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487B1 -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487B1
KR102204487B1 KR1020200158615A KR20200158615A KR102204487B1 KR 102204487 B1 KR102204487 B1 KR 102204487B1 KR 1020200158615 A KR1020200158615 A KR 1020200158615A KR 20200158615 A KR20200158615 A KR 20200158615A KR 102204487 B1 KR102204487 B1 KR 102204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general soil
inorganic sludge
open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균태
Original Assignee
정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균태 filed Critical 정균태
Priority to KR102020015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7/16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7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the receptacle being divided into superimposed compartments
    • B01F15/00538
    • B01F15/00974
    • B01F15/06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3/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81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 B01F35/187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or dirt; Sieves; Filters using filters in mixers, e.g. during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1Heating or cooling systems using gas or liquid injected into the material, e.g. using liquefied carbon dioxide or steam
    • B01F7/18
    • B09B3/0025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Mixing cement, mortar, clay, plaster or concrete 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토사를 제1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무기성오니를 제2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호퍼의 일반토사에 있는 돌 및 이물질을 선별시설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시설을 이용하여 선별된 일반토사를 제1 컨베이어를 통해 혼합장치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호퍼의 무기성오니를 제2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혼합장치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장치에 의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혼합되는 단계; 상기 혼합장치에서 혼합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제3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제3 컨베이어를 통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물이 출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일반토사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와 제2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무기성오니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저장부에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저장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저장부에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측에 상기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가 위치하는 평판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설치되어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투입되어 혼합되고 배출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혼합기로 투입되는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무기성오니를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함에 있어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이 항상 1 ≤ 1 이 되면서 혼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Mixing method of inorganic sludge and general soil}
본 발명은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1 ≤ 1의 부피비를 가지고 혼합될 수 있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니(汚泥 : Sludge)란 정수, 하수, 공장폐수 등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한 불용성 고형분을 침전 혹은 여과한 것으로, 보통 수분함량이 85%이하인 것을 말하며, 유기성물질의 함유정도에 따라 유기성오니류 및 무기성오니류로 구분된다.
유기성오니는 고형물 중 유기성물질의 함량이 40%이상인 것을 말하며, 무기성오니는 유기물함량이 40%이하인 것을 말한다.
오니류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탈수시켜서 수분이 적은 탈수 오니(Sludge cake)로 만든 다음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오니의 처리방법으로는 중간처리단계로 소각, 중화, 고형화 등의 방법과 최종처리단계로는 매립이나 해역배출 방법을 사용하며, 재생처리를 통하여 재활용한다.
오니의 재활용이라 함은 폐기물의 처리방법상 중간처리로 분류되어 폐기물을 재사용 혹은 재생이용하거나 재사용 혹은 재생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활동 또는, 폐기물로부터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에너지를 회수하는 활동을 말한다.
국내 오니류에 대한 매립억제와 재활용 관련 기준으로 수분함량에 대한 기준이 대부분이며 재활용 방법으로 유기성오니류는 부숙토, 토지개량제, 탄화, 녹화토, 매립복토재, 열 회수 등이 있으며, 무기성오니의 재활용방법으로 자원화에는 대표적으로 퇴비화, 지렁이 사육의 먹이, 녹생토나 매립지 복토재, 토지개량제, 경량골재, 시멘트 제조의 부원료 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있으며, 에너지화에는 열 발전소의 연료로 사용하거나 시멘트소성로의 부연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무기성오니를 성토재·복토재·도로기층재·채움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의3에 의해 일반토사류나 건설폐재류를 재활용한 토사류를 부피기준으로 50퍼센트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농업활동과정에서 배출된 농업용 폐플라스틱 필름·시트류를 분리·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기성오니를 농경지의 성토재로 재활용하는 경우에는 수분함량 70퍼센트 이하로 탈수·건조한 후 일반토사류를 부피기준으로 50퍼센트 이상 혼합하여 재활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무기성오니를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일반토사류를 부피기준으로 50퍼센트 이상 혼합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25842호에는 무기성오니의 이송중량에 따라 일반토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의 속도를 제어하여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을 조절하는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가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725842호에 의하면,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시간당 일반토사의 양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함에 있어 그 혼합비율이 1 ≤ 1 이 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이 경우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의3에 따라 무기성오니를 재활용할 수 없게 되어 혼합작업이 무의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무기성오니를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함에 있어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이 부피비를 기준으로 1 ≤ 1 이 되도록 하면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일반토사를 제1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무기성오니를 제2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호퍼의 일반토사에 있는 돌 및 이물질을 선별시설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시설을 이용하여 선별된 일반토사를 제1 컨베이어를 통해 혼합장치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호퍼의 무기성오니를 제2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혼합장치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장치에 의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혼합되는 단계; 상기 혼합장치에서 혼합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제3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제3 