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262B1 -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262B1
KR102294262B1 KR1020200176406A KR20200176406A KR102294262B1 KR 102294262 B1 KR102294262 B1 KR 102294262B1 KR 1020200176406 A KR1020200176406 A KR 1020200176406A KR 20200176406 A KR20200176406 A KR 20200176406A KR 102294262 B1 KR102294262 B1 KR 10229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hole
nozzle body
hole
inle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숲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이에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이에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이에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20017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3/0446
    • B01F15/0201
    • B01F15/0288
    • B01F15/02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9Mixing 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3/04503
    • B01F3/049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5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a rotary discharge means, e.g. a screw beneath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01F5/0413
    • B01F2003/04858
    • B01F2003/04872
    • B01F2003/0487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블 발생 노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구비한 노즐 바디(20);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결합된 공급 헤더부(30);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과 상기 공급 헤더부(30)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유입 챔버(31); 상기 공급 헤더부(3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31)와 연통된 공급홀(38); 상기 노즐 바디(2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31)와 연통된 분사홀(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사홀(22)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연장된 인입 분사홀(22AH);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연통된 중간 분사홀(22BH);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에 이어지고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는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노즐 바디(20)에 구비된 분사홀(22)이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을 통해서 일정 압력으로 들어오는 공급 물질은 와류가 발생되고 속도는 가속되어서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주입되면서 기포를 최대한 미세하게 쪼개므로 버블의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노즐 바디 내부에 형성된 이너 분사홀에 의해서는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에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1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이너 분사홀에 구비된 역류 방지턱에 의해서는 노즐 바디의 내부 유로에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2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인입 분사홀에 의해서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3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분할 공급 헤더 셋트에 구비된 공급홀에 의해서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4차 네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분사홀과 공급홀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Description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Bubble creation nozzle and bubble creation system thereby}
본 발명은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산소나 공기 등의 공급 물질이 주입되면서 기포를 최대한 미세하게 쪼개므로 버블의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고, 버블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 인하여 버블을 사용하는 세척수조 등과 같은 사용처에서 사용 용도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분사홀과 공급홀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노버블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초 미세 기포로써, 일반 버블의 1/2,000 크기로 피부의 모공 25㎛ 이하의 미세한 공기 입자이며, 소멸할 때 40KHz의 초음파 발생시키고, 140db의 높은 음압을 발생시키며, 4,000도~6,000도의 순간적인 고열을 발생시킨다. 즉, 일반기포는 물속에서 상승해 표면에서 파열하지만 나노버블은 수중에서 압력에 의해 축소되며 다양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소멸한다.
이러한 나노버블은 초 극미한 거품으로 물과 공기를 격렬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나노버블은 "기체 용해 효과, 자기가압효과, 대전효과"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근자에 이르러 특히 어업, 농업 분야에서는 각종 양식, 수경재배에 이용되고, 의료 분야에서는 정밀진단에 이용되며, 각종 분야에서 물리치료, 고순도 정수 처리, 환경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나노버블(micro bubble)은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노버블이 자기 가압 효과에 의해 소멸할 때, 하이드록시 래디칼(OH) 등의 프리 래디칼이 발생한다. 프리 래디칼은 수중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유해 화학물질이나 세균류를 분해한다. 또한, 나노버블은 일반 폭포보다 10배 이상 많은 음이온을 발생하며, 음이온은 삼림과 폭포 주변, 초원, 공원의 분수근처, 해변 등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거나 항산화 기능을 통해 사람에게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나노버블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나노버블은 액체와 기체를 혼합하여 생성되는 버블의 분쇄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최근에는 오염물질의 처리 등에 나노(Nano)버블을 활용한 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04918호(2012.9.24.공개)는 버블이 폐수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면서 상부로 부상하고 부상된 버블들을 이용하여 버블 필터층을 형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폐수를 처리하는 수처리 장치이다. 기존에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04918호 이외에 나노 버블 발생장치가 많이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인 선회방식 나노버블 장치는 이젝터 형태로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유체가 축소되는 장치의 내부에서 선회류를 발생하여 유체의 흐름 속도를 높여 관에 음압(진공압)이 걸려서 외부의 기체를 자동 흡입한다.
한편, 나노버블 발생 장치에서는 버블 발생 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버블 발생 노즐로 유체가 통과하고 나노발생 버블의 둘레부에는 산소, 오존, 과산화수소와 같은 종류가 다른 가스를 공급하거나 다른 종류의 액상의 유체를 공급하여 나노버블 발생의 효율을 높이고 나노버블 사용처의 용도에 맞는 유체를 공급하도록 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버블 발생 노즐에 형성된 하나의 공급홀을 통해서만 종류가 다른 가스가 통과되도록 하기 때문에 특성이 다른 유체가 섞이면서 상기 공급홀이 막혀버리는 경우가 생기고 특히 점성이 있는 다른 종류의 유체는 상기 공급홀에 더 잘 막혀버리게 되면서 버블 발생 장치의 유지 관리가 번거롭고 버블 발생 노즐을 따로 분리하여 폐기해야 하는 등의 문제도 있다.
