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448B1 -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448B1
KR102205448B1 KR1020200097103A KR20200097103A KR102205448B1 KR 102205448 B1 KR102205448 B1 KR 102205448B1 KR 1020200097103 A KR1020200097103 A KR 1020200097103A KR 20200097103 A KR20200097103 A KR 20200097103A KR 102205448 B1 KR102205448 B1 KR 10220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landscape lighting
cable tray
tray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102020009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 하부에 부착되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탈ㆍ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110)을 갖는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와;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균일한 면광원을 생성시키기 위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스티렌(PS)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 패턴도광판(212)의 좌우 일측면에 LED을 실장시킨 LED도광판(210)과 상기 LED도광판의 광원을 통해 터널내의 경관조명을 연출하기 위해 UV로 인쇄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220)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는 카트리지(230)가 각각 구비되는 경관조명등기구(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터널내 기존 케이블트레이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경관조명등기구 탈ㆍ부착에 따른 비용을 크게 줄이며, 연장이 긴 터널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경관조명등기구(2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이미지 연출 효과에 따른 높은 시인성 확보는 물론, 터널내의 자연스런 전방주시로 지루함으로 인한 졸음이나 터널내의 환경에 따른 피로감과 불쾌감 없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주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Landscape lighting device using cable tray in tunnel}
본 발명은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경관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부착되며, 조명을 겸한 패턴화된 이미지 경관조명을 통해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와 졸음을 방지하고 케이블트레이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내의 조명등은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를 통해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보다 밝고 안전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터널내의 조명등을 설치할 경우 터널입구에서는 휘도순응의 지연현상이 발생한다. 즉 주간에는 명순응에서 암순응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므로 운전자가 터널내의 장애물을 식별하기까지 약간의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필요 최소한도의 배경의 길이와 휘도를 주는 경계부와 전방 장해물에 필요한 배경을 주는 이행부, 실질적 터널 돌입 후 운전자의 시각이 정상 상태의 기본부 조명에 연결시켜 주는 완화부로 구분하여 서서히 휘도를 감소시켜 터널 내부의 조명과 연결해야 한다. 또한 터널내부에서는 터널의 길이가 긴 경우 배기가스 축적에 의한 운전자의 시계저하현상이 발생하고 자동차의 유리, 차체 및 본네트의 명도가 차의 진행과 함께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운전자에게 피로감과 불쾌감을 유발한다. 그리고 터널출구부에서는 야외 휘도와 연결시켜 주는 출구부 조명을 고려해야 한다.
시인성은 배색을 통해 눈에 잘 띄는 정도를 말하며 먼 거리에서 잘 보이는 배색은 시인도가 높은 색이다. 배색에 있어서 바탕과 무늬의 명도 차이를 크게 하며, 같은 명도의 색은 색상 차이나 채도 차이를 크게 하면 명시성이 높아진다. 이것은 색의 형(形)이 크고 작은 것과 채도의 강약, 거리의 원근, 조도의 강약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연장이 긴 터널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지루함과 더불어 피로감과 불쾌감을 저감시키고 높은 시인성 확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주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터널내부에서의 다양한 조명 연출 효과를 낼 수 있는 경관등이 요구된다.
