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666B1 -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666B1
KR102202666B1 KR1020180083405A KR20180083405A KR102202666B1 KR 102202666 B1 KR102202666 B1 KR 102202666B1 KR 1020180083405 A KR1020180083405 A KR 1020180083405A KR 20180083405 A KR20180083405 A KR 20180083405A KR 102202666 B1 KR102202666 B1 KR 10220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lame
metal powder
printer
mol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264A (ko
Inventor
신기수
박송화
Original Assignee
(주)대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건테크 filed Critical (주)대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8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66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은, 가연성 금속분말이 보관되고 레이저조사기가 설치되어 3차원 성형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성형박스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연기, 온도 및 불꽃을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불꽃 위치를 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에 소화재를 투입하는 소화재투입장치와, 상기 레이저조사기, 감지유닛, 카메라 및 소화재투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Fire detection system for flammable metal powder 3D printer}
본 발명은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가연성 금속분말에 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기감지센서,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를 지속적으로 동작하되, 2개 이상에서 감지된 경우 진화 작업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화재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재진화용모래와 불활성가스를 동시에 투입하여 신속한 진화가 가능하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래이송유닛과 카메라를 연동하여 화재지점에 화재진화용모래를 집중적으로 뿌려질 수 있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불꽃을 감지함으로써 작은 불씨도 완벽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다시 번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레이저조사기의 전원차단, 화재경보기의 동작, 소방 기관 연락 등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여 신속한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3차원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해 주조나 단조 등의 전통적인 가공방법을 사용해왔다. 또한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이용할 때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작업자가 수행해야 했다.
최근에는 3차원 성형품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로 3D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비젼문가도 손쉽게 3차원의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점차 전통적인 가공방법을 대체하고 있다.
즉, 3D 프린터는 활자나 그림을 인쇄하듯이 입력된 2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실제 입체 모양을 그대로 제작하는 장비이며, 3D 프린팅 기술은 자동차, 의료, 예술, 교육분야로 확대되고 있고, 다양한 모형을 만들기 위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3D 프린터의 원리는 절삭형과 적층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실제 적용되고 있는 3D 프린터의 대부분은 재료 손실이 없는 적층형에 해당된다.
적층형 3D 프린터는 레이저를 투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적층해 가는 방식으로 인쇄물이 완성되도록 한 것으로,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1964호에는 도 1과 같이 합성수지와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3D 적층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자료는 인쇄물을 만들기 위한 소재로서, 세라믹 분말과 열경화성 수지, 실란화합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슬러리 상태의 조성물이 적용되므로 건조시 수축이 발생하여 높은 치수정밀도를 만족시키기에 부족함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5124호에는 도 2와 같이 금속분말을 성형 대상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에 사용되는 분말도포장치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특허는 원재료로서 금속분말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기는 하나, 물 또는 산소와 반응성이 큰 금속분말 예컨대, 마그네슘분말을 사용하여 인쇄물을 제조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 가벼워 항공기 부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성분과 혼합되어 합금화된 경우에는 고온 내열 특성이 우수하여 항공기 엔진 부품에도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을 갖는 마그네슘은 물 또는 산소와 반응성이 커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취급에 유의해야만 하며, 도 2에 도시된 분말도포장치는 내부가 외부와 연통되어 있어 폭발 위험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092호에는 도 3과 같이 티타늄 분말을 소결하기 위한 소결챔버 내부의 압력을 압력센서로 측정하고, 압력증가시 소결챔버 내부에 폭발저감제를 혼합한 가스를 유입시켜 방폭할 수 있도록 한 방폭 가능한 3차원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 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등록 특허와 같이 폭발저감제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고자 하였으나, 소결 챔버 내부의 압력 변화만으로 화염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므로 즉각적인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화재 규모를 확대시키거나 폭발사고를 야기시켜 화재 진압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연성 금속분말의 경우 화재 발생시 물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소화용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화학반응에 의해 수소가스 등이 발생하여 화재 