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524B1 -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 Google Patents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524B1
KR102206524B1 KR1020180170816A KR20180170816A KR102206524B1 KR 102206524 B1 KR102206524 B1 KR 102206524B1 KR 1020180170816 A KR1020180170816 A KR 1020180170816A KR 20180170816 A KR20180170816 A KR 20180170816A KR 102206524 B1 KR102206524 B1 KR 10220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tube
heat shielding
heat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0877A (ko
Inventor
방대석
조순봉
Original Assignee
방대석
조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대석, 조순봉 filed Critical 방대석
Priority to KR1020180170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5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16L59/185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고 패킹의 삽입을 위한 패킹홈이 형성되는 패킹하우징과, 상기 패킹하우징에 형성되는 패킹실린더와, 상기 내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신축관과, 상기 내관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외관을 포함하는 신축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에 상기 패킹하우징을 감싸도록 격벽으로 설치되어,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 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열차단구획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 공간은 상기 열차단구획부의 격벽을 중심으로 상기 패킹하우징 측에 인접한 제1 구역과, 상기 외관 측에 인접되는 제2 구역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 제2 구역에는 제1, 제2 단열재가 각각 충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이중관인 내관과 외관 사이에 열차단구획부를 두어 단열재가 내외부로 이중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내관의 외측면에 열차단도료를 도포시켜 내관 내측으로 이송되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열차단구획부가 연결부재를 통해서만 내관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열차단 효과를 극대화시켜 열손실 없이 유체의 이송 열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EXPANSION JOINT WITH IMPROVED HEAT INSULATION}
본 발명은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유체가 이송되는 단열이중관에 설치되는 신축조인트 연결 부분에서의 열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발전소, 에너지통합관리시설 등의 시설로부터 생산된 온수나 스팀은 배관을 통해 사용처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고온의 유체가 이송되는 배관은 이송 중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이중관을 통해 공급되며, 이 단열이중관은 유체가 유동되는 내관과, 이 내관의 외부에 이격 배치되는 외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단열이중관은 지중 혹은 교각 등을 따라 시공된 경우 고온의 열기에 의한 팽창과 지반의 침하 등에 의해 변형력을 받게 되므로 이를 흡수, 완화하기 위해 신축조인트가 관경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단열이중관에 신축조인트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신축조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10)과, 외관(10)과의 사이에 단열재 충진공간(a)을 형성하여 소정 압력의 진공이 가해진 내관(20)과, 내관(2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패킹의 삽입을 위한 패킹홈이 형성되는 패킹하우징(30)과, 패킹하우징(30)에 형성되는 패킹실린더(40)와, 내관(20)의 일단부에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신축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신축조인트는 단열이중관 내측 단열재 충진공간(a)에 단열재(60)가 충진되어 내관(20) 내부로 이송되는 유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관(20) 표면을 따라 단열재 충진공간(a) 측으로 다소 많은 열이 방출되고 있어, 단열재(60)가 충진되더라도 어느 정도 열손실은 계속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외관(10)이 내관(20)과 격벽(11)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내관(20)으로 전달된 열이 격벽(11)을 통해 외관(10)으로 직접적으로 유출되어 열손실이 더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단열이중관에 설치되는 신축조인트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열차단 특성을 향상시킨 신축조인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152152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과 내관 사이에 열차단구획부를 더 포함시켜, 단열재가 내외부 이중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열차단 효과를 더욱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차단구획부가 연결부재를 통해서만 내관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내관과 외관 사이에 열차단구획부를 고정시키도록 함과 함께 열전달이 연결부재로만 최소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관과, 상기 내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고 패킹의 삽입을 위한 패킹홈이 형성되는 패킹하우징과, 상기 패킹하우징에 형성되는 패킹실린더와, 상기 내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신축관과, 상기 내관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외관을 포함하는 신축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에 상기 패킹하우징을 감싸도록 격벽으로 설치되어,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 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열차단구획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 공간은 상기 열차단구획부의 격벽을 중심으로 상기 패킹하우징 측에 인접한 제1 구역과, 상기 외관 측에 인접되는 제2 구역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 제2 구역에는 제1, 제2 단열재가 각각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열차단구획부의 외측면에는 열차단도료가 도포된다.