한편, [1]대한민국등록특허(B1) 제10-2028465호(2019.10.04.)의 터널 조명 전원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특허는 조명용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트레이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터널내의 경관조명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2]등록특허공보(B1) 제10-1994003호(2019.06.27.)의 IOT형 터널 조명 제어 방법에는 터널내부의 온도와 연동하여 터널내의 램프의 색상을 각기 달리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램프의 색상만 달리할 뿐 다양한 문양 등의 패턴화된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3]등록특허공보(B1) 제10-0746401호(2007.08.03.)의 장식용 석재패널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석재패널의 설치 홈과 다수의 미세통공에 광섬유다발과 발광다이오드를 기밀시키고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나 터널내의 조명과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널내의 조명과 함께 경관용 이미지 정보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전혀 새로운 경관조명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 또는 조명등기구트레이에 설치되며, LED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과 교체 및 수납 가능한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경관용 이미지가 UV로 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를 갖는 경관조명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케이블트레이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터널내의 경관조명등기구 설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는 물론 경관조명을 통한 해당 터널지역의 관광명소, 특산물, 자연환경 등의 지역정보를 홍보할 수 있고, 연장이 긴 터널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지루함과 피로감 및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 하부에 부착되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탈ㆍ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Fastening Means,110)을 갖는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와;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균일한 면광원을 생성시키기 위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스티렌(PS)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다수의 선과 홈(211)을 110°각도로 V-CUT시킨 패턴도광판(212)과 상기 패턴도광판의 좌우 일측면에 실장시킨 다수개의 LED칩(213) 및 상기 다수개의 LED 칩에서 발광되는 빛의 면광원을 얻기 위한 확산시트(214)를 갖는 LED도광판(Light Guide Plate,210)과 상기 LED도광판의 균일한 면광원을 통해 경관조명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UV(Ultraviolet) 방식으로 이미지(Image)가 인쇄되며, 차량 통행에 따른 마찰소음과 진동 및 상기 LED칩에서 방열되는 고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두께가 2~3 mm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220)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기 위해 좌우 일측에는 한 쌍의 홈(A pair of homes,231,232)이 각각 형성되는 카트리지(230)를 각각 구비하여 기존 케이블트레이 또는 상기 조명등기구트레이의 설치 구조 및 사양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 가능하며, 도로의 차선에 따라 조명률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싱글(Single) 또는 더블(Double)로 설치된 터널내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따라 싱글 또는 더블로 탈ㆍ부착되는 경관조명등기구(Landscape Lighting Fixtures,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는, 상기 카트리지(230)를 통해 해당 터널의 지역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며, 교체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의 좌우에는 교체 작업용 손잡이 홈(221,22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의 경관조명은, 해당 터널의 지역정보, 계절별 자연환경, 동식물, 그림, 광고와 같은 이미지가 UV로 인쇄된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경관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는, 터널내 일측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는 터널조명등기구와 함께 혼용하여 탈ㆍ부착되고, 타측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는 터널조명등기구만 탈ㆍ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등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 또는 조명등트레이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터널내의 경관조명등기구 설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2) 본 발명은 LED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도가 높고 눈부심이 적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가 높아 보다 안전한 주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교체가 가능한 UV(Ultraviolet)로 이미지가 인쇄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를 갖는 경관조명등을 갖기 때문에 해당 터널지역의 관광명소, 특산물, 자연환경 등의 지역정보를 홍보할 수 있으며, 연장이 긴 터널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지루함과 피로감 및 불쾌감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가)항 및 (나)항은 종래의 터널 조명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등기구에 대한 전체 기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등기구에 대한 경관조명등기구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등기구에 대한 패턴도광판의 V-CUT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에 대한 싱글 케이블트레이에 설치된 경관조명등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에 대한 더블 케이블트레이에 설치된 경관조명등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에 대한 터널조명등기구와 경관조명등기구를 실제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에 설치한 실물사진
