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343B1 -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343B1
KR102205343B1 KR1020180171659A KR20180171659A KR102205343B1 KR 102205343 B1 KR102205343 B1 KR 102205343B1 KR 1020180171659 A KR1020180171659 A KR 1020180171659A KR 20180171659 A KR20180171659 A KR 20180171659A KR 102205343 B1 KR102205343 B1 KR 10220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xylene
gas sensor
cocr
gas
hollow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794A (ko
Inventor
이종흔
김보영
윤지욱
이건호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343B1/ko
Priority to US16/718,659 priority patent/US11692987B2/en
Publication of KR2020008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75Composition or fabrication of the electrodes and coatings thereon, e.g. cataly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0Metallic powder containing lubricating or binding agents; Metallic powder containing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4Treatment of metallic powder
    • B22F1/142Thermal or thermo-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5/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 B22F5/1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shape of the product of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sub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 B22F7/08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composite workpieces or articles from parts, e.g. to form tipped tools with one or more parts not made from pow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26Alloys containing non-metals starting from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 compound(s) of at least one of the alloy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9/00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 C22C29/12Alloys based on carbides, oxides, nitrides, borides, or silicides, e.g. cermets, or other metal compounds, e.g. oxynitrides, sulfides based on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0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 C23C18/1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8/120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 e.g. non-oxide and non-metallic such as sulfides, nitrides based compounds
    • C23C18/1208Oxides, e.g. ceramics
    • C23C18/1216Metal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0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 C23C18/1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8/125Process of deposition of the inorganic material
    • C23C18/1258Spray pyro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67Means for heat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olid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71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using sensor elements of laminated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4After-treatment of workpieces or articles
    • B22F2003/241Chemical after-treatment on the surface
    • B22F2003/242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2/00Metal Compound, non-Metallic compound or non-metal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2/25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22F2998/1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sequence of their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01P2004/34Spheres hol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일렌을 검지하는 가스 센서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은, 코발트(Co) 원소를 포함하는 제 1 재료 및 크롬(Cr) 원소를 포함하는 제 2 재료를 포함하는 혼합 재료를 반응시켜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CoCr2O4-BASED GAS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일렌(Xylene)을 검지하는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화물을 이용한 반도체형 가스 센서는 가스 감도가 우수하고 경제적인 가격으로 휴대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모바일 및 소형기기에 탑재 가능하며, 좁은 실내 환경과 같은 공간적 제약이 큰 곳에 사용하기 유리하다. 또한, 산업용 가스 검지, 운전자 음주여부 측정, 냉장고의 식재료 신선도 측정 및 차량 내부나 실내의 환경가서 모니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최근 산업의 첨단화 및 인체 건강,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심화됨에 따라 실내외 환경가스 검출 센서, 질병 자가진단용 가스 센서, 모바일 기기에 탑재 가능한 고성능의 인공후각센서 등에 사용될 고기능성 가스 감응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오랜 시간 활동하는 주거 공간과 사무 공간 등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환경 가스에 대해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 실내오염 측정센서가 요구된다.
특히, 감지가 필요한 가스 중 하나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인체에 유해하며 무색·무취하고 상온에서 기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존재를 파악하기 어렵다. 벤젠, 자일렌,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알콜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가구나 페인트, 유기용제, 도료, 가죽제품, 마감재 등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거대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어 산화물 반도체형 가스 센서로는 이를 고감도로 검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인체에 장시간 노출될 시 두통, 현기증, 안구질환, 피부질환, 암 등의 각종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고감도로 정밀하게 검지할 수 있는 가스 감응물질이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산화물 반도체형 가스 센서는 상기 가스들에 대해 유사한 감도를 보이거나 실내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알코올과 포름알데히드에 대해 큰 반응성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각 휘발성 유기화합물마다 권장되는 농도 하한이 다를 뿐만 아니라, 벤젠의 경우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 반면, 자일렌, 톨루엔은 호흡기 및 신경계 계통의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는 등 각 가스마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발현되는 질병이 상이하기 때문에 개별적 가스에 대한 선택적 감응이 가능한 가스 센서가 요구된다.