또한, 버블 발생 노즐에서 공급홀이 자주 막히면서 버블 발생 효율이 저함에 따라서 기존의 나노 버블 발생장치는 소요되는 동력(나노 버블 발생부의 모터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에 의에 비하여 나노 버블이 발생되는 양이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 나노 버블 발생의 지속 시간도 짧아서 충분히 나노 버블의 효과를 볼 수 없다는 단점, 그리고 충분한 나노 버블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장치가 대형화되어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24848호(2019년09월1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666775호(2016년10월10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산소나 공기 등의 공급 물질이 주입되면서 기포를 최대한 미세하게 쪼개므로 버블의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고, 버블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 인하여 버블을 사용하는 세척수조 등과 같은 사용처에서 사용 용도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분사홀과 공급홀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구비한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된 공급 헤더부;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공급 헤더부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유입 챔버; 상기 공급 헤더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와 연통된 공급홀; 상기 노즐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와 연통된 분사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연장된 인입 분사홀; 상기 인입 분사홀과 연통된 중간 분사홀; 상기 중간 분사홀과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상기 유로에 이어지고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는 이너 분사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이 제공된다.
상기 인입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간 분사홀이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상기 이너 분사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에는 크로스 중간 분사홀이 구비되고,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은 상기 중간 분사홀과 상기 이너 분사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입 분사홀과 상기 중간 분사홀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과 상기 이너 분사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입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분사홀은 상기 인입 분사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에는 역류 방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상기 이너 분사홀로 역류되려 하여도 상기 이너 분사홀의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상기 유로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유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가 상기 이너 분사홀로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에 구비된 상기 역류 방지턱에 의해 상기 이너 분사홀의 내경이 더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역류 방지턱에 의해 상기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인입 분사홀에 의해서는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과 상기 중간 분사홀의 내부보다 더 좁은 통로를 만들어서 상기 인입 분사홀로 상기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인입 분사홀은 중간 분사홀에 연통되면서 중간 분사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분사홀에는 역류 방지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 헤더부는,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 나사부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격판부재 셋트; 상기 격판부재 셋트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격판부재 셋트와 함께 상기 유입 챔버를 형성하는 외측 헤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에 상기 공급홀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와 상기 노즐 바디의 상기 인입 분사홀과 상기 중간 분사홀과 상기 이너 분사홀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 바디는 인입 분사홀과 중간 분사홀과 이너 분사홀에 더하여서 상기 인입 분사홀과 중간 분사홀 사이에 배치된 크로스 중간 분사홀을 구비하여, 상기 노즐 바디의 내부에 인입 분사홀과 중간 분사홀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과 이너 분사홀을 포함하는 분사홀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에 구비된 상기 공급홀은 유입 챔버를 통해서 노즐 바디의 분사홀에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상기 격판부재 셋트와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는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결합된 구조를 취하고, 상기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의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의 내주면과 한 쌍의 상기 격판부재 셋트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 및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개의 분할 유입 챔버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에 상기 공급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분사홀이 복수개의 상기 분할 유입 챔버를 통해서 복수개의 상기 공급홀에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판부재 셋트는 양면으로 연통된 나사홀을 구비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격판부재 셋트의 상기 나사홀이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격판부재 셋트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판부재 셋트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36)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블 발생 노즐; 상기 버블 발생 노즐에 각각 연결된 선회류 발생기구와 와류 발생 용해장치; 상기 와류 발생 용해장치에 연결된 전동 밸브; 상기 선회류 발생기구에 연결된 펌프; 상기 펌프와 상기 전동 밸브 사이에 연결된 세척수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블 발생 노즐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구비한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 결합된 공급 헤더부;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과 상기 공급 헤더부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유입 챔버; 상기 공급 헤더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와 연통된 공급홀; 상기 노즐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와 연통된 분사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사홀은, 상기 노즐 바디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연장된 인입 분사홀; 상기 인입 분사홀과 연통된 중간 분사홀; 상기 중간 분사홀과 상기 유입 챔버에 이어지고 상기 노즐 바디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는 이너 분사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노즐 바디에 구비된 분사홀이 인입 분사홀과 중간 분사홀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과 이너 분사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노즐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이너 분사홀은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너 분사홀로 일정 압력으로 들어온 공급 물질의 속도가 가속되어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주입되면서 기포를 최대한 미세하게 쪼개므로 버블의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되고, 버블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 인하여 버블을 사용하는 세척수조 등과 