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114B1 -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 - Google Patents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114B1
KR102204114B1 KR1020200148404A KR20200148404A KR102204114B1 KR 102204114 B1 KR102204114 B1 KR 102204114B1 KR 1020200148404 A KR1020200148404 A KR 1020200148404A KR 20200148404 A KR20200148404 A KR 20200148404A KR 102204114 B1 KR102204114 B1 KR 10220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pper body
band part
pol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효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반
Priority to KR102020014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strip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0Book covers with lock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 B42F13/1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pillars, posts, rods, or tubes with clamping or locking means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에 대향하는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과 상기 하부몸체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가 삽입되어 관통됨에 따라 상기 밴드부가 체결되는 밴드체결부를 포함하는 제본용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A disposable bookbinding binder with being temporarily released}
본 발명은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 제본물을 바인딩한 상태에서 다시 해제하고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없는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일지라도, 바인딩 작업 중 제본물을 추가로 바인딩해야 하거나 이미 바인딩되고 있는 제본물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밴드부의 래칫과 밴드체결부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별도의 체결해제홀을 통하여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일회적으로 밴드체결부에서 밴드부가 일회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제본용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제본이란 낱장으로 되어 있는 인쇄물 등을 순서대로 추려서 책으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제본의 종류에는 무선 제본, 와이어링 제본, 바인더 제본 및 플라스틱링 제본 등이 있다. 주로 책 제본에 사용되는 무선 제본이나 와이어링 제본은 별도의 제본 기술이나 제본 장치가 요구되어 전문 제본소나 인쇄소에서 제본할 수 있는 방식이다.
이에 비하여 바인더 제본이나 플라스틱링 제본은 제본물을 용이하게 제본할 수 있어 일반인이 논문집이나 간단한 자료집 등을 제본할 때 사용되는 방식이다.
제본용 바인더에 관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11785호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제본용 바인더에 관한 것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하부지지대와 상하부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비되어 있는 클립부, 상부지지대의 내면에 설치되며, 래칫이 형성되어 있는 밴드부 및 하부지지대의 내면에 설치되며, 밴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과 래칫이 걸림 지지되는 폴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제본물을 제본할 수 있으며 제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본용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래칫이 형성된 밴드부 및 폴이 형성된 결속부에 의해 제본물이 바인딩됨에 따라, 일단 밴드부가 결속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되돌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제본물을 추가하거나 이미 바인딩되고 있는 제본물을 제거해야 하는 경우, 결속부에 체결된 밴드부를 절단해야 하거나, 또는 제본물의 손상을 감안하면서 제본물을 바인더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또는, 새로운 제본물을 다시 새로운 바인더로 바인딩하는 작업이 필요하는 바,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제본물을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바인딩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라 할지라도 바인딩하는 과정 중 밴드부가 밴드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체결과 해제가 가능한 것과 달리, 단지 한 번 정도로 일회적으로 체결이 해제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구비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반복적으로 체결과 해체가 가능한 정도가 아닐지라도,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에서 밴드부가 밴드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본물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경우에 대비하여 일회적으로 체결을 해제시킬 수 있는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바인더는, 상부몸체(120);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하부몸체(140); 상기 상부몸체(120)의 타단과 상기 하부몸체(14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몸체(130);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부(200); 및 상기 밴드부(200)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몸체(140)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200)가 삽입되어 관통됨에 따라 상기 밴드부(200)가 체결되는 밴드체결부(300)를 포함하는 제본용 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200)는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220)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체결부(300)는, 상기 하부몸체(140)가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수평면(320); 상기 하부몸체(140)가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몸체(130)에 대향하는 내측수직면(340); 상기 수평면(320)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325); 상기 내측수직면(340)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25)로 삽입된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이 상기 밴드체결부(300)의 내측을 거친 후 상기 밴드체결부(3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이 관통되는 배출홀(345); 및 상기 배출홀(345)에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래칫(220)이 걸려 지지되는 폴(370)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된 상태의 상기 밴드부(200)에서, 상기 래칫(220)은 상기 연결몸체(130)로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밴드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370)은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홀(325)은 상기 상부몸체(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홀(345)은 상기 연결몸체(13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370)은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체(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위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체결부(300)는, 상기 하부몸체(140)가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몸체(130)에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측수직면(360); 및 상기 외측수직면(360)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홀(345)과 직선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해제홀(3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 중 상기 