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12B1 - 미세 버블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버블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12B1
KR102206312B1 KR1020200043213A KR20200043213A KR102206312B1 KR 102206312 B1 KR102206312 B1 KR 102206312B1 KR 1020200043213 A KR1020200043213 A KR 1020200043213A KR 20200043213 A KR20200043213 A KR 20200043213A KR 102206312 B1 KR102206312 B1 KR 10220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fluid
cross
sectional area
fl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실
옥현철
김윤환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에프에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에프에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코스모에프에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4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1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swirl imparting inserts upstream of the swirl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3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being formed at the interface of cooperating elements, e.g. by means of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에 존재하는 버블을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100)는 일단에 유체인입부(111)가 형성되고 타단에 유체배출부(112)가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인입부를 통해 본체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압력과 속도를 증가시키는 나선유로부(120); 및
상기 유체배출부와 나선유로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나선유로부를 통과한 유체를 확산시키는 확관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 버블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microbubble}
본 발명은 수중에 존재하는 버블을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미세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와 더불어 많은 분야에서 수처리 장치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수중에 존재하는 버블(기포)의 직경을 마이크로 또는 나노 정도의 미세한 크기로 축소시킬 경우, 기름, 얼룩, 섬유 조직 틈새 등에 끼어있는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세탁 및 수질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모공이나 땀샘의 노폐물 제거에도 효과적이어서 미용 및 건강 분야에서도 이러한 효과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한편, 미세 버블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분사판의 분사공 크기를 미세하게 형성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버블의 직경을 0.1mm 정도로 밖에 형성시킬 수 없어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는 베르누이의 법칙을 응용한 벤츄리 방식으로 미세 버블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벤츄리 방식은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의 폭을 축소시켜 유속의 흐름을 가속시킨 후에 유로의 폭을 확장시켜 가속된 유체를 순간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미세 버블을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벤츄리 방식은 가속화 구간과 확장 구간의 경계면에서 발생되는 일회성 분산에만 의존하여 미세 버블을 형성시키므로 버블입자의 크기가 크고 불균일하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벤츄리 방식은 가속화 구간과 확장 구간의 형상과 직경 등의 치수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버블의 크기가 제각각이어서 형성시키고자 하는 일정한 크기의 미세 버블을 발생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8139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중에 존재하는 버블을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로 균일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는 일단에 유체인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유체배출부가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인입부를 통해 본체부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압력과 속도를 증가시키는 나선유로부와, 상기 유체배출부와 나선유로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나선유로부를 통과한 유체를 확산시키는 확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나선유로부는 본체부의 내측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나선유로부는 나선형태로 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나선유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나선유로부의 유체인입부측 단부로 외기를 강제 주입하는 에어펌프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체인입부의 단면적과 나선유로의 단면적의 비율이 2 내지 100 이고, 나선유로의 회전경사각도가 5°내지 60°이며, 나선유로의 양단간 직선거리와 나선유로의 직경의 비율이 1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과 속도를 증가시키는 나선유로부와 상기 나선유로부를 통과한 유체를 확산시키는 확관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유체가 나선유로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1차 미세 버블이 발생되고 확관부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보다 미세한 2차 미세 버블이 발생되면서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의 미세한 버블들을 균일하고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본체부에 나선유로부에 외기를 강제 주입하는 에어펌프가 더 구비되는 경우, 나선유로로 진입하는 유체의 압력과 속도가 배가되면서 보다 활발한 충돌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다 미세하고 풍부한 미세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유체인입부의 단면적과 나선유로의 단면적의 비율, 나선유로의 회전경사각도, 나선유로의 양단간 직선거리와 나선유로의 직경의 비율을 통해 미세 버블의 입자 크기와 발생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단면도로서, 에어펌프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나선유로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나선유로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는 각종 수처리 기구 및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상기 수처리 기구 및 장치로는 예컨대 샤워기를 비롯한 욕실 및 주방의 수전이나 세탁기, 식기 세척기, 비데, 어항 등에 설치 및 연결된 각종 워터호스 및 워터파이프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수처리 기구 및 장치는 예컨대 어류수송차량, 수족관, 양식장, 과수 및 농업용수 공급시설, 하천이나 해양 오염처리 및 오폐수 처리 시설 등에 설치 및 연결된 각종 수전이나 워터호스 및 워터 파이프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버블 발생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100)가 샤워기의 몸체를 이루도록 샤워기 헤드(A)와 워터호스(B) 사이에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100)는 본체부(110)와, 나선유로부(120a)와, 확관부(1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양단이 개방되며 원형 내경부를 가진 파이프로서, 일단에는 유체인입부(111)가 형성되고 타단에 유체배출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의 외주면에는 수처리 기구 및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유로부(120a)는 유체인입부(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부(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인입부(111)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압력과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 상기 나선유로부(120a)는 본체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코어(121)와, 상기 코어(12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유로(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유로(122)는 코어(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체인입부(111)의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요철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홈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요철부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코어(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돌기일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나선유로(122)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고 가공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에 코어(121)가 삽입되면 본체부(110)의 내주면과 코어(121)의 요철부가 밀착되면서 독립된 나선유로(122)가 형성되며, 유체인입부(111)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로 진입한 유체는 상기 나선유로(122)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가속되면서 활발한 충돌이 이루어진다.