특정 가스에 대해 촉매 활성화가 우수한 이종산화물, 귀금속 등과 같은 촉매를 산화물 반도체에 첨가, 도포하여 선택적 검지가 가능한 가스 감응물질을 제작하기 위해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특정 가스 필터를 가스 센서에 부착하여 선택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추가적인 공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단일 가스 선택성의 활성화 정도가 미미하거나 공정추가에 대한 추가적 비용이 커지고, 촉매의 최적화와 정량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상기 방법들을 통해 방해 가스에 대한 선택성을 부여할 때, 자일렌, 톨루엔, 벤젠 같이 벤젠 고리를 가지며 유사한 분자 구조를 갖는 가스들 간에 선택적 검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일렌에 대해 고선택성 및 고감도를 가지는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자일렌을 검지하는 가스 센서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은, 코발트(Co) 원소를 포함하는 제 1 재료 및 크롬(Cr) 원소를 포함하는 제 2 재료를 포함하는 혼합 재료를 반응시켜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재료는 구연산(Citric Aci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발트 원소 및 상기 크롬 원소 간의 몰비(Molar Ratio)가 1:2 내지 1:4가 되도록 상기 제 1 재료 및 상기 제 2 재료가 상기 혼합 재료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재료는 귀금속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귀금속 촉매는 Pt, Pd 또는 Au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재료는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Co(NO3)2·6H2O)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재료는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Cr(NO3)3·9H2O)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는, 상기 혼합 재료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분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분무 용액을 분무하고 분무된 상기 분무 용액을 가열하여 CoCr2O4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CoCr2O4 전구체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은, 상기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에서 형성된 CoCr2O4 중공 구조체를 전극이 제공된 절연체 기판에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일렌을 검지하는 가스 센서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 센서는, 상기 자일렌에 감응하는 감응층을 포함하되, 상기 감응층은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감응층은 Cr2O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응층은 귀금속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센서는, 절연체 재질로 제공되는 절연체 기판과; 상기 절연체 기판에 연결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응층은 상기 절연체 기판 상에 코팅되고, 상기 전극은 상기 절연체 기판 및 상기 감응층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센서는, 상기 감응층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는 자일렌에 대해 고선택성 및 고감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1, 1-2, 2-1, 2-2, 2-3, 2-4 및 비교예 1-1, 1-2의 X-ray 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각 실시예와 각 비교예에서 생성된 미분말의 이차입자 구조를 찍은 SEM과 TEM 사진이다.
도 5는 동작온도 275 oC에서 실시예 1-1과 실시예 2-1, 비교예 1-1, 비교예 1-2에서의 5 ppm 농도의 에탄올, 자일렌, 톨루엔, 벤젠,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에 대한 가스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동작온도 275 oC에서 실시예 1-2, 1-3, 2-2, 2-3, 2-4에서 제조된 가스 센서의 5 ppm 농도의 에탄올, 자일렌, 톨루엔, 벤젠,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에 대한 가스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1, 1-2, 1-3, 2-1 및 비교예 1-1, 1-2에서 제조된 가스 센서의 에탄올 감도 대비 자일렌의 감도비의 온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가스 센서 동작온도 275 oC 에서 실시예 2-2와 비교예 2-1, 2-2의 자일렌의 선택성(SX/S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가장 높은 선택성을 보이는 센서 구동 온도에서의 실시예 1-2 (300 oC)와 실시예 2-2 (275 oC)의 자일렌 가스 감응 특성을 가스 농도의 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농도별 자일렌 감도를 기존 연구들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가스 감도(Rg Ra -1) 30일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은 순수한 CoCr2O4를 이용하여 벤젠, 포름알데히드, 알콜 등의 방해 가스에 대한 가스 감도는 매우 작으면서도, 자일렌에 대해서는 높은 선택성을 가지는 고감도, 고선택성의 산화물 반도체형 가스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스 센서는 다양한 촉매(Pt, Au 등)를 첨가하여 촉매와 CoCr2O4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자일렌에 대한 감도와 선택성을 증대시킬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1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스 센서(10)는 감응층(100), 절연체 기판(200), 전극(301, 302) 및 히터(400)를 포함한다. 가스 센서(10)는 자일렌을 검지한다.
감응층(100)은 자일렌에 감응한다. 예를 들면, 감응층(100)은 자일렌과 접촉되면 전기 저항이 변화된다. 감응층(100)은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감응층(100)은 Cr2O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감응층(100)은 귀금속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귀금속 촉매는 Pt, Pd, Au 또는 Rh로 제공될 수 있다.
절연체 기판(200)에는 전극(301, 302) 및 감응층(1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절연체 기판(200)은 절연체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절연체 기판(200)은 알루미나(Al2O3)로 제공될 수 있다.