더욱이, 상기 열차단구획부는 상기 패킹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내관의 일단부와 상기 신축관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열차단파이프와, 외연이 상기 열차단파이프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내관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와, 외연이 상기 열차단파이프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신축관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이 형성되는 제2플랜지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수용공에 결합되고, 상기 신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연장되어 타측 단부가 상기 패킹하우징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열차단구획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단부로만 상기 패킹하우징에 접촉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신축관의 신축가능 최대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신축관의 신축가능 최대길이의 1.1배 이상 1.2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구역을 일정 길이로 구획하기 위해 구획벽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획벽의 단부는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외연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외관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내관를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 결합편이 설치되고,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외관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2 결합편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결합편이 맞닿아 상호 볼트체결되되, 상기 제1, 제2 결합편간에는 열차단패드가 개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이중관인 내관과 외관 사이에 열차단구획부를 두어 단열재가 내외부로 이중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내관의 외측면에 열차단도료를 도포시켜 내관 내측으로 이송되는 유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열차단구획부가 연결부재를 통해서만 내관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열차단 효과를 극대화시켜 열손실 없이 유체의 이송 열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단열이중관에 신축조인트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인트의 부분 단면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시험을 통해 열차단 효과를 측정한 시험성적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인트의 부분 단면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는 내관(100), 패킹하우징(200), 패킹실린더(300), 신축관(400), 외관(500) 및 열차단구획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관(100)은 내부로 유체가 이송되는 관으로, 내관(1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는 패킹하우징(200)이 결합된다.
패킹하우징(200)은 내관(100)과 신축관(4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내관(100)의 단부측에 용접되어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몸체 내주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홈(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패킹홈(210)은 패킹하우징(200)의 내면과 신축관(400)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부(220)가 설치되는 홈으로서, 파우더나 입자 형태로 형성된 패킹파우더(221)가 삽입되는 중앙 패킹홈(211)과, 이 중앙 패킹홈(211)의 양쪽으로 링 형상의 링형 패킹(222)이 삽입되는 좌,우 패킹홈(212)으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링형 패킹(222)은 내열 특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흑연입 테프론 섬유 아라미드 섬유 패킹(GFO and aramid fiber packing), 그라파이트 섬유 패킹(Graphite fiber packing)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패킹실린더(300)는 중앙 패킹홈(210)에 패킹파우더(221)를 주입하기 위해 패킹하우징(200)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패킹하우징(20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링 구조로 배치된다.
신축관(400)은 내관(1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대략 파이프 형상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고, 유체의 열기에 의해 내관(100)이 길이방향으로 팽창하고, 이에 접속된 신축관(400)이 패킹하우징(200)에 안내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외관(500)은 내관(100)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외관(500)과 내관(100)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도록 하여 내관(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외관(500)의 외측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열차단구획부(600)는 외관(500)과 내관(100) 사이 공간을 분할시켜 단열재가 내외부 이중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외관(500)과 내관(100) 사이에 패킹하우징(200)을 감싸도록 격벽으로 설치되어 외관(500)과 내관(100)의 사이 공간을 양측으로 구획시킨다.
이에 따라, 외관(500)과 내관(100) 사이 공간은 열차단구획부(600)의 격벽을 중심으로 패킹하우징(200)의 외측면과 접하는 제1 구역(A)과, 외관(500)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는 제2 구역(B)으로 구획되며, 이러한 제1, 제2 구역(A, B)에는 제1, 제2 단열재(810, 820)가 각각 별도로 충진된다.
이러한 열차단구획부(600)는 내관(100)과 신축관(400)의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열차단파이프(610)와, 열차단파이프(610)의 양단부측을 커버하는 제1, 제2 플랜지(620, 630) 및 열차단파이프(610)를 고정지지하는 연결부재(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열차단파이프(610)는 패킹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상기 내관(100)의 일단부에서 상기 신축관(400)의 일단부까지 감싸도록 원통형상으로 일정길이로 설치된다.