진압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금속화재의 경우 수분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구하기 쉽고 가격이 저렴한 건조 모래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작업자가 직접 모래를 투척하여 진압하게 되므로 신속한 초기 대응이 어렵고, 화재 진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가연성 금속분말에 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기감지센서,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를 지속적으로 동작하되, 2개 이상에서 감지된 경우 진화 작업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화재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화재진화용모래와 불활성가스를 동시에 투입하여 신속한 진화가 가능하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래이송유닛과 카메라를 연동하여 화재지점에 화재진화용모래를 집중적으로 뿌려질 수 있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불꽃을 감지함으로써 작은 불씨도 완벽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여 다시 번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레이저조사기의 전원차단, 화재경보기의 동작, 소방 기관 연락 등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여 신속한 초동조치가 가능하도록 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은, 가연성 금속분말이 보관되고 레이저조사기가 설치되어 3차원 성형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성형박스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연기, 온도 및 불꽃을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불꽃 위치를 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에 소화재를 투입하는 소화재투입장치와, 상기 레이저조사기, 감지유닛, 카메라 및 소화재투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재투입장치는, 화재진화용모래를 투입하는 모래이송유닛과,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유닛은, 연기감지센서와,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연기감지센서와, 온도센서 및 불꽃감지센서 중 2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레이저조사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성형공간 내부의 불꽃을 지속적으로 탐지하며, 불꽃의 위치를 제어유닛에 공유하여 상기 소화재투입장치를 통해 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래이송유닛은, 화재진화용모래의 낙하지점의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카메라가 탐지한 불꽃의 위치에 노즐을 이동시켜 화재진화용모래를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가스공급유닛의 동작으로 성형공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설정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에 정보를 공유하여 가스공급유닛의 불활성가스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가연성 금속분말에 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연기감지센서,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를 지속적으로 동작하되, 2개 이상에서 감지된 경우 진화 작업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화재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화재발생시 화재진화용모래와 불활성가스를 동시에 투입하여 신속한 진화가 가능하며, 모래이송유닛과 카메라를 연동하여 화재지점에 화재진화용모래를 집중적으로 뿌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진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불꽃을 감지함으로써 작은 불씨도 완벽하게 진화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레이저조사기의 전원차단, 화재경보기의 동작, 소방 기관 연락 등을 수행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하여 화재의 확산과 안전사고를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1964호에 개시된 3D 적층 프린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5124호에 개시된 3차원 프린터에 사용되는 분말도포장치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092호에는 개시된 방폭 가능한 3차원 프린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의 작용을 보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이하 '진단시스템(100)'이라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100)의 구성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단시스템(100)은 3D프린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고 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성형물이 만들어지는 성형박스(110) 내부에 다수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단시스템(100)은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가연성 금속분말에 대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연성 금속분말을 원료로 하여 3D 성형물을 성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3D프린터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진단시스템(100)은 가연성 금속분말이 보관되고 레이저조사기(102)가 설치되어 3차원 성형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112)을 제공하는 성형박스(110) 와, 상기 성형박스(110) 내부의 연기, 온도 및 불꽃을 감지하는 감지유닛(120)과, 상기 성형박스(1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130)와, 상기 성형박스(110) 내부의 불꽃 위치를 탐지하는 카메라(150)와, 상기 성형박스(110) 내부에 소화재를 투입하는 소화재투입장치(160)와, 상기 레이저조사기(102), 감지유닛(120), 카메라(150) 및 소화재투입장치(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박스(110) 는 벽체에 방염기능을 가지는 단열재가 내장되어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성형박스(110) 내부에는 성형공간(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공간(112)의 천장에는 레이저조사기(102)가 설치된다. 상기 레이저조사기(102)는 하측 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빌드룸(104) 내부에 3차원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조사기(102) 하측에는 빌드룸(104)이 위치하고, 상기 빌드룸(104)의 인근에는 빌드룸(104)에 공급되어질 금속분말이 저장되는 파우더룸(106)이 구비된다.