전극(301, 302)은 절연체 기판(200)의 상면에 연결된다. 감응층(100)은 전극(301, 302)이 절연체 기판(200)의 상면에 연결된 상태에서 절연체 기판(200) 상에 코팅된다. 따라서, 전극(301, 302)은 절연체 기판(200) 및 감응층(100)의 사이에 연결된다. 절연체 기판(200) 및 감응층(100)에 연결된 전극(301, 302)에는 전기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 장치가 연결된다. 감응층(100)이 장일렌과 접촉되면 감응층(100)의 전기 저항이 변하게되고 저항 측정 장치에 의해 변화되는 감응층(100)의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자일렌을 검지할 수 있다.
히터(400)는 감응층(100)이 자일렌에 대한 검지가 활성화되는 온도까지 감응층(100)을 가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400)는 절연체 기판(200)의 저면에 제공될 수 있다. 히터(400)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히터(400)는 감응층(100)을 250 내지 350℃로 가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가스 센서(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가스 센서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비교 예로서 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해 순수한 Co3O4 (비교예 1-1)와 Cr2O3 (비교예 1-2)를 합성하였으며, Co와 Cr 전구체의 첨가량 조절을 통해 같은 방법으로 순수한 CoCr2O4 (실시예 1-1, 실시예 2-1) 감응 물질을 합성하였다. 순수한 Co3O4와 Cr2O3와 달리 순수한 CoCr2O4는 자일렌 가스 감응에 유리한 조성임을 아래에 제시되는 실험 데이터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Cr2O3가 함께 생성되는 CoCr2O4(실시예 1-2, 실시예 1-3) 감응 물질과, Pt, Pd 또는 Au가 첨가된 CoCr2O4 (실시예 2-2, 2-3, 2-4) 감응 물질을 합성하고, 가스 감응 특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Pt 촉매의 첨가는 자일렌에 대한 감도를 큰 폭으로 향상시키는 한 편, 벤젠과 에탄올,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실내 환경가스에 대한 감도의 향상을 낮춰 자일렌의 검지 선택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특정 가스를 고감도, 고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CoCr2O4 함량만을 갖는 제조방법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조성의 Cr과 Co가 포함된 나노 복합체 및 고상 혼합체를 포함하며, CoCr2O4에 Pt, Pd 또는 Au와 같은 귀금속 촉매가 첨가된 감응 소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무열분해법을 이용해 순수한 Co3O4 (비교예 1-1), 순수한 Cr2O3 (비교예 1-2), 순수한 CoCr2O4 (실시예 1-1, 실시예 2-1)와 Cr2O3-CoCr2O4 (실시예 1-2, 1-3), Pt-CoCr2O4 (실시예 2-2), Pd-CoCr2O4 (실시예 2-3), Au-CoCr2O4 (실시예 2-4)를 합성하고 가스 센서로 제조한다. 준비한 각각의 감응 물질을 이용해 가스 센서를 제작한 후, 에탄올, 자일렌, 톨루엔 등의 가스 감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모든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한 에탄올 대비 자일렌의 선택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실시예 1-2과 실시예 2-2의 자일렌 검지 하한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자일렌 분해에 효과적인 CoCr2O4와 Cr2O3 및 Pt 간의 촉매 반응은 반응성이 매우 뛰어난 에탄올이나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산화물 반도체형 가스 센서의 가스 감도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반응성이 매우 약하다고 알려져 있는 자일렌에 대한 가스 감도는 큰 폭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실내 환경 가스인 자일렌에 대한 선택적 감응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은 자일렌을 검지하는 가스 센서를 제조한다.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은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S10) 및 코팅 단계(S14)를 포함한다.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S10)에서는, 코발트(Co) 원소를 포함하는 제 1 재료, 크롬(Cr) 원소를 포함하는 제 2 재료 그리고 구연산(Citric Acid)를 포함하는 혼합 재료를 반응시켜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형성시킨다.
제 1 재료 및 제 2 재료는 코발트 원소 및 크롬 원소 간의 몰비(Molar Ratio)가 1:2 내지 1:4가 되도록 혼합 재료에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재료는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Co(NO3)2·6H2O)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재료는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Cr(NO3)3·9H2O)로 제공될 수 있다.
혼합 재료에는 귀금속 촉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귀금속 촉매는 Pt, Pd, Au 또는 Rh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S10)는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 분무 가열 단계(S12) 및 열처리 단계(S13)를 포함한다.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혼합 재료를 증류수에 용해시켜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분무 가열 단계(S12)에서는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 제조된 분무 용액을 분무하고 분무된 분무 용액을 가열하여 CoCr2O4 전구체를 형성한다.
열처리 단계(S13)에서는 분무 가열 단계(S12)에서 형성된 CoCr2O4 전구체를 열처리한다.
