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473B1 -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473B1
KR102206473B1 KR1020200063799A KR20200063799A KR102206473B1 KR 102206473 B1 KR102206473 B1 KR 102206473B1 KR 1020200063799 A KR1020200063799 A KR 1020200063799A KR 20200063799 A KR20200063799 A KR 20200063799A KR 102206473 B1 KR102206473 B1 KR 102206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nker
oil
time
tanke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울라인
Priority to KR102020006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473B1/ko
Priority to PCT/KR2021/000722 priority patent/WO2021241836A1/ko
Priority to GB2104749.3A priority patent/GB2601387A/en
Priority to CN202180032471.9A priority patent/CN11594341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으로서, 임의의 출발지점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하역된 상태의 다수의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상태로 인식되고, 이렇게 인식된 다수의 유조선들이 현재 위치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도달시간 등과 함께 유조선들의 정보가 화주나 선주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A displaying method of the status of shippable oil-tankers}
본 발명은 선적가능한 유조선들에 대한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 임의의 출발지점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하역된 상태의 다수의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상태로 인식되고, 이렇게 인식된 다수의 유조선이 현재 위치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도달시간 등과 함께 유조선들의 정보가 화주나 선주들이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화물을 운송하기 위하여 유조선을 선택함에 있어서 비용과 시간 등이 고려된 최적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VLCC(Very Large Crude Carrier)은 오일을 운송하는 초대형유조선을 일컫는다. 이러한 초대형유조선은 오일이 생산되는 지역(중동지역, 서아프리카 지역 등)에서 생산된 오일을 소비하는 지역으로 왕복운행하면서 오일생산지역에서 생산된 오일을 선적한 후, 오일소비지역으로 이동한 다음 운송된 오일을 하역하고, 하역된 상태로 다시 오일을 선적하기 위하여 오일생산지역으로 운행하게 된다.
전세계적으로 VLCC는 800척 내지 900척 범위에 한정된다. 이러한 현황에서 오일을 운송하고자 하는 화주들은 선적가능한 VLCC를 찾되, 시간과 선적운임 등을 고려하여 최대한 효율적인 화물운송에 적합한 VLCC를 찾게되고 성약하게 된다.
나아가, 하역된 상태의 VLCC의 경우에도 이미 성약된 상태이거나 선급 정기 선박검사를 위해 수리 조선소에 입거해야 하거나, 오일메이저에 의한 선박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VLCC일 수 있어, 이러한 VLCC 상태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VLCC를 찾게된다.
한편, AIS(선박자동식별장치, Automantic Identification System)은 선박에 장착된 AIS 수신기를 통하여 선박의 위치 및 속도와 배의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선박끼리 주고 받아 해상안전을 도모하는 장치이다. AIS정보에는 선박이 물속에 잠기는 깊이인 흘수(draft)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나아가, VLCC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800여 척에 불과한 바, VLCC 시장에서는 이러한 VLCC의 상태라든지 수리 여부, 년식 등에 대한 정보가 실리는 마켓리포트가 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화주는 오일을 운송하기 위해 선적가능한 VLCC를 찾는다. 종래에는, 선적가능한 VLCC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간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화주가 직접적으로 화주에게 맞는 최적의 VLCC를 찾기보다는, 중개업소를 이용하거나 마켓리포트를 활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즉, 오일 운송에 있어서 필요한 가장 최적화된 VLCC를 찾는데 그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화주가 시간과 비용을 고려한 VLCC를 선택함에 있어서 화주의 최적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선적가능한 VLCC를 한눈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1103455 B
(특허문헌 2) KR10-2020-0038915 A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화주가 시간과 비용을 고려한 VLCC를 선택함에 있어서 화주의 최적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선적가능한 VLCC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은, (a)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포트가 표시된 맵이미지에서, 임의의 출발지점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유조선 항로에 대한 일정한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항로 지오펜스가 설정되는 단계;
(b) 유조선의 AIS정보가 상기 서버에 수신되고 저장된 후, 상기 서버에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맵이미지에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표시되는 단계;
(c)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항로 지오펜스 내에 있고,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흘수가 하역된 상태인 일정한 범위 이내인 제1경우, 상기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제1경우,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거리와 기설정된 유조선의 이동속도가 반영되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판단되어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단계; 및