도 8은 상기 도 6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의 핵심 기술적 구성은,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부착되는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와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에 탈ㆍ부착되며 균일한 면광원을 생성시키는 LED도광판(Light Guide Plate,210)과 상기 LED도광판의 광원을 통해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경관 이미지 조명을 연출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220)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는 카트리지(230)가 각각 구비되는 경관조명등기구(Landscape Lighting Fixtures,200)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는,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Cable Tray) 또는 조명등기구트레이(Lighting Fixture Tray)에 부착되는 수단으로, 상기 케이블트레이의 하부에 부착되며,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탈ㆍ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Fastening Means,1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상기 체결수단(110)에 탈ㆍ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볼트너트(Bolt Nut) 또는 락킹(Locking) 수단이 강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를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부착함으로써, 터널내 기존 케이블트레이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 설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Landscape Lighting Fixtures,200)는,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터널내의 경관조명으로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는 물론, 연장이 긴 터널 운행 시 지루함과 피로감 및 불쾌감을 크게 저감시키고 해당 터널의 지역정보를 홍보하는 수단으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균일한 면광원을 생성시키기 위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 또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 패턴도광판(212)의 좌우 일측면에 LED을 실장시킨 LED도광판(Light Guide Plate,210)과, 상기 LED도광판(210)의 광원을 통해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다양한 경관조명을 연출하기 위해 UV로 인쇄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220)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는 카트리지(230)가 각각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LED도광판(LED Light Guide Plate,210)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로 균일한 면광원을 조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의 내부에 설치(or 장착)되며, 다수의 선과 홈(211)을 110°각도로 V-CUT시킨 패턴도광판(212)과, 상기 패턴도광판의 좌우 일측면에 실장되어 일정한 광원을 발광하는 다수개의 LED칩(213)과, 상기 다수개의 LED칩에서 발광되는 일정한 빛의 광원을 상기 패턴도광판의 사이즈만큼 균일한 면광원을 얻기 위해 산란작용과 난반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확산시트(214)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수의 선과 홈(211)을 110°각도로 V-CUT시킨 패턴도광판(21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V-CUT은 90°의 원뿔형 공구로 500g~1kg의 압력을 가하여 표면을 긁어 작업하는 방식으로 가장 높은 광 효율과 정밀도를 가지며 작업 소재에 따른 제약이 있으나 다품종소량생산 등 개발 기준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V-CUT방식은 사용되는 도광판 원자재의 특성에 따라 패턴화시키기 위한 공구의 절입각 또는 절삭각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자재 비용이 저렴하고 연질의 압출도광판(PMMA)나 PS도광판을 고품질의 패턴도광판(212)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V-CUT방식의 기술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V-CUT방식에서 표준공구의 절삭각은 90°이다. 그러나 원자재의 무른 표면경도에서 90°공구를 사용할 경우 과도한 절입에 따른 순간발열로 인해 패턴라인이 녹아내리는 등의 문제점으로 균일한 면광원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공구의 절입각을 보다 더 넓힘으로 깊은 절입 대신 넓은 굴절패턴을 형성시켜 무른 소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패턴도광판(213)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선과 홈(211)을 내는 패턴은 110°각도로 V-CUT시킨다(도 4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LED칩(212)은, 5W급의 고효율 파워 LED칩이 사용되며, 상기 LED칩(212)의 방열을 위해서는 라디에이터(Radiator) 타입의 알루미늄(AL) 방열판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LED칩(212)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에 인쇄된 이미지(Image)의 명암에 따라 높은 조도 값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패턴도광판(212)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실장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상기 LED도광판(210)의 투명 아크릴 판(211) 양쪽면에 LED칩(212)을 실장시키는 이유는 높은 조도 값을 얻기 위함이다. 즉,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에 인쇄되는 특정 이미지의 명도가 어두울 경우 터널내부의 특정구간에서는 그 밝기가 어두워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220)는, 상기 LED도광판의 광원을 통해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다양한 이미지(Image)로 경관조명을 연출하는 수단으로, 상기 LED도광판(2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LED도광판(210)의 면광원을 통해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경관조명을 연출하기 위해 UV(Ultraviolet)로 다양한 이미지(Image)가 인쇄된다.