상기 레이저조사기(102)의 좌측에는 감지유닛(120)이 설치된다. 상기 감지유닛(120)은 성형박스(110) 내부의 연기, 온도변화 및 불꽃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유닛(120)은 연기감지센서(122)와, 온도센서(124) 및 불꽃감지센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기감지센서(122)는 화재시 발생한 연기에 의한 빛의 통과 정도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구성이고, 온도센서(124)는 화염에 의해 성형박스(110) 내부 공간의 온도가 증가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불꽃감지센서(126)는 UV 또는 IR 센서를 채택하여 불꽃의 특정 파장대를 찾아내어 화재 상황을 인식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170)에는 연기감지센서(122)를 위한 빛의 설정투과도, 온도센서(124)를 위한 설정온도, 불꽃감지센서(126)를 위한 설정파장대가 미리 설정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70)은 화재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연기감지센서(122)와 온도센서(124) 및 불꽃감지센서(126)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정값을 감지하는 경우 화재 상황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조사기(102)의 우측에는 카메라(150)가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150)는 성형박스(110) 내부의 불꽃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성형박스(110) 내부를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화재 진화 후 화염이 유지되고 있는 부위를 파악함으로써 제어유닛에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50)는 방폭기능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영상은 관리자의 컴퓨터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공간(112)의 좌측에는 소화재주입장치(160)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재주입장치는 화재 발생시 화재진화용모래나 불활성가스를 성형공간(112) 내부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재투입장치(160)는, 화재진화용모래를 투입하는 모래이송유닛(162)과,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래이송유닛(162)은 화재진화용모래를 저장하는 모래저장부(163)와, 상기 모래저장부(163) 내부의 화재진화용모래를 화재발생지점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노즐(1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래저장부(163)는 화재진화용모래에 수분을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하여, 가연성 금속분말에 발생한 화염에 물이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래저장부(163)의 내부는 노즐(164)과 연통된다. 상기 노즐(164)은 성형박스(110) 의 천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위치가 변하더라도 상기 모래저장부(163)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여 화재진화용모래의 낙하가 지속적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164)은 천장에 전용 레일과 모터 등을 더 구비하여 자유롭게 움직일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성형박스(11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화염이 발생하더라도 제어유닛에 의해 정확한 화재발생 지점에 화재진화용모래를 낙하할 수 있도록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가스공급유닛(166)은 화재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아르곤가스 등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어유닛(170)은 전술한 다수의 구성에 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기감지센서(122)와, 온도센서(124) 및 불꽃감지센서(126) 중 2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레이저조사기(102)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70)에는 다수 구성의 조작을 위해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150)가 촬영한 영상이나, 감지유닛(120)의 감지 상태를 육안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재 진단시스템(100)의 작용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100)의 작용을 보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진단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성형공간(112) 내부의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발생시 진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감지유닛(120)은 성형박스(110)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만일 불꽃감지센서(126)와 연기감지센서(122) 및 온도센서(124) 중 둘 이상이 불꽃, 연기 및 온도 증가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170)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레이저조사기(102)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박스(110) 내부의 또 다른 장치 예컨대 모터와 같은 전기장치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170)은 소화전과 연동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소방기관에 화재 사실을 자동으로 알리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재투입장치(160)가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가스공급유닛(166)은 화염이 소화될 수 있도록 성형박스(110)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게 되고, 상기 모래이송유닛(162)은 노즐(164)을 이동하여 빌드룸(104) 및 파우더룸(106)에 화재진화용모래를 낙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카메라(150)는 성형박스(110) 내부의 불꽃 유무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며, 불꽃 감지시에는 상기 제어유닛에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모래이송유닛(162)이 불꽃이 남아있는 곳으로 화재진화용모래를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성형박스(110) 내부의 화염은 사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유닛(166)이 성형공간(112) 내부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과정 중에 상기 압력센서(130)는 내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게 되며, 설정압력에 도달시에는 성형박스(110) 의 폭발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도록 가스공급유닛(166)의 가스주입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화재 진단시스템 102. 레이저조사기