코팅 단계(S14)에서는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S10)에서 형성된 CoCr2O4 중공 구조체를 전극(301, 302)이 제공된 절연체 기판(200)에 코팅한다.
이하, 상술한 가스 센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가스 센서를 제조하는 상세 실시 예들 및 각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가스 센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에 따르면,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200 mL의 증류수에 Cr/Co의 몰비가 2.0이 되도록 계산하여 1.5 g의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 [Co(NO3)2·6H2O,99.999%,Sigma-Aldrich, US], 4.1 g의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 [Cr(NO3)3·9H2O,99%,Sigma-Aldrich, US]와 4.2 g의 구연산 [C6H8O7,99.5%,Sigma-Aldrich,USA]를 섞어 시약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분무 가열 단계(S12)에서는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 제조된 분무 용액을 10 L min-1의 유량으로 공기중에서 초음파 분무함과 동시에 분무 출구와 연결된 전기로 (600 oC)를 거치게 되면서 순수한 CoCr2O4 중공구조 전구체가 형성된다.
열처리 단계(S13)에서는 분무 가열 단계(S12)에서 형성된 CoCr2O4 전구체를 700 oC에서 2시간동안 열처리하여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형성한다.
코팅 단계(S14)에서는 열처리 단계(S13)에서 열처리 된 CoCr2O4 중공 구조체의 미분말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Au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나(Al2O3) 기판에 떨어뜨려 코팅하고, 450 oC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가스 센서를 제조한다.
제작된 가스 센서의 가스 감응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작된 가스 센서를 quartz tube로 구성된 gas sensing chamber 내부에 위치시키고 순수한 공기 또는 혼합가스를 번갈아 가며 주입하며, 가스 센서의 저항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가스는 MFC(Mass Flow Controller)를 통해 미리 적정 농도로 혼합시킨 후, 4-way 밸브를 이용하여 급격히 주입하여 gas sensing chamber 내부의 가스 농도를 변화시켰다. Gas sensing chamber 내부의 총 유량은 200 SCCM으로 고정하여 가스 농도의 급격한 변화에도 가스 센서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 따르면,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Cr2O3가 함께 생성되는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합성하기 위해 200 mL의 증류수에 Cr/Co의 몰비가 3.0이 되도록 계산하여 1.5 g의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 6.1 g의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 와 4.2 g의 구연산을 섞어 시약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이후, 가스 센서의 제조 방법 및 가스 감응 측정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 따르면,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200 mL의 증류수에 Cr/Co의 몰비가 실시예 1-2보다 높은 4.0이 되도록 계산하여 1.5 g의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 8.2 g의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 와 4.2 g의 구연산을 섞어 시약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이후, 가스 센서의 제조 방법 및 가스 감응 측정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시예 2-1]
실시예 2-1에 따르면,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200 mL의 증류수에 Cr/Co의 몰비가 2.0이 되도록 계산하여 0.38 g의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 1.02 g의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 와 1.0 g의 구연산을 섞어 시약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이후, 가스 센서의 제조 방법 및 가스 감응 측정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시예 2-2]
실시예 2-2에 따르면,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Pt이 첨가된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합성하기 위해 200 mL의 증류수에 Cr/Co의 몰비가 2.0이 되도록 계산하여 0.38 g의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 1.02 g의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 0.05 mL chloroplatinic acid solution, 8 wt% in H2O(H2PtCl6, Sigma-Aldrich, USA)와 1.0 g의 구연산을 섞어 시약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이후, 가스 센서의 제조 방법 및 가스 감응 측정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시예 2-3]
실시예 2-3에 따르면,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Pd이 첨가된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합성하기 위해 200 mL의 증류수에 Cr/Co의 농도비가 2.0이 되도록 계산하여 0.38 g의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 1.02 g의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 0.0014 g의 palladium nitrate hydrate (Pd(NO3)2·xH2O, Sigma-Aldrich, USA)와 1.0 g의 구연산을 섞어 시약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이후, 가스 센서의 제조 방법 및 가스 감응 측정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실시예 2-4]
실시예 2-4에 따르면, 분무 용액 제조 단계(S11)에서는 Au이 첨가된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합성하기 위해 200 mL의 증류수에 Cr/Co의 농도비가 2.0이 되도록 계산하여 0.38 g의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 1.02 g의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 0.0012 g의 gold chloride trihydrate (HAuCl4·3H2O, Sigma-Aldrich, USA)와 1.0 g의 구연산을 섞어 시약이 모두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분무 용액을 제조한다.