밴드체결부(3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면적의 홈(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 중 상기 밴드체결부(3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면적으로 상기 홈(144)의 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폴지지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370)이 상기 폴지지대(142)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해제홀(365)을 통하여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폴지지대(142)의 일단이 상기 홈(144)의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370)이 상기 폴지지대(14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폴지지대(142)에 결합된 부분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부(200)에서, 상기 밴드부(200)에 형성된 래칫(220)의 톱니들 간의 간격은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밴드부(200)는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밴드부(200)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본물홀커버(1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된 상기 제본물홀커버(122)의 연장 길이는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된 상기 밴드부(200)의 연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밴드부가 밴드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일정한 도구를 이용하여 폴을 기울일 수 있고, 폴이 한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래칫이 폴에서 벗어나면서 체결이 해제되는 바, 밴드체결부에서 밴드부를 일회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본물을 바인딩하는 과정 중 일회적으로나마 제본물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바인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바인더에서 밴드부가 밴드체결부에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바인더에서 밴드체결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밴드부와 밴드체결부의 체결과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바인더에서 제본물에 형성된 홀을 커버하는 제본물홀커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바인더는 상부몸체(120),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하부몸체(140), 상부몸체(120)의 타단과 하부몸체(14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몸체(130), 밴드부(200) 및 밴드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상부몸체(120) 및 하부몸체(140)는 일정한 면적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40)가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제본물에서 제본물홀이 형성된 부분의 일단이 상부몸체(120) 및 하부몸체(140)의 사이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부몸체(120) 및 하부몸체(140)는 연결몸체(130)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의 타단에 연결몸체(130)가 연결된 상태에서, 밴드부(200) 및 제본물홀커버(122)가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밴드부(20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밴드부(200)와 밴드부(2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본물홀커버(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120)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밴드부(200)의 일단이 하부몸체(140)에 형성된 밴드체결부(300)에 삽입되고 배출됨에 따라,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된다.
제본물에는 바인딩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이러한 다수의 홀 중 일부 홀로 밴드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바인딩됨에 따라 밴드부(200)가 삽입되지 않는 다수의 홀이 방치된다. 이에 따라, 이렇게 방치된 다수의 홀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서는 제본물의 심미감이 떨어지는 바, 이러한 방치된 다수의 홀의 커버하는 제본물홀커버(122)가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밴드부(200)가 연장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제본물홀커버(122)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200)는 제본물의 두께를 거쳐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되기에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필요가 있지만, 제본물홀커버(122)는 단순히 상부몸체(120)의 일단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제본물의 홀을 커버하면 되기에, 그 연장 길이는 밴드부(200)의 연장길이보다 훨씬 짧을 수 있다.
밴드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밴드부(200)의 연장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고, 밴드부(200)의 폭은 후술할 밴드체결부(300)에 형성된 삽입홀(325) 및 배출홀(345)로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을 정도의 폭임은 당연하다.
밴드부(200)의 외측면에는 래칫(220)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200)가 이동되면서 이러한 래칫(220)이 후술할 배출홀(345)에 형성된 폴(370)에 걸리면서 밴드부(200)가 한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된 상태의 밴드부(200)에서, 이러한 래칫(220)은 연결몸체(130)로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밴드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밴드체결부(300)로부터 밴드부(200)의 일회적인 해제를 위하여, 후술할 체결해제홀(365)로 관통되는 일정한 도구(T)에 의해 폴(370)이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이에 따라 래칫(220)이 폴(370)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220)에서, 톱니들의 간격은 밴드부(200)의 일단에서 상부몸체(120)의 일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200)가 제본물에 형성된 홀을 거쳐 밴드체결부(300)로 삽입되고 배출되어 체결됨에 있어서, 밴드부(200)에서 밴드체결부(300)에 삽입되는 시작지점인 밴드부(200)의 일단 부분이 적어도 삽입홀(325)과 배출홀(345)을 거쳐야만 제본물 바인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밴드부(200)의 이동속도를 증대시키면서 폴(370)에 걸리는 횟수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폴(370)에 걸리는 래칫(220)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반면, 상부몸체(120)의 일단 쪽에서는 래칫(220)의 톱니들의 간격이 좁은 상태에서 촘촘히 형성되어야 조금씩만 이동되더라도 촘촘한 톱니들이 이동될 때마다 폴에 걸려, 제본물의 두께에 따라 체결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밴드체결부(300)는 하부몸체(140)에 형성되되, 하부몸체(140)가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부몸체(120)에서 연장된 밴드부(200)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부몸체(140)의 내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 삽입되고 관통됨에 따라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된다. 밴드부(200)의 래칫(220)과 배출홀(345)에 형성된 폴(370)에 의해 밴드부(200)가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체결부(300)는 수평면(320), 수평면(320)에 형성된 삽입홀(325), 내측수직면(340), 내측수직면(340)에 형성된 배출홀(345), 외측수직면(360). 외측수직면(360)에 형성된 체결해제홀(365) 및 폴(37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면(320)은, 하부몸체(140)가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면(320)에 밴드부(2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325)이 형성된다. 즉, 삽입홀(325)은 상부몸체(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바, 하부몸체(140)가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로 형성된 삽입홀(325)로 밴드부(200)의 일단이 삽입된다.