(e)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대별로 다수의 상기 유조선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다수의 포트가 표시된 상기 맵이미지에서, 상기 포트를 포함한 일정한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포트 지오펜스가 설정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있고,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흘수가 선적된 상태인 일정한 범위 이내인 제2경우, 상기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제2경우,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거리와 기설정된 유조선의 이동속도가 반영되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에, 상기 유조선이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체류하는 임의의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간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이 더해진 시간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포트 내에 위치된 터미널이 표시된 상기 맵이미지에서, 상기 터미널을 포함한 일정한 범위의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터미널 지오펜스가 설정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있되 상기 터미널 지오펜스에서 벗어나 있고,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흘수가 선적된 상태인 일정한 범위 이내인 제3경우, 상기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제3경우, 상기 유조선이 상기 터미널에 접안되어 있는 임의의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상기 임의의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간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거리와 기설정된 유조선의 이동속도가 반영되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에, 상기 유조선이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체류하는 임의의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간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과, 상기 임의의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더해진 시간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대별로 다수의 상기 유조선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 단계에서 제1경우와 제2경우 및 제3경우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수리 조선소가 표시된 상기 맵이미지에서, 상기 수리 조선소를 포함한 일정한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가 설정되며,
상기 (c) 단계의 제1경우, 제2경우 및 제3경우에서,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수리 조선서 지오펜스 내에 있었던 경우, 상기 서버에 입력된 상기 유조선의 년식이 15년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하는 시점이 상기 서버에 입력된 상기 유조선의 검사일자로부터 일정한 기간이 지난 경우라고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는 경우, 별도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 중에서 하역된 상태의 유조선이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유조선의 정보가 한눈에 파악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되는 바, 이를 참조하여 화주는 선박을 선택함에 있어서 최적의 의사결정을 할 있고, 효율이 증대된 화물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하역된 상태의 선적가능한 유조선뿐만 아니라, 조만간 하역이 완료되고 선적가능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유조선에 대한 정보와 함께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디스플레이되는 바, 잠재적 선적가능한 유조선까지 파악할 수 있어 화주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나아가, 수리 조선소에 입고되거나, 유조선 연식이 일정 기간이 지났거나, 또는 유효검사기간이 지난 유조선인 경우 핸디캡을 갖는 선적가능한 유조선으로 표시되는 바, 선적가능한 유조선을 좀 더 구체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진행되기 위한 정보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다수의 유조선의 현재 위치가 표시된 맵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별대로 유조선의 현황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정보의 흐름을 설명한다.
서버에서 유조선의 AIS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유조선 AIS정보는 AIS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로부터 유무선으로 수신될 수 있다. AIS정보 제공업체는 선박들 간에 이루어진 AIS정보를 취득한 위성회사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AIS정보에는 유조선의 위치, 속도, 방향, 흘수(draft)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AIS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유조선의 정보는 VLCC 시장에 배포되는 마켓리포트로부터 취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켓리포트로부터 취득된 정보가 서버에 입력될 수 있다. 마켓리포트로부터 취득될 수 있는 정보는 유조선의 검사일정, 선적에 대한 성약여부, 유조선의 년식 등 기타 본 발명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에 수신되거나 입력된 AIS정보 및 유조선의 정보를 기반으로 연산부에 연산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연산된 값이 디스플레부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는 해상에 유조선의 항로를 구분할 수 있는 맵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도 3 참조), 또는 설정된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다수의 유조선들이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함께 유조선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도 4 참조).
도 2를 참조하여 선적가능한 유조선의 현황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S100: 항로 지오펜스, 포트 지오펜스, 터미널 지오펜스,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 설정
지오펜스(geofence)는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지역에 가상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법인데, 본 발명에서는 맵이미지 상의 특정지역에서의 가상의 해상범위로 지오펜스가 설정될 수 있다. 즉, 맵이미지 상에서 특정된 다수의 위치가 지정되고, 지정된 다수의 위치로 형성된 일정한 해상범위로 하여 지오펜스가 설정될 수 있다.
