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02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020B1
KR102204020B1 KR1020190095626A KR20190095626A KR102204020B1 KR 102204020 B1 KR102204020 B1 KR 102204020B1 KR 1020190095626 A KR1020190095626 A KR 1020190095626A KR 20190095626 A KR20190095626 A KR 20190095626A KR 102204020 B1 KR102204020 B1 KR 10220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time
serving
request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230A (ko
Inventor
유수안 구오
신시 차이
리차드 리치 쿠오
멍휘 오우
Original Assignee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9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법 및 장치가 UE의 관점으로부터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설정은 상기 UE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구성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된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6년 12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No. 62/433,444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향유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개시된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편입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 개시는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련되며, 그리고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로의 많은 양의 데이터를 그리고 그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요청에서의 빠른 상승과 함께, 전통적인 모바일 음성 통신 네트워크들이 인터넷 프로토콜 (IP) 데이터 패킷들을 전달하는 네트워크들에 결부되고 있다. 그런 IP 패킷 통신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자들에게 IP를 통한 음성,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및 온-디맨드 통신 서비스들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구조는 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E-UTRAN 시스템은 상기 언급된 IP를 토한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실현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할 수 있다. 차세대 (예를 들면, 5G)를 위한 새로운 라디오 기술은 3GPP 표준 조직에 의해 현재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3GPP 표준의 현재의 본문이 현재 제출되고 있으며 그리고 3GPP 표준을 전개하고 마무리하기 위해 고려된다.
UE (User Equipment, 사용자 장비)의 관점으로부터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설정은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UE가 빔 관리를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상기 설정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도면을 보여준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기 시스템 (액세스 네트워크로도 알려짐) 및 수신기 시스템 (사용자 장비 또는 UE로도 또한 알려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3GPP R2-162709의 도 1을 재현한 것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의 네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속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의 세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8은 TS 5G.213 v1.9의 테이블 5.2-1의 재현이다.
도 9는 TS 5G.213 v1.9의 테이블 5.2-2의 재현이다.
도 10은 TS 5G.213 v1.9의 테이블 5.2-3의 재현이다.
도 11은 TS 5G.213 v1.9의 테이블 8.3.3.1-1의 재현이다.
도 12는 TS 5G.213 v1.9의 테이블 8.4.3.1-1의 재현이다.
도 13은 TS 5G.213 v1.9의 테이블 8.4.3.2-1의 재현이다.
도 1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16은 3GPP R2-163879의 도 1의 일부의 재현이다.
도 17은 3GPP R2-163879의 도 1의 일부의 재현이다.
도 18은 3GPP R2-162210의 도 3의 재현이다.
도 19는 3GPP R2-163471의 도 1의 일부의 재현이다.
도 2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21은 3GPP R2-162251의 도 3의 재현이다.
도 22는 3GPP R2-162251의 도 4의 재현이다.
도 2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0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3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 등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타입을 제공하도록 널리 전개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 분할 다중 액세스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3GPP LTE (3GPP Long Term Evolution) 무선 액세스, 3GPP LTE-A 또는 LTE-Advanced (3GPP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3GPP2 UMB (3GPP2 Ultra Mobile Broadband; 3GPP2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와이맥스(WiMax), 또는 기타 변조 기술들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원에서 3GPP로 언급되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된 컨소시움에 의해 제공된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며, 이 표준들은 다음의 것들을 포함한다: R2-162366, "Beam Forming Impacts", Nokia and Alcatel-Lucent; R2-163716, "Discussion on terminology of beamforming based high frequency NR", Samsung; R2-162709, "Beam support in NR", Intel; R2-162762, "Active Mode Mobility in NR: SINR drops in higher frequencies", Ericsson; R3-160947, TR 38.801 V0.1.0,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Radio Access Architecture and Interfaces"; R2-164306, "Summary of email discussion [93bis#23][NR] Deployment scenarios", NTT DOCOMO; 3GPP RAN2#94 meeting minute; R2-163879, "RAN2 Impacts in HF-NR", MediaTeK; R2-162210, "Beam level management <-> Cell level mobility", Samsung; R2-163471, "Cell concept in NR", CATT; R2-164270, "General considerations on LTE-NR tight interworking", Huawei; R2-162251, "RAN2 aspects of high frequency New RAT", Samsung; R1-165364, "Support for Beam Based Common Control Plane", Nokia and Alcatel-Lucent Shanghai Bell; TS 36.321 V13.2.0,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specification"; TS 36.300 v13.4.0, "E-UTRA and 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 TS 36.213 v13.2.0,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and R2-168856, "Text Proposal to TR 38.804 on UE states and state transitions for NR", NTT DoCoMo.
E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다양한 문서들에서 논의된 무선 기술에 맞추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며, 이 문서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TS 5G.211 v2.6, "KT 5G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 TS 5G.212 v2.3, "KT 5G Physical Layer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1)"; TS 5G.213 v1.9,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 and TS 5G.321 v1.2,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
위에서 열거된 표준들 및 문헌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명백하게 편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보여준다. 액세스 네트워크 (access network; AN) (100)는, 하나의 안테나 그룹이 참조번호 104 및 106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의 안테나 그룹이 참조번호 108 및 110을 포함하고, 그리고 추가적인 안테나 그룹이 참조번호 112 및 114를 포함하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단지 2개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하여 더 많거나 더 적은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 (access terminal; AT) (116)은 안테나들 (112, 114)과 통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안테나들 (112, 114)은 순방향 링크 (120)를 통해 액세스 단말 (1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 (118)를 통해 액세스 단말 (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 (AT) (122)은 안테나들 (106, 108)과 통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안테나들 (106, 108)은 순방향 링크 (126)를 통해 액세스 단말 (AT) (122)로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 (124)를 통해 액세스 단말 (AT) (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는, 통신 링크들 (118, 120, 124, 126)이 서로 다른 통신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방향 링크 (120)는 역방향 링크 (118)에 의해 사용된 것과는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 및/또는 안테나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구역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섹터로 종종 언급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그룹들 각각은 액세스 네트워크 (100)에 의해 커버되는 구역들의 한 섹터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순방향 링크들 (120, 126)을 통한 통신에 있어서는, 액세스 네트워크 (100)의 송신 안테나들이 서로 다른 액세스 단말들 (116,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빔포밍 (beamforming)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에 걸쳐 무작위로 분산되어 있는 액세스 단말들에 전송하도록 빔포밍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단일 안테나를 통해 자신의 액세스 단말들 모두에 전송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보다 적은, 인접 셀들에 있는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간섭을 야기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AN)는 상기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 또는 기지국일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Node B, 기지국, 확장형 기지국 (enhanced base station), eNB (evolved Node B), 또는 기타의 용어로도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 (AT)은 또한 사용자 장비 (user equipment (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단말, 액세스 단말 또는 기타의 용어로도 불릴 수 있다.
도 2는 MIMO 시스템 (200) 내에서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로 알려진) 송신기 시스템 (210) 및 (또한, 액세스 단말 (AT) 또는 사용자 장비 (UE)로 알려진) 수신기 시스템(250)의 한 실시예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상기 송신기 시스템 (210)에서, 여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 (212)로부터 전송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각 데이터 스트림이 각자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부호화 스킴을 기반으로 하여 각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 부호화, 및 인터리브 (interleave)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호화된 데이터는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pilot)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데이터는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며 상기 수신기 시스템 측에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데이터 패턴인 것이 일반적이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데이터 및 부호화된 데이터는 그 후에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도록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스킴 (예컨대, 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M-PSK (m-ary phase shift keying), 또는 M-QAM (m-ary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을 기반으로 하여 변조 (즉, 심볼 매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전송 속도, 부호화, 및 변조는 프로세서 (2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그 후에, TX MIMO 프로세서 (220)로 제공되는데, 상기 TX MIMO 프로세서 (220)는 (예컨대, OFDM을 위해) 상기 변조 심볼들을 부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TX MIMO 프로세서 (220)는 그 후에, N T 개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 T 개 전송기(TMTR)들 (222a 내지 222t)로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TX MIMO 프로세서 (220)는, 빔포밍 (beamforming) 가중치들을,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에, 그리고 상기 심볼이 전송되려는 안테나에 적용한다.
각각의 전송기 (222)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개별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처리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하도록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부가적으로 컨디셔닝 (conditioning) (예컨대, 증폭, 필터링, 및 상향 주파수 변환 (up-conversion))한다. 전송기들 (222a 내지 222t)로부터의 N T 개 변조 신호들은 그 후에, N T 개 안테나들 (224a 내지 2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 (250) 측에서는, 상기 전송된 변조 신호들이 N R 개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252)로부터의 상기 수신된 신호는 개별 수신기 (RCVR) (254a 내지 254r)로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개별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 (예컨대, 필터링, 증폭 및 하향 주파수 변환 (down-conversion))하고, 샘플들을 제공하도록 상기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그리고 상응하는 "수신된"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상기 샘플들을 부가적으로 처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그 후에, N T 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도록 특정의 수신기 처리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N R 개 수신기들 (254)로부터 N R 개의 수신된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 및 처리한다. 상기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는 그 후에, 각각의 검출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하도록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브 (deinterleave) 및 복호화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 (260)에 의한 처리는 전송기 시스템 (210) 측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 (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는 상보적(complementary)이다.
프로세서 (270)는 어느 사전 부호화 (pre-coding) 매트릭스를 이용해야 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아래에서 설명됨). 프로세서 (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랭크 (rank)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reverse link) 메시지를 공식화한다.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그 후에, TX 데이터 프로세서 (238)에 의해 처리되는데, 상기 TX 데이터 프로세서 (238)는 또한 데이터 소스 (2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러한 트래픽 데이터는 변조기 (280)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들 (254a 내지 254r)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그리고 송신기 시스템 (210)으로 다시 전송된다.
전송기 시스템(210) 측에서는, 수신기 시스템 (250)으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 (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 (222)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복조기 (2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 (242)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상기 수신기 시스템 (2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가 추출되게 한다. 프로세서 (230)는 그 후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사전 부호화 매트릭스를 이용해야 할지를 결정한 다음에 상기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도 3으로 돌아가면, 이 도면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대안의 간략화된 기능적인 블록도를 보여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 (300)는 도 1에 도시된 UE들 (또는 AT들) (116, 122) 또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 (또는 AN)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LTE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 (300)는 입력 디바이스 (302), 출력 디바이스 (304), 제어 회로 (306), 중앙 처리 유닛 (central processing unit(CPU)) (308), 메모리 (310), 프로그램 코드 (312), 및 트랜시버 (transceiver,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 (306)는 상기 CPU (308)를 통해 상기 메모리 (310) 내의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통신 디바이스 (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 디바이스 (3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 (30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 또는 스피커들과 같은 출력 디바이스 (304)를 통해 이미지들 및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 (314)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함으로써, 무선 방식으로, 수신된 신호들을 상기 제어 회로 (306)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 회로 (306)에 의해 생성된 신호들을 출력하는데 사용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디바이스 (300)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AN (100)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프로그램 코드 (312)의 간략화된 블록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 (312)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400), 레이어 3 부분 (402), 및 레이어 2 부분 (404)을 포함하며, 레이어 1 부분 (40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이어 3 부분 (402)은 무선 리소스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이어 2 부분 (404)은 링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레이어 1 부분(406)은 물리 접속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차세대 (즉, 5G) 액세스 기술에 관한 3GPP 표준화 활동들은 2015년 3월 이래로 시작되었다. 차세대 액세스 기술은 긴급한 시장의 니즈 그리고 ITU-R IMT-2020에 의해 제시된 더욱 긴-기간의 요구사항들 두 가지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용 시나리오들의 다음의 세 개의 패밀리들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eMBB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enhanced Mobile Broadband));
- mMTC (대용량 머신 유형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그리고
- URLLC (극단의-신뢰성 및 낮은 레이턴시 통신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일반적으로, 새로운 라디오 액세스 기술에 관한 5G 연구의 목적은 적어도 100 GHz까지의 범위인 스팩트럼 대역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새로운 라디오 시스템들을 위해 필요한 기술 컴포넌트들을 확인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100 GHz까지의 반송파 주파수들을 지원하는 것은 라디오 전파 (propagation)의 영역에서 여러 도전들을 초래한다. 반송파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경로 손실 또한 증가한다.
3GPP R2-162366에 기반하여, 더 낮은 주파수 대역들에서 (예를 들면, 현재의 LTE 대역들 < 6GHz), 다운링크 공통 채널들을 전송하기 위해 광역 섹터 빔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셀 커버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높은 주파수들 (>> 6GHz) 상에서 광역 섹터 빔을 활용하여, 상기 셀 커버리지는 동일한 안테나 이득을 가지면서 축소된다. 그래서,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필요한 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서, 증가된 경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더 높은 안테나 이득이 필요하다. 광역 섹터 빔에 걸쳐 안테나 이득을 제공하기 위해서, 높은 이득 빔들을 형성하기 위해 (수십부터 수백까지 범위인 여러 안테나 요소들을 구비한) 더 큰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높은 이득 빔들은 광역 섹터 빔에 비교하면 좁으며, 그래서 다운링크 공통 채널들을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빔들이 상기 필요한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하다. 액세스 포인트가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의 높은 이득 빔들의 개수는 활용된 트랜시버 구조의 비용 및 복잡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실제로, 더 높은 주파수들 상에서, 동시의 높은 이득 빔들의 개수는 상기 셀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 필요한 빔들의 전체 개수보다 아주 더 작다. 다른 말로 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어떤 주어진 시각에 빔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셀 영역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다.
3GPP R2-163716에서 논의된 것처럼, 빔포밍은 방향성 신호 전송/수신을 위해 안테나 어레이들에서 사용된 신호 프로세싱 기술이다. 빔포밍을 이용하여, 특별한 각도들에서의 신호들이 보강 간섭을 경험하고 다른 신호들은 상쇄 간섭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안테나들의 위상 어레이에서의 요소들을 결합함으로써 빔이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들의 다수의 어레이들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빔들이 활용될 수 있다.
3GPP R2-162709에서 논의되고 그리고 (3GPP R2-162709의 도 1의 재현인)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eNB (evolved Node B)는 (중앙집중화되거나 분산된) 다수의 TRP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 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s)는 다수의 빔들을 형성할 수 있다. 시간/주파수 도메인에서 빔들의 개수 그리고 동시 빔들의 개수는 안테나 어레이 소자들의 개수 및 그 TRP에서의 RF (Radio Frequency)에 종속한다.