내측수직면(340)은 수평면(320)의 일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면적과 길이로 형성되는데, 하부몸체(140)가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연결몸체(130)에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배출홀(345)은 내측수직면(340)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325)로 삽입된 밴드부(200)의 일단이 밴드체결부(300)의 내측을 거친 후 밴드체결부(3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밴드부(200)의 일단이 이러한 배출홀(345)로 관통된다. 즉, 배출홀(345)이 연결몸체(13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바, 밴드부(200)가 수평면(320)에 형성된 삽입홀(325)로 삽입되고, 밴드체결부(300)의 내측을 거쳐 내측수직면(340)에 형성된 배출홀(300)로 관통되면서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된다.
폴(370)은 배출홀(345)에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되, 밴드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220)이 걸려 지지되도록 위치된다. 래칫(220)이 밴드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바, 하부몸체(140)가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폴(370)은 하부몸체(14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부몸체(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위로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외측수직면(360)은, 하부몸체(140)가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수평면(320)의 타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한 면적과 길이로 형성되는데, 연결몸체(130)에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해제홀(365)은 외측수직면(360)에 형성되되, 배출홀(345)과 직선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해제홀(365)과 배출홀(345)은 직선방향으로 연통되고, 삽입홀(325)는 체결해제홀(365)과 배출홀(345)이 연통되는 직선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하부몸체(140)의 내측면 중 밴드체결부(3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면적의 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140)의 내측면 중 밴드체결부(3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면적으로 상기 홈(144)의 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폴지지대(14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폴(370)이 폴지지대(142)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해제홀(365)을 통하여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폴지지대(142)의 타단이 홈(144)의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폴지지대(142)가 홈(144)의 내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폴지지대(142)에 형성된 폴(370)도 폴지지대(142)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폴(370)에 걸렸던 래칫(220)의 걸림이 해제되고, 밴드부(200)는 전진이동뿐만 아니라 일회적이나마 후진이동이 가능하여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제본물을 추가하거나 제거한 후 다시 밴드부(200)를 삽입홀(325), 밴드체결부(300)의 내측 및 배출홀(345)을 거치면서 밴드부(200)가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는 래칫(220)이 폴(370)에 걸려 전진이동만 가능한 상태이나, 도 5는, 일정한 도구(T)가 체결해제홀(365)을 거쳐 유입되면서 폴(370) 또는 폴지지대(142)에 압력을 가하면, 폴지지대(142)가 홈(144)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고, 이때 래칫(220)이 기울어진 폴(370)에 걸리지 않아 밴드부(200)가 후진이동이 가능한 상태을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에서 일정한 도구(T)가 체결해제홀(365)을 거쳐 폴(370) 또는 폴지지대(142)에 접촉할 수 있는데, 폴(370)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는 경우, 용이하게 압력이 가해지도록 폴(370)의 아래부분의 면적이 넓을 필요가 있다. 즉, 폴(370)이 폴지지대(14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폴지지대(142)에 결합된 부분에서 위의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일정한 도구(T)가 폴(370)의 접촉되어 압력을 가함에 따라, 그 압력이 폴지지대(142)까지 전달되어 폴지지대(142)가 용이하게 홈(144)의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0: 상부몸체 122: 제본물홀커버
130: 연결몸체
140: 하부몸체 142: 폴지지대 144: 홈
200: 밴드부 220: 래칫
300: 밴드체결부
320; 수평면 325: 삽입홀
340: 내측수직면 345: 배출홀
360: 외측수직면 365: 체결해제홀
370: 폴

Claims (5)

  1. 상부몸체(120);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하부몸체(140); 상기 상부몸체(120)의 타단과 상기 하부몸체(14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몸체(130);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밴드부(200); 및 상기 밴드부(200)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몸체(140)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200)가 삽입되어 관통됨에 따라 상기 밴드부(200)가 체결되는 밴드체결부(300)를 포함하는 제본용 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200)는 외측면에 형성된 래칫(220)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체결부(300)는,
    상기 하부몸체(140)가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수평면(320);
    상기 하부몸체(140)가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몸체(130)에 대향하는 내측수직면(340);
    상기 수평면(320)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홀(325);
    상기 내측수직면(340)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25)로 삽입된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이 상기 밴드체결부(300)의 내측을 거친 후 상기 밴드체결부(30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이 관통되는 배출홀(345);
    상기 배출홀(345)에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래칫(220)이 걸려 지지되는 폴(370);
    상기 하부몸체(140)가 상기 상부몸체(12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몸체(130)에 대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측수직면(360); 및