항로 지오펜스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맵이미지 상에서 임의의 출발지점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유조선 항로에 대한 일정한 해상범위로 설정된다. 일례로, 대한민국이나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에서 중동의 푸자이라(fujairah)까지의 유조선의 항로를 항로 지오펜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항로 지오펜스는 이러한 항로에 포함된 후술할 포트 지오펜스 및 터미널 지오펜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항로 지오펜스는 동북아시아에서 중동의 푸자이라까지 유조선이 이동되거나 벙커링되면서 거칠 수 있는 가능한 항로를 포함한 지오펜스일 수 있다.
포트 지오펜스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맵이미지 상에서 항로 지오펜스에 포함된 포트를 포함한 일정한 범위의 해상범위로 설정된다. 이러한 항로 지오펜스에는 다수의 포트가 포함될 수 있고, 따라서 항로 지오펜스에는 다수의 포트 지오펜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포트 지오펜스는 유조선이 포트에 접안하기 위해 드리프팅하는 해상범위까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포트에는 다수의 터미널이 위치될 수 있다. 터미널 지오펜스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맵이미지 상에서 터미널을 포함한 일정한 범위의 해상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포트 지오펜스에는 하나 상의 터미널 지오펜스가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항로 지오펜스에는 다수의 터미널 지오펜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지오펜스는 유조선이 터미널에 접안될 일정한 범위의 행상범위까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맵이미지 상에는 선급 정기 선박검사를 위한 수리 조선소가 표시될 수 있으며,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는 이러한 수리 조선소를 포함한 일정한 범위의 해상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 중 일부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는 어느 한 항로 지오펜스에 포함될 수 있으며, 나머지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는 어느 한 항로 지오펜스에서 벗어나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200: 유조선이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VLCC의 경우 800여 척에 불과한 바, AIS정보로 인하여 맵이미지 상에 유조선 위치별로 유조선 전체를 표시할 수 있다. AIS정보가 실시간으로 서버로 수신되는 바, 실시간으로 맵이미지 상에 유조선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임의의 출발지점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설정된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이 표시된다. 일례로, 대한민국이나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에서 푸자이라까지 설정된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이 맵이미지 상에 표시될 수 있다.
AIS정보가 실시간으로 서버로 수신되는 바, 어느 한 유조선이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었다가 이러한 항로 지오펜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중간에 특수한 사정에 의해 항로 지오펜스에서 벗어날 수 있거나, 또는 상술한 일례에서 동북아시아에서는 설정된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상태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의의 종착지점이 푸자이라가 아닌 다른 종착지점으로 운항되는 유조선인 경우 항로 지오펜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맵이미지 상에서 시간대별로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 유조선의 현황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AIS정보를 기반으로 항로 지오펜스에 위치되는 유조선이 위치가 표시되는 바, 상술한 일례에서 푸자이라에 도달하는 시간이 3 내지 4시간인 유조선(푸자이라 근지역에 위치되는 유조선)의 현황과 5 내지 7일인 유조선(남중국해 근지역에 위치되는 유조선)의 현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간으로 주어진 AIS정보를 기준으로 어느 한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은 맵이미지 상에서 그리고 후술할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에서 표시된다. 그러나 항로 지오펜스에서 벗어나는 경우 맵이미지 상에서 항로 지오펜스를 벗어난 상태로 표시되지만, 후술할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에서는 제거된다.