제1 플랜지(620)는 외연이 열차단파이프(610)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열차단파이프(610)의 일단부 외연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며, 내측에는 내관(100)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6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수용공(621)은 내관(10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1 플랜지(620)가 내관(10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한다.
제2 플랜지(630)는 제1 플랜지(620)와 같이 외연이 열차단파이프(610)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열차단파이프(610)의 타단부에 용접을 통해 결합되며, 내측에는 신축관(400)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63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 수용공(631)은 신축관(400)의 외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2 플랜지(630)가 신축관(40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한다.
연결부재(640)는 일측 단부가 제2 수용공(631)에 결합되고, 신축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연장되어 타측 단부면이 패킹하우징(200)의 일측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재(640)는 신축관(40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용접을 통해 타측 단부면이 패킹하우징(200)의 측면 전체를 둘러싸면서 결합되거나, 타측 단부면이 신축관(400)의 외경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 패킹하우징(200)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열차단구획부(600)는 연결부재(640)의 타측 단부로만 패킹하우징(200)과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의해, 내관(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은 연결부재(640) 측으로만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열차단구획부(600)를 내관(100)과 외관(500) 사이에 고정되도록 함과 함께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더욱이, 연결부재(640)는 도 3에서와 같이 신축관(400)이 내관(100)의 팽창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신축될 수 있는 최대길이(L)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연결부재(640)의 타측 단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열이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재(640)의 타측 단부측으로 이동되면서 외부와 접해지는 경로가 길어져, 외부로 최대한 많은 열이 상쇄되도록 하여, 제2 플랜지(630) 측으로는 최대한 적은 열이 전달되도록 하며, 아울러, 신축관(400)의 슬라이딩 이동구간 외측 부분을 전체면으로 커버하도록 하여 신축관(400)이 슬라이딩되는 구간을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640)는 신축관(400)의 신축가능 최대길이(L)의 1,1배 이상 1.2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차단구획부(600)는 제1, 제2 플랜지(620, 630)에 의해 제1 단열재(810)가 충진되기 위한 제1 구역(A)이 일정 길이로 구획되도록 하며, 제2 단열재(820)가 충진되기 위한 제2 구역(B)은 외관(500)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획벽(510)에 의해 구획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획벽(510)은 외관(500)의 내측면에서 열차단파이프(610)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되, 구획벽(510)이 열차단파이프(6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구획벽(510)의 단부가 열차단파이프(610)의 외연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열차단파이프(610)로부터의 직접적인 열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외관(500)의 내면 일측에는 내관(100)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 결합편(520)이 설치되고, 열차단파이프(610)의 외면 일측에는 제1 결합편(520)이 돌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관(500)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2 결합편(611)이 설치되며, 이러한 제1, 제2 결합편(611)에 형성되는 볼트체결공을 상호 맞닿도록 하여 볼트를 체결시켜, 외관(500)이 고정됨과 함께 제2 구역(B)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제1, 제2 결합편(520, 611)이 볼트체결될 경우, 제1, 제2 결합편(520, 611)간에는 열차단패드(900)가 개재되어 열차단파이프(610)에서 전달된 열이 외관(500)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율이 열차단구획부(600)의 양단부측 플랜지 부분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상기와 같이 열차단구획부(600)의 양단부측에서는 외관(500)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열차단구획부(600)의 양단부와 일정거리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제2 결합편(520, 611)을 통해 최소한의 고정구조로 고정되도록 하여, 열차단구획부(600)를 통한 열전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열차단구획부(600)의 외측면에는 열차단도료(700)를 일정 두께로 도포시켜 2단으로 분리된 제2 단열재(82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열차단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관(500)과 내관(100) 사이에 열차단구획부(600)를 더 설치하여, 단열재가 내외부로 이중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이중으로 설치되는 제1, 제2 단열재(810, 820)가 열차단구획부(600)에 의해 제1 단열재(810)로 전달되는 열이 제2 단열재(82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열차단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더욱이, 열차단구획부(600)의 외측면에 열차단도료(700)를 도포시켜 제1 단열재(810)와 접촉되는 열차단구획부(600)로 전달될 수 있는 열이 원천적으로 제2 단열재(8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시킨다.