    상기 외측수직면(360)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홀(345)과 직선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해제홀(365)을 포함하며,
    상기 밴드체결부(300)에 체결된 상태의 상기 밴드부(200)에서, 상기 래칫(220)은 상기 연결몸체(130)로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밴드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370)은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본용 바인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325)은 상기 상부몸체(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홀(345)은 상기 연결몸체(13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370)은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몸체(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위로 돌출되어 위치되는 제본용 바인더.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 중 상기 밴드체결부(3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면적의 홈(1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140)의 내측면 중 상기 밴드체결부(30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일정한 면적으로 상기 홈(144)의 위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폴지지대(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폴(370)이 상기 폴지지대(142)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해제홀(365)을 통하여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폴지지대(142)의 일단이 상기 홈(144)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제본용 바인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370)이 상기 폴지지대(14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폴지지대(142)에 결합된 부분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부(200)에서, 상기 밴드부(200)에 형성된 래칫(220)의 톱니들 간의 간격은 상기 밴드부(200)의 일단에서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 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밴드부(200)는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밴드부(200)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본물홀커버(1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된 상기 제본물홀커버(122)의 연장 길이는 상기 상부몸체(120)의 일단에서 연장된 상기 밴드부(200)의 연장 길이보다 짧은 제본용 바인더.

KR1020200148404A 2020-11-09 2020-11-09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 KR10220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04A KR102204114B1 (ko) 2020-11-09 2020-11-09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04A KR102204114B1 (ko) 2020-11-09 2020-11-09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114B1 true KR102204114B1 (ko) 2021-01-18

Family

ID=7423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404A KR102204114B1 (ko) 2020-11-09 2020-11-09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1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507U (ko) * 1996-02-17 1997-09-08 클립고정기능을 갖는 밴드
KR101211785B1 (ko) * 2012-06-23 2012-12-12 박성호 제본용 바인더
KR20150115496A (ko) * 2014-04-04 2015-10-14 박성호 제본용 바인더
KR20170133981A (ko) * 2016-05-27 2017-12-06 유병남 케이블 타이
KR20180085886A (ko) * 2017-01-20 2018-07-30 우종원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507U (ko) * 1996-02-17 1997-09-08 클립고정기능을 갖는 밴드
KR101211785B1 (ko) * 2012-06-23 2012-12-12 박성호 제본용 바인더
KR20150115496A (ko) * 2014-04-04 2015-10-14 박성호 제본용 바인더
KR20170133981A (ko) * 2016-05-27 2017-12-06 유병남 케이블 타이
KR20180085886A (ko) * 2017-01-20 2018-07-30 우종원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9994D1 (de) Vorrichtung zum verstärken einer klammerlinie
KR102204114B1 (ko) 일회적 해제가 가능한 일회용 제본용 바인더
PT1035950E (pt) Maquna para assentar um elemento de fixacao numa base de assentamento e utilizacao dessa maquina
EP1726453A1 (en) Back plate for ring binder, and file cover
DE60113314D1 (de) Vorrichtung zum Fixieren/Lösen von auf einer Trägerplatte befindlichen Verbindern, welche Kabelverbinder tragen, die mit Hilfe von Schiebern betätigt werden
US63285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rinted products
ATE50204T1 (de) Heftstreifen.
ATE512804T1 (de) Verfahren zum biegen von drahtkammbindeelementen
KR200450671Y1 (ko) 바인더용 클립
KR102218108B1 (ko)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WO2006033212A1 (ja) 環状ワークの切り出し装置
KR101211785B1 (ko) 제본용 바인더
JP3110476U (ja) カレンダ
JP2001293987A (ja) ファイル綴じ具の通し穴の側縁部を切り欠き、綴じ具の着脱を容易にしたファイル。
DE69911256D1 (de) Vorrichtung zum herausziehen von klammern
ID26324A (id) Metode dan peralatan untuk pencetakan ekstrusi dari bahan-bahan cetak resin berlubang
JPH0958171A (ja) ファイル
FI58667C (fi) Anordning foer fjaedrande fasthaollning av en rael vid ett underlag
JP2003341270A (ja) ファイル文具
KR20040015841A (ko) 서류철
JP3610159B2 (ja) ファイル
JPH0630469Y2 (ja) 綴じ込みファイル装置
JP2005305928A (ja) 綴り具
JPH0261258A (ja) スリーブ取付用具
EP1317396A1 (en) Sign device for horse carri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