S300: 유조선이 하역된 상태로 선적가능한 상태인지 판단
AIS정보에 포함된 흘수는 선박이 물속에 잠긴 깊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흘수의 정보로 유조선에서 화물이 하역된 상태인지 아니면 선전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VLCC인 유조선의 경우 화물이 완전히 하역된 상태에서의 흘수는 11 내지 12m이고 완전히 선적된 상태에서의 흘수는 20 내지 21m이다. 이러한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의 흘수 정보를 이용하여,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이 하역된 상태, 즉 선적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고 하역된 상태의 일정한 범위의 흘수 이내인 경우, 서버의 연산부에서 항로 지오펜스에 위치된 유조선의 현 위치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거리, 그리고 기설정된 유조선의 속도를 반영하여 유조선이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도달시간이 연산된다(S300-1 단계). 맵이미지 상에 유조선의 현황이 표시됨과 동시에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에서 유조선별로 어느 시간대에 도달하는지 그래프로 표시된다(S600-1 단계).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고 하역된 상태의 일정한 범위의 흘수를 벗어난 경우,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선적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
S400: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
유조선이 이미 하역된 상태에서 선적가능한 상태의 일정한 범위의 흘수 이내인 경우, 이미 화물이 하역된 상태이기 때문에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하기만 하면, 포트 지오펜스에 위치되든 후술할 터미널 지오펜스에 위치되든 상관없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이라고 판단되고, 상술한 S300 단계의 설명에 따라 진행된다. 하역된 상태인 바, 포트 지오펜스에 위치되더라도 또는 터미널 지오펜스에 위치되더라도 다시 선적하기 위하여 임의의 종착지점으로 운항되는 상태이다.
유조선이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역된 상태의 일정한 범위의 흘수를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조건 모든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이 아니라고 판단되기 보다는,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의 경우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선적가능한 상태로 변동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기에 선적가능한 유조선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 시간에 포트 지오펜스에서 체류되는 시간이 더해질 수 있다.
다만, 선적된 상태의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상태이되, 일정한 기간 이상(대략적으로 15일 정도)으로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는 유조선의 경우, 오일을 싣은 상태에서 하역을 오랫동안 하지 않고 장기 저장목적으로 있는 상태인 해상 부유식 저장(floating storage) 유조선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의 연산부에서 선적가능하지 않은 유조선이라고 판단되어 선적가능한 유조선에서 제외된다(S450 단계).
한편, 유조선이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역된 상태의 일정한 범위의 흘수를 벗어난 경우이고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지 않은 유조선의 경우에는 언제 선적가능한 상태로 변동될지 예측할 수 없는 바, 선적가능하지 않은 유조선으로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한다. 따라서, 맵이미지 상에 표시될 수 있지만, 시간댈별 유조선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S500: 포트스테이 시간과 터미널스테이 시간과의 비교
포트스테이 시간은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서 체류될 수 있는 시간이다. 하역을 하기 위해 일단 유조선이 포트에 입항한 경우, 포트 내에 터미널에 접안하여 하역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포트 인근 해상에서 드리프팅하는 시간까지 포함하여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포트스테이 시간은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 포트 지오펜스 내에서 포트별 다수의 유조선의 평균 체류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3일 내지 5일 정도의 포트스테이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즉, 포트스테이 시간의 평균이 3일이라면, 3일 이내에 하역을 마치고 선적가능한 상태의 유조선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고 선적된 상태의 유조선은 현 위치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에는 유조선의 현 위치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시간에 전체 포트스테이 시간 중 남은 포트스테이 시간이 더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울산항에서 푸자이라까지 도달하는 시간에 울산항에서의 포트스테이 시간 중 남은 시간이 더해짐에 따라 푸자이라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연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현재 울산항 포트 지오펜스에 1일 전에 진입한 어느 한 유조선이 위치되고, 울산항에서의 평균 포트스테이가 3일이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울산항에서 푸자이라까지의 도달시간이 30일이라면, 울산항의 포트 지오펜스에서 위치되되 선적된 상태(하역된 상태의 흘수 범위를 벗어남)로 위치된 경우, 이러한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상태로 변동되어 푸자이라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32일라고 연산부에 연산되며,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에 반영된다.
어느 하나의 포트에 하나 이상의 터미널이 위치될 수 있다. 터미널스테이 시간은 유조선이 하역하기 위하여 또는 여타 이유로 터미널에 접안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이러한 터미널스테이 시간은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 포트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터미널에서의 다수의 유조선의 평균 접안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포트스테이 시간은 유조선이 터미널에 접안된 상태까지 포함된 시간인바, 포트스테이 시간은 터미널스테이 시간을 포함한다.
