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225B1 - 수냉식 히트싱크 - Google Patents

수냉식 히트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225B1
KR102203225B1 KR1020190021385A KR20190021385A KR102203225B1 KR 102203225 B1 KR102203225 B1 KR 102203225B1 KR 1020190021385 A KR1020190021385 A KR 1020190021385A KR 20190021385 A KR20190021385 A KR 20190021385A KR 102203225 B1 KR102203225 B1 KR 10220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fastening hole
fastening
heating elemen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850A (ko
Inventor
성기섭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에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2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2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수냉식 히트싱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는, 일 면에 발열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안착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체결홀에 삽입되어 발열체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체결홀의 내주면과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만입된 수용홈과, 체결홀의 내주면과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링 형상으로 만입된 걸림홈,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수용홈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 외부로 노출되어 체결부재가 체결홀에 삽입되면 일 측이 걸림홈에 걸려 체결부재를 체결홀에 고정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냉식 히트싱크{Water cooling heat sink}
본 발명은 수냉식 히트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이 요구되는 발열체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수냉식 히트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LED 소자는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항습실 내에 일정 시간 이상 수용된 채로 성능 실험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LED 소자는 기판 상에 실장된 상태로 항온항습실 내에 안착되며, 필요에 따라, LED 소자가 각각 실장된 복수 개의 기판을 서로 이격 배치하여 동시에 성능 실험을 진행하기도 한다.
한편, 장 시간동안 성능 실험이 진행되다 보면, LED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이 밀폐공간인 항온항습실 내로 분산되어 항온항습실의 온도가 높아지며, 동시에, LED 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기판의 온도가 증가하면서, LED 소자가 열화되어 정상적인 실험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항온항습실의 온도는 온도 조절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나, LED 소자가 실장된 기판 등의 국부적인 온도 증가는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국부적인 온도 증가는 실험 결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열이 흡수된 기판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기판 하부에 히트싱크와 같은 냉각장치를 장착하여 기판을 냉각시키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기판과 히트싱크를 나사로 결합하는 구조여서 히트싱크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해야 하고, 나사를 조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돌려야 하는 등 기판과의 결합 및 분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48844호 (2002. 06. 2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각이 요구되는 발열체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수냉식 히트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는, 일 면에 발열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발열체를 고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만입된 수용홈과,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링 형상으로 만입된 걸림홈, 및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홈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면 일 측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홀에 고정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고정부는 막대 형상의 나선형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체결부재 중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상기 걸림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선면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고정부는 일 측이 상기 사선면에 걸리고 타 측이 상기 수용홈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는, 선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발열체를 관통하거나 상기 발열체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홈에 삽입된 탄성고정부의 일 측이 걸림홈에 걸리면서 체결부재가 체결홀에 고정되므로, 본체부와 발열체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체결부재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체결부재가 체결홀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본체부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도 없고, 나사를 조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돌릴 필요도 없어 사용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에 발열체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냉식 히트싱크에 발열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수냉식 히트싱크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탄성고정부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체결부재가 체결홀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에 발열체가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는 발열체(H)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발열체(H)를 