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622B1 - 슬러지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러지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622B1
KR102203622B1 KR1020190152112A KR20190152112A KR102203622B1 KR 102203622 B1 KR102203622 B1 KR 102203622B1 KR 1020190152112 A KR1020190152112 A KR 1020190152112A KR 20190152112 A KR20190152112 A KR 20190152112A KR 102203622 B1 KR102203622 B1 KR 102203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onnector
air
inle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수 filed Critical 김덕수
Priority to KR102019015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08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mechanical injection of the materials, e.g. by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8Screws or like rotar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50Pneuma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B65G2812/16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crew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슬러지 호퍼탱크에서 투입되는 슬러지를 제1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를 거쳐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시 선택적으로 압축에어를 공급하여 슬러지를 수 ~ 수십m의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로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고, 제1 스크류 컨베이어 내벽에 점성이 있는 슬러지가 들러붙거나 이송라인 내부에 정체하여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슬러지를 신속하게 장거리 이송이 가능한 슬러지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러지 이송 시스템 {Sludge conveying system}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누룽지, 야관문차, 녹차, 과일음료, 커피 등 건강음료를 추출기로 추출한 후 버려지는 곤죽, 껍질, 씨앗 등의 부산물인 슬러지를 장거리에 원활하고도 신속하게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 야관문차, 녹차, 과일음료, 커피 등 건강음료를 추출기로 추출한 후 버려지는 곤죽, 껍질, 씨앗 등의 부산물은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슬러지 이송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0915004호(참고문헌)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은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의 일측에 슬러지 공급호퍼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부의 저부에 케익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동체와, 상기 동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슬러지를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동체에 다수의 탈수용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탈수용 통공들에 끼인 슬러지를 세척하기 위하여 동체의 하측에, 축이 좌,우측 방향으로 왕복 회전하는 정,역회전모터와, 상기 정,역회전모터의 축에 상단부가 연결된 일측 레버와, 상단부가 동체에 설치된 축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타측 레버와, 양단이 각각 상기 일측 레버와 타측 레버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측부에 세척수 분사공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세척용 파이프를 포함하는 동체 세척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는데 구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서만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켜 슬러지를 이송시키므로 이송거리가 짧고 슬러지를 저속으로 이송이 가능해 이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송 컨베이어만의 구조로는 슬러지를 통상 수 ~ 수십m의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로 이송하는데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참고문헌 : 등록특허 제10-0915004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슬러지를 통상 수 ~ 수십m의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로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누룽지, 야관문차, 녹차, 과일음료, 커피 등 건강음료를 추출기로 추출한 후 버려지는 곤죽, 껍질, 씨앗 등의 부산물과 같이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점성이 있는 슬러지를 원활하게 장리거 이송이 가능한 슬러지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러지 호퍼탱크에서 투입되는 슬러지를 1차 이송하며 수분 제거하며 이송하는 제1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2차 이송하는 제2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슬러지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 및 이송라인에는 에어컴프레서를 통해 발생되는 압축에어를 컨트롤 판넬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는 제1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하는 제1 이송스크류와, 상기 제1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케이싱의 측면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메쉬망이 구비되고, 상기 메쉬망의 외측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에어라인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공기투입용 덕트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라인에는 컨트롤 판넬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1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에어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공기투입용 덕트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는 제1 유입구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의 일측은 낮고 제1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의 일측은 높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여 슬러지로부터 흘러내리는 침출수가 제1 케이싱의 일측 하부로 흘러내면 상기 제1 케이싱의 일측 하부의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는 