선적된 상태의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경우, 포트스테이 시간을 적용하여 포트스테이 시간이 지나면 선적가능한 상태로 임의의 종착지점으로 운항 가능한 상태로 변동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버에 수신된 AIS정보에 따라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는 경우인데, 기설정된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고 남은 포트스테이 시간이 터미널스테이 시간보다 긴 경우, 여전히 포트스테이 시간 이내에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포함되기 때문에,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연산함에 있어서 포트스테이 시간만을 연산에 반영한다(S500-2 단계).
그러나 서버에 수신된 AIS정보에 따라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는 경우인데, 기설정된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고 남은 포트스테이 시간이 터미널스테이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이미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포트스테이 시간 중 남은 시간을 초과한 경우이다. 일례를 들어, 선적된 상태의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남은 포트스테이 시간이 0.5일인데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1일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유조선이 터미널에 접안하여 하역작업을 하는데 적어도 1일이 필요한 상태로 가정될 수 있는 바, 0.5일 이내에 선적가능한 상태로 변경될 수 없다.
따라서,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포트스테이 시간 중 남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는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남은 포트스테이 시간을 더하고, 나아가 터미널스테이 시간까지 고려되어야 한다(S500-1 단계).
상술한 구체적인 일례로, 현재 울산항 포트 지오펜스에 2.5일 전에 진입한 어느 한 선적된 상태의 유조선이 위치되고, 울산항에서의 평균 포트스테이가 3일이라고 가정하고, 울산항 각각의 터미널의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1일인 상태에서, 울산항에서 푸자이라까지의 도달시간이 30일이라면, 울산항의 포트 지오펜스에서 위치되되 선적된 상태(하역된 상태의 흘수 범위를 벗어남)로 위치된 경우, 이러한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상태로 변동되어 푸자이라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30일에 남은 포트스테이 0.5일 더해지고, 나아가 터미널스테이 1일 더해져 이 31.5일 이라고 연산부에 연산되며,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에 반영된다.
포트스테이 시간이 다 지나가고, 터미널스테이 시간마저 지나가고 있는 상태에서도 여전히 유조선이 선적된 상태로 포트 지오펜스에 위치되는 경우, 다시 또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자동적으로 더해지는 방식으로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연산된다.
상술한 구체적인 일례에서, 유조선이 선적된 상태에서 울산항 포트 지오펜스에 위치된 상태인데, 이미 울산항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지 3.5일 지나게 된 경우, 여전히 유조선이 터미널에 접안되는데 1일이 필요하므로 0.5일의 터미널스테이 시간으로 충족시키지 못하는 바, 자동적으로 다시 터미널스테이 시간 1일이 더해지는 방식으로 연산된다. 선적된 상태의 유조선이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30일에 더하여 터미널스테이 시간 중 남은 0.5일에 다시 터미널스테이 시간 1일이 더해진다.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31.5일이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AIS정보를 기반으로 이러한 연산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연산되고, 실시간으로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을 표시한 그래프에 반영된다.
따라서, 실시간 AIS정보에 따라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유조선이 선적된 상태로 포트 지오펜스에 위치된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는 만큼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더해지기 때문에, 오랫동안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더라도 여전히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하역된 상태로 변경되기 전까지는, 비슷한 시간으로 연산된다.
S600-1, S600-2: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
도 4는 시간대별 선적가능한 유조선 개수의 현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하,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 그래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빨간색 점선으로 구획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하역된 상태의 유조선이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설정된 항로 지오펜스에 위치된 경우, 다수의 유조선 각각의 위치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도달시간이 연산되어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 그래프에 표시된다(S600-1 단계). 도 4에서 이러한 상태를 OPEN된 상태로 표시하였다.
유조선이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설정된 항로 지오펜스에 위치된 경우이지만 선적된 상태이고 포트 지오펜스 내에 위치된 경우, 근시일 내에 선적가능한 상태의 유조선으로 변동될 수 있기에 선적가능한 유조선에 포함된 것으로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된다.
다만, 임의의 종착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은 선적가능한 상태로 변동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반영되어야 한다. 즉, 유조선의 현 위치에서 기설정된 속도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운항하는데 필요한 시간에 포트스테이 시간, 나아가 경우에 따라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산된 시간이 시간대별 유조선 현황 그래프에 표시된다(S600-2 단계). 도 4에서 이러한 상태를 OPEN-SOON된 상태로 표시하였다.