이후, 가스 센서의 제조 방법 및 가스 감응 측정 방법은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 예 및 비교 예들로 합성된 미분말들을 이용하여 가스 센서를 제조하여 여러 온도에서 측정하였고, 측정된 모든 환원성 가스에 대해서 저항이 증가하는 p-type 반도체형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스 감도를 Rg Ra -1 (Rg: 가스 중에서의 소자저항, Ra: 공기 중에서의 소자저항)로 정의하였다. 합성된 미분말을 이용하여 가스 센서를 제조한 뒤 가스 감도를 측정하고 다른 가스와의 감도 차이를 통해 선택성을 계산했다.
공기 중에서 센서의 저항이 안정화되면 갑자기 피검가스(에탄올, 자일렌, 톨루엔, 벤젠,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5 ppm)로 분위기를 바꾸고, 피검 가스 중에서의 저항이 일정해졌을 때 다시 공기 분위기로 바꾸어 저항 변화를 측정했다. 가스에 노출되었을 때 도달되는 최종 저항을 Rg 라고 하고, 공기 중의 저항을 Ra 라고 정의하였다. 각 가스 센서들로 측정한 자일렌의 감도(SX)와 방해가스인 에탄올의 감도(SE)와의 비(SX/SE)를 통해 자일렌 선택성을 계산했다.
도 3은 실시예 1-1, 1-2, 2-1, 2-2, 2-3, 2-4 및 비교예 1-1, 1-2의 X-ray 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X-ray 회절분석 결과를 통해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은 비교예1-1, 1-2와 같은 Co3O4나 Cr2O3 회절 패턴 없이 CoCr2O4만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1-2는 Cr2O3와 CoCr2O4가 일정 비율 혼합되어 있는 나노 복합체의 패턴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2, 2-3, 2-4는 CoCr2O4 회절 패턴을 확인했다. 실시예 2-2, 2-3, 2-4에서 귀금속 촉매 (Pt, Pd, Au)의 회절패턴은 X-ray 회절분석의 검출한계로 인해 확인되지 않았다.
도 4는 각 실시예와 각 비교예에서 생성된 미분말의 이차입자 구조를 찍은 SEM과 TEM 사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든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생성된 입자가 구형의 중공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동작온도 275 oC에서 실시예 1-1과 실시예 2-1, 비교예 1-1, 비교예 1-2에서의 5 ppm 농도의 에탄올, 자일렌, 톨루엔, 벤젠,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에 대한 가스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Co3O4나 Cr2O3만으로 합성된 중공구조인 비교예 1-1, 1-2는 상기 가스들에 대해 감도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1-1의 가스 감응 특성 평가를 통해 순수한 CoCr2O4는 자일렌에 대한 뛰어난 감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X=61.4). 또한, Co와 Cr의 첨가량을 감소시켜 얇은 shell을 가지는 순수한 CoCr2O4인 실시예 2-1는 가스 감도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X=319.5). 이는 구조에 상관없이 CoCr2O4가 자일렌에 대해 높은 감도와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얇은 shell을 가진 감응 물질이 유입된 가스를 빠르게 가스 감응물질 내부까지 확산시켜 가스 감도를 증대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동작온도 275 oC에서 실시예 1-2, 1-3, 2-2, 2-3, 2-4에서 제조된 가스 센서의 5 ppm 농도의 에탄올, 자일렌, 톨루엔, 벤젠, 포름알데히드,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일산화탄소에 대한 가스 감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 1-2와 1-3을 통해 Cr2O3 이차상이 일정량 생성될 경우 자일렌에 대한 감도가 증가하지만 Cr2O3 이차상이 과량으로 생성될 경우에는 모든 가스에 대해 낮은 가스 감응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r/Co의 몰비가 4.0이상이 되는 경우, 모든 가스에 대해 낮은 가스 감응을 가짐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1-2의 자일렌 감도가 실시예 1-1의 자일렌 감도 보다 크다. 이는 CoCr2O4 상이 주를 이루고 있고, Cr2O3 가 불연속적으로 첨가될 경우 work function이 다른 두 p형 반도체 사이로 전하의 이동이 발생하여 CoCr2O4 감응소재의 전기적 민감화 (electronic sensitization)가 발생한 것에 기인한다. 