NR (New Radio)을 위한 잠재적인 이동성 유형은 다음과 같이 열거될 수 있다:
o 인트라-TRP 이동성 (Intra-TRP mobility)
o 인터-TRP 이동성 (Inter-TRP mobility)
o 인터-NR eNB 이동성 (Inter-NR eNB mobility)
R2-162762에서 논의되었듯이, 빔포밍에만 순전히 의존하는 시스템의 신뢰성 그리고 더 높은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것이 경쟁하고 있으며, 이는 커버리지가 시간 변이 및 공간 변이 둘 모두에 대해 더욱 민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좁은 링크의 SINR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은 LTE의 경우에서보다 더욱 빨리 탈락될 수 있다.
수백 개 개수의 요소들을 가진 액세스 노드들에서 안테나 어레이들을 사용하여, 노드 당 수십 또는 수백의 후보 빔들을 가진 아주 규칙적인 빔들의 그리드 (grid-of-beams)) 커버리지 패턴들이 생성될 수 있다. 그런 어레이로부터의 개별 빔의 커버리지 영역은 폭에 있어서 약 수십 미터에 이를 정도로 작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서빙 빔 영역 외부의 채널 품질 저하는 LTE에 의해 제공된 광역 커버리지의 경우에서보다 더 빠르다.
LTE에서, 3GPP TS 36.300에서 설명되었듯이, PCell (Primary Cell)에 관련된 다음의 이벤트들을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된다:
- RRC_IDLE로부터의 초기 액세스;
- RRC 연결 재-설립 절차;
- 핸드오버;
- 랜덤 액세스 절차를 필요로 하는 RRC_CONNECTED 동안에 DL 데이터 도착:
- 예를 들면, UL 동기화 상태가 "비-동기화"될 때에.
- 랜덤 액세스 절차를 필요로 하는 RRC_CONNECTED 동안에 UL 데이터 도착:
- 예를 들면, UL 동기화 상태가 "비-동기화"될 때에 또는 이용가능한 SR을 위한 어떤 PUCCH 리소스들도 존재하지 않을 때에.
- 랜덤 액세스 절차를 필요로 하는 RRC_CONNECTED 동안에 포지셔닝 목적을 위해;
- 예를 들면, UE 포지셔닝을 위해 타이밍 어드밴스가 필요할 때에.
랜덤 액세스 절차는 SCell (Secondary Cell) 상에서 또한 수행되며, 이는 대응하는 sTAG (Secondary TAG)를 위한 타임 정렬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두 개의 별개의 모습들을 취한다:
- 접속경합 (Contention) 기반 (처음의 다섯 개 이벤트들에 적용가능);
- 비-접속경합 기반 (핸드오버, DL 데이터 도착, 포지셔닝 및 sTAG를 위한 타이밍 어드밴스 정렬을 획득하는 것에만 적용 가능함).
정상적인 DL/UL (Downlink/Uplink) 전송은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LTE에서 두가지 유형의 RA 절차가 정의된다: 접속경합-기반 및 접속경합-없음 (비-접속경합 기반). (도 6에 도시된) 접속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의 네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1) 업링크에서 RACH 상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Msg 1):
- 정의된 두 개의 가능한 그룹들이 존재하며 하나는 옵션이다. 두 그룹들 모두가 설절된다면, 프리앰블이 어느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메시지 3의 크기 및 경로손실이 사용된다. 프리앰블이 속한 그룹은 메시지 3의 크기 및 UE에서의 라디오 상태들의 표시를 제공한다. 프리앰블 그룹 정보는 필요한 임계치들과 함께 시스템 정보 상으로 브로드캐스트된다.
2) DL-SCH 상에서 MAC에 의해 생성된 랜덤 액세스 응답 (Msg2):
- 메시지 1과 (크기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TTI인 유연한 윈도우 내에서) 반-동기 (semi-synchronous);
- HARQ 없음;
- PDCCH 상의 RA-RNTI로 주소 지정;
- 적어도 RA-프리앰블 식별자, pTAG를 위한 타이밍 정렬 정보, 초기 UL 그랜트 (grant) 및 일시적 C-RNTI 할당을 운반한다 (이것은 접속경합 해결 (Contention Resolution) 시에 영구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 하나의 DL-SCH 메시지 내 가변 개수의 UE들을 위해 예정됨.
3) UL-SCH (Uplink Shared Channel) 상의 첫 번째 스케줄된 UL 전송 (Msg3):
- HARQ 사용;
- 전송 블록들의 크기는 단계 2에서 운반된 UL 그랜트에 종속한다.
- 초기 액세스를 위해:
- RRC 레이어에 의해 생성되어 CCCH를 경유하여 전송된 RRC (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요청을 운반한다;
- 적어도 NAS UE 식별자를 운반하지만 NAS 메시지를 운반하지는 않는다;
- RLC TM: 세그멘트 없음.
- RRC 연결 재-설립 절차를 위해:
- RRC 레이어에 의해 생성되어 CCCH를 경유하여 전송된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운반한다;
- RLC TM: 세그먼트화 없음;
- 어떤 NAS 메시지도 포함하지 않는다.
- 핸드오버 이후에, 타겟 셀 내에서:
- RRC 레이어에 의해 생성되어 DCCH를 경유하여 전송된, 암호화되어 무결성 보호된 RRC 핸드오버 확인 (RRC Handover Confirm)을 운반한다;
- (핸드오버 커맨드를 경유하여 할당되었던) UE의 C-RNTI를 운반한다;
- 가능할 때에 업링크 버퍼 상태 보고를 포함한다.
- 다른 이벤트들을 위해:
- 적어도 UE의 C-RNTI를 운반한다.
4) DL 상의 접속경합 해결 (Msg4):
- 조기 접속경합 해결 (early contention resolution)이 사용될 것이며, 즉, 접속경합 해결 이전에 eNB는 NAS 응답을 기다리지 않는다;
- 메시지 3과 동기화되지 않음;
- HARQ가 지원된다;
- 다음의 것들로 주소 지정된다:
- 라디오 링크 실패 이후에 그리고 초기 액세스를 위한 PDCCH 상의 임시 C-RNTI;
- RRC_CONNECTED에서 UE를 위한 PDCCH 상의 C-RNTI.
- 상기 접속경합 해결 메시지 내에서 반향된, 메시지 3에서 제공된, 자기 자신의 UE 신원을 탐지한 UE에 의해서만 HARQ 피드백은 전송된다;
- 초기 액세스 및 RRC 연결 재-설립 절차를 위해, 어떤 세그먼트화도 사용되지 않는다 (RLC-TM).
RA 성공을 탐지하지만 C-RNTI를 가지지는 않은 UE는 임시 C-RNTI를 C-RNTI에게 촉구한다. RA 성공을 탐지하며 C-RNTI를 이미 가진 UE는 자신의 C-RNTI를 사용하여 재개하며 그리고 임시 C-RNTI에게 폐기한다.
(도 7에 도시된) 비-접속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의 세 단계들은 다음과 같다:
0) DL에서 전용 시그날링을 경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할당 (Msg0):
- eNB는 UE에게 비-접속경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할당한다 (브로드캐스트 시그날링에서 송신된 세트 내에 있지 않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 다음의 것을 경유하여 시그날링된다:
- 타겟 eNB에 의해 생성되어 핸드오버를 위해 소스 eNB를 경유하여 송신된 HO 커맨드;
- DL 데이터 도착 또는 포지셔닝의 경우에 PDCCH;
- sTAG용의 초기 UL 타임 정렬을 위한 PDDCH.
1) 업링크에서 RACH 상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Msg1):
- UE는 상기 할당된 비-접속경합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2) DL-SCH 상의 랜덤 액세스 응답 (Msg2):
- 메시지 1과 (크기가 둘 또는 그 이상의 TTI들인 유연한 윈도우 내에서) 반-동기 (semi-synchronous);
- HARQ 없음;
- PDCCH 상의 RA-RNTI로 주소 지정;
- 적어도 다음의 것들을 운반한다:
- 핸드오버를 위한 타이밍 정렬 정보 및 초기 UL 그랜트;
- DL 데이터 도착을 위한 타이밍 정렬 정보;
- RA-프리앰블 식별자;
- 하나의 DL-SCH 메시지 내 하나 또는 다수의 UE들을 위해 예정됨.
LTE에서의 DRX는 다음처럼 3GPP TS 36.321에서 설명된다:
5.7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MAC 엔티티는 MAC 엔티티의 C-RNTI, TPC-PUCCH-RNTI, TPC-PUSCH-RNTI, 반-지속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구성된 경우), eIMTA-RNTI(구성된 경우), SL-RNTI(구성된 경우), 및 CC-RNTI(구성된 경우)에 대한 UE의 PDCCH 모니터링 활동을 제어하는 DRX 기능으로 RRC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RRC_CONNECTED에 있을 때, DRX가 설정된다면, MAC 엔티티는 본 서브조항에서 규정된 DRX 동작을 사용하여 불연속으로 PDCCH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고, 그러하지 않으면, MAC 엔티티는 PDCCH를 연속으로 모니터링한다. DRX 동작을 사용할 때, MAC 엔티티는 또한, 본원 명세서의 다른 서브조항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요구사항들에 따라 PDCCH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RRC는 타이머들(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브로드캐스트 프로세스를 제외한 DL HARQ 프로세스 당 하나), drx-ULRetransmissionTimer(비동기 UL HARQ 프로세스 당 하나), longDRX-Cycle, drxStartOffset의 값 및 옵션으로 drxShortCycleTimershortDRX-Cycle을 구성하여 DRX 동작을 제어한다. (브로드캐스트 프로세스를 제외한) DL HARQ 프로세스 당 HARQ RTT 타이머 및 비동기 UL HARQ 프로세스 당 UL HARQ RTT 타이머가 또한 정의된다(서브조항 7.7 참조).
DRX 사이클이 설정될 때, 활성 시간에는 다음과 같은 시간이 포함된다:
- (서브조항 5.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onDurationTimer 또는 drx-InactivityTimer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 또는 drx-ULRetransmissionTimer 또는 mac-ContentionResolutionTimer가 실행중인 시간; 또는
- (서브조항 5.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이 PUCCH을 통해 전송되고 보류중인 시간; 또는
- 보류중인 HARQ 재전송에 대한 업링크 그랜트가 이루어질 수 있고 동기 HARQ 프로세스를 위한 해당 HARQ 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또는
- (서브조항 5.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MAC 엔티티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에 MAC 엔티티의 C-RNTI로 주소지정된 새로운 전송을 나타내는 PDCCH이 수신되지 않은 시간.
DRX가 설정될 때, MAC 엔티티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HARQ RTT 타이머가 이러한 서브 프레임에서 만료된다면:
- 해당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복호화되지 않는다면:
-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해 drx-RetransmissionTimer를 시동하고;
- NB-IoT인 경우, drx-InactivityTimer를 시동 또는 재시동한다.
- UL HARQ RTT 타이머가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만료되는 경우:
-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해 drx-ULRetransmissionTimer를 시동함.
- NB-IoT인 경우, drx-InactivityTimer를 시동 또는 재시동함.
-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 또는 긴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가 수신되는 경우:
- onDurationTimer를 정지하고;
- drx-InactivityTimer를 정지함.
- 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거나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가 수신된 경우:
- 짧은 DRX 사이클이 구성된 경우:
- drxShortCycleTimer를 시동 또는 재시동하고;
- 짧은 DRX 사이클을 사용함.
- 짧은 DRX 사이클이 구성되지 않는 경우:
-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함.
- drxShortCycleTimer가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만료되는 경우:
-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함.
- 긴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가 수신되면:
- drxShortCycleTimer를 정지하고;
-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함.
- 짧은 DRX 사이클이 사용되고 [(SFN * 10) + 서브프레임 수] modulo (shortDRX-Cycle) = (drxStartOffset) modulo (shortDRX-Cycle)인 경우; 또는
- 긴 DRX 사이클이 사용되고 [(SFN * 10) + 서브프레임 수) modulo (longDRX-Cycle) = drxStartOffset인 경우:
- NB-IoT인 경우:
- HARQ RTT 타이머도 UL HARQ RTT 타이머도 실행되지 않으면 onDurationTimer를 시동함.
- NB-IoT가 아닌 경우:
- onDurationTimer를 시동함.
- 활성시간 동안, PDCCH-서브프레임에 대해, 하프-듀플렉스 FDD UE 동작을 위한 업링크 전송에 서브프레임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하프-듀플렉스 가드 서브프레임[7]이 아닌 경우 및 서브 프레임이 구성된 측정 갭의 일부가 아닌 경우 및 서브프레임이 수신을 위한 구성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갭의 일부가 아닌 경우, 그리고 NB-IoT에 대해 서브프레임이 PDCCH을 통하는 것과는 다른 업링크 전송 또는 다운링크 수신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 또는
- 활성시간 동안, PDCCH-서브 프레임과는 다른 서브 프레임에 대해 그리고 집성된 셀들에서의 동시적인 수신 및 전송 기능이 있는 UE에 대해, 서브프레임이 schedulingCellId [8]로 구성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한 유효한 eIMTA L1 시그널링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경우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측정 갭의 일부가 아닌 경우 및 서브프레임이 수신을 위해 구성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갭의 일부가 아닌 경우; 또는
- 활성시간 동안, PDCCH-서브프레임과는 다른 서브 프레임에 대해 그리고 집성된 셀들에서의 동시적인 수신 및 전송 기능이 없는 UE에 대해, 서브프레임이 SpCell에 대한 유효한 eIMTA L1 시그널링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인 경우 및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측정 갭의 일부가 아닌 경우 및 서브프레임이 수신을 위해 구성된 사이드 디스커버리 갭의 일부가 아닌 경우:
- PDCCH를 모니터링하고;
- PDCCH가 DL 전송을 나타내는 경우 또는 DL 할당이 이러한 서브프레임에 대해 구성된 경우:
- UE가 NB-IoT UE, BL UE 또는 향상된 커버리지의 UE인 경우:
- 해당 PDSCH 수신의 마지막 반복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서 해당 HARQ 프로세스를 위한 HARQ RTT 타이머를 시동하며;
- UE가 NB-IoT UE, BL UE 또는 향상된 커버리지의 UE가 아닌 경우:
- 해당 HARQ 프로세스를 위한 HARQ RTT 타이머를 시동하고;
- 해당 HARQ 프로세스를 위한 drx-RetransmissionTimer를 정지함.
- PDCCH가 비동기 HARQ 프로세스를 위한 UL 전송을 나타내는 경우:
- 해당 PUSCH 전송의 마지막 반복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에서의 해당 HARQ 프로세스를 위한 UL HARQ RTT 타이머를 시동하고;
- NB-IoT를 제외하고, 해당 HARQ 프로세스를 위한 drx-ULRetransmissionTimer를 정지함.
- PDCCH가 새로운 전송(DL, UL 또는 SL)을 나타내는 경우:
- NB-IoT를 제외하고, drx-InactivityTimer를 시동 또는 재시동함.