컨베이어를 통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물이 출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일반토사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와 제2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무기성오니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저장부에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 개폐부와 상기 제2 저장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저장부에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상측에 상기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가 위치하는 평판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설치되어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투입되어 혼합되고 배출되는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1 개폐부의 하측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제1 투입홀과 상기 제2 개폐부의 하측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제2 투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일반토사가 하방으로 쏟아져 상기 베이스의 제1 투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로 투입되고, 상기 제2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무기성오니가 하방으로 쏟아져 상기 베이스의 제2 투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에는 제1 무게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제2 개폐부에는 제2 무게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제1 개폐부의 타측면에는 제1 유압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압장치가 신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는 타방 또는 일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 개폐부의 일측면에는 제2 유압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압장치가 신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는 일방 또는 타방으로 움직이되, 상기 제1 유압장치가 신장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제1 저장부의 하측이 폐쇄되고, 상기 제2 유압장치가 신장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제2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제2 저장부의 하측이 폐쇄되고, 상기 제1 저장부에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이 도달하면, 상기 제1 유압장치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는 일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제1 저장부의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저장부에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이 도달하면, 상기 제2 유압장치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는 타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제2 저장부의 하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제2 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되, 상기 제1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저장부에 투입된 일반토사의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저장부에 투입된 무기성오니의 무게값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제2 회전모터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원통의 내부를 일정한 높이의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는 복수 개의 분리층;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중에 최하단의 분리층 하측의 중앙에 설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혼합모터; 하면이 상기 혼합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혼합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하는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는 회전기둥; 및 상기 회전기둥의 외측면을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반지름의 길이만큼 외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은 중앙이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회전기둥관통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에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혼합되면서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소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둥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에 형성된 상기 회전기둥관통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기 복수 개의 날개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원통의 복수 개의 구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혼합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기둥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날개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에서 투입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 내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 외부에 설치되어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생성하는 열풍발생기; 및 일단은 상기 열풍발생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발생기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내부로 전달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열풍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고온 건조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서 내부로 뚫려져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과 연결되되, 상기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 각각은 상기 연결관에 의해 전달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서 하방과 상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 내부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상면과 하면의 상측에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기둥과 연결된 측면을 제외한 상기 복수 개의 날개 각각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마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날개 각각은 서로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어긋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혼합기로 투입되는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무기성오니를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함에 있어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비율이 항상 1 ≤ 1 이 되면서 혼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혼합기 내부에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되면서 발생하는 혼합기의 구성요소들간의 마찰에 의한 마모 및 고장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혼합기에 의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혼합기 내부에서 고온 건조한 바람이 배출됨으로써,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혼합의 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제 1개폐부와 제2 개폐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혼합기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혼합기 분리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혼합기의 분리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기성오니는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선별·파쇄·탈수 등의 전처리과정을 완료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무기성오니는 재활용을 위하여 선별·파쇄·탈수 등의 전처리과정을 완료한 후 일반토사와 아래의 과정을 통해 혼합될 수 있다.
먼저, 일반토사를 제1 호퍼(미도시)에 투입하는 단계와 무기성오니를 제2 호퍼(미도시)에 투입하는 단계를 거치며, 이 때 상기 제1 호퍼(미도시)에 투입된 일반토사는 일반토사에 있는 돌 및 이물질을 선별시설(미도시)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단계를 거친다.
