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108B1 -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108B1
KR102218108B1 KR1020190044125A KR20190044125A KR102218108B1 KR 102218108 B1 KR102218108 B1 KR 102218108B1 KR 1020190044125 A KR1020190044125 A KR 1020190044125A KR 20190044125 A KR20190044125 A KR 20190044125A KR 102218108 B1 KR102218108 B1 KR 102218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press
documents
bind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503A (ko
Inventor
도호준
Original Assignee
도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준 filed Critical 도호준
Priority to KR102019004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10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로마주보도록 형성된 엠보돌기(4) 내측으로 버(burr)가 형성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압입침투면(100)이 형성되되, 상기 서류(1)뭉치의 전후면에 서류커버(6)가 대응된 일측 단부가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어 압축바인더기에 의해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압축편(3)을 서류(1) 뭉치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에서 장공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버(burr)에 의해 1차 침투고정되고, 상기 압입침투면(100)에 의해 상기 서류커버(6)와 상기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측으로 상기 압입침투면(100)의 장공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서류커버(6)를 관통하면서 서류표면으로 침투하여 압입고정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단일 서류의 이탈을 방지되는 효과와 함께 표지를 서류와 함께 가압고정함에 따라 한 번의 압입공정으로 서류 제본이 완성되어 빠른 시간에 제본이 가능하고, 표지가 바인더 내측에 서류와 함께 구성됨에 따라 바인더에 테이핑 처리 등의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없이 깔끔한 제본 품질을 달성할 수 있는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본용 표지결합구조{Cover binding structure for bookbinding}
본 발명은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낱장으로 출력된 다수의 서류를 하나의 묶음으로 제본하도록 하여 서류의 보관 및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고, 제본된 서류가 밀착침투하여 낱장의 서류가 빠짐없이 안전하게 보관 및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며, 서류를 묶음으로 압입하는 과정에서 서류의 밀림으로 인한 서류의 불규칙한 묶음으로의 제본으로 인한 제본불량을 최소화하고, 별도의 서류제본 마감공정없이 압입공정만으로 서류제본이 완성될 수 있는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서류를 하나의 묶음으로 제본하기 위한 표지결합구조는 서류를 철하기 위하여 서류뭉치의 상단에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여 별도의 철끈 등으로 묶거나, 또는 스탬플러(호치캐스)를 이용하여 서류의 소정부위를 스탬플 양단이 관통된 후 상기 스탬플의 양단은 스탬플러에 의해 눌려 굽혀져 서류의 밑면에 밀착되어 상기 서류를 결합고정하여 제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철끈 또는 스탬플 등에 의해 철하여 고정되는 서류는, 스탬플에 고정된 제본 서류의 밑장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가게 되어, 제본 서류의 고정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189451호에 의하면, 제본된 서류뭉치의 상단에 박힌 스탬플을 은폐 시키도록, 상기 스태플이 고정되는 서류뭉치의 윗부분과 밑지부분을 윗지 부착부와 밑지 부착부 및 일측단면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접착시트인 서류 보호지를 이용하여 부착 시킴으로써, 서류가 낱장으로 뜯어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서류 보호지에 일면이 부착된 제본 서류는 스탬플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서류가 낱장으로 뜯어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류 보호지는 단순히 제본된 서류뭉치의 상단에 박힌 스태플을 은폐시키기 위하여 접착시트를 부착하는 것으로, 외부의 수분 및 충격 등에 의해 서류가 쉽게 파손이 발생하게 되어, 서류를 제대로 보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본된 서류를 고정하는 서류 보호대 고정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68697호에 알려져 있다. 이는 일측면의 폭이 좁게 개방된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보호면 형성되어 양측으로 커버지가 부착되는 서류 보호대의 내부에 비교적 얇은 서류 두께의 서류 일단부를 상기 보호면의 폭이 좁게 개방된 부위에 삽입하며, 상기 보호면의 외측에는 고정쇠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고, 이때 상기 서류 보호대와 보호면 사이의 접이부 상,하에 각각 2군데의 구멍을 형성하여, 그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쇠의 내측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가 상기 접이부 상하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쇠와 보호면이 서류 두께와 관계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서류 보호대의 고정을 위하여 보호면의 외측에 별도의 고정쇠를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비경제적이 단점이 있음은 물론, 특히 서류 보호대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보호면 내부에 일측면이 결합되는 서류는 상기 보호면의 상,하측 구멍을 통해 관통되는 금속제 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관계로, 상기 보호면이 내삽되어 고정되는 서류의 일면이 금속제 돌기에 의해 손상이 쉽게 발생하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제본 서류들이 상기 보호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바인더를 통한 제본은 크게 스프링식, 열접착식, 가압식으로 서류를 제본하고 있다. 즉, 앞서 언급한 철끈이나 스템플러는 간단히 서류를 철하는 형식이고, 그 다음으로 설명한 사다리꼴 형상의 서류보호대 역시 간단한 서류를 철하여 제출하는 형식에 적용된 사례이다.