제2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상기 제2 배출구로 이송하는 제2 이송스크류와, 상기 제2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의 제2 배출구에는 연결구 일단에 형성된 입구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 타단에 형성된 출구에는 슬러지 저장탱크로 슬러지를 이송하는 이송라인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서를 통해 발생되는 압축에어는 에어탱크에 압축 저장되며, 상기 에어탱크의 압축에어는 컨트롤 판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상기 연결구 및 이송라인에 선택적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의 입구 일측에는 상기 에어탱크의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제1 에어유입구가 구비되고, 제1 에어유입구에는 컨트롤 판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의 압축에어를 상기 연결구의 입구 일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제2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의 출구 일측에는 상기 에어탱크의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제2 에어유입구가 구비되며, 제2 에어유입구에는 컨트롤 판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의 압축에어를 상기 연결구의 출구 일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제3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에는 컨트롤 판넬에 의해 연결구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연결구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 판넬은 상기 연결구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연결구 내부를 개방한 후 제2 개폐밸브를 설정시간 동안 개방제어하여 에어탱크의 압축에어를 연결구의 입구 일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연결관 개폐수단 제어를 통해 연결구 내부를 폐쇄한 후 제3 개폐밸브를 설정시간 동안 개방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의 출구에 연결된 이송라인에는 슬러지를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로 이송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컨트롤 판넬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복수의 제4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4 개폐밸브는 상기 컨트롤 판넬에 의해 상기 제3 개폐밸브와 동시에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지 호퍼탱크에서 투입되는 슬러지를 제1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를 거쳐 이송라인을 통해 이송시 선택적으로 압축에어를 공급하여 슬러지를 수 ~ 수십m의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로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스크류 컨베이어에는 압축에어를 투입하여 누룽지, 야관문차, 녹차, 과일음료, 커피 등 건강음료를 추출기로 추출한 후 버려지는 곤죽, 껍질, 씨앗 등의 부산물과 같이 점성이 있는 슬러지가 스크류 컨베이어의 내벽에 들러붙거나 이송라인 내부에 정체하여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슬러지를 신속하게 장거리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시스템의 제1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시스템의 제1 스크류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시스템의 제2 스크류 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시스템의 압축에어 공급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시스템은 누룽지, 야관문차, 녹차, 과일음료, 커피 등 건강음료를 추출기로 추출한 후 버려지는 곤죽, 껍질, 씨앗 등의 부산물인 슬러지를 슬러지 호퍼탱크(2)에서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3)로 신속하게 이송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러지 이송 시스템은 슬러지 호퍼탱크(2)에서 투입되는 슬러지를 1차 이송하며 수분 제거하고 이송하는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와,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2차 이송하는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이송라인(30)을 통해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된다. 이 경우 에어컴프레서(40)를 통해 발생되는 압축에어를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 및 이송라인(30)에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슬러지의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누룽지, 야관문차, 녹차, 과일음료, 커피 등을 달인 후 추출기(1)에서 건강음료를 추출한 후 배출되는 슬러지는 슬러지 호퍼탱크(2)로 유입된다. 이러한 슬러지 호퍼탱크(2)의 슬러지는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로 투입되어 1차 이송되며 수분이 제거되며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는 제1 수용공간(11a)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11a)과 연통되는 제1 유입구(11b)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11a)과 연통되는 제1 배출구(11c)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과, 상기 제1 수용공간(11a)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구(11b)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상기 제1 배출구(11c)로 이송하는 제1 이송스크류(12)와, 상기 제1 이송스크류(12)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케이싱(11)의 상부에는 뚜껑(14a)이 구비된 마감케이싱(14)으로 마감하여 제1 수용공간(11a)이 밀폐하는 구조로서, 상기 제1 케이싱(11)의 측면에는 복수의 개구부(11d)가 형성되어 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재질의 메쉬망(15)이 구비되고, 상기 메쉬망(15)의 외측에는 에어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투입용 덕트(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쉬망(15)은 에어를 상기 제1 수용공간(11a)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제1 수용공간(11a) 내 슬러지가 제1 케이싱(11)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에어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에어라인(41)을 통해 공기투입용 덕트(16) 및 메쉬망(15)을 통해 제1 케이싱(11)의 제1 수용공간(11a) 방향으로 불어넣어 줌으로서 제1 이송스크류(12)가 회전하여 슬러지가 제1 케이싱(11)의 제1 수용공간(11a)을 이동시 수분이 함유되어 점성이 있는 슬러지가 이동중에 제1 케이싱(11)의 내벽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여 