그 후, 상기 선별시설(미도시)을 이용하여 선별된 일반토사를 제1 컨베이어(100)를 통해 혼합장치(300)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호퍼(미도시)의 무기성오니를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 상기 혼합장치(300)로 투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장치(300)에 의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혼합되는 단계를 거치고, 상기 혼합장치(300)에서 혼합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제3 컨베이어(400)로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제3 컨베이어(400)를 통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물이 출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컨베이어(100)와 제2 컨베이어(200)는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혼합장치(300)는 상기 제1 컨베이어(100)와 제2 컨베이어(2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혼합장치(300)는, 상기 제1 컨베이어(100)에서 투입되는 일반토사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311)와 제2 컨베이어(200)에서 투입되는 무기성오니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313)를 포함하는 저장부(310), 상기 제1 저장부(31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저장부(311)에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 개폐부(340)와 상기 제2 저장부(313)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저장부(313)에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2 개폐부(350), 상측에 상기 제1 개폐부(340) 및 제2 개폐부(350)가 위치하는 평판형상의 베이스(360) 및 상기 베이스(360)의 하측에 설치되어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투입되어 혼합되고 배출되는 혼합기(37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310)는 상기 베이스(36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리부(312)에 의하여 제1 저장부(311)와 제2 저장부(313)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340)와 제2 개폐부(350)는 상기 분리부(312)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312)에 의해 상기 제1 컨베이어(100)와 제2 컨베이어(200) 각각에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상기 제1 저장부(311)와 제2 저장부(313)로 떨어질 때,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제1 개폐부(340)와 제2 개폐부(350)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360)에는 상기 제1 개폐부(340)의 하측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제1 투입홀(361)과 상기 제2 개폐부(350)의 하측에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제2 투입홀(36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340)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저장부(311)에 저장된 일반토사가 하방으로 쏟아져 상기 베이스(360)의 제1 투입홀(361)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370)로 투입되고, 상기 제2 개폐부(350)가 개방되면, 상기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된 무기성오니가 하방으로 쏟아져 상기 베이스(360)의 제2 투입홀(362)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370)로 투입되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상기 혼합기(370)의 내부에서 서로 섞이게 된다.
상기 제1 투입홀(361) 및 제2 투입홀(362)은 상기 제1 저장부(311) 및 제2 저장부(313) 하부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 또는 상기 제1 저장부(311) 및 제2 저장부(313) 하단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저장부(311) 및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된 일반토사 및 무기성오니가 하방으로 떨어져 상기 혼합기(370) 내부로 쏟아질 때,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340)에는 제1 무게센서(341)가 내장되며, 상기 제2 개폐부(350)에는 제2 무게센서(351)가 내장되며, 상기 제1 개폐부(340)의 타측면에는 제1 유압장치(342)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압장치(342)가 신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340)는 타방 또는 일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2 개폐부(350)의 일측면에는 제2 유압장치(352)가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압장치(352)가 신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350)는 일방 또는 타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제1 유압장치(342)가 신장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제1 개폐부(340)에 의해 상기 제1 저장부(311)의 하측이 폐쇄되고, 상기 제2 유압장치(352)가 신장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제2 개폐부(350)에 의해 상기 제2 저장부(313)의 하측이 폐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컨베이어(100)를 통해서 이동되어 상기 제1 저장부(311)에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1 유압장치(342)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340)는 일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저장부(311)의 하측이 개방되게 되어 일반토사가 상기 베이스(360)의 제1 투입홀(361)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37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서 이송되어 상기 제2 저장부(313)에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2 유압장치(352)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350)는 타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저장부(313)의 하측이 개방되게 되어 무기성오니가 상기 베이스(360)의 제2 투입홀(362)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37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개폐부(340)는 상기 제1 저장부(311)에 저장된 일반토사가 모두 혼합기(370)로 투입된 후에는 상기 제1 유압장치(342)가 신장됨에 따라 타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 