또한, 열차단구획부(600)가 연결부재(640)를 통해서만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열차단파이프(610)로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며, 이러한 연결부재(640)의 길이를 일정길이 이상으로 형성시켜 연결부재(640)의 타단부로 전달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열차단파이프(610) 측으로는 열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에 열차단 시험을 직접 의뢰하여 시험시료의 표면 온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였다.
도 5 내지 도 7은 내관(100) 외부에 열차단도료(700)를 도포시켜 표면온도를 측정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은 신축조인트의 외부에 열차단도료(700)를 도포시킨 시험시료의 내부에 열매체유를 채운 다음, 열매체유를 가열하여 270℃로 올리고 3.5Mpa의 압력을 가하고, 5분 동안 온도를 유지시킨 후 시험시료의 표면온도를 측정한 결과로서, 시험결과 표면온도가 42℃로 나타났으며, 도 7은 도 6과 같은 구조로 열차단도료(700)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시험시료로서, 도 6에서와 같은 동일한 조건으로 실험한 결과, 표면온도가 85℃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열차단도료(700)의 도포에 의해 신축조인트의 표면온도가 절반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과 같이 내관(100)과 외관(500) 사이에 열차단구획부(600)를 설치하여 단열재를 이중으로 설치함과 함께, 열차단구획부(600)의 외측면에 열차단도료(700)를 도포시킨 상태의 시험시료를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한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시험시료 내부에 열매체유를 채운 후 히터로 열매체유를 400℃로 올리고, 4.0Mpa의 압력을 가한 다음, 온도를 5분 동안 유지한 다음 표면온도를 측정한 결과, 표면온도가 16℃로 측정되었으며, 이때 주위온도는 15℃이다.
상기와 같은 시험에 의해, 표면에 열차단도료(700)를 도포시킨 시험시료가 열차단도료(700)를 도포시키지 않은 상태보다 표면온도가 절반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더욱이 열차단구획부(600)들 두고 단열재를 이중으로 설치시킨 결과, 표면온도가 대기온도와 1℃ 차이밖에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열재를 다단으로 배치시켜 열전도율을 떨어뜨리는 것이 아니라, 제1 단열재(810)를 열차단구획부(600)로 외부와 차단시켜 열차단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더욱이, 이러한 열차단구획부(600)의 외측면에 열차단도료(700)를 도포시켜 제1 단열재(810)로 부터 전달될 수 있는 열을 완벽하게 차단시키도록 하여, 상기의 도 9에 나타난 시험결과에서와 같이 시험시료의 표면온도가 외기 온도와 1℃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열차단율이 거의 100%에 근접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내관
200 : 패킹하우징
300 : 패킹실린더
400 : 신축관
500 : 외관 510 : 구획벽
520 : 제1 결합편
600 : 열차단구획부 610 : 열차단파이프
611 : 제2 결합편 620 : 제1 플랜지
621 : 제1 수용공 630 : 제2 플랜지
631 : 제2 수용공 640 : 연결부재
700 : 열차단도료
810 : 제1 단열재 820 : 제2 단열재
900 : 열차단패드
A : 제1 구역 B : 제2 구역

Claims (7)

  1. 내관과, 상기 내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설치되고 패킹의 삽입을 위한 패킹홈이 형성되는 패킹하우징과, 상기 패킹하우징에 형성되는 패킹실린더와, 상기 내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내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신축관과, 상기 내관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외관을 포함하는 신축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에 상기 패킹하우징을 감싸도록 격벽으로 설치되어, 상기 외관과 내관의 사이 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열차단구획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 공간은 상기 열차단구획부의 격벽을 중심으로 상기 패킹하우징 측에 인접한 제1 구역과, 상기 외관 측에 인접되는 제2 구역으로 구획되어, 상기 제1, 제2 구역에는 제1, 제2 단열재가 각각 충진되며,
    상기 열차단구획부는 상기 패킹하우징을 포함하여 상기 내관의 일단부와 상기 신축관의 일단부를 감싸도록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열차단파이프와, 외연이 상기 열차단파이프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내관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와, 외연이 상기 열차단파이프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상기 신축관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이 형성되는 제2 플랜지 및 파이프형태로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수용공에 결합되고, 상기 신축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상기 신축관의 신축가능 최대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타측 단부면이 용접을 통해 상기 패킹하우징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밀착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열차단구획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단부로만 상기 패킹하우징에 접촉되며,