- PDCCH가 NB-IoT UE에 대한 전송(DL, UL)을 나타내는 경우:
- drx-InactivityTimer, drx-ULRetransmissionTimeronDurationTimer를 정지함.
- 현재의 서브프레임 n에서, MAC 엔티티가 이러한 서브조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모든 DRX 활성 시간 상태들을 평가할 때 MAC 엔티티가 활성 시간에서 서브프레임 n-5까지 수신되고 서브 프레임 n-5를 포함하는 그랜트들/할당들/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긴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 및 서브프레임 n-5까지 전송되고 서브 프레임 n-5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type-0-triggered SRS [2]는 보고되지 않을 것임.
- CQI 마스킹(cqi-Mask)이 상위 계층들에 의해 설정된 경우:
- 현재 서브프레임 n에서, 이러한 서브조항에 규정된 바와 같이 모든 DRX 활성 시간 조건들을 평가할 때 서브프레임 n-5까지 수신되고 서브프레임 n-5를 포함하는 그랜트들/할당들/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긴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을 고려하여 onDurationTimer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PUCCH을 통한 CQI/PMI/RI/PTI/CRI는 보고되지 않을 것임.
- CQI 마스킹(cqi-Mask)이 상위 계층들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경우:
- 현재의 서브 프레임 n에서, MAC 엔티티가 이러한 서브조항에 규정된 바와 같이 모든 DRX 활성 시간 조건들을 평가할 때 MAC 엔티티가 활성 시간에서 서브프레임 n-5까지 수신되고 서브 프레임 n-5를 포함하는 그랜트들/할당들/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긴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 및 서브프레임 n-5까지 전송되고 서브 프레임 n-5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PUCCH을 통한 CQI/PMI/RI/PTI/CRI는 보고되지 않을 것임.
MAC 엔티티가 PDCCH를 모니터링할지 말지에 관계없이 MAC 엔티티는 HARQ 피드백을 수신 및 전송하고 그러한 것이 예상될 때 type-1-triggered SRS [2]를 전송한다.
주: 동일한 활성 시간은 활성화된 모든 서빙 셀(들)에 적용된다.
주: 다운링크 공간 다중화의 경우, HARQ RTT 타이머가 실행하는 동안 TB가 수신되고 동일한 TB의 이전 전송이 (N이 HARQ RTT 타이머에 해당할 경우) 현재 서브프레임 이전에 적어도 N 개의 서브프레임들에서 수신되면, MAC 엔티티는 이를 처리하고 HARQ RTT 타이머를 재시동해야 한다.
주: 상기 BL UE 및 강화된 커버리지의 UE는 다음 지정된 액션을 실행하기 전에 구성된 MPDCCH 검색 공간의 최종 서브프레임까지 대기한다.
KT 5G PHY 규격에서의 빔포밍 절차는 TS 5G.213에서 다음처럼 설명된다:
5 빔포밍 절차
5.1 빔 취득 및 추적
다운링크 전송 빔들은 빔 레퍼런스 신호들로부터 취득된다. 빔 레퍼런스 신호 (beam reference signal (BRS))를 위해 8개까지의 안테나 포트들이 지원된다. UE는 주기적인 BRS 측정들을 통해 다운링크 전송 빔들을 추적한다. BRS 전송 주기는 xPBCH 내 2 비트 인디케이터에 의해 설정된다. BRS 전송 주기는 BRS를 경유하여 전송된 전체 다운링크 빔들을 스윕 (sweep)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다음의 BRS 전송 주기들이 지원된다:
- "00" 단일 슬롯 (< 5ms) : 안테나 포트 당 최대 7개 다운링크 전송 빔들에 대해 지원가능
- "01" 단일 서브프레임 (= 5ms) : 안테나 포트 당 최대 14개 다운링크 전송 빔들에 대해 지원가능
- "10" 두 개의 서브프레임 (= 10ms) : 안테나 포트 당 최대 28개 다운링크 전송 빔들에 대해 지원가능
- "11" 네 개의 서브프레임 (= 20ms) : 안테나 포트 당 최대 56개 다운링크 전송 빔들에 대해 지원가능
UE는 4개 BRS 빔들의 후보 빔 세트를 유지하며, 여기에서 각 빔에 대해 UE는 빔 상태 정보 (beam state information (BSI))를 기록한다. BSI는 빔 인덱스 (beam index (BI)) 및 빔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BRSRP))을 포함한다.
UE는 조항 8.3 마다 5G 노드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PUCCH 또는 PUSCH 상의 BSI를 보고한다. 5G 노드는 DL DCI, UL DCI, 및 RAR 그랜트에서 BSI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xPUCCH 상에서 BSI를 보고할 때에, UE는 후보 빔 세트 내에서 가장 높은 BRSRP를 가진 빔에 대해 BSI를 보고한다.
xPUSCH 상에서 BSI를 보고할 때에, UE는 후보 빔 세트 내에서 N개 빔들 (N ∈ {1,2,4})에 대해 BSI들을 보고하며, 여기에서 N은 5G 노드로부터의 2-비트 BSI 요청 내에서 제공된다. BSI 보고들은 BRSRP의 감소하는 순서로 소팅된다.
5.1.1 BRS 관리
두 개의 빔 스위치 절차들이 존재하며, 그 빔 스위치 절차들은 MAC-CE 기반 빔 스위치 절차 및 BRS와 연관된 DCI 기반 빔 스위치 절차이다.
MAC-CE 기반 빔 스위치 절차 [4]에 대해, 5G 노드는 BI를 포함한 MAC-CE를 UE에게 전송한다.
그 UE는 MAC-CE를 수신하면, 그 MAC-CE에 의해 표시된 빔에 매치하기 위해서 상기 UE에서 서빙 빔을 스위치할 것이다. 그 빔 스위칭은 서브프레임 n+kbeamswitch-delay-mac의 시작 부분부터 적용될 것이며, 여기에서 서브프레임 n은 MAC-CE 및 kbeamswitch-delay-mac = 14와 연관된 HARQ-ACK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UE는 xPDCCH, xPDSCH, CSI-RS, xPUCCH, xPUSCH, 및 xSRS와 연관된 5G 노드 빔이 상기 MAC-CE에 의해 표시된 빔으로 서브프레임 n+kbeam-switch-delay-mac의 시작부분부터 스위치된다고 가정할 것이다.
DCI 기반 빔 스위치 절차에 대해, 5G 노드는 DCI를 경유하여 BSI 보고를 요청하며 그리고 beam_switch_indication 필드는 동일한 DCI 내에서 1로 세팅된다. 상기 UE는 그런 DCI를 수신하면, BSI 요청에 대응하는 BSI 보고 내에서 상기 UE에 의해 보고된 제1 BI에 의해 표시된 빔에 매치하기 위해서 상기 서빙 빔을 상기 UE에서 스위치할 것이다. 이 빔 스위칭은 서브프레임 n+kbeam-switch-delay-dic의 시작부분부터 적용될 것이며, 여기에서 서브프레임 n은 상기 BSI 보고 및 kbeam-switch-delay-dci = 11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DCI 내에서 beam_switch_indication field=0 이라면, 상기 UE는 상기 서빙 빔을 UE에서 스위치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어떤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해, UE에서 서빙 빔을 선택함에 있어서 어떤 충돌이 존재한다면, (MAC-CE 기반 절차를 위한) MAC-CE 또는 (DCI 기반 절차를 위한) DCI를 포함하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서빙 빔이 선택된다. UE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빔 스위칭을 위한 다수의 요청들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5.2 빔 정련 (Beam refinement)
BRRS는 DCI에 의해 트리거된다. UE는 SR을 이용하여 BRRS를 또한 요청할 수 있다. 서빙 5G 노드에게 BRRS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기 위해, UE는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을 전송하며, 여기에서 상위 레이어 설정 프리엠블 리소스 {u,v,f', 및 NSR}는 빔 정련 레퍼런스 신호 개시 요청을 위한 전용이다.
BRRS 리소스 인덱스 (Resource Index (BRRS-RI)) 및 BRRS 레퍼런스 전력 (BRRS reference power (BRRS-RP))으로 구성된 빔 정련 정보 (Beam Refinement Information (BRI))를 보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시간 리소스 및 주파수 리소스는 5G 노드에 의해 제어된다.
UE는 상위 레이어들에 의해 4개 빔 정련 (Beam Refinement (BR)) 프로세스들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DCI 내 2-비트 리소스 할당 필드 및 2 비트 프로세스 표시 필드가 각각 테이블 5.2-1 및 테이블 5.2-2에서 설명된다.
["BRRS resource allocation field for xPDCCH with DL or UL DCI" 제목의 TS 5G.213 v1.9의 테이블 5.2-1은 도 8에서 재현된다]
["BRRS process indication field for xPDCCH with DL or UL DCI" 제목의 TS 5G.213 v1.9의 테이블 5.2-2는 도 9에서 재현된다]
BR 프로세스는 8개까지의 BRRS 리소들, 리소스 할당 유형 및 VCID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RRC 시그날링을 통해서 설정된다. BRRS 리소스는 측정될 안테나 포트들의 세트로 이루어진다.
["BR process configuration" 제목의 TS 5G.213 v1.9의 테이블 5.2-3은 도 10에서 재현된다]
BRRS 전송은 1, 2, 5 또는 10개 OFDM 심볼들의 범위일 수 있으며, 그리고 테이블 5.2-1, 5.2.-2 및 5.2.-3에서의 BRRS 리소스 할당, BRRS 프로세스 표시, 및 BR 프로세스 설정과 연관된다. UE에 의해 보고된 BRI는 8개까지의 BRRS 리소스들과 연관된 하나의 BR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UE는 각 BRRS 프로세스에서 BRRS 리소스 ID 0에 매핑된 BRRS가 서빙 빔에 의해 전송된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5.2.1 BRRS 관리
두 개의 빔 스위치 절차들이 존재하며, 그 빔 스위치 절차들은 MAC-CE 기반 빔 스위치 절차 및 BRSS와 연관된 DCI 기반 빔 스위치 절차이다.
MAC-CE 기반 빔 스위치 절차 [4]에 대해, 5G 노드는 BRRS 리소스 ID 및 연관된 BR 프로세스 ID를 포함한 MAC-CE를 UE에게 전송한다.
그 UE는 MAC-CE를 수신하면, 그 MAC-CE에 의해 표시된 빔에 매치하기 위해서 상기 UE에서 서빙 빔을 스위치할 것이다. 그 빔 스위칭은 서브프레임 n+kbeamswitch-delay-mac의 시작 부분부터 적용될 것이며, 여기에서 서브프레임 n은 MAC-CE 및 kbeamswitch-delay-mac = 14와 연관된 HARQ-ACK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UE는 xPDCCH, xPDSCH, CSI-RS, xPUCCH, xPUSCH, 및 xSRS와 연관된 5G 노드 빔이 상기 MAC-CE에 의해 표시된 빔으로 서브프레임 n+kbeam-switch-delay-mac의 시작부분부터 스위치된다고 가정할 것이다.
DCI 기반 빔 스위치 절차에 대해, 5G 노드는 DCI를 경유하여 BRI 보고를 요청하며 그리고 beam_switch_indication 필드는 동일한 DCI 내에서 1로 세팅된다. 상기 UE는 그런 DCI를 수신하면, BRI 요청에 대응하는 BRI 보고에서 상기 UE에 의해 보고된 제1 BRRS-BI에 의해 표시된 빔에 매치하기 위해서 상기 서빙 빔을 상기 UE에서 스위치할 것이다. 이 빔 스위칭은 서브프레임 n+kbeam-switch-delay-dic의 시작부분부터 적용될 것이며, 여기에서 서브프레임 n은 상기 BRI 보고 및 kbeam-switch-delay-dci = 11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DCI 내에서 beam_switch_indication field=0 이라면, 상기 UE는 상기 서빙 빔을 UE에서 스위치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어떤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해, UE에서 서빙 빔을 선택함에 있어서 어떤 충돌이 존재한다면, (MAC-CE 기반 절차를 위한) MAC-CE 또는 (DCI 기반 절차를 위한) DCI를 포함하는 가장 최근에 수신된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서빙 빔이 선택된다. UE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빔 스위칭을 위한 다수의 요청들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5.3 빔 복구 (Beam Recovery)
현재의 서빙 빔이 미정렬되어 있으며 [4] 그리고 빔 복구를 위해 BSI들을 가진다는 것을 UE가 탐지한다면, 그 UE는 빔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이다.
UE 동기화된 UE 경우에, 그 UE는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에 의해 스케즐링 요청을 전송하며, 여기에서 프리앰블 리소스 {u, v, f' 및 NSR}는 상위 레이어들에 의해 설정된 빔 복구를 위한 전용이다. 이 요청을 수신하면, 5G 노드는 섹션 8.3에서 설명된 것처럼 BSI 보고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UL 동기화된 UE 경우에, 그 UE는 접속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를 위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그 UE가 RAR 트리거링 BSI 보고에 의해 스케줄링된다면, 그 UE는 [3]에서의 UCI 다중화처럼 Msg3에서 N개 BSI들을 보고한다.
[...]
8.3 빔 상태 정보 (Beam State Information (BSI))를 보고하기 위한 UE 절차
UE는 5G 노드에 의해 표시된 것처럼 xPUCCH 또는 xPUSCH 상으로 BSI를 보고한다. 5G 노드는 DL DCI, UL DCI, 및 RAR 그랜트에서 BSI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UE가 DL DCI에서 BSI 요청을 수신한다면, 그 UE는 xPUCCH 상으로 BSI를 보고한다. xPUCCH를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그 DL DCI 내에 표시된다. xPUCCH 상으로 BSI를 보고할 때에, UE는 후보 빔 세트에서 가장 높은 BRSRP를 가진 빔에 대한 BSI를 보고한다.
UE가 UL DCI에서 또는 RAR 그랜트에서 BSI 요청을 수신한다면, UE는 xPUSCH 상으로 BSI들을 보고한다. xPUSCH를 위한 시간/주파수 리소스는 BSI 보고를 요청한 UL DCI에서 또는 RAR 그랜트에서 표시된다. xPUSCH 상으로 BSI를 보고할 때에, UE는 후보 빔 세트 내에서 가장 높은 BRSRP를 가진 N개 빔들 (N ∈ {1,2,4})에 대한 BSI를 보고하며, 여기에서 N은 DCI 내에 제공된다.
BSI 보고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 xPUCCH 및 xPUSCH 둘 모두 상에서 표시된다면, UE는 xPUCCH 상으로만 BSI를 보고하며 xPUSCH 트리거는 폐기한다.
8.3.1 xPUSCH를 이용한 BSI 보고
UL DCI를 BSI 요청과 함께 서브프레임 n에서 복호화하면, UE는 서브프레임 n + 4 + m + l에서 xPUSCH를 이용하여 BSI를 보고할 것이며, 여기에서 파라미터들 m = 0 및 l = {0, 1, ... 7}은 UL DCI에 의해 표시된다.
