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559B1 -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559B1
KR102205559B1 KR1020200058099A KR20200058099A KR102205559B1 KR 102205559 B1 KR102205559 B1 KR 102205559B1 KR 1020200058099 A KR1020200058099 A KR 1020200058099A KR 20200058099 A KR20200058099 A KR 20200058099A KR 102205559 B1 KR102205559 B1 KR 10220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nimals
frame
wetlan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정
곽승국
윤정일
Original Assignee
김대정
곽승국
따따스튜디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정, 곽승국, 따따스튜디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대정
Priority to KR102020005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상부에 무선제어카메라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동물들의 모습을 촬영하여 제어부를 통해 원격의 모니터로 전송하며, 상기 프레임 하부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독수리, 황새, 오리 등의 사람을 두려워하는 습지를 찾는 동물들을 놀라게 하지 않고 근접하여 상세히 관찰하며, 특히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습지에서 드론으로 공중으로도 이동할 수 있어서 활동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Photographing device for wetland animal observation}
본발명은 독수리, 황새, 오리 등의 습지를 찾는 동물들을 상세히 관찰하기 위한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들을 근접하여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장치가 사용되어 왔고, 특히 경계심이 많은 야생동물에 대한 카메라장치로서 무인카메라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일례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52998호에는 비행 본체;
상기 비행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비행 본체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한 제1 유닛; 상기 제1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유닛의 일측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제2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의 단부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비행 본체에 내장되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축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닛측으로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 전달부와,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에 내장되어 상기 제1 구동 전달부로부터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 전달부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축 단부와 상기 제1 구동 전달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구동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1 구동 전달부와 상기 제2 구동 전달부를 상호 연결 또는 분리하는 구동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카메라 회동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7-0077307호에는 무인 이동체에 장착되며,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에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렌즈의 전방에 위치되되 상기 이미지가 프린팅된 이미지표시부와, 상기 이미지표시부가 결합되며 상기 무인 이동체 또는 상기 카메라부에 고정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이동체용 카메라 모듈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18096호에는 자주차 본체(20)의 전,후방에는 각기 일직선상으로 분리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 설치되어 해당 차륜(11,12,13,14)이 연결되는 한쌍의 제1,2전륜축(31,32) 및 제3,4후륜축(33,34)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서로 독립 분리된 전,후륜축(31,32, 33,34)을 서로 이웃하게 마주하는 쪽으로 하여 제1전륜축(31)을 제3후륜축(33)에 제2전륜축(32)을 제4후륜축(34)에 일대일 대응시켜 각각의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동되도록 구속 연결시키고, 독립된 상기 2개의 동력전달수단에 해당 구동모터(M1,M2)의 출력을 각기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M1,M2)의 동시 또는 개별적 정,역회전 제어에 따라 전,후진 방향 및 회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이 있는 지하매설물 조사를 위한 카메라이동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습지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의 사용이 어렵고 작동이나 근접이동중에 동물들을 놀라게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하므로 근접하여 야생동물들을 촬영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독수리, 황새, 오리 등의 사람을 두려워하는 습지를 찾는 동물들을 놀라게 하지 않고 근접하여 상세히 관찰하며, 특히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습지에서 드론으로 공중으로도 이동할 수 있어서 활동성이 뛰어난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상부에 무선제어카메라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동물들의 모습을 촬영하여 제어부를 통해 원격의 모니터로 전송하며, 상기 프레임 하부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독수리, 황새, 오리 등의 사람을 두려워하는 습지를 찾는 동물들을 놀라게 하지 않고 근접하여 상세히 관찰하며, 특히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습지에서 드론으로 공중으로도 이동할 수 있어서 활동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커버가 결합된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사시도
도2는 본발명의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1실시례
도 3은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2실시례
본발명은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상부에 무선제어카메라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동물들의 모습을 촬영하여 제어부를 통해 원격의 모니터로 전송하며, 상기 프레임 하부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제어카메라 및 모터는 밧데리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제어카메라는 축의 회전에 의해 360도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은 모터와 연결된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에 연결된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에 연결된 상부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축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는 4개로서, 상기 4개의 바퀴는 무한궤도로 좌우측 전후바퀴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축은 드론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축과 연결되어 드론으로 공중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축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 내벽에는 구멍이 결합홈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 로드가 결합홈 내벽에서 전후진하며 드론의 결합축에 수평으로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론 결합시는 무게를 작게 하기 위해 바퀴를 프레임과 카메라만 설치하여 바퀴는 설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상부에는 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의 구멍부위에는 카메라가 돌출되며, 커버는 바위모양으로 요철이 형성되며, 일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인조풀이 심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이단으로 구성되어 일단상태에서는 하부커버가 상부커버내부에 삽입되어 프레임만 가리며, 이단상태는 일단상태에서의 커버 주연부에서 액츄에이터에 로드가 연결된하부커버가 하부로 돌출되어, 바퀴도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에는 적외선센서가 설치되어 동물이 일정거리 내에 들어오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에는 적외선센서가 설치되어 동물이 일정거리 내에 들어오면 제어부는 모터를 구동하여 일정거리 후퇴하게 하며 그래도 여전히 동물이 접근하여 일정거리가 벌어지지 않으면 경보수단을 울려서 경고음을 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야간에는 제어부는 엘이디등을 점등하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발명의 커버가 결합된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사시도, 도2는 본발명의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1실시례도면, 도 3은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2실시례도면이다.