추가로, 도 4에 표시된 SUB는 유조선이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고 하역된 상태의 흘수 범위 이내이지만, 이미 성약이 이루어진 유조선을 나타낸다. PROJECT는 유조선이 항로 지오펜스 내에 위치되고 하역된 상태의 흘수 범위 이내이지만, 화주가 자신의 유조선을 이용하여 자신의 오일을 선적하는 유조선을 나타낸다.
따라서, 화주의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에 대한 인식을 증대시키기 위해 S600-1 단계의 디스플레이와 S600-2 단계의 디스플레이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장애요소(handicapped)가 있는 유조선을 별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조선이 도 4에서 도시된 것처럼 OPEN 상태이거나 OPEN-SOON 상태이더라도 장애요소가 있는 유조선일 수 있다. 이러한 장애요소는 운항요임에 영향을 끼치는 바, 유조선을 선택하는 의사결정에 있어서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유조선의 장애요소는 선적가능한 유조선이라도 수리 조선소에서 수리된 이후 얼마되지 않은 상태의 유조선이거나, 년식이 대략 15년 이상인 유조선이거나, 유조선인 경우 일정한 기간을 두고 오일메이저의 선박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검사를 받지 않고 유효검사기간이 지난 유조선인 경우이다.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유조선의 위치가 수리 조선서 지오펜스 내에 있었던 경우, 수리를 마친지 얼마되지 않은 상태의 유조선으로 연산부에 판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는 어느 한 항로 지오펜스에 포함된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로 지오펜스를 벗어나 설정된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버에 입력된 유조선의 년식이 15년 이상인 경우 장애요소가 있는 유조선인 것으로 연산부에서 판단된다.
연산부에서 판단되는 시점이 마켓리포트로부터 취득하여 서버에 입력된 유조선의 검사일자로부터 일정한 기간이 지난 경우라고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는 경우, 장애요소가 있는 유조선인 것으로 연산부에서 판단된다.
이러한 장애요소가 있는 유조선은 별도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도 4에서 OPEN 및 OPEN-SOON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주황색 테두리 선으로 구분된 부분이다. 화주의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에 대한 인식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a)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포트가 표시된 맵이미지에서, 임의의 출발지점에서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유조선 항로에 대한 일정한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항로 지오펜스가 설정되는 단계;
    (b) 유조선의 AIS정보가 서버에 수신되고 저장된 후, 상기 서버에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맵이미지에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표시되는 단계;
    (c)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항로 지오펜스 내에 있고,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흘수가 하역된 상태인 일정한 범위 이내인 제1경우, 상기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제1경우,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거리와 기설정된 유조선의 이동속도가 반영되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판단되어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연산되는 단계; 및
    (e)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대별로 다수의 상기 유조선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다수의 포트가 표시된 상기 맵이미지에서, 상기 포트를 포함한 일정한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포트 지오펜스가 설정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있고,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흘수가 선적된 상태인 일정한 범위 이내인 제2경우, 상기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제2경우,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거리와 기설정된 유조선의 이동속도가 반영되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에, 상기 유조선이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체류하는 임의의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간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이 더해진 시간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판단되는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포트 내에 위치된 터미널이 표시된 상기 맵이미지에서, 상기 터미널을 포함한 일정한 범위의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터미널 지오펜스가 설정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있되 상기 터미널 지오펜스에서 벗어나 있고,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흘수가 선적된 상태인 일정한 범위 이내인 제3경우, 상기 유조선이 선적가능한 유조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c) 단계에서 제3경우, 상기 유조선이 상기 터미널에 접안되어 있는 임의의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상기 임의의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간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의 거리와 기설정된 유조선의 이동속도가 반영되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에, 상기 유조선이 상기 포트 지오펜스 내에 체류하는 임의의 포트스테이 시간 중 이미 지나간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과, 상기 임의의 터미널스테이 시간이 더해진 시간이,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판단되는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유조선이 상기 유조선의 위치에서 상기 임의의 종착지점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대별로 다수의 상기 유조선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되, 상기 (c) 단계에서 제1경우와 제2경우 및 제3경우가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수리 조선소가 표시된 상기 맵이미지에서, 상기 수리 조선소를 포함한 일정한 해상범위가 설정되는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가 설정되며,
