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631B1 -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631B1
KR102205631B1 KR1020200057150A KR20200057150A KR102205631B1 KR 102205631 B1 KR102205631 B1 KR 102205631B1 KR 1020200057150 A KR1020200057150 A KR 1020200057150A KR 20200057150 A KR20200057150 A KR 20200057150A KR 102205631 B1 KR102205631 B1 KR 102205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discharge
supply device
seal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진
Original Assignee
(주)오투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투비스 filed Critical (주)오투비스
Priority to KR102020005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3/00Pumps specially modified to deliver fixed or variable measured quant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14Pumps characterised by muscle-power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6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for liquids near their boiling point, e.g. under subnormal pressure
    • F04B15/08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for liquids near their boiling point, e.g. under subnormal pressure the liquids having low boiling points
    • F04B2015/081Liquefied gases
    • F04B2015/0826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압축기체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압축기체 용기와 접촉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개방시키는 토출바늘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늘의 천공으로 상기 압축기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바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토출된 기체를 밀봉용기에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Compressed gas supply device for 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는 호흡뿐만 아니라 각종 피로 물질을 분해시키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며 근육 및 심폐 기능을 향상 시키는 등 사람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기체이다.
이런 산소는 최근 임상 실험을 통해 고농축 산소수를 음용 하는 경우 간의 해독작용과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고, 수액에 산소를 공급하여 환자에게 수액을 투여하면 치매 예방에 효과와 더불어 종래 공간적 비용적 제약이 따르는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 장치)를 대신할 수 있으며, 산소를 공급한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에 산소를 물, 술, 수액 및 화장품에 고농축으로 용해 시킨 제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COVID-19로 산소포화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중증 환자의 경우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 장치)를 이용하는 혈액을 이 장치에 순환시켜 산소를 공급하여 산소포화도를 올리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공간적 비용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보다 효율적으로 산소포화도를 높여주고 혈액속에 50PPM이상의 고농도 산소가 용해된 수액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간적 비용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는 산소를 직접 용기에 용해 시킨 제품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산소를 고농축으로 용해 시킨 제품을 밀봉된 상태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외부 충돌로 산소가 수액에서 분리되어, 용기의 밀봉을 해제할 경우, 분리된 산소가 외부로 배출되어 최초 용존 산소량을 유지할 수 없어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의료용 제품인 수액이나 화장품 밀봉 용기의 경우 운반시 파손이나 보관시 파손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이에, 종래에는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622949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통해 산소가 용기에 공급되어 용존 산소량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경우 음료수 용기와 같이 용기를 오픈한 상태에서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설치해 압축기체를 용기에 공급하기 때문에, 수액 및 마스크팩 용기와 같이 밀봉용기에는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압축기체를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밀봉용기에 밀봉된 상태에서 압축기체를 공급할 수 있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은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압축기체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압축기체 용기와 접촉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개방시키는 토출바늘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늘의 천공으로 상기 압축기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및 상기 토출바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토출된 기체를 밀봉용기에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단은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압축기체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압축기체 용기와 접촉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개방시키는 토출바늘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늘의 천공으로 상기 압축기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및 일단은 상기 토출부를 수용하고, 타단은 밀봉용기에 삽입되어 상기 토출된 기체를 상기 밀봉용기로 주입하는 주입부; 및 상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밀봉용기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상기 주입부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포함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토출부 타단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된 기체의 토출시에만 상기 토출된 기체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 내부에 토출된 기체가 이동하는 이동공간부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역류방지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주입부 내부의 이동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토출된 기체가 상기 밀봉용기로 유입시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토출된 기체가 상기 밀봉용기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상기 주입부로 배출시에는 상기 토출부를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토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부의 타단과 탈착되게 결합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용기는 수액용기 또는 마스크팩 용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몸체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커버, 슬라이딩부 및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에 탈부착 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조작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몸체 일단의 상부에서 옆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접철식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부 상부에 접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가 탈착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힌지부, 조작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돌출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가 회전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돌출부를 회전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조작하면, 회전 이동하여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슬라이딩부, 조작부 및 오픈탭을 포함하
되,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몸체 일단의 상부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상기 몸체와 결합 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오픈탭은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조작부 하부 사이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아래로 슬라이딩 되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밀봉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수액을 환자에게 투여 시 바로 산소를 밀봉된 상태의 수액용기에 공급되게 하여 용존 산소량이 높은 수액을 환자에게 투여해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팩을 사용자가 사용 시 바로 산소를 밀봉된 상태의 마스크팩용기에 공급되게 하여 용존 산소량이 높은 마스크팩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크모(ECMO,체외막산소공급 장치) 없이 산소 포화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가 몸체에 결합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의 결합 위치가 다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의 결합 위치가 다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는 밀봉용기가 수액용기(1)이며, 도 1(b)는 밀봉용기가 마스크팩 용기(4)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액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10)는 몸체(100), 가압부(200), 토출부(300), 주입부(400) 및 마개부(500)를 포함한다.