하지만, 상기 스프링식, 열접착식, 가압식은 비교적 많은 서류의 양을 제본하고자 개시한 것으로, 적은 수량의 서류에서 많은 수량의 서류까지 제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본 방식에서 첫째로 스프링식 제본 방식은 서류 뭉치의 측면에다수의 천공을 형성한 후, 스프링을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제본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의 두께로 인해 서류뭉치가 원래의 두께보다는 두꺼워진다는 단점과 함께 스프링에 의해 제본된 서류의 모서리측에 표시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둘째로 열접착식 제본 방식은 "┗┛" 형상의 바인더 내측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서류뭉치의 모서리측을 도포된 접착제에 대응한 후, 열선에 의해 가열된 바인더기를 통해 접착제를 녹여 서류가 제본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열접착식의 경우 접착불량으로 인하여 서류 뭉치로부터 단일 서류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고, 접착제가 과도하게 도포되어 있을 경우에는 접착제가 흘러 제본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접착제를 녹여야 하는 시간만큼 제본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로 가압식 제본 방식은 열접착식과 유사한 형태의 "┗┛" 바인더에 서류를 끼워넣고, 바인더에 상향으로 기립된 압축편이 서류측으로 가압되면서 서류가 하나의 뭉치로 제본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가압식 제본 방식은 빠른 제본이 가능하고, 접착제 등의 누출 발생이 없어 제본이 깔끔하게 형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역시도 가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단일 서류의 이탈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상기 세번째의 가압식 제본 방식은 빠른 제본과 제본의 품질우수성으로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이와 같은 가압식 제본방식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시된 것으로, 바인더의 압축편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엠보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단일 서류의 이탈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엠보돌기가 서류의 모서리측 표면을 압축편의 닿아 가압되는 면보다 좀더 깊이 가압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걸림턱과 같은 형태의 점접촉을 통해 단일 서류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도 엠보돌기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서류면과 점접촉하고 있는 관계로 인해 단일 서류의 이탈이 종전보다는 덜하지만 이탈되는 문제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 숙제로 남아 있는 단일 서류의 이탈방지를 위해 최근 개시되고 있는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6182호, 등록일자 2018년 4월 5일, 제본서류 고정용 서류 보호대에는 엠보돌기(압입돌기)측에 실리콘 고무시트가 적측도포되어 서류 표면과의 마찰력을 증대하여 단일 서류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역시도 단순히 실리콘 고무시트 층을 하나 더 구성한 것일 뿐 단일 시트의 이탈방지는 종종 발생되고 이로 인한 서류의 누락으로 인해 다시 서류를 제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남아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68697호, 공개일자 1999년 9월 6일.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6667호, 등록일자 2006년 9월 8일.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182호, 등록일자 2018년 4월 5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 바인더의 압축편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엠보돌기의 마주보는 내측으로 장공으로 천공하고, 천공된 장공 주연을 따라 버(burr)가 형성되도록 하여 일차로 버(burr)가 서류 압입과정에서 서류 표면을 뚫고 침투하고, 2차로 장공의 주연의 압입침투면에 의해 서류표면의 장공 형상으로 압입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서류뭉치간의 버(burr)에 의한 결속강화 및 장공 주연의 압입침투면에 의한 침투압입에 의한 걸림을 통한 단일 서류의 이탈을 방지되도록 형성된 제본용 표지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지를 서류와 함께 가압고정함에 따라 한 번의 압입공정으로 서류 제본이 완성되어 빠른 시간에 제본이 가능하고, 표지가 바인더 내측에 서류와 함께 구성됨에 따라 바인더에 테이핑 