본발명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 시스템은 프레임의 상부에 무선제어카메라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동물들의 모습을 촬영하여 제어부를 통해 원격의 모니터로 전송하며, 상기 프레임 하부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가 설치된다.
상기 무선제어카메라 및 모터는 밧데리에 의해 동작된다.
특히 상기 무선제어카메라는 축의 회전에 의해 360도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것으로, 또한, 상기 축은 모터와 연결된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에 연결된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에 연결된 상부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축이 힌지 결합되어 서로 상대운동할 수 있어서 원하는 방햐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바퀴는 4개로서, 상기 4개의 바퀴는 무한궤도로 좌우측 전후바퀴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습지 등 진흙이나 비포장 지면위를 용이하게 주행하게 된다.
한편, 본발명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습지를 드론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이동가능한 것으로 상기 상부축은 드론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축과 연결되어 드론으로 공중으로 이동가능한 것이다.
상부축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 내벽에는 구멍이 결합홈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 로드가 결합홈 내벽에서 전후진하며 드론의 결합축에 수평으로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론 결합시는 무게를 작게 하기 위해 도 3처럼 바퀴를 프레임과 카메라만 설치하여 바퀴는 설치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습지동물들을 놀라지 않고 경계심을 가지지 않게 하기 위해 커버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 상부에 커버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의 구멍부위에는 카메라가 돌출되며, 커버는 바위모양으로 요철이 형성되며, 일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인조풀이 심겨져 있어서 위장된다.
특히 상기 커버는 이단으로 구성되어 일단상태에서는 하부커버가 상부커버내부에 삽입되어 프레임만 가리며, 이단상태는 일단상태에서의 커버 주연부에서 액츄에이터에 로드가 연결된 하부커버가 하부로 돌출되어, 바퀴도 가리게 할 수 있다.
본발명은 또한 센서가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에는 적외선센서가 설치되어 동물이 일정거리 내에 들어오면 경고음을 발생한다.
또한, 프레임에는 적외선센서가 설치되어 동물이 일정거리 내에 들어오면 제어부는 모터를 구동하여 일정거리 후퇴하게 하며 그래도 여전히 동물이 접근하여 일정거리가 벌어지지 않으면 경보수단을 울려서 경고음을 발하게 된다.
또한, 야간에는 제어부는 엘이디등을 점등하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은 프레임내부에 먹이를 보관하는 공급박스를 설치하고, 상기 공급박스 하부에는 먹이를 인출하는 개폐문이 설치되되. 상기 개폐문 후단에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실린더내부에서 출몰되며 개폐문을 여닫게 되며 개폐문이 열리면 중력에 의해 먹이가 낙하한다. 제어부에는 타이머가 설치되어 일정시간되면 액츄에이터가 작동되게 한다. 또는 원격통신으로 지시를 받아 제어부가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본발명은 독수리, 황새, 오리 등의 사람을 두려워하는 습지를 찾는 동물들을 놀라게 하지 않고 근접하여 상세히 관찰하며, 특히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습지에서 드론으로 공중으로도 이동할 수 있어서 활동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 카메라 2 : 커버
3 : 프레임 4 : 바퀴

Claims (3)

  1. 프레임(3)의 상부에 무선제어카메라(1)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동물들의 모습을 촬영하여 제어부를 통해 원격의 모니터로 전송하며, 상기 프레임 하부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바퀴(4)가 설치되며, 상기 무선제어카메라(1) 및 모터는 밧데리에 의해 동작되되, 상기 무선제어카메라(1)는 축의 회전에 의해 360도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것으로, 또한, 상기 축은 모터와 연결된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에 연결된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에 연결된 상부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축이 힌지 결합되어 서로 상대운동할 수 있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이되, 상기 상부축은 드론의 하부에 결합된 결합축과 연결되어 드론으로 공중으로 이동가능한 것으로, 상부축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홈 내벽에는 구멍이 결합홈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 로드가 결합홈 내벽에서 전후진하며 드론의 결합축에 수평으로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결합시키는 것이며, 상기 바퀴(4)는 4개로서, 상기 4개의 바퀴(4)는 무한궤도로 좌우측 전후바퀴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습지 등 진흙이나 비포장 지면위를 용이하게 주행하게 되며,드론결합시는 바퀴를 설치하지 않는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습지동물들을 놀라지 않고 경계심을 가지지 않게 하기 위해 커버(2)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 상부에 커버(2)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2)의 구멍부위에는 무선제어카메라(1)가 돌출되며, 커버(2)는 바위모양으로 요철이 형성되며, 일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인조풀이 심겨져 있어서 위장되되, 상기 커버(2)는 2단으로 구성되어 1단상태에서는 하부커버가 상부커버(2)내부에 삽입되어 프레임(3)만 가리며, 2단상태는 일단상태에서의 커버(2) 주연부에서 액츄에이터에 로드가 연결된 하부커버가 하부로 돌출되어, 바퀴(4)도 가리게 하며,