같은 사용처에서 사용 용도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즐 바디 내부에 형성된 이너 분사홀에 의해서는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에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1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이너 분사홀에 구비된 역류 방지턱에 의해서는 노즐 바디의 내부 유로에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2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인입 분사홀에 의해서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3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분할 공급 헤더 셋트에 구비된 공급홀에 의해서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4차 네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 바디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분사홀과 공급홀 쪽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블 발생 노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분사홀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대적으로 더 좁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블 발생 노즐을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버블 발생 노즐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분사홀의 간격이 조절되어 상대적으로 더 좁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블 발생 노즐을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버블 발생 노즐은 노즐 바디(20)와,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결합된 공급 헤더부(30)와, 상기 공급 헤더부(30)와 노즐 바디(20) 사이의 유입 챔버(31)와, 상기 공급 헤더부(30)의 공급홀(38)과, 상기 노즐 바디(20)에 구비된 분사홀(22)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 바디(20)는 내부에 축방향의 유로(길이 방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노즐 바디(20)는 원형관 형상이다. 노즐 바디(20)는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가 결합된 구조이다. 즉, 상기 노즐 바디(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에 결합된 좌우 양쪽의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20)는 유로의 양단부에 인입 가이드 유로와 유출 가이드 유로를 구비하며, 인입 가이드 유로는 노즐 바디(20)의 일단부에서 유로까지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에서 유입수의 유속이 빨라지고, 유출 가이드 유로는 유로의 타단부에서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유출 가이드 유로로 유입수가 흐르면서 유속이 느려진다. 상기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에 상기 인입 가이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에 상기 유출 가이드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 헤더부(30)는 직경이 노즐 바디(20)보다 더 커서 공급 헤더부(30)의 내주면과 노즐 바디(20)의 외주면 사이에 유입 챔버(31)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공급 헤더부(30)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공급 헤더부(30)는 다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과 공급 헤더부(30)의 내주면 사이에 유입 챔버(31)가 확보된다. 상기 노즐 바디(20)와 공급 헤더부(30)는 원형관 형상이어서 유입 챔버(31)는 단면으로 볼 때에 원형 밴드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홀(38)은 공급 헤더부(30)에 구비되어 유입 챔버(31)와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 다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결합되어,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에 각각 공급홀(38)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 바디(20)에 분사홀(22)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 챔버(31)와 노즐 바디(20)의 분사홀(22)이 연통되고, 분사홀(22)은 유입 챔버(31)를 통하여 상기 공급홀(38)과 연통된다.
상기 분사홀(22)은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한다. 분사홀(22)을 구성하는 인입 분사홀(22AH)은 노즐 바디(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소에 구비된다. 노즐 바디(20)를 종단면으로 볼 때에 노즐 바디(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인입 분사홀(22AH)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은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연장된다.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은 인입 분사홀(22AH)과 연통된다.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에 구비된 인입 분사홀(22AH)은 중간 분사홀(22BH)에 연통되면서 중간 분사홀(22BH)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작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단턱이 구비된다. 단턱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은 중간 분사홀(22BH)과 노즐 바디(20) 내부의 축방향 유로(길이 방향 유로)에 이어진다. 이때, 이너 분사홀(22D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다. 노즐 바디(20)의 내부 유로를 통해서 유체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으로 흐르는데, 이너 분사홀(22D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다. 또한, 이너 분사홀(22DH)의 내경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축방향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즉, 이너 분사홀(22D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내경은 노즐 바디(20)의 유로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경사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인입 분사홀(22AH)이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노즐 바디(20)의 내부로 일정 깊이 들어가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이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이너 분사홀(22DH)과 연통된다.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에는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이 구비된다.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은 중간 분사홀(22BH)과 이너 분사홀(22DH)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이 서로 연통된다. 상기 분사홀(22)이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사홀(22)이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은 인입 분사홀(22A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중간 분사홀(22B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는데,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의 내경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입 분사홀(22AH)에서 중간 분사홀(22BH)로 공급 대상 물질이 정해진 일정 압력으로 유입되어 들어오고, 상기 중간 분사홀(22BH)에서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로 공급 대상 물질이 압력으로 들어오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공급 대상 물질이 들어와서 유속이 빨라져서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들어와서 노즐 바디(20)의 유로를 따라 일정 압력으로 흐르는 유체에 버블 발생 효율이 높아지도록 한다.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BH)은 노즐 바디(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노즐 바디(20)의 내부 전체로 연통된 밴드형 홀 형상이다. 노즐 바디(20)가 원형관 형상이어서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BH)은 노즐 바디(20)의 내부 전체에 원주형 밴드로 형상으로 연통된 홀 구조이다. 