처리 등의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없이 깔끔한 제본 품질을 달성할 수 있는 제본용 표지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는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서류 삽입홈(2)이 형성되고, 상기 서류 삽입홈(2)의 좌우 양측으로 상향 기립된 압축편(3)이 형성되어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는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측으로 압축편(3)을 압입하여 고정되도록 다수의 엠보돌기(4)가 돌출 형성된 "┗┛" 형상의 서류 바인더(5)와, 서류(1)뭉치의 전후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서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서류커버(6)를 포함하는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로마주보도록 형성된 엠보돌기(4) 내측으로 버(burr)가 형성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압입침투면(100)이 형성되되, 상기 서류(1)뭉치의 전후면에 서류커버(6)가 대응된 일측 단부가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어 압축바인더기에 의해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압축편(3)을 서류(1) 뭉치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에서 장공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버(burr)에 의해 1차 침투고정되고, 상기 압입침투면(100)에 의해 상기 서류커버(6)와 상기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측으로 상기 압입침투면(100)의 장공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서류커버(6)를 관통하면서 서류표면으로 침투하여 압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장공 형상의 압입침투면(100)은 원형으로 천공되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 바인더의 압축편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엠보돌기의 마주보는 내측으로 장공으로 천공하고, 천공된 장공 주연을 따라 버(burr)가 형성되도록 하여 일차로 버(burr)가 서류 압입과정에서 서류 표면을 뚫고 침투하고, 2차로 장공의 주연의 압입침투면에 의해 서류표면의 장공 형상으로 압입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서류뭉치간의 버(burr)에 의한 결속강화 및 장공 주연의 압입침투면에 의한 침투압입에 의한 걸림을 통한 단일 서류의 이탈을 방지되는 효과와 함께 표지를 서류와 함께 가압고정함에 따라 한 번의 압입공정으로 서류 제본이 완성되어 빠른 시간에 제본이 가능하고, 표지가 바인더 내측에 서류와 함께 구성됨에 따라 바인더에 테이핑 처리 등의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없이 깔끔한 제본 품질을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며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압입과정을 통해 서류가 제본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며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압입과정을 통해 서류가 제본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는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서류 삽입홈(2)이 형성되고, 상기 서류 삽입홈(2)의 좌우 양측으로 상향 기립된 압축편(3)이 형성되어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는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측으로 압축편(3)을 압입하여 고정되도록 다수의 엠보돌기(4)가 돌출 형성된 "┗┛" 형상의 서류 바인더(5)와, 서류(1)뭉치의 전후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서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서류커버(6)를 포함하는 통상의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단일 서류의 이탈방지와 제본 결합력의 강화 및 제본 시간 단축을 통한 업부효율 증대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로마주보도록 형성된 엠보돌기(4) 내측으로 버(burr)가 형성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압입침투면(1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burr)는 천공과정에서 천공되는 방향으로 재질의 연성에 의해 깨끗하게 절단되지 않고 늘어난 띠 모양의 돌출된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버(burr)에 의해 서류의 표면과의 마찰력 증대 및 버(burr)의 서류 표면의 침투 고정에 의한 서류의 제본과정에서의 틀어짐 방지가 가능하다.