저장부(311)의 하측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2 개폐부(350)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된 무기성오니가 모두 혼합기(370)로 투입된 후에는 상기 제2 유압장치(352)가 신장됨에 따라 일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2 저장부(313)의 하측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1 개폐부(340)와 제2 개폐부(350) 각각이 폐쇄됨에 따라 다시 상기 제1 저장부(311)와 제2 저장부(313)에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저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개폐부(340)는 제1 저장부(311)에 저장된 일반토사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저장부(311)의 하측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제2 개폐부(350)는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된 무기성오니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저장부(313)의 하측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1 저장부(311)와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무게값이 미리 설정된 무게값에 도달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개폐부(340)와 제2 개폐부(350)가 개방되어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상기 혼합기(370)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컨베이어(100)와 제2 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혼합기(370) 내부로 투입되는 항상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부피비가 1 ≥ 1이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심지어 상기 제1 호퍼(미도시) 또는 제2 호퍼(미도시) 내에 일반토사 또는 무기성오니가 없거나 기계고장 이유 등으로 상기 제1 컨베이어(100) 또는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 상기 제1 저장부(311) 또는 제2 저장부(313)로 이송되는 일반토사 또는 무기성오니가 없게 되는 경우나, 상기 제1 컨베이어(100) 또는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 상기 제1 저장부(311) 또는 제2 저장부(313)로 이송되는 일반토사 또는 무기성오니의 양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혼합기(370) 내부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부피비가 항상 1 ≥ 1이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무게센서(341)와 제2 무게센서(35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저장부(311) 또는 제2 저장부(313)의 무게가 일정시간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100) 또는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 이송되는 일반토사나 무기성오니가 없는 이상상태로 판단하고 알람을 울려 외부에 알리거나,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상기 혼합기(3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로 전송하게 하여 상기 제어장치(미도시)가 상기 제1 컨베이어(100), 제2 컨베이어(200) 또는 혼합기(370)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혼합을 자동으로 멈추게 하게 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컨베이어(100)는 제1 컨베이어(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회전모터(110)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200)는 제2 컨베이어(2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회전모터(21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무게센서(34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저장부(311)에 투입된 일반토사의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센서(35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저장부(313)에 투입된 무기성오니의 무게값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모터(110)와 제2 회전모터(210)의 회전속도는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무게센서(34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저장부(311)로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의 증가속도가 상기 제2 무게센서(35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저장부(313)로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증가속도보다 빠르다면, 상기 제1 회전모터(110)의 구동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2 회전모터(21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1 컨베이어(100) 및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 상기 제1 저장부(311) 및 제2 저장부(313)로 이동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제1 개폐부(340)와 제2 개폐부(350)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시기가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혼합기(370)의 내부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부피비가 1 ≥ 1가 되도록 유지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 무게센서(35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저장부(313)로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의 증가속도가 상기 제1 무게센서(341)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저장부(311)로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증가속도보다 빠르다면, 상기 제2 회전모터(210)의 구동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회전모터(110)의 구동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제1 컨베이어(100) 및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 상기 제1 저장부(311) 및 제2 저장부(313)로 이동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제1 개폐부(340)와 제2 개폐부(350)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시기가 동일하도록 하여 상기 혼합기(370)의 내부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부피비가 1 ≥ 1가 되도록 유지시키게 된다.