이때,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은 인입 분사홀(22AH)과 개별적으로 연통되어 노즐 바디(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은 노즐 바디(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노즐 바디(20)의 내부 전체로 연통된 밴드형 홀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는 역류 방지턱(22STP)이 구비된다. 역류 방지턱(22STP)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유체가 흐를 때에 이너 분사홀(22DH)로 유체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가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들어와서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으로 역류하려 하여도 상기 유체가 역류 방지턱(22STP)에 걸리기 때문에,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 헤더부(30)는 격판부재 셋트(32)와 외측 헤더 슬리브(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판부재 셋트(32)는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나사부에 의해 결합된다. 격판부재 셋트(32)를 구성하는 한 쌍의 격판부재(32A 및 32B)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격판부재 셋트(32)를 구성하는 각각의 격판부재(32A 및 32B)는 중앙부에 나사홀이 있는 링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부에 격판부재(32A 및 32B)의 나사홀이 결합됨으로써 격판부재(32A 및 32B)가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노즐 바디(20) 외주면에 결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격판부재 셋트(32)가 된다.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는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격판부재 셋트(32)와 함께 유입 챔버(31)를 형성한다. 외측 헤더 슬리브(34)는 원형관 형상으로서,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에 공급홀(38)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홀(38)은 유입 챔버(31)와 연통되어, 공급홀(38)과 유입 챔버(31)와 노즐 바디(20)의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분사홀(22) 및 이너 분사홀(22DH)이 서로 연통된 구조가 된다. 즉, 상기 노즐 바디(20)는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이너 분사홀(22DH)에 더하여서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 사이에 배치된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을 구비하여,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에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는 분사홀(22)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에 구비된 상기 공급홀(38)은 유입 챔버(31)를 통해서 노즐 바디(20)의 분사홀(22)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격판부재 셋트(32)와 외측 헤더 슬리브(34)는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결합된 구조를 취하고, 상기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의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과 격판부재 셋트(32)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 및 노즐 바디(20)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개의 분할 유입 챔버(31)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외측 헤더 슬리브(34)에 공급홀(3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22)은 노즐 바디(20)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분사홀(22)이 복수개의 상기 분할 유입 챔버(31)를 통해서 복수개의 공급홀(38)에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격판부재 셋트(32)는 양면으로 연통된 나사홀을 구비한 링형상으로 구성된다. 격판부재 셋트(32)를 구성하는 각각의 격판부재(32A,32B)가 양면으로 연통된 나사홀을 구비한 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격판부재(32A,32B)의 나사홀이 노즐 바디(20)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된다. 즉, 격판부재 셋트(32)의 나사홀이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의 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외측 헤더 슬리브(34)가 결합된다. 다시 말해,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외측 헤더 슬리브(34)가 결합된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로 구성되고,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는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결합되어,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로 이루어진 공급 헤더부(30)가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36)이 개재된다.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오링홈이 구비되거나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에 오링홈이 형성되어, 상기 오링홈에 오링(36)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 헤더 슬리브(34)가 격판부재 셋트(32) 외주면에 결합됨으로써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36)이 개재된 구조가 된다. 이때, 한쪽의 격판부재(32A)의 외주면은 나사부에 의해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다른 쪽의 격판부재(32B)의 외주면과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오링(36)이 개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와 외측 헤더 슬리브(34)는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급 헤더부(30)는 복수개의 상기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의 의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격판부재 셋트(32)의 나사홀과 노즐 바디(20) 외주면의 나사부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세 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각각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와 노즐 바디(20)의 외주면 사이에 분할 유입 챔버(31)가 형성되는데, 세 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를 각각 제1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와 제2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와 제3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라 한다면, 상기 분할 유입 챔버(31)는 각각 제1분할 유입 챔버(31)와 제2분할 유입 챔버(31)와 제3분할 유입 챔버(31)가 되고, 상기 공급홀(38)은 제1공급홀(38)과 제2공급홀(38)과 제3공급홀(38)이 된다. 상기 제1공급홀(38)로는 산소 또는 오존이 공급되고, 제2공급홀(38)로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액체가 공급되고, 제3공급홀(38)로는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공급홀(38)로과 제2공급홀(38)과 제3공급홀(38)에 유체에 필요한 다른 물질을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산소, 오존, 과산화 수소와 같이 노즐 바디(20)의 내부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에 공급되기 위한 물질을 공급 물질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노즐 바디(20)의 인입 가이드 유로를 통해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유속에 의해 유로이 압력이 감압됨에 따라 공급홀(38)(482)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외부공기는 유입 챔버(31)에서 분사홀(22)을 통해서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속으로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하고,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분사홀(22)을 통해 유입되는 기포를 미세하게 쪼개므로 나노버블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분사홀(22)이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을 통해서 공급 물질이 일정 압력으로 들어오고, 상기 공급 물질은 상기 중간 분사홀(22BH)로 일정 압력으로 들어오고,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를 공급 물질이 거쳐서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들어가는데,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 쪽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일정 압력으로 들어온 공급 물질의 속도가 가속되어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주입되면서 기포를 최대한 미세하게 쪼개므로 버블의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키게 된다. 