보고할 BSI들의 개수 N ∈ {1,2,4}는 UL DCI 내에 표시된다.
UE는 후보 빔 세트 내 N개 빔들에 대응하는 N개 BSI들을 보고할 것이다.
BSI 보고는 N개 BI들 및 대응하는 BRSRP들을 포함한다. UE는 광대역 BRSRP들을 보고할 것이다.
UE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해 xPUSCH 상의 BSI 보고를 위해 하나보다 많은 요청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8.3.2 xPUCCH를 이용한 BSI 보고
DL DCI를 BSI 요청과 함께 서브프레임 n에서 복호화하면, UE는 서브프레임 n + 4 + m + k에서 xPUCCH를 이용하여 BSI를 보고할 것이며, 여기에서 파라미터들 m = 0 및 k = {0, 1, ... 7}은 DL DCI에 의해 표시된다.
xPUCCH 상으로 BSI를 보고할 때에, UE는 후보 빔 세트 내에서 가장 높은 BRSRP를 가진 빔에 대해 BSI를 보고한다.
BSI 보고는 BI 및 대응 BRSRP를 포함한다. UE는 광대역 BRSRP를 보고할 것이다.
UE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해 xPUCCH 상의 BSI 보고를 위해 하나보다 많은 요청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8.3.3 BSI 정의
8.3.3.1 BRSRP 정의
BRSRP 인덱스들 및 그것들의 해석은 테이블 8.3.3.1-1에 주어진다. BRSRP의 보고 범위는 테이블 8.3.3.1-1에서 보이는 것처럼 1dB 해상도를 구비하여 -140 dBm으로부터 -44 dBm까지 한정된다.
UE는 5G.211에 정의된 BRS에 기반하여 빔 측정치들로부터 BRSRP 값들을 유도할 것이다. UE는 측정된 BRSRP 값으로부터 BRSRP 인덱스를 유도할 것이다. 각 BRSRP 인덱스는 7 비트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대응 이진 표현으로 매핑된다.
["7-bit BRSRP Table" 제목의 TS 5G.213 v1.9의 테이블 8.3.3.1-1이 도 11에 재현된다]
8.3.3.2 빔 인덱스 정의
BI는 선택된 빔 인덱스를 표시한다. BI는 안테나 포트, OFDM 심볼 인덱스 및 BRS 전송 주기와 연관된 논리적인 빔 인덱스이며 [2], 9비트로 표시된다.
8.4 빔 정련 정보 (Beam Refinement Information (BRI)) 보고를 위한 UE 절차
8.4.1 xPUSCH를 이용한 BRI 보고
서브프레임 n 내 업링크 DCI가 BRRS 전송을 표시한다면, 그 BRRS는 서브프레임 n + m 내에 할당되며, 여기에서 m ={0,1,2,3}은 DCI 내 2 비트 RS 할당 타이밍에 의해 표시된다.
BRI 보고는, UE를 위한 업링크 DCI 내에 표시된 하나의 BR 프로세스와 연관된다. 서브프레임 n 내에서 UL DCI를 BRI 요청으로 복호화할 때에, UE는 서브프레임 n+4+m+l 내 xPUSCH를 이용하여 BRI를 보고할 것이며, 여기에서 파라미터들 m = {0, 1, 2, 3} 및 l = {0, 1, ... 7}은 UL DCI에 의해 표시된다.
UE는 최선 NBRRS BRRS에 대응하는 광대역 BRRS-RP 값들 및 BRRS-RI 값들을 보고할 것이며, 여기에서 NBRRS는 상위 계층들에 의해 설정된다.
BR 프로세스에 연관된 설정된 BRRS 리소스 ID의 개수가 NBRRS보다 작거나 동일하다면, UE는 설정된 BRRS 리소스들 모두에 대응하는 BRRS-RP 및 BRRS-RI를 보고할 것이다.
UE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나보다 많은 BRI 보고 요청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8.4.2 xPUCCH를 이용한 BRI 보고
서브프레임 n 내 DL DCI가 BRRS 전송을 표시한다면, 그 BRRS는 서브프레임 n + m 내에 할당되며, 여기에서 m ={0,1,2,3}은 DL DCI에 의해 표시된다.
BRI 보고는, UE를 위한 다운링크 DCI 내에 표시된 하나의 BRRS 프로세스와 연관된다. 서브프레임 n 내에서 DL DCI를 BRI 요청으로 복호화할 때에, UE는 서브프레임 n+4+m+k 내 xPUCCH를 이용하여 BRI를 보고할 것이며, 여기에서 파라미터들 m = {0, 1, 2, 3} 및 k = {0, 1, ... 7}은 DL DCI에 의해 표시된다.
UE는 최선 NBRRS BRRS 리소스 ID에 대응하는 광대역 BRRS-RP 값들 및 BRRS-RI 값들을 보고할 것이다.
UE는 주어진 서브프레임에 대한 하나보다 많은 BRI 보고 요청을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8.4.3.1 BRRS-RP 정의
BRRS-RP의 보고 범위는 1dB 해상도를 구비하여 -140 dBm으로부터 -44 dBm까지 한정된다.
BRRS-RP의 7 비트들로의 매핑은 테이블 8.4.3.1-1에서 정의된다. 각 BRRS-RP 인덱스는 7 비트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대응 이진 표현으로 매핑된다.
["7-bit BRRS-RP Table" 제목의 TS 5G.213 v1.9의 테이블 8.3.3.1-1이 도 12에 재현된다]
8.4.3.2 BRRS-RI 정의
BRRS-RI는 선택된 BRRS 리소스 ID를 표시한다. BR 프로세스는 최대 8개의 BRRS 리소스 I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BRRS 리소스 ID는 테이블 8.4.3.2-1에서처럼 3비트들에 의해 표시된다.
["BRRS-RI mapping" 제목의 TS 5G.213 v1.9의 테이블 8.4.3.2-1이 도 13에서처럼 재현된다]
KT 5G MAC 규격 내 빔 관리 및 DRX는 TS 5G.321에서 다음처럼 설명된다:
5.5 빔 관리
5.5.1 빔 피드백 절차
빔 피드백 절차는 빔 측정 결과들을 서빙 셀로 보고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의된 두 개의 빔 피드백 절차들이 존재하며, 하나는 빔 레퍼런스 신호 (beam reference signal (BRS)) 측정, 아래의 빔 상태 정보 보고를 기반으로 하며, 그리고 다른 하나는 빔 정련 레퍼런스 신호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 (BRRS)), 아래의 빔 정련 정보 보고를 기반으로 한다.
5.5.1.1 빔 상태 정보 보고
xPDCCH 오더 (order)에 의해 개시된 BRS-기반 빔 상태 정보 (beam state information (BSI)) 보고들은 대응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것처럼 xPUCCH/xPUSCH 상으로 UCI를 통해 전송된다 [1]; 이벤트 트리거된 BSI 보고들은, 정상적인 SR 또는 접속경합-기반 RACH 절차를 이용하여 서브조항 6.1.3.11에서 정의된 BSI 피드백 MAC 제어 요소 (Feedback MAC Control Element)를 통해서 전송되며, 여기에서 BSI는 빔 인덱스 (Beam Index (BI)) 및 빔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BRSRP))으로 구성된다. BSI 보고는 서빙 셀에 의해 전송된 BRS를 기반으로 한다.
5.5.1.1.1 xPDCCH 오더에 의해 개시된 BSI 보고
xPDCCH 오더에 의해 개시된 BSI 보고들은 5G 물리 레이어로부터 획득된 최신의 측정 결과들을 기반으로 한다.
- 서빙 셀에 의해 xPUCCH를 경유하여 UCI를 통한 BSI 보고를 요청하는 xPDCCH 오더가 이 TTI 내에서 수신된다면:
- 서빙 빔이 최선의 빔이 아니며 그리고 그 최선 빔의 BRSRP가 상기 서빙 빔의 BRSRP보다 더 높다면:
- [1]에서 정의된 것처럼 xPUC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상기 최선 빔을 시그날링하도록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그렇지 않다면:
- [1]에서 정의된 것처럼 xPUC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상기 서빙 빔을 시그날링하도록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서빙 셀에 의해 xPUSCH를 경유하여 UCI를 통한 BSI 보고를 요청하는 xPDCCH 오더가 이 TTI 내에서 수신된다면:
- 요청된 보고들에 대한 BSI의 개수가 1과 동일하다면:
- 서빙 빔이 최선 빔이 아니며 그리고 그 최선 빔의 BRSRP가 상기 서빙 빔의 BRSRP보다 더 높다면:
- [1]에서 정의된 것처럼 xPUS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상기 최선 빔을 시그날링하도록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그렇지 않다면:
- [1]에서 정의된 것처럼 xPUS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상기 서빙 빔을 시그날링하도록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그렇지 않고, 요청된 BSI 보고들의 개수가 1보다 더 크다면:
- 서빙 빔이 최선 빔이 아니며 그리고 그 최선 빔의 BRSRP가 상기 서빙 빔의 BRSRP보다 더 높다면:
- xPUS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N개 BSI들 보고를 최선 빔과 함께 제1 BSI 및 다음의 N-1개의 가장 높은 BRSRP 빔 값들로서 시그날링할 것을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그렇지 않다면:
- xPUS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N개 BSI들 보고를 서빙 빔과 함께 제1 BSI 및 다음의 N-1개의 가장 높은 BRSRP 빔 값들로서 시그날링할 것을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5.5.1.1.2 5G-MAC에 의해 개시된 BSI 보고
- 5G-MAC에 의해 개시된 BSI 보고들은 이벤트 트리거를 기반으로 한다.
- 최선 빔의 BRSRP가 서빙 빔의 BRSRP + beamTriggeringRSRPoffset dB보다 더 높으면 그리고:
- UE가 업링크 동기화된다면 (즉, timeAlignmentTimer가 기간만료되지 않는다)
- UE는 정상 SR 절차를 통해 그랜트된 UL 리소스 상으로 BSI 피드백 MAC 제어 요소를 전송한다;
- 그렇지 않다면:
- UE는 접속경합-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통해 그랜트된 Msg3에 대한 UL 리소스 상으로 BSI 피드백 MAC 제어 요소를 전송한다;
5.5.1.2 빔 정련 정보 보고
빔 정련 정보 (beam refinement information (BRI)) 보고들은 xPDCCH 오더에 의해 개시되며 그리고 xPUCCH/xPUSCH 상으로 UCI를 통해 보고되며, 대응 DCI에 의해 스케줄링되며 [1], 여기에서 BRI는 서빙 셀에 의해 전송된 BRRS를 기반으로 하는 BRSRP 및 정련된 빔 인덱스 (Refined Beam Index (RBI))로 구성된다
- 서빙 셀에 의해 xPUCCH를 경유하여 UCI를 통해 BRI 보고를 요청한 xPDCCH 오더가 수신되면:
- [1]에서 정의된 것처럼, xPUC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BRI 보고를 시그날링하라고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그렇지 않고, 서빙 셀에 의해 xPUSCH를 경유하여 UCI를 통해 BRI 보고를 요청한 xPDCCH 오더가 수신되면:
- [1]에서 정의된 것처럼 xPUSCH를 경유하여, 스케줄링된 UCI 리소스 상으로 BRI 보고를 시그날링하라고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주: 이벤트-트리거된 BRI 피드백은 지원되지 않는다.
주: xPDCCH 오더에 의해 요청된 BSI/BRI 피드백은 5G-MAC 레이어 보고 절차들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5.5.2 빔 변경 절차 (Beam change procedure)
빔 변경 절차는 UE를 위해 서빙 빔을 변경하기 위해 서빙 셀에 의해 사용된다. 서빙 셀은 xPDCCH 오더에 의해, BRS 빔 변경 표시 MAC 제어 요소에 의해, 또는 BRRS 빔 변경 표시 MAC 제어 요소에 의해 상기 절차를 개시한다.
각 TTI를 위해, 5G-MAC 엔티티는:
- beam_change이 이 TTI를 위해 xPDCCH 오더에 의해 표시되었다면:
- 이전에 전송된 보고가 5.5.1.2에 따른 BRI 보고였다면:
- 서빙 빔을 [1]에서 정의된 시각 kbeamswitch-delay-dci 이후에 보고된 가장 높은 BRSRP 값을 가졌던 RBI에 대응하는 빔으로 변경하라고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그렇지 않고, 이전에 전송된 보고가 5.5.1.1에 따른 BSI 보고였다면:
- 상기 서빙 빔을 [1]에서 정의된 시각 kbeamswitch-delay-dci 이후에 보고된 가장 높은 BRSRP 값을 가졌던 BI에 대응하는 빔으로 변경하라고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6.1.3.9에서 정의된 BRS 빔 변경 표시 MAC 제어 요소가 이 TTI에서 수신되었다면:
- 서빙 빔을 [1]에서 정의된 시각 kbeamswitch-delay-mac 이후에 명시적으로 시그날링된 BI에 대응하는 빔으로 변경하라고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6.1.3.10에서 정의된 BRRS 빔 변경 표시 MAC 제어 요소가 이 TTI에서 수신되었다면:
- 서빙 빔을 [1]에서 정의된 시각 kbeamswitch-delay-mac 이후에 명시적으로 시그날링된 RBI에 대응하는 빔으로 변경할 것을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5.5.3 빔 조절 요청 절차 (Beam adjustment request procedure)
설정되었다면, BRRS (Beam Refinement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것을 서빙 셀에게 요청하기 위해 빔 보벌 요청 (Beam Adjustment Request (BAR))이 사용된다. UE는 서빙 셀을 결정하기 위해,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들)에서 BRRS를 측정한다.
5G-RRC는, 두 개의 연속적인 BAR들 사이의 인터벌을 제한하는 타이머 prohibitBAR-Timer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BAR를 제어한다.
주: UE는 어떤 UE 구현 특정 조건들에 기반하여 BAR를 트리거할 수 있다.
prohibitBAR-Timer가 동작하지 않고 있으며 그리고 어떤 UE 구현 특정 조건도 합치하지 않는다면 BAR가 트리거될 것이다.
BAR가 트리거되었다고 상기 BAR 절차가 판별하면:
- 이 TTI를 위한 새로운 전송을 위해 할당된 UL 리소스들을 5G-MAC 엔티티가 가진다면
- 6.1.3.8에서 정의된 BAR MAC제어 요소를 생성하고 전송할 것을 다중화 및 어셈블리 (Multiplexing and Assembly) 절차에게 지시한다
- prohibitBAR-Timer를 시작시키거나 다시 시작시킨다
- 그렇지 않고, BRRS 요청을 위한 전용의 SR이 UE에게로 설정된다면
- 상기 전용의 SR을 RACH 서브프레임의 5G SR 구역 내 BRRS 요청을 위해 시그날링할 것을 5G 물리 레이어에게 지시한다
- prohibitBAR-Timer를 시작시키거나 다시 시작시킨다
- 그렇지 않다면 스케줄링 요청 (Scheduling Request)이 트리거될 것이다.