만약, 제1 저장부(311)에 저장된 일반토사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에 도달하여 제1 개폐부(340)가 개방되는 시점에도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된 무기성오니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이 도달되지 못했다면 상기 제1 회전모터(11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매우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컨베이어(100)를 정지시키거나 매우 느리게 움직이게 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1 저장부(311)로 이송되는 일반토사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제2 회전모터(210)의 구동속도는 증가시켜 상기 제2 컨베이어(200)를 통해 제2 저장부(313)로 이송되는 무기성오니의 양을 증가시켜 빠른 시간에 상기 제2 개폐부(350)도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혼합기(370)에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동시에 투입되거나 짧은 시간간격으로 각각 투입되게 하여 상기 혼합기(370)에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1 ≥ 1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대로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된 무기성오니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에 도달하여 제2 개폐부(350)가 개방되는 시점에도 제1 저장부(311)에 저장된 일반토사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상기 제2 회전모터(210)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매우 느리게 구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200)를 정지시키거나 매우 느리게 움직이게 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2 저장부(313)로 이송되는 무기성오니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제1 회전모터(110)의 구동속도는 증가시켜 상기 제1 컨베이어(100)를 통해 제1 저장부(311)로 이송되는 무기성오니의 양을 증가시켜 빠른 시간에 상기 제1 개페부(340)도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혼합기(370)에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동시에 투입되거나 짧은 시간간격으로 각각 투입되게 하여 상기 혼합기(370)에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1 ≥ 1 부피비로 혼합될 수 있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혼합기(370)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혼합기(370) 분리층(371)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혼합기(37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379)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통(379)의 내부는 상하로 일정 간격 떨어져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분리층(371)에 의하여 복수 개의 구역(A1, A2, A3, A4, A5)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은 중앙이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회전기둥관통부(372)와 상기 제1 저장부(311)와 제2 저장부(313)에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혼합되면서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소통부(3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혼합기(370)에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중에 최하단의 분리층(371) 하측의 중앙에 일방 또는 타방으로 일정속도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혼합모터(375)가 설치되며, 하면이 상기 혼합모터(375)와 연결되어 상기 혼합모터(375)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기둥(376)을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회전기둥(376)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에 형성된 상기 회전기둥관통부(37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기둥(376)의 외면에는 외방으로 상기 분리층(371)의 반지름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377)가 구비 될 수 있는데, 상기 복수 개의 날개(377)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에 의해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원통(379)의 복수 개의 구역(A1, A2, A3, A4, A5) 내에 위치하면서 서로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어긋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둥(376)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저장부(311)와 상기 제2 저장부(313)에서 투입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를 상기 혼합기(370) 내부에서 혼합시키게 된다.
상기 소통부(373) 너비 단면의 넓이는 상기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에서 상기 혼합기의 내부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투입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상기 복수 개의 구역내에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구역내에서 체류하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통부(373)의 너비 단면의 넓이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의 상면과 하면의 넓이의 10%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혼합되어 하방으로 쏟아지는 충분한 속도를 확보하기 못하게 되어 상기 제1 저장부(311)와 제2 저장부(313)에 저장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저장속도 및 상기 혼합기(370)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의 투입속도에 영향을 주게 되어 전체적인 작업효율을 감소하게 된다.
상기 소통부(373) 너비 단면의 넓이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의 상면과 하면의 넓이의 20%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상기 혼합기(370) 내부에서 혼합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의 상면과 하면의 넓이의 10% 이상 20% 이하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혼합기(370) 내부로 투입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는 상기 소통부(373)를 통해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상기 복수 개의 구역(A1, A2, A3, A4, A5) 내에서 상기 날개(377)에 의해 혼합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중 최하단에 위치한 소통부(373)를 통해 제3 컨베이어(400)로 배출되게 되어 외부로 출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 개의 날개(377) 각각에는 상기 회전기둥(37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날개(377)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날개(377) 각각이, 상기 원통(379)의 내측면 및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혼합기(37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기둥(376)과 연결된 측면을 제외한 상기 복수 개의 날개(377) 각각의 외측면에는 마찰방지부재(3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방지부재(378)는 탄성력을 가지고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고 그 형상은 브러쉬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377) 각각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의 마찰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마찰방지부재(378)는 상기 복수 개의 날개(377) 각각이 회전함에 따라 혼합기(370)의 내면 또는 복수 개의 분리층(371)의 외면과 접촉될 때, 휘어질 수 있어 상기 혼합기(370)의 내부가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층(371) 각각의 상면 또는 혼합기(370) 내면에 묻어있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쓸어주어 상기 