압축기체 공급장치(10)는 밀봉용기가 수액이 담겨진 수액용기(1)일 경우 주입부(400)가 약물 주입부(2)에 삽입되어, 수액용기(1)의 내부에 수용된 수액에 기체를 공급하여, 수액용기(1)의 약물 투약부(3)를 통해 기체가 포함된(기체가 용존된) 수액을 환자에게 공급하게 한다. 여기서, 기체는 산소일 수 있다.
또한, 압축기체 공급장치(10)는 밀봉용기가 마스크팩이 담겨진 마스크팩 용기(4)일 경우 주입부(400)가 주입부(5)에 삽입되어, 마스크팩 용기(4)의 내부에 수용된 마스크팩에 기체를 공급하여, 사용자가 마스크팩 용기(4)를 오픈해 기체가 주입된 마스크팩을 사용할 수 있다.
몸체(10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압축기체 용기(1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02)를 형성하고 있어 내부에 압축기체 용기(15)를 수용한다. 이때, 수용공간부(102)의 직경은 압축기체 용기(15)의 직경보다 1 내지 4mm 클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부(102)가 압축기체 용기(15)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은, 토출부(300)에 의해 압축기체 용기(15)에서 토출된 기체 중 토출부(300)를 통해 주입부(400)로 이동하지 않는 토출된 기체가 수용공간부(102)와 압축기체 용기(1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하여 압축기체 용기(15)의 상부를 가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용공간부(102)의 직경은 압축기체 용기(15)의 직경보다 1 내지 4mm 큰 것은, 수용공간부(102)의 직경이 압축기체 용기(15)의 직경보다 1mm 이하로 작을 경우 수용공간부(102)에 압축기체 용기(15)를 삽입과 압축기체 용기(15)를 가압부(200)로 가압하여 토출부(300)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힘들고, 수용공간부(102)의 직경이 압축기체 용기(15)의 직경보다 4mm 초과할 경우 운반 등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축기체 용기(15)가 흔들려 기울어짐 등이 발생하여 토출부(300)가 압축기체 용기(15)를 개방시키지 못하거나 압축기체 용기(15) 토출 시 압축기체 용기(15)의 압축된 기체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량 토출되지 않고 많은 양의 기체가 다른 방향으로 누출이 되어 용존기체량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몸체(100)는 커버부(2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 커버부(200)의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압축기체 용기(15)는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후, 폐쇄되어 수용공간부(102)에 수용된다. 한편, 압축기체 용기(15)에 담겨지는 압축기체는 주로 산소이며, 경우에 따라, 다른 기체를 압축하여 담을 수 있음이 당연하다.
가압부(200)는 몸체(100)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에 의해 몸체(100)와 결합되어 몸체(100)의 수용공간부(102)에 수납된 압축기체 용기(15)의 이탈을 방지하고, 압축기체 용기(15)를 가압하여 압축기체 용기(15)를 토출부(3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가압부(200)는 사용자가 가압부(200)를 돌리면, 몸체(100) 상부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에 의해 몸체(100)와 결합되면서, 압축기체 용기(15)를 토출부(3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토출부(300)는 몸체(100) 하부에 형성되어 가압부(200)에 의해 이동한 압축기체 용기(15)를 토출바늘로 개방시켜 토출바늘의 천공으로 압축기체를 토출시켜 주입부(400) 내로 토출된 기체가 이동하게 한다.
또한, 토출부(300)는 압축기체 용기(15)와 접촉되는 토출바늘의 선단이 서로 각도가 다른 제1선단날과 제2선단날로 되어있으며, 제1선단날의 제1선단각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3 내지 30도이며, 제2선단날의 제2선단각은 제1선단각 보다 크다.