버블 발생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 인하여 버블을 사용하는 세척수조 등과 같은 사용처에서 사용 용도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 물질은 과산화수소와 같은 액체, 산소 또는 오존, 공기가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분할 공급홀(38)을 통해서 액체, 산소 또는 오존, 공기가 각각 들어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결합되어, 공급 헤더부(30)의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마다 형성된 분할 공급홀(38)을 통해서 각각 다른 종류의 공급 물질(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등의 액체, 산소 또는 오존, 공기)을 각각 별도로 분리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공급 물질의 종류별로 각각 다른 압력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공급 물질의 공급 효율을 높여주고 다른 종류의 공급 물질을 각각 따로 공급해야 되는 목적을 만족스럽게 충족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공급 물질이 서로 섞이면서 공급홀(38) 부분이 막히는 경우(본 발명에서는 분할 공급홀(38)과 노즐 바디(20)의 분사홀(22)이 막히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버블 발생장치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바디(20)에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나사홀과 나사부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의 분할 공급홀(38)이 막히거나 노즐 바디(20)의 유입홀이 막힌 경우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를 분해하여 막힌 분할 공급홀(38)을 청소하고 노즐 바디(20)의 유입홀도 청소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버블 발생 노즐의 구멍이 막혀서 버블 발생 노즐을 그냥 폐기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블 발생 노즐(120)에 공급 물질이 잘 유입(공급 물질은 산소 또는 오존, 과산화 수소와 같은 액체, 공기 등을 의미함)되고 역류가 최소화(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의 역류가 최소화)되고 버블 발생 노즐(120)에 구비된 홀로 공기가 인입(다수의 분할 공급홀(38)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로 공기가 인입)되어 유체 및 관 벽체(노즐 바디(20)의 내주면)의 마찰을 줄이고, 흐름 유체의 회전을 증가시켜서 버블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노즐 바디(20)는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과 상기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 사이에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이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 사이에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이 형성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 사이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는 유체가 유입되어 들어오는 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좁아지는 제1종단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는 유체가 유입되어 들어오는 단부에서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커지는 제2종단 테이퍼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 바디(20)가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좌우 양쪽의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로 구성된 경우에는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가 나사식으로 결합된 정도를 조절하여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 사이에 형성된 상기 분사홀(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가 나사식으로 결합된 정도를 조절하여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 사이에 형성된 상기 분사홀(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가 나사식으로 결합된 정도를 조절하여 두 개 이상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 사이에 형성된 분사홀(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20)에 형성된 분사홀(2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급 물질(예를 들어, 산소나 오존이나 과산화 수소 등)이 분사되는데, 상기 공급 물질이 분사되어야 하는 설정 압력에 따라 복수개의 노즐 바디(20)부재에 의해 상기 분사홀(22)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으므로, 공급 물질을 적절한 압력으로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분사되도록 하면서도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거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를 지나가는 유체에 나노버블이 발생하고,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어질 수록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지나가는 유치에 마이크로 버블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분사홀(22)에서 특히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혀지도록 조절함으로써 나노버블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가 두 개인 경우 두 개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형성된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태에서 두 개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를 상대적으로 덜 조여지게 결합하면,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넓어지게 된다. 즉, 두 개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가 나사부에 의해 결합된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로 이루어진 분사홀(22)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더 좁혀주거나 더 넓혀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 물질이 분사되어야 하는 설정 압력에 따라 두 개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에 의해 상기 분사홀(22)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으므로, 공급 물질에 의해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거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도 나사식으로 결합되는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 사이의 분사홀(22)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더 좁혀주거나 더 넓혀줄 수 있다.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 사이의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태에서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를 상대적으로 덜 조여지게 결합하면,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넓어지게 된다. 즉,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가 나사부에 의해 결합된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를 포함하는 분사홀(22)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더 좁혀주거나 더 넓혀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을 더 좁혀주거나 넓혀줄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 물질이 분사되어야 하는 설정 압력에 따라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에 의해 상기 분사홀(22)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으므로, 공급 물질에 의해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거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 사이의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상태에서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를 상대적으로 덜 조여지게 결합하면,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더 넓어지게 된다. 