즉, 상기 압입침투면(100)을 형성하기 위해 생성되는 상기 버(burr)에 의해 서류 뭉치를 가지런히 압축바인더기를 통해 가압시, 서류 뭉치의 일측 단부가 가지런히 정리된 상태에서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고, 좌우측의 압축편(3)이 서류 표면에 대응되면서 가압시, 서류와 서류가 슬립이 발생되면서 유동되어 최초 삽입홈에 가지런히 삽입된 서류 뭉치의 일부가 슬립으로 인해 비뚤어지는 현상을 상기 버(burr)가 마찰력 증대 및 서류 표면 침투를 통해 가압에 따른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본 품질 향상을 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버(burr)의 형성을 위한 압입침투면(100)은 종래 원호상의 엠보돌기의 돌출된 중앙측으로 형성된다. 종래 원호상의 엠보돌기는 점 접촉으로 인해 서류 표면과의 슬립현상이 발생되어 단일 서류의 이탈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한 서류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다. 즉, 상기 엠보돌기만으로 압입구성된 제본 서류는 서류 일부가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본원 발명에 따른 압입침투면(100)을 통해 점 접촉에서 장공 형태의 선접촉으로 접촉면적이 늘어남과 함께 서류 표면으로 침투될 수 있게 구성됨에 따라 단일 서류의 이탈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는 통상의 엠보돌기가 구성된 "┗┛" 형상의 서류 바인더(5)에 버(burr)를 형성한 압입침투면(100)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류(1)뭉치의 전후면에 서류커버(6)가 대응된 일측 단부가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어 압축바인더기에 의해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압축편(3)을 서류(1) 뭉치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에서 장공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버(burr)에 의해 1차 침투고정되면서 압입과정의 가압력에 의한 서류간의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제본 품질 향상을 달성할 수 있고, 상기 압입침투면(100)에 의한 선 접촉을 통한 서류와의 접촉면적 확대를 통한 슬립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단일 서류의 이탈방지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서류커버(6)와 상기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측으로 상기 압입침투면(100)의 장공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서류커버(6)를 관통하면서 서류표면으로 침투하여 압입고정되어 서류 뭉치와 서류커버의 결속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종래에는 커버 내측에 "┗┛" 형상의 바인더가 접착결합되어 있어 압입과정에서 서류커버(6)의 손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제본 품질 저하가 초래되었지만 본원 발명은 서류 커버가 서류 뭉치와 단일체로 결합하여 서류 바인더(5)에 결합함에 따라 서류커버(6)의 손상이 없고, 이를 통해 제본 품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서류 커버가 서류 바인더 외측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서류커버 내측으로 서류 바인더의 좌우측에 기립형성된 압축편의 두께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어 서류를 서류 바인더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압축편의 두께의 의한 단차부분에 걸림현상으로 인해 가지런히 정리된 서류 뭉치의 서류간 슬립으로 인해 삽입홈 내부에 서류의 끼움이 불편하였지만 본원 발명과 가이 서류커버와 서류뭉치를 일체로 대응시켜 서류 바인더의 삽입홈에 끼움결합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여 제본 작업의 보다 용이해진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제본 시간의 단축을 가져옴에 따른 업무효율 증대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장공 형상의 압입침투면(100)은 원형으로 천공되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장공 형상의 압입침투면은 천공을 통해 마치 칼날과 같은 면을 이룸에 따라 서류 뭉치의 표면에 침투가 용이한 것이다. 이에 다양한 형상으로 압입침투면(100)의 형성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원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류 뭉치의 사면이 일치하도록 가지런히 정리하고, 서류 뭉치의 전후면에 대등되는 서류커버(6)를 대응하여 서류(1) 뭉치와 서류 커버(6)가 서로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후, 압축바인더기에 버(burr)가 형성된 압입침투면(100)이 엠보돌기(4)의 돌출된 일단측으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서류 바인더(5)를 결합하고, 압축바인더기에 결합된 서류 바인더(5)의 서류 삽입홈(2)에 서류커버(6)와 서류(1)뭉치가 일체로 대응된 일측을 삽입결합한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바인더기에 의해 서류 바인더(5)의 서류 삽입홈(2) 좌우측에 형성된 압축편(3)을 서류 뭉치 전후면에 결합된 서류 커버(6)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가압에 따라 압입침투면(100)을 형성하기 위해 천공된 압입침투면 외주연에 늘어나 돌출형성된 버(burr)가 서류 표면을 침투하면서 가압에 의한 서류간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1차 고정된다.