    프레임(3)에는 적외선센서가 설치되어 동물이 일정거리 내에 들어오면 제어부는 모터를 구동하여 일정거리 후퇴하게 되며 그래도 여전히 동물이 접근하여 일정거리가 벌어지지 않으면 경보수단을 울려서 경고음을 발하게 되며, 야간에는 제어부는 엘이디등을 점등하여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프레임(3)내부에 먹이를 보관하는 공급박스를 설치하고, 상기 공급박스 하부에는 먹이를 인출하는 개폐문이 설치되되, 상기 개폐문 후단에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어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실린더내부에서 출몰되며 개폐문을 여닫게 되며 개폐문이 열리면 중력에 의해 먹이가 낙하하는 것으로, 제어부에는 타이머가 설치되어 일정시간되면 액츄에이터가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00058099A 2020-05-15 2020-05-15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KR10220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99A KR102205559B1 (ko) 2020-05-15 2020-05-15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99A KR102205559B1 (ko) 2020-05-15 2020-05-15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559B1 true KR102205559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099A KR102205559B1 (ko) 2020-05-15 2020-05-15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928B1 (ko) * 2023-07-31 2024-01-10 국립생태원 소형 포유류 관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500U (ko) * 1998-11-20 1999-12-06 이금숙 하수관로 탐사용 측시카메라
KR20090066521A (ko) * 2007-12-20 2009-06-24 한국과학기술원 애완동물 관리로봇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100071394A (ko) * 2008-12-19 2010-06-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내장한 야생 조수 퇴치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8176A (ko) * 2017-10-30 2019-05-09 차영천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500U (ko) * 1998-11-20 1999-12-06 이금숙 하수관로 탐사용 측시카메라
KR20090066521A (ko) * 2007-12-20 2009-06-24 한국과학기술원 애완동물 관리로봇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100071394A (ko) * 2008-12-19 2010-06-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내장한 야생 조수 퇴치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48176A (ko) * 2017-10-30 2019-05-09 차영천 드론을 이용한 비행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928B1 (ko) * 2023-07-31 2024-01-10 국립생태원 소형 포유류 관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036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 무인 경계 시스템
KR102067007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IoT 기반의 시설물 관리 시스템
EP2423893B1 (de) Selbsttätig verfahrbares Gerät
CN111283652B (zh) 智能消杀防疫机器人
PT103807A (pt) Sistema de recolha de bolas de golf totalmente autónomo ou remotamente operado
EP3087832A1 (en) Novel electronic toy ball for pets
KR102205559B1 (ko) 습지동물 관찰용 촬영장치
US20100179691A1 (en) Robotic Platform
CN106527426A (zh) 一种室内多目轨迹规划系统及其方法
CN101293349A (zh) 一种基于Wi-Fi的机器人
DE102016108643A1 (de) Selbstbewegtes Überwachungsgerät
KR102002667B1 (ko) 바퀴 굴림 로봇
RU2544434C1 (ru) Мобильный робот
JPH06292495A (ja) 鳥獣類威嚇装置
CN113715032A (zh) 一种移动式隔墙侦察机器人装置
CN211527210U (zh) 机器人靶车及机器人靶车系统
CN108791881B (zh) 一种用于导盲的无人机系统及方法
CN109029131A (zh) 一种实弹射击靶标机器人系统
CN206953020U (zh) 一种便携式察打机器人
CN209256956U (zh) 全景跟踪安防机器人
CN111942303A (zh) 一种无人机消防指挥车
CN207448453U (zh) 一种机器人及机器人系统
CN111932703A (zh) 一种无人自动巡逻装置
CN215826862U (zh) 一种地摊智能巡检机器人
CN204579475U (zh) 一种新型电子宠物玩具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