또한, 실시예 2-2, 2-4를 통해 귀금속 촉매인 Pt와 Au의 첨가는 자일렌 감도를 크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Au의 첨가는 전기적 민감화(electronic sensitization)에 의해 방해가스인 에탄올의 감도도 증가시켜 자일렌을 Pt를 첨가한 경우에 비해 선택성이 다소 낮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3인 Pd가 첨가된 CoCr2O4는 순수한 CoCr2O4 (SX=319.5)에 비해 오히려 낮은 자일렌 감도를 보였다 (SX=225.8). 이는 자일렌, 톨루엔과 같은 메틸벤젠에 대한 산화촉매로 널리 알려져 있는 Pd과 CoCr2O4의 촉매활성에 의해 센서 감응막의 상단에서 자일렌을 모두 산화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Pt 촉매가 CoCr2O4 센서의 자일렌 감도와 선택성을 큰 폭으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 1-1, 1-2, 1-3, 2-1 및 비교예 1-1, 1-2에서 제조된 가스 센서의 에탄올 감도 대비 자일렌의 감도비의 온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비교예 1-1, 비교예 1-2의 경우에는 자일렌에 대한 가스센서의 선택성(SX/SE)이 모든 온도에서 1이내의 값을 가지기 때문에 Co3O4, Cr2O3만으로는 자일렌을 선택적으로 검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1과 실시예 2-1은 275 oC에서 SX/SE= 12.3, 30.7 값을 각각 보이며 CoCr2O4의 만으로도 자일렌을 고선택적으로 검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실시예 1-2를 통해 Cr2O3 이차상이 일정량 생성되면 자일렌 가스에 대한 감도가 증가하면서 자일렌의 선택성도 증가하는 것을 보였고, Cr2O3 이차상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실시예 1-3, Cr/Cr 몰비 4.0)에는 가스의 감응이 감도가 낮은 Cr2O3를 통해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순수한 Cr2O3인 비교예 1-2와 유사한 낮은 자일렌 선택성을 보였다. 위 결과는 자일렌 가스를 고감도, 고선택적으로 검지하기 위해서는 CoCr2O4 상이 주를 이루고, Cr2O3가 불연속적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주며, 본 실시예에서는 Cr/Co의 농도비가 3.0인 것이 가장 적절해 보이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Cr2O3가 필요이상으로 과잉량 첨가될 경우 자일렌과 모든 방해가스에 대한 감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350℃이상에서는 자일렌에 대한 선택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화물 반도체형 가스 센서의 경우 250℃ 이상의 온도에서 가스를 정상적으로 검지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는 250℃ 내지 350℃의 온도 범위에서 자일렌에 대한 선택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8은 가스 센서 동작온도 275 oC 에서 실시예 2-2와 비교예 2-1, 2-2의 자일렌의 선택성(SX/S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스 센서 동작온도 275 oC 에서 실시예 2-2, 2-3, 2-4의 자일렌의 선택성(SX/SE)을 확인했다. 측정 결과를 통해 실시예 2-2가 에탄올 대비 자일렌의 선택성 (SX/SE= 87.8)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 산화 촉매로 알려진 Pt의 첨가로 인해, 에탄올은 센서 감응막의 상단에서 모두 산화되지만 자일렌은 상단에서 모두 분해되지 않고 감응막의 하단까지 확산된다. 자일렌이 감응 물질 내부로 확산되면서, Pt 및 CoCr2O4와 같은 촉매물질에 의해 반응성이 높은 가스로 변환 되고 또 가스 감응반응도 촉진되기 때문에 Pt의 첨가는 에탄올의 감도는 감소시키는 동시에 자일렌의 감도는 크게 증가시켜 높은 자일렌 감도와 선택성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Pd과 Au를 첨가한 실시예 2-3과 2-4의 자일렌에 대한 선택성 (SX/SE= 31.0, 25.4)은 순수한 CoCr2O4인 실시예 2-1과 유사하거나 낮은 값을 보였다. Pd이 첨가된 CoCr2O4는 Pd의 과도하게 높은 촉매 활성에 의해 센서 감응막의 상단 부분에서 에탄올 뿐만아니라 자일렌의 일부도 산화, 분해가 발생하여 자일렌과 에탄올의 감도가 모두 감소하면서 순수한 CoCr2O4와 유사한 자일렌 선택성을 보였다. Au가 첨가된 CoCr2O4의 경우에는 전기적 민감화에 의해 가스의 감도가 모두 증가하였지만, 에탄올에 대한 감도가 다소 크게 증가하여 순수한 CoCr2O4 에 비해 낮은 자일렌 선택성을 보였다.