    상기 (c) 단계의 제1경우, 제2경우 및 제3경우에서, 과거 일정한 기간 동안 상기 유조선의 AIS정보에 포함된 상기 유조선의 위치가 상기 수리 조선소 지오펜스 내에 있었던 경우, 상기 서버에 입력된 상기 유조선의 년식이 15년 이상인 경우 또는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하는 시점이 상기 서버에 입력된 상기 유조선의 검사일자로부터 일정한 기간이 지난 경우라고 상기 서버의 연산부에서 판단되는 경우, 별도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KR1020200063799A 2020-05-27 2020-05-27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KR102206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99A KR102206473B1 (ko) 2020-05-27 2020-05-27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PCT/KR2021/000722 WO2021241836A1 (ko) 2020-05-27 2021-01-19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GB2104749.3A GB2601387A (en) 2020-05-27 2021-01-19 Method of displaying status of shippable oil tankers
CN202180032471.9A CN115943417A (zh) 2020-05-27 2021-01-19 可装载油船现况显示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99A KR102206473B1 (ko) 2020-05-27 2020-05-27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473B1 true KR102206473B1 (ko) 2021-01-22

Family

ID=7430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99A KR102206473B1 (ko) 2020-05-27 2020-05-27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6473B1 (ko)
WO (1) WO20212418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7230A (zh) * 2021-10-28 2022-02-11 中远海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精准识别预计空载船舶信息的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628A (ko) *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728B1 (ko) * 2013-08-21 2020-0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가상 펜스 기반의 일정 서비스 제공 사용자 장치, 서비스 장치, 시스템 그리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633645B1 (ko) * 2014-11-19 2016-06-27 씨제이대한통운 (주) 선박 운항정보 통합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KR20190019599A (ko) * 2017-08-18 2019-02-27 주식회사 트럭공차콜 위치정보를 이용한 화물운송 중개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628A (ko) *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7230A (zh) * 2021-10-28 2022-02-11 中远海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精准识别预计空载船舶信息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836A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derton et al.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s
EP38794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ecasting terminal congestion in seaports
US20090177394A1 (en) Method to identify the vessel a container is loaded on
TW200828195A (en) Vector-based harbor scheduling
KR101635142B1 (ko)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KR102206473B1 (ko) 선적가능한 유조선 현황 디스플레이방법
JP2019175477A (ja) 運行管理装置、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運行管理方法
US20230252395A1 (en) A quay crane operation method
WO2021193122A1 (ja) 船舶の積付計画方法、積付計画システムおよび船舶
Hwang Inventory constrained maritime routing and scheduling for multi-commodity liquid bulk
Jordan Captain, my captain: a look at autonomous ships and how they should operate under admiralty law
Kotzé et al. Use of uncertainty zones for vessel operation in inland waterways
GB2601387A (en) Method of displaying status of shippable oil tankers
Tsoudis The Shipbroker's Working Knowledge: Dry Cargo Chartering in Practice
Miler Telematics solutions in maritime and inland waterway transport
JP2004094293A (ja) 配船システム
Smith Understanding the Maritime Transport Ecosystem
Smith-Godfrey The potential of cabotage for ports
Wolfe et al. An assessment of the value of the Physical Oceanographic Real-Time System (PORTS®) to the US economy
Santos et al. Short sea shipp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Stewart et al. Co-Principal Investigators
Scott et al. Guide to Deliver in Supply Chain Management
Tsvetkova et al. Arctic oil and gas field logistics and offshore service vessel capacities: the case of the Norwegian and Russian High Arctic
Rathi et al. Enhancing port performance: A case of Jawaharlal Nehru port trust
Wennersberg et al. Autoship D2. 1-Complete supply chain mapping & identifications of interactions between SSS and IWW demonst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