이처럼 토출부(300)의 토출바늘 제1선단날에 제1선단각이 3 내지 30도 이내인 이유는 토출부(300)의 막힘 및 압축기체 용기(15)의 기체 누출 등의 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토출부(300)의 토출바늘 제1선단날에 제1선단각이 3도보다 작으면 압축기체 용기(15)의 막음부를 토출부(300)을 통해 뚫을 시 금속 이물질이 토출부(300)를 막는 현상이 발생되며, 토출부(300)의 토출바늘 제1선단날에 제1선단각이 30도를 초과하면 막힘부를 토출부(300)을 통해 뚫을시 압축기체 용기(15)의 기체가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주입부(400)는 토출부(300)의 토출바늘이 압축기체 용기(15)와 접촉되는 방향 반대로 토출바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토출된 기체를 밀봉용기(1)에 주입한다.
구체적으로, 주입부(400)는 밀봉용기(1)의 주입부(2)와 결합되는 부분이 바늘 형상을 가져 밀봉용기(1)의 주입부(2)를 뚫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에 삽입되면,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되어 이동한 기체가 주입부(400)를 통해 밀봉용기(1)로 주입된다.
마개부(500)는 주입부(400)의 타단과 탈착되게 결합 되는 것으로, 주입부(400)와 결합 되어 주입부(400)의 밀봉용기(1)의 주입부(2)와 결합되는 바늘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주입부(400)에서 탈착 시에는 주입부(400)가 밀봉용기(1)의 주입부(2)와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가 몸체에 결합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는 가압부(200)가 몸체(100)의 상부에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도 3(b)는 가압부(200)가 몸체(100)의 상부에 힌지결합 된 것을, 도 3(c)는 가압부(200)가 몸체(100)의 상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도 2의 가압부(200)가 몸체(100)와 나사결합된 것과 달리 가압부(200)가 몸체(100)의 상부에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가압부(200)는 슬라이딩부(210), 조작부(220) 및 커버(2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210)는 몸체(100)의 상부에 옆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일부분에는 사용자가 조작부(220)를 통해 슬라이딩부(210)를 이동시 압축기체 용기(15)를 가압할 수 있게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20)는 접철식으로 슬라이딩부(21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슬라이딩부(210)를 당기 수 있게 하며, 커버(230)가 몸체(100)에 부착된 경우에는 슬라이딩부(210) 상부에 접어져 있고, 커버(230)가 탈착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펼쳐진다.
커버(230)는 몸체(100)에 부착되어, 슬라이딩부(210)와 조작부(22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몸체(100)에서 탈착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2의 가압부(200)가 몸체(100)와 나사결합된 것과 달리 가압부(200)가 몸체(100)의 상부에 힌지결합 된 것으로, 가압부(200)는 힌지부(240), 돌출부(250) 및 조작부(260)를 포함한다.
힌지부(240)는 돌출부(25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몸체(100)에 가압부(200)를 힌지 결합시키며, 사용자가 조작부(260)를 통해 조절하면 가압부(200)의 돌출부(250)가 회전되게 한다.
돌출부(250)는 사용자가 조작부(260)를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압축기체 용기(15)를 가압시켜 압축기체 용기(15)가 토출부(3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조작부(260)는 돌출부(250)의 일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가압부(200)의 돌출부(250)를 회전 이동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 2의 가압부(200)가 몸체(100)와 나사결합된 것과 달리 가압부(200)가 몸체(100)의 상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가압부(200)는 오픈탭(270), 슬라이딩부(280) 및 조작부(290)를 포함한다.
오픈탭(270)은 몸체(100)의 상부와 조작부(290) 하부 사이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부(280)가 아래로 슬라이딩 되지 않게 방지한다.
슬라이딩부(280)는 몸체(100)에 슬라이딩 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몸체(100) 일단의 상부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조작부(290)는 슬라이딩부(28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부(290)를 눌러 가압부(200)를 슬라이딩 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20)는 몸체(100), 가압부(200), 토출부(300), 주입부(400), 마개부(500) 및 역류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100), 주입부(400) 및 역류방지부(600)를 제외한 가압부(200), 토출부(300) 및 마개부(500)는 도 2의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도 4에서 가압부(200)는 몸체(100)와 나사결합 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몸체(100)는 몸체(100)는 내부에 압축기체 용기(15)를 수용하며, 가압부(200) 및 주입부(400)와 결합된다.