즉,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가 나사부에 의해 결합된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는 분사홀(22)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더 좁혀주거나 더 넓혀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급 물질이 분사되어야 하는 설정 압력에 따라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에 의해 상기 분사홀(22)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으므로, 공급 물질에 의해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거나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이 형성된 영역의 안쪽면은 유체가 진입하여 들어오는 단부쪽에서 유체가 흘러나가는 단부쪽으로 갈수록 점점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22TP)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가 상기 테이퍼면(22TP) 영역을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지고 동시에 와류가 발생하면서 버블 발생 효율을 더욱 높여주게 된다. 버블 발생 효율을 더욱 높여준다는 것은 버블 처리 대상물에 대하여 버블로 처리하는 효율이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세척장치에서 세척 대상물을 버블을 이용하여 세척을 할 때에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흐르는 유체가 상기 테이퍼면(22TP) 영역을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지고 동시에 와류가 발생하면서 버블 발생 효율을 더욱 높여주게 되면, 상기 세척 대상물을 버블로 세척하는 효율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 분사홀(22)에서 중간 분사홀(22BH)와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의 간격이 주로 조절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로 분사되는 공기의 종류(산소나 오존이나 과산화수소 등)에 대응하는 압력을 맞게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은 노즐 바디(20) 내부에 이너 분사홀(22DH)과 역류 방지턱(22STP)과 인입 분사홀(22AH)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에 구비된 공급홀(38)이 형성되어,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이너 분사홀(22DH)과 역류 방지턱(22STP)과 인입 분사홀(22AH) 및 공급홀(38)로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것이다.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은 인입 분사홀(22A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은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는 역류 방지턱(22STP)이 구비되는데,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역류되려 하여도 이너 분사홀(22DH)의 내경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의 직경보다 극히 작고 유로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 구비된 역류 방지턱(12STP)에 의해 이너 분사홀(22DH)의 내경이 더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역류 방지턱(12STP)에 의해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인입 분사홀(22AH)에서는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중간 분사홀(22CH)의 내부보다 더 좁은 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인입 분사홀(22AH)로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 유로를 따라 흐르는 유체가 유로의 막힘 등의 요인에 의해 역류되려는 현상이 발생할 때에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의 직경은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의 직경에 비하여 극히 작고 동시에 이너 분사홀(22DH)의 내경이 노즐 바디(20)의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점점 줄어들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 유로에서 유체가 이너 분사홀(22DH)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의 내부로 유체가 역류하여 들어온다 하더라도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 구비된 역류 방지턱(22STP)에 의해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 더 좁아지는 통로를 만들기 때문에 비록 이너 분사홀(22DH)로 유체가 역류하여 들어온다 하더라도 상기 역류 방지턱(22STP)에 의해 유체의 역류가 2차로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턱(22STP)와 이너 분사홀(22DH) 사이의 더 좁아진 통로로 유체가 역류하여 들어온다 하더라도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의 내경 단면적은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의 단면적에 비하여 극히 작기 때문에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쪽에서도 3차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에 구비된 공급홀(38)의 내경 단면적도 상기 유입 챔버(31)의 단면적에 비하여 극히 작기 때문에, 설령 유입 챔버(31)의 내부로 유체의 극히 일부가 역류되어 들어온다 하더라도 상기 공급홀(38) 쪽에서 4차로 유체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 의해서는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에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1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역류 방지턱(22STP)에 의해서는 상기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2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 분사홀(22AH)에 의해서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3차 네크부가 형성되고,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에 구비된 공급홀(38)에 의해서는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4차 네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역류하는 현상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 바디(20)는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사홀(22)이 막히는 경우에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를 분리하여 분사홀(22)이 막힌 노즐 바디부재를 새로 교체하거나 청소(즉,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 중에서 분사홀(22)이 막힌 것을 새로 교체하거나 청소)하면 되므로, 기존에 버블 발생 노즐에서 분사홀이 막힌 경우 그냥 폐기하였던 종래에 비하여 다시 버블 발생 노즐(120)을 재차 사용할 수 있고, 버블 발생 노즐(120)을 재차 사용함으로 인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버블 발생 노즐(120)과, 상기 버블 발생 노즐(120)에 각각 연결된 선회류 발생기구(42)와 와류 발생 용해장치(62)와, 상기 와류 발생 용해장치(62)에 연결된 전동 밸브(62VB)와, 상기 선회류 발생기구(42)에 연결된 펌프(52)와, 상기 펌프(52)와 전동 밸브(62VB) 사이에 연결된 세척수 저장탱크(72)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에 채용되는 버블 발생 노즐은 전술한 구조의 버블 발생 노즐(120)로 채용된다. 버블 발생 노즐(120)은 와류 발생 용해장치(62)에 구비된다.
일반적인 선회방식 버블 장치는 이젝터 형태로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유체가 축소되는 장치의 내부에서 선회류를 발생하여 유체의 흐름 속도를 높여 관에 음압(진공압)이 걸려서 외부의 기체를 자동 흡입한다.
본 발명의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은 이젝터 형태의 버블 발생 장치에 액체가 유입되기 직전에 유체에 선회류를 생성하는 선회류 발생기구(42)에 액체(유체)가 인입 직후 선회류를 발생하도록 하는 유로 가이드(리듀서에 선회류 발생 가이드)와, 가스가 인입 시 액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젝터 내부 구조와 다수의 흡입 홀이 포함된 액체와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법선 방향으로 흡입공기가 이젝터 축소부에 회전하며 들어가게 하는 흡입홀과 다수의 공급홀(38)과 흡입 공기를 선회시켜 대량의 공기가 유입 할 수 있는 공기 선회장치 이젝터 형태의 버블 발생 장치를 통과 후 선회류를 보다 강력하게 발생할 수 있는 원심력을 이용한 용해장치이다.