슬러지가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라인(41)에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1 개폐밸브(60)가 구비되어 에어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공기투입용 덕트(16)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투입용 덕트(16) 내에는 복수의 분사공을 갖는 에어분사파이프(16a)가 설치되어 압축에어를 제1 수용공간(11a)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스크류(12)의 축부 일단에는 종동스프로켓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모터(13)의 회전축에는 구동스프로켓이 결합되며, 상기 종동스프로켓과 구동스프로켓은 체인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모터(13)는 기어드모터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제1 이송스크류(12)와 제1 모터(13)의 구성은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의 전체적인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이와 같은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는 제1 유입구(11b)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의 일측은 낮고 제1 배출구(11c)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의 일측은 높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여 슬러지로부터 흘러내리는 침출수가 제1 케이싱(11)의 일측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며 이러한 오수는 제1 케이싱(11)의 일측 하부의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는 제2 수용공간(21a)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21a)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21b)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21a)과 연통되는 제2 배출구(21c)가 형성되는 제2 케이싱(21)과, 상기 제2 수용공간(21a)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21b)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상기 제2 배출구(21c)로 이송하는 제2 이송스크류(22)와, 상기 제2 이송스크류(22)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케이싱(21)의 제2 유입구(21b)는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의 제1 배출구(11c)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를 통과하면서 일정 수분(또는 침출수)가 제거된 슬러지가 유입되며, 이러한 슬러지는 제2 수용공간(21a)내에서 제2 모터(2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2 이송스크류(22)에 의해 제2 케이싱(21) 타측으로 이송되어 제2 배출구(21c)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스크류(22)의 축부 일단에는 종동스프로켓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모터(23)의 회전축에는 구동스프로켓이 결합되며, 상기 종동스프로켓과 구동스프로켓은 체인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모터(23)는 기어드모터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제2 이송스크류(22)와 제2 모터(23)의 구성은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의 전체적인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이와 같은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의 제2 배출구(21c)에는 연결구(70) 일단에 형성된 입구(71)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70) 타단에 형성된 출구(72)에는 이송라인(30)의 일단이 결합되어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이송라인(30)을 통해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에어컴프레서(40)를 통해 발생되는 압축에어는 에어탱크(42)에 압축 저장되며 이러한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 및 이송라인(30)에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슬러지를 고숙으로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장거리(예를 들어 60m)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의 제2 배출구(21c)에 연결되는 연결구(70)의 입구(71) 일측에는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의 제2 배출구(21c)를 통해 입구(71)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연결구(70)의 출구(72)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가 투입되며, 상기 연결구(70)의 출구(72) 일측에는 슬러지를 출구(72)에 연결된 이송라인(30)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를 투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70)의 입구(71) 일측에는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제1 에어유입구(73)가 구비되고, 제1 에어유입구(73)에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2 개폐밸브(61)가 구비되어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를 연결구(70)의 입구(71) 일측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70)의 출구(72) 일측에는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제2 에어유입구(74)가 구비되며, 제2 에어유입구(74)에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3 개폐밸브(62)가 구비되어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를 연결구(70)의 출구(72) 일측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70)에는 연결구(70)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연결구 개폐수단(75)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구 개폐수단(75)은 연결구(70)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그 개폐판을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관 개폐수단(75)은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연결구(70) 내부를 개폐하며 슬러지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구 개폐수단(75)은 차단밸브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고압 이외에 유압식 개폐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 공지의 구조로서, 제3 개폐밸브(62)가 개방되어 압축에어를 연결구(70) 내부에 투입하여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입구 방향으로 역압이 걸려 슬러지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연결구 개폐수단(75)의 제어에 따라 연결구(70) 내부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제2 개폐밸브(61)만 개방하여 압축에어를 연결구(70)의 입구(71) 쪽에서 투입하여 슬러지를 연결구(70)의 출구(72)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연결구(70)의 내부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제3 개폐밸브(62)만 개방하여 압축에어를 연결구(70)의 출구(72) 쪽에서 투입하여 슬러지를 이송라인(30)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70)의 출구(72)에 연결된 이송라인(30)에는 슬러지를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의 제4 개폐밸브(63)가 구비되며, 상기 제4 개폐밸브(63)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개폐가 제어된다. 