몸체(100)는 내부몸체(110) 및 외부몸체(120)를 포함한다.
내부몸체(110)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압축기체 용기(1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102)를 형성하고, 주입부(400)의 내부로 삽입된다.
외부몸체(120)는 상부에는 커버부(2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고 커버부(200)와 결합되며, 하부에는 주입부(4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고, 주입부(400)와 결합된다.
주입부(400)는 주입부 몸체(410), 바늘(420) 및 이동공간부(430)를 포함한다.
주입부 몸체(410)는 상부에 몸체(100)의 외부몸체(120)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고 몸체(100)와 결합되고, 내부는 내부몸체(110)와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된 기체가 이동할 수 있게 이동공간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420)은 주입부 몸체(420)에 형성되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를 뚫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에 삽입되며,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을 통해 밀봉용기(1)로 주입되게 한다.
이동공간부(430)는 주입부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몸체(110)와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역류방지부(600)는 토출부(300)의 하부 일부분에 설치되어 압축기체 용기(15)의 압축된 기체가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시에만 토출된 기체에 의해 벌어져 몸체(100)의 외부몸체(120)에 결합된 주입부(400)의 이동공간부(430)로 이동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의 결합 위치가 다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20)는 몸체(100), 가압부(200), 토출부(300), 주입부(400), 마개부(500) 및 역류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토출부(300), 주입부(400) 및 역류방지부(600)를 제외한 몸체(100), 가압부(200) 및 마개부(500)는 도 2의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도 5에서 가압부(200)는 몸체(100)와 나사결합 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토출부(300)는 몸체(100) 하부에 형성되어 가압부(200)에 의해 이동한 압축기체 용기(15)를 토출바늘로 개방시켜 토출바늘의 천공으로 압축기체를 토출시켜 주입부(400) 내로 토출된 기체가 이동하게 한다.
또한, 토출부(300)의 외부 하부에는 주입부(400)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주입부(400)와 결합된다.
주입부(400)는 주입부 몸체(410), 바늘(420) 및 이동공간부(430)를 포함한다.
주입부 몸체(410)는 상부에 토출부(300)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고 토출부(300)와 결합되고, 내부는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된 기체가 이동할 수 있게 이동공간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420)은 주입부 몸체(420)에 형성되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를 뚫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에 삽입되며,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을 통해 밀봉용기(1)로 주입되게 한다.
이동공간부(430)는 주입부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역류방지부(600)는 토출부(300)의 하부 일부분에 설치되어 압축기체 용기(20)의 압축된 기체가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시에만 토출된 기체에 의해 벌어져 토출부(300)와 결합된 주입부(400)의 이동공간부(430)로 이동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30)는 몸체(100), 가압부(200), 토출부(300), 주입부(400), 마개부(500) 및 역류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입부(400) 및 역류방지부(600)를 제외한 몸체(100), 가압부(200), 토출부(300) 및 마개부(500)는 도 4의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2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도 6에서 가압부(200)는 몸체(100)와 나사결합 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주입부(400)는 주입부 몸체(410), 바늘(420) 및 이동공간부(430)를 포함한다.
주입부 몸체(410)는 상부에 몸체(100)의 외부몸체(120)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고 몸체(100)와 결합되고, 내부는 내부몸체(110)와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된 기체가 이동할 수 있게 이동공간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420)은 주입부 몸체(420)에 형성되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를 뚫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에 삽입되며,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을 통해 밀봉용기(1)로 주입되게 한다.
이동공간부(430)는 주입부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내부몸체(110)와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동공간부(430)는 걸림턱(431) 및 가이드부(432)를 포함한다.