도 9는 가장 높은 선택성을 보이는 센서 구동 온도에서의 실시예 1-2 (300 oC)와 실시예 2-2 (275 oC)의 자일렌 가스 감응 특성을 가스 농도의 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 1-2는 동작온도 300 oC에서 0.25, 0.5, 1, 2.5 및 5 ppm 농도의 자일렌 가스에 대해서 각각 2.19, 3.28, 6.70, 34.65, 109.5의 높은 수준의 자일렌 감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2가 250 ppb의 농도 수준의 자일렌도 높은 감도로 측정할 수 있는 우수한 가스 센서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실시예 2-2는 동작온도 275 oC에서 25, 50, 75, 100, 125 ppb 자일렌에 대해 1.33, 1.58, 1.97, 2.08, 2.22 값을 보였다. 이는 실시예 2-2의 센서가 10 ppb 수준의 극미량의 자일렌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는 극미량의 자일렌의 농도 측정이 가능하며, 자일렌의 변화량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도 10은 농도별 자일렌 감도를 기존 연구들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2, 2-1의 성과가 기존에 진행되어 온 연구(6, 7, 8, 9, 10, 11, 12, 13)에 비해 자일렌 감도가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2는 자일렌 감도 및 선택성 모두가 기존의 결과(10, 11, 12, 13)에 비해서 월등히 우수함을 보여준다. 또한 일반적으로 높은 메틸벤젠 감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NiO, Co3O4 등과 비교해 보아도 효과적으로 저농도의 자일렌을 검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산화물 반도체 기반 자일렌 센서는 감도와 선택성이 매우 낮아서 자일렌만을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센서는 극미량의 자일렌을 고감도, 고선택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가스 감도(Rg Ra -1) 30일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센서는 최소한 30일까지 안정적인 가스 감도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스 센서 100: 감응층
200: 절연체 기판 301, 302: 전극
400: 히터

Claims (13)

  1. 자일렌을 검지하되, 감응층, 절연체 기판, 전극 및 히터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코발트(Co) 원소를 포함하는 제 1 재료, 크롬(Cr) 원소를 포함하는 제 2 재료, 구연산(Citric Acid) 및 귀금속 촉매인 Pt를 포함하는 혼합 재료를 반응시켜 자일렌에 감응하는 감응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Pt가 포함된 구형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 및
    상기 Pt가 포함된 구형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전극이 제공된 절연체 기판에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 구조체 형성 단계는:
    상기 혼합 재료인 상기 제 1 재료, 상기 제 2 재료, 구연산 및 염화백금산 수용액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분무 용액을 제조하는 분무 용액 제조 단계;
    제조된 분무 용액을 분무하고 분무된 분무 용액을 가열하여 구형 중공 구조의 CoCr2O4 전구체를 형성하는 분무 가열 단계; 및
    형성된 구형 중공 구조의 CoCr2O4 전구체를 열처리하여 상기 Pt가 포함된 구형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형성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발트 원소 및 상기 크롬 원소 간의 몰비(Molar Ratio)가 1:2가 되도록 상기 제 1 재료 및 상기 제 2 재료가 상기 혼합 재료에 제공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료는 cobalt (II) nitrate hexahydrate(Co(NO3)2·6H2O)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재료는 chromium (III) nitrate nonahydrate(Cr(NO3)3·9H2O)로 제공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자일렌을 검지하는 가스 센서에 있어서,
    절연체 재질로 제공되는 절연체 기판;
    상기 절연체 기판에 연결되는 전극;
    상기 절연체 기판 상에 코팅되되, 상기 자일렌에 감응하도록 코발트(Co) 원소를 포함하는 제 1 재료, 크롬(Cr) 원소를 포함하는 제 2 재료, 구연산(Citric Acid) 및 귀금속 촉매인 Pt를 포함하는 혼합 재료를 반응시켜 형성되는 Pt가 포함된 구형 중공 구조의 CoCr2O4 중공 구조체를 포함하는 감응층; 및
    상기 감응층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71659A 2018-12-28 2018-12-28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KR10220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59A KR102205343B1 (ko) 2018-12-28 2018-12-28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US16/718,659 US11692987B2 (en) 2018-12-28 2019-12-18 CoCr2O4-based gas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659A KR102205343B1 (ko) 2018-12-28 2018-12-28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794A KR20200081794A (ko) 2020-07-08
KR102205343B1 true KR102205343B1 (ko) 2021-01-19

Family

ID=7112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659A KR102205343B1 (ko) 2018-12-28 2018-12-28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92987B2 (ko)
KR (1) KR1022053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3449A (zh) * 2020-07-13 2022-01-14 青岛市食品药品检验研究院(青岛市药品不良反应监测中心、青岛市实验动物和动物实验中心) 一种三甲胺的低温催化发光敏感材料
CN116145286B (zh) * 2023-01-03 2024-05-10 吉林大学 一种可在低工作温度下有效检测超低浓度二甲苯的钴基纳米纤维敏感材料、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56B1 (ko) * 2015-02-16 2015-09-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팔라듐이 첨가된 산화코발트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메틸벤젠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3226B1 (ko) 2016-11-21 2018-0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감응막 구조를 이용한 벤젠 가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344B1 (ko) 1997-12-26 2002-05-09 신현준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감지재료
KR101246529B1 (ko) 2011-03-09 2013-03-26 한국과학기술원 다층 구조를 갖는 금속산화물 튜브를 이용한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616B1 (ko) 2012-01-17 2013-09-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식 가스센서 형성방법