상기 확관부(130)는 상기 유체배출부(112)와 나선유로부(120a)의 사이에 위치되며, 나선유로부(120a)의 나선유로(122)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나선유로부(120a)를 통과한 유체가 확관부(130)로 빠져 나오게 되면 벤츄리관의 원리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확산이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에는 나선유로부(120a)의 유체인입부(111)측 단부로 외기를 강제 주입하는 에어펌프(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에어펌프(140)는 나선유로부(120a)의 유체인입부(111) 또는 나선유로(12)의 일단으로 외기를 강제 주입함으로써 나선유로(122)로 진입하는 유체의 압력과 속도를 배가시켜 보다 활발한 충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미세 버블의 입자크기는 더욱 작아지고 발생수량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펌프(140)를 통해 강제 주입되는 외기는 미세 버블의 수량 증대를 위하여 일반공기가 아닌 특정성분의 기체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100)는 각종 수처리 기구 및 장치(A,B)에 연결하여 사용된다.
유체인입부(111)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나선유로부(120a)의 나선유로(122)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나선유로(122)의 단면적이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유속과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유속과 압력이 증가한 상태로 나선유로(122)로 진입한 물과 물에 포함된 버블들은 나선유로(1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충돌하면서 상호간의 결합이 깨어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다량의 미세 버블들이 발생된다.
그리고 나선유로(122)를 빠져나온 물과 미세 버블들은 확관부(130)로 이동하게 되는데, 확관부(130)의 단면적이 나선유로(122)의 단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확관부(130)에서 벤츄리관 원리에 의하여 순간적인 확장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서로간에 형성된 인력이 분산되고 상호간의 결합이 깨어지면서 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 버블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다량의 미세 버블들은 유체배출부(112)를 통해 물과 함께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 버블 발생장치(100)는 나선유로(122)에서 1차로 다량의 미세 버블을 발생시키고 상기 확관부(130)에서 2차로 보다 미세한 미세 버블을 다량으로 발생시키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고 일정한 다량의 미세 버블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미세 버블의 입자 크기와 발생수량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요소별로 연관 수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바, 본 출원인은 다양한 반복실험을 통해 확관부(130)에서의 유체분출압력과 나선유로(122) 내에서의 마찰충돌력이 미세 버블의 입자크기와 발생수량을 결정짓는 주요 인자이며, 상기 유체분출압력과 마찰충돌력이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과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와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관련이 있음을 알아낼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비율(S1/S2)이 2 내지 100 이고,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가 5°내지 60°이며,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1 내지 500일 경우, 통상 세탁 및 수질개선과 더불어 미용 및 건강 분야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직경이 50 내지 500nm 정도의 크기를 갖는 미세 버블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비율(S1/S2)이 2 미만일 경우에는 유체분출압력과 마찰충돌력이 급감하면서 미세 버블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고,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비율(S1/S2)이 100 을 초과하게 되면 마찰충돌력이 급증하면서 유체의 흐름이 불량해지면서 미세 버블의 발생수량이 급감하게 된다.