걸림턱(431)은 이동공간부(43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토출부(300)를 통해 토출된 기체에 의해 역류방지부(600)가 바늘(420) 방향으로 이동 시 바늘(420)을 막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432)는 이동공간부(430)의 일부분에 토출부(300) 방향으로 형성되어 역류방지부(600)가 토출부(300)의 토출된 기체가 나오는 구멍 주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방지부(600)는 주입부(400) 내부의 이동공간부(430)에 수용되어, 토출부(300)를 통해 토출된 기체에 의해 바늘(4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봉용기(1)로 유입시에는 걸림턱(431)에 걸려 토출된 기체가 밀봉용기(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밀봉용기(1)로부터 바늘(420)을 통해 주입부(400)로 배출시에는 토출부(300)를 막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의 결합 위치가 다른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30)는 몸체(100), 가압부(200), 토출부(300), 주입부(400), 마개부(500) 및 역류방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입부(400) 및 역류방지부(600)를 제외한 몸체(100), 가압부(200), 토출부(300) 및 마개부(500)는 도 5의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2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도 7에서 가압부(200)는 몸체(100)와 나사결합 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토출부(300)는 몸체(100) 하부에 형성되어 가압부(200)에 의해 이동한 압축기체 용기(15)를 토출바늘로 개방시켜 주입부(400) 내로 기체를 토출시킨다.
또한, 토출부(300)의 외부 하부에는 주입부(400)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주입부(400)와 결합된다.
주입부(400)는 주입부 몸체(410), 바늘(420) 및 이동공간부(430)를 포함한다.
주입부 몸체(410)는 상부에 토출부(300)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고 토출부(300)와 결합되고, 내부는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된 기체가 이동할 수 있게 이동공간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바늘(420)은 주입부 몸체(420)에 형성되어, 밀봉용기(1)의 주입부(2)를 뚫어 밀봉용기(1)와 결합되며,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을 통해 밀봉용기(1)로 주입되게 한다.
이동공간부(430)는 주입부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되어 토출부(300)를 수용하고, 토출부(300)에 의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를 걸쳐 바늘(420)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이동공간부(430)는 걸림턱(431) 및 가이드부(432)를 포함한다.
걸림턱(431)은 이동공간부(430)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토출부(300)를 통해 토출된 기체에 의해 역류방지부(600)가 바늘(420) 방향으로 이동 시 바늘(420)을 막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432)는 이동공간부(430)의 일부분에 토출부(300) 방향으로 형성되어 역류방지부(600)가 토출부(300)의 토출된 기체가 나오는 구멍 주위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역류방지부(600)는 주입부(400) 내부의 이동공간부(430)에 수용되어, 토출부(300)를 통해 토출된 기체에 의해 바늘(420)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봉용기(1)로 유입시에는 걸림턱(431)에 걸려 토출된 기체가 밀봉용기(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밀봉용기(1)로부터 바늘(420)을 통해 주입부(400)로 배출시에는 토출부(300)를 막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a)는 토출부(300)를 통해 토출된 기체가 밀봉용기(1)로 주입시 역류방지부(6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b)는 밀봉용기(1)로부터 주입부(400)로 기체 또는 액체가 배출시 역류방지부(6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토출부(300)를 통해 토출된 기체가 이동공간부(430)로 이동해 유입되면, 역류방지부(600)를 밀어 바늘(420)로 이동하여 밀봉용기(1)로 주입되는데, 이때 걸림턱(431)에 의해 역류방지부(600)가 걸려 바늘(420)을 폐쇄하는 것을 방지해 이동공간부(430)로 유입된 기체가 바늘(42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어 수액용기(1)로 주입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밀봉용기(1)로부터 바늘(420)을 통해 주입된 기체 또는 밀봉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주입부(400)로 배출시 역류방지부(600)가 배출된 기체 또는 액체에 의해 이동공간부(430) 내에서 이동하여 토출부(300)의 기체가 토출되는 부분을 폐쇄하여 배출된 기체 또는 액체가 토출부(3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압축기체 공급장치 15 : 압축기체 용기
100 : 몸체 110 : 내부몸체
120 : 외부몸체 200 : 가압부
300 : 토출부 400 : 주입부
500 : 마개부

Claims (12)

  1.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압축기체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압축기체 용기와 접촉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개방시키는 토출바늘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늘의 천공으로 상기 압축기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및
    밀봉용기를 뚫고 삽입될 수 있는 바늘 형상으로 상기 토출바늘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토출된 기체를 상기 밀봉용기에 주입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2. 내부에 압축된 기체가 담겨진 압축기체 용기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이동시키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이동한 상기 압축기체 용기와 접촉해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개방시키는 토출바늘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바늘의 천공으로 상기 압축기체를 토출시키는 토출부; 및
    일단은 내부에 이동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동공간부에 상기 토출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몸체와 결합되고, 타단은 밀봉용기를 뚫고 삽입될 수 있는 바늘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이동공간부를 걸쳐 상기 바늘을 통해 상기 밀봉용기로 주입되게 하는 주입부; 및