여기서, 상기 UV인쇄(Ultraviolet Printing)란 잉크가 액체 상태일 때 자외선 잉크를 넣어서 순간적으로 굳어지게 하여 무늬를 찍어 내는 것으로 유리, 아크릴, 포맥스, 폼보드, 플라스틱과 같이 착색이 쉽게 되지 않는 소재에도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는, 상기 카트리지(230)를 통해 해당 터널의 지역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교체 및 수납이 가능하며, 교체 및 수납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의 좌우에는 교체 작업용 손잡이 홈(221,22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는, 터널내의 차량 통행에 따른 마찰소음 및 진동에 의해 파손되거나 상기 LED도광판(210)의 LED칩(212)에서 방열되는 고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의 두께가 2~3 mm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의 경관조명은, 해당 터널의 지역정보, 계절별 자연환경, 동식물, 그림, 광고와 같은 이미지가 UV로 인쇄된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경관조명인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에 UV로 인쇄된 이미지는 연장이 긴 터널 통과 시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와 동시에 해당 터널내의 지역정보를 통해 지루함과 피로감 및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카트리지(230)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기 위해서는 한 쌍의 홈(A pair of homes,231,232)이 상기 카트리지(230)의 좌우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는, 기존 케이블트레이 또는 조명등기구트레이의 설치 구조 및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널입구에서는 휘도순응의 지연현상이 발생하므로 주간에는 명순응에서 암순응으로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것에 대비하여 경계부와 이행부, 완화부로 구분하여 서서히 휘도를 감소시켜 터널 내부의 경관조명과 연결해야 한다. 또한 터널내부에서는 터널의 길이가 긴 경우 배기가스 축적에 의한 운전자의 시계저하현상과 차량의 색상에 따라 명도가 차의 진행과 함께 주기적으로 변동하여 운전자에게 피로감과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에서 연출되는 이미지 선택에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터널출구부에서는 야외 휘도와 연결시켜 주는 출구부 조명을 고려한 이미지 연출에 주의가 요구된다. 그리고 연장이 긴 터널내의 굴곡부에서는 이미지 배색을 통해 시인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 내부에 설치되는 폴리카보네이트(220)에 UV인쇄되는 이미지는 해당 지역 터널의 특성을 사전에 점검하여 인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는, 도로의 차선에 따라 조명률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싱글(Single) 또는 더블(Double)로 설치된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따라 싱글 또는 더블로 탈ㆍ부착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더블로 탈ㆍ부착시키는 것은, 고속도로와 같은 차선이 넓은 4차선 이상일 경우에 적용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는, 터널내 일측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는 터널조명등기구와 함께 혼용하여 설치하고, 타측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는 터널조명등기구만 설치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는,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 전체에 터널조명등기구와 함께 혼용하여 설치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널조명등기구와 경관조명등기구를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혼용하여 탈ㆍ부착되는 것은, 터널조명등기구만에 의한 높은 전력소모를 줄이고, 경관조명등기구를 통해 해당 터널의 지역특성을 홍보함과 동시에 운전자에게 다양한 지역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졸음운전으로부터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보다 밝고 안전한 터널내의 주행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장착 시에는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에 설치된 상기 LED도광판(210)이 최상부에 위치하고 그 다음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를 탈ㆍ부착시키는 카트리지(230) 및 폴리카보네이트(220) 순으로 하향 배치시켜 운전자가 전방주시를 통해 경관조명등기구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이미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널내의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 하부에 부착되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탈ㆍ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110)을 갖는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와;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균일한 면광원을 생성시키기 위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스티렌(PS)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 패턴도광판(212)의 좌우 일측면에 LED을 실장시킨 LED도광판(210)과 상기 LED도광판의 광원을 통해 터널내의 경관조명을 연출하기 위해 UV로 인쇄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220)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는 카트리지(230)가 각각 구비되는 경관조명등기구(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의 효율적인 활용으로 경관조명등기구 탈ㆍ부착에 따른 비용을 크게 줄이며, 연장이 긴 터널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경관조명등기구(2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이미지 연출 효과에 따른 높은 시인성 확보는 물론, 터널내의 자연스런 전방주시로 지루함으로 인한 졸음이나 터널내의 환경에 따른 피로감과 불쾌감 없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주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 110 : 체결수단
200 : 경관조명등기구 210 : LED도광판
211 : 선과 홈 212 : 패턴도광판
213 : LED칩 214 : 확산시트
220 : 폴리카보네이트 221,222 : 손잡이 홈
230 : 카트리지 231,232 : 한 쌍의 홈

Claims (12)

  1. 터널내의 기존 케이블트레이 하부에 부착되며, 경관조명등기구(200)를 탈ㆍ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수단(Fastening Means,110)을 갖는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100)와;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의 하단에 위치하며, 균일한 면광원을 생성시키기 위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폴리스티렌(PS)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며, 다수의 선과 홈(211)을 110°각도로 V-CUT시킨 패턴도광판(212)과 상기 패턴도광판의 좌우 일측면에 실장시킨 다수개의 LED칩(213) 및 상기 다수개의 LED 칩에서 발광되는 빛의 면광원을 얻기 위한 확산시트(214)를 갖는 LED도광판(Light Guide Plate,210)과