다음으로, 계속해서 압축편(3)이 가압되면서 엠보돌기(4)의 돌출된 끝단측에 천공형성된 압입침투면(100)이 칼날과 같이 서류 표면을 장공 형태로 침투하면서 가압한다. 이후, 가압이 일정시간 완료되면 버(burr)와 압입침투면(100)이 서류커버와 서류 뭉치의 일측면을 관통절단하면서 압입고정되어 단일 서류의 이탈없이 서류 제본이 완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본용 표지결합구조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버(burr)와 압입침투면(100)에 의해 1차 침투고정, 2차 침투절단고정 및 선형접촉을 통한 마찰력증대를 통해 제본 품질 향상과 단일 서류 이탈방지 및 제본의 테이핑 작업 등에 따른 후공정 불필요를 통한 공정시간 단축과 업무효율 증대가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서류 2 : 서류 삽입홈
3 : 압축편 4 : 엠보돌기
5 : 서류 바인더 6 : 서류커버
100 : 압입침투면

Claims (2)

  1.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서류 삽입홈(2)이 형성되고, 상기 서류 삽입홈(2)의 좌우 양측으로 상향 기립된 압축편(3)이 형성되어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는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측으로 압축편(3)을 압입하여 고정되도록 다수의 엠보돌기(4)가 돌출 형성된 "┗┛" 형상의 서류 바인더(5)와, 서류(1)뭉치의 전후면을 보호하도록 상기 서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서류커버(6)를 포함하는 제본용 표지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로마주보도록 형성된 엠보돌기(4) 내측으로 버(burr)가 형성되도록 장공으로 천공된 압입침투면(100)이 형성되되, 상기 서류(1)뭉치의 전후면에 서류커버(6)가 대응된 일측 단부가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서류 삽입홈(2)에 삽입되어 압축바인더기에 의해 상기 서류 바인더(5)의 압축편(3)을 서류(1) 뭉치측으로 압입하는 과정에서 장공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는 버(burr)에 의해 1차 침투고정되고, 상기 압입침투면(100)에 의해 상기 서류커버(6)와 상기 서류(1)뭉치의 일측 단부측으로 상기 압입침투면(100)의 장공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서류커버(6)를 관통하면서 서류표면으로 침투하여 압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 형상의 압입침투면(100)은 원형으로 천공되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KR1020190044125A 2019-04-16 2019-04-16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KR102218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25A KR102218108B1 (ko) 2019-04-16 2019-04-16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25A KR102218108B1 (ko) 2019-04-16 2019-04-16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03A KR20200121503A (ko) 2020-10-26
KR102218108B1 true KR102218108B1 (ko) 2021-02-19

Family

ID=7300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125A KR102218108B1 (ko) 2019-04-16 2019-04-16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896A (ko) 2020-09-21 2022-03-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글라스 런 슬립코팅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82Y1 (ko) * 2017-05-11 2018-04-11 서병철 제본서류 고정용 서류 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7Y1 (ko) * 1998-07-24 2000-11-01 김영광 링 바인더식 앨범 액자
KR19990068697A (ko) 1999-06-11 1999-09-06 권영진 서류보호대를고정하기위한방법
US6467984B1 (en) * 2000-03-31 2002-10-22 World Wide Stationery Mfg. Co., Ltd. Ring binder having actuating lever with cushion member
KR200426667Y1 (ko) 2006-06-30 2006-09-19 카피어랜드 주식회사 제본용 커버 구조
KR200443964Y1 (ko) * 2008-09-30 2009-03-30 조경륜 내용물 처짐 방지용 바인더
KR20110007368U (ko) * 2010-01-18 2011-07-26 이명섭 바인더
KR101841338B1 (ko) * 2016-03-02 2018-05-04 최중경 사무용 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82Y1 (ko) * 2017-05-11 2018-04-11 서병철 제본서류 고정용 서류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03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108B1 (ko) 제본용 표지결합구조
US9751354B2 (en) Binding method
EP0171471B1 (en) Desk clamping device (decollator) for tearing off paper strip side edges
US4749427A (en) Method of binding and reinforcing loose leaf sheets
JP2007185818A (ja) 綴じ具並びに綴じ機構
RU2747949C1 (ru) Переплетная папка для переплета листов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переплетной папки
JP4305094B2 (ja) ファイル
KR200486182Y1 (ko) 제본서류 고정용 서류 보호대
JP4305350B2 (ja) 紙葉類積層体の製造方法
JP3701659B2 (ja) シート状素材構造体
JP3144120U (ja) タックインデックス
KR200476166Y1 (ko) 바인더용 속지
JPS6130872Y2 (ko)
KR200180542Y1 (ko) 두께조절기능을 갖는 접착식 북 커버
GB2279914A (en) Preparing documents for binding or filing.
US6139064A (en) Folder for documents
KR200280201Y1 (ko) 문서의 제본 구조
KR20100021825A (ko) 다이어리용 책갈피 끈 고정구
KR20220000940U (ko) 제본 명함
KR930002186Y1 (ko) 내면 부착식 책철이 설치된 파일
JPH0320146Y2 (ko)
WO2023148590A1 (en) Case for binding a bundle of leaves or the like
JP4304126B2 (ja) ファイル類
JP3066626U (ja) 紙片用ファイル枠とこのファイル枠を用いたファイル帳
KR200283127Y1 (ko) 제본구조를 갖는 문서 커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