아울러,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가 5°미만일 경우에는 마찰충돌력이 급증하면서 미세 버블의 발생수량이 급감하게 되고,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가 60°를 초과하게 되면 마찰충돌력이 급감하면서 미세 버블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게 된다.
또한,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100 미만일 경우에는 유체분출압력이 급감하면서 미세 버블의 입자 크기가 지나치게 커지게 되고,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500을 초과하게 되면 유체분출압력이 급증하면서 유체의 흐름이 불량해지면서 미세 버블의 발생수량이 급감하게 된다.
한편, 아래의 그래프들은 상기 최적화된 수치범위 내에서 각각의 수치들을 단계적으로 조정해 가면서 변화하는 유체분출압력과 마찰충돌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Figure 112020036888964-pat00001
Figure 112020036888964-pat00002
위 그래프들에서 알 수 있듯이,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비율(S1/S2)이 작아질수록 유체분출압력이 낮아지고 마찰충돌력이 약화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는 커질수록 유체분출압력은 증가하는 반면 마찰충돌력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아울러,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커질수록 유체분출압력은 증가하는 반면, 마찰충돌력은 일정수치까지 증가하다가 나선유로(122)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정체되면서 결국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최적화된 수치범위들을 단계적으로 한정해 가면서 발생되는 미세 버블의 입자크기와 발생수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비율(S1/S2)이 2 내지 100이고,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가 5°내지 60°이며,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1 내지 500인 경우, 목표로 하는 직경 50 내지 500nm 정도의 크기와 풍부한 발생수량을 가진 미세 버블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2)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비율(S1/S2)이 5 내지 100 이고,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가 5°내지 40°이며,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50 내지 400일 경우, 직경이 50 내지 400nm 정도의 크기와 풍부한 발생수량을 갖는 미세 버블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경우, 상기 비교예 1에 비하여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평균 비율(S1/S2)이 커지면서 평균 유체분출압력과 평균 마찰충돌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회전경사각도(θ)의 평균각도가 작아지면서 평균 마찰충돌력도 향상되었고,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최적의 수치 200에 근접하면서 최대의 유체분출압력과 마찰충돌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결과, 본 비교예 2에서는 상기 비교예 2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보다 작고 균일해진 미세 버블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3)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비율(S1/S2)이 20 내지 100 이고,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가 5°내지 15°이며,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100 내지 300일 경우, 직경이 50 내지 300nm 정도의 크기와 풍부한 발생수량을 갖는 미세 버블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경우, 상기 비교예 2에 비하여 유체인입부(111)의 단면적(S1)과 나선유로(122)의 단면적(S2)의 평균 비율(S1/S2)이 커지면서 평균 유체분출압력과 평균 마찰충돌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회전경사각도(θ)의 평균각도가 작아지면서 평균 마찰충돌력도 향상되었고,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나선유로(122)의 직경(D)의 비율(L/D)이 최적의 수치 200에 보다 근접하면서 최대의 유체분출압력과 최대의 마찰충돌력이 전체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결과, 본 비교예 3에서는 상기 비교예 2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보다 더 작고 균일해진 미세 버블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나선유로(122)의 단면적과 나선유로(122)의 회전경사각도(θ)와 나선유로(122)의 양단간 직선거리(L)와 같은 수치를 제어하면, 미세 버블의 입자 크기와 발생수량과 관련 있는 확관부(130)에서의 유체분출압력과 마찰충돌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망하는 크기의 미세 버블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나선유로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유로부(120b)는 본체부(110)의 내측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코어(121)와, 본체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가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유로(12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나선유로(123)는 본체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가공된 나선홈으로서, 상기 유체인입부(111)의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상기 나선유로(123)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고 가공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에 코어(121)가 삽입지면 코어(121)의 외주면에 상기 나선유로(123)의 개방부가 막히면서 독립된 유로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나선유로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유로부(120c)는 나선형태로 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나선유로일 수도 있다. 