    상기 토출된 기체가 상기 주입부로부터 상기 밀봉용기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상기 주입부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하는 역류방지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토출부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된 기체의 토출시에만 상기 토출된 기체에 의해 벌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 내부에 토출된 기체가 이동하는 이동공간부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역류방지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주입부 내부의 이동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토출된 기체가 상기 밀봉용기로 유입시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토출된 기체가 상기 밀봉용기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밀봉용기로부터 상기 주입부로 배출시에는 상기 토출부를 막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토출부에 결합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의 타단과 탈착되게 결합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용기는 수액용기 또는 마스크팩 용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몸체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커버, 슬라이딩부 및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에 탈부착 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조작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몸체 일단의 상부에서 옆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상기 몸체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접철식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몸체에 부착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부 상부에 접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가 탈착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펼쳐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힌지부, 조작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돌출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와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가 회전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돌출부를 회전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조작하면, 회전 이동하여 상기 압축기체 용기를 가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슬라이딩부, 조작부 및 오픈탭을 포함하
    되,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몸체 일단의 상부에서 아래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상기 몸체와 결합 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에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오픈탭은 상기 몸체의 상부와 상기 조작부 하부 사이에 탈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아래로 슬라이딩 되지 않게 방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12. 제1항 및 제2항 어느 한 항의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밀봉용기.
KR1020200057150A 2020-05-13 2020-05-13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2205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50A KR102205631B1 (ko) 2020-05-13 2020-05-13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50A KR102205631B1 (ko) 2020-05-13 2020-05-13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631B1 true KR102205631B1 (ko) 2021-01-21

Family

ID=7423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150A KR102205631B1 (ko) 2020-05-13 2020-05-13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6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626A (ja) * 2006-12-27 2008-07-17 Daizo:Kk 内容物混合装置
KR20150007187A (ko) *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JP2016023670A (ja)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コガネイ 逆止弁および逆止弁を備えた液体供給装置
KR20190025111A (ko) * 2017-08-29 2019-03-11 (주) 씨앤지 압축기체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2626A (ja) * 2006-12-27 2008-07-17 Daizo:Kk 内容物混合装置
KR20150007187A (ko) * 2013-07-10 2015-01-20 (주)윤영 압축기체 투입식 분사용기
JP2016023670A (ja) * 2014-07-17 2016-02-08 株式会社コガネイ 逆止弁および逆止弁を備えた液体供給装置
KR20190025111A (ko) * 2017-08-29 2019-03-11 (주) 씨앤지 압축기체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820B1 (ko) 보호 덮개를 구비한 의약품 수액 약품통
JPH03502409A (ja) 有益な薬剤を静脈内放出システム中へ導入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およびアダプター
KR200475695Y1 (ko)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KR102205631B1 (ko) 밀봉용기의 압축기체 공급장치
CN106456874A (zh) 可穿戴的药物施用装置
RU2698057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шприц
KR101337008B1 (ko) 혈관접속을 위한 의료용 연결기구
US10188585B1 (en) Device for the sublingual administration of a medication formed from dissolving a tablet in a liquid
KR102311422B1 (ko) 일체형 압축기체 공급장치
JP7389131B2 (ja) 薬品混合装置、これを含む薬品混合キット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DE4314090C2 (de) Medizinisches Besteck zur Herstellung einer Medikamentenlösung
KR102157612B1 (ko) 시린지, 약물 혼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약물 혼합 키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4236962A (ja) 多室薬剤容器
KR20110079009A (ko) 산소가 혼합된 화장액
KR102500966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KR102171701B1 (ko) 약물 혼합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밀봉팩
KR102226362B1 (ko) 주사액 안전주입용 커넥터
CN211751600U (zh) 一种呼吸内科用给药器
KR102645241B1 (ko) 생체조직 보관용 안전용기
JP2004180740A (ja) 輸液容器
KR102554972B1 (ko) 주사기용 필터기구
KR102251644B1 (ko) 약물 혼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약물 혼합 키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108197A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수액백
KR20210137334A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수액백
KR102494461B1 (ko) 투메센트 용액 제조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