혼합기(370)가 가동됨에 따라 무기성오니 또는 일반토사가 혼합기(370)의 내면 또는 분리층(371)의 상면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날개(377) 각각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외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미도시, 377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돌기(미도시, 377a) 각각은 상기 날개(377)의 외방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좁아져 하방으로 경사지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돌기(미도시, 377a) 각각의 상하폭이 날개(377)의 외방으로 갈수록 좁아져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혼합기(370) 내부로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와 토사는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상기 돌기(미도시, 377a)와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혼합기(370)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는 더욱 잘 섞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는 상기 혼합기(370) 외부에 설치되어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생성하는 열풍발생기(미도시, 500), 상기 열풍발생기(미도시, 500)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의 내부로 전달하는 연결관(미도시, 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혼합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혼합기(370)의 분리층(371)의 단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연결관(미도시, 600)에 의해 전달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상기 분리층(371) 내부에 형성된 통로(371b)를 통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37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풍배출홀(374)에서는 상기 열풍발생기(미도시, 500)에 의해 생성된 고온 건조한 바람이 배출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혼합기(370) 내부의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혼합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상기 분리층(371) 상면에 구비되는 열풍배출홀(374)에서 상방으로 배출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에 의해서는 상기 분리층(371) 상면에 가라앉은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혼합기(370) 내에서 더욱 잘 섞일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되고, 상기 분리층(371) 하면에 구비되는 열풍배출홀(374)에서 하방으로 배출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은 상기 혼합기(370) 내부에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를 활발히 움직이게 하여 더욱 잘 섞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혼합기(370) 내부에 무기성오니 및 일반토사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더불어 발생시킨다.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371) 각각의 상면과 하면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374)을 통하여 상기 분리층(371) 내부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필터(371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371a)는 복수 개의 구멍이 타공되어 있는 형태로서, 복수 개의 구멍 각각의 크기는 무기성오니 및 일반토사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작게 형성되되, 상기 열풍발생기(미도시, 500)에서 생성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 컨베이어 200 : 제2 컨베이어
300 : 혼합장치 310 : 저장부
311 : 제1 저장부 313 : 제2 저장부
340 : 제1 개폐부 350 : 제2 개폐부
360 : 베이스 370 : 혼합기
400 : 제3 컨베이어

Claims (8)

  1. 일반토사를 제1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무기성오니를 제2 호퍼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1 호퍼의 일반토사에 있는 돌 및 이물질을 선별시설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시설을 이용하여 선별된 일반토사를 제1 컨베이어를 통해 혼합장치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제2 호퍼의 무기성오니를 제2 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혼합장치로 투입하는 단계;
    상기 혼합장치에 의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혼합되는 단계;
    상기 혼합장치에서 혼합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제3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단계; 및
    상기 제3 컨베이어를 통해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물이 출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와 제2 컨베이어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장치는,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일반토사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와 제2 컨베이어에서 투입되는 무기성오니가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저장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저장부에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1 개폐부;
    상기 제2 저장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저장부에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제2 개폐부;
    상측에 상기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가 위치하는 평판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설치되어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투입되어 혼합되고 배출되는 혼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분리부에 의하여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로 구분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1 개폐부의 하측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제1 투입홀과 상기 제2 개폐부의 하측에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제2 투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일반토사가 하방으로 쏟아져 상기 베이스의 제1 투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로 투입되고,
    상기 제2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무기성오니가 하방으로 쏟아져 상기 베이스의 제2 투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혼합기로 투입되고,
    상기 제1 개폐부에는 제1 무게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제2 개폐부에는 제2 무게센서가 내장되고,
    상기 제1 개폐부의 타측면에는 제1 유압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압장치가 신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는 타방 또는 일방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 개폐부의 일측면에는 제2 유압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압장치가 신장되거나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는 일방 또는 타방으로 움직이되,
    상기 제1 유압장치가 신장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제1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제1 저장부의 하측이 폐쇄되고,
    상기 제2 유압장치가 신장되어 있을 때는 상기 제2 개폐부에 의해 상기 제2 저장부의 하측이 폐쇄되고,