상기 나선유로는 유체인입부(111)의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나선유로부(120c)는 코어(12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본체부(110)의 내주면이나 코어(121)의 외주면에 나선홈을 가공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나선유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나선유로부(120c)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나선유로부(120c)들을 본체부(110)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지지판(125)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125)에는 나선유로부(120c)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관통공(125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25)들은 본체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나선유로부(120c)의 양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유체인입부(111)로 진입한 유체가 나선유로부(120c)를 통과하지 않고 본체부 내부로 진입하거나 나선유로부(120c)로부터 배출된 유체가 유체인입부(111)측으로 역이동하는 것을 차단해 준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판(125)들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지지턱(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나선유로부는 본체부(110)의 내측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코어(121)와, 상기 코어(121)의 일단과 타측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유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나선유로는 유체인입부(111)의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나선유로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사각형 등 가공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미세 버블 발생장치 110...본체부
111...유체인입부 112...유체배출부
120a,120b,120c...나선유로부
121...코어 122,123...나선유로
130...확관부 140...에어펌프

Claims (5)

  1. 일단에 유체인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유체배출부가 형성된 관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인입부를 통해 본체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유체의 압력과 속도를 증가시키는 나선유로부; 및
    상기 유체배출부와 나선유로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나선유로부를 통과한 유체를 확산시키는 확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선유로부는 나선형태로 성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나선유로이고,
    상기 나선유로부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나선유로부를 상기 본체부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지지판이, 상기 지지판 상에 구비되는 관통공에 의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유체인입부의 단면적과 나선유로의 단면적의 비율이 20 내지 100 이고, 나선유로의 회전경사각도가 5°내지 15°이며, 나선유로의 양단간 직선거리와 나선유로의 직경의 비율이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버블 발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나선유로부의 유체인입부측 단부로 외기를 강제 주입하는 에어펌프가 더 구비된 미세 버블 발생장치.
  5. 삭제
KR1020200043213A 2020-04-09 2020-04-09 미세 버블 발생장치 KR10220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13A KR102206312B1 (ko) 2020-04-09 2020-04-09 미세 버블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213A KR102206312B1 (ko) 2020-04-09 2020-04-09 미세 버블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312B1 true KR102206312B1 (ko) 2021-01-25

Family

ID=7423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213A KR102206312B1 (ko) 2020-04-09 2020-04-09 미세 버블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3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239B1 (ko) * 2013-09-23 2014-03-28 주식회사 에스엠티솔루션 나노 버블 발생 시스템
KR101581391B1 (ko) 2015-05-04 2015-12-30 김영도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샤워기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239B1 (ko) * 2013-09-23 2014-03-28 주식회사 에스엠티솔루션 나노 버블 발생 시스템
KR101581391B1 (ko) 2015-05-04 2015-12-30 김영도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샤워기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4303A (en) Water saving shower head
CN109382013B (zh) 微细气泡水生成器
JP4474632B2 (ja) 泡沫吐水口
KR101483412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
KR101379239B1 (ko) 나노 버블 발생 시스템
US5183335A (en) Hydraulic jet flash mixer with flow deflector
WO2019049650A1 (ja) 微細気泡液生成器
WO1999009265A1 (fr) Appareil de decharge d'eau de lavage
JP2008302054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EP0993342B1 (en) Infusion nozzle
JP2004502529A (ja) 流体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7578808B2 (en) Suction-cleansing device and clean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13853357A (zh) 微泡产生装置及水处理装置
KR102206312B1 (ko) 미세 버블 발생장치
JP7231593B2 (ja) 微細気泡水生成器付き洗濯機用給水ホース
JP3213014U (ja) 洗濯機用微細気泡水生成器
WO2021098833A1 (zh) 微气泡喷头及具有该微气泡喷头的洗涤设备
JP2019147086A (ja) 微細気泡発生方法及び装置
JP2018134588A (ja) 微細気泡生成器
JP7089342B2 (ja) 微細気泡生成器
CN113842796A (zh) 一种微细气泡水生成器及洗衣机软管、淋浴软管
JP4016628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のノズル
CN211864584U (zh) 一种微动力气液或液液混合纳米级流体发生器
CA2555889A1 (en) Suction cleansing apparatus
KR102294262B1 (ko)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