이러한 제4 개폐밸브(63)는 개방시 압축에어를 이송라인(30)에 투입하여 슬러지를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시키며, 이 경우 상기 제3 개폐밸브(62)를 개방시 제4 개폐밸브(63)도 동시에 개방하여 연결구(70)의 출구에서 이송라인(30)으로 이송되는 슬러지가 이송라인(30) 내에 정체하여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슬러지를 신속하게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이송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슬러지 호퍼탱크(2)에서 슬러지가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의 제1 유입구(11b)를 통해 제1 수용공간(11a)으로 정량 투입하면서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제1 모터(13)를 구동시켜 제1 이송스크류(1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개폐밸브(60)를 개방 제어하여 에어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에어라인(41)을 통해 공기투입용 덕트(16) 내에는 복수의 분사공을 갖는 에어분사파이프(16a)를 통해 제1 수용공간(11a)으로 공급하여 슬러지를 제1 배출구(11c)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 경우 제1 모터(13)의 구동시간 및 제1 개폐밸브(60)의 개방시간은 설정시간(예를 들어 2초)가 이루어지며, 설정시간 경과 후 제1 모터(13)를 정지하고 제1 개폐밸브(60)를 폐쇄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컨트롤 판넬(50)은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의 제2 모터(23)를 구동시켜 제2 이송스크류(22)를 설정시간(예를 들어 3초) 동안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러지를 제2 배출구(21c)에 결합된 연결구(70) 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제2 모터(23)를 정지한다. 이 경우 제2 모터(23)의 회전속도 및 구동시간은 슬러지의 종류, 이송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2 모터(23)를 정지한 후 컨트롤 판넬(50)은 연결구 개폐수단(75)을 제어하여 연결구(70) 내부를 개방한 후, 제2 개폐밸브(61)를 설정시간(예를 들어 7 ~ 10초) 동안 개방제어하여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를 연결구(70)의 입구(71) 일측으로 공급하여 슬러지를 연결구(70)의 출구(72)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 개폐밸브(61)의 개방시간은 슬러지의 종류, 이송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 판넬(50)은 제2 개폐밸브(61)를 폐쇄하고 연결구 개폐수단(75)을 제어하여 연결구 내부를 폐쇄하여 역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관 개폐수단(75) 제어를 통해 연결구(70) 내부를 폐쇄한 후 컨트롤 판넬(50)은 제3 개폐밸브(62)를 설정시간(예를 들어 7 ~ 12초) 동안 개방하여 연결구(70) 출구(72)의 슬러지를 이송라인(30)으로 이송시키는데 이와 동시에 제4 개폐밸브(63)를 설정시간(예를 들어 7 ~ 12초) 동안 개방하여 이송라인(30)의 슬러지를 장거리(예를 들어 60m 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3)로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이송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3 및 제4 개폐밸브(62,63)의 개방시간은 슬러지의 종류, 이송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트롤 판넬(50)은 설정시간(예를 들어 7 ~ 12초) 경과 후 제4 개폐밸브(63)를 폐쇄하는 일련의 과정을 마친 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제1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30)와 복수의 개폐밸브 구동 및 개폐제어를 순차적으로 반복수행하며 슬러지를 장거리 이송한다.
이와 같이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된 슬러지는 슬러지 스크류 피더(4)를 통해 배출되어 운반수단으로 외부로 반출 처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추출기 2: 슬러지 호퍼탱크
3: 슬러지 저장탱크 10: 제1 스크류 컨베이어
11: 제1 케이싱 12: 제1 이송스크류
13: 제1 모터 15: 메쉬망
16: 공기투입용 덕트 20: 제2 스크류 컨베이어
21: 제2 케이싱 22: 제2 이송스크류
23: 제2 모터 30: 이송라인
40: 에어컴프레서 41: 에어라인
50: 컨트롤 판넬 60: 제1 개폐밸브
61: 제2 개폐밸브 62: 제3 개폐밸브
63: 제4 개폐밸브 70: 연결구
75: 연결구 개폐수단

Claims (7)

  1. 슬러지 호퍼탱크(2)에서 투입되는 슬러지를 1차 이송하며 수분 제거하며 이송하는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와,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2차 이송하는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와,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하는 이송라인(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 및 이송라인(30)에는 에어컴프레서(40)를 통해 발생되는 압축에어를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입하되;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는 제1 수용공간(11a)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11a)과 연통되는 제1 유입구(11b)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11a)과 연통되는 제1 배출구(11c)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과, 상기 제1 수용공간(11a)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입구(11b)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상기 제1 배출구(11c)로 이송하는 제1 이송스크류(12)와, 상기 제1 이송스크류(12)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케이싱(11)의 측면에는 복수의 개구부(11d)가 형성되어 메쉬망(15)이 구비되고, 상기 메쉬망(15)의 외측에는 상기 에어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에어라인(41)을 통해 공급하기 위한 공기투입용 덕트(16)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라인(41)에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제1 개폐밸브(60)가 구비되어 에어컴프레서(40)에서 발생된 압축에어를 공기투입용 덕트(16)로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 컨베이어(10)는 