또한 펌프(52) 정지 시 당분이나 전분 등 점액 성분의 유체가 흐름을 멈출 시 미세 공기 흡입홀에 역류하여 흡입홀을 막히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 방식이다.
펌프(52)에서 이젝터형버블 발생 장치(120)에 유체가 인입하기 전에 리듀서를 달고 리듀서에 선회류를 발생하는 가이드 장치를 부착한다. 깔대기 형태인데 보다 더 회전하면서 인인되도록 리듀서 내부에 가이드 등을 부착한다.
상기 버블 발생 노즐에서 공기가 사선으로 인입되도록 한다. 공기가 잘 유입되고 역류가 최소화된다.
진공이 걸린 버블 발생 노즐(120 : 이젝터 축소관)에 다수의 홀(분사홀)로 공기가 인입되어 유체 및 관 벽체의 마찰을 줄인다.
유입 챔버(31)에 다수의 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기존에는 챔버 공급홀(38)이 한 개 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입 챔버(31)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버블 발생 노즐(120)에 법선 방향으로 유입(상기 경사진 이너 분사홀(22DH)에 의해 법선 방향으로 유입)되어 흐름 유체의 회전을 증가시킨다. 수직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회전되면서 유입하게 하여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는 흐름 유체의 회전을 증가시킨다.
점액 성분을 갖는 액체가 펌프(52)가 정지 시 공기 홀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 라인에 전동 밸브(62VB)를 설치하고 시스템 내부에서만 흐르게 한다. 이때 세정수 저장 탱크(72)를 두어 세정액이 순환하게 한다. 세정액은 차염소산나트륨, 과산화수소, 혹은 오존을 주입하게 하여 오존수로 한다.
나노버블화 되지 않거나 미용해된 기체는 선회류에 있어 안쪽으로 향하게 된다. 미용해 공기가 흐르는 중앙에 원추형 막음 장치(격실)를 두어 공기가 비산되도록 한다. 그러면 전체적인 혼합유체의 선회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다량의 선회류가 발생하여 용해 효율을 향상시키고 선회에너지가 토출되어 액체와 충돌할 때 충돌에너지로 변환되어 더욱 많고 미세한 나노버블을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노즐 바디 22. 분사홀
22AH. 인입 분사홀 22BH. 중간 분사홀
22CH. 크로스 중간 분사홀 22DH. 이너 분사홀
30. 공급 헤더부 38. 공급홀

Claims (11)

  1.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노즐 바디(20);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결합된 공급 헤더부(30);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과 상기 공급 헤더부(30)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유입 챔버(31);
    상기 공급 헤더부(3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31)와 연통된 공급홀(38);
    상기 노즐 바디(2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31)와 연통된 분사홀(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사홀(22)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연장된 인입 분사홀(22AH);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연통된 중간 분사홀(22BH);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에 이어지고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는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이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상기 이너 분사홀(22DH)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에는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이 구비되고,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은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이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입 분사홀(22AH)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분사홀(22BH)은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는 역류 방지턱(22STP)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유로에서 흐르는 유체가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역류되려 하여도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의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유로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로 흐르는 유체가 상기 이너 분사홀(22DH)로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이너 분사홀(22DH)에 구비된 상기 역류 방지턱(12STP)에 의해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의 내경이 더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역류 방지턱(12STP)에 의해 상기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인입 분사홀(22AH)에 의해서는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중간 분사홀(22CH)의 내부보다 더 좁은 통로를 만들어서 상기 인입 분사홀(22AH)로 상기 유체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20)는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과 상기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 사이에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1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F)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와 제2종단 노즐 바디부재(20DBS)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가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각각의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 사이에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이 형성되고, 두 개 이상의 상기 중간 노즐 바디부재(20DBM) 사이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헤더부(30)는,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나사부에 의해 결합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격판부재 셋트(32);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와 함께 상기 유입 챔버(31)를 형성하는 외측 헤더 슬리브(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에 상기 공급홀(38)이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31)와 상기 노즐 바디(20)의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이너 분사홀(22DH)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20)는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이너 분사홀(22DH)에 더하여서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 사이에 배치된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을 구비하여, 상기 노즐 바디(20)의 내부에 인입 분사홀(22AH)과 중간 분사홀(22BH)과 크로스 중간 분사홀(22CH)과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는 분사홀(22)이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결합된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에 상기 공급홀(38)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홀(38)은 유입 챔버(31)를 통해서 노즐 바디(20)의 분사홀(22)에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와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는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급 헤더부(30)는 복수개의 상기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의 의해 형성되고, 상기 분할 공급 헤더 셋트(30DHS)의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과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 및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 사이에 복수개의 분할 유입 챔버(31)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에 상기 공급홀(3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분사홀(22)은 상기 노즐 바디(20)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상기 분사홀(22)이 복수개의 상기 분할 유입 챔버(31)를 통해서 복수개의 상기 공급홀(38)에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 셋트(32)는 양면으로 연통된 나사홀을 구비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상기 나사홀이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의 상기 나사부에 결합되고,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에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부재 셋트(32)의 외주면과 상기 외측 헤더 슬리브(34)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36)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발생 노즐.