KR101446592B1 (ko) * 2012-08-02 2014-10-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어-쉘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JP6224311B2 (ja) 2012-11-06 2017-11-01 Nissha株式会社 半導体ガスセンサ素子
KR101491819B1 (ko) * 2013-04-18 2015-0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롬이 도핑된 산화니켈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메틸벤젠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6173B1 (ko) * 2014-01-15 2016-05-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팔라듐이 첨가된 산화주석 난황구조 미분말을 이용한 메틸벤젠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WO2017022992A1 (ko) * 2015-07-31 2017-02-0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세라믹/금속 적층형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764487B1 (ko) 2015-08-03 2017-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인듐 중공구조 및 금 촉매를 포함하는 에탄올 검출용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탄올 검출용 가스센서
KR101939904B1 (ko) * 2016-06-03 2019-0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틸벤젠에 대한 고감도 및 고선택성 가스 감응물질,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가스 감응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KR101806742B1 (ko) 2016-10-27 2018-01-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니켈몰리브데늄이 첨가된 산화니켈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자일렌 가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356B1 (ko) * 2015-02-16 2015-09-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팔라듐이 첨가된 산화코발트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메틸벤젠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3226B1 (ko) 2016-11-21 2018-0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감응막 구조를 이용한 벤젠 가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92987B2 (en) 2023-07-04
KR20200081794A (ko) 2020-07-08
US20200209206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1382B2 (en) Methylbenzene gas sensor using chrome-doped nickel oxide nanostructur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983101B2 (en) Methylbenzene gas sensor using palladium-containing cobalt oxide nanostructur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16173B1 (ko) 팔라듐이 첨가된 산화주석 난황구조 미분말을 이용한 메틸벤젠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La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nO 2 catalysts for CO and CH 4 oxidation
KR101813226B1 (ko) 다층 감응막 구조를 이용한 벤젠 가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205343B1 (ko) CoCr2O4 기반 가스 센서 및 이를 제조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US20230273139A1 (en) Gas detection complex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gas sensor comprising gas detection comple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02561B1 (ko) 로듐 첨가 wo3를 이용한 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9611B1 (ko)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고감도, 쾌속반응 산화물 반도체형가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9904B1 (ko) 메틸벤젠에 대한 고감도 및 고선택성 가스 감응물질,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가스 감응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센서
CN114324498B (zh) 一种基于Au-SnO2纳米花敏感材料的ppb级别NO2气体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101806742B1 (ko) 산화니켈몰리브데늄이 첨가된 산화니켈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자일렌 가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im et al.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carcinogenic benzene using a raisin bread-structured film comprising catalytic Pd-Co3O4 and gas-sensing SnO2 hollow spheres
Min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nO2/ZnO gas sensors for detecting toluene gas
CN111766274A (zh) Pd修饰的α-Fe2O3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2017089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nanoparticle-oxide support complex structure based gas sensor
KR102247130B1 (ko) 자일렌 또는 톨루엔 가스의 선택적 감지용 가스 센서
KR102356185B1 (ko) 가스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59890A (ko) 산화물 중공구조의 물리적 혼합을 통한 휘발성 방향족 화합물용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72733A (ko) 팔라듐이 로딩된 마이크로포러스 구조체를 이용한 수소 감지용 가스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72651A (ko) 방향족 탄화수소 가스의 고감도 선택적 감지용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0199A (ko) 가스 센서, 이를 포함하는 가스 분석 장치 및 가스 센서의 제조 방법
CN118112058A (zh) 一种基于单原子Pt负载的In2O3敏感材料的甲醛气体传感器及其制备方法
JPS5957153A (ja) ガス検知素子
THOMBRE NANOCRYSTALLINE Pt-DOPED TiO2 THIN FILMS PREPARED BY SPRAY PYROLYSIS FOR HYDROGEN GAS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