냉각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LED 소자가 실장되며 항온항습실 내에 설치된 기판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수냉식 히트싱크(1)가 항온항습실 내에 설치된 기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냉각이 요구되는 다양한 필요처, 예를 들어, 자체적으로 발열하는 각종 전자부품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냉식 히트싱크(1)는 수용홈(도 3의 30 참조)에 삽입된 탄성고정부(도 3의 50 참조)의 일 측이 걸림홈(도 2의 40 참조)에 걸리면서 체결부재(20)가 체결홀(도 2의 12 참조)에 고정되므로, 본체부(10)와 발열체(H)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체결부재(2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본체부(10)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도 없고, 나사를 조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돌릴 필요도 없어 사용이 간편한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수냉식 히트싱크(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수냉식 히트싱크에 발열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수냉식 히트싱크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탄성고정부의 정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는 본체부(10)와, 체결부재(20)와, 수용홈(30)과, 걸림홈(40), 및 탄성고정부(5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수냉식 히트싱크(1)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 일 면에 발열체(H)가 안착되는 안착면(11)이 형성되고, 내부에 냉매(R)가 유동하는 냉각유로(13)가 형성된다. 즉, 안착면(11)에 발열체(H)가 안착되면, 발열체(H)의 열이 냉각유로(13)를 유동하는 냉매(R)에 흡수되어 발열체(H)가 냉각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달 효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으로, 내부가 음각 형태로 오목하게 파져 냉각유로(13)를 형성한다. 냉각유로(13)는 일 측이 공급유로(14)에 연결되어 냉매(R)를 공급받고 타 측이 배출유로(15)에 연결되어 냉매(R)를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열전달 효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안착면(11)에는 서멀 그리스(thermal grease)와 같은 열전달유체(60)가 일정 두께로 도포되므로, 발열체(H)의 열은 본체부(10) 및 열전달유체(60)를 통해 냉매(R)에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냉각유로(13)는 본체부(10)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굴절 배치되는데,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R)가 공급되는 부분과 냉매(R)가 배출되는 부분이 서로 나란히 연장되어 발열체(H)의 열을 흡수하지 않은 냉매(R)와 발열체(H)의 열을 흡수한 냉매(R)가 나란히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유로(13)는 달팽이관 형상과 같이, 점차 작은 원 또는 사각형을 그리며 본체부(1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다가 다시 연장되어진 부분을 따라 점차 큰 원 또 사각형을 그리며 본체부(10)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냉각유로(13)의 냉매(R)가 공급되는 부분과 냉매(R)가 배출되는 부분이 서로 나란히 연장되어 발열체(H)의 열을 흡수하지 않은 냉매(R)와 발열체(H)의 열을 흡수한 냉매(R)가 나란히 유동함으로써, 어느 일 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열체(H)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냉각유로(13)가 본체부(10) 내부에 음각 형태로 오목하게 파져 반복적으로 굴절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냉각유로(13)는 챔버(chamber) 형태 또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 형상의 본체부(10)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안착면(11)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12)이 형성된다. 체결홀(12)은 후술할 체결부재(20)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안착면(11)으로부터 일정 깊이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2)은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홀(12)에는 체결부재(20)가 삽입된다.
체결부재(20)는 체결홀(12)에 삽입되어 발열체(H)를 고정하는 것으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의 몸통부(21)와, 몸통부(21)의 상단에 결합된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의 헤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2)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형태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20)는 일단부가 체결홀(12)에 삽입되어 발열체(H)를 본체부(10)에 고정하는데,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H)를 관통하며 체결홀(12)에 삽입되어 발열체(H)를 본체부(10)에 고정할 수도 있고, 발열체(H)를 관통하지 않고 발열체(H)의 일단부를 가압하며 체결홀(12)에 삽입되어 발열체(H)를 본체부(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체결부재(20)가 발열체(H)의 일단부를 가압하며 체결홀(12)에 삽입되는 경우, 몸통부(21)는 외주면이 발열체(H)의 외측면에 접하고 헤드부(22)는 하면이 발열체(H)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이하, 체결부재(20)가 발열체(H)를 관통하며 체결홀(12)에 삽입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발열체(H)는 체결부재(2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P)가 형성되며, 체결부재(20)는 관통구(P)를 관통하여 체결홀(12)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홀(12)의 내주면과 체결부재(20)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링 형상으로 만입된 수용홈(30)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수용홈(3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링 형상으로 만입된 걸림홈(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체결홀(12)의 내주면에 수용홈(30)이 형성되고, 체결부재(20)의 외주면에 걸림홈(40)이 형성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수용홈(30)은 체결홀(12)의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만입 형성되며, 걸림홈(40)은 체결부재(20), 특히, 몸통부(21)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만입 형성된다. 이 때, 수용홈(30)에는 탄성고정부(50)가 삽입된다.