    상기 외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 구역을 일정 길이로 구획하기 위해 구획벽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구획벽의 단부는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외연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관의 내면 일측에는 상기 내관를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1 결합편이 설치되고, 상기 열차단파이프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편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외관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제2 결합편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제2 결합편이 맞닿아 상호 볼트체결되되, 상기 제1, 제2 결합편간에는 열차단패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구획부의 외측면에는 열차단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신축관의 신축가능 최대길이의 1.1배 이상 1.2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70816A 2018-12-27 2018-12-27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KR10220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16A KR102206524B1 (ko) 2018-12-27 2018-12-27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816A KR102206524B1 (ko) 2018-12-27 2018-12-27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77A KR20200080877A (ko) 2020-07-07
KR102206524B1 true KR102206524B1 (ko) 2021-01-22

Family

ID=7160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816A KR102206524B1 (ko) 2018-12-27 2018-12-27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5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0848A (ja) * 1995-11-28 2000-01-25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フレキシブル継手
KR100888388B1 (ko) * 2007-02-09 2009-03-24 조인트유창써멀시스템 주식회사 매립형 단열이중관의 신축 조인트장치
JP2012092962A (ja) * 2010-09-27 2012-05-17 Sekisui Chem Co Ltd 断熱二重管
KR101342209B1 (ko) * 2013-05-30 2013-12-16 방대석 이중 열차단 신축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923A (ko) * 2007-11-15 2009-05-20 리켄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관계수
KR101521520B1 (ko) 2013-12-09 2015-05-19 주식회사 비앤에스조인트 기밀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0848A (ja) * 1995-11-28 2000-01-25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フレキシブル継手
KR100888388B1 (ko) * 2007-02-09 2009-03-24 조인트유창써멀시스템 주식회사 매립형 단열이중관의 신축 조인트장치
JP2012092962A (ja) * 2010-09-27 2012-05-17 Sekisui Chem Co Ltd 断熱二重管
KR101342209B1 (ko) * 2013-05-30 2013-12-16 방대석 이중 열차단 신축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877A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2590B (fi) Hoeg temperatur isolerande mantel.
US2707095A (en) Underground heat exchanger
US2958546A (en) Protective covering for pipes and fittings therefor
DK2644960T3 (en) Combination of two tubes and a pipeline connector with compensator
KR101521520B1 (ko) 기밀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US10777988B2 (en) Cable reinforcement sleeve for subsea cable joint
KR101161402B1 (ko) 매립형 단열이중관용 신축조인트
US3907049A (en) Lined pip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206524B1 (ko) 열차단 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KR101342209B1 (ko) 이중 열차단 신축조인트
RU2015136334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 и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установки
US2823701A (en) Expansion loop and bend for underground heating pipe system
KR200477221Y1 (ko) 신축특성이 향상된 신축조인트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20200023820A (ko) 신축이음장치
RU181518U1 (ru) Сильфонное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с тепловой изоляцией
FI82542B (fi) Anordning foer fjaedrande foerbindning av tvenne mantelroerledningar.
US20020017390A1 (en) Temperature-resistant communications cable
KR102262809B1 (ko) 외부에서 신축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부를 구비한 신축조인트
KR100692965B1 (ko) 익스팬션 죠인트
SU829852A1 (ru) Термоизолированна колонна
US2457438A (en) Joint for pipe lines
KR101458917B1 (ko) 냉각수단을 갖는 매립형 단열조인트관
US2511343A (en) Prefabricated piping system
KR101497658B1 (ko) 자체발전이 가능한 신축성 배관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