    상기 LED도광판의 균일한 면광원을 통해 경관조명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UV(Ultraviolet) 방식으로 이미지(Image)가 인쇄되며, 차량 통행에 따른 마찰소음과 진동 및 상기 LED칩에서 방열되는 고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두께가 2~3 mm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220)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교체 및 수납시키기 위해 좌우 일측에는 한 쌍의 홈(A pair of homes,231,232)이 각각 형성되는 카트리지(230)를 각각 구비하여
    기존 케이블트레이 또는 상기 경관조명등기구트레이의 설치 구조 및 사양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 가능하며,
    도로의 차선에 따라 조명률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싱글(Single) 또는 더블(Double)로 설치된 터널내 기존 케이블트레이에 따라 싱글 또는 더블로 탈ㆍ부착되는 경관조명등기구(Landscape Lighting Fixtures,2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는, 상기 카트리지(230)를 통해 해당 터널의 지역정보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며, 교체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의 좌우에는 교체 작업용 손잡이 홈(221,22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220)의 경관조명은, 해당 터널의 지역정보, 계절별 자연환경, 동식물, 그림, 광고와 같은 이미지가 UV로 인쇄된 터널내의 조명을 겸한 경관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관조명등기구(200)는, 터널내 일측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는 터널조명등기구와 함께 혼용하여 탈ㆍ부착되고, 타측의 기존 케이블트레이에는 터널조명등기구만 탈ㆍ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KR1020200097103A 2020-08-04 2020-08-04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KR10220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03A KR102205448B1 (ko) 2020-08-04 2020-08-04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03A KR102205448B1 (ko) 2020-08-04 2020-08-04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448B1 true KR102205448B1 (ko) 2021-01-19

Family

ID=7423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03A KR102205448B1 (ko) 2020-08-04 2020-08-04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44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4693A (ja) * 1993-10-02 1995-04-21 Tomoaki Ushida 鉄道トンネル構内における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02582A (ko) * 1997-06-20 1999-01-15 최연식 지하철 터널의 영상 시스템
KR20030013871A (ko) * 2001-08-09 2003-02-15 문인수 V-cutting형 백 라이트 방식의 조명장치
US20110026271A1 (en) * 2007-12-24 2011-02-03 Kolon Industries, Inc. Optical member
KR20190005156A (ko) * 2016-03-30 2019-01-15 폼록스 에이에스 터널 벽 요소 및 터널 벽 요소를 포함하는 터널 벽의 조립 방법
KR102134464B1 (ko) * 2020-02-14 2020-07-15 이성현 이탈 방지를 위한 터널용 등기구와 이의 시공방법
KR20200001589U (ko) * 2019-01-08 2020-07-16 김용륜 태양광 led 안내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4693A (ja) * 1993-10-02 1995-04-21 Tomoaki Ushida 鉄道トンネル構内における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02582A (ko) * 1997-06-20 1999-01-15 최연식 지하철 터널의 영상 시스템
KR20030013871A (ko) * 2001-08-09 2003-02-15 문인수 V-cutting형 백 라이트 방식의 조명장치
US20110026271A1 (en) * 2007-12-24 2011-02-03 Kolon Industries, Inc. Optical member
KR20190005156A (ko) * 2016-03-30 2019-01-15 폼록스 에이에스 터널 벽 요소 및 터널 벽 요소를 포함하는 터널 벽의 조립 방법
KR20200001589U (ko) * 2019-01-08 2020-07-16 김용륜 태양광 led 안내판
KR102134464B1 (ko) * 2020-02-14 2020-07-15 이성현 이탈 방지를 위한 터널용 등기구와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391C2 (ru) Модуль системы освещения свободной формы
EP1920187B2 (en) Led headlamp system
JP6057717B2 (ja) 半透過性物品及びライトアセンブリ
CN102782399B (zh) 用于汽车车辆的信号灯设备
DE102010056313B4 (de) Beleuchtung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CN1738991A (zh) 车辆用灯
JP2007324144A (ja) 発光パネルアセンブリ
RU2005133692A (ru) Освещаемый номерной знак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набженное им
KR100748073B1 (ko) 컬러조명판
AU2008354571A1 (en) Lighting system with edge effect
JP2007101847A (ja) 表示装置
JP4966146B2 (ja) 面発光装置
JP2004062139A (ja) ライトガイド
JP4122964B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JP2009110783A (ja) 指向性照明装置
KR102205448B1 (ko) 터널내의 케이블트레이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KR101872900B1 (ko) 청색led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식 태양광 표지판
KR100900926B1 (ko) 표시장치
JP3176073U (ja) 高彩度の光変調板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照明装置
JP4915672B2 (ja) 面発光装置の固定構造
US10876712B2 (en) Comfort of outdoor luminaires due to phyllotactic arrangement of LED sources
KR102130164B1 (ko) 고효율, 고시인성을 갖는 led 면조명 교통신호등
KR20070096340A (ko) 백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발광블럭
US20070199218A1 (en) Illuminable Signs
CN208919840U (zh) 一种氛围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