  11. 버블 발생 노즐(120);
    상기 버블 발생 노즐에 각각 연결된 선회류 발생기구(42)와 와류 발생 용해장치(62);
    상기 와류 발생 용해장치(62)에 연결된 전동 밸브(62VB);
    상기 선회류 발생기구에 연결된 펌프(52);
    상기 펌프(52)와 상기 전동 밸브(62VB) 사이에 연결된 세척수 저장탱크(7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버블 발생 노즐(120)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중공부를 구비한 노즐 바디(20);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 결합된 공급 헤더부(30);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과 상기 공급 헤더부(30)의 내주면 사이에 확보된 유입 챔버(31);
    상기 공급 헤더부(3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31)와 연통된 공급홀(38);
    상기 노즐 바디(20)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 챔버(31)와 연통된 분사홀(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사홀(22)은,
    상기 노즐 바디(20)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연장된 인입 분사홀(22AH);
    상기 인입 분사홀(22AH)과 연통된 중간 분사홀(22BH);
    상기 중간 분사홀(22BH)과 상기 유입 챔버(31)에 이어지고 상기 노즐 바디(2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내경은 상기 노즐 바디(20) 내부의 상기 유로 쪽으로 갈수록 접점 좁아지는 이너 분사홀(22DH);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KR1020200176406A 2020-12-16 2020-12-16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KR10229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06A KR102294262B1 (ko) 2020-12-16 2020-12-16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406A KR102294262B1 (ko) 2020-12-16 2020-12-16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262B1 true KR102294262B1 (ko) 2021-08-27

Family

ID=7750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406A KR102294262B1 (ko) 2020-12-16 2020-12-16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2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372B1 (ko) * 2000-06-08 2003-01-10 유병호 오존수 제조용 제트분사장치
KR101666775B1 (ko) 2016-07-26 2016-10-14 (주)유한엔씨아이 파우치 자동포장기
KR101814096B1 (ko) * 2010-02-23 2018-01-02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인라인형 유체 혼합 장치
KR102024848B1 (ko) 2019-05-31 2019-11-05 (주)주팩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372B1 (ko) * 2000-06-08 2003-01-10 유병호 오존수 제조용 제트분사장치
KR101814096B1 (ko) * 2010-02-23 2018-01-02 아사히 유키자이 가부시키가이샤 인라인형 유체 혼합 장치
KR101666775B1 (ko) 2016-07-26 2016-10-14 (주)유한엔씨아이 파우치 자동포장기
KR102024848B1 (ko) 2019-05-31 2019-11-05 (주)주팩 스파우트 파우치 포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8162B2 (ja) 旋回ユニット基盤の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483412B1 (ko) 마이크로 버블 노즐
US5951922A (en) Aeration system for substantial bodies of water
KR20190014443A (ko) 미세 기포수 생성기
KR101937133B1 (ko) 마이크로·나노 버블의 발생 방법, 발생 노즐 및 발생 장치
CN111093817B (zh) 微细气泡液生成器
JP2009160576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20120029259A (ko) 극미세 버블수 발생장치
CN110891674A (zh) 微气泡产生设备和微气泡产生方法,以及具有该微气泡产生设备的淋浴装置和油水分离装置
JP2008023435A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器
KR102313214B1 (ko) 코일형 노즐을 구비하는 초미세기포 발생시스템
KR102294262B1 (ko) 버블 발생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다단 선회방식 버블 발생 시스템
JP2005028306A (ja) 気液混合装置及び汚水浄化装置
JP2011115674A (ja) 微細化混合装置
WO2018151171A1 (ja) 汚水浄化用の気泡発生装置
JP6075674B1 (ja) 流体混合装置
JP2018134588A (ja) 微細気泡生成器
KR200497600Y1 (ko) 나노버블발생장치용 연결관
KR100854687B1 (ko) 미세 기포 발생 장치
JP3142412B2 (ja) バブリング洗浄装置
JP2000300975A (ja) 気液混合ノズル
CN114159993B (zh) 混气罐及具有其的净水器
EP3166889B1 (en) Hydrodynamically-enhanced uv photo-oxidation of contaminated liquids
JP4673673B2 (ja) オゾン水製造装置、オゾン水製造装置を用いた洗浄装置及びオゾン水製造装置を用いた水質改善装置
CN113842796A (zh) 一种微细气泡水生成器及洗衣机软管、淋浴软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