제1 유입구(11b)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의 일측은 낮고 제1 배출구(11c)가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의 일측은 높도록 경사진 상태로 배치하여 슬러지로부터 흘러내리는 침출수가 제1 케이싱(11)의 일측 하부로 흘러내면 상기 제1 케이싱(11)의 일측 하부의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는 제2 수용공간(21a)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21a)과 연통되는 제2 유입구(21b)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21a)과 연통되는 제2 배출구(21c)가 형성되는 제2 케이싱(21)과, 상기 제2 수용공간(21a)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입구(21b)를 통해 유입된 슬러지를 상기 제2 배출구(21c)로 이송하는 제2 이송스크류(22)와, 상기 제2 이송스크류(22)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23)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 컨베이어(20)의 제2 배출구(21c)에는 연결구(70) 일단에 형성된 입구(71)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70) 타단에 형성된 출구(72)에는 슬러지 저장탱크(3)로 슬러지를 이송하는 이송라인(3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서(40)를 통해 발생되는 압축에어는 에어탱크(42)에 압축 저장되며,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결구(70) 및 이송라인(30)에 선택적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70)의 입구(71) 일측에는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제1 에어유입구(73)가 구비되고, 제1 에어유입구(73)에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를 상기 연결구(70)의 입구(71) 일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제2 개폐밸브(6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70)의 출구(72) 일측에는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가 유입되는 제2 에어유입구(74)가 구비되며, 제2 에어유입구(74)에는 컨트롤 판넬(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를 상기 연결구(70)의 출구(72) 일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개폐되는 제3 개폐밸브(6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70)에는 컨트롤 판넬(50)에 의해 연결구(70)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연결구 개폐수단(7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판넬(50)은 상기 연결구 개폐수단(75)을 제어하여 연결구(70) 내부를 개방한 후 제2 개폐밸브(61)를 설정시간 동안 개방제어하여 에어탱크(42)의 압축에어를 연결구(70)의 입구(71) 일측으로 공급하고, 상기 연결구 개폐수단(75) 제어를 통해 연결구(70) 내부를 폐쇄한 후 제3 개폐밸브(62)를 설정시간 동안 개방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70)의 출구(72)에 연결된 이송라인(30)에는 슬러지를 장거리에 위치한 하치장의 슬러지 저장탱크(3)로 이송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컨트롤 판넬(5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복수의 제4 개폐밸브(63)가 구비되며,
    상기 제4 개폐밸브(63)는 상기 컨트롤 판넬(50)에 의해 상기 제3 개폐밸브(62)와 동시에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이송 시스템.
KR1020190152112A 2019-11-25 2019-11-25 슬러지 이송 시스템 KR102203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12A KR102203622B1 (ko) 2019-11-25 2019-11-25 슬러지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12A KR102203622B1 (ko) 2019-11-25 2019-11-25 슬러지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622B1 true KR102203622B1 (ko) 2021-01-14

Family

ID=7414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112A KR102203622B1 (ko) 2019-11-25 2019-11-25 슬러지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6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04B1 (ko) 2007-10-01 2009-09-02 최동민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
KR20110067385A (ko) * 2009-12-14 2011-06-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과열 증기와 제2 기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707329B1 (ko) * 2015-10-13 2017-02-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침전지 슬러지의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004B1 (ko) 2007-10-01 2009-09-02 최동민 슬러지 감량 이송 컨베이어
KR20110067385A (ko) * 2009-12-14 2011-06-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과열 증기와 제2 기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장치
KR101707329B1 (ko) * 2015-10-13 2017-02-15 현대제철 주식회사 침전지 슬러지의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226B1 (ko) 슬러지 처리용 탈수 및 건조 장치
CN104870748B (zh) 在隧道掘进中输送挖出料的方法和设备
CN110180826A (zh) 一种药材加工系统
CN106365403A (zh) 一种养牛场沼气发生器用沉淀槽除渣装置
KR102203622B1 (ko) 슬러지 이송 시스템
US6727090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mpost tea
KR100956631B1 (ko) 밀폐식 상하수관
US2078235A (en) Hydraulic apparatus
CN205258403U (zh) 一种棕果杀酵系统
KR101142088B1 (ko) 공기압을 이용한 협잡물 이송장치
KR100952376B1 (ko) 진공 흡입력이 부가된 수직형 스크류 이송공급장치
CN107365624A (zh) 卧式履带式棕榈鲜果刹酵装置及刹酵工艺
KR100676867B1 (ko) 탈수 케익 처리 장치
KR200445138Y1 (ko) 곡물불림장치
US20210289798A1 (en) Whole bird chiller clean in place
CN207227369U (zh) 卧式履带式棕榈鲜果刹酵装置
JP2922857B2 (ja) 連続洗浄装置
CN110448941B (zh) 一种原位微生物净化装置
CN112869206A (zh) 一种土豆清洗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239908B1 (ko) 쌀불림장치
CN109488324A (zh) 土压盾构机挖掘过程中智能防泥浆喷涌系统
US20230039780A1 (en) Rotatingly Drivable Grinding Media Mill for Obtaining Polyisoprene and/or Other Apolar Materials
CN219088375U (zh) 一种杏仁在线输送水洗去味线
CN210751380U (zh) 一种生物医药有效物质提取装置
CN111066427B (zh) 一种智能种肥药通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