104. 빌드룸 106. 파우더룸
110. 성형박스 112. 성형공간
120. 감지유닛 122. 연기감지센서
124. 온도센서 126. 불꽃감지센서
130. 압력센서 150. 카메라
160. 소화재투입장치(160) 162. 모래이송유닛
163. 모래저장부 164. 노즐
166 가스공급유닛(166) 170. 제어유닛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마그네슘이 채택된 가연성 금속분말이 보관되고 레이저조사기가 설치되어 3차원 성형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제공하는 성형박스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에 발생한 연기에 의한 빛의 통과 정도로 화재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온도로 화재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UV 또는 IR 센서가 채택되어 불꽃의 특정 파장대를 찾아내어 화재를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감지유닛과;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성형박스 내부의 불꽃 위치를 탐지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탐지한 불꽃의 위치에 노즐을 이동시켜 화재진화용모래를 낙하하는 모래이송유닛과,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소화재투입장치와;
    상기 레이저조사기, 감지유닛, 카메라 및 소화재투입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유닛은 연기감지센서와, 온도센서 및 불꽃감지센서 중 2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레이저조사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성형공간 내부의 불꽃을 지속적으로 탐지하며, 불꽃의 위치를 제어유닛에 공유하여 상기 소화재투입장치를 통해 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가스공급유닛의 동작으로 성형공간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설정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에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가스공급유닛의 불활성가스 공급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KR1020180083405A 2018-07-18 2018-07-18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KR10220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05A KR102202666B1 (ko) 2018-07-18 2018-07-18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05A KR102202666B1 (ko) 2018-07-18 2018-07-18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64A KR20200009264A (ko) 2020-01-30
KR102202666B1 true KR102202666B1 (ko) 2021-01-13

Family

ID=6932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05A KR102202666B1 (ko) 2018-07-18 2018-07-18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2049B (zh) * 2021-12-23 2023-12-08 江苏高达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物激光打印的防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8508A (ja) 2013-02-19 2014-09-04 Hochiki Corp 消火装置
CN105252004A (zh) * 2015-10-19 2016-01-20 华南理工大学 一种应用于3d打印密封舱内烟尘检测与净化的方法及设备
CN105669333B (zh) * 2016-03-01 2017-12-08 南京理工大学 火药3d打印成型装置
KR101874092B1 (ko) 2017-03-21 2018-07-03 윈포시스(주) 방폭 가능한 3차원 프린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8508A (ja) 2013-02-19 2014-09-04 Hochiki Corp 消火装置
CN105252004A (zh) * 2015-10-19 2016-01-20 华南理工大学 一种应用于3d打印密封舱内烟尘检测与净化的方法及设备
CN105669333B (zh) * 2016-03-01 2017-12-08 南京理工大学 火药3d打印成型装置
KR101874092B1 (ko) 2017-03-21 2018-07-03 윈포시스(주) 방폭 가능한 3차원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64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666B1 (ko) 가연성 금속분말 3d프린터용 화재 진단시스템
EP2444122A1 (en) New portable aerosol fire-fighting device
KR101874092B1 (ko) 방폭 가능한 3차원 프린터
CN109663250A (zh) 一种多功能灭火机器人系统
KR102363658B1 (ko) 화재진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진압방법
CN106112201A (zh) 一种规范焊接切割操作的安全距离警示装置及距离警示方法
JP2006334064A (ja) 自動消火デバイス
JP2008310515A (ja) 情報機器監視装置
CN109106102B (zh) 一种军械兵器库房的联网联控系统
KR101136979B1 (ko) 능동형 선박화재 예방시스템
CA2638615C (en) Portable laser projector and enclosure
CN206624815U (zh) 一种阻燃塑胶片材
CN202957003U (zh) 一种安全出口指示牌及使用这种指示牌的紧急疏散系统
CN206249996U (zh) 一种变压器防护装置
CN204655856U (zh) 一种气瓶刺破装置
JP6125911B2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US20140076589A1 (en) Water mist fire extinguisher
KR102246200B1 (ko) 선박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시스템
US10772183B2 (en) Disabling plasma arc torch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07293883U (zh) 防火升降移动设备
CN103316444B (zh) 一种定向爆喷阻燃抑爆器
CN211933265U (zh) 一种军械兵器库房的联网联控系统
JP2007159868A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CN201871154U (zh) 自动气溶胶灭火装置
CN214750051U (zh) 一种高分子材料的耐火性能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