de) * 2005-07-30 2007-02-01 Renk Ag Hybrid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JP4561663B2 (ja) * 2006-03-23 2010-10-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モード切り替え制御装置
JP2007261442A (ja) * 2006-03-29 2007-10-11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運転モード遷移制御装置
JP2008081099A (ja) * 2006-08-29 2008-04-10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162998B2 (ja) * 2006-10-12 2013-03-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モード切り替え制御装置
US8844665B2 (en) 2007-12-27 2014-09-30 Swissauto Powersport Llc Skid steered all terrain vehicle
EP2558353B1 (fr) * 2010-04-15 2015-07-08 Yvon Martel Appareil de traction compact
CN102009588B (zh) * 2010-11-10 2013-03-06 清华大学 单电机双离合器混合动力车辆发动机启动协调控制方法
CN102632782A (zh) * 2011-02-10 2012-08-15 谭泽瀛 高通过性车辆
CN103477123B (zh) * 2011-04-15 2016-10-12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5647560B2 (ja) * 2011-04-25 2014-12-24 株式会社クボタ 走行用回転体の支持装置
CN102490718B (zh) * 2011-11-30 2014-07-16 重庆大学 双离合器式混合动力汽车电机起动发动机的控制方法
EP3153383B1 (en) * 2013-03-25 2019-08-28 Polaris Industries Inc. Tracked all-terrain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470A (en) 1983-03-29 1985-05-28 Giovanni Allisio Self-propelled unit for propelling a person wearing snow skis along a rising snow path
US4548315A (en) 1983-06-07 1985-10-22 Dravo Corporation Tethered vehicle for moving bulk material
JP2006123595A (ja) 2004-10-26 2006-05-18 Yamaha Motor Co Ltd 雪上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3262A1 (en) 2015-01-15
BR112016000306B1 (pt) 2021-09-21
CN105431346A (zh) 2016-03-23
CA2917718C (en) 2020-01-21
MX2016000322A (es) 2016-07-18
KR20160032154A (ko) 2016-03-23
JP6458800B2 (ja) 2019-01-30
EP3019389A1 (en) 2016-05-18
BR112016000306A2 (ko) 2017-07-25
EP3019389A4 (en) 2016-07-13
JP2016525039A (ja) 2016-08-22
CN105431346B (zh) 2021-02-02
CA2917718A1 (en) 2015-01-15
HK1216872A1 (zh)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2433B2 (en) Compact drive unit including juxtaposed tracks
US9821865B2 (en) Compact pulling apparatus
US8528672B2 (en) Compact pulling apparatus
KR102206902B1 (ko) 소형 견인장치
US8827014B2 (en) Compact pul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