5.6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DRX))
5G-MAC 엔티티는 5G-MAC 엔티티의 C-RNTI에 대한 UE의 xPDCCH 모니터링 활동을 제어하는 DRX 기능으로 5G-RRC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5G-RRC_CONNECTED에 있을 때, DRX가 구성된다면, 5G-MAC 엔티티는 본 하위 절에서 규정된 DRX 동작을 사용하여 불연속으로 x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5G-MAC 엔티티는 xPDCCH를 연속하여 모니터링한다. DRX 동작을 사용할 때, 5G-MAC 엔티티는 또한, 본원 명세서의 다른 하위 절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요구사항들에 따라 xPDCCH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5GRRC는 타이머들(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브로드캐스트 프로세스를 제외한 DL HARQ 프로세스 당 하나), longDRX-Cycle, drxStartOffset의 값 및 옵션으로 drxShortCycleTimershortDRX-Cycle을 구성하여 DRX 동작을 제어한다. (브로드캐스트 프로세스를 제외한) DL HARQ 프로세스 당 HARQ RTT 타이머 가 또한 정의된다.
DRX 사이클이 설정될 때, 활성 시간 (Active Time)에는 다음과 같은 시간이 포함된다:
- onDurationTimer 또는 drx-InactivityTimer 또는 drx-RetransmissionTimer 또는 mac-ContentionResolutionTimer가 실행중인 시간; 또는
- (하위 절 5.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이 xPUCCH을 통해 전송되고 보류중인 시간; 또는
- 보류중인 HARQ 재전송에 대한 업링크 그랜트가 이루어질 수 있고 대응 HARQ 버퍼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시간; 또는
- 빔 변경 표시 MAC-CE가 지속시간 (on-duration)의 시작 이전에 onDurationTimer가 시작할때까지의 시간; 또는
-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가 송신되고 그리고 보류되고 있는 시간; 또는
-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xPRACH 상으로 송신되고 그리고 보류되고 있는 시간; 또는
- SR 프리앰블이 xPRACH 상으로 송신되고 그리고 보류되고 있는 시간; 또는
- (하위 절 5.1.4에 기재된 바와 같이) 5G-MAC 엔티티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후에 5G-MAC 엔티티의 C-RNTI로 주소지정된 새로운 전송을 나타내는 xPDCCH이 수신되지 않은 시간.
DRX가 설정될 때, 5G-MAC 엔티티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HARQ RTT 타이머가 이러한 서브 프레임에서 기간만료되고 그리고 대응 HARQ 프로세스의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복호화되지 않는 경우:
-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해 drx-RetransmissionTimer를 시작시킨다.
-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 또는 긴 (Long)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가 수신되는 경우:
- onDurationTimer를 정지하고;
- drx-InactivityTimer를 정지함.
- drx-InactivityTimer가 만료되거나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가 수신된 경우:
- 짧은 DRX 사이클이 구성된 경우:
- drxShortCycleTimer를 시동 또는 재시동하고;
- 짧은 DRX 사이클을 사용함.
- 짧은 DRX 사이클이 구성되지 않는 경우:
-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함.
- drxShortCycleTimer가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만료되는 경우:
-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함.
- 긴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가 수신되면:
- drxShortCycleTimer를 정지하고;
- 긴 DRX 사이클을 사용함.
- 짧은 DRX 사이클이 사용되고 [(SFN * 50) + 서브프레임 수] modulo (shortDRX-Cycle) = (drxStartOffset) modulo (shortDRX-Cycle)인 경우; 또는
- 긴 DRX 사이클이 사용되고 [(SFN * 50) + 서브프레임 수) modulo (longDRX-Cycle) = drxStartOffset인 경우:
- onDurationTimer를 시동함.
- 활성 시간 동안에, 서브프레임에 대해:
- xPDCCH를 모니터링하고;
- xPDCCH가 DL 전송을 나타내는 경우:
- 대응 HARQ 프로세스를 위한 HARQ RTT 타이머를 시동하며;
- 대응 HARQ 프로세스를 위해 drx-RetransmissionTimer를 중지시키며:
- xPDCCH가 스케줄링된 데이터 전송 (DL 또는 UL)을 표시하지 않는다면:
- drx-InactivityTimer는 시작되지 않는다
- 스케줄링된 데이터 전송을 표시지 않는 xPDCCH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 xPUCCH 또는 xPUSCH를 통한 UCI 전송을 트리거하는 UL DCI; 또는
- DL/UL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임의의 DCI 포맷들.
- 그렇지 않고, xPDCCH가 새로운 전송 (DL 또는 UL)을 표시한다면:
- drx-InactivityTimer를 시동 또는 재시동시킨다.
- UE가 지속시간 이전에 깨어나서 서브조항 5.5에서 규정된 통신을 위해 적합한 빔을 찾기 위해 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 현재의 서브프레임 n에서, 5G-MAC 엔티티가 이러한 서브조항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모든 DRX 활성 시간 상태들을 평가할 때 MAC 엔티티가 활성 시간에서 서브프레임 n-5까지 수신되고 서브 프레임 n-5를 포함하는 그랜트들/할당들/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긴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들 및 서브프레임 n-5까지 전송되고 서브 프레임 n-5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 xPUCCH 상의 CQI/PMI/RI는 보고되지 않을 것이다.
5G-MAC 엔티티가 xPDCCH를 모니터링할지 말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5G-MAC 엔티티는 HARQ 피드백 (ACK/NACK 정보)을 수신 및 전송하고 그리고 그러한 것이 예상될 때 SRS를 전송한다.
주: 활성화된 모든 서빙 셀(들)에 동일한 활성 시간이 적용된다.
주: 다운링크 공간 다중화의 경우, HARQ RTT 타이머가 실행하는 동안 TB가 수신되고 동일한 TB의 이전 전송이 (N이 HARQ RTT 타이머에 해당할 경우) 현재 서브프레임 이전에 적어도 N 개의 서브프레임들에서 수신되면, 5G-MAC 엔티티는 이를 처리하고 HARQ RTT 타이머를 재시동해야 한다.
각 서빙 셀에 대해, HARQ RTT 타이머는 l개 서브프레임들로 세팅되며, l = n + 4 + k + m + 3 이며, [5G.213]의 하부조항들 8.5에서 표시된 것처럼, k ∈ {0, 1, ..., 7} 및 m ∈ {0, 1, 2, 3}은 다운링크 전송 및 연관된 HARQ 피드백 전송 사이의 인터벌에 대한 서브프레임 n에서 DL DCI 내에 존재한다.
추가의 상세 내용들은 TS 5G.211, "KT 5G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 TS 5G.212,"KT 5G Physical Layer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1)", TS 5G.213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 및 TS 5G.321,"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서 찾아볼 수 있다.
3GPP R3-160947 및 TR 38.801에서 설명된 것처럼,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시나리오들은 NR 라디오 네트워크 구조에 의한 지원을 위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3GPP R2-164306에서 설명되었듯이, 단독 NR을 위한 셀 레이아웃의 다음의 시나리오들이 연구를 위해 포착된다:
o 매크로 셀만의 배치 (Macro cell only deployment)
o 혼성 배치 ( Heterogeneous deployment)
o 스몰 셀만의 배치 (Small cell only deployment)
3GPP RAN2#94 미팅 의사록에서 설명되었듯이, 하나의 NR eNB는 하나 또는 많은 TRP들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제어 이동성의 2개의 잠재적인 레벨들이 다음처럼 존재한다:
o "셀" 레벨에서 구동된 RRC.
o 제로/최소 RRC 포함 (예를 들면, MAC /PHY에서)
3GPP R2-162210에서 설명되었듯이, 2-레벨 이동성 핸들링의 다음의 원칙들은 5G에서 아마도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A) 셀 레벨 이동성
a. 아이들 (IDLE)에서 셀 선택/재선댁, CONN에서의 핸드오버
b. CONN 상태에서 RRC에 의해 처리됨
B) 빔 레벨 관리
a. UE 및 최적 빔 방향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 TRP의 적절한 선택을 L1이 처리한다
일반적으로, 5G 시스템들은 UE 이동성을 처리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핸드오버 기잔의 UE 이동성에 추가로 "빔 기반 이동성"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MIMI, 프론트하울링 (fronthauling), C-RAN 및 NFV 같은 기술들은 하나의 "5G 노드"에 의해 제어된 커버리지 영역이 성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그래서 빔 레벨 관리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그리고 셀 레벨 이동성에 대한 필요성을 줄어들게 한다. 하나의 5G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의 모든 이동성은 이론적으로는 빔 레벨 관리에 기반하여 처리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핸드오버들이 다른 5G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에 대한 이동성을 위해서만 사용되도록 남겨둘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5G NR 내 셀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16은 3GPP R2-163879의 도 1의 일부의 재현이며, 그리고 단일의 TRP 셀을 구비한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준다. 도 17은 3GPP R2-163879의 도 1의 일부를 재현한 것이며 다수의 TRP 셀들을 구비한 예시의 배치를 보여준다. 도 18은 3GPP R2-162210의 도 3을 재현한 것이며, 그리고 다수의 TRP들을 구비한 5G 노드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G 셀을 보여준다. 도 19는 3GPP R2-163471의 도 1을 재현한 것이며, 그리고 LTE 셀 및 NR 셀 사이의 비교를 보여준다.
RRM 측정을 기반으로 하는 핸드오버와는 별도로, 5G UE는 UE 인트라-셀 이동성 또는 빔 품질이 변동하기 쉬운 5G 연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서빙 빔을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하기 위해, 5G 노드-B 및 UE는 서빙 빔을 올바르게 추적하고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빔 트래킹 (beam tracking)으로 호칭함).
다음의 용어들이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다:
o BS : 하나 또는 다수의 셀들과 연관된 하나 또는 다수의 TRP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NR에서의 네트워크 중심 유닛 또는 네트워크 노드. BS 및 TRP(들) 사이의 통신은 프론트하울을 경유한다. BS는 중심 유닛 (CU), eNB, gNB 또는 NodeB로 언급될 수 있을 것이다.
o TRP : 전송 및 수신 포인트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UE들과의 직접적인 통신들을 제공한다. TRP는 분산 유닛 (distributed unit (DU))으로 언급될 수 있다.
o ( Cell ): 셀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 연관된 TRP들에 의해 구성되며, 즉,, 셀의 커버리지는 모든 연관된 TRP(들)의 커버리지로 구성된다. 하나의 셀은 하나의 BS에 의해 제어된다. 셀은 TRP 그룹 (TRPG)로 또한 언급될 수 있다.
o 빔 스위핑 ( Beam sweeping ):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한 모든 가능한 방향들을 커버하기 위해서, 여러 빔들이 필요하다. 이런 빔들 모두를 동시에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빔 스위핑은 하나의 시간 인터벌에서 이 빔들의 서브세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빔(들)을 다른 시간 인터벌(들)에서 변경하는 것, 즉, 타임 도메인에서 빔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여러 시간 인터벌들 이후에 모든 가능한 방향들이 커버될 수 있다.
o 빔 스위핑 개수 (Beam sweeping number) :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모든 가능한 방향들에서 한 차례 빔들을 스윕하기 위한 시간 인터벌(들)의 필요한 개수. 다른 말로 하면, 시그날링 적용 빔 스위핑은 하나의 시간 하나의 시간 구간 내에서 "빔 스위핑 개수" 회수만큼 전송될 것이며, 예를 들면, 상이한 회수의 시간 구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이한 빔(들)에서 시그날링이 전송된다.
o 서빙 빔 (Serving beam ): UE를 위한 서빙 빔은, 예를 들면,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UE와 통신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네트워크, 예컨대, TRP에 의해 생성된 빔이다.
o 후보 빔 (Candidate beam) : UE를 위한 후보 빔은 서빙 빔의 후보이다. 서빙 빔은 부호 빔일 수 있으며 또는 아닐 수도 있다.
o 검정된 빔 (Qualified beam) : 검정된 빔은, 빔에 관한 신호 측정에 기반하여, 임계치보다 양호한 라디오 품질을 가진 빔이다.
네트워크 측을 위해 다음의 가정들 중 하나 또는 다수가 이하에서 채택될 수 있다:
o 빔포밍을 사용하는 NR은 단독일 수 있으며, 즉, UE는 NR에 직접적으로 캠프 온 하거나 접속할 수 있다.
o 빔포밍을 사용하는 NR 및 빔포밍을 사용하지 않는 NR은, 예를 들면, 상이한 셀들 내에서 공존할 수 있다.
o 가능하고 그리고 이익이 된다면, TRP는 데이터 및 제어 시그날링 전송 그리고 수신 둘 모두에 빔포밍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o TRP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 빔들의 개수는 TRP 능력에 종속하며, 예를 들면, 상이한 TRP들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 빔들의 최대 개수는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o 예를 들어, 제어 시그날링이 모든 방향에서 제공되기 위해서는 빔 스위핑이 필요하다.
o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위해) TRP는 모든 빔 조건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몇몇의 빔들은 동시에 생성될 수 없을 수 있다. 도 20은 빔 생성 조합의 한계에 대한 예를 보여준다.
o 동일 셀에서 TRP들의 다운링크 타이밍은 동기화된다.
o 네트워크 측의 RRC 레이어는 BS에 존재한다.
o 예를 들어, 상이한 UE 능력들 또는 UE 릴리즈로 인해 UE 빔포밍을 구비한 UE 그리고 UE 빔포밍을 구비하지 않은 UE 둘 모두를 TRP는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UE 측을 위해 다음의 가정들이 이하에서 채택될 수 있다:
o 가능하며 이익이 된다면, UE는 수신 및/또는 전송을 위해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o UE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 빔들의 개수는 UE 능력에 종속하며, 예를 들어, 하나보다 많은 빔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o UE에 의해 생성된 빔(들)은 eNB, gNB 또는 TRP에 의해 생성된 빔(들)보다 더 넓다.
o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한 빔 스위핑은 사용자 데이터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시그날링을 위해서는 필요할 수 있다.
o (하이브리드 빔포밍을 위해) UE는 모든 빔 조합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몇몇의 빔들은 동시에 생성될 수 없을 것이다.
o 도 20은 빔 생성의 조합 제한에 대한 에를 보여준다.
o 예를 들면, UE의 능력으로 인해서 모든 UE가 빔 포밍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며 또는 UE 빔포밍은 NR 제1의 (거의 발생하지 않는) 릴리즈(들)에서는 지원되지 않는다.
o 하나의 UE가 다수의 UE 빔들을 동시에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동일 셀의 하나 또는 다수의 TRP들로부터의 다수의 빔들에 의해 하나의 UE가 서빙되는 것이 가능하다.
o 동일한 또는 상이한 (DL 또는 UL) 데이터는 다이버시티 또는 처리량 이득을 위해 상이한 서빙 빔들을 경유하여 동일한 라디오 리소스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o 적어도 두 개의 UE (RRC) 상태들이 존재한다: 접속 상태 (또는 호출된 활성 상태) 및 비-접속 상태 (또는 아이들 (idle) 상태). 비활성 상태는 접속 상태 또는 비-접속 상태에 속하거나 추가적인 상태일 수 있다.