탄성고정부(50)는 링 형상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수용홈(30)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3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고정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나선형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로써,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3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가 수용홈(30) 외부로 노출된다. 탄성고정부(5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30)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체결부재(20)가 관통구(P)를 관통하여 체결홀(12)에 삽입되면 수용홈(30)의 외부로 노출된 탄성고정부(50)의 일부가 걸림홈(40)에 걸려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체결홀(12)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나사를 반복적으로 돌리지 않고도 체결부재(2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부(10)와 체결부재(20) 중 걸림홈(40)이 형성된 어느 하나, 즉, 체결부재(20)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걸림홈(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선면(40a)이 형성될 수 있다. 사선면(40a)은 헤드부(22)와 이격된 선단과 근접한 일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홈(40)의 폭이 수용홈(30)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고정부(50)는 막대 형상의 나선형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이므로,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에 삽입됨에 따라 탄성고정부(50)는 체결부재(20)의 삽입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비틀리며 압축되어 일 측이 사선면(40a)에 걸리고 타 측이 수용홈(30)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20)는 체결홀(12)로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이동과 체결홀(12)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며 체결홀(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사선면(40a)이 헤드부(22)와 이격된 선단과 근접한 일 측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사선면(40a)은 걸림홈(4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홀(12)의 내주면과 체결부재(20)의 외주면 중 걸림홈(40)이 형성된 어느 하나는, 선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하, 체결부재(20)의 외주면 선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체결부재(20)는 헤드부(22)와 이격된 몸통부(21)의 선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체결부재(20)의 선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됨으로써,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로 삽입될 때 탄성고정부(50)가 비틀려 압축되는 방향으로 미리 가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탄성고정부(50)가 용이하게 비틀리며 압축되어 수용홈(30)과 걸림홈(40) 사이에 걸릴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탄성고정부(50)가 체결부재(20)를 체결홀(12)에 고정하는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체결부재가 체결홀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는 수용홈(30)에 삽입된 탄성고정부(50) 의 일 측이 걸림홈(40)에 걸리면서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에 고정되므로, 본체부(10)와 발열체(H)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체결부재(20)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체결홀(12)에 별도의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도 없고, 나사를 조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돌릴 필요도 없어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체부(10)의 안착면(11)에는 체결홀(12)과 관통구(P)가 서로 연통되도록 발열체(H)가 안착된다. 본체부(10)는 내부에 냉각유로(13)가 형성되며, 냉각유로(13) 내부에는 냉매(R)가 유동한다. 체결홀(12)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으로 수용홈(30)이 만입 형성되고, 체결부재(20)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으로 걸림홈(40)이 만입 형성된다. 나선형 코일 스프링을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의 탄성고정부(50)는 일부가 수용홈(30)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가 수용홈(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을 향하여 삽입됨에 따라 탄성고정부(5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의 삽입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점차 비틀리며 압축된다. 체결부재(20)는 선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탄성고정부(50)는 체결부재(20)의 선단 모서리와 접하며 비틀려 압축되는 방향으로 미리 가압될 수 있다.
체결부재(20)가 체결홀(12)에 삽입되어 수용홈(30)과 걸림홈(40)이 서로 중첩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정부(50)는 압축된 상태로 일 측이 걸림홈(40)의 사선면(40a)에 걸리고 타 측이 수용홈(30)에 걸리게 된다. 탄성고정부(50)가 압축된 상태로 걸림홈(40)과 수용홈(30) 사이게 걸리게 됨으로써, 체결부재(20)는 체결홀(1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열체(H)가 본체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는 본체부(10) 내측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되고, 냉각유로(13)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0a)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히트싱크(1)는 본체부(10) 내측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되고, 냉각유로(13)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10a)에 수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본체부(10)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달 효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통 형상의 부재로, 내측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된다. 냉각유로(13)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냉매(R)가 공급되는 부분과 냉매(R)가 배출되는 부분이 서로 나란히 연장되도록 수용공간(10a) 내에서 반복적으로 굴절 배치된다. 수용공간(10a)에는 냉각유로(13)의 외측으로 열전달매체(M)가 채워진다. 본체부(10)가 열전달 효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안착면(11)에 열전달유체(60)가 도포되며, 수용공간(10a)에 열전달매체(M)가 채워짐으로써, 발열체(H)의 열이 본체부(10)와 열전달유체(60), 및 열전달매체(M)를 통해 냉매(R)에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수냉식 히트싱크
10: 본체부 10a: 수용공간
11: 안착면 12: 체결홀
13: 냉각유로 14: 공급유로
15: 배출유로 20: 체결부재
21: 몸통부 22: 헤드부
30: 수용홈 40: 걸림홈
40a: 사선면 50: 탄성고정부
60: 열전달유체
H: 발열체 M: 열전달매체
P: 관통구 R: 냉매

Claims (5)

  1. 일 면에 발열체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발열체를 고정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링 형상으로 만입된 수용홈;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링 형상으로 만입된 걸림홈; 및
    막대 형상의 나선형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를 링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의 탄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홈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면 일 측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홀에 고정하는 탄성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체결부재 중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상기 걸림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사선면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삽입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비틀리며 일 측이 상기 사선면에 걸리고 타 측이 상기 수용홈에 걸리는 수냉식 히트싱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의 내주면과 상기 체결부재의 외주면 중 상기 걸림홈이 형성된 어느 하나는, 선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만곡된 수냉식 히트싱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발열체를 관통하거나 상기 발열체의 일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는 수냉식 히트싱크.