    상기 제1 저장부에 투입되는 일반토사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이 도달하면, 상기 제1 유압장치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는 일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제1 저장부의 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2 저장부에 투입되는 무기성오니의 무게가 미리 설정한 무게값이 도달하면, 상기 제2 유압장치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는 타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제2 저장부의 하측이 개방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는 제1 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는 제2 컨베이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회전모터에 의해 구동되되,
    상기 제1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1 저장부에 투입된 일반토사의 무게값과 상기 제2 무게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제2 저장부에 투입된 무기성오니의 무게값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모터와 제2 회전모터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원통의 내부를 일정한 높이의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는 복수 개의 분리층;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중에 최하단의 분리층 하측의 중앙에 설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혼합모터;
    하면이 상기 혼합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혼합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하는 구동력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는 회전기둥; 및
    상기 회전기둥의 외측면을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반지름의 길이만큼 외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은 중앙이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회전기둥관통부; 및
    상기 제1 저장부와 제2 저장부에서 투입되는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혼합되면서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상면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뚫려서 형성되는 소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둥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에 형성된 상기 회전기둥관통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기 복수 개의 날개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원통의 복수 개의 구역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혼합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기둥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날개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에서 투입된 일반토사와 무기성오니가 각각의 상기 복수 개의 구역 내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 외부에 설치되어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생성하는 열풍발생기; 및
    일단은 상기 열풍발생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발생기에 의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내부로 전달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열풍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고온 건조한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는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서 내부로 뚫려져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과 연결되되,
    상기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 각각은 상기 연결관에 의해 전달되는 고온 건조한 바람을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서 하방과 상방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열풍배출홀 내부로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가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복수 개의 분리층 각각의 상면과 하면의 상측에 구비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둥과 연결된 측면을 제외한 상기 복수 개의 날개 각각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마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날개 각각은 서로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어긋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KR1020200158615A 2020-11-24 2020-11-24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KR102204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15A KR102204487B1 (ko) 2020-11-24 2020-11-24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15A KR102204487B1 (ko) 2020-11-24 2020-11-24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487B1 true KR102204487B1 (ko) 2021-01-20

Family

ID=7430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615A KR102204487B1 (ko) 2020-11-24 2020-11-24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616A (ko) * 1982-10-05 1984-12-01 파울 마티스 혼합물 제조를 위한 혼합장치
KR101199631B1 (ko) * 2012-07-27 2012-12-11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충격흡수식 스크린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20200114036A (ko) * 2019-03-27 2020-10-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스크류 공급방식을 이용하는 식품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6616A (ko) * 1982-10-05 1984-12-01 파울 마티스 혼합물 제조를 위한 혼합장치
KR101199631B1 (ko) * 2012-07-27 2012-12-11 유한회사 강성산업개발 충격흡수식 스크린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20200114036A (ko) * 2019-03-27 2020-10-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스크류 공급방식을 이용하는 식품 정량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33738B1 (ko) 건설폐기물 습식 이물질 분류 장치
KR20100138730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755994B1 (ko) 재생골재 파쇄 및 재생골재 표면 입도 개선장치
KR102204487B1 (ko) 무기성오니와 일반토사의 혼합방법
KR200383357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선별장치
CN205347248U (zh) 一种建筑废弃物回收再利用生产线
KR100407539B1 (ko) 폐기물 쓰레기의 선별장치
KR100755990B1 (ko) 재생골재 파쇄 및 재생골재 표면 입도 개선장치
KR20070034559A (ko) 토사에서 모래를 분리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L188972B1 (pl) Sposób i instalacja do przetwarzania na zimno miejskich odpadów stałych i/lub osadu kanalizacyjnegodo substancji obojętnych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100115875A (ko) 건축폐기물의 유기물 제거장치
US20220388870A1 (en) Fluid collection system
KR100834710B1 (ko) 회전식 스크린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토사 처리방법 및 그장치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51838B1 (ko) 건축 폐기물의 분리장치
KR0118267Y1 (ko)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시스템(system)의 습식 선별장치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2137B1 (ko) 배합토를 포함하는 그라우트재 제조 및 시공 시스템
KR200255270Y1 (ko) 폐기물 선별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72091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