3GPP R2-162251에서 설명되었듯이, eNB 측 및 UE 측 둘 모두에서 빔포밍을 사용하기 위해, 실제적으로, eNB에서 빔포밍에 의한 안테나 이득은 약 15 내지 30 dBi로 간주되며 그리고 UE의 안테나 이득은 약 3 내지 20 dBi로 간주된다. 3GPP R2-162251의 도 3의 재현인 도 21은 빔포밍에 의한 이득 보상을 도시한다.
SINR 관점으로부터, 날카로운 빔포밍은 이웃 간섭자들, 즉, 다운링크 경우의 이웃 eNB들 또는 이웃 eNB들에 접속된 다른 UE로부터의 간섭 전력을 줄어들게 한다. TX 빔포밍의 경우에, 현재의 빔이 RX와 동일한 방향을 지시하는 다른 TX들로부터의 간섭만이 "유효" 간섭일 것이다. 그 "유효" 간섭은 간섭 전력이 유효 잡음 전력보다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RX 빔포밍의 경우에, 빔 방향이 UE의 현재 RX 빔 방향과 동일한 다른 TX들로부터의 간섭만이 유효 간섭일 것이다. 도 22는 3GPP R2-162251의 도 4를 재현한 것이며, 빔포밍에 의한 약해진 간섭을 도시한다.
UE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UE는 동일한 서빙 셀의 상이한 빔들이나 TRP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 외에도, UE 빔포밍이 사용된다면, 예를 들면, UE 교대로 인해서 UE 빔(들)은 시간에 따라 또한 변할 수 있다.
셀 변경 없는 접속 상태에서의 이동성의 예시의 경우는 다음의 단계들을 구비한다:
o 변경 탐지를 위한 시그날링 (Signaling for change detection)
UE 빔(들), 서빙 TRP(들)의 서빙 빔(들), 및 서빙 TRP(들)의 변경은 UE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상기 변경을 탐지하기 위해서, TRP(들) 또는 UE에 의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시그날링이 사용될 수 있다. TRP(들)는 시그날링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해 빔 스위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UE 빔포밍이 사용된다면, 상기 UE는 상기 시그날링 수신 또는 전송을 위해 빔 스위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o UE 빔 변경
UE에 의해 상기 변경이 탐지된다면, 상기 UE는 스스로 다음의 수신 (및 전송, 예를 들면, TDD를 위한)을 위해 적절한 UE 빔(들)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UE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의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그 네트워크 노드는 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UE로의 UE 빔 변경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경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탐지된다면, 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UE로의 UE 빔 변경의 표시가 요청될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표시된 UE 빔(들)을 다음의 전송 (및 수신, 예를 들면, TDD를 위한)을 위해 사용한다.
o 서빙 및 및/또는 서빙 TRP 변경 (Serving beam and/or serving TRP change)
UE가 변경 탐지를 위한 시그날링을 수신한 이후에, 그 UE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그 네트워크 노드는 그 UE를 위해 서빙 빔(들) 및/또는 서빙 TRP(들)을 변경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TRP(들)가 변경 탐지를 위한 시그날링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네트워크는 그 UE를 위해 서빙 빔(들) 및/또는 서빙 TRP(들)을 변경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3 및 도 24는 셀 변경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접속 상태에서의 이동성을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들을 도시한다.
NR에서, 새로운 상태 (예를 들면, 비활성 상태)는 LTE에서 이미 존재하는 RRC 접속 상태 및 RRC 아이들 상태에 추가하여 고려된다. 그 새로운 상태는 RRC 접속 상태의 서브-상태, RRC 아이들 상태의 서브-상태, 또는 접속 상태나 아이들 상태에 속하지 않은 독립적인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상태는 비활성 상태, 접속 비활성 상태, RAN 제어 상태로 언급될 수 있다. 그 새로운 상태의 특성들은 3GPP R2-168856에서 다음처럼 설명된다:
5.5.2 UE 상태들 및 상태 천이 (transition)
RRC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는 다음의 세 상태들을 지원한다:
- RRC_IDLE:
- 셀 재-선택 이동성;
- [FFS: UE AS 컨텍스트는 어떤 gNB에도 또는 UE에 저장되지 않는다;]
- 페이징은 CN에 의해 개시된다;
- 페이징 영역은 CN에 의해 관리된다.
- RRC_INACTIVE:
- 셀 재-선택 이동성;
- CN - NR RAN 접속 (C/U-평면들 모두)은 UE에 대해 확립되었다;
- UE AS 컨텍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gNB 및 UE 내에 저장된다;
- 통지는 NR RAN에 의해 개시된다;
- RAN-기반 통지 영역은 NR RAN에 의해 관리된다;
- NR RAN은 UE가 속한 RAN-기반 통지 영역을 알고 있다;
- RRC_CONNECTED:
- UE는 NR RRC 접속을 가진다;
- UE는 NR 내에 AS 컨텍스트를 가진다;
- NR RAN은 UE가 속한 셀을 알고 있다;
- UE로/로부터 유니캐스트 데이터 전달;
- 네트워크 제어 이동성, 즉, NR 내의 그리고 E-UTRAN로/로부터의 핸드오버.
추가로, 상기 새로운 상태에 대한 다음의 원칙들이 3GPP R2-168856에서 또한 규정된다:
o RAN 제어 상태의 UE들은 RAN/CN 내 최소의 시그날링, 최소 전력 소비, 최소 리소스 비용들을 초래하며, 이 상태를 활용하는 UE들의 개수를 최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o RAN 제어 상태 내의 UE들은 (RAN 요구사항들에 의해 요청된 것처럼) 낮은 지연을 가진 데이터 전달을 시작할 수 있어야 한다.
o "새로운 상태"에 있는 UE에 대해, RAN 개시 통지 절차는 UE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통지는 RAN 그 자체에 의해 설정되어야만 한다.
o "새로운 상태"에 있는 UE에 대해, RAN은 UE가 하나의 "RAN-기반 통지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으로 이동할 때마다 인식해야만 한다.
o '새로운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이 발생할 수 있는 완전한 접속 상태로 UE가 첫 번째로 전이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할 것이다.
o UE가 완전하게 접속될 '새로운 상태'로부터 상태 전이 (transition)없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가능성이 연구될 것이다.
o RRC_INACTIVE 상태에서, UE 위치는 RAN 기반 영역 레벨에서 알려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그 영역은 단일 셀 또는 하나보다 많은 셀일 수 있다. 영역은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된다.
o 비활성시에 TA 경계를 횡단할 때에 UE는 (RAN 영역들에 기반한 RAN 업데이트들에 추가로) CN 레벨 위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o NR 셀의 시스템 정보 내에 NG 코어/CN 위치 영역 코드 (추적 영역 코드와 유사함) 브로드캐스트가 존재할 것이다.
o RAN 기반 통지 영역은 UE-특정이며 그리고 전용의 시그날링을 경유하여 gNB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o NR 셀의 시스템 정보 내에 유일 글로벌 셀 ID 브로드캐스트가 존재할 것이다.
o 비활성 상태에 대해, TA (tracking area)보다 더 작은 RAN 기반 통지 영역으로 UE를 설정하기 위한 방식이 존재할 것이다.
o RAN 통지 영역은 단일 셀 또는 다수의 셀들을 커버할 수 있다.
o NR RRC_INACTIVE 상태에서의 UE는 다른 RAT에 대한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몇몇의 경우들 (GERAN, UTRAN, EPC에 접속된 레거시 LTE)에서 상기 UE는 그 RAT 내에서 아이들 상태에 진입한다)). LTE가 NG 코어에 접속된 경우에 FFS 타겟 상태.
UE는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 빔, 예를 들면, 서빙 빔을 유지하기 위해 빔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빔 관리는 3GPP TS 5G.321에서 설명된 다음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o 빔 피드백 절차;
o 빔 변경 절차; 그리고
o 빔 조절 요청 절차.
추가로, UE는 DL 제어 채널 (예를 들면, PDCCH) 모니터링을 제어하기 위해 DRX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그래서 UE 배터리 소비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한다. DRX 활성 시간은 3GPP TS 36.321, TS 36.300, 및 TS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서 규정된다. DRX가 설정될 때에, DRX 활성 시간이 아닌 시간은 DRX 비활성 시간으로 언급될 수 있다. KT 5G MAC 규격 TS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 기반하여, 빔 관리는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계속될 수 있다. 빔 관리는 UE 전력을 소모하는 계속적인 BRS (Beam Reference Signal) 관리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TS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 따라, 업링크가 동기화되지 않을 때에 (즉, 시간 정렬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지 않다) UE는 BSI 보고를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고정 UE들, 트래픽 진행이 없는 UE들, 또는 활성 서비스가 없는 UE들에 대해서 DRX 비활성화 시간 동안에 빔 관리를 계속하는 것이 항상 유리하지는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접속 상태에서의) UE는 DRX 비활성화 시간 동안에 빔 관리를 중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UE는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BRS 측정 및 BSI 보고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빔 관리를 계속하는 것은 다음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감소된 레이턴시의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 전달을 위한 필요성이 있을 때에 UE는 어느 빔을 사용하는가를 알기 때문이다. 이것은 민감한 레이턴시 요구사항을 가진 서비스들을 위해서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절충안으로서,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빔 관리를 계속하는가의 여부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어가능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gNB)는 UE의 현재 활성 서비스의 QoS에 기반하여 그것을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빔 관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는 적어도 UL 동기화 상태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면, UL이 동기화되지 않을 때에 UE는 빔 관리 수행을 중단할 수 있을 것이다.
비활성 상태의 UE에 대해 유사한 문제들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동일한 이유에 기반하여, 비활성 상태 동안에 빔 관리를 계속하는 것이 항상 유익하지는 않을 수 있다. 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UE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의 경우에 위에서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UE는 비활성 상태 (내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빔 관리를 중단할 수 있다. 대안으로, 비활성 상태 (내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빔 관리를 계속하는가의 여부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설명되었듯이, 빔 관리는 UE의 서빙 빔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빔 관리에 관하여, UE의 서빙 빔이 결정된 이후에, 그 UE는 현재의 서빙 빔이 유효한가 또는 아닌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서빙 빔에 관한 측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 측정 결과는 네트워크 노드로 보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빔을 변경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들에서 (예를 들면,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비활성 상태 동안 등등), 빔 관리는 계속되지 않을 수 있다. 빔 관리가 수행되지 않는 시간 동안에, UE는 현재의 서빙 빔이 여전히 유효한가 아닌가의 여부에 관해서는 알지 못한다. 현재의 서빙 빔이 유효한가의 여부를 UE가 판별하기 위한 방법이 아래에서 고려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의 서빙 빔이 유효한가 아닌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타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그 타이머는 서빙 빔 유효성 타이머로 불릴 수 있다. UE는 서빙 빔(들)을 위해 타이머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타이머의 길이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 길이는 0이거나 또는 무한대일 수 있다. 그 타이머를 다루는 것은 다음의 행동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o 상기 타이머는 서빙 빔(들) 판별이나 업데이트에 응답하여 시작되거나 재시간될 수 있다. 서빙 빔(들)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의 정보에 기반하여 판별되거거나 또는 UE에 의해 판별되어 네트워크 노드에게 통보된다.
o 타이머는 빔 추적 및/또는 현재 서빙 빔(들)에 관한 빔 측정 실행에 (그리고 현재의 서빙 빔(들)은 서빙 빔인 것의 기준을 여전히 충족시킨다 (예를 들면, 품질이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또는 그것이 최선 빔이다)는 것에) 응답하여 재시작될 수 있다. 상기 빔 추적 및/또는 빔 측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노드 (e.g., xPDCCH 오더)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o 상기 타이머는 현재 서빙 빔(들)의 측정 결과를 네트워크 노드에게 보고하는 것에 (그리고 현재의 서빙 빔(들)은 서빙 빔인 것의 기준을 여전히 충족시킨다는 것에, 예를 들면, 품질이 임계치보다 더 크거나 또는 그것이 최선 빔이라는 것에) 응답하여 재시작될 수 있다. 그 보고하는 것은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상기 보고는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 및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서 설명된 BRI 보고 또는 BSI 보고일 수 있다.
o 상기 타이머는 현재의 서빙 빔(들)을 경유한 DL 수신 또는 UL 전송에 응답하여 재시작될 수 있다.
o 예를 들면, 현재의 서빙 빔(들)이 더 이상 서빙 빔일 수 없거나, 서빙 빔이기 위한 기준이 충족되지 않거나, 또는 UE가 비활성 상태에 진입한다면, 상기 타이머는 중단될 수 있다.
o 상기 타이머가 기간만료되거나 중단될 때에, UE는 상기 서빙 빔(들)이 유효하지 않을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o 상기 타이머가 기간만료되거나 중단될 때에, UE는 빔 관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을 때에, UE는 현재의 서빙 빔(들)이 유효한 것으 간주할 수 있다. 그 UE는 데이터 전달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때에 데이터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상기 서빙 빔(들)을 사용할 수 있다.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 UE는 연관된 서빙 빔(들)이 유효하지 않을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리고 (데이터 전달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때에) 데이터 전송 및/또는 수신 이전에 처음으로 적어도 새로운 서빙 빔을 찾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UE는 그 UE의 서빙 빔(들)을 경유하여 DL 제어 채널 (예를 들면, PDCCH, xPDCCH) 상에서 DL 제어 시그날링을 모니터할 수 있다.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에 따라, UE는 xPDCCH, xPDSCH, CSI-RS, xPUCCH, xPUSCH, 및 xSRS가 상기 UE의 서빙 빔을 경유하여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수신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UE의 서빙 빔(들)이 유효하지 않다고 간주되거나 또는 UE가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가지지 않는다면, UE가 DL 제어 채널 (예를 들면, xPDCCH)을 모니터하는 것이 어느 빔인가는 명확하지 않다.