KR1020190021385A 2019-02-22 2019-02-22 수냉식 히트싱크 KR102203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85A KR102203225B1 (ko) 2019-02-22 2019-02-22 수냉식 히트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385A KR102203225B1 (ko) 2019-02-22 2019-02-22 수냉식 히트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50A KR20200102850A (ko) 2020-09-01
KR102203225B1 true KR102203225B1 (ko) 2021-01-14

Family

ID=7245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385A KR102203225B1 (ko) 2019-02-22 2019-02-22 수냉식 히트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2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490A (ja) 2000-11-24 2002-06-07 Denso Corp 積層冷却器
JP2004266247A (ja) * 2003-02-12 2004-09-24 Denso Corp 発熱性部品の冷却構造
JP2007214281A (ja) 2006-02-08 2007-08-23 Toshiba Corp 電力変換器用冷却器
KR200459123Y1 (ko) * 2010-01-11 2012-03-19 안홍락 도난 방지용 조명 장치
KR101919809B1 (ko) 2017-06-29 2018-11-19 (유)원테크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펜스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9970A1 (en) 2000-12-18 2002-08-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eat sink for cooling electronic chi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4490A (ja) 2000-11-24 2002-06-07 Denso Corp 積層冷却器
JP2004266247A (ja) * 2003-02-12 2004-09-24 Denso Corp 発熱性部品の冷却構造
JP2007214281A (ja) 2006-02-08 2007-08-23 Toshiba Corp 電力変換器用冷却器
KR200459123Y1 (ko) * 2010-01-11 2012-03-19 안홍락 도난 방지용 조명 장치
KR101919809B1 (ko) 2017-06-29 2018-11-19 (유)원테크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펜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50A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24148A (en) Electrically heated safety razor
US3202212A (en) Heat transfer element
RU2017134972A (ru) Картридж для системы,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JP6542872B2 (ja) 気流発生装置および気流発生装置の配列
KR102203225B1 (ko) 수냉식 히트싱크
US6435467B1 (en) Clamping device of cooling fan
US20180263843A1 (en) Massaging device having detachable shield
US2405866A (en) Electrical heating apparatus
WO2016000662A1 (zh) 一种led的散热装置
KR101665246B1 (ko) 탭 날개가 구비된 전극판 체결용 클램프
US20160025426A1 (en) Heat transfer plate
US20160356493A1 (en) Linearly-adjustable valve body
JP2007005600A (ja) ヒートシンクとこれを用いた制御盤および電気機器
EP3164918B1 (en) Corona discharge cells
EP3301999A1 (en) Light emitting diode heatsink
KR101658496B1 (ko) 간접 냉각식 정수기용 냉각장치
US5298872A (en) Low profile heater and support assembly for YIG spheres
KR102124130B1 (ko) 수냉식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항온항습조
KR101458106B1 (ko) 정수기의 냉수조
KR20090058801A (ko) 이산화탄소 반자동 용접 토치용 가스 디퓨저의 휨 강도강화장치
BR112015023015A2 (pt) Efetor de extremidade
US20120181008A1 (en) Heat sink clip device
JP2015529535A5 (ko)
US20170284649A1 (en) Led lighting fixture having a heat dissipating feature
US11219989B2 (en) Torque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