UE가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가지지 않는다면, 그 UE는 그 UE의 최선 빔을 경유하여 DL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수 있다. 상기 UE는 BRS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최선 빔을 찾을 수 있다. 그 최선 빔은 가장 높은 RSRP (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를 가진 빔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DL 제어 채널을 전송하기 위해 빔들을 스윕 (sweep)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UE가 그 DL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UE는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빔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타이밍들에서 DL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수 있다. 그 다수의 타이밍들은 네트워크 노드의 모든 빔을 커버할 수 있다.
UE는 새로운 서빙 빔을 표시하기 위한 시그날링, 또는 서빙 빔이기에 적합한 빔을 찾기 위한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시그날링 (예를 들면, BSI 보고 또는 BRI 보고)을 수신하기 위해 DL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수 있다.
UE가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한 업링크 데이터를 가질 때에, 그 UE는, 예를 들면, 3GPP TS 36.321에서 설명된 것처럼 스케줄링 요청을 경유하여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몇몇의 업링크 리소스를 요청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UE의 서빙 셀이 빔포밍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UE는 데이터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또는 서빙 빔 유효성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을 때에) 현재의 서빙 빔이 유효할 때에, 상기 UE는 서빙 빔(들)을 경유하여 정상적인 스케줄링 요청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의 경우들에서 상기 UE가 업링크 데이터 전달에 대한 필요성을 가질 때에 그 UE가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DRX 비활성화 시간 동안에 빔 관리가 계속되지 않는다면 또는 서빙 빔 유효성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전송을 위해 업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하다. DRX 비활성 시간 내의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 (예를 들면, 빔 피드백)가 중단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UE는 서빙 빔을 유효하지 않을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리고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스케줄링 요청 절차는 사용될 수 없다. UE가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가지지 않을 때에 업링크 데이터 도착을 처리하는 것은 아래에서 고려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UE가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한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지만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가지지 않을 때에 (예를 들면, 빔 관리가 중단되는 경우의 시간 구간 동안의 전송을 위해 업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하다), UE는 UL 리소스들을 획득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서 적어도 특정 빔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 UE는 UL 동기화될 수 있다. UE는 BRS를 측정함으로써 그 특정 빔을 찾을 수 있다. 그 특정 빔은 상기 UE에 의해 측정된 빔들 사이에서 최선 빔일 수 있다. 그 최선 빔은 가장 높은 RSRP를 가진 빔일 수 있다. 그 빔은 동일 셀에, 예를 들면, 상기 UE의 서빙 셀에 속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은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다. 그 요청은 스케줄링 요청일 수 있다. 그 요청은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 및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서 설명된 BRI 보고, BSI 보고, 또는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일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전송한 이후에, UE는 그 특정 빔을 경유하여 상기 요청의 응답을 모니터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그 특정 빔을 경유하여 상기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그 응답은 랜덤 액세스 응답일 수 있다. 그 응답은 빔 업데이트 커맨드일 수 있으며 또는 UE에게 BSI 또는 BRI를 보고할 것을 통지할 수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UE를 위해 새로운 서빙 빔(들)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응답은 업링크 그랜트를 포함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빔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타이밍들에서 상기 요청을 바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네트워크가 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 다수의 타이밍들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모든 빔을 커버한다. UE는 상기 요청의 응답을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응답을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새로운 서빙 빔 결정을 트리거하기 위해 상기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서 특정 빔을 찾는 것 대신에, UE는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에서 규정된 것처럼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할 수 있으며, 그 동안에 서빙 빔(들)이 결정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UE로 전송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가질 때에, 그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UE의 서빙 빔을 경유하여 그 UE로 다운링크 할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는 다운링크 할당에 기반하여 DL 데이터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UE가 UL 동가화될 때에 DRX 활성 시간 동안에 상기 다운링크 할당은 상기 UE로 전송될 수 있다.
UE의 서빙 셀이 빔포밍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를 위해, 상기 UE는 데이터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유지할 수 있다. 몇몇의 경우들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UE로 전송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가질 때에 그 UE는 유효한 서빙 빔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UE가 UL 동기화되지 않았을 때에, UE가 DRX 비활성 시간에 있을 때에, 또는 UE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에 빔 관리는 계속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런 경우들에서, 다운링크 할당은 UE의 서빙 빔을 경유하여 그 UE로 전송될 수 없다. UE가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가지지 않을 때에 또는 서빙 빔 유효성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 다운링크 데이터 도착을 처리하는 것은 아래에서 고려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E가 어떤 유효한 서빙 빔도 가지지 않고, UE의 UL이 동기화되지 않고,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전송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가진다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UL 전송을 위한 요청을 (예를 들면, 빔 스위핑을 이용하여) 상기 UE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 요청은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 및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에 대한 요청,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기 위한 요청, BSI 보고를 위한 요청, 또는 BRI 보고를 위한 요청일 수 있다. UE는 상기 요청을 특정 빔을 경유하여 모니터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빔은 BRS를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 특정 빔은 상기 UE에 의해 측정된 빔들 중에서의 또한 최선 빔일 수 있다. 그 최선 빔은 가장 높은 RSRP를 가진 빔일 수 있다. 그 빔들은 동일한 셀 (에를 들면, 상기 UE의 서빙 셀)에 속할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특정 빔을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상기 요청을 다음의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에서 모니터할 수 있다: DRX 활성 시간 (예를 들면, 지속시간) 동안에 또는 DRX 활성 시간에 진입할 때쯤, UE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면, PDCCH) 상에서 물리 레이어 시그날링 (예를 들면, 다운링크 할당)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빔 피드백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인 구간 (예를 들면, DRX 비활성 시간)을 UE가 떠날 때. PDCCH는 UE의 C-RNTI 또는 P-RNTI (즉, 페이징 수신 (paging reception)을 위한 RNTI)로 주소지정될 수 있다. P-RNTI로 주소지정된 PDCCH를 수신한 이후에, UE는 그 PDCCH와 연관된 PDSCH 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더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다운링크 데이터 도착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을 모니터하기 위한 특정 빔을 발견하는 것 대신에, UE는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빔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타이밍들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모니터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UE가 상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타이밍들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모든 빔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UE는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 및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서 설명된 것처럼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 BSI 보고, 또는 BRI 보고를, 상기 요청이 수신된 빔에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빔 스위핑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3GPP TS 36.213에 따르면, 현재의 서빙 빔이 제대로 정렬되어 있지 않으며 그리고 빔 복구를 위한 BSI들을 가진다는 것을 UE가 탐지한다면, 그 UE는 빔 복구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UL 동기화된 UE (예를 들면, 시간 정렬 타이머가 동작하고 있거나 상기 UE가 유효한 TA (Timing Advance)를 가진다)에 대한 빔 복구 절차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o 상기 UE는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gNB)에게 통지하기 위해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을 전송한다.
o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BSI 보고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DL 제어 시그날링 (예를 들면, xPDCCH 오더)을 전송한다.
o 상기 UE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서빙 빔을 선택하기 위한 BSI를 보고한다.
추가로,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에 따라, UE는 xPDCCH, xPDSCH, CSI-RS, xPUCCH, xPUSCH, 및 xSRS가 상기 UE의 서빙 빔을 경유하여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수신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빔 복구의 경우에 대해, 현재의 서빙 빔이 제대로 정렬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서빙 빔을 경유한 UL 및/또는 DL 전송은 성공적으로 인도될 수 없을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모습들이 고려될 수 있다.
UE는 네트워크 노드의 상이한 빔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타이밍들에서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들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타이밍들은 상기 네트워크의 모든 빔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DL 제어 시그날링 (예를 들면, xPDCCH 오더)을 상기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이 수신되었던 빔을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는 상기 DL 제어 시그날링이 수신된 빔을 경유하여 BSI를 보고할 수 있다.
도 25는 네트워크 노드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2500)이다. 단계 2505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UE에게 설정을 전송하며, 여기에서 상기 설정은 상기 UE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표시한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면,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UE에게 설정을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여기에서 상기 설정은 상기 UE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표시한다. 또한, CPU (308)는 위에서 설명된 행동들 및 단계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6은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2600)이다. 단계 2605에서, 상기 UE는 설정을 수신하며, 여기에서 상기 설정은 상기 UE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표시한다. 단계 2610에서, 상기 UE는 상기 설정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면, 네트워크 노드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설정을 수신하도록 하며, 여기에서 상기 설정은 상기 UE가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표시하며, 그리고 상기 설정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또한, CPU (308)는 위에서 설명된 행동들 및 단계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서 도시된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DRX 비활성 시간일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특정 시간 구간은 상기 UE가 비활성 상태에 있을 때의 지속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UE가 빔 관리를 수행한다고 상기 설정이 표시하면, 그 UE는 그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UE가 빔 관리를 수행하지 않는다고 상기 설정이 표시하면, 상기 UE는 그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UE가 상기 설정을 수신하지 않는다면, 그 UE는 상기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한다. 대안으로, UE가 상기 설정을 수신하지 않는다면, 그 UE는 상기 시간 구간 동안에 빔 관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도 27은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2700)이다. 단계 2705에서, 상기 UE는 적어도 서빙 빔을 유지한다. 단계 2710에서, 서빙 빔과 연관된 타이머가 기간만료되거나 중지할 때에 상기 UE는 그 서빙 빔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UE의 서빙 빔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서빙 빔은 상기 타이머가 기간만료될 때에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서빙 빔이 결정되거나 업데이트될 때에, 빔 추적 또는 빔 관리가 끝날 때에, 그리고/또는 측정 결과가 보고될 때에 시작되거나 재시작될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는 현재의 서빙 빔의 라디오 상태들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측정 결과는 TS 5G.213, "KT 5G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 및 5G.321, "KT 5G MAC protocol specification (Release 1)"에서 설명된 BRI 보고 및/또는 BSI 보고일 수 있다.
서빙 빔이기 위한 기준을 현재의 서빙 빔이 충족하지 않는다 (예컨대, 라디오 품질이 충분하게 양호하지 않다)는 것을 상기 UE가 탐지할 때에 상기 타이머는 중지될 수 있다. 그 타이머는 빔 관리가 중단될 때에 중지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타이머의 길이는 제로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적어도 서빙 빔을 유지하도록 하며, 그리고 (ii) 서빙 빔과 연관된 타이머가 기간만료되거나 중지할 때에 그 서빙 빔을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또한, CPU (308)는 위에서 설명된 행동들 및 단계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8은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2800)이다. 단계 2805에서, 전송을 위해 업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에 상기 UE는 유효 서빙 빔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2810에서, 상기 UE는 특정 빔을 선택하고 그리고 UE가 유효 서빙 빔을 가지지 않는다면 그 특정 빔을 경유하여 요청을 전송한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전송을 위해 업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에 유효 서빙 빔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ii) 특정 빔을 선택하고 그리고 UE가 유효 서빙 빔을 가지지 않는다면 그 특정 빔을 경유하여 요청을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CPU (308)는 위에서 설명된 행동들 및 단계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9는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2900)이다. 단계 2905에서, 상기 UE는 서빙 셀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유지한다. 단계 2910에서, 전송을 위해 업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에 상기 U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2915에서, 상기 UE는 서빙 셀의 특정 빔을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하지 않다면 그 특정 빔을 경유하여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요청을 전송한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서빙 셀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유지하도록 하며, (ii) 전송을 위해 업링크 데이터가 이용가능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iii) 서빙 셀의 특정 빔을 선택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하지 않다면 그 특정 빔을 경유하여 업링크 리소스를 위한 요청을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CPU (308)는 위에서 설명된 행동들 및 단계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서 보여지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상기 UE는 BRS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특정 빔은 상기 UE에 의해 측정된 최선 빔일 수 있다. 그 최선 빔은 가장 높은 RSRP를 가진 빔일 수 있다.
상기 요청은 업링크 리소스들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요청은 스케줄링 요청,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BSI 보고, 또는 BRI 보고일 수 있다. 상기 UE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하다면 상기 요청을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30은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3000)이다. 단계 3005에서, UE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을 때에 상기 UE는 유효 서빙 빔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3010에서, UE는 특정 빔을 선택하고 그리고 UE가 유효 서빙 빔을 가지지 않는다면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한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UE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을 때에 유효 서빙 빔이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ii) 특정 빔을 선택하도록 하고 그리고 UE가 유효 서빙 빔을 가지지 않는다면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도록 한다. 또한, CPU (308)는 위에서 설명된 행동들 및 단계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1은 UE의 관점으로부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3100)이다. 단계 3105에서, 상기 UE는 서빙 셀 내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유지한다. 단계 3110에서, UE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을 때에 상기 U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3015에서, 상기 UE는 상기 서빙 셀의 특정 빔을 선택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하지 않다면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한다.
도 3 및 도 4로 돌아가면, UE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 (300)는 메모리 (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312)를 포함한다. CPU (308)는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하여, (i) 서빙 셀 내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유지하도록 하며, UE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필요가 있을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가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며, 그리고 (iii) 상기 서빙 셀의 특정 빔을 선택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하지 않다면 상기 특정 빔을 경유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도록 한다. 또한, CPU (308)는 위에서 설명된 행동들 및 단계들 모두 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것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312)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8 및 도 29에서 보이는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상기 UE는 BRS 측정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특정 빔은 상기 UE에 의해 측정된 최선 빔일 수 있다. 그 최선 빔은 가장 높은 RSRP를 가진 빔일 수 있다.
UE의 업링크는 동기화되지 않을 수 있다. UE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경유하여 요청을 수신한다면, 상기 UE는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그 응답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스케줄링 요청 프리앰블, BSI 보고, 또는 BRI 보고일 수 있다.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예를 들면, PDCCH)일 수 있다. 상기 UE는 DRX 활성 시간 (예를 들면, 지속시간) 동안에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1에서 도시된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상기 빔 관리는 서빙 셀 및 이웃 셀들의 빔들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관리는 현재의 서빙 빔이 충분하게 양호한가의 여부 및/또는 서빙 빔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가의 여부를 추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 관리는 빔 피드백 절차, 빔 변경 절차, 및/또는 빔 조절 요청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데이터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빔포밍을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접속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업링크 타이밍은 UE에 대해 동기화될 수 있다. 상기 UE의 타이밍 정렬 타이머는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에 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DRX 비활성 시간 동안에 빔 피드백 절차가 계속되지 않는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은 DRX (Discontinuous Reception) 비활성 시간 동안에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UE의 업링크가 동기화되지 않았을 때에 빔 피드백 절차가 계속되지 않는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은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타이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UE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들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반하여,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는 빔 관리가 계속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추가로, 빔 관리를 계속하지 않는 부작용들, 예를 들면, 서빙 빔이 유효하지 않게 되는 것은 잘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 개시의 다양한 모습들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본원의 교시들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상기 특정 구조 및 기능 모두가 단지 대표적인 것들이라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본원의 교시들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에 개시된 한 실시형태가 다른 어떤 실시형태들과는 무관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형태들 중 2가지 이상의 실시형태가 여러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다수의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하나의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원에 기재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에 추가해서나 또는 본원에 기재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과는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 및 기능성을 사용하여 그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위의 개념들 중 몇몇 개념들의 일 예로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 (concurrent channel)들이 펄스 반복 주파수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들이 펄스 위치 또는 오프셋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들이 타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는, 동시 채널들이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및 시간 호핑 시퀀스들을 기반으로 하여 확립될 수 있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듯이, 정보 및 신호들은 다른 여러 기술 및 기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할 수 있는 데이터, 명령어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 (optical field)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관하여 설명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예컨대, 소스 부호화 또는 다른 어떤 기법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상기 2가지의 조합), (편의상 본원에서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언급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통합 명령어들,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호환성(interchangeability)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여러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에 대하여 위에서 전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든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든 전체 시스템에 강제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위에서 설명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원의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게다가,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관하여 설명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집적 회로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IC는, 본원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기기,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전기 구성요소들, 광학 구성요소들, 기계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IC 내부에, 상기 IC 외부에, 또는 상기 IC 내부 및 외부에 상주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변형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가 기존의 어떤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기기들,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체,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에 개시된 어떤 프로세스에서의 단계들의 어떠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라도 예시적인 접근 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설계상의 선호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프로세스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본원의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한 재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수반되는 방법의 청구항들은 예시적인 순서로 여러 단계 요소들을 기재하고 있으며, 상기 청구항들에 기재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한정되도록 의미를 부여한 것은 아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들 2가지의 조합으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기타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데이터 메모리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예컨대,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프로세서 (편의상 "프로세서"로서 본원에 언급될 수 있음)와 같은 기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합체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상기 ASIC는 사용자 장비에 상주해 있을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장비 내의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상주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 형태들에서는, 적합한 어떤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이 본원의 개시의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들에 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 형태들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포장재(packaging materials)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여러 실시형태와 연관지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부가적인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따르고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되고 관례적인 실시에 부속되는 그러한 본원의 개시으로부터의 이탈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들, 이용들 또는 개조를 포괄하고자 한 것이다.

Claims (20)

  1. DRX(Discontinuous Reception)을 구비하는 UE(User Equipment)의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때, DRX 활성 시간 및 DRX 비활성 시간 모두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특정 빔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빔을 통해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DRX 활성 시간 동안 서빙 셀에 대한 상기 측정의 결과를 보고하는 빔 피드백 절차가 수행되고 상기 DRX 비활성 시간 동안 상기 빔 피드백 절차가 수행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RX 활성 시간은 지속시간(on-duration) 타이머가 실행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스케줄링 요청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빔 참조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빔을 선택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빔은 가장 높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를 갖는 빔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비활성 시간은 상기 DRX 활성 시간 외의 시간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DRX 활성 시간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서빙 빔을 통해 PDCCH 상에서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DRX 활성 시간은 DRX 비활성 타이머 또는 DRX 재송신 타이머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경쟁 해소 타이머가 실행중인 시간, 또는
    스케줄링 요청이 PDCCH 상에서 전송되거나 팬딩중인 시간, 또는
    MAC 엔터티에 의해 선정되지 않은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의 성공적인 수신 후에 상기 MAC 엔터티의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어드레싱하는 새로운 송신을 지시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수신되지 않은 시간을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통해 업링크 리소스 획득을 위한 상기 요청을 송신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타이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11. 제어 회로,
    상기 제어 회로에 인스톨된 프로세서,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인스톨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동작적으로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을 구비하는 UE(User Equipment)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때, DRX 활성 시간 및 DRX 비활성 시간 모두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특정 빔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빔을 통해 업링크 리소스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되, 상기 DRX 활성 시간 동안 서빙 셀에 대한 상기 측정의 결과를 보고하는 빔 피드백 절차가 수행되고 상기 DRX 비활성 시간 동안 상기 빔 피드백 절차가 수행되지 않고, 상기 DRX 활성 시간은 지속시간(on-duration) 타이머가 실행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UE.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스케줄링 요청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인, UE.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빔 참조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특정 빔을 선택하는, UE.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빔은 가장 높은 RSRP(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를 갖는 빔인, UE.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비활성 시간은 상기 DRX 활성 시간 외의 시간인, UE.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DRX 활성 시간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하는, UE.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서빙 빔을 통해 PDCCH 상에서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모니터링하는, UE.
  18. 제 11 항에 있어서,
    DRX 활성 시간은 DRX 비활성 타이머 또는 DRX 재송신 타이머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경쟁 해소 타이머가 실행중인 시간, 또는
    스케줄링 요청이 PDCCH 상에서 전송되거나 팬딩중인 시간, 또는
    MAC 엔터티에 의해 선정되지 않은 프리앰블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의 성공적인 수신 후에 상기 MAC 엔터티의 C-RNTI(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어드레싱하는 새로운 송신을 지시하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가 수신되지 않은 시간을 포함하는, UE.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을 통해 업링크 리소스 획득을 위한 상기 요청을 송신하는, UE.
  20. 제 11 항에 있어서,
    타이머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빔이 유효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UE.
KR1020190095626A 2016-12-13 2019-08-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04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3444P 2016-12-13 2016-12-13
US62/433,444 2016-12-1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875A Division KR20180068282A (ko) 2016-12-13 2017-11-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230A KR20190095230A (ko) 2019-08-14
KR102204020B1 true KR102204020B1 (ko) 2021-01-18

Family

ID=606274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875A KR20180068282A (ko) 2016-12-13 2017-11-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190095626A KR102204020B1 (ko) 2016-12-13 2019-08-0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875A KR20180068282A (ko) 2016-12-13 2017-11-2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40753B2 (ko)
EP (1) EP3337055B1 (ko)
JP (3) JP2018098783A (ko)
KR (2) KR20180068282A (ko)
CN (1) CN108462515B (ko)
ES (1) ES2953534T3 (ko)
TW (2) TWI6445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0052B (zh) * 2015-11-10 2021-03-01 美商Idac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和無線通訊方法
US10541741B2 (en) 2016-05-26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498406B2 (en) * 2016-05-26 2019-12-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181891B2 (en) 2016-05-26 2019-01-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US10651899B2 (en) 2016-05-26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switching and reporting
CN106714126A (zh) * 2016-12-30 2017-05-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下行数据传输方法、装置和设备
EP3352382A1 (en) * 2017-01-19 2018-07-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system and apparatus
KR102571341B1 (ko) 2017-02-03 2023-08-29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
JP6840857B2 (ja) 2017-03-23 2021-03-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下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ユーザ機器
CN110832787A (zh) * 2017-07-04 2020-02-2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Ue波束训练期间的ue rx波束切换
JP2019033420A (ja) * 2017-08-09 2019-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993183B2 (en) * 2017-08-11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Wake up procedure using pseudo-omni beam
US11184848B2 (en) * 2017-08-11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ed discontinuous reception wake up procedure
US11039499B2 (en) 2017-08-11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wake up procedures
WO2019034996A1 (en) * 2017-08-16 2019-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ERGY EFFICIENT WAITING WITH OPTIMUM BEAM SEARCH BEFORE ACCESS
CN111052624B (zh) * 2017-09-01 2022-03-1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小区中的波束管理
US10567064B2 (en) 2017-09-08 202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recovery for partial control channel failure
CN111247867B (zh) 2017-09-08 2023-10-2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具有连接模式不连续接收的新无线电波束管理报告操作
US10477553B2 (en) * 2017-10-31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Aggressive beam selection during handover procedure
TWI650037B (zh) * 2017-12-05 2019-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一種集中式無線存取網路控制方法
US10772151B2 (en) 2018-01-05 2020-09-08 Ofinno, Llc Beam management in discontinuous reception
US10784944B2 (en) 2018-01-09 2020-09-22 Ofinno, Llc Timing advance in 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transmission
KR20190099841A (ko) 2018-02-20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677225B (zh) * 2018-07-02 2021-01-15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上报及接收参考信号的方法和设备
WO2020013873A1 (en) * 2018-07-12 2020-01-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aving in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US11729810B2 (en) 2018-07-13 2023-08-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ower savings in discontinuous transmission operation
EP3846572A4 (en) * 2018-08-31 2021-09-22 Fujitsu Limited DIRECT ACCESS PROCEDURES, DATA RECEPTION PROCEDURES AND DEVICE FOR IT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855345B2 (en) 2018-09-28 2020-12-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neralized beam management framework
US11019627B2 (en) 2018-09-28 2021-05-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signal alignment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1089549B2 (en) 2018-10-12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Power-efficient DRX for multi-link communication
EP3841796B1 (en) * 2018-10-31 2024-02-28 Sony Group Corporation Beam management in disconnected mode
EP3874612A1 (en) * 2018-11-01 2021-09-08 Convida Wireless, Llc Beam failure recovery on a non-failed cell
CN112970204A (zh) * 2018-11-15 2021-06-15 英特尔公司 用于定时感知波束管理的系统和方法
TWI698111B (zh) * 2018-11-21 2020-07-01 國立交通大學 功能分割無線前端通訊下品質體驗導向的跨層資料存取控制與波束分配之通訊系統
CN111328139A (zh) * 2018-12-14 2020-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管理的方法和装置
KR20200077024A (ko) 2018-12-20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열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집합체의 전력 백오프 방법
US11304156B2 (en) * 2019-01-04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layer aspects for hierarchical mobility
CN113424461A (zh) * 2019-02-11 2021-09-21 苹果公司 用于增强波束恢复的装置和方法
EP3925080A1 (en) * 2019-02-14 2021-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information in early measurements
WO2020171387A1 (ko) * 2019-02-22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빔 스위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404398B2 (ja) * 2019-05-01 2023-12-25 ノキア テクノロジーズ オサケユイチア データベース障害からの回復を含む最適化されたユーザ機器能力シグナリング
US11664871B2 (en) * 2019-06-10 2023-05-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E initiated beam reporting
US20210051651A1 (en) * 2019-08-15 2021-02-18 Qualcomm Incorporated Media access control procedures for beam index indications
US11750351B2 (en) * 2019-08-30 2023-09-05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ng on a sidelink channel using a MAC-CE
EP4022797A4 (en) * 2019-10-03 2023-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THE BEAM SEARCH SPACE FOR SELECTING AN OPTIMAL BEAM
US11516652B2 (en) * 2019-12-13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apability and enablement indication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based beam and path loss (PL) reference signal (RS) activation
EP4046416A4 (en) * 2020-02-12 2024-01-17 Apple Inc IMPROVEMENT IN BEAM MANAGEMENT FOR OPERATION IN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DRX)
KR20220131961A (ko) * 2020-02-20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링크를 지원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빔 관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4128568A1 (en) * 2020-03-31 2023-02-08 Sony Group Corporation Beam management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A3163114A1 (en) * 2020-06-05 2021-12-09 Zte Corporation Beam state upda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230327740A1 (en) * 2020-07-21 2023-10-1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833612A (zh) * 2020-07-30 2020-10-27 合肥智企达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交通系统中的图像预警信息的传输方法及系统
CN115087081A (zh) * 2021-03-15 2022-09-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处理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45630A (en) * 2003-11-24 2008-11-16 Interdigital Tec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directional beam antenna in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US20060264184A1 (en) * 2005-02-17 2006-11-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beam combination of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s
US8606336B2 (en) 2008-03-20 2013-12-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US20130064195A1 (en) 2011-09-08 2013-03-14 Po-Yu Chang Method of Handling Random Access Procedure on Secondary Cell when Primary Cell Time Alignment Timer Expires
KR101868865B1 (ko) * 2012-03-19 2018-06-19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106539A1 (en) * 2013-01-03 2014-07-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of adaptive antenna beam forming for wireless base station in-channel self-backhauling
US9565631B2 (en) 2013-01-18 2017-0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discontinuous reception by a user equipment
US9801232B2 (en) * 2013-04-15 2017-10-24 Idac Holding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DRX) schemes for millimeter wavelength (MMW) dual connectivity
KR102087663B1 (ko) * 2013-04-17 202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빔 성형장치 및 방법
KR102071372B1 (ko) 2013-09-16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포밍을 고려한 drx 제어 방법 및 장치
RU2661934C1 (ru) * 2015-01-22 2018-07-23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ue и устройство
EP3048853B1 (en) 2015-01-26 2021-05-26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155776A1 (en) * 2015-03-30 2016-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on of a serving cell taking into consideration beamforming gains
CN106162673B (zh) * 2015-04-17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选择方法及终端设备
CN107852199B (zh) * 2015-08-10 2021-03-26 苹果公司 用于上行链路波束跟踪的增强型探测参考信令
US10700752B2 (en) * 2016-01-14 2020-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of beam-tracking and beam feedback operation in a beam-forming based system
WO2017146535A1 (en) * 2016-02-26 2017-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operation in beamformed system
WO2017162293A1 (en) * 2016-03-24 2017-09-2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Beam based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 point
CN107567038B (zh) * 2016-07-01 2021-04-2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中当服务波束为无效时管理通信的方法和设备
US10728950B2 (en) * 2016-08-26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Beam training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mode operation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7875*
3GPP R2-168816*
3GPP TSG-RAN WG2 Meeting #96, R2-167875, 2016.11.04.
3GPP TSG-RAN WG2 Meeting #96, R2-168567, 2016.11.05.
3GPP TSG-RAN WG2 Meeting #96, R2-168816, 2016.11.05.
3GPP TSG-RAN WG2 Meeting #96, R2-168850, 2016.11.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98783A (ja) 2018-06-21
JP2022031847A (ja) 2022-02-22
JP2019220982A (ja) 2019-12-26
CN108462515A (zh) 2018-08-28
KR20190095230A (ko) 2019-08-14
TW201822484A (zh) 2018-06-16
EP3337055A1 (en) 2018-06-20
US20180167883A1 (en) 2018-06-14
TWI644530B (zh) 2018-12-11
JP7320044B2 (ja) 2023-08-02
US20220116869A1 (en) 2022-04-14
EP3337055A3 (en) 2018-10-03
KR20180068282A (ko) 2018-06-21
ES2953534T3 (es) 2023-11-14
TW201904214A (zh) 2019-01-16
TWI681645B (zh) 2020-01-01
CN108462515B (zh) 2022-07-05
US11240753B2 (en) 2022-02-01
EP3337055B1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0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25333B2 (en)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executing beam recovery,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same
US1070173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lecting bandwidth part for random access (RA)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130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trac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675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의 Msg3 전송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113116B (zh) 用于共享频谱中的不连续发送(dtx)的小区切换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EP2659715B1 (en) Energy-saving base station and method
US11452168B2 (en) Resource management, access control and mobility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
KR2021